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동남지방통계청에서 <경상남도 최근 10년간 가축사육동향>을 발표.

경상남도에서 한·육우 20마리 미만 사육농가는 2008년 2만6668가구에서 2018년 8320가구로 1만8348가구(-68.8%)가 감소. 그런데 50마리 이상 사육농가는 2008년 840가구에서 2018년 1637가구로 2배 가까이 증가.

또한 한·육우 사육 마릿수는 2008년 26만3502마리에서 2018년 29만9413마리로 3만5911마리(13.6%) 늘어난 데 반하여, 같은 기간 사육농가는 2만9491가구에서 1만2015가구로 59.3% 감소.

그리고 돼지의 경우, 돼지 1000마리 미만 사육농가는 10년 만에 1/3 수준(927→329가구)으로 감소한 반면, 5000마리 이상 사육농가는 68%(25→42가구) 증가.

닭 1만 마리 미만 사육농가도 절반 이상(49→20가구) 줄었지만, 3만마리 이상 사육 농가는 34.2%(76→102가구) 증가.


한마디로, 축산업의 규모화가 착착 진행되고 있다.


728x90
728x90
나는 축산업에서만 항생제 남용이 문제가 되는 줄 알았는데, 현장에서 과수 농사를 짓는 분 이야기를 들으니 과수에서도 세균병 때문에 항생제를 엄청나게 뿌린다고 하신다.

그래서 오늘 아침에는 해당 내용으로 인터넷 검색을 하니 이런 글이 나왔다. 2013년에 작성한 내용인데, 세균병에는 항생제가 좋으니 돈 아까워하지 말고 팍팍 뿌리라는 게 골자이다. http://ecotopia.hani.co.kr/174181

축산업만이 아니라 과수농사에서도 흔하게 사용되는 게 항생제인가 보다. 그래도 괜찮은 건가? 특히 더 우려스러운 점은, 과수 농사짓는 분이 말씀하시길 320여 가지의 잔류농약 검사에서 항생제 항목은 없다고 하는 게 아닌가? 본인이 못 찾았을 수도 있지만 꼼꼼히 살펴보았는데 따로 없더라고 한다. 농산물 품질관리원 같은 곳에 전화를 해서 담당자들과 통화도 했는데, 담당자들조차 무슨 농사에 항생제를 뿌리냐는 식의 대응만 했단다. 나도 그런 점은 꿈에도 생각하지 못했으니 그 사람들도 그랬을 것이다. 농사를 모르는 사람들은 대부분 그럴 것이다.

누구 농산물에 항생제를 살포하고 잔류하는 문제에 대해서 아시는 분 없습니까? 축산업에서도 육류에 잔류한다든지, 슈퍼 박테리아의 발생률이 높아지는 문제로 항생제 사용을 줄이는 추세로 가고 있는데, 과수 농사 등에서는 그냥 막 뿌려도 괜찮은 겁니까?



728x90
728x90
한국 농업에서 축산업이 차지하는 생산액이 절반 정도라고 알고 있습니다. 이른바 축산업이 그나마 돈이 되면서 그 성장세가 가파랐는데요. 문제는 그렇게 늘어난 사육두수가 날마다 배출하는 똥오줌의 처리에서 불거지게 되었습니다.

한국에서는 2006년 '폐기물 배출에 의한 해양오염 방지에 관한 국제협약(런던의정서)이 발효되면서 본격적으로 가축분뇨의 해양투기를 금지했지요. 예, 그전에는 사람의 똥오줌만이 아니라 가축의 똥오줌 등도 모두 저 먼바다에 그냥 내다버렸답니다.

그래서 그에 대한 대책으로 추진한 것이 지역마다 가축분뇨 자원화시설을 설립하여 운영하는 일이었지요. 뭐, 예산이 많이 투자되기는 한 것 같은데 실제로 잘 운영되는지는 들여다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처음 계산은 이걸 설립하여 가동하면 축산업에서 배출되는 똥오줌 문제를 어느 정도 해결할 수 있지 않을까 했던 것 같습니다. 하지만 배출량이 워낙 많아서 그런지, 이걸 가동해서 액비를 만들어도 그걸 농업 현장에서 감당할 수 없어서 제대로 운영이 안 되는 것인지, 아니면 애초에 날림이어서 그런지 자세한 사정은 모르겠지만, 아무튼 이 똥오줌 문제가 제대로 해결이 안 된 것 같습니다.

정부기관에서는 2015년, 가축분뇨법을 개정하면서 더 엄격하게 축산업에서 배출되는 가축의 똥오줌을 관리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그러면서 당장은 축산농가에서 따르기 어려우니 3년의 유예기간을 주겠다. 그 안에 이 법안에 맞게 축사의 시설을 정비하라고 했지요.

