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우리가 먹는 것은 우리의 건강만이 아니라, 지구 자체에도 해를 끼칠 수 있다. 해마다 인간이 생성하는 온실가스 배출의 약 1/4은 우리가 세계를 먹여살리는 데에서 비롯된다. 그 대부분은 소가 방출하는 메탄, 화학비료의 질소산화물, 작물의 재배나 가축의 사육을 위한 산림 파괴 등에 의한 것이다.    

이러한 가스는 지구의 대기권에 열을 가두어 놓게 한다. 온난화된 세계에서 홍수나 가뭄 같은 극한의 기상이 빈번해지고 심해져, 작물을 파괴하고 농사철을 방해한다. 그 결과 기후위기는 이미 먹을거리 공급을 불안정하게 만들어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 농업의 과제는 광대하며, 세계의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늘어날 것이다.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의  새로운 기후와 토지에 대한 특별보고서는 세계의 토지 이용, 농업 및 인간 식단의 급격한 변화 없이는 지구의 온도 상승을  1.5°C 미만으로 유지하려는 목표를 지닌 온실가스 배출 억제 노력은 실패할 것이라 경고한다.

환경이나 복지의 다른 측면을 해치지 않으며 영양가 있는 먹을거리를 생산하는 먹을거리 체계가 절실하게 필요하다. 하지만 생물다양성 상실과 오염을 반전시키면서 수십억의 사람들을 부양할 충분한 먹을거리를 생산할 수 있을까

여기에 고고학자와 인류학자가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한다. World Archaeology에 실린최근 논문은 과거의 농업 체계를 탐구하여 그것이 오늘의 농업을 더 지속가능하게 만드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방법을 찾는다. 


남아메리카의 운하와 옥수수

세계에는 먹을거리를 생산하는 방식을 실험한 오랜 역사를 지닌 사회들이 있다. 이러한 과거의 성공과 실패는 인간이농업을 통해 어떻게 지역의 환경을 변형시켰으며, 수천 년 동안 토양의 특성에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한 관점을 제시한다. 

고대의 농법이 늘 자연과 균형을 이룬 것은 아니었다. – 초기의 먹을거리 재배자들이 과도한 방목이나 관개를 잘못 관리해 토양 염분을 높여 자신의 환경을 손상시켰다는  증거들이 있다. 하지만 과거의 먹을거리 재배 체계가 토양의 질을 개선하고, 작물의 수확량을 증가시키며, 홍수와 가뭄으로부터 작물을 보호한 사례도 많다. 

한 사례가 잉카 이전의 남아메리카에서 기원하여, 기원전 300년-기원후 1400년 사이에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다.  와루와루Waru Waru라 알려진 그 체계는 수로로 둘러싸인 높이 2미터, 너비 6미터의 높임 두둑들로 이루어졌다. 티티카카 호수 주변에서 1960년대에 연구자들이 처음으로 발견한 이 높임 두둑 체계는 이후 수십 년 동안 볼리비아와 페루의 습지와 고원 지역에 도입되었다. 


와루와루에서 이용되는 운하는 기후변화에 더 탄력적으로 먹을거리를 생산할 수 있게 돕는다.



어떤 프로젝트는 실패했지만, 대부분은 지역의 농민들이 화학물질을 이용하지 않고도 작물의 생산성과 토양비옥도를 개선하도록 해주었다. 지역의 다른 농법과 비교하여, 높임 두둑은 가뭄 기간에 물을 포획하고 비가 너무많이 오면 물을 배출한다. 이렇게 연중 작물에 관개를 한다. 운하의 물은 열을 보유하여 두둑 주변의 기온을  1°C 정도 높여 서리로부터 작물을 보호한다. 수로를 서식지로 삼는 물고기가 먹을거리를 추가로 제공한다. 

아직 연구가 진행중이지만, 오늘날 이러한 와루와루 체계는 세계에서 가장 큰 습지 가운데 하나인 볼리비아의 야노스 데 목소스Llanos de Moxos를 포함한 남아메리카 전역의 농민들이 자주 활용하고 있다. 기후변화로 예상되는 홍수와 가뭄의 증가에 와루와루 농업이 더 탄력적일 수 있다. 또한 한때 작물 재배에 부적합하다고 여겨진 열악한 서식지에서 먹을거리를 재배할 수 있어, 열대우림을 벌채하는 압박을 완화시킬 수도 있다. 


