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한국에서 유전자변형 작물의 재배와 유통 등을 지지하는 대표적인 인물로 이철호 씨를 꼽을 수 있다.

그가 이번에 매일경제에 이런 글을 기고했다. http://m.mk.co.kr/news/headline/2016/485451


요지는 이렇다.

1. 미국의 과학자들이 유전자변형 작물을 먹어도 아무 문제가 없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2. 그러나 한국에는 유전자변형 작물에 대한 비과학적 괴담이 난무하여 이를 불안하게 여기는 사람들이 많다.

3. 그런데 요즘 GMO 표시제가 다시 수면 위로 떠오르고 있다.

4. 수입산 가공식품이 아닌 국산품만 GMO 표시가 의무화되어 기업의 피해가 커질 수 있는 우려가 있다.

5. 현재 여러 가공식품에 GMO 원료가 들어가고 있다.

6. 이 때문에 현재 상황에서 광우병 대란 같은 큰 사회적 동요가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

7. 따라서 GMO 표시제 이전에 불안감부터 해소하기 위한 대국민 교육이 시급하다.


그의 지적처럼 GMO 표시제를 둘러싸고 먹을거리에 대한 사람들의 알 권리라고 주장하는 측과 현재처럼 불안감이 팽배한 상태에서 그 제도로 인해 GMO 시장이 위축될까 우려하는 측으로 나눌 수 있다. 전자는 주로 시민단체 등에서, 후자는 개발과 판매 관련자 등에서 자주 나타난다.


우려하는 사람들의 주장처럼 GMO 표시제는 유전자변형 작물에 대한 주홍글씨가 될 것인가? 아니면 자신의 먹을거리에 대해 잘 알고 선택할 수 있는 권리의 행사가 될 것인가? 


이 논란은 아직 오리무중인 상태이다.


하지만 이철호 씨의 주장처럼 먼저 GMO의 안전성과 유용성에 대해 교육부터 하여 거부감과 불안감을 해소한 상태에서 표시제를 확대 적용하자는 주장은 무리가 있는 것 같다. 그것은 철저히 기업 등에 이로운 논리 아닌가? 그동안 모르고 먹어야 하는 소비자들은 어쩌란 말인가?

표시제를 당장 실시해야 한다는 측에서 가습기 살균제에 유전자변형 농산물을 빗대는 경우가 있는데, 그것도 좀 무리가 있는 주장인 것 같다. 가습기 살균제처럼 생명을 앗아갈 정도의 위해성이 입증되지는 않았고, 아직 20년밖에 지나지 않았지만 별 문제가 없다는 과학적 연구결과도 나오고 있으니 말이다. 사람들의 불안심리와 공포감을 증폭시키는 논리로 대응할 것이 아니라, 왜 GMO 표시제가 소비자에게 더 나은지 설득할 수 있는 논리를 개발해야 할 것이다.


나는 당장 GMO 표시제를 확대 실시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선택은 전적으로 소비자의 몫이다.

그걸 먹어도 괜찮다, 값이 싸서 좋다, 아무 문제 없더라 판단하는 것 역시 사람들의 몫이다.

그걸 교육부터 해서 불안감을 없앤 뒤에 실시하자는 건 유전자변형 작물과 관련하여 '돈'이 걸려 있는 사람들의 주장일 뿐이다. 표시제를 하더라도 사람들이 선택할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하는 것이 그들의 몫이다.



참고로 요즘 미국에서 점점 뜨거워지는 주제가 바로 GMO 표시제라는 사실을 알고 넘어가자.

https://theconversation.com/why-the-gm-food-labeling-debate-is-not-over-61560


728x90
728x90

오늘자 한겨레신문에 실린 GMO 표시제 완전실현 광고.


늘 그렇듯이 한겨레신문에 실었는데, 이걸 조선일보 같은 데에 실으면 어떨까?

조선일보를 보는 사람들이야말로 이런 광고를 보고 뜨악 할 필요가 있을 것 같은데...


아마 비용이 문제가 되어 그랬을지도 모르겠다. 좀 비싸야지.


이 글을 쓰는데 성금을 부탁한다는 문자가 오고... 귀신 같네.






