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Kerala주 Wayanad 지구의 토착민은 여러 세대 동안 화학비료와 해로운 농약을 사용하지 않는 농사법으로 토종 볍씨를 보존하는 전통적 방법을 실천해 왔다. 글과 사진; K.K. Mustafa



여러 세대 동안 케랄라주 Wayanad 지구의 토착민들은 약 35가지의 토종 볍씨를 보존하기 위한  “무다케탈(Moodakettal)”이란 전통적 방법을 사용해 왔다. 이는 Gandhakasala와 Kayama, Jeerakasala와 같은 향기가 나는 볍씨, Thonnuramthondy와 Palthondy 같은 올볍씨, Navara와 Chennellu 같은 약용 볍씨, Chenthadi와 Chenthondi 같은 내건성 볍씨를 포함한다. 최대 2달까지 이어지는 이러한 과정이 위기가 닥칠 경우 도움이 된다. 만약 늦볍씨가 기후변동으로 흉년이든다면, 올볍씨가 기근을 피하는 데 쓰인다. 


농부가 Moodakettal 전에 벼를 돌본다.




 “Moodakettal”의 과정은 수확하고 7~15일 뒤에 이루어진다.  각각의 Mood를 준비하기 위하여,  다양한 품종의 볍씨를 따로따로 개방된 공간에서 약 15일 정도 낮밤으로 말린다. 그 뒤에 각 품종의 볍씨를 대나무와 함께 건초나 파초의 잎으로 포장한다. 각각의 mooda는 10~60kg의 볍씨를 담을 수 있다. mooda에 보관된 볍씨는 해충이나 습기에 상할 위험 없이 오랫동안 보관할 수 있다. 보존 이외에 토착민들(Kurichya와 Kuruma를 포함)은 벼농사에 관심을 보이는 다른 농민들에게 볍씨를 나누어주어 보급하기도 했다. 

햇빛에 볍씨를 말리는  일은 중요한 단계이다. 




볍씨는 키질로 깨끗이 고른다. 




moodakettal의 시작을 알리는 의식.




 “Moodakettal”이란 과정은 수확하고 7~15일 뒤에 이루어진다. .

Moodakettal이 거의 끝났다.



moodakettal이 끝나고 볍씨 묶음을 저장고로 나른다. 




볍씨를 보존하는 묶음은 대나무로 틀을 짠다. 




지금까지 토착민들에게 논농사의 각 단계는 신성한 활동일 뿐만 아니라 하나의 의식이기도 하다. 그래서 논에 볍씨를 뿌리고 모내기를 하고 수확하는 것과 같은 행사를 종교적 열정으로 축하한다. 볍씨의 파종부터 수확까지, 그들은 작물의 재배를 대표하는 Nikal(조상신)이나 샤먼의 조언을 고려한다. 

Wayanad 지구 Kammama 근처의 Cheruvayal tharavadu(농장)는 토종 볍씨의 보고로서, 농장 회원들은 희귀한 29가지 품종을 보존하고 있다. “몇 세대 전, 우리의 조상들은 150품종 이상의 벼를 재배했지만, 시간이 지나며 그 대부분을 밑지고 말았다”고 7500평의 농지를 소유하고 정부기관으로부터 어떠한 지원을 받는 Cheruvayal의 Raman 씨는 말한다.

Wayanad 지구 Kammana 근처의 Cheruvayal tharavadu(농장)은 토종 볍씨의 보고이다.


Valad 근처 Edathana의 The Edathana Kurichiya tharavadu도 희귀한 볍씨를 가지고 있다. 해마다 이 농장의 회원들은 1만6800평의 소유 농지에서 공동의 가족들이 다양한 품종의 볍씨를 농사짓는다. “현재  ‘Moodakettal’의 전문가들이 너무 적어서 앞으로 전통농법이 사라져버릴까 걱정이다”라고 농장의 지도자이자 마을의 치료사인 Achappan Vaidyar(87) 씨는 말한다. “새로운 세대는 ‘Moodakettal’에 관심이 없고, 그들은 마대나 비닐에 씨앗을 저장하길 좋아한다.”

해마다 이 농장의 회원들이 1만6800평의 농지에서 다양한 벼를 공동의 가족들이 재배한다.


“파종에서 수확까지 모든 작업은 가족에 의해 이루어졌고, 우린 가게에서 쌀을 사본 적이 없다”고 Achappan Vaidyar 씨는 말한다. “지금 이 지구의 많은 농민들이 최근에 나온 개량종에 고통을 받고 있는 덕에 전통적 벼농사 방법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우리는 그들에게 우리의 종자은행에서 씨앗을 주고 있다.”

돈을 받고 씨앗을 파는 대신, 그들은 물물교환의 체계를 따른다: 각 pothi (약 60리터)의 볍씨를 얻어가면, 그 사람은 수확한 다음 70리터의 볍씨를 반환해야 한다. Wayanad 지구 Vellamunda 근처의 마을 지도자인 Achappan Peruvadi 씨는 “나는 우리의 미래세대를 위하여 남아 있는 볍씨를 보존하고자 수익이 나는 사업은 아니지만 토종 벼의 유전자은행을 설립할 계획이다”라고 말한다.

돈으로 볍씨를 파는 대신, 물물교환 체계를 따른다. 



출처 http://goo.gl/LlZa8

728x90
728x90

Charitha Wijeratne (right) at his organic rice farm in Anuradhapura

THRIPPANE, Jun 16 2012 (IPS) - By coaxing a bumper 3.2 tonnes of rice out of each acre on his organic farm in this district famed for its ancient Buddhist monasteries, Charitha Wijeratne has convincingly proved that using indigenous seeds does not affect productivity.

“After  three years of struggle, this harvest season, we reaped 120 bushels (3.2 tonnes) per acre against the average 80 bushels (2.1 tonnes) per acre yield,” Wijeratne, a sprightly octogenarian and diehard Marxist, tells IPS.

Teaming up with Alex Thanthriarachchi, 62, a reformed militant Marxist, Wijertane is on a mission to promote indigenous varieties of rice and other staples as the best way for Sri Lankan farmers to deal with changing climate.

Thanthriarachchi, currently secretary to senior minister S.B. Navinna, was jailed for his role in the failed 1971 Marxist uprising in Sri Lanka. He spent his two years in prison studying neighbouring India’s hybrid-based ‘green revolution’ that resulted in the extinction of thousands of local varieties.

Thanthriarachchi and Wijeratne scoured the countryside for years looking for traditional rice breeds known to be resistant to droughts and floods  and  requiring minimum farming inputs.

“This is organic farming at its best,” says Wijeratne, pointing to his rice-growing land in the Eppawela and Thrippane villages where he and his associates debunked the myth that indigenous rice produces lower yields than hybrids.

Wijeratne’s 10-hectare farm at Thrippane is lush with organically-grown coconuts, fruits and vegetables and attracts other farmers in Anuradhapura as well as academics and green activists.

Indeed, Anuradhapura district, whose Buddhist monuments have earned it recognition as a UNESCO heritage site, is now also emerging as a centre for indigenous seed revival.

Ajantha Kumari Ratnamala, 34, is among a group of farmers dedicated to training others who wish to use indigenous seeds. She has converted her own 2.1- acre paddy field in Anuradhapura into a showpiece for traditional seed varieties.

“Each acre gives me 80 bushels and although hybrids do give about 100 bushels, there are financial, health and environmental costs that are too often ignored in production reckonings,” she tells IPS.

“Pesticides and insecticides needed for cultivating hybrids are not only costly but also have persistent toxic compounds that seep into the earth and contaminate the water table,” Ratnamala says. “Organic farming uses  cowdungh, a natural fertiliser that also discourages  pests.”

As soil health improves after two to three years of regular organic farming, so do yields. Organic rice also fetches better price at Sri Lankan rupees 60 (45 cents) per kg against 22 – 30 cents per kg for hybrid rice,” Ratnamala said.

Farmers in Anuradhapura, she said, are increasingly seeing the advantages of returning to hardy traditional varieties that are weather-resilient.

Nimal Wijeratne, 52, from Padaviya village, told IPS that of the 450-odd rice farmers in his area a third have switched to indigenous seeds, defying government efforts to encourage the use of hybrids.

In 2006, the government requested the Food and Agricultural Organisation (of the United Nations) for assistance in strengthening national capacity in hybrid rice development as a means to boost food security and alleviate poverty.

Rice, cultivated in Sri Lanka since 1,000 B.C., is the country’s single most important crop, taking up 34 percent of the total cultivated area.

Some 900,000 hectares are under rice, cultivated by about 1.8 million farming families. Sri Lanka currently produces 2.7 million tonnes of rough rice annually, satisfying around 95 percent of the domestic requirement, according to the department of agriculture.

Rice growers are heavily dependent on timely, optimum rainfall for good harvests, but established crop cycles have been disrupted by changes in rainfall patterns, rising temperatures, floods and droughts.

“The biggest problems for rice growers are floods, droughts and unpredictable weather conditions,” says Prof. Champa Nawaratna, senior scientist at the agriculture department of the University of Ruhunu.

Nawaratna said the weather has been getting more unpredictable over the past five years. “This year the rains came in February-March, but we are not sure about next year,” she said, recalling the floods two years ago which destroyed 50 percent of the crops.

“Based on existing research conducted at the University of Ruhunu we can say that 50 percent of crops over a five-year period are likely to get damaged by floods, though even this data is unreliable with weather patterns changing so rapidly,” she said.

Nawaratna said colleagues in her department have also tested indigenous paddy varieties and found them to be more resistant to the vagaries of the weather.

Independent studies conducted by the Farmer Federation for the Conservation of Traditional Seeds and Agri-Resources, a major non-government organisation based in Homagama, outside Colombo, corroborate the university’s findings.

Waruna Madawanarachchi, director of CIC Seeds Pvt. Ltd, the largest single local manufacturer of hybrids in Sri Lanka, testifies to the fact that there is demand for traditional rice breeds and that his company actually outsources popular varieties like ‘Suwadel’ and ‘Kaluheenati’.

Kaluheenati, a dark red grain, is highly nutritious and traditionally recommended for nursing mothers while Suwadel is a white and fragrant variety.

“Farmers are producing their own hybrid seed which represents 80 percent of the demand while the balance 20 percent comes from the formal, organised sector,” Madawanarachchi said. “However, once in four years, farmers need to come back to us to buy new hybrid seeds from companies like ours.”