해충을 방제하는 아시아의 물고기

대규모 단작은 오늘날 사람들에게 훨씬 친숙한 농법이다.  이는 광대한 농지에 더 쉽게 관리하며 많은 수확량을 보장하기 위해 한 가지 유형의 작물만 재배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 방법은 토양비옥도를 떨어뜨리고, 자연서식지를 손상시키며, 생물다양성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이런 농장에서 사용되는 화학비료는 하천과 바다로 침출되고, 농약은 야생생물을 죽이고 내성을 지닌 해충을 만든다. 

여러 작물을 재배하고, 다양한 가축을 사육하며, 보존을 위해 여러 서식지를 남겨두면 앞으로 있을 날씨의 충격에 먹을거리 생산을 더 영양가 있고 탄력적으로 만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 많은 생계를 창출하고 생물다양성을 재생할 수도 있다. 

고려할 것이 많은 것 같지만, 여러 고대의 농법이 단순한 수단으로 이러한 균형을 이루었다. 그 가운데 일부는 오늘날에도 이용된다. 중국 남부에서, 농민들은 한나라 후기로 거슬러올라가는 방식으로 자신의 논에 물고기를 추가한다.  

물고기는 단백질 공급원을 추가하기에, 이러한 체계는 일반적인 벼농사보다 더 많은 먹을거리를 생산한다. 일반적인 벼의 대규모 단작과 비교해 또 다른 장점은 농민들이 비싼 화학비료와 농약을 절약한다는 점이다.  – 물고기가 잡초와 벼멸구 같은 해로운 해충을 잡아먹어 천연 해충 방제를 제공한다. 


벼논양어의 논은 더 많은 먹을거리를 생산하고, 화학 농약을 더 적게 사용한다. 


아시아 전역의 연구에 의하면, 벼만 재배하는 논에 비교해 벼논양어의 논은  벼 수확량이 최대 20% 정도 증가하여, 가족이 자급하며 잉여 농산물을 시장에 판매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벼논양어 논은 소농의 공동체에 필수적인데, 오늘날 대규모 단작의 벼 또는 양식업을 확장하려는 대기업에 밀려나고 있다. 

벼논양어 농법은 물을 오염시키고 온실가스를 생성하는 농화학물질을 덜 쓰면서 현행 대규모 단작보다 더 많은 사람을 부양할 수 있다.  

이들 고대의 농법이 거둔 지속적인 성공은 우리가 전체 먹을거리 체계를 재구성하여 100억 명의 사람을 부양하는 한편, 야생생물이 다시 활기를 되찾고 탄소를 격리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상기시킨다. 이미 있는 걸 다시 만드느라 시간을 낭비하는 대신, 과거에 효과적이었던 걸 찾아 미래에 적용시켜야 한다.  


https://theconversation.com/feeding-the-world-archaeology-can-help-us-learn-from-history-to-build-a-sustainable-future-for-food-117601

728x90

'농담 > 농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농사잡록 1 -식물을 길들이는 인간 1부  (0) 2019.09.22
밀-콩 사이짓기  (0) 2019.09.19
토양을 건강하게 유지하는 길  (0) 2019.07.25
천적을 위한 공간  (0) 2019.07.23
제초 로봇  (0) 2019.07.12
728x90

전통농업으로 전환하는 것은 공룡의 소멸 이후 최악의 멸종 위기를 막을 수 있는 방법으로 보인다. 



중국의 논에서 물고기를 키운다거나 호주 원주민의 불을 놓는 법 등 고대의 농법이 동식물의 멸종을 늦추는 계획에 중요한 수단이 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이 이야기했다. 

전통농업으로 전환하는 것은 인구의 증가로 인한 자연 서식지의 파괴 등으로 6500만 년 전 공룡의 소멸 이후 최악의 멸종 홍수가 닥칠 위기를 막는 방법이 될 수 있다고 유엔의 연구결과에서 밝혔다. 

식량 공급부터 의약품까지 모든 것의 기반을 형성하는 야생생물의 다양성을 보호하기 위한 방법을 찾고자 모인 115개국의 단체 터키에서 토착민들의 방법을 되살리고 촉진하는 방법을 찾을 것이다. 