728x90
728x90

Connecticut on Monday became the first state to pass a bill that would require food manufacturers to label products that contain genetically modified ingredients — but only after other conditions are met.

Gov. Dannel P. Malloy has said he would sign the bill into law, after reaching an agreement with the legislature to include a provision that the law would not take effect unless four other states, at least one of which shares a border with Connecticut, passed similar regulations.

The Connecticut bill also hinges on those states including Northeastern states with a total population of at least 20 million.

“This bill strikes an important balance by ensuring the consumers’ right to know what is in their food while shielding our small businesses from liability that could leave them at a competitive disadvantage,” Mr. Malloy said in a statement issued over the weekend after negotiations on the necessary provisions.

The legislature passed the bill on Monday, 134 to 3.

More than 20 other states are considering labeling laws, including New York, Maine and Vermont. Early polling suggests widespread support for a ballot initiative that would require labeling in Washington, as concern spread about the impact of genetically engineered salmon and apples on two of the state’s marquee businesses.

In 2005, Alaska passed a law requiring the labeling of all genetically engineered fish and shellfish, but Connecticut would become the first state to adopt labeling broadly.

Cathleen Enright, executive vice president for food and agriculture at the Biotechnology Industry Organization, said the industry supported voluntary labeling for genetically engineered ingredients. Dr. Enright noted that the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typically required labeling of foods only when issues like food safety, consumer health or nutrition were at stake.

She also said labeling by an individual state might put that state’s industry and businesses at a disadvantage compared with other states.

Andrew Kimbrell, executive director of the Center for Food Safety, called Connecticut’s move an “important first step,” and “a reminder of where the tide is going on this issue.”

Mark Kastel, co-director of the Cornucopia Institute, a liberal farm policy research group, said that while the triggers were unusual, they could work to the labeling movement’s advantage. “The hurdles in the Connecticut bill, if surmounted, would mean a critical mass in the marketplace that would emulate the impacts that would have materialized if California had passed its ballot initiative,” Mr. Kastel said.

Big food and seed companies like Monsanto and Dow spent tens of millions of dollars last fall to help defeat a ballot measure in California that would have required labeling.

But whether other states will go as far as Connecticut is unclear. In New Mexico, the state Senate voted not to adopt the report of its committee recommending labeling, effectively killing the labeling effort there. Efforts in Vermont, Hawaii and Maine have stalled.

And on Monday, the New York labeling bill was defeated in committee after members, including several who were co-sponsors of the legislation, were lobbied intensely by a representative from the Council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a trade group whose members are BASF, Bayer CropScience, Dow AgroScience, DuPont Monsanto and Syngenta — all major makers of genetically modified seeds and pesticides that work with them.

Assemblywoman Linda B. Rosenthal, Democrat of Manhattan, said there were more than 40 co-sponsors when it went into the committee. “We had the votes lined up to pass this, and then the lobbyist for Monsanto and the other big seed companies showed up and was speaking to members and calling them and visiting their offices,” she said.

Ms. Rosenthal said she intended to continue to press for a labeling bill in New York.


728x90
728x90



요약

  • 유전자변형 유기체는 자연적으로 일어나지 않는 방법으로 그 유전적 물질을 바꾼 유기체이다.
  • 전문가에 의한 평가 연구는 GM 먹을거리의 소비가 간과 췌장의 장애, 불임, 면역기능 장애를 포함하여 여러 건강문제와 연관된다고 한다.
  • GM 작물은 수확량 증가나 농약 사용량 감소에 효과가 없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 GM 기술을 개발하고 상업화하는 다국적 생명공학기업은 재정이 풍부하고, 정부 안에서도 큰 목소리를 낼 수 있으며, 결국 세계의 GM 기술에 대한 양해를 가장 얻기 쉬운 위치에 있다.
  • 부적절한 표시제가 소비자가 그들이 소비하는 GM 먹을거리를 알기 어렵게 만든다. 유기농 먹을거리의 사용은 GMO의 사용을 금한다.








유전적으로 변형된 유기체와 GM 먹을거리는 무엇인가?