According to Madawanarachchi, hybrid rice varieties are well established in Sri Lanka and account for 99 percent of the total market for rice seeds, estimated at 4.5 million bushels (122,468 tonnes) annually.

But the bumper crops of fine, organically-grown indigenous rice reaped by Wijeratne and Thanthriarachchi in Anuradhapura show which way the wind is now beginning to blow.

Among those impressed by the achievement of the duo in producing climate-resilient organic rice is R.W.K. Punchihewa, a senior lecturer in agriculture biology at the University of Ruhunu, who also runs his own two-acre organic farm at Padukka in the western region.

“For 24 years I worked at the department of agriculture and felt we were going the wrong way in pushing a policy based on imported rice-farming inputs,” Punchihewa told IPS.

“Pesticides and chemical fertilisers have killed the fish in the hybrid-growing rice fields and ruined biodiversity in one the world’s best ecosystems,” Punchihewa said. “Worse, farmers (growing hybrids) are eternally in debt because of the high cost of inputs

“We need to revive traditional practices if agriculture is to be sustainable in Sri Lanka.”


728x90
728x90

농업과학도서관에서 자료를 뒤지다 조선총독부 농사시험장 25주년 기념집을 보았습니다.

재밌는 내용이 참 많은데 찬찬히 볼 시간은 없어 일단 토종 벼의 특징만 추려보았습니다.

나머지 내용은 언제 시간이 나면 보고 올리겠습니다.

--------------------------------------------------------------------

 

 

전국에서 벼 재래종 종자 3,331점을 수집해 수원에서 기르니 그 특징이,


1. 까락 있는 것이 많다( 까락 2,704점. 특히 서북부지방에서. 남부지방으로 갈수록 까락 없는 것이 많아진다).

까락

함북

함남

평북

평남

황해

강원

경기

충북

충남

경북

경남

전북

전남

있음

26

72

119

130

104

233

371

237

399

346

192

219

256

2704

없음

9

8

36

27

12

22

105

33

93

91

60

49

82

627

35

80

155

157

116

255

476

270

492

437

252

268

338

3331


2. 대개 일찍 익는다.

서북부지방의 품종은 평균적으로 이삭 패는 때가 7월 하순~8월 상순, 중부지방의 품종은 8월 중순, 남부지방은 8월 하순.

생육일수는 서북부지방의 품종은 130~140일을 중심으로 가장 이른 것은 110일 안팎. 중부지방 150일 안팎, 남부지방 160일 안팎을 중심으로 가장 늦은 것은 180일을 넘는 것도 있음.


3. 새끼치기(분얼)를 적게 하고, 키가 커서 쓰러지기 쉽다.

가지의 수는 대부분 평균 6~7개, 가장 많은 것은 15개. 대체로 서북부지방의 품종이 가지 수가 적다.

가장 키가 작은 것은 45㎝, 가장 큰 것은 125㎝. 대부분 95~105㎝ 사이. 대체로 서북부지방의 품종이 작다.


4. 도열병에 약하다.

못자리 상태일 때 도열병균을 넣고 얼마나 죽는지 살펴보았다.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비고

대만 논벼

74

2

-

1

-

-

-

-

-

-

77

2년 평균

중국 논벼

24

2

-

1

1

-

-

-

1

3

32

2년 평균

일본 밭벼

13

4

-

1

1

1

-

-

-

-

29

2년 평균

일본 논벼

12

22

11

10

7

6

8

5

5

3

89

3년 평균

조선 논벼

1

21

6

7

4

4

3

3

3

8

42

3년 평균

조선 재래종 가운데 도열병에 가장 강한 것은 조정조早丁租(평균 병사율 8.4), 가장 약한 것은 지조池租(92.1) 연안조延安租(95.5) 대궐조大闕租(95.3) 옥경조玉京租(96.1) 백황조白荒租(100) 남조南租(90.3) 등

5. 알이 큰 것이 적다.


6. 한 이삭의 낟알 수가 대체로 많다.

대부분 150~200알 사이. 특히 남부지방의 품종은 평균 낟알수가 300알 이상임. 찰벼 품종은 메벼보다 낟알수가 더 많은 편이다.

이삭 길이는 가장 짧은 것은 6㎝, 가장 긴 것은 33㎝, 대부분 20~25㎝로 일본 품종에 비해 길다.


따라서 거름 많이 주어 수확량을 늘리는 데에는 알맞지 않다.




하지만, 

1. 가뭄에 강하다.

2. 이삭이 패고 나서 빨리 익는다.

3. 물이 없어도 싹이 잘 난다.


그래서 좋지 않은 자연조건에서도 성적이 좋다.

 

728x90
728x90

에드워드 골드스미스의 취재기

 

 

 

초기 농업은 비생산적이라 치부되기 일쑤다. 하지만 사실 그것은 미래에 가장 희망적인 농업이다. 농민인 무디얀세 테네쿤Mudiyanse Tennekoon 씨는 스리랑카의 전통적인 농촌 생활의 선지자이다. 그는 농사지으며 쿠레네갈라Kurenegala의 작은 마을에 산다. 최근 그는 FAO나 특히 세계은행이 스리랑카에 도입한 집약적인 근대농업 체계의 파괴성과 반생산성을 인식한 사람들 사이에 꽤나 알려져 있다. 그래서 근대농업에 비판적인 두 박식한 남성과 함께 그와 만났다. 한 사람은 국무총리의 아들 두들리 세나나야케의 조카인 우팔리 세나나야케Upali Senanayake 씨, 다른 한 사람은 스리랑카의 전통 삶을 연구하고 있는 공무원 구나세카라Gunasekara 씨이다(에드워드 골드스미스Edward Goldsmith는 “생태주의자Ecoligist”라는 잡지의 편집자이다).

 

에드워드 스미스와 무디얀세 테네쿤 씨.

 

 

 

예전에 사람들은 자급했다

 

골드스미스(이하 G) : 이 지역의 평균적인 농장 크기는 얼마인가요?

테네쿤(이하 T) : 보통 가구에 2500평 이하입니다.

 

G : 자급하고 있습니까?

T : 유감스럽지만 아닙니다. 아버지 대에는 그랬지만, 지금은 소금과 옷뿐만 아니라 전등에 쓸 등유도 사야 합니다.

 

G : 스스로 만들지는 않았습니까?

T : 할머니는 자신과 가족의 옷을 직접 만들었습니다. 마을 뒷산에 있는 땔감을 하고 부대밭을 만들던 숲인 첸나chenna에서 목화를 길렀습니다. 우리는 아직 그러고 있습니다. 게다가 옛날에는 미Mee 나무의 열매에서 추출한 미 오일을 썼기에 등유는 전혀 필요 없었습니다.

 

스리랑카에서 미 나무의 묘목을 심는 영국인 고등판무관(출처 구글).

 

G : 미 오일은 요리에도 자주 쓰나요?

T : 네, 또 약으로도 썼습니다. 코코넛 오일도 그렇구요.

 

G : 인도처럼 현지의 장인들과 옛날처럼 물물교환을 했습니까?

T : 네, 10년 전 마을에서는 도공과 대장장이도 있었습니다. 우리는 식량을 주고 항아리나 도구와 바꾸었습니다. 지금은 마을의 상점에서 이런 것들을 사야 합니다. 게다가 매우 쓸모 있던 점토로 만든 항아리는 이제 구할 수 없습니다.

 

G : 항아리는 주로 무엇을 담는 데 썼나요?

T : 물을 저장하는 데 썼습니다. 왕겨를 채워 그것을 태워 몇 시간 지나 재가 되면 씻어 내고 물을 넣습니다. 이렇게 물을 차갑게 보존했습니다.

 

G : 그거 끝내 주네요. 그런 지식은 아버지가 가르쳐주나요?

T : 물론입니다. 모든 농민은 연구자이자 교사입니다. 그렇지 않으면 농민이 아닙니다.

토지와 기후, 용도에 맞는 300종류 이상의 벼를 재배했다

 

G : 여기에서는 몇 종류의 벼를 재배했나요?

세나나야케(이하 S) : 예전에 스리랑카에서는 280종을 재배했는데, 지금은 15~20종만 남았습니다. 정부의 정책에 의해서 그 이외의 품종은 절멸되어 버렸습니다(D.Dreberg에 따르면 1974년에는 300~400의 벼 품종이 재배되었다<superintendent of school gardens quoted in C. Wright, Glimpses of Ceylon>).

T : 저는 지금 123종의 붉은벼를 기억하고 있는데, 남아 있는 건 겨우 3~4종뿐입니다.

 

G : 이러한 품종에는 어떤 차이가 있나요?

T : 먼저 우리는 두 번의 농사철에 맞는 다른 품종이 필요합니다. 북동 계절풍과 관련된 마하Maha와 남서 계절풍과 관련된 야라Yala라는 두 농사철이 있지요. 마하 기간에는 ‘4개월’이라 부르는 품종을 심습니다. 그 이름처럼 자라는 데 4개월 걸립니다. 야라 기간에는 ‘3개월’이란 품종을 심습니다. 마하 기간의 품종에는 갈색과 흰색의 무룬가카얌Murungakayam, 웰라 일란가리야Wella illangaliya, 혼다라와라Hondarawara, 간가라Gangala, 베루위Beruwee가 있습니다. 야라 기간의 품종에는 다하나라Dahanala, 콕칼리Kokkali, 칸니 무룬가Kanni Murunga, 파츠하 페루말Pachha Perumal, 쿠루위Kuruwee, 수반델Suvandel이 기억납니다. 또 ‘6~8개월’이란 품종인 마위Mawee도 길렀습니다.

 

G : 마위는 무엇인가요?

T : 그건 승려를 위한 겁니다. 불교의 승려는 정오 이후에는 음식을 먹지 않아서, 다음날 아침까지 몸을 유지하려면 영양가 높은 음식이 필요합니다. 마위는 매우 영양가가 높고, 단백질 함량도 높습니다. 그것이 우리가 재배한 까닭입니다.

 

G : 그밖에 어떤 품종이 있었나요?

T : 아기 엄마를 위한 헨나티Heenati를 길렀습니다. 지방과 당분이 많아 젖이 잘 나오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두 농사철에도 그것을 길렀습니다. 또 논에서 일하는 남자를 위해서는 탄수화물이 많아 힘이 나기에 칸니 무룬가를 길렀습니다. 그것은 전통 의식에 쓰는 우유를 만드는 데에도 쓰였습니다. 수반델은 독특한 향 때문에 길렀습니다.

