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적재산권5 씨앗은 공공재이다 흥미로운 연구결과.현대의 산업화된 농업에서와 달리, 과거 농사를 지었던 농부들은 주로 선발 육종이란 방법을 활용하여 품종을 개량해 왔다. 간단히 말하여, 논밭에서 재배하던 작물 가운데 자연적인 돌연변이 현상으로 인해 이상하게 생기거나 독특한 놈이 나타나면 그 씨앗만 따로 .. 2017. 9. 4. 소농의 기본권인 종자권 씨앗이 없으면 농업도 없다.[1 파종과 수확을 위한 종자 또는 기타 식물의 생식기관(식물체, 삽수, 접수, 구근, 덩이줄기 같은)] 농경이 시작되고 1만 년에 걸쳐[2 프랑스 농업부: http://agriculture.gouv.fr/histoire/2_histoire/index_histoire_agriculture.htm], 농민은 자신의 수확물에서 구애를 받지 않고 이듬.. 2017. 6. 20. 대형 종자회사가 농민들을 고소하다 2월 19일, 미국 대법원에서는 "Bowman 대 몬산토 주식회사"가 GM종자 특허를 두고 소송이 진행된다. 한편 ‘Center for Food Safety’와 ‘the Save Our Seeds’는 이번과 유사한 소송 사례들을 묶어서 "종자 거인 대 미국의 농민(Seed Giants vs. U.S. Farmers)"이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3. 3. 14. 종자 거인 대 미국 농부 Seed-Giants_final.pdf 목차 서문 요약 1장 -종자 통제: 기업의 종자 탈취 -미국의 종자 역사 농부 육종가 공공 부문 사적 부문 -용감한 새로운 세계: 새로운 지적재산권 패러다음으로 식물특허법 식물품종보호법(PVPA) -식물특허에 영향을 미치는 전례없는 법적 결정 -유전자조작(GE) 종자의 역할 .. 2013. 2. 26. 페미니즘과 식량주권 니카라과 북부 Matagalpa 지역의 소농 식량주권은 여성의 권리를 진전시킬 기회를 제공하지만, 농촌 가족과 우리의 운동 안에서 성별 관계를 변화시키기 위해서도 힘써야 한다. La Via Campesina 같은 소농운동은 식량주권과 페미니즘을 연결하기 위한 도전 단계까지 나아가야 한다. Pamela Elisa Ca.. 2012. 11. 30.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