  • 유전자조작 유기체(GMO)는 자연적으로 일어나지 않는 방법으로 그 유전적 물질(DNA)을 바꾼 것이다.
  • GM 먹을거리 작물을 재배하기 위해 사용된 GM 식물은 해충저항성이나 제초제저항성과 같은 특정 성질이 강조되도록 조작된 것이다. 
  • 유전자조작은 개별 유전자를 선택하여 유기체 사이, 또는 관계없는 종 사이에 그것을 옮기는 것을 포함한다.

GM 먹을거리는 안전한가?

WHO의 공식입장은 다음과 같다:

여러 GM 유기체는 다양한 방법으로 끼워넣은 여러 유전자를 포함한다. 이는 개별 GM 먹을거리와 그것의 안전성이 사모든 GM 먹을거리에 대해 일반적으로 평가할 수 없고 사례별로 평가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1]

미국 환경보호국(EPA)의 독성학자 Suzanne Wuerthele 박사에 따르면:

우린 세계에 알려진 가장 강력한 기술과 직면하고 있으며, 그 결과가 어떤지 생각할 겨를도 없이 급속도로 개발되고 있다. 

2009년 5월, 미국 환경의학학회는 GM 먹을거리의 금지를 요청하며 이야기했다:

가능하면 GM 먹을거리를 피하라… GM 먹을거리와 건강문제 사이에 인과관계가 있다… GM 먹을거리와 질병 사이의 강한 연관성은 몇 가지 동물실험에서 입증되었다. [2]

건강에 어떻게 위험한가?

GM 먹을거리와 관련된 건강문제:

장기 손상

  • 90일 동안 쥐에게 GM 먹을거리를 먹인 캉 대학의 연구자들은 미국과 유럽 및 기타 식품안전청 등에서 인정된 3가지 GMO 옥수수 품종 –MON 810, MON 863, and NK 603– 이 해독을 하는 장기인 신장과 간뿐만이 아니라, 심장과 부신, 비장, 혈액생성체계 등에 악영향을 주는 등 포유류의 장기 손상과 연관이 있음을 밝혔다. [3]

불임

  • 라운드업 레디 콩을 쥐에게 먹인 베로나 대학의 연구자는 GM 대두가 고환 이상, 저조한 출산률, 기형적 유전자 발현과 연관되어 있음을 밝혔다. [4]

면역기능장애

  • 어린 쥐와 늙은 쥐에게서 면역반응을 연구한 연구자들은 GM 옥수수(MON 810)를 먹인 쥐가 면역기능장애로 고통받는 것을 밝혔다. GM 옥수수를 먹인 쥐는 또한 아이들에게서 천식과 음식알러지와 연관되어 있다고 알려진 비정상적으로 높은 수준의 세포 유형이 나타났다. [5]

환경에 대한 위험은 무엇인가?

GM 기술의 광범위한 확산과 관련한 잠재적인 환경문제는 다음을 포함한다:

예상치 못한 유전자 전달

  • 유전자조작 유기체가 도망가고 조작된 유전자가 야생 개체에 도입되는 결과가 갑자기, 급속도로, 예상치 못하게 발생할 수 있다. 
  • 위장에서 GM 먹을거리의 유전자가 세포나 박테리아로 전달되면 인간의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는 특히 GMO를 만드는 데 쓰이는 항생제 저항성 유전자가 전달될 가능성이 높다. [1]
  • 예상치 못한 유전자 전달이 이미 발생했다. 예나 대학 벌 연구소의 Hans-Hinrich Kaatz 교수는 꿀벌에 대한 GM 유채의 영향을 3년 동안 조사했다 –그리고 벌의 내장에서 박테리아와 곰팡이에게 유전자 전달을 확인했다. [6]

농약 사용량 증가

  • 유전자조작 농업이 이루어진 1996~2008년 사이 –미국에서 모든 옥수수와 대두 생산의 약 90%– 전통농업과 비교하여 3억8300만 파운드의 제초제 사용이 늘었다.
  • 미국 농무부에 따르면, 2007~2008년 단 2년 사이에 총 46%가 증가했다. 환경과학자 Charles Benbrook 씨에 따르면, “GM 작물과 함께 농약 사용의 급격한 증가는 주로 글리포세이트(라운드업 제초제) 내성 풀의 급속한 증가 때문이다.” [7]

GM 작물이 세계를 먹여살릴 수 있는가?