이러한 다양한 품종의 일부는 특히 논에 물이 충분할 때 길렀습니다. 반면 물이 별로 없을 때에는 다른 품종을 썼습니다. 물이 많은 곳에 쓰던 품종을 구델Goodel 또는 고다Goda라 부르고, 뒤의 것은 마다위Madawee 또는 알위Alwee라고 합니다. 어떤 품종은 특히 질퍽한 곳에 알맞은 게 있고, 또 진흙이 적은 고지대에 알맞은 품종도 있었습니다. 또 아주 기름진 흙에 필요한 품종도 있고, 매우 척박한 흙에서도 잘 자라는 품종도 있었습니다. 그리고 어떤 품종은 다른 품종보다 해충에 강해서 전통적인 해충 방제법이 실패했을 때에는 다른 품종보다 그걸 심었습니다.

새를 위한 벼농사, 새는 그것을 알고 있다

 

G : 논의 해충을 방제하는 전통적인 방법은 무엇인가요?

T : 해충은 오늘날보다 훨씬 적었습니다. 하나는 토종 벼는 줄기가 길어 바람에 날려서 곤충이 줄기에 붙어 있기가 어려웠습니다. 요즘 나오는 하이브리드 품종은 줄기가 짧고 훨씬 단단하여 해충이 붙어 있기 쉽습니다. 또 신품종 벼와 달리 토종은 잎이 커서 늘어지며 그늘을 만들어 풀이 자라는 것도 막았습니다. 벼는 특히 생육기 중에 짧지만 결정적인 기간인 약 2주일(이삭이 패고 나서 약 2주일의 물알들 때) 동안 해충을 예방해야 합니다. 이 기간에는 가족 모두가 경계 태세를 취해 어떠한 비상사태에도 대처할 준비를 했습니다. 이것이 우리 작물을 보호하기 위한 핵심이었습니다. 그리고 이 시기에 늘 하던 일은 다럭daluk이란 선인장 수액을 논에 넣는 것입니다. 이것은 어떤 곤충을 물리치는 데 매우 효과적이었습니다.

벼가 누렇게 물들면, 우리는 알곡이 생기기 시작할 때까지 논의 물꼬에 대나무 잎을 묻었습니다. 이 단계(물알들 때)에 알곡은 아직 거의 액체입니다. 그래서 곤충에게서 벼를 보호하려고 승려가 버린 옷을 구해다가, 그것을 코코넛 오일에 담가서 심지를 만듭니다. 그 다음 그걸 논의 이곳저곳에 불을 밝혀 놓지요. 승려의 옷에는 밝은 노란색 채소의 염료가 포함되어, 그걸 태울 때 빛과 함께 해충을 물리치는 매우 강한 냄새가 납니다. 또 다른 장치는 여기에서 자라는 덩굴식물의 잎을 부수어 가루를 내서 액즙을 만들어 논의 물꼬에 붓곤 했습니다. 이 액즙은 물에 떠서 벼의 둘레에 붙는데, 그것은 결정적인 2주일 동안 벼를 먹는 해충인 고드웰라Godwella를 죽이는 효과가 있습니다.

또 우리는 논의 네 귀퉁이에 마크라Makra 잎을 모아서 말린 걸 층층이 쌓았습니다. 또 거기에는 카두라Kadura의 나뭇가지도 심었습니다. 그것은 논의 벌레를 끌어 모으는 코코넛 등불의 받침으로 썼습니다. 또 점성학으로 점을 쳐 가장 좋은 날을 정해 볍씨를 심었습니다. 저는 이것도 해충의 침입을 막는 데 도움이 되었다고 확신합니다.

이것과는 별도로 하던 일은, 강바닥에서 모래를 긁어모아 논과 관개수로에 뿌렸습니다. 이것도 효과가 있다고 확신합니다. 또 바라밀에서 끌어낸 매우 끈끈한 물질로 긴 밧줄을 만들어, 아이들이 논을 가로질러 줄을 질질 끌면 논의 벌레가 거기에 달라붙습니다. 그게 아니면 둠말라Dummala라고 부르는 나무의 진을 스며들게 한 여러 헝겊 조각을 묶어서 이걸 끌고 다녔습니다. 피노비아Pinovia란 특별한 도구를 손에 든 아이들이 논에 들어가 수면에 있는 벌레를 잡기도 했습니다.

S : 이 모든 것을 통해 우리는 매우 복잡한 농업 형태가 가능하려면 온 가족의 협동이 필요하다는 점을 깨달았습니다. 개발의 여파로 가족공동체가 파괴되면서 세대가 끊기고, 그것을 실천할 방법이 사라졌습니다. 서양에서 행해지는 매우 파괴적인 근대농업에 의지하는 수밖에 방법이 없습니다.

T : 그렇습니다.

 

G : 서양에서는 그런 방법을 ‘생물 방제’라 하는데, 당신은 그것을 했던 겁니까?

T : 네, 사실입니다. 가장 효과적인 해충 방제법의 하나는 코코넛 껍데기를 부수어 논의 네 귀퉁이에 뿌리는 겁니다. 이것은 데말리츠츠Demalichch 또는 일곱 자매라 불리는 회갈색 새를 불러옵니다. 새는 부수어진 코코넛을 먹거나 논의 해충도 잡아먹습니다. 특히 가장 중요한 2주일 동안 벼를 먹는 벌레인 고드웰라를 잡아먹지요.

 

G : 해충 방제를 위한 전통 의식이 있나요?

T : 우유를 끓여서 흘러넘치게 하는 의식이 있었습니다. ‘우유가 항아리에서 흘러 나온다’는 것을 뜻하는 ‘키리우투루네와kiriuturunewa’라고 불렀습니다. 논의 주요 해충인 벼멸구에 매우 효과적이라고 여겼습니다. 또 해충을 물리치는 데에 매우 효과가 있다고 여겨진 다른 의식은, 논 한가운데에 장식을 단 장대를 꽂는 것입니다.

 

G 설치류는 어떤가요? 그게 옛날에도 문제였나요?

T : 쥐를 잡는 데에는 미Mee 나무의 동쪽에서 캔 뿌리의 네 조각을 묻고서, 그걸 논의 네 귀퉁이에서 태웠습니다. 그렇게 하면 쥐는 잘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G : 새는 어떤가요.

T : 각 논의 농사가 끝나는 쿠룰루 팔루와kurulu paluwa라는 시기에 새를 위해 조그만 부분에 벼를 길러서 잘 대처했습니다.

 

G : 그런데 어떻게 새가 그 벼가 자기 것인지 알았나요?

T : 우리는 몇 천 년 동안 이 일을 했습니다. 새에게 어느 것이 자신의 논이고, 어느 것이 우리 인간의 논인지 가르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이 있었습니다. 물론 새들은 좀처럼 우리의 논 지역에 침입하지 않았지만, 침입하더라도 벼의 해충이나 ‘고드웰라’를 먹거나 아이들이 내쫓거나 했습니다.

S : 마법 같은 해충 방제법은 없습니다. 우리 농민은 모든 해충을 피할 수 있는 ‘기적의 품종’이나 ‘기적의 화학물질’을 팔려고 하는 서양의 과학자를 믿을 만큼 어리석지 않습니다. 산업사회가 붕괴되고 서양의 과학자들이 사라진 훨씬 뒤에도 논의 해충은 주변에 있겠죠. 우리는 다양한 방법으로 해충들과 함께 살며 그 약탈을 조절해야 합니다. 각각의 방법은 조그만 기여밖에 하지 않을지도 모릅니다. 그것을 위해 필요한 지식은 아버지에게서 아이에게로 이어질 겁니다. 아이들을 도시의 학교에 보내 당신의 서양 과학적인 미신을 가르치지 않을 때에만 이 일이 가능합니다. 또한 온 가족이 완전히 협동할 때에만 가능합니다. 작업한 시간마다 임금을 줘야 하는 종업원으로는 이러한 협동을 결코 달성할 수 없습니다.

 

 

질소고정 나무와 과일박쥐의 똥이 거름

 

G : 논의 땅심은 어떻게 유지합니까?

A : 매우 많은 방법을 썼습니다. 하나는 논에 미 나무를 심는 것입니다. 미는 콩과식물로, 뿌리혹박테리아가 질소를 고정합니다. 이전에는 1헥타르에 20그루를 심었습니다. 잎에도 질소가 많은데 그 아래에 쌓여 덮였습니다. 또 매우 흥미로운 것은 과일박쥐가 미 나무의 열매를 좋아해 과실이 익을 때에는 엄청나게 모인다는 겁니다. 그 결과 질소를 많이 함유한 박쥐의 똥도 중요한 거름이 되었습니다. 또 첫비(Akwassa) 전에 볍씨를 심어 질소를 얻었습니다. 아시다시피 이러한 비에는 많은 질소가 함유되어 있습니다.

또 우리는 쏘라Thora, 안다나Andana, 히리야Hiriya, 니디쿰바Nidikumba, 필라Pila라고 부르는 수확철 사이에 여러 콩과의 풀이 논에서 자라도록 했습니다. 그것들은 논의 옆이나 위에 자리한 작은 구역의 놔두는 땅인 필레와스Pillewas에서 자랍니다. 콩과의 풀씨는 필레와스에서 오는 것이기에 우리는 그곳에서 농사짓지 않았습니다. 또 그곳은 쟁기질에 부리는 물소가 쉬는 곳도 됩니다. 물소의 똥은 비가 내리면 아래쪽의 논으로 흘러와 이것도 거름이 되었습니다. 또 우리가 똥을 누거나 오줌을 누는 곳도 필레와스에 자라는 떨기나무의 그늘입니다. 이것도 땅심을 높이는 데 기여했습니다. 물론 현재는 근대적인 개발로 논의 면적을 늘렸기에 필레와스도 농지가 되어 버렸습니다. 그것이 결과적으로 땅심의 저하로 이어졌습니다.

또 이미 말했듯이 전통적인 벼 품종은 줄기가 길어 지금처럼 줄기가 짧은 품종보다 논에 돌려주는 볏짚이 많았습니다. 또한 중요한 것은 각 마을의 뒷산에는 정글이 우거지고, 거기에서 ‘저수지’로 흘러와 논에 물을 댈 때 쓰는 물이 흘렀습니다. 정글이 주는 것은 그것만이 아니라 홍수가 나면 논으로 흘러오는 흙도 있었습니다.