"토착지식과 지역의 지식은 생물다양성의 손실을 막고 생물다양성을 보존하는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고 Intergovernmental Platform on Biodiversity and Ecosystem Services (IPBES)의 의장 Zakri Abdul Hamid 씨는 말한다. 

세계 각지의 전통농업을 비교하고 어떤 농법을 다른 곳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1200년 동안 중국 남부와 다른 아시아 국가들에서 사용한 농법인 논에서 물고기를 키우는 방법은 해충을 줄일 수 있다. 대부분의 근대적 논에서는 물고기를 키우지 않는다. 

이 농법은 "대규모 단작과 비교하여 농약 사용을 68% 감소시키고, 화학비료는 24%나 덜 쓸 수 있다"고 IPBES의 보고서는 말한다. 농약은 목표로 하는 것보다 다른 훨씬 많은 종을 죽이곤 한다.  

호주, 인도네시아, 일본, 베네수엘라 같은 나라의 일부 농촌에서 행하는 화전은 건기에 파괴적인 불꽃이 퍼지는 걸 방지하는 방화대 모자이크를 생성할 수 있다고 한다. 

작은 불은 야생생물이 큰불에서보다 훨씬 쉽게 피해 달아날 수 있어 멸종의 위험을 줄인다.

호주에서 이러한 보호법은 느린 산림 벌채로 원주민들에게 탄소크레딧을 발생시킨다. 산림 벌채는 인간이 만드는 온실가스의 1/5을 차지하여 지구온난화의 원인으로 비난받고 있다. 

지난 6월, 호주의 Indigenous Land Corporation는 대초원에 불을 놓기 위해 2만5천 톤의 탄소크레딧을 판매했다고 한다. 최초의 오픈마켓 판매에서 1톤당 20호주달러 이상으로 셰브론에 판매했다.

나무와 기타 식물들은 재배할 때 대기에서 인간의 활동으로 발생하는 주요한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태우거나 썩힐 때 방출한다. 유엔 대학 연구소의 Sam Johnston 씨는 탄소시장이 다른 곳에서도 쓰일 수 있다고 한다. "아프리카와 라틴아메리카의 일부에서도 거의 동일한 상황임을 발견했다"고 이야기한다.

전통지식의 또 다른 사례로는 탄자니아에서 우기에 산허리가 침식되는 걸 막기 위해 빗물을 모으는 구덩이와 빙하가 녹는 것에 대한 위성자료를 보충하기 위한 북극 이누이트족의 기상관측이 있다. 

태평양 섬의 많은 공동체에서는 산호초 주위의 어류를 보호하기 위해, 예를 들면 일부 지역을 성지로 선포하여 낚시질을 금지시킨다. 

IPBES의 사무국장을 맡을 Anne Larigauderie 씨는 토착민들이 정부의 계획에 무시당하는 기분을 느낀다고 한다.  "그들의 지식에 대해 인정하고 받아들여야 한다"고 말한다. 

멸종을 늦추는 또 다른 노력에는 더 많은 보호구역을 만드는 야생생물보호에 관한 법류의 시행 등이 있다.




http://www.thereports.net/Article/2/5/72/308761/world/Traditional-Farming-Techniques-Could-Help-Limit-Ma.aspx

728x90
728x90

최근 몇 년 사이, 한국에서는 기후변화의 영향이 크게 나타나고 있다. 

대표적인 것이 장마이다. 장마의 양상이 여느 해와 달라지고 있다.

올해만 해도 마른 장마가 찾아오더니, 장마가 끝날 무렵이 된 지금도 계속 흐리고 습한 날씨와 간헐적인 폭우가 쏟아지고 있다.


예전 수리시설과 관정 등이 충분하지 않았을 시절에 이런 현상이 일어났다면, 장마를 중심으로 모내기가 이루어지던 당시 그야말로 굶어죽는 사람이 부지기수였을 것이다. 그런 맥락에서 대형 댐과 양수기에 감사를 해야 할까?

아무튼 작년에는 장마가 요상해지며 가을 날씨까지 영향을 미쳐 쌀 생산량이 심각하게 감소하기까지 했다. 그 덕에 쌀 자급률이 80%대까지 떨어졌고, 정부는 부랴부랴 쌀 생산량을 줄이기 위해서 논에 대체작물을 심도록 유도하던 농업정책을 철회하기에 이르렀다.

