728x90




<농학, 환경 및 독성학적 특성에 대한 유전자변형 옥수수의 영향: 21년 동안의 현장 데이터에 대한 메타 분석>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98-018-21284-2



요약 : 유전자변형(GE) 옥수수의 대규모 재배와 그것의 농업-환경에 대한 영향을 다룬 많은 과학적 보고서에도 불구하고, 유전자변형 옥수수의 위험과 혜택은 여전희 논쟁거리이며 안전에 관한 우려가 남아 있다. 이 메타 분석은 수확량, 곡물의 품질, 비표적 유기체(NTO), 표적 유기체(TO)와 토양의 바이오매스 분해에 관한 동료 심사를 받은 논문(1996-2016년)들을 분석함으로써, 유전자변형 옥수수의 농학, 환경, 독성학적 특성에 대한 지식을 향상시키려는 목적을 지닌다. 결과는 유전자변형 옥수수가 그 근동질유전자계통보다 더 나은 성취를 이루었다는 강력한 증거를 제공했다. 곡물 수확량은 5.6으로 24.5% 더 높으며, 마이코톡신은 -28.8%, 푸모니신은 -30.6%, thricotecens는 -36.5%로 농도가 더 낮았다. 분석된 비표적 유기체는 인시류 활성 Bt 옥수수의 표적인 유럽 옥수수들명나의 천적으로 대표되는 고치벌과(Braconidae)를 제외하고는 유전자변형 옥수수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줄기와 잎의 리그닌 함량 같은 생지화학적 순환의 모수는 달라지지 않은 반면, 바이오매스의 분해는 유전자변형 옥수수가 더 높았다. 그 결과는 유전자변형 옥수수의 재배를 지지한다. 이는 주로 곡물의 품질이 향상되고, 마이코톡신이 인간에게 노출되는 일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또한 표적이 되는 기생충의 감소와 다른 비표적 유기체에 대한 일관된 영향이 결여됨이 확인된다.



이렇다고 합니다. 결론은 유전자변형 옥수수에 대한 여러 우려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는 괜찮다는 여러 면에서 괜찮다는 이야기네요.



728x90
728x90

2016년 1월, 아메리카 대륙에 살던 조밤나방이 아프리카 대륙으로 건너간 것이 최초로 발견되었다. https://theconversation.com/why-its-hard-to-control-the-fall-armyworm-in-southern-africa-72890


이놈의 애벌레는 멸강충(나라를 망하게 하는 벌레)이라 불릴 정도로 작물에 해를 끼치는데, 특히 옥수수 같은 작물에 치명적이다. 

그래서 식량안보가 위태로운 아프리카 대륙에서는 앞으로 큰 피해가 예상된다고 한다.


이에 대한 대응책으로 어떤 안을 내놓을까? 
일단은 가장 손쉬운 방법인 화학 농약의 사용을 권장할 테고, 다음으로는 유전자변형 작물을 권하지 않을까 싶다. 원래 유전자변형 작물 가운데 BT 작물이 그런 목적으로 개발되어 미국에서 널리 재배되고 있으니 말이다.  http://bit.ly/2kuLdR9



과연 아프리카의 농업은 어떤 선택을 할까?
이걸 호재라 여기며 호시탐탐 기회를 노리던 다국적 농기업들이 침을 흘리며 잡아먹지 않으려나...


728x90
728x90

몬산토는 멀리 있는 것이 아니다. 바로 우리의 곁에도 존재한다.


농촌진흥청에서 물바구미를 스스로 쫓는 벼를 개발했다고 떠들썩하다.

'BT 옥수수'와 같은 'BT 벼'라고 한다.

이를 가지고 단지 농약을 치지 않는다는 이유로 "친환경적으로" 물바구미를 방제한다고 선전한다.

그런데 과연 농약만 치지 않으면 친환경인가?

자연에 없던 생물이 하나 새로 생겼는데 이건 친환경인가?

근본적인 성찰 없이 기술만 좇는 모습이다. 안타깝다.