이 모든 방법을 써서 우리는 땅의 힘을 유지했습니다. 그것들이 기능해야지 그렇지 않으면 농사를 지을 수 없지요.

 

 

근대 보급(하이브리드) 품종은 가뭄에 약하다. 수확량이 늘어난 것도 수분이 많을 뿐

 

G : 화학비료는 쓰려고 했습니까?

T : 네, 이 몇 년은 화학비료가 필요한 하이브리드 벼를 재배했기에 그래야 했습니다.

 

G : 쌀에는 어떤 영향이 있습니까?

T : 제 논은 1200평입니다. 풍년일 때에는 2800kg을 생산합니다. 우리 가족이 1년에 2100kg을 소비하기에 풍년일 때에는 남습니다. 문제는 우리가 자급적이지 않기 때문에 더 많은 잉여물이 필요하다는 점입니다. 아마 제 아버지 대에는 필요한 것이 적어서 논의 생산력도 적었을 겁니다. 또 그는 매우 많은 품종을 심었기에 해마다 수요를 충분히 만족시킬 만큼 생산했을 겁니다. 우리가 문제가 있는 해에 맞부딪쳐도 어떤 품종은 잘 자랐습니다. 이러한 다양한 품종은 현재 심고 있는 하이브리드 품종만큼 가혹한 상태에 취약하지 않았습니다. 가뭄이 나면 하이브리드 벼는 말라 버립니다. 지금 해마다 가뭄이 지독해지고 있습니다. 누구나 알다시피 정글이 사라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또 다른 문제는 하이브리드 벼는 보존하기 어렵다는 점입니다. 갈무리해 놓으면 2~3개월 뒤에는 곰팡이가 핍니다.

 

G : 토종은 얼마나 보존하나요?

T : 적어도 3년은 갑니다.

구나세카라 : 저는 아버지가 아직 저장고에 3년 전의 쌀이 있는데 어머니가 햅쌀로 밥을 짓는다고 뭐라 하시던 일이 기억납니다. 보관 방법도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쌀은 쥐가 들지 않는 대에 놓인 커다란 흙항아리에 보관했습니다. 항아리는 숨구멍이 있어서 쌀이 숨을 쉬고 서늘하게 있었습니다. 항아리는 라임 잎으로 안을 대고, 카라Kara의 잎도 해충을 쫓는 데 유용했습니다.

 

G : 근대적인 하이브리드 벼의 보관성이 나쁜 것은 수분 함유량이 많기 때문입니다. 화학비료를 쓰면 생산물의 무게는 늘지만, 이는 주로 수분 함량 때문입니다. 만약 말려서 재면 비료를 쓰지 않는 경우와 거의 같은 무게라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유럽에서 두 연구를 통해 제3세계의 저장 문제는 주로 이 늘어난 수분 함량 때문이라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하나는 서섹스Sussex대학, 다른 하나는 UNEP에서 실시했습니다.

T : 어떤 경우 하이브리드 밀은 밀가루를 만들어 먹어도 아무 맛이 없습니다. 이런 모든 이유 때문에 저는 하이브리드 벼농사를 그만두고 다시 토종으로 농사지을 계획입니다. 허나 문제는 씨앗을 찾는 일인데, 우리는 서로 전통농업의 체계로 돌아가는 걸 도울 수 있도록 현지의 농민들을 하나로 모으고 있습니다.

옛날 체계에는 다른 이점도 있습니다. 이제는 생산할 수 없는 다양한 먹을거리를 예전에는 생산했다는 점입니다.

물고기가 없어졌기에 말라리아가 늘었다

 

G : 예를 들면 어떤 것인가요?

T : 먼저 예전에는 바울루Baulu, 위라Weera, 바라밀, 힘부투Himbutu, 우드 애플Wood Apple, 히말라야 야생배와 아보카도 등 많은 먹을거리를 구하려고 자주 정글에 갔습니다. 지금은 정글이 벌목되어서 이제는 그런 먹을거리를 구할 수 없습니다. 정글을 재생해야 합니다.

또 예전에는 시내, 저수지, 물을 채운 논에서 수많은 물고기를 잡았습니다. 룰라Lula, 카와탸Kawatya, 하다야Hadaya, 아라Ara 등의 물고기는 말라 버린 못에서도 살았습니다. 적어도 이 지역에서 이것들은 대부분 사라지고, 정부가 아프리카에서 들여온 틸라피아Tillapia에게 먹혀 버립니다. 정부는 틸라피아는 식물만 먹는다고 주장하지만 사실이 아닙니다. 다른 것들, 특히 논에 사는 물고기는 농약의 독으로 죽었습니다. 어떤 물고기도 더 이상 살지 않기에 말라리아를 전염시키는 모기 유충이 현재 건기에도 살아남습니다. 그 결과 말라리아가 이전보다 훨씬 심각한 문제가 되었습니다. 또 저수지에서 번식하던 룰라는 피를 만드는 기능이 있어 늘 임산부에게 먹이던 가치 있는 물고기였습니다. 저수지에서 잡을 수 있던 다른 물고기로는 로랄레Lorale, 페티야Petiya, 히리카나야Hirikanaya, 와라야Walaya, 안다Anda, 안쿠타Ankutta도 있었습니다. 특히 코랄레Korale는 매우 맛있는 물고기였습니다. 지금 우리는 단지 틸라피아만 있을 뿐입니다. 나쁘지는 않지만 모든 토종 물고기를 대체할 수는 없습니다. 토종 물고기에는 모두 특별한 용도가 있습니다. 틸라피아는 논에는 넣지 않고 저수지에서만 서식합니다. 이 변화로 우리의 식사와 인생도 눈에 띄게 빈한해졌습니다.

 

우드 애플.

 

 

 

부대밭 농업이 부정되었다

 

G : 그밖에 어떤 먹을거리를 구할 수 있었나요?

T : 많은 식물성 먹을거리를 저수지에서 구했습니다. 예를 들면 연밥, 일종의 연의 씨앗입니다. 또 연의 푸른 줄기도 먹었습니다. 게다가 저수지에서는 연근도 자랐고, 카케티의 뿌리로 가루도 만들고, 망고·바나나·코코넛·바라밀·후추·병아리콩과 콩나물 등도 구했습니다. 아직 어느 정도는 재배하지만 그것들은 옛날 것이 아닙니다.

서양에서는 부정적인데, 우리는 첸나chenna나 부대밭을 잊어서는 안 됩니다. 그것은 논농사에 맞지 않는 마을 뒷산에서 이루어졌습니다. 몇 년 농사지은 뒤 그곳을 버리면 정글이 재생하는 데에 10~14년이 지나면 회복되었습니다. 각 가족은 약 600평 정도 농사지었는데, 그곳은 사유지가 아닌 마을 공유지였습니다. 우리가 거기에서 기른 주요 작물은 조, 쿠루켄Kuruken 외에 건조 곡류였습니다. 요즘은 인구가 늘어나 그 주기가 정글이 완전히 화복할 수 없는 4~5년으로 짧아졌습니다. 현재 첸나 재배는 정부에서 장려하지 않고, 예전에 이 목적으로 쓰던 대부분의 땅은 그에 적합하지 않게 영구적으로 농사짓게 되었습니다.

 

바라밀.

 

 

말라리아의 전통적인 특효약을 정부가 금지했다

 

G : 실제로 모든 전통식에는 약효도 있었다고 생각하는데, 효과적인 말라리아 전통요법도 있었나요?

T : 매우 효과적인 것이 있었습니다. 보통 알려져 있듯이 반자Banja나 간자-마리주아나Ganja-marijuana를 씁니다. 이것은 가장 중요한 약품의 하나로, 예전에는 ‘온 세계에 이길 수 있는 잎’이라고 불릴 정도로 뛰어난 약효가 있었습니다. 우리는 그것을 가루로 내 홍차처럼 우려서 자게리jaggery(Kittul palm으로 만든 설탕)를 넣습니다. 그것은 말라리아에 유일하게 효과적이었는데, 해충에도 유효했습니다. 또 피에 흡수되는 시간을 줄이려고 우리는 다른 먹을거리와 섞어서 그것을 먹기도 했습니다. 벌꿀에도 같은 효과가 있습니다.

구나세카라 : 16세기에 스리랑카에 난파되어 왕의 죄수로 17년 동안 지낸 영국인 로버트 녹스Robert Knox는 반자를 실론의 말라리아 요법이라 불렀습니다. 그 식물은 ‘세 세계의 지배자’라고 불렸습니다.

 

G : 약용으로 아직도 반자를 씁니까?

T : 아니요. 지금은 정부에서 금지했습니다.

환경에 맞지 않는 일본의 모내기 기술을 정부가 강제하다

 

G : 어린모일 때 모내기하여 수확량을 늘린다고 하는데, 이것을 하려고 합니까?

T : 정부에서는 그것을 강제하려고 합니다. 그들은 이 기술을 일본인에게 배웠습니다. 일본의 벼농사 지역 대부분에는 보통 3주일 정도 이어서 서리가 내리는 시기가 있습니다. 그때 벼가 논에 있으면 손상을 입습니다. 그래서 일본인은 온실 안에서 씨앗을 심어 서리로부터 보호하고, 논에 모내기를 하는 겁니다. 그렇지만 스리랑카에서는 모내기한 뒤에 모가 아프다는 걸 알면 회복에는 최대 2주일이 걸립니다. 이에 대응하는 유일한 방법은 화학비료를 쓰는 것이고, 약한 벼의 해충에게는 농약을 뿌리는 것입니다. 모내기에는 많은 시간이 걸리고, 첸나 농사나 저수지에서 낚시하는 등 다른 활동을 방해합니다. 정부에서는 두그루짓기가 아닌 세그루짓기를 해야 한다고 열성입니다. 정부의 주장은 근대농법에 따를 때 가능한데, 벼멸구가 영구히 서식할 수 있는 곳을 만든다는 것은 말할 것도 없고, 많은 시간이 걸리며 사회생활을 포함하여 우리의 여가 활동에 참견하는 셈입니다.

 

 

트랙터는 땅심을 저하시키고, 실업을 늘린다

 

G : 트랙터를 쓰려고 했습니까?

