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토종벼9

인도의 전통농업: 토종 벼 이야기 Kerala주 Wayanad 지구의 토착민은 여러 세대 동안 화학비료와 해로운 농약을 사용하지 않는 농사법으로 토종 볍씨를 보존하는 전통적 방법을 실천해 왔다. 글과 사진; K.K. Mustafa 여러 세대 동안 케랄라주 Wayanad 지구의 토착민들은 약 35가지의 토종 볍씨를 보존하기 위한 “무다케탈(Moodakettal).. 2013. 2. 5.
토종 볍씨로 미래로 가기 위해 과거로 돌아가자 Charitha Wijeratne (right) at his organic rice farm in Anuradhapura THRIPPANE, Jun 16 2012 (IPS) - By coaxing a bumper 3.2 tonnes of rice out of each acre on his organic farm in this district famed for its ancient Buddhist monasteries, Charitha Wijeratne has convincingly proved that using indigenous seeds does not affect productivity. “After three years of struggle, this har.. 2012. 6. 24.
토종 벼의 특징 농업과학도서관에서 자료를 뒤지다 조선총독부 농사시험장 25주년 기념집을 보았습니다. 재밌는 내용이 참 많은데 찬찬히 볼 시간은 없어 일단 토종 벼의 특징만 추려보았습니다. 나머지 내용은 언제 시간이 나면 보고 올리겠습니다. -------------------------------------------------------------------- 전국에서 벼 .. 2011. 3. 24.
스리랑카의 전통농업 에드워드 골드스미스의 취재기 초기 농업은 비생산적이라 치부되기 일쑤다. 하지만 사실 그것은 미래에 가장 희망적인 농업이다. 농민인 무디얀세 테네쿤Mudiyanse Tennekoon 씨는 스리랑카의 전통적인 농촌 생활의 선지자이다. 그는 농사지으며 쿠레네갈라Kurenegala의 작은 마을에 산다. 최근 그는 FAO나 특.. 2010. 12. 23.
농진청의 다양한 벼 품종 - 신품종 위주 지난 9월 4일 농촌진흥청 벼 연구소를 방문하여 실험 논을 보았습니다. 8만 5천 평의 면적에 10만 종의 벼가 있다고 하더군요. 아래의 사진을 보시면 대략 그 규모가 짐작이 되실려나요? 원래는 11만 평에 가까운 넓이였다는데 도시가 개발되면서 길로 잘리고 뭐하고 하다가 이렇게 줄었다고 합니다. 과.. 2010. 9. 12.
[스크랩] 조선 토종벼와 권업모범장의 일본벼 보급 일제의 권업모범장은 조선에 일본 품종의 벼를 보급하고자 했다. 그래서 1906년 4월 경기도 수원군 서둔전에서 농사짓는 사람 28명에게 일본 벼인 조신력, 近江, 信州, 都를 배부해 기른 결과, 조신력이 토종에 비해 24%, 근강은 9.4%, 신주는 7.5%, 도는 자연도태되었다. 그 결과 일본 품종에서는 조신력, 토.. 2008. 8.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