---------


살충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스스로 해충을 쫓는 벼 품종이 개발됐다.

 

농촌진흥청(청장 이양호)은 농약 사용없이 친환경적으로 벼물바구미를 방제할 수 있도록 벼에 살충성 유전자를 도입한 ‘벼물바구미 저항성 벼’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벼물바구미는 유충의 경우 벼 뿌리에 기생해 농약을 이용한 방제가 어려운 해충이다.

 

또한 환경에 따라 발생시기가 유동적이고 발생하면 농약을 여러 번 뿌려야 하는 어려움이 있어 해마다 국제 벼 수확량의 20 % 이상이 줄어드는 등 큰 피해를 주고 있다.

 

이번에 개발한 벼 품종은 토양 미생물인 바실러스균으로부터 유래한 살충성 유전자를 식물형질전환 기술을 이용해 벼 유전자에 삽입해 만든 것이다.
   *바실러스균: Bacillus thuringiensis ssp. tenebrionis (B.t.t.)
실험 결과 ‘벼물바구미 저항성 벼’에서 기존 벼에 비해 벼물바구미 피해 발생이 약 50 % 줄었다.


이에 따라 벼물바구미 방제 작업에 필요했던 연간 농약 사용비용은 약 30%, 노동력 소요비용은 약 20%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농촌진흥청은 이번에 개발한 ‘벼물바구미 저항성 벼’에 대해 지난 8월 특허를 출원했으며, 학술지 ‘Plant Cell Tissue and Organ Culture’에 논문 게재승인을 받았다.

 

농촌진흥청 생물안전성과 신공식 박사는 “이번 벼 품종 개발은 앞으로 생산비용은 물론 지나친 농약 사용에 따른 환경오염 등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문의] 농촌진흥청 생물안전성과장 조현석, 생물안전성과 신공식 031-299-1128





728x90
728x90

유전자변형 작물, 일명 GMO가 도입되어 상업적으로 재배된 지 어느덧 17년 정도가 되었다. 처음 이 작물이 도입될 때 지지자들은 농약 사용량이 줄고, 그에 따라 환경이 좋아지며 농민들도 소득이 증가할 것이라고 찬양 일색이었다. 


그런데 자연은 그렇게 만만치 않았다. 유전자변형 작물의 핵심은 제초제를 맞아도 죽지 않거나 스스로 독성 물질을 만들어내 해충을 방어하는 데에 있다. 그를 통해 농작업을 획기적으로 편하게 만든 것이다. 그런데 그에 대한 내성을 지닌 풀과 벌레, 일명 슈퍼 잡초와 슈퍼 해충이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사람으로 치면, 항생제를 너무 열심히 사용하다가 항생제 내성균이 등장한 것과 같다고나 할까.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다양한 방법이 제시될 수 있겠다. 그런데 한 가지 분명한 것은 생명공학산업에서는 또 다른 유전자변형 작물로 이번 문제를 해결하려고 할 것이라는 점이다. 이에 대해 반대하는 쪽에서는 잘못된 농업관행을 바꾸고 유전자변형 작물을 포기하는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물론 나도 그에 찬성하는데, 쉽지 않은 사실이 하나 있다. 바로 극소수의 농민이 대다수의 사람들을 먹여살려야 한다는 점이다. 현실적으로 바로 그 점 때문에 유전자변형 작물이라는 요상한 생명체가 이 세상에 탄생하여 명맥을 이어가고 있는 것이 아닌가. 결국은 단순히 유전자변형 작물에 대한 찬반을 넘어,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를 어떻게 바꾸어야 하며 그를 위해 나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하는 문제까지 고민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  



미국에서 재배하는 옥수수, 콩, 목화로 대표되는 생명공학 작물들이 마침내 적수를 만났다. 그건 유전자변형 작물 또는 GMO를 함유한 식품에 대한 표시제를 요구하는 수백만 소비자들이 아니다. NPR의 보고서에 따르면, 생명공학의 최고 천적은 생명공학 작물의 대부분이 필요로 하는 제초제와 살충제에 내성이 생긴 풀과 벌레의 군단이다. 