T : 저는 가지고 있지 않지만 많은 농민이 쓰고 있습니다. 그것은 물소만큼 좋지 않습니다. 한 쌍의 물소는 약 900kg의 무게이고, 그 발은 논의 흙을 밟는 데에 알맞은 모양입니다. 그 결과 논에는 물이 빠지는 걸 줄이는 점토와 딱딱한 표면이 형성됩니다. 한편으로 진흙 위쪽을 휘저어 무르게 합니다.

물소는 1년에 약 680kg의 똥을 싸고, 오줌도 많이 쌉니다. 모두 엄청 땅심에 공헌합니다. 한편, 트랙터는 논에는 너무 무겁습니다. 트랙터가 지나간 곳은 점토층이 파괴되어 물이 지하로 침투됩니다. 트랙터를 쓰면 대량의 물이 필요한데, 오늘날 같은 상황에서 사용할 수 없게 될 겁니다. 또 흙을 뒤섞어서 가벼운 유기물이 표면에 떠올라 홍수 때 떠내려가 버립니다. 그래서 트랙터를 쓰면 땅심의 저하로 이어지는 겁니다. 트랙터는 똥이나 오줌도 싸지 않고, 흙을 만드는 데에는 전혀 공헌하지 않는 것이라고까지 말할 수 있습니다. 우리의 식사에 매우 중요한 우유와 기ghee(불순물을 뺀 탈지유), 커드curd도 만들지 못합니다. 덧붙여 말하자면, 그것은 번도 못합니다. 한 대가 죽으면 다른 트랙터를 사와야 합니다.

물론 트랙터는 노동력을 절감시키고 늘 얘기하지만, 저의 직업은 늘 논밭에 나가야 하는 농업입니다. 그것이 저의 삶입니다. 물론 저는 하루 종일 자고 싶지도, 이웃과 한담을 나누는 데에 시간을 허비하고 싶지도 않습니다. 아무튼 이렇게 높은 실업률의 나라에서 노동 절약의 핵심이 무엇인가요. 옛날에 노동 절약 장치는 생각보다 적었습니다. 가족과 지역사회가 온전하여, 충분한 사람들이 쟁기질, 씨뿌리기, 수확, 저수지 유지에 나섰습니다.

저수지 부흥에는 전통 문화의 부흥도 빠질 수 없다

S : 만약 그런 협동이 없었다면 저수지를 유지하지 못했을 것이고, 아누라다푸라Anuradhapura나 폴로나루와Polonaruwa 문명도 존재하지 않았겠지요. 어쩌면 현 인구와 필적하는 1500만 명이란 인구도 유지할 수 있었을지 모릅니다.

 

G : 정부는 지금 옛 관개 체계를 복구하려 하지는 않나요?

세나나야케 : 그들은 세계은행의 원조로 많은 저수지를 복구했습니다. 하지만 큰 저수지만 그렇고, 그것만으로는 부족합니다. 큰 저수지는 마을의 작은 저수지가 침전물로 막히는 경우에만 유용합니다. 그것들을 유지하는 것이 관개 당국의 일인데, 관료 제도로는 그럴 수 없습니다. 만약 마을의 사회구조가 붕괴된다면 침전물로 막힐 겁니다. 전통농업을 회복하고 싶다면 먼저 사회생활과 문화를 회복해야 합니다.

T : 전적으로 찬성합니다. 복구해야 하는 것은 저수지가 아니라 모든 저수지 농사의 체계입니다. 관료는 그것을 할 수 없습니다. 5개 유형의 저수지가 있었습니다. 먼저 마을의 위에는 정글에 파 놓은 숲 저수지가 있었습니다. 그것은 관개가 아니라 정글에 사는 야생 동물에게 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몇 천 년이나 걸려서 동물들은 그것이 자신의 것임을 배웠고, 물을 구하려 마을에 내려와 농업을 방해하지 않았습니다.

두 번째 저수지는 산의 저수지입니다. 그곳의 목적은 운하가 아니라 첸나에서 농사짓는 물을 공급하는 것이었습니다.

세 번째는 포타 웨팅PPota Wetie으로 알려진 모래막이 저수지입니다. 그것은 쉽게 준설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네 번째는 저장용 저수지로서 보통 그것은 2개가 같이 있어 쌍둥이 저수지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곳은 차례대로 쓰여서 한쪽이 유지되는 동안 다른 하나가 쓰였습니다. 이것은 수많은 마을 저수지로 이어졌습니다.

S : 이러한 저수지는 전통 농촌에 꼭 필요한 역할을 담당했습니다. 우리는 사원이나 논도 없는 건조한 지역의 저수지가 없는 마을은 상상할 수도 없습니다. 사실 마을의 세 가지 기본 구성요소는 사원(불사리탑), 논(Kumbura), 저수지(Wewa)였습니다. 물론 테네콘 씨가 말했듯이, 그것 말고도 중요한 요소가 있었습니다. 위쪽의 정글, 채소밭과 첸나 농사가 이루어진 떨기나무숲입니다.

T : 물론입니다.

 

G : 전통적인 마을은 어떠했습니까?

T : 집들을 매우 가깝게 붙여서 지었습니다. 이렇게 하여 귀중한 땅을 최소한으로 차지하도록 했습니다. 이 배열은 마을의 빠질 수 없는 협동을 유지하도록 했습니다. 예를 들면 한 여성이 여러 이웃의 아이를 맡았습니다. 작물 수확과 저수지를 유지하는 등 많은 사람이 필요할 때 이것은 중요했습니다.

 

G : 저수지를 유지하는 조직은 어떻게 되나요?

T : 그것은 왕의 권한인 라자카리야Rajakariya 봉사의 일부였습니다. 누구나 1년에 40일은 이 봉사를 해야 했습니다. 그렇지만 이것은 왕의 개인적인 욕심 아니라 지역사회 전체를 위해 해야 하는 일이었습니다.

구나세카라 : 실제로 어떤 왕은 라자카리야의 일이라며 캔디Kandy에서 자신의 왕궁 정면에 있는 인공 호수의 진흙을 치우라고 시켰는데, 사람들이 ‘이는 지역사회의 일이 아니다’라며 그것을 거부했습니다. 그것은 왕의 개인적인 책임이라 개별적으로 처리해야 했습니다.

S : 물론 영국인들은 라자카리야의 완전한 원칙을 오해하여, 학정이라 여기고 캔디의 봉건적인 과거의 유물이라며 철폐시켰습니다. 이는 영국인이 지금까지 한 일 가운데 가장 파괴적인 일의 하나였습니다. 이 나라에서 협동의 원칙을 파괴한 겁니다. 다행스럽게도 그것이 완전히 파괴되지 않고 초보적인 모양으로 남아 있습니다. 마을 사람들은 공익을 위하여 아직도 1년에 14일은 봉사하고 있습니다. 그것은 1970년에 관개 당국이 최종적으로 폐지한 관습입니다. 관료들은 마을 사람들이 협동하는 것을 인정하지 않았지요. 그것은 봉사를 위한 수요를 감소시켰습니다. 만약 라자카리야 체계가 여전히 기능하고 있다면, 관개 당국의 관료들은 전혀 필요 없을 겁니다. 물론 지금은 저수지를 유지하는 것이 그들의 책무이지만, 그에 대해서 그들은 아무것도 하지 않습니다.

 

G : 저에게 말한 모든 이야기를 통해 서양식 기술 농업의 모든 선물을 완전히 거절하는 것이라 해석해도 좋습니까?

T : 그렇습니다.

 

G : 옛 농민들의 전통농법을 좋아하는 거네요.

T : 네, 좋아합니다만 모든 여건이 가능하지 않게 만들고 있습니다. 공식적인 관점으로 보면, 저는 ‘자급 농민’이기에 가난합니다. 서양식 교육도 받지 않아서 무교육자입니다. 특히 저의 모든 지식, 전통과 문화는 계량화할 수 없습니다. 정규 경제로도 다룰 수 없기에 실업자라고 합니다. 저는 시장에 공헌하고 있지 않으며, 거지라고까지 불렸습니다.

 

 

스리랑카는 과거로 돌아가야 한다

 

S : 이 모든 것이 금세 바뀔 거예요. 당신이 모범이 되어 우리의 전통을 배우려고 젊은이들이 모일 겁니다. 지금의 경향은 지속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문제는 감당할 수 없을 만큼 커지고 있습니다. 플랜테이션을 계속하려고 정글을 모조리 베어 사라지고 있습니다. 전례가 없는 속도로 토양침식이 늘어나고, 저수지는 진흙으로 틀어 막히고 있습니다. 모래막이 저수지나 쌍둥이 저수지, 마을의 저수지를 유지할 사람은 아무도 없고, 완전히 침전물로 저수지가 막힌 마을도 존재합니다. 당장은 누구나 시내와 도시로 이주하려 합니다. 현재 콜롬보에는 10년 전에는 없었던 커다란 빈민가가 있습니다. 지금의 경향이 계속되면 콜롬보는 캘커타처럼 되어 버리겠지요. 사람들은 자신의 식량을 시장경제에 의존하게 되고, 그 가격은 오르고 있습니다. 정부는 사람들을 먹이는 일보다 수출하는 돈벌이작물을 생산하려 하고, 습지 지역에서 우리 토지의 절반이 묵혀지고 있습니다. 또는 마하웨리 계획을 세워 커다란 댐 들을 지으려 하고 있습니다. 그런 것이 아니라 과거의 농업 체계를 부활시켜야 합니다. 물론 현재 우선시되고 있는 개발주의를 포기하지 않으면 이 일은 할 수 없습니다. 이 나라를 서양과 같은 열대판 산업 국가로 바꾸려는 시도는 자멸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것은 섬뜩한 영양불량과 기아를 가져올 뿐입니다. 이 스리랑카에 있어야 할 것은 과거의 ‘젖과 꿀이 흐르는 땅’이어야 합니다.

 

자신의 농장 앞에 선 테네쿤 씨.

 

 

<참고자료>

Edward Goldsmith, Traditional Agriculture in Sri Lanka, interviews Mudyanse Tennekoon, Goviya: Traditional Sri Lankan agriculture,2000.

 

 

translated by 김서방.

728x90
728x90

지난 9월 4일 농촌진흥청 벼 연구소를 방문하여 실험 논을 보았습니다.

8만 5천 평의 면적에 10만 종의 벼가 있다고 하더군요.

아래의 사진을 보시면 대략 그 규모가 짐작이 되실려나요?

 

 

원래는 11만 평에 가까운 넓이였다는데 도시가 개발되면서 길로 잘리고 뭐하고 하다가 이렇게 줄었다고 합니다.

