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22

한국 농업의 현주소 정말 중요한 통계 자료가 발표되었구나. 한국은 곡물 자급률도 낮은데 농약과 비료의 사용량은 세계 최고 수준인 이유는 무엇일까? 혹시 농약과 비료를 오남용하고 있는 건 아닌지 서둘러 점검해 보아야 하지 않을까. 일각에서 글리포세이트를 사용하는 유전자변형 농산물의 수입량 증가.. 2019. 6. 18.
일본의 다양한 절구 일본에서 활용했다는 다양한 절구를 보자. 한국과 유사한 것도 있고, 다른 것도 있다. 2018. 6. 21.
인삼의 원산지는 어디인가 인삼의 유전체 정보 전체를 해독한 결과, 인삼의 원산지는 한국을 포함한 동아시아 지역이라는 게 밝혀졌다고 한다. 당연한 사실이겠거니 해서 큰 감흥은 없는데, 원산지의 범위가 엄청 넓어서 당혹스럽긴 하다. http://news.mt.co.kr/mtview.php?no=2018052510082683903 2018. 5. 26.
지난 42년 동안 한국의 논에는 어떤 풀들이 자랐나 농촌진흥청에서 상당히 재밌고 흥미로운 조사결과를 발표했습니다. 농촌진흥청에서는 1971년부터 2013년까지 10년을 주기로 계속해서 전국의 논에서 발생하는 잡초들을 조사해 왔다고 합니다. '풀과의 전쟁'이라는 속설처럼 적을 알아야 전쟁에서 이긴다는 맥락에서, 어떤 풀이 자라는지 .. 2017. 4. 11.
한국 농업이 배울 모델은 과연 네덜란드인가? 이런 측면이 바로 네덜란드 농업을 배워야 한다고 부르짖는 사람들의 근거였구나. "네덜란드는 국토도 작고 농업에 종사하는 사람도 적지만, 농업과 관련된 부가가치는 미국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에 해당하는 나라입니다. 한국도 네덜란드의 농업을 배워야 합니다!" 그런데 네덜란드 .. 2017. 4. 2.
한국인은 대식가 한국과 일본의 1인당 연간 먹을거리 소비량을 비교한 자료를 보았다. 쌀; 67.4kg : 56.7kg 밀; 48kg : 41.4kg 설탕; 28.1kg : 16.7kg 소고기; 10kg : 6.9kg 돼지고기; 23.8kg : 14.8kg 가금류; 14.9kg : 13.3kg 유제품; 27kg : 32kg 해산물; 58.1kg : 53.7kg (출처: 과학동아 11월호) 이거 완전히 한국인이 대식가라고 할 수밖에 .. 2015. 11.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