일반적으로 GMO 작물은 두 가지 범주에 들어간다. 하나는 몬산토의 다목적 제초제인 라운드업 같은 농약에 저항성을 갖도록 설계된 것이다. 이는 농민들이 라운드업을 살포하면 재배하려고 하는 옥수수, 콩 또는 목화만 남기고 모든 것을 죽인다. 또 다른 GMO 작물은 실제로 많은 해충을 죽이는 “자연의” 농약인 Bt 같은 화학물질을 내는 것이다. 

이 기술이 세계식량상을 받을만 한지 아닌지 모르겠지만, 확실히 사업에서는 대성공을 거두었다. 적어도  작물에 해를 입히는 풀과 벌레가 죽지 않고 견디며 나타나기 전까지 말이다.

우리는 몇 년 동안 슈퍼 잡초슈퍼 해충의 재앙을 추적하고 있었다. 생명공학의 장단점에 대한 어떠한 논쟁이 있든지간에, 현장에서 드러나는 사실은 한때의 패배자가 이제는 승리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제는 더 이상 슈퍼 잡초와 슈퍼 해충이 부상하고 있다는 류의 이야기가 아니다. 현재 그들은 우위에 있다. 아래의 최근 발표된 Food and Water Watch의 보고서에 나오는 그림을 보면 GMO 작물이 도입되고 몇 년 지나지 않은 2000년에는 슈퍼 잡초가 거의 드물었다. 그러나 현재는 완전히 다르다. 



슈퍼 해충, 특히 넓적다리잎벌레 같은 벌레가 유전자변형 옥수수, 콩, 목화가 내는 Bt 물질에 점점 내성을 가지고 있다. 과학자들은 아직도 문제의 범위와 내성이 GMO 작물 때문인지 또는 문제가 되고 있는 해충의 돌연변이 때문인지 탐사하고 있다. 원인이 무엇이든지간에, 농민들은 생계에 대한 위협이 증가하고 있어 이걸 어떻게 처리하면 좋을지 알아내야 하는 사람들이다. 

농업 무역 출판물 Brownfield와의 인터뷰에서 농경제학자 Todd Claussen 씨는 적어오 아이오와 주에서는 확실히 내성이 생긴 넓적다리잎벌레 때문에 GMO Bt 옥수수에 피해가 생기고 있다고 인정했다. 그게 다가 아니다. Claussen 씨는 올해 아이오와 주에서 넓적다리잎벌레가 여느 해보다 40~50배 상황을 악화시킬 수 있다고 설명한다. 그리고 가뭄과 그에 이어 때이른 폭우라는 최근의 기후 조건이 그 벌레들이 성장하는 데 완벽한 상황을 만들었다고 한다. 

자연은 생명공학이 전혀 기대하지 않은 탄력성과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하는 능력을 보여주고 있다. Food and Water Watch가 새로운 보고서에서 그 주제에 대해 지적한 것처럼, 단기적 결과는 농약 관련 기업에게 엄청난 혜택으로 돌아갔다. 이들 대부분은 GMO 종자 시장을 꽉 잡고 있기도 하다. 아무튼 농민들이 이러한 풀과 벌레라는 환상의 짝궁을 통제하기 위해 더욱더 많은 독성 농약에 의존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농민들은 현재 옥수수와 콩, 목화에 15년 전보다 10배나 많은 라운드업 제초제를 살포하고 있다. 그건 라운드업 레디 작물이 널리 재배된 탓도 있긴 하지만, 슈퍼 잡초를 해결하기 위해 농민들이 면적당 사용하는 라운드업의 양을 늘리고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농약 사용이 증가했다는 더 좋은 지표는 고엽제의 성분이기도 한 고독성 농약 2,4-D이다.  많은 농민들이 그 자체의 독성만이 아니라 이웃 농지로 이동하는 경향 때문에 포기했던 것인데, 농민들은 풀의 승리와 함께 선택의 여지가 없다는 걸 알고는 슬슬 2,4-D를 사용하고 있다. Food and Water Watch의 보고서에 나오는 아래의 도표에 나타나듯이, 2,4-D의 사용은 현재 라운드업 레디 GMO 종자가 널리 채택되기 전의 수준으로 돌아갔다. 


