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bt8

농학, 환경 및 독성학적 특성에 대한 유전자변형 옥수수의 영향 <농학, 환경 및 독성학적 특성에 대한 유전자변형 옥수수의 영향: 21년 동안의 현장 데이터에 대한 메타 분석>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98-018-21284-2 요약 : 유전자변형(GE) 옥수수의 대규모 재배와 그것의 농업-환경에 대한 영향을 다룬 많은 과학적 보고서에도 불구하고, 유전자변형 .. 2019. 1. 9.
아프리카로 건너간 멸강충 2016년 1월, 아메리카 대륙에 살던 조밤나방이 아프리카 대륙으로 건너간 것이 최초로 발견되었다. https://theconversation.com/why-its-hard-to-control-the-fall-armyworm-in-southern-africa-72890 이놈의 애벌레는 멸강충(나라를 망하게 하는 벌레)이라 불릴 정도로 작물에 해를 끼치는데, 특히 옥수수 같은 작물.. 2017. 2. 17.
농촌진흥청에서 유전자변형 벼를 개발했다 몬산토는 멀리 있는 것이 아니다. 바로 우리의 곁에도 존재한다. 농촌진흥청에서 물바구미를 스스로 쫓는 벼를 개발했다고 떠들썩하다. 'BT 옥수수'와 같은 'BT 벼'라고 한다. 이를 가지고 단지 농약을 치지 않는다는 이유로 "친환경적으로" 물바구미를 방제한다고 선전한다. 그런데 과연 .. 2013. 10. 10.
영역 다툼: 슈퍼 잡초가 득세하고 있다 유전자변형 작물, 일명 GMO가 도입되어 상업적으로 재배된 지 어느덧 17년 정도가 되었다. 처음 이 작물이 도입될 때 지지자들은 농약 사용량이 줄고, 그에 따라 환경이 좋아지며 농민들도 소득이 증가할 것이라고 찬양 일색이었다. 그런데 자연은 그렇게 만만치 않았다. 유전자변형 작물.. 2013. 7. 16.
GM 작물의 수확량이 정말 더 많은가? 생명공학 산업에 따르면, 유전자조작 작물 덕에 농민들이 "더 적은 투입재로 더 많은 수확량을 올리기에" 인류에게 혜택을 준다며 생명공학 산업단체(Biotechnology Industry Organization)의 홈페이지에 소개한다. 그러한 수사법에 고무된 유전자조작 종자의 거인 몬산토와 그 동료들은 두 가지 주.. 2013. 2. 14.
유전자조작 BT옥수수와 슈퍼곤충 미국의 대표적인 옥수수 곡창지대인 아이오와와 일리노이주에서 유전자조작 BT옥수수에 내성을 지닌 넓적다리잎벌레들이 발견되고 있단다. 역시 자연은 멋지다! 그런데 이제 또 새로운 유전자조작 옥수수를 만들어 출시하겠지. 쩝. 이건 유충이고... 이건 성충... 출처 http://goo.gl/WNCSf Wayne.. 2012. 12.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