그렇게 3년이 흘렀습니다. 당장 2018년부터 개정된 가축분뇨법에 따라 축사를 갖추지 못한 농가는 무허가시설이 된다고 합니다. 이 법안의 기준을 충족하는 농가는 현재 약 30% 수준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축산농가에서는 이 법안이 위헌이다, 현실을 고려해 유예기간을 더 주어야 한다 등등의 주장을 하고 있습니다. 이 법안을 처리하는 환경부에서는 이미 충분히 유예기간을 주어 더는 어렵다는 입장이지요.

우리가 이걸 강 건너 불구경을 하듯이 바라보고 있을 문제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당장 축산농가가 운영을 포기하거나 못하게 되면 고깃값이 오를 테고, 그러면 밥상에 들어가는 비용이 또 높아져 가계에 타격을 입히겠지요. 그럼 이걸 잡겠다고 정부에서 육류의 수입을 늘리려나 어쩌려나 모를 노릇이고요. 그렇다고 유예기간을 마냥 더 주라고 하기에도 어려운 입장입니다. 당장 가축의 똥오줌으로 인한 환경 피해가 알게 모르게 우리의 일상에도 악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이지요.

어떻게 해결하는 것이 합리적이고 현실적일까요? 쉽지 않은 문제인 것 같습니다.


728x90
728x90

아래의 질문은 한국 농업도 묻고 답해야 하는 내용이 아닌가 싶다. 공장식 축산이 이러저런 문제를 야기하고 있지만, 그를 포기하기 어려운 것도 현실이 아닐까? 그렇다면 공장식 축산과 그에 반대되는 생산방식이 서로 공존할 수는 없는 걸까? 공장식 축산을 포기한다면, 현재와 같은 상황에서 소득이 낮은 사람들에게는 분명 심각한 문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고기 단백질 섭취를 어떻게 그만두게 만든단 말인가. 콩으로 대체하기 힘든 그 맛과 유혹을... 


“우린 새로 떠오르는 경관을 충족시키고 브렉시트 이후 유럽연합의 법안을 대신할 새롭고 강력한 국내 규정이 필요하다. 하지만 사람들의 수요와 소비력도 고려해야 한다. 생산자들을 영국인들 대다수는 육류를 먹는다. 비난하기 쉽지만, 우린 methods to deliver를 정당화할 수 있는지에 관한 전국적인 논쟁이 필요하다. 나는 유기농 육류와 값싼 육류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지만, 저소득층은 가계소득 안에서 선택하는 데 고심할 수 있다."



728x90
728x90




농산물에는 유기농업 이전 단계로 무농약이라는 것이 있다. 말 그대로 농약을 쓰지 않고 농사지은 농산물에 붙여주는 인증이다.

그것과 마찬가지로 축산물에는 무항생제라는 것이 있다. 이건 항생제와 같은 약품을 쓰지 않고 가축을 사육했다는 뜻이다. 항생제는 가축의 질병을 치료하고 막는 데에도 쓰이지만, 축산업에서 더 중요한 역할은 살을 찌우는 데에도 있다고 한다. 그런데 이렇게 항생제를 남용한 가축의 살을 먹으면 어떻게 될까? 그것이 사람에게 직접적으로 위해를 가하는지는 솔직히 잘 모르겠다. 하지만 한 가지 확실한 것은, 그렇게 항생제를 남용한 가축의 살을 먹음으로써 항생제에 내성이 생긴 슈퍼 박테리아 등에 감염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점이다. 그러니까 이런 병균에 감염이 되면 어떤 항생제를 먹어도 치료가 되지 않아 죽을 확률이 높다는 말이다. 정말 위험한 일이 아닐 수 없다. 미국에서는 이런 문제로 연간 2만3천 명 정도가 목숨을 잃는다고도 하니 얼마나 위험한가.



그런데 아래 기사를 보면 정부의 무항생제 인증에 구멍이 뻥뻥 뚫려 있다는 것이 드러난다. 너무 안타까운 현실이지만 어쩌랴.

그뿐만 아니라 가축에게 먹이는 사료에도 잔류농약이 다른 나라에 비해 더 많을 수도 있단다. 가까운 일본보다 더 허술한 기준이 설정되어 있어 대충 아무거나 -싼 게 비지떡이라고 값싼 사료들이 그럴 가능성이 높을 것이다-상대적으로 허술한 잔류농약 기준에 걸러지만 않으면 되는 그런 사료를 사다가 사육된단다. 


제발 먹는 일과 관련된 일만이라도 엄격하게 다루었으면 좋겠다. 먹을거리로 장난질치는 일이 없었으면 좋겠다.


