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13 수경재배는 친환경인가? 요즘 수경재배 또는 양액재배 방식이 급속도로 퍼지고 있다. 시설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노지 재배에 비하여 작물의 성장과 병해충을 통제하고 조절하는 것이 용이하며, 그에 따라 상대적으로 농약과 비료에 덜 노출되기 때문에 친환경이란 이미지까지 얻을 수 있어 그런 듯하다. 더구.. 2016. 4. 23. 농사에서 생물다양성이 왜 중요한가 북부 대평원의 옥수수 생산을 관찰한 연구에서 곤충의 생물다양성이 더 낮은 농경지가 해충 문제에 더 취약함이 밝혀져, 곤충의 다양성이 농약의 필요성을 줄일 수 있으며 다시 한 번 생물다양성이 회복력과 지속가능한 식량생산 체계에 중요함을 보여주었다. 그 연구 논문인 <해충 문.. 2015. 9. 2. 녹비작물을 심자 친환경농업이 바람을 타면서 여러 가지 농법들이 소개되고 있다. 어떠한 농법이든지 친환경이란 이름을 쓰려면 그 기본은 똑같을 것이다. 외부에서 가져오는 것을 최소화하며, 최대한 내부에서 자원을 순환시키라. 그러기 위해서는 농경지의 생태계를 살려서 활용하는 게 우선이다. 흙.. 2015. 1. 14. 먹을거리를 다시 생각하자 “우린 2050년까지 90억의 사람들을 먹여살려야 한다”는 말은 식량산업의 대표들이 생산과 지속가능성의 궁극적 목표로 드는 일반적인 후렴이다. 유감스럽게도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현행 방식은 경제적, 생태적, 사회적 측면에서 지속가능하지 않다. 오늘날의 투자된 돈은 소비의 증.. 2013. 6. 26. 많이 발전한 강동구 둔촌텃밭 2013년 6월 15일, 강동구에 있는 둔촌텃밭에 다녀왔다. 여기는 개장식할 때부터 해마다 봄가을에 오게 되는데 몇 년 사이 훌쩍 변했다. 처음 시작할 때보다 더 풍성해지고 다채로워졌다. 사람들의 농사 실력이 해가 갈수록 야물어지고 있다는 반증일 것이다. 처음 둔촌텃밭이 개장했을 때 .. 2013. 6. 23. 초파리의 건강에 유기농산물이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 연구진은 유기농산물을 먹은 파리가 자식도 더 많고 25% 더 오래 산다고 한다. (Photo:digicla/Flickr) 부모와 유기농산물을 구입하는 장점에 대해 논의한 뒤, Ria Chhabra 씨는 그 문제를 직접 다루어보기로 결심했다. 텍사스 고등학교의 학생 — 남부 메소디스트(Southern Methodist) 대학의 생물학자.. 2013. 6. 23.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