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혼작6

맥류와 콩의 사이짓기 일제강점기에 조사해 놓은 자료를 보면 조선인 농부들이 밀이나 보리밭에 콩을 사이짓기로 재배하는 모습을 흔하게 볼 수 있다. 그런데 그런 농법이 실제로도 효과가 좋다는 것이 입증되어 무척 흥미로울 뿐이다.전통농업이 아주 비과학적이고 무시할 만한 그런 것이 아니라는 방증이랄.. 2017. 2. 21.
흙, 흙, 흙. 흙을 공부합시다 흙에 대한 좋은 동영상 자료를 발견. 자막이 나오도록 할 수 있으니 영어를 읽을 수 있으면 더듬더듬 보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2016. 3. 24.
전통 농법의 중요성 다음은 돌려짓기, 사이짓기, 섞어짓기 같은 전통농업에서 활용하던 농법이 왜 중요한지 설명하는 동영상이다. 다양한 작물을 돌려가며 어우러지게 재배함으로써 결국 토양의 건강을 증진시키고, 그것이 농사가 잘 되도록 이어진다는 것이 핵심이다. 돈에 미쳐서 한 가지 작물만 비료의 .. 2015. 1. 25.
작물들 사이의 궁합을 이용한 농법 자연에서는 봄부터 가을까지 여러 가지 풀과 나무가 서로 어울려 자란다. 벼과, 콩과, 십자화과, 국화과, 백합과, 미나리과와 같은 순서로 일 년에도 여러 가지로 변화한다. 시시때때로 병에 걸리기도 하고 충해를 입기도 하지만, 대대로 이어지며 저절로 자란다. 이렇듯 자연은 스스로 어.. 2013. 6. 17.
식물은 다른 식물의 소리를 듣는다? 이 글과 함께 읽으면 좋은 기사... 식물에게도 유무선 통신망이 있어 서로 의사소통을 한다는 내용 http://blog.daum.net/stonehinge/8728719 고추 싹. 새로운 연구에서는 특정한 다른 식물 옆에서 자라는 식물이 홀로 자라는 식물보다 더 건강하다는 것을 밝혔다. 식물이 의사소통하기 위해 음향신호.. 2013. 5. 20.
섞어짓기 작물 1. 섞어짓기나 사이짓기를 하면 해충 발생을 줄여주는 식물 * 감자 ; 강낭콩, 양배추, 옥수수, 금잔화 * 강낭콩 ; 당근, 샐러리, 오이, 꽃양배추, 감자, 옥수수, 딸기 * 당근 ; 파, 상추, 양파, 완두콩, 로즈메리, 부추, 토마토 * 딸기 ; 강낭콩, 상추, 시금치, 백리향 * 무 ; 오이, 상추, 한련화, 완두콩 * 상추 ; 당근, 무, 딸기, 양파 * 시금치 ; 딸기 * 양배추 ; 샐러리, 토마토, 양파 * 양파 ; 상추, 딸기, 토마토 * 오이 ; 강낭콩, 완두콩, 무, 해바라기 * 완두콩 ; 당근, 강낭콩, 오이, 순무 * 토마토 ; 당근, 파 2. 해충을 물리치는 혼작, 간작 작물 식물은 자기 몸을 지키기 위해 식물체나 뿌리로부터 분비물을 내어, 나쁨 균이 붙지 못 하게 하는 힘을 가.. 2008. 9.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