----------

정부가 인증한 ‘무항생제 축산물’이 실제로는 표시된 것과 달리 각종 약품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감사 결과 드러났다.


감사원은 지난해 10월 농림축산식품부, 농림축산검역본부 등 6개 기관을 상대로 축산물 안전관리 실태 관련 감사를 벌인 결과 이 같은 사실을 확인해 제도개선 방안을 마련하도록 통보했다고 30일 밝혔다.

감사결과 농림부로부터 무항생제 축산물 생산 인증을 받은 농가들도 도축전 일정 기간 약품을 사용하지 않는 휴약기간 규정을 제외하면 약품 사용 규정에 있어 일반 농가들과 사실상 차이가 없었다.

2013년 검사 결과 무항생제 축산물 인증농가가 사육한 소와 돼지에서 유해잔류물질이 검출됐고, 심지어 일부 인증농가는 일반 농가보다 한우 한 마리당 2배 가까운 약값을 쓴 것으로 조사됐다.

감사원은 “무항생제 축산물이 일반 축산물과 유사한 정도로 약품을 사용하고 있는데도 '무항생제'를 표시제도로 그대로 운영하는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가축 사료를 대상으로 하는 잔류 농약 검사 품목도 국제 추세에 비해 훨씬 느슨한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해 4월 농림부가 지정, 고시한 기준은 32개로, 국제식품규격위원회가 정한 국제규격인 코덱스(Codex)의 99개에 비해 3분의 1이 안 됐고, 일본의 68개에 비해서 절반에도 못 미쳤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http://m.kmib.co.kr/view.asp?arcid=0009288644&code=61111111&sid1=soc#cb


728x90
728x90

이런 인터뷰를 보았다.




문: 대공황 이후 양돈산업은 어떻게 변화했습니까?


답: 호멜식품(Hormel Foods)의 예를 들겠습니다. 1933년, 미네소타 오스틴에서 지역의 정육포장공장 노조 9곳이 파업을 했습니다. 1980년대까지 노조가 강하여 회사와 힘의 균형을 이루었죠. 1985년, 이 회사의 새로운 리더쉽이 50년 전 노조가 달성한 혜택을 뒤집어 버렸습니다. 노조는 자신들의 힘을 보여주겠다며 파업을 했으나 참패를 당했죠. 국제연합이 파업을 끝내라며 개입하고, 그 지역은 예전과 같은 협상력을 잃었습니다. 


그 이후 상황은 급변했습니다. 노동력은 주로 이민자들로 충당되었습니다. 기업은 노동자가 만족스럽지 않으면 그저 대체해 버리며 단순히 일회용으로 간주하는 듯했습니다.



-<Chain>의 저자 Ted Genoways 씨의 인터뷰 중


http://www.tedgenoways.com/

728x90
728x90

2011년 미국의 축산업에서 사용된 항상제의 양... 1만3562톤. 

인간에게 처방된 약의 약 4배에 이릅니다.


우리는 지금 고기를 먹는 건가요, 뭔가요? 


대량 밀집사육 방식은 짐승에게도, 사람에게도 몹쓸 짓입니다.





728x90

'곳간 > 사진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석유 없는 세상  (0) 2013.02.28
[스크랩] 이 사진의 이장면 그때를 아십니까? 70년대 퇴비증산운동...  (0) 2013.02.07
우유의 변신  (0) 2013.01.24
셰일가스와 환경오염  (0) 2013.01.07
수원, 화서문  (0) 2013.01.06
728x90


전주MBC 유룡 기자가 연출한 육식의 반란 마블링의 음모를 뉴스로 보도




728x90

'곳간 > 영상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양 관리의 중요성  (0) 2013.01.30
흙 이야기  (0) 2013.01.30
도시 양계  (0) 2013.01.18
라틴아메리카의 '두레' 조직  (0) 2013.01.18
중국의 옥상텃밭 이야기  (0) 2013.01.17
728x90




Dietary changes since the early 1960s have fueled a sharp increase in the amount of mined phosphorus used to produce the food consumed by the average person over the course of a year, according to a new study led by researchers at McGill University. Between 1961 and 2007, rising meat consumption and total calorie intake underpinned a 38% increase in the world's per capita "phosphorus footprint," the researchers conclude in a paper published online inEnvironmental Research Letters.

The findings underscore a significant challenge to efforts to sustainably manage the supply of mined phosphorus, a non-renewable resource widely used as fertilizer. When phosphorus is lost through agricultural runoff or sewage systems, it can pollute waterways downstream. In addition, because deposits are heavily concentrated in a few countries, global supplies and prices for the resource are vulnerable to geopolitical tensions.

In recent years, many researchers have explored how human activity has altered the phosphorus cycle in the environment and how management of phosphorus could be altered to ensure long-term sustainability. This new study sheds more light, in particular, on how diet choices have affected the intensity of phosphorus use around the world.