당분간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예측할 수 없는 날씨는 계속될 것 같고, 이는 농업 생산에 큰 타격을 입힐지도 모르겠다. 당연히 식료품 가격은 더 오를 수밖에 없다. 모르지, 수입산으로 그걸 메우려고 할지도 말이다.


아래의 글은 인도의 사례이다. 우리가 겪고 있는 상황과 크게 다르지 않은 모습이다.

---------



인도 나갈랜드 주의 북동쪽 디마푸르 외곽에 있는 논에서 농민들이 모내기하고 있다. 


지난 겨울 Vikas Chaudhary 씨의 밀밭은 이상한 쓰레기들로 어지러워졌다. 20년 이상 여기 뉴델리에서 북쪽으로 3시간 떨어진 Taraori의 농업지대에 사는 농민들은 겨울에 밀을 재배하고, 확실히 비가 내리는 여름에는 세계에서 가장 놀라운 수확량을 보여주는 남아시아 고유의 향기롭고 길쭉한 basmati 벼를 농사지었다.


하지만 지금은 벼 대신 옥수수 자루와 그 낟알이 땅에 분쇄되어 있다. 


기후변화는 인도 대륙 전역에서 계절풍의 양상을 바꾸어 놓으며 너무 절실히 필요한 강우량이 줄어들고 있다. 이것이 세계의 식량 공급에 대한 영향은 중대하다. 인도는 해마다 1억 톤의 벼와 곡물을 재배하는데, 다른 어떤 나라보다 벼를 재배하는 데 쓰이는 농지가 많다. 그리고 Taraori 지역은 세계에서 가장 basmati 벼로 유명한 곳이다. 


아마 오래되지 않았을 것이다. 여름철 장마 —여름의 바람이 바다에서 비구름을 몰고와 한달 넘게 한바탕 폭우를 쏟으며 땅을 휩쓴다— 는 6월부터 9월 사이 인도의 농장과 강, 저수지를 풍요롭게 해 왔다. 그들은 최근 몇 년 사이 늦게 도착하고, 또 주춤거리고 있다. 늦어진 비가 늦여름에 집중적으로 쏟아지며 작물에 해를 끼치고 홍수를 일으키고 있다.


“계절풍이 생명줄입니다”라고 Chaudhary 씨는 말한다. “그러나 지난 몇 번의 계절에는 우리가 비를 바랄 때 내리지 않았습니다.”




계절풍이 시작되면 나가족의 농민들이 인도 마니푸르 주의 동쪽에 있는 Senapati 지구에서 모를 심는다. 




이는 길게 늘어선 벼에겐 나쁜 소식이다. 진짜 basmati 벼는 진품 포도주가 프랑스의 포도밭에서만 나오는 것처럼 인도와 파키스탄에서만 수확된다. Taraori 지역은 하리아나(Haryana) 주를 포함하여 인도의 주요한 basmati 벼의 재배지역이다. 인도 벼수출협회(India Rice Exporters Association)의 수치에서는 연간 basmati 벼의 수확량 가운데 1/3이 하리아나에서 생산된다고 한다. 그 주요한 basmati 재배지역의 논이 계절풍의 변화로 괴롭힘을 당하고 있다. 


그래서 Chaudhary 씨와 그의 친척 중 한 명은 지난해 논의 일부를 옥수수밭으로 바꾸었다. 지난해에는 여름 계절풍이 몰고 오는 비가 2달이나 늦은 8월에 내렸다. 


Chaudhary 씨의 옥수수 농사라는 발상이 뿌리를 내리고, 인도의 장마가 계속 늦게 온다면 벼 대신 옥수수를 심는 곳이 널리 퍼질 것이다. 이는 농민들이 자급하기도 하고 수출하기도 하는 basmati 벼의 가격 상승으로 이어져 일부 농촌공동체의 식단을 바꾸어 놓을 것이다. 