이 화학물질은 최근 다우 농과학이 2,4-D에 저항성이 있는 GMO 종자와 함께 미국 농무부에 승인을 신청해 이중으로 논란이 되고 있다. 따라서 모든 것이 다시 순환될 수 있다. 풀이 우리의 라운드업 레디 작물보다 한 수 더 뜨고 있는가? 우린 단지 고엽제 레디 작물로 대신하면 되는가. 그것은 역시 풀이 그에 대한 대비책을 찾기 전까지다. 

미국 농무부는 소비자의 안전에 대한 옹호자와 수질과 농약의 이동에 관해 우려하는 농민들의 강력한 반대에 직면하여 2,4-D 종자에 대한 승인을 지연하고 있다. 그러나 디캄바와 이소자플루톨 같은 고독성 농약에 저항성이 있는 또 다른 몇 가지 GMO 종자와 함께 다우의 제품이 규제당국의 승인을 얻는 건 시간 문제일 뿐이다.

이 모든 종자가 시장에 나온다면, 미국 농지의 농약 사용량은 급증할 것이다. 그리고 물이 오염되고, 인체에 노출되며, 농산물의 화학물질 잔류량도 증가할 것이다.

그러나 화학을 통한 더 나은 대안이 존재한다. 농민들은 단지 옥수수 이어짓기를 멈추고 귀리와 자주개자리를 돌려짓기하면 된다. NPR에서 이야기했듯이, 가장 간단하고 값싸며 안전한 해결책은 잠시만 다른 작물로 전환하는 것이다. 돌려짓기, 즉 같은 농지에 다른 작물을 번갈아 가며 재배하는 방법은 해충을 막는 오래된 기술이다. 어떠한 작물을 먹는 벌레가 다른 작물까지 먹는 건 흔하지 않다. 옥수수의 넓적다리잎벌레는 귀리를 심은 농지에서는 굶주릴 것이다. 그래서 작물을 전환하는 것은 농민들이 한 발 앞서 피하는 길이 될 것이다.

그러나 돌려짓기는 더 어려운 문제이다. GMO 종자 더하기 값싼 합성 화학비료 더하기 높은 시장 가격은 언제나 더 간단히 농상품을 만들 수 있기에 똑같은 농지에다 “옥수수를 이어짓기”하도록 문을 활짝 열어놓았다.

그러나 작물 돌려짓기에 대한 최근의 연구에서는 고가의 GMO 종자와 화학물질, 심지어 화학비료에 돈을 덜 지출하기 때문에 돌려짓기로 인해 농민이 반드시 손해를 보지는 않는다고 지적했다. 미국 농무부조차 그렇게 이야기한다. 농무부에서는 해충 관리와 기후 탄력성을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작부체계(multi-cropping)”라는 방법을 채용하도록 홍보하기 시작했다. 문제는 이 기관에서 제초제 저항성 종자를 내려는 생명공학 기업들도 장려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자연은 지금까지 몇 번이나 화학자보다 한 수 위의 능력을 보여주었다. 아마 우리가 질 것 같은 또 다른 싸움을 시작하려고 뛰어드는 것보다 자연과 함께 일을 시작하는 편이 현명할 것이다. 



http://grist.org/food/turf-war-in-the-battle-for-our-crops-superweeds-are-winning/

728x90
728x90

생명공학 산업에 따르면, 유전자조작 작물 덕에 농민들이 "더 적은 투입재로 더 많은 수확량을 올리기에"  인류에게 혜택을 준다며 생명공학 산업단체(Biotechnology Industry Organization)의 홈페이지에 소개한다.