과연 1906년 일본이 주도하여 건립된 권업모범장다운 규모입니다.

농진청에서는 2006년 설립 100주년 기념식을 거행했는데... 모르겠습니다. 엄밀히 말하여 정통성을 따지자면 해방 이후부터 따져야 하는 것이 아닌지...

아무튼 이곳에서 다양한 벼를 볼 수 있어 재밌었습니다. 토종 벼도 꽤 있는 듯했으나, 그건 내일(9월 13일) 다시 한 번 찾아가서 더 보도록 하고(그나저나 비가 오지 않아야 할 텐데요...) 먼저 새로 육종한 신품종을 중심으로 살펴보지요.

 

먼저 동진1호입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 동진강 근처의 시험장에서 육종한 것이 아닐까 합니다. 직파에 알맞다고 하니 건답직파를 원하시면 이 벼를 이용해 보시는 것도 좋겠습니다.

 

 

 

우리에게 가장 익숙한 추청(아끼바리)입니다. 도열병에 약하다는 단점이 있었네요.

 

 

 

다음 남평. 이것도 전라도 쪽의 지명에서 따왔네요.

 

 

 

 

 

일미는 맛이 좋다는 뜻에서 붙였다고 합니다.

 

 

 

일품도 '정말 일품이네'라는 말에서 왔지요.

 

 

 

동진을 더 개량한 신동진입니다.

 

 

 

이 화영이란 벼는 이삭이 정말 탐스러웠습니다. 화영華榮일지 무엇일지 모르겠는데, 이삭만 보면 정말 화려합니다.

 

 

 

철원 오대쌀로 잘 알려진 오대벼입니다. 조생이라더니 이날 벌써 가장 먼저 누렇게 익어가고 있더군요. 어제 김성훈 전 농림부장관 님의 말씀을 들으니, 2년 전 이 오대벼의 쌀겨가 캐나다 밴쿠버에 수출되어 100g에 5달러에 팔리고 있었답니다.

 

 

 

다음은 칠보입니다. 최고품질이란 글자가 보이시나요? 가장 뛰어난 맛을 보여주는 벼에게만 주어지는 최고품질을 획득한 품종입니다.

 

 

 

호품. '품질이 좋다'는 뜻일까요? 이 벼는 수확량이 엄청나서 300평에 600kg까지 나온다고 합니다. 참으로 엄청난 육종 기술입니다. 더구나 밥맛도 최고품질이라고 하니 말 다했지요. 앞으로 이 벼가 우리나라의 들녘을 차지할 날이 머지 않았습니다. 안 그래도 벌써 추청 대신 호품이 서서히 그 재배면적을 넓혀 가고 있다고 하네요. 일본에서 들어온 고시히카리, 아키바리 등등의 벼가 이제 우리 기술로 육종한 벼로 바뀔 날이 왔네요.

이건 여담인데, 이곳에서 연구하고 있는 분들은 이명박 대통령의 녹색 정책을 별로 달가워하지 않더군요. MB라고 부르며 호품처럼 좋은 벼를 육종해도 걱정이랍니다. '아니 이렇게 수확량이 많은 벼를 개발하면, 안 그래도 쌀이 남아 도는데 어쩌란 말이냐!'고 한 소리 듣고 있답니다. 농업정책이 산으로 가나 봅니다. 머릿속에 "돈"만 들어 있는 사람들이 어찌 국가의 요직에 앉을 수 있는지... 국민의 먹을거리와 교육, 의료는 적어도 100년은 내다보며 정책을 세워야 합니다. 몇 년 앞만, 코 앞의 돈만 생각하는 인물들을 가려서 뽑아야겠습니다.

 

 

 

오대벼에 이어 운광이란 품종이 육종되었습니다. 오대와 같이 조생에 추위에 강한데다가 최고품질의 맛을 보장합니다. 서서히 철원 오대쌀도 철원 운광쌀로 바뀌지 않을까 예측해 봅니다.

 

 

 

다음은 미광입니다. 이건 다른 데 정신이 팔려 있어서 설명을 잘 듣지 못했습니다.

 

 

 

다산 정약용의 다산이 아니라, 多産입니다. 얼마나 벼가 많이 나는지 특성도 초다수라고 적혀 있습니다.

 

 

 

아래 사진은 한달 뒤(6월 25일)에 심은 똑같은 다산인데, 곤파스란 태풍에 스르륵 쓰러져 버렸습니다. 참, 농진청에서 그러는데 벼를 심는 가장 좋은 시기를 5월 25일 무렵이라고 하더군요. 옛날 농사에서는 6월 25일쯤이었지요. 그때는 밀보리 이모작도 해야 하고, 지하수를 뚫어서 쓰는 게 아니라 빗물을 기다렸다가 모를 내야 하니 장마가 찾아오는 무렵인 그때가 가장 적기였습니다.

 

 

 

다음은 한마음입니다. 이 벼도 '초다수'입니다.

 

 

 

가만히 벼에 대한 설명을 듣다 보니 이런 노란 줄이 눈에 띄었습니다. 바로 벼를 심는 줄 간격입니다. 못줄을 하나만 띄워도 두 개를 쓰는 효과를 낼 수 있겠네요. 그만큼 더 반듯하게 더 빨리 모내기를 마칠 수 있겠습니다. 이곳은 실험 논이다보니 모든 벼를 손모로 심는다고 합니다.

 

 

 

현미 전용으로 나온 백진주입니다. 껍질을 벗기기 쉽겠네요.

 

 

 

설명을 들으며 나아가다가 발견한 거미입니다. 실험 논에는 농약도 거의 치지 않는다고 합니다.

 

 

 

검은 껍질의 흑설입니다. 검은 눈이란 뜻이겠지요. 이름을 재밌게 잘 지었네요.

 

 

독특한 색이라 한 장 더 찍어 보았습니다.

 

 

 

다음은 쌀에서 향이 난다는 미향입니다. 향기나는 쌀을 처음 맛본 건 김포의 자광미로 지은 밥을 먹을 때였습니다. 그곳에 취재를 갔을 때였는데, 마침 밥이 있다며 주셨지요. 한 입 먹어보고 얼마나 맛있었는지 그냥 몇 숟갈 정신없이 퍼먹었습니다. 그때의 맛이 각인되어 지금 다시 떠올려도 입안에 침이 고입니다. 이 벼도 한 번 먹어보고 싶네요.

 

 

 

마지막으로 목우입니다. 소를 키우는 벼라는 뜻입니다. 과연 키가 엄청납니다. 저보다 조금 더 크니 2m나 되더군요. 만생인데 이제 이삭이 조금씩 패고 있었습니다. 이삭은 잎의 중간쯤 되는 곳에서 패고 있었습니다. 참 독특한 벼를 육종했네요. 앞으로 벼 수확량이 너무 많다고 난리치면 그냥 논에다 이 벼를 심어서 사료용으로 수확하고, 그걸로 먹여서 살찌운 소나 먹어야 할까요? 뭐가 옳고 뭐가 그른지도 모르고,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도 모른 채 눈앞의 이익에만 급급한 어지러운 세상입니다.

 

 

 

나오는 입구에 마침 몇 종류의 옛날 벼가 있어서 사진을 찍었습니다. 그걸 마저 보고 마치겠습니다.

 

먼저 다마금입니다. 일제강점기에 우리나라에서 많이 심던 벼입니다.

흔히들 이 벼가 조선시대부터 내려온 토종으로 알고 있는데 그렇지는 않습니다. 일본이 새로 육종한 품종입니다.

일본 도쿄 근처에 보면 多摩川이 있는데 그곳 어딘가와 관련이 있지 않을까 추측하고 있습니다만, 정확한 건 아직 모르겠습니다. 아무튼 일본식으로 부르면 '다마니시키'라고 합니다.

옛날 벼의 특징이라면, 첫째 까락이 있는 것들이 많다. 둘째 잘 쓰러진다. 이 두 가지라고 할 수 있는데, 첫째는 새의 피해를 막기 위함이 아닐까 합니다. 또 둘째는 화학비료가 없던 시절, 그에 적응한 벼가 화학비료의 맛을 보고 쭈욱 엄청 자라버리기에 그렇지 않을까 합니다.

 

 

다마금의 이삭이 잘 보이시죠? 저 까락이 수확하고 관리하는 데에는 불편하지만 새들을 막는 좋은 무기가 되지 않았을까 합니다. 이번에 기장과 조를 심었는데, 기장은 참새에게 거의 먹혔지만 조는 그렇지 않더군요. 둘의 차이는 바로 수염이 있냐 없냐였습니다. 거기에서 이런 생각이 떠올랐습니다. 아! 까락은 괜히 있는게 아니구나... 새에게 먹히는 걸 막고자 생긴 거구나... 옛날 사람들이 바보도 아니고, 관리하기 어려운 까락을 괜시리 두었을까? 바로 새 때문일 수도 있겠다...

 

 

 

다음은 은방주입니다. 긴보즈銀坊主도 마찬가지로 일제강점기에 도입된 품종입니다. 아무튼 이것도 옛날 벼인 만큼 화학비료 냄새만 맡아도 엄청 자라기에 잘 쓰러진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런데 거꾸로... 화학비료를 주지 않는 곳이라면 오히려 더 좋지 않을까요. 세상 모든 일이 그렇듯 무조건 좋은 것도, 무조건 나쁜 것도 없습니다. 벼의 특성을 알면 그걸 이용해서 그에 맞는 조건에다 활용하면 될 일입니다.

 

 

 

마지막으로 조동지입니다. 이 벼야말로 진정한 토종이라 할 수 있지요. 일제강점기 농사시험장에서 우리나라의 토종 벼를 싸그리 조사한 일이 있습니다. 그때 조선 중부 이하의 전역에 걸쳐 가장 많이 심던 벼가 바로 이 조동지였습니다. 동지란 벼슬을 가진 조씨가 누구였는지 몰라도, 그 사람이 소유한 논에서 육종이 된 것일까요? 그 기원은 알 수 없지만 아무튼 이 벼는 일제가 들여온 은방주, 다마금과 달리 조선사람들이 가장 널리 심던 벼입니다.