벼농사를 짓는 농민들만 변화하는 날씨에 영향을 받고 있는 사람이 아니다. 인도 전역의 농민들은 여름철 강우량의 부족으로 피해를 받아, 부채를 안고 있는 빈곤한 소작인 신세를 면하지 못했다. 지난해에는 강우량이 부족해지면서 수력발전이 제대로 되지 않아 12억 인구 가운데 절반 이상이 여름에 블랙아웃을 겪으며 고통을 받았다. 가뭄은 양파와 기타 채소를 시들게 하는 원인이 되어, 식품 물가를 상승시켰다.



인도의 나르마다 계곡에서 장마철 달구지를 타고 농지에서 마을로 돌아가는 모습.




인도의 고통은 다른 많은 나라의 지역들과 공유된다. 계절풍은 인도 대륙과 미국의 남서부, 동남아시아, 호주, 아프리카의 넓은 면적을 흠뻑 적신다. 세계 인구의 절반 이상이 영향을 받는 지역에 살고 있다. 그들은 음용수와 관개용수의 연간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이 장대한 우기의 비에 의존하며 살아간다. 


과학자들은 강우량 기록을 연구하고, 지난 세기 중반으로 돌아가 인도 계절풍의 평균 강수량이 얼마나 감소했는지 추적했다. 그러나 최근에야 많은 인도인들이 지구온난화의 괴멸적인 결과와 파괴적인 가뭄의 현실을 깨달았다. Krishnan 교수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지구의 온도가 올라가 물이 증발하여 더 많은 습기가 생겨 여름철의 바람이 축축해지고 계절풍은 조용히 죽음의 종소리를 울리게 될 것이라 한다. 


“대기가 매우 안정될 것입니다”라고 계절풍을 연구하는 인도의 열대기상학 연구소의 과학자 Raghavan Krishnan 씨는 말한다. “대기에 수분이 더 많아지겠지만 비가 내리는 건 아닙니다.”


그 변화는 결국 이곳 하리아나 주의 마을 사람들이 전통적인 벼에 기반한 요리에서 옥수수를 결합시킨 식단으로 바꾸도록 만들 것이다. Chaudhary 씨는 “우린 옥수수는 먹지 않습니다”라고 한다. “하지만 기후가 변하면서 인간도 따라서 변하고 있어요.”



http://goo.gl/HUypA

728x90

'농담 > 농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지기는 몇 평인가?  (0) 2013.07.10
닭과 함께 농사짓기  (0) 2013.07.08
지속가능성에 기여하는 유기농업  (0) 2013.07.08
네팔의 벼농사를 훑어볼까  (0) 2013.07.07
베트남 중부 고원의 소 사육 농민  (0) 2013.07.07
728x90



미국의 저널리스티 마이클 폴란(Michael Pollan) 씨가 2008년 4월 예일 대학에서 강연하고 있다.



고기를 먹는 행위는 지구에 해로운가? 점심으로 고민하는 햄버거는 주로 공업형 농업 체계에서 사육된 소로 만들어진다. 그건 지구의 기후가 한계점에 이르도록 하는 탄소에 기반한 물질인 석유로 재배된 엄청난 양의 옥수수를 먹여 사육된다. 공업형 농업에서 석유는 트랙터만이 아니라 파종, 수확, 옥수수 가공에 사용되는 여타의 농기계를 움직이는 원료가 된다. 또한 수확량을 최대로 하기 위해 사용되는 화학비료의 주요 성분이기도 하다. 


특히 소고기를 먹는 것은 환경파괴적이다. 소는 옥수수 사료를 몸무게로 전환시키는 효율이 닭이나 돼지보다 떨어진다. 그래서 다른 가축보다 더 많은 양의 사료를 소비한다. 그 결과 공업형 농업 체계에서는 1칼로리의 소고기를 생산하는 데 55칼로리의 화석연료를 사용한다. 한편 유엔 식량농업기구에 따르면, 가축 생산은 인류의 연간 온실가스 배출 가운데 적어도 25%를 차지하는 농업 부문의 탄소발자국 대부분을 발생시킨다.


거대한 탄소발자국에도 불구하고, 농업 부문은 기후정책 논의에서 늘 간과된다. 지난주 오바마 대통령의 기후변화에 대한 연설에서, 농민들이 어떻게 더 극단적인 날씨에 적응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언급했지만 농업에 대해선 다루지 않았다.  