  • 세계의 인구는 2050년 전에 100억에 도달한다(현재 70억). 정책입안자들은 현재 빠르게 증가하는 세계 인구의 식량수요를 충족시킬 최선의 방법을 결정하려고 한다. 
  • GM 기술의 지지자들은 유전자조작이 미래 세계의 식량부족을 해결할 열쇠라고 주장한다. 
  • 많은 존경받는 과학자와 경제학자 들은 세계 식량부족을 해결하는 것이 GM 기술이라기보다는 세계의 빈곤국에서 빈곤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 본다. [8]
  • 전문가에 의해 평가된 연구들에서는 GM 작물의 낮은 수확량으로 실패하고 농생태학이란 대안을 제시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낮은 수확량

  • GM 작물은 더 많은 수확량이란 약속을 이행하는 데 실패했다. GM 콩 수확량에 대한 연구는 GM 작물이 기존 종자보다 수확량이 더 낮게 나타난다고 밝혔다. [9]
  • 미국의 주요 GM 작물 -대두와 옥수수- 에 대해 전문가가 20년 동안 검토한 연구보고서는 유전자조작은 작물의 수확량을 증가시키는 데 실패한 것으로 나타났다. [10]
  • 그 보고서의 저자, 전 미국 EPA와 FDA 생명공학 전문가 Gurian-Sherman 박사는 "전통적 육종이 유전자조작을 능가하는" 수확량을 낸다고 결론을 내렸다.

흉작

  • GM 작물은 유전적 획일성을 보여주고 대규모 단작 농법을 조장한다. 특정 작물에 취약한 유전적 요소가 있다면, 모든 식물에서 똑같을 수가 있다. 
  • 수확량과 토양 보존을 파괴할 수 있는 태양, 바람 또는 비에 GM 작물은 농민이 흉작에 처할 위험에 노출시킨다.
  • 미국에서, 라운드업 레디 대두는 전통적 품종의 대두에 비해 열에 약하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이러한 종류의 획일성 –아직 예상치 못한– 은 흉작의 위험을 증대시킨다. [11]

비싼 종자 가격

  • 대형 생명공학기업은 광범위한 특허권 보호를 누리고, 자신의 지배를 보호하고 확장하는 적극적인 법적 전술을 사용한다. 
  • GM 종자 가격은 이전의 종자 품종에 걸쳐 2010년 42%가 올랐다. [12]

미국에서 어떤 기관이 GM 먹을거리를 규제하는가?

미국에서 GM 먹을거리를 규제할 책임이 있는 연방기관이 셋이다:

  • 미국 농무부는 시험재배와 유전자조작 특성이 비유전자조작 식물에 대한 확산과 같은 환경적 우려를 책임진다.
  • 미국 환경보호국(EPA)은 미국 연방 살충제, 살균제, 쥐약법(FIFRA)에 따라 GM 작물에서 발견되는 살충제와 제초제의 유통, 판매, 사용, 시험을 규제할 책임이 있다.
  • 미국 식품의약청(FDA)은 GM 먹을거리를 포함하는 식품이 연방 식품의약화장품법의 요구에 따라 안전한지 보장할 책임이 있다. 

누가 이득을 얻는가?

  • 독점적인 GM 작물 기술을 농민들이 사용하게 만들어 몬산토, 듀폰, 바스프, 파이오니어 같은 세계적 생명공학기업에 의존하게 한다. 
  • 이러한 생명공학기업은 매우 재정이 풍족하고 정부 안에서 강한 목소리를 낸다. 
  • FDA, 환경보호국과, 대법원과 같은 미국 정부기관 안에서 지도적 위치에 있었던 전 몬산토 직원에는 Clarence Thomas 씨, Michael R. Taylor 씨, Ann Veneman 씨, Linda Fisher 씨, Michael Friedman 씨, William D. Ruckelshaus 씨, Mickey Kantor 씨가 있다.
  • 특정 GM 기술을 획득한 어떠한 기업도 세계 식량체계에 전례없는 영향력을 발휘한다. 