그러한 수사법에 고무된 유전자조작 종자의 거인 몬산토와 그 동료들은 두 가지 주요한 특성을 지닌 옥수수, 콩, 목화의 종자시장이 흥성하도록 관리했다: 제초제 저항성과 살충제 발현 —각각의 식물이 특정 제초제에 견디게 하고, 바실루스 투루지엔시스Bacillus thuringiensis 또는 Bt라는 독성을 내서 곤충을 죽이게 한다.

그러나 BIO의 성명에 나오는 두 주장은 매우 의심스러운 것으로 판명되었다. 워싱턴 주립대학의 연구자 Charles Benbrook 씨는 미국에서 GMO의 순 효과가 독성 화학투입재의 사용을 증가시켰다는 사실을 입증했다. Benbrook 씨는 Bt 특성이 농민들의 살충제 사용량을 극적으로 낮춘 반면, 몬산토의 라운드업 레디 기술에 의한 효과는 몬산토의 라운드업 제초제를 맞은 잡초에 빠르게 내성이 생겨 버렸다고 밝혔다.

그리고 미국 농무부에서 자금을 지원받은 위스콘신 대학의 연구자들이 작성한 새로운 보고서는 기본적으로 "더 많은 식량"이란 주장을 무효로 만든다. 연구자들은 1990~2000년 사이 개발된 다양한 개량종과 일부 유전자조작 옥수수를 가지고 위스콘신 대학의 실험밭에서 수확량을 비교하는 자료를 가지고 판명했다. 일부 GM 품종이 약간의 수확량 증가를 가져왔지만 다른 것은 그렇지 않았다. 심지어 몇몇 품종은 비GM 품종보다 수확량이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주로 사용되는 특성 가운데 하나의 예외 —유럽 조명충나방을 죽이도록 설계된 Bt 유형— 와 함꼐, 저자들은 "우린 유전자조작 작물의 수확량 효과를 강하게 확신할 수 없다는 사실에 놀랐다"고 결론을 내렸다. 글리포세이트 저항성(라운드업 레디)과 옥수수 선충에 대한 Bt 특성이 수확량을 떨어뜨리는 원인이다.

그러면 이른바 "다중형질(stacked-trait)" 작물 —그것은 다양하게 추가된 유전자를 함유하도록 변형된 옥수수를 말한다— 예를 들면, 제조제 저항성과 살충제 발현 유전자를 모두 가진 몬산토의 "Smart Stax"라는 제품에 대한 의문이 있다. 저자들은 이러한 작물에서 그들이 "유전자 상호작용"이라 부르는 것을 간파했다 —종종 부정적으로 수확량에 영향을 주는 방식으로 서로 상호작용하도록 삽입된 유전자. 만약 다양한 유전자가 상호작용하지 않는 품종에 추가되면, "다중유전자의 [수확량] 영향은 상응하는 단일유전자 효과의 총계와 같을 것이다"라고 저자들은 썼다. 대신에, 다중형질 작물은 지도에 있었다. "우린 이식 유전자가 하나로 묶일 때 그 특성 사이에 상호작용하는 유전자의 강력한 증거를 발견했다"고 한다. 그러한 효과의 대부분은 부정적이었다 —즉, 수확량이 감소한다.

전반적으로, 그 보고서는 "수확량 감소"로 알려진 것의 증거를 밝힌다 —식물 품종의 게놈을 조작한다는 발상은 덜 생산적이게 되는 원인이 되는 그 성장 방식에 의도치 않은 변화를 일으킨다. 

더 격려하자면, 저자들은 GMO 품종의 작물 수확량이 해마다 더 안정적임을 발견했다 —그것은 수확량이 기존 품종들보다 변동이 적다는 것이다. 이러한 안정화 효과 덕에, 저자들은 "우리의 결과가 어떻게 유전자 이식 기술이 위험한 환경을 처리하는 농민의 능력을 개선시킬 수 있는지 보여주고," 특히 "현재 농업 생산을 불확실하게 만드는 기후변화의 영향에 관한 우려를" 제공한다고 결론을 내린다. 간단히  그들은 라운드업 레디나 Bt 작물을 심음으로써 농민이 수확량 변동이란 위험에 직면하는 일이 줄어든다고 주장한다.