 

728x90
728x90

일제의 권업모범장은 조선에 일본 품종의 벼를 보급하고자 했다. 그래서 1906년 4월 경기도 수원군 서둔전에서 농사짓는 사람 28명에게 일본 벼인 조신력, 近江, 信州, 都를 배부해 기른 결과, 조신력이 토종에 비해 24%, 근강은 9.4%, 신주는 7.5%, 도는 자연도태되었다. 그 결과 일본 품종에서는 조신력, 토종에서는 조동지가 가장 좋다고 선정했다.

하지만 조선 농민들은 일본 품종에 의문을 가지고 있었다. 농민들은 일본종은 늦게 익어 곤란하니 토종으로 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이에 일제는 일본종인 다마금과 조신력은 모두 일찍 익으니 조금도 염려할 필요 없다고 강조했지만, 농민들은 그 말을 믿지 않고 토종을 심었다. 이에 권업모범장과 원예모범장에서는 조선의 토종을 조사하는 한편 일본종을 보급해 통일시키고자 했다.

1908년 농상공부 식산국의 조사에 따르면 다른 이름의 품종은 토종 464점, 찰벼 149점으로 모두 513점이었다. 1914년 조선에 있는 토종은 모두 2,500종이었다. 그리고 1928년 조사에 따르면 조선에 다른 이름 품종은 토종 464점, 일본종 139점으로 모두 603점이었다. 이들 토종은 까락 있는 종이 많고, 큰 알갱이가 적고 한 이삭의 알수가 많고, 새끼치기를 적게 하고, 짚이 길어 쓰러지기 쉽고, 도열병에 잘 걸리고, 가뭄에 강하고, 물기가 없는 땅에서도 싹이 잘 트고, 대개 일찍 익는 특징이 있다고 파악했다. 곧 토종은 수확량이 적지만 가뭄이나 추위에 잘 견디는 점에서는 안정성이 높다.

점점 일본종이 우위를 점하기 시작해 1918년 조선에 보급된 일본종을 보면 조신력 25,3000정보, 곡량도穀良都 20,1000정보, 일출日出 11,1000정보, 석백石白 1,6000정보, 금錦 2,6000정보로 모두 64,2000정보에 이르렀다. 그 뒤 1921년 조선에 보급된 일본종은 조신력, 다마금, 곡량도, 금, 석백, 고천수高千穗, 일출, 웅정雄町, 관산關山, 귀미龜尾, 소전대小田代, 적모赤毛 등이다. 이들의 특징은 조신력은 물을 안정적으로 댈 수 있는 곳이어야 하고, 다마금은 땅이 험한 데가 적어야 하고, 곡량도는 초비梢肥한 곳이 알맞아야 한다. 이 점에서 조신력은 도열병에 약하고, 다마금은 가뭄에 강하고, 곡량도는 수해에 강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우량품종 보급은 지역에 따라 다르게 했는데, 본장이 있는 경기도의 경우 조신력, 곡량도, 다마금, 석백, 일출을 장려종으로 선정했다. 황해도는 일출을 장려종으로, 함경도는 조와 콩 위주로 하고 논벼는 거의 재배하지 않다가 1925년 우량품종으로 소전대와 정월조생井越早生 을 장려했다. 강원도는 1913년 일출관 관산을 장려하다가 1916년 귀미와 다마금을 추가했다. 1차 보급계획을 시작한 1921년에 다시 금과 이세진자伊勢珍子를 더해 6종을 장려종으로 정했다. 경상남도는 도, 곡량도, 조신력(1929년부터 산구중신력山口中神力으로 바꿈), 다마금을 장려종으로 정했다.

 

이러한 우량품종들은 때마다 성쇄도 격심하여 1915년 가장 많이 심던 조신력은 10년 뒤인 1925년 곡량도에 그 자리를 물려준다. 그러고 한 10년 뒤인 1937년에는 은방주, 곡량도, 육우 132호 세 종류가 논벼를 기르는 논의 62.6%를 차지한다. 그러면 이를 통해 일제는 산미증식계획을 달성했는가? 꼭 그렇지만은 않다. 품종 개량과 함께 수리시설이나 비료가 늘어야 수확량이 늘어날 수 있다. 하지만 그런 여러 여건은 품종 개량을 따르지 못했다. 조선총독부에서 조사한 우량품종과 토종의 수확량 차이를 보면 다음과 같다.

 

년도  우량종  토종  차이

1912  1.267   0.754  0.513

1913  1.348   0.792  0.556

1914  1.354   0.900  0.454

1915  1.214   0.765  0.449

1916  1.220   0.773  0.447

1917  1.181   0.717  0.464

1918  1.164   0.833  0.331

1919  1.004   0.641  0.363

1920  1.091   0.783  0.308

1921  1.059   0.747  0.312

1922  1.074   0.781  0.293

1923  1.070   0.770  0.329

단위 섬

 

처음에는 꽤 차이가 났지만 점차 줄어들고 있다. 우량품종이 열성으로 퇴행해서 그렇다고 할 수도 있지만 앞서 말했듯이 여러 여건이 뒷받침되지 않음 점, 특히 일본농법이 조선의 현실에 적응하지 못했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우량종은 토종에 비해 지력을 많이 쓰기 때문에 거름을 더 잘해야 하는데 그러지 못한 결과이다. 그러다 보니 우량종을 심는 농민들은 판매 비료에 점점 더 의존하게 되고 그럴수록 가계는 자본에 압박을 당하는 결과를 불러왔다. 전북 지역에서 비료를 사는 데 쓴 돈만 들어보자.

1915년 7,2002원,

1920년 33,4015원,

1925년 82,3598원,

1929년 439,2837원,

1934년 574,0329원,

1935년 728,7516원,

1936년 1050,5385원.

이것만 봐도 거의 150배가 늘었음을 알 수 있다. 조선농회에서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한 농가에 평균 경영비는 337.070원이었는데 그 가운데 비료값이 65.565원으로 약 21.56%를 차지했다. 농가조사개황조사라는 자료를 보면, 자소작농은 1932년 비료값으로 13.5원을 쓰다가 1937년에는 38.2원을 쓰고, 소작농은 1932년 8.7원을 쓰다가 1937년 28.7원을 쓰고 있다. 이를 통해 1930년대 후반으로 갈수록 비료를 많이 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비료의 소비 증가와 함께 직접적으로 지주제를 강화하는 것은 비료값의 부담 관계이다. 비료값의 부담비율은 일반적으로 소작료를 지불하는 방법과 공과금을 부담하는 방법, 볏짚을 나누는 방법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소작료를 지불하는 방법에 따라 결정된다. 정조의 경우 소작인이 모두 부담하고, 타조나 집조의 경우 수확물의 분배율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당시 소작료 지불 방법은 대개 타조가 일반적이었다. 그 경우 관례는 지주와 소작인이 반씩 부담하는 것이다. 하지만 지주는 사용할 비료의 종류와 양도 정하여 소작인에게 지시할 수 있었던 상황임을 감안하면 당시 비료값 부담 관계에서 지주가 우월한 지위를 바탕으로 전액부담을 회피하고 소작인과 반씩 나누었고, 경우에 따라서 전액을 부담하게 하는 사람도 있었다.

 

 

 

 

 

출처 : 돌터
글쓴이 : 金石基 원글보기
메모 :
728x90
728x90

경북 의성군 단북면 효제리에 있는 경상북도 원종장 의성분장에서

2007.7.23

 

붉은찰벼는 잎이 붉어서 붉은찰벼라는 이름이 붙었다.

찰벼이니 물론 찰기가 강한 벼이다.

쌀의 색은 일반 벼와 다를 바 없다.

아래 사진에서 일반 논과 눈에 띄게 다른 모습을 볼 수 있다.

 

728x90

'곳간 > 사진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벌교, 계두리  (0) 2008.07.07
송정리역 일본식 주택  (0) 2008.06.18
서둔깨  (0) 2008.06.18
자주감자  (0) 2008.06.05
다마금  (0) 2008.05.21
728x90

 

키가 커서 잘 쓰러진다는 적토미.

하지만 맛은 기가 막히다고 한다.

잘 팔리다가 유통업자가 일본에서 홍미라는 쌀을 들여오는 바람에 값이 폭락해,

이제 농사짓기 어려운 적토미는 잘 하지 않으려 한다고 한다.

이 벼는 신기하게도 벼 이삭도 사진처럼 붉다.

728x90

'곳간 > 사진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주감자  (0) 2008.06.05
다마금  (0) 2008.05.21
토종 고추  (0) 2008.05.21
검은 수수  (0) 2008.05.21
제비콩  (0) 2008.05.21
728x90

전통농업에서 배우자(33)-장흥 이영동 선생
토종 작물 육종하는 재미, 안 해본 사람은 모르지요



 

흙살림 전통농업위원회는 전남 장흥군 용산면 쇠똥구리마을에 사는 이영동(56) 선생을 찾아뵙고 왔다. 선생께서는 약다산 자락에 자리한 농장에서 토종을 보존하는 일은 물론 ‘야생화를 사랑하는 사람들의 모임’이란 단체도 이끌고, 쇠똥구리마을 추진위원장도 맡으며 바쁘게 살고 있다. “농민이 가장 훌륭한 육종가”라는 말을 몸소 실천해 여러 가지 실험과 도전을 하며 열성적으로 토종을 보존하여 토종농사의 귀감이 되고 있다.

 



 

- 토종 종자를 얼마나 보존하고 있으신가요?
= 모두 22작물 60여 품종을 재배하고 있습니다. 씨를 보존하려고 하는 정도라서 조금씩밖에 못합니다. 경제적으로 보탬은 안 되지만 내가 좋아서 하는 일이죠. 옛날 고구마나 옥수수 같은 것만 봐도 맛이 좋습니다. 그런 뜻에서 보존하지 다른 뜻은 없습니다.

 

- ‘야생화를 사랑하는 사람들의 모임’은 어떤 모임인가요?
= 어릴 때부터 보던 논둑, 밭둑의 풀들이 없어지는 걸 보면서 이걸 재배해서 자원으로 이용할 수 없을까 해서 만든 모임입니다. 회원은 모두 16명이지요. 요즘 삭막해져 가는 정서를 야생화로 순화할 수 없을까 하는 생각에 매년 전시회도 하고, 취미 삼아 그냥 합니다. 또 야생화는 다 약초가 됩니다. 이걸 재배하는 실험도 하고 있습니다. 이 지방에는 난대 식물부터 냉대 식물도 있습니다. 지역은 남쪽이지만 산이 800고지가 넘어서 그렇습니다. 야생화가 있다고 함부로 채취하지 않고 씨를 받아서 증식시킵니다.

