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계8 지리산지 벼농사의 관개 체계와 물 관리 체계 2025. 4. 4. GMO 논쟁의 사회적 결과 읽고 생각해 볼만한 문제이다. 알아야 비판할 수도 있는 법이다. ------------------------------https://scimoms.com/social-consequences-gmo-debate/ GMO 논쟁은 20년 동안 계속되고 있지만, 사실 이 논쟁은 GMO에 관한 것이 아니다. 오히려"GMOs"는 여러 가지 매우 실질적 우려들에 대한 입장이 되었다. 먹을거리 공.. 2019. 9. 10. 농생태학 -26장 지속가능한 농업생태계에서 지속가능한 먹을거리 체계로 농생태학: 지속가능한 먹을거리 체계의 생태학 26장 지속가능한 농업생태계에서 지속가능한 먹을거리 체계로 이전 장에서 우리는 먹을거리 체계의 가장 중요한 두 부분인 먹을거리를 재배하는 사람과 그걸 먹는 사람을 다시연결해야 할 필요성에 초점을 맞추었다. 지역화된 대안 먹을거.. 2019. 6. 4. 농생태학 농민들은 어떻게 산업형 농업에 도전하고 있는가? 전 세계에서 혁신적인 농생태학 농민들이 점점 더 산업형 농법에 도전하고 있다. 지역적·과학적 지식을 결합시켜, 늘어나는 인구를 먹여살리고 기후변화와 물 부족, 시장 변동성에 대처하기 위해 탄력적 사고를 실천으로 옮긴다. 12년 전인 2006년, Haregu Gobezay 씨는 실업자였고, 6명의 자녀.. 2018. 8. 13. 우리가 필요한 건 농민과 소비자와 환경을 지원하는 농장이다 지난 몇 년은 많은 미국의 농민과 축산인들에게 힘든 시기였다. 올해 순수 농가소득은 4년 연속 소득의 감소로 2013년의 절반 수준으로 떨어질 수 있어 일부 생산자들은 대안을 모색하고 있다. 그와 함께, 농촌과 도시의 미국인들은 농업과 관련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수질오염이 점점 더 .. 2017. 3. 10. 2015년 4월 16일, 그로부터 1년 발단은 이 글이었다. 세계의 살충제 사용량이 예상보다 수질을 심하게 오염시키고 있다는 관련 논문이다. http://www.sciencedaily.com/releases/2015/04/150414083714.htm 이를 보다가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다. '분명 한국에서도 농민들이 무식하게 농약을 팍팍 치니까 그렇다고 할 사람이 있겠지...' 그래.. 2015. 4. 16.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