그건 사실일 것이다. 하지만 그것은 "더 적은 투입재로 더 많은 작물 수확량을 올린다"는 데에서 멀어진다. 그리고 기존 종자보다 GMO가 더 이득이라는 것이 명확해지는 것도 아니고, 위험 경감이 유기농업에 의해 제공되는 혜택보다 나은지도 확실하지 않다. 여기 지난해 Nature 에 논문을 발표한 저자의 글을 소개한다:

유기적 방법으로 관리된 흙은 보수력과 물 침투율이 더 좋아, 가뭄이나 호우의 조건에서 관행농업보다 더 많은 수확량을 올린다.



출처 http://goo.gl/W0cIu

728x90
728x90

미국의 대표적인 옥수수 곡창지대인 아이오와와 일리노이주에서 유전자조작 BT옥수수에 내성을 지닌 넓적다리잎벌레들이 발견되고 있단다. 역시 자연은 멋지다! 


그런데 이제 또 새로운 유전자조작 옥수수를 만들어 출시하겠지. 쩝.



이건 유충이고... 



이건 성충...




출처 http://goo.gl/WNCSf

Wayne Bailey, University of Missouri Extension specialist in plant sciences, urges Missouri corn producers to keep an eye out for indications of corn rootworm, caused by continuous planting of Bt hybrid corn on cropland.

Most of the corn planted in the United States is Bt corn, and the Cry3Bb1 toxin is the major one deployed in corn against rootworm.

Bailey will speak at the MU Crop Management Conference, Dec. 18-19 at the Holiday Inn Executive Center in Columbia. The conference is sponsored by the Division of Plant Sciences in the MU College of Agriculture, Food and Natural Resources.

Research at Iowa State University that shows evolving resistance in progeny of adult western corn rootworms collected from northwestern Iowa fields in which Bt hybrids that produce the Cry3Bb1 protein had been planted for several consecutive years. The pest has also been seen in Illinois fields.

Bt hybrids used for corn rootworm control are low- to moderate-dose events that leave survivors in every field. When enough heterozygotes survive and mate, a Bt-resistant population can increase rapidly.

Bailey said there is no evidence of a problem in Missouri yet, but some producers are concerned because Illinois grain producers are seeing it in some counties. He said less than 10 percent of the corn fields in Missouri are at risk. Those at risk include fields planted in corn for three or more continuous years, fields where CryBb1 protein has been used, and those where there is relatively high western corn rootworm pressure.

He suggests that corn producers watch for evidence of rootworms in spring fields. They can slow growth of rootworm in fields by using soil insecticides in furrow.

Producers who use Cry3Bb1 more than three years should consider an alternate hybrid.

“Yes, you need to be concerned, but not real concerned,” Bailey said. “Be vigilant.”

Bruce Hibbard, research entomologist for the USDA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and a leading expert on rootworms since 1986, has published research documenting resistance to Cry3Bb1 within three generations of selection. He said producers “need options to control rootworms and their options are becoming fewer because of resistance developing in the field.”

Crop rotation provides the best defense against rootworm, he said, but there are pockets of farmland that are not in a rotation sequence. This land would include land generally dedicated to producing corn for livestock and ethanol, and geographic pockets where corn has been the only crop planted. “In some regions, rootworm management options are limited because of resistance to Cry3Bb1,” he said.

This past summer Hibbard began a small-plot study at MU on rootworm and drought pressure using a rainout shelter. He will continue the study one more growing season before publishing. Preliminary results suggest Pioneer’s drought trait in combination with its rootworm trait is highly effective when both drought and rootworm are present.