아마 공업형 농업의 환경문제에 대한 비판에서 마이클 폴란 씨보다 더 영향력 있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2006년 그는 <잡식동물 분투기>에서 어떻게 기업의 이윤과 정부의 잘못된 정책 및 편의에 중점을 두는 행위가 미국인에게 저렴하지만 건강에 해로우며, 또 그걸 생산하는 데 필요한 토양과 공기, 물에 대해서 언급하지 않고 있는지에 대해 밝혔다. 


그런데 요즘 폴란 씨는 그의 새로운 책 <Cooked: A Natural History of Transformation>에서 좀 더 낙관적인 이야기를 전하고 있다. 공업형 농업 체계의 잘못을 드러내는 대신 인간과 지구 모두를 위해 작동하는 농업을 만들기 위한 급진적인 새로운 방식을 제안한다.


그의 전망에서는 기술이 핵심이다. 그는 “기술 의 의미가 무엇인지 생각해야 합니다. 그것이 단지 장비와 지적재산권을 의미합니까? 그러한 정의로 제한할 경우, 엄청나게 농업생산성을 높이고 탄소를 격리시키도록 토양을 관리하며 식량을 재배하는 방법 같은 여러 놀라운 기술들이 제외될 것입니다.” 왜 케케묵어 보이는 “기술”인가? 왜냐하면 “기술은 우리 문화에서 너무 매력적이며, 사람들은 기술에 대한 대가를 치르길 바라기” 때문이다.

올바른 기술과 함께 폴란 씨는 육식이 실제로는 지구에 좋을 수 있다고 믿는다. 그렇다. 제대로 가축을 사육하면 지국온난화를 줄일 수 있다는 것이다. 그건 폴란 씨나 세계 혼농임업센터의 데니스 게리티 전 사무총장, 워싱턴에 있는 밀레니엄 연구소의 한스 헤렌 씨 등과 같은 전문가들이 설파하고 있는 패러다임 전환의 한 요소일 뿐이다. 그들은 새로운 농법이 우리 문명에 의해 배출되는 온실가스를 줄일 뿐만 아니라, 더 중요하게는 이미 배출되어 있는 가스의 총량도 줄일 수 있다고 본다. 


“어떻게 농사짓느냐에 따라 농장은 탄소를 격리하거나 방출할 수 있습니다”라고 폴란 씨는 말한다. 현재 미국과 세계에 있는 농장 대부분은 탄소를 배출하고 있다. 이건 주로 화학비료와 화석연료의 사용만이 아니라 파종 전의 쟁기질에 의해서도 그렇게 된다. “쟁기질하자마자 탄소가 배출됩니다.” 왜냐하면 노출된 흙이 저장하고 있는 탄소를 대기 중으로 날아가도록 하기 때문이다. 


탄소 배출을 막는 방법의 하나는 무경운 농법이다. 쟁기질하는 대신, 기본적으로 땅을 그대로 두고 흙에 작은 구멍을 내서 씨앗을 심는 것이다. 그런데 개선된 농업 체계는 탄소의 배출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대기에서 탄소를 추출하여 저장하여 격리시킬 수도 있다. 그래서 탄소가 지구온난화에 기여하지 못하도록 한다. 


탄소 격리는 지구온난화를 제한하려는 목표로 기후 체계에 인간이 개입한다는 용어인 지구공학의 한 형태이다. 이건 계속되는 정치적 나태함에 직면하여 가속화되는 기후변화로 인해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분야이다. 지난달, 대기 중 탄소의 양이 400ppm을 돌파하며, 260만 년 전 플라이오세 시대 이후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당시에는 세계의 해안 도시들 대부분이 물에 잠길 정도로 현재보다 해수면이 9m 더 높은 온난기였음). 한편, 연비 낮은 차를 운전하는 것부터 석탄을 태우고 숲을 파괴하는 인간의 활동으로 대기의 탄소는 1년에 약 2ppm씩 증가하고 있다.  


지구공학은 400ppm은 그대로 두더라도 문제가 되는 2ppm만이라도 해결하자며 자동차 대신 자전거를 타고, 천연가스보다 바람으로 전기를 생산하는 등의 지구온난화에 대한 "해결책"을 이야기한다. 확실히 연간 2ppm이라는 배출 증가율을 줄이는 일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허나 그걸로는 충분치 않다. 400ppm에서도 이미 지구온난화는 기록적인 날씨를 출현시키고 있다. 지난해 미국에서만 해도 50년 만의 최악의 가뭄이나 가장 뜨거운 여름으로 고통을 받았고, 가장 큰 허리케인이었던 샌디가 휩쓸고 지나갔다. 세계적으로는 기후와 관련된 극단적 기상재해가 훨씬 증가했다. 