GM 먹을거리를 어떻게 피할 수 있는가?

  • 가능하면 유기농산물을 선택하여 먹는다. 유기농 인증기준은 GM 기술의 사용을 금한다.
  • 특히 다음과 같은 것들을 주의해서 피하라:
    • 옥수수 – 옥수수 가루, 기름, 녹말, 글루텐, 과당과 같은 시럽 감미료, 덱스트로오스, 글루코오스;
    • 대두 – 대두 가루, 레시틴, 단백질, 콩기름, 식물성 단백질;
    • 카놀라 – 카놀라유, 유채유, 혼합 식물성 기름;
    • 목화 – 면실유.

참조

[1]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2). 20 questions on genetically modified foods.
[2] Genetically Modified Foods, American Academy of Environmental Medicine Position Paper, May 2009.
[3] de Vendomois J.S., et. al., A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Three GM Corn Varieties on Mammalian Health, International Journal of Biological Sciences, Vol. 5, December 2009.
[4] L.Vecchio et al, “Ultrastructural Analyses of Testes from Mice Fed Genetically Modified Soybean,” European Journal of Histochemistry 48, no.4 (Oct – Dec 2004) 449-454.
[5] Finamore A., et. al., “Intestinal and peripheral immune response to MON810 maize ingestion in weaning and old mice,” Journal of Food and Agricultural Chemistry, November 16, 2008.
[6] Barnett, A. “GM genes jump species barrier” The Observer May 28, 2000. German zoologist Professor Hans-Hinrich Kaatz found that the alien gene used to modify oilseed rape had transferred to bacteria living inside the guts of honey bees.
[7] Benbrook, C., Impacts of Genetically Engineered Crops on Pesticide Use in the United States: The First Thirteen Years, The Organic Center, November 2009.
[8] Beintema, N. et al., (2008). International Assessment of Agricultural Knowledge, Science and Technology for Development: Global Summary for Decision Makers (IAASTD).
[9] Elmore, R.W. et al., “Glyphosate-resistant soyabean cultivar yields compared with sister lines.” Agronomy Journal, Vol. 93, No. 2, 2001, pp. 408–412
[10] Failure to Yield: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Genetically Engineered Crops. Doug Gurian-Sherman, Union of Concerned Scientists, 2009.
[11] Anderson, L (2000) Genetic Engineering and Farming. In L Anderson Genetic Engineering, Food, and our Environment. Scribe Publications, Melbourne, pp 55-82.
[12] Benbrook, C., The Magnitude and Impacts of the Biotech and Organic Seed Price Premiums, Critical Issue Report, The Organic Center, December 2009.


728x90
728x90


In my Tuesday post about California's Prop. 37 ballot initiative that would require the labeling of genetically modified food, I wrote about a "gusher" of agribusiness cash entering the state to defeat the proposition, which will be voted on in the November election. In the first comment below the post, frequent commenter Rachael Ludwick writes that "groups in favor of this proposition have so far outspent Big Ag."

And she's right—but the gap is closing quickly. Here's what I mean.


The California Secretary of State's office compiles and discloses donations to the "yes" and "no" campaigns for each of the state's ballot propositions. In 2012 through June 30, the "No" side of the fight, led by agribusiness firms and food processors opposed to labeling, had raised about $1,002,000; while the "Yes"side, led by the alternative-health web site Mercola.com and an organic-consumer group's 501c(4), raised $2,050,408.67.

So it's really a gusher of organic cash that's swamping the California labeling fight, right? Well, it's a little more complicated than that. The first thing to look at is the "total expenditures" and "ending cash" lines of the above-linked reports for each side. By June 30, the pro-labeling campaign had burned through $1,860,644.22 of its hoard, leaving it with $295,149.52 in cash going forward. The anti-labeling side had spent just $674,713.81, leaving it with a cash wad worth $327,286.19 heading into July.

So even though the "yes" forces raised twice as much cash as the "no" brigades by June 30, the latter entered July with the bigger bank account.

The pro-labeling side has raised $290,000 since the start of July, while the anti side has raised about $971,000.