728x90
728x90


Of all the crops and countries in GMO controversies today, few are as important than Bt cotton in India. GMO debates keep going back to small farmers and developing countries, and India has by far the most small farmers planting GM seeds.  (In Brazil and Argentina, which account for most of the GM plantings in the developing world, most of the GM seeds are planted by large commercial soybean growers.)

The ISAAA has recently put out a series of publications on the “remarkable success of Bt cotton in India” (see an example).  Articles by economists routinely attribute major yield gains in Indian cotton to Bt.  In a recent interview with Down to Earth I was asked to respond to the claim by a seed industry spokesman that Bt cotton showed “how a technology can double yield of a crop in 6-7 years.”

If all this is true, it is very important.  Is it?  Well I’m a data guy and I happen to have the latest data on Indian Bt cotton (courtesy of the International Cotton Advisory Board).  First let me say that I have already discussed the controversy over Bt cotton causingfarmer suicides: the data just don’t support it.  But if we take a similarly objective look at the data on Bt cotton’s “remarkable success,” there are some equal surprises in store, and a few inescapable ugly facts.

India approved Bt cotton in 2002; now it accounts for 92% of all Indian cotton.  Average nationwide cotton yields went from 302 kg/ha in the 2003/3 season to a projected 481 kg/ha in 2011/12 — up 59.3% overall.  This chart shows the trends in yields, which took off after Bt was introduced in 2002 (as we are constantly reminded by GMO enthusiasts).

(The depiction of Bt cotton as a coquettish boll is courtesy of the ISAAA’s Mandy and Fanny, subject of literary criticism in an earlier post.)

The problem is that while yields did take off right after Bt cotton was approved, this was well before hardly anyone was actually planting Bt cotton!  Look at this graph showing the yearly percentages of all Indian cotton land planted to Bt cotton.  Now here’s ugly fact #1: Most of the yield increase happened between 2002-5 when Bt comprised between 0.4-5.6% of India’s cotton.  Obviously Bt couldn’t have accounted for more than a tiny speck of the national rise.

The graphs also show that — and here comes ugly fact #2 — in the last 4 years, as Bt has risen from 67% to 92% of India’s cotton, yields have dropped steadily.

Could it be that there is more going on than just Bt adoption?  KR Kranthi, director of the Central Institute for Cotton Research (and as knowledgeable a person on Indian cotton as you are likely to find), writes that “While there is a general perception that Bt cotton technology was singularly responsible for the dramatic improvement of cotton fortunes in India, it is pertinent to examine other probable factors that may have contributed to the higher yields.”

One issue is the spread of poorly regulated private hybrid seeds that require pesticides; cotton farmers have been on a pesticide treadmill ever since.  The hallmark of the pesticide treadmill is short-term yield increases, and the yield increases in the early 2000′s probably had more to do with conventional pesticides than Bt.  KR Kranthi writes that the insecticide imidacloprid is

used as a seed treatment for protection against sap-sucking insects. Even a naïve student in India would know that none of the vast majority of Bt hybrids would have been able to sustain that onslaught of leaf hopper infestation without seed treated with imidacloprid. Gaucho, as it was known commercially, has been used in India since 2000 and was known to have contributed to at least 25% to 30% yield enhancement in the conventional hybrids, long before Bt cotton was introduced in the country. Since 2002, every Bt cotton seed has been treated with the highly effective insecticide, imidacloprid…

But it’s hard to generalize about a country that is as large and diverse as India, and those countrywide averages are hiding very different local patterns.  This chart shows the yield trends in the 8 states with significant cotton crops; the trends are all over the map.  Pretty messy.  So let’s zero in on the 4 biggest cotton producers (the legend in this chart gives their ranking based on cotton acres in 2011).

Let’s start with Andhra Pradesh, where I have been doing research for the last 12 years.  Yields did go up when Bt came along, but the upward trend clearly started after the 1997/8 season; farmers didn’t adopt Bt in significant numbers until 2005/6 which is 8 years after the yields started climbing.  (More on the A.P. story is available here.)  Then the ugly fact #3: since 2007, yields in AP have dropped back to below where they were before farmers started adopting Bt cotton.