"Our results demonstrate that changes in diet can be a significant part of the strategy for enhancing sustainability of phosphorus management," says lead author Geneviève Metson, a doctoral student in McGill's Department of Natural Resource Sciences. "In particular, reduced consumption of meat, and especially beef, in countries with large phosphorus footprints could put a big dent in demand for mined phosphorus -- since it takes many kilograms of feed, which is fertilized, to produce a kilogram of meat."

Metson and her co-authors, Prof. Elena M. Bennett of the McGill School of the Environment and Arizona State University Prof. James J. Elser, computed phosphorus-footprint values based on annual country-by-country diet composition data from the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They calculated the total amount of phosphorus applied to food crops for humans and animals by using fertilizer-application rates available through the International Fertilizer Association, among other sources. The authors also examined the statistical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development and phosphorus-footprint values, and developed scenarios to consider the relative importance of diet changes.

"It is really remarkable how much influence changes in diet have had on our demand for this very limited resource," Bennett says. "As research in this area proceeds, it would also be interesting to learn how much of the phosphorus used in food production is able to be recycled and how much is currently reused. Food waste and human waste generally aren't reused today, but can be a valuable resource if turned into fertilizer or compost for use on nearby agricultural fields."

The research was supported by funding from the Natural Sciences and Engineering Research Council of Canada, Arizona State University's Sustainable P Initiative, and the U.S. National Science Foundation.


728x90
728x90

최종수정-88호_풀사료_이야기vF.pdf



1. 풀사료의 개념, 역사 그리고 의미

풀사료는 조사료(粗飼料)의 우리말로 목초(牧草)이외에도 채소류, 서류, 식량작물류, 담근먹이(사일리지) 등이 포함되는 개념이다. 풀사료는 인류가 동물을 가축으로 길들이던 때부터 이용하였고, 풀을 저장해 사료로 이용한 것은 기원전 1,500~2,000년경 이집트에서 시작했다고 추정할 만큼 그 역사가 깊다. 최근 들어, 농후 사료 중심의 공장식 가축사육 방식에 대한 논란이 가중되면서 풀사료가 가지는 여러 가지의 역할이 재조명되고 있다.

2. 풀사료 시장을 둘러싼 국내외의 흐름
이상기후와 바이오에너지 사용의 확대에 따라 과거처럼 싼 가격에 곡물을 수입해서 농후사료에 이용하는 것이 점차 불가능해지고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해외의 풀사료 수입을 고려할 수 있으나 최근 국제 풀사료의 가격도 역사상 최고수준을 기록하는 등 사정이 여의치 못하다.
따라서 국산화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 되고 생산과 이용도 활성화 되어 ’10년 우리나라 풀사료 시장의 규모는 약 1조 6천억 원, 자급률은 82% 수준까지 이르렀다. 우리나라는 초지 면적이 작지만 자급을 위한 논, 밭, 임야, 간척지, 유휴지 등의 잠재적인 생산 기반을 확보하고 있으며, ‘70년대부터 우리의 기후에 맞고 생산성이 높은 사료작물들이 개발되었고 최적의 생산 작부체계도 연구되고 있다.

3. 풀사료의 미래가치
질 좋은 풀사료의 충분한 공급은 건강한 가축을 키울 수 있어 축산물의 품질을 높이고 경영비를 절감하는데 기여할 뿐만 아니라 겨울철의 휴경지나 유휴지를 활용할 수 있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낸다. 또한 미래농업이 추구해야 할 ‘자원순환형 농업’의 중요한 고리로서의 역할과 국내 식량자급률의 향상 및 농가소득의 향상에도 크게 기여할 여지도 충분하다. 이러한 직접적인 가치 이외에도 풀사료의 생산 공간은 아름다운 경관, 교육 및 휴양처 등을 제공하며, 토양침식과 홍수의 방지, 대기정화 등 환경보전의 기능도 있다.

4. 시사점
풀사료가 가지는 다양한 가치를 충분히 활용하기 위해서는 ① 풀사료 산업을 단순히 가축의 먹거리를 생산하는 차원에서 탈피해 우리농업의 새로운 기회로 활용할 수 있다는 인식의 전환이 요구되며, ② 풀사료 산업의 조기 정착과 새로운 패러다임 발굴을 위한 다양한 연구와 집중적인 투자도 필요하다 ③ 또한 최근 지자체나 생산자 단체가 적극적으로 풀사료 재배 및 자급 노력에 힘쓰고 있는 상황에서, 이를 조율하고 지원할 수 있는 시스템의 마련도 필요하다.


최종수정-88호_풀사료_이야기vF.pdf
1.84MB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