 

- 보존하고 있는 토종 종자 가운데 특이한 것 좀 소개해 주세요?
= 먼저 적토미가 있습니다. 일본에도 붉은쌀이 있는데, 확실하진 않지만 고려 때 우리나라에서 적미가 일본으로 갔다고 합니다. 이 벼는 알이 작은데, 너무 끈적거리는 찰벼라서 꼭 다른 것과 섞어서 먹어야 합니다. 또 키가 아주 커서 가슴까지 자라서 잘 쓰러져요. 그래서 일반적으로 비료로 재배하기 힘듭니다. 하지만 맛이 아주 좋습니다. 지난해까지만 해도 성남 농협과 결연해서 모두 팔았는데, 일본에서 홍미가 들어오면서 올해는 취소됐습니다. 홍미보다 맛이 더 좋지만 홍미가 싸게 들어오면서 소비자들이 외면했지요. 이 일을 겪으면서 소비자에게 값으로 접근하기보다는 맛과 질로 홍보해야 팔린다는 걸 알았습니다.
또 다마금이 있습니다. 이건 1920년대부터 심던 것인데 아마 일본에서 왔을 겁니다. 상남 밭벼는 찰벼인데, 옛날에 결혼하는 날 이걸로 주먹밥을 해서 줬습니다. 이 쌀로 주먹밥을 하면 며칠 뒤에도 굳지 않습니다. 녹토미라는 것도 있습니다. 이건 극만생종이라 빨리 심어도 이모작보다 늦게 서리 맞고 벱니다. 껍질을 까면 쌀이 푸른색이지요. 흑미도 있는데 이 흑미는 일반 흑미보다 알이 작습니다. 그래서 모르는 사람은 까만깨인 줄 압니다. 이것도 아주 맛이 좋습니다. 속까지 다 검진 않지만 도정해도 조금 검은빛이 납니다. 이것 말고도 벼는 모두 10여 가지가 있고, 새로 육종하고 있는 것들이 있습니다.
이밖에 보리와 밀이 1종씩 있고, 콩 종류는 10가지 이상 있습니다. 콩 중에는 제비콩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이건 한약재로도 쓰고, 옛날에는 주로 콩나물로 많이 먹었습니다. 1950년대부터 내려오는 노란 옥수수, 단단하고 바람이 잘 안 드는 조선무, 잘 타고 올라가 수확량도 많은 울타리콩 등도 있습니다. 요즘 중국에서 팥이 많이 들어오는데, 여기 있는 우리 것은 좀 어두운 붉은 색이지만 중국 팥은 선명하게 빨갛습니다. 제가 재배하는 토종 감자는 맛은 좋은데 좀 씁니다.
고추도 옛날부터 심던 것을 그대로 심습니다. 껍질이 얇아서 햇볕에 조금만 내놔도 잘 마릅니다. 먹으면 처음에는 사근사근하다가 나중에는 좀 매운 맛이 납니다. 이조는 어디서든 잘 크고 재배하기도 쉽습니다. 보통 조의 반 정도 크기밖에 안 합니다. 이건 방아를 안 찧고 그냥 먹을 수 있습니다. 토종 가지도 있는데 가지가 굵고 크지만 수량이 많지 않습니다. 개량종은 지금 그냥 먹으면 맛이 없지만 이건 지금도 맛있게 먹을 수 있습니다. 개량종에 비해 토종이 줄기도 굵고 잎도 더 큰 편입니다.

 

- 특이한 벼가 많은데 논농사는 어떻게 짓나요?
= 요즘 벼는 다 농약과 화학비료에 길들여져 있습니다. 옛날에는 거름도 별로 없을 때라서 산풀을 베다가 넣었습니다. 그건 땅을 실하게 하지요. 봄에 모내기 전에 넣기도 하고, 보리를 베기 전에 그냥 갖다 놨다가 보리를 베고 물을 대기도 했습니다. 그럴 때는 갈잎도 넣고 여러 풀도 넣었는데, 거기에는 무수한 성분이 들어있지요.
지금은 로터리로 위만 부드럽게 하는데, 그러면 밑에는 딱딱한 형성층이 생깁니다. 지금 논들은 조금만 파면 아래에 딱딱한 형성층이 있습니다. 이 층을 깨야 산소와 뿌리가 깊이 들어갈 수 있습니다. 지금 논의 구조를 보면 거대한 화분처럼 밑이 막혀 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거기에다가 키 큰 벼를 심으면 다 쓰러져 버리죠. 그러니까 옛날처럼 깊이 쟁기질하고, 넓게 심으면 되겠지요. 토종은 토종 농법으로 해야 합니다. 형성층이 생기지 않게 깊이 쟁기질하면 뿌리가 깊게 뻗을 수 있습니다. 또 요즘은 지나치게 배게 심습니다. 그래서 통풍도 안 되고, 웃자라다 보니 쓰러짐에 약합니다.
제가 처음 트랙터를 배웠을 때인데, 솜씨가 서툴다보니 쟁기가 깊이 들어가 갈았습니다. 그러니 키가 커도 잘 쓰러지지 않고 수확도 많은 것을 경험했습니다. 솜씨가 좋아지면서 얕게 갈다보니 오히려 잘 쓰러지더군요. 그걸 보고 맛 좋고 질 좋은 토종 종자와 그에 알맞은 농법이 중요하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지금 나온 신품종 농작물은 사람에게 길들여져 있고, 농약과 화학비료에 길들여져 있습니다. 논밭 구조도 현 신품종에 맞게 쭉 길들여져 있습니다. 우리나라 사람, 우리나라 농민들까지도 다 길들여져 있습니다. 그렇다고 신품종이 다 안 좋다는 것은 아닙니다. 좋은 신품종도 많이 있습니다. 교배를 하면 할수록 야생성은 없어지고, 농약과 화학비료를 쓰지 않으면 안 된다는 데 거기에 문제가 있는 것입니다. 나의 고민도 거기 있고, 여러분의 고민도 거기 있는 것 아닙니까?

 

- 토종이 좋은 점은 무엇입니까?
= 앞에서 말한 것 말고도 토종은 키가 커서 자라기만 하면 얼른 주위를 장악해서 제초하는 노력이 덜 듭니다. 크게 잘 자라니 풀들이 힘을 못 쓰는 것이지요. 그래서 더 멀리 심어야 합니다. 개량호박이나 오이를 보면 넝쿨이 많이 안 뻗지만 조선 호박이나 오이는 엄청 뻗습니다. 또 토종은 씨가 많다는 특징도 있습니다.

 

- 종자 보관은 어떻게 하시나요?
= 냉동고에 보관해보니 4~5년이면 잘 나지 않습니다. 나더라도 발아율이 엄청 떨어집니다. 저 같은 개인은 종자은행도 없으니 해마다 재배하는 수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많이는 못하고 조금조금씩 잃어버리지 않으려고 해마다 심습니다. 예전에 잠깐 다른 데 나갔다 왔는데 철을 놓쳐서 한 20여 종을 잃어버린 적이 있습니다. 그렇게 한 번 잃어버리면 얼마나 안타깝고 서운한지 모릅니다. 진짜 맘이 아픕니다. 어디 가서 씨앗 하나만 구하면 참 재미가 있어요.
논을 다닐 때도 특이하게 자란 것이 있으면 눈여겨보며 지나다닙니다. 이것저것 가져다가 육종하면서 제가 생각한대로 나오면 참 재밌습니다. 다른 사람들은 뭐하냐고 해도 저는 너무 재밌어서 그것만 쳐다보고 있을 때도 있습니다. 이걸 욕심 같아서는 다른 것도 더 많이 하고 싶지만 여건상 힘들어서 참습니다.

 

- 마지막으로 저희에게 하고 싶은 말씀은 없으신가요?
= 농촌 현실이 어려워 지금은 빚 없는 집이 없습니다. 기회만 되면 땅이라도 팔아서 빚 갚으려고 하는 실정입니다. 그러다 보니 농심은 어디 가고 돈이 되면 무슨 짓이든 다 하는 지경이 되었습니다. 농심이 변했지요. 그게 제일 어렵습니다. 토종이 아직은 현실에 맞지 않지만 이제부터는 슬슬 기회가 왔다고 생각합니다. 요즘 사람들은 맛을 우선시하는데 토종의 맛은 신품종이 따라올 수 없습니다.
60~70년대 산업화되면서 도시로 나간 사람이 많아요. 저도 친구 따라서 서울에 갔지만 6개월 살고 내려와 버렸습니다. 지금 생각하면 옥수수, 고구마 맛 때문인 것 같아요.
토종 농작물은 우리 조상들과 함께 해온 식물이고, 우리 조상들이 먹고 살아온 작물입니다. 그중에 희로애락도 있을 것이고, 많은 토종 농작물에 대한 사연도 있고, 문화도 농심도 있습니다. 몇 천 몇 백 년 내려온 씨앗들이 60~70년대 산업화되면서, 농사도 돈벌이로 전락하면서 수확을 많게 개발하다 보니까 맛은 없어져 버리고, 땅은 땅대로 버렸습니다. 지금부터라도 옛날 맛과 땅을 살려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토종 농작물의 장점은 너무나 많습니다. 이 땅에 알맞기 때문에 지금까지 살아왔습니다. 야생성이 강하고 원종에 가깝기 때문에 병충해에 강하고 어느 토양이나 기후에도 적응성이 강해서 농약이나 화학비료가 필요 없습니다. 또 키가 크고 무성하게 자라기 때문에 잡초도 이길 수 있습니다. 지금도 새로운 신품종들이 수없이 많이 나오지만 맛은 토종을 따라갈 수 없습니다. 단점은 현실 농업에 맞지 않습니다. 키가 크기 때문에 쓰러짐에 약합니다. 또 수확량이 적습니다. 수확량이 적고 현실 농업에 맞지 않다는 것은 지나친 욕심 때문이 아닐까요?
토종 농작물은 미래의 농업 유전자원으로 보존되어야 하고, 재배도 많이 해야 합니다. 덧붙여 자연의 문제는 자연을 이용해서 자연적으로 해결하는 방법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아무튼 흙살림에서 이런 운동을 한다니 정말 반갑고, 더운 날씨에 이곳 먼 구석까지 찾아 준 여러분께 정말 감사드립니다.

<정리 : 김석기(흙살림 전통농업위원회 위원)>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