I asked Stacy Malkan, a spokeswoman for the California Right to Know group, which is spearheading the pro-labeling campaign, why her side had spent so much more than the anti-labeling opposition so far. She told me that the great bulk of fundraising and spending so far had gone into the drive to get the initiative on the ballot in the first place—the effort to gain 504,760 signatures on a petition required by California's ballot-initiative rules. (The pro-label petition drive got nearly 1 million signatures.)

The "yes" side, in other words, has been operating at full throttle all year, actively fundraising and burning cash in a scramble for a place on the ballot, while the "no" side is "just getting started" with both fundraising and spending.  Malkan told me.

And preliminary numbers from July suggest that Big Ag and Big Food are in fact on the verge of swamping the ballot fight with their cash. The California Secretary of State's office adds up spending numbers quarterly, so the most recent summaries we have on spending are the ones linked to above. But the office regularly updates donations between quarterly reports, and by going to this Secretary of State's office web page for the "yes" side and this page for the "no" side, we can see the individual donations that have come in since June 30.

Checking those pages as of Aug. 8, I find that the "yes" has raised $290,000 since the start of July, while the "no" side has raised about $971,000. In other words, as the November election draws close, Big Ag is flexing its muscles.

It's worth drilling down a bit into what entities are giving to each side. Of the nearly $1 million that poured into the "no" effort after June 30, about $750,000 came from the genetically modified seed/pesticide industry, composed of donations from giants BASF ($126,600.), Syngenta ($63,300), and DuPont ($310,100), plus another from the industry trade group Biotechnology Industry Organization ($250,000). The rest came from large-scale processors like Pepsico ($35,494.94), Coca-Cola ($24,081.05), and Nestle ($24,184.46).

These are all massive entities with plenty of capacity to give more as the election draws near.

But even the largest of the "yes" companies, United Natural Foods, is small compared to the agrichemical interests funding the "no" side.

On the "yes" side, by far the biggest giver since the start of July has been the Organic Consumers Fund ($150,000), which is the 501C(4) arm of the Organic Consumers Association. The OCA has long been the scrappy gadfly of the organic-food movement, holding out for a non-corporate view of what organic means. Under federal law, 501C(4) entities don't have to disclose their donors, and OCA director Ronnie Cummins has not returned my email asking for information on donors. Stacy Malkan of California Right to Know told me that the Organic Consumers Fund mainly raises its money from small donors.

Organic food companies like Eden Foods ($10,000), Nutiva ($50,000) made grants to the "yes" side, as did Michael Funk, CEO of United Natural Foods, who gave $50,000. But even the largest of these companies, United Natural Foods, is small compared to the agrichemical interests funding the "no" side. United Natural Foods has annual revenues of about $5 billion, dwarfed by DuPont (annual revenues of $40 billion), Syngenta ($13 billion), and BASF ($90 billion). Eden Foods, with its $44 million in annual revenue, and Nutiva, with its $20 million, don't play in that league.

Then there's trade associations. 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Biotechnology Industry Organization, the "no" side has benefited from the largesse of the Grocery Manufacturers Association, which has so far given a total of $375,000 and has declared that defeating Prop. 37 is its "highest priority" in 2012. GMA—whose members range from Big Food companies like Kellogg, Nestle, and Pepsi to Big Agribiz companies like Monsanto and Syngenta—brought in  $33 million in 2010, according to its last publicly available tax form 990. It's got the corporate resources to pump significant money into beating back the labeling challenge.

In short, while the forces in favor of Prop. 37 have indeed so far raised and spent more cash than the opponents, the situation looks likely to dramatically reverse as the election draws nearer. As Katherine Spiers of Los Angeles' KCET Radio put it recently, "Expect to see plenty of 'Yes on 37' stickers and signs at your local farmers' market between now and November—and even more 'No on 37' commercials on TV."


728x90

'곳간 > 해외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개용 둠벙  (0) 2012.08.13
건조농법  (0) 2012.08.13
미국에서 누가 소를 소유하는가?  (0) 2012.08.11
2,4-D는 무엇이고 왜 주의해야 하는가  (0) 2012.08.10
멕시코 지역사회가 저수지와 싸운다  (0) 2012.08.1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