Now for Maharashtra, kind of like AP but not as pronounced: yields started rising well before Bt became popular, and now have dropped back to around where they were before.

Next is Madhya Pradesh, where yields have been going down ever since the 1997/8 season.  Bt cotton 

doesn’t seem to have done anything to improve the steady slump.

Finally we get to Gujarat, which is where the real action is. This state accounts for most of the national rise in yields after 2002/3.  Nobody knows for certain how much Bt cotton was being planted in 2001-3 because there were illegal Bt seeds on many farms (it’s an interesting story). Bt, illegal or not, surely played a role in the rise in Gujarat yields.  So doesn’t that surge between 2000-2005 qualify as a “remarkable success

” for Bt?

Here comes ugly fact #4: In Gujarat, the state 

mainly responsible for India’s remarkable rise in yields, there were many factors contributing to cotton yields other than Bt.  According to KR Kranthi: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at maximum productivity gains were obtained from the 0.6 million to 0.7 million hectares of new area under cotton in Gujarat, which had the benefits of more than 100,000 newly constructed check dams apart from the highly fertile soils that were under groundnut cultivation for several years before cotton was taken up. New technologies such as pesticides with novel modes of action…were introduced during 2001 and 2002.

Therefore, it is probable that the new pesticides, new hybrids, new micro-irrigation systems, new areas, and Bt-cotton together may have been effectively contributing to the enhanced rate of production and productivity. The role of Bt cotton in effectively protecting the crop from bollworms… cannot be underestimated, but need not be overhyped either.

I have read that the army of activists writing on GMO’s in India try to avoid the facts of the case.  I think on some issues –like the suicide narrative — that’s a fair charge.  But the counter-narrative of Bt cotton’s “remarkable success” also needs to he held up to the facts, and when you do, it gets ugly very quickly.

Bt did not “double yields” in 5 years.  National yields did rise from 302 to 554 kg/ha (up 84%) in the first 5 years after Bt was released, but almost all of that rise occurred in 2003/4 (when only 1.2% of the cotton was Bt) and 2004/5 (when only 5.6% of the cotton was Bt).  In short, Bt couldn’t have been responsible for the rise.

A more likely explanation for a rise in national yields in the early 2000s were the short-term gains from insecticides for sap-sucking pests.

Bt adoption didn’t top 10% until 2005/6; since then, adoption has climbed to 92%.  In that same period from 2005 to the present, national yields rose from 478 to 481 kg/ha — up 1%.

In none of the top 4 cotton-producing states do the trends fit the claim that Bt cotton has boosted yields. Even in Gujarat, where yield gains were most dramatic, the adoption of Bt was only one of several key changes in cotton production.

Over the last 4 seasons, with Bt adoption topping 90%, yields have dropped 13.2%.  In AP, where I have watched the Bt saga closely, yields are lower than they were before Bt became popular.  Now that’s ugly.


728x90
728x90

1996년 유전자조작 작물이 처음 소개된 이후 미국의 농부들은 이걸 빠르게 널리 받아들이고 있다. 소비자의 반응이나 경제적, 환경적 요인은 일단 차치하고 말이다. 제초제에 내성이 있는 콩과 목화가 가장 많이 퍼졌다 . 우리나라에서는 노린재 피해가 늘고 있는데, 미국은 아직 해충 때문에 고민하는 단계는 아닌가 보다. 그냥 풀을 죽이는 약만 팍팍 치는 듯하네.

다음은 해충에 내성이 있는 목화와 옥수수. 목화는 이래저래 손이 많이 가는 작물이다. 오죽했으면 그것 때문에 내전도 일어났겠는가? 거름도 많이 먹고, 손도 많이 가고... 그래서 돈벌이작물로는 딱이다. 

아무튼 미국산 못 쓰겄네!

 

 

자료는 USDA's National Agricultural Statistics Service (NASS)에서 조사한 걸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