무엇보다 연간 온실가스 배출량을 없애도 기후 체계의 관성 때문에 세계의 기온은 계속 오를 것이고, 기후의 영향은 앞으로도 심해질 것이다. 아마 앞으로 그 영향을 줄일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근본적으로 현재 400ppm에 이르는 대기의 이산화탄소를 몰아내는 것이다. 


폴란 씨에 따르면, 광합성은 “우리가 가진 최고의 지구공학 방법이다.” 그건 또한 지금까지 논의된 지구공학 계획 대부분과 뚜렷하게 다른 방법이기도 하다. 태양 에너지를 차단하기 위해 우주에 거대한 거울을 설치한다거나 성층권에 엄청난 양의 에어로졸을 살포한다는 등 허무맹랑한 공상과학의 이야기 같은 계획들 말이다. 


이와 대조적으로 광합성은 확실하게 작동한다. 사실 약간 과장해서 말하면 광합성은 인간이 지구에서 생존할 수 있는 가장 큰 원인이다. 식물은 이산화탄소를 흡입하여 우리가 호흡하는 데 필요한 산소를 배출하는 것과 함께 우리가 먹는 먹을거리도 공급한다. 


고기를 먹는 것과 함께 이 모든 일을 어떻게 하는가? 폴란 씨가 긍정적으로 기대하는 부분이 바로 여기다. “격리의 대부분은 땅속에서 일어납니다.”


“초지가 있으면 거기에 사는 식물들은 태양 에너지를 잎과 뿌리에 거의 같은 양을 변환시킨다. 반추동물(예를 들어 소)이 초지에서 풀을 뜯으면 풀의 길이는 90cm에서 7cm로 잘린다. 식물은 새로운 평형상태를 찾기 위해 이 변화에 반응한다. 바로 반추동물에게 뜯겨 잃은 줄기와 잎의 양에 맞먹는 막대한 양의 뿌리를 죽인다. 그렇게 죽은 뿌리에 선충과 지렁이, 여타 토양생물이 달려들고, 그들이 토양에서 뿌리를 탄소로 바꾼다. 이것이 바로 지구의 흙이 생성된 방법이다. 위에서 아래로가 아니라, 아래에서 위로 말이다.”

결론적으로, 세계의 기후정책과 개인의 식단 선택은 모두 공업형 농업으로 고기를 생산할 때에만 커다란 탄소박자국이 생긴다. “풀을 먹인 고기를 먹는다면, 탄소발자국을 가볍게 하고 마이너스로 할 수도 있다”고 폴란 씨는 말한다. 


전부는 아니지만, 폴란 씨의 분석 가운데 일부는 올해 초 TED에서 강연하며 사람들의 관심을 불러일으킨 초지의 전체론적 관리를 주장하는 짐바브웨의 생물학자 Allan Savory 씨의 이야기와 비슷하다. 새이버리 씨에게는 Slate에 기사를 쓴 텍사스 주립대학의 역사학자 James McWilliams 씨와 같은 반대자들이 있다. 맥윌리암 씨는 전체론적 방목에 대한 가장 종합적인 학술적 분석에서는 그 방법이 식물의 성장을 개선하거나 함축적으로 탄소를 격리시키지 않는다는 것을 밝혔다고 한다. 새이버리 씨와 지지자들은 맥윌리암 씨가 인용한 그 연구는 전체론적 관리의 규정된 방법을 따르지 않았기에 아무것도 증명하지 못했다고 주장한다. 


그 일환으로, 폴란 씨는 옥수수 사료를 먹이다가 적절히 소를 방목하는 것으로 전환하면 여러 혜택이 따른다고 강조한다. 탄소 격리는 토양비옥도와 보수력을 개선하여, 수확량과 가뭄, 홍수 등에 대한 탄력성을 높인다. 폴란 씨는 “나는 매우 특정한 종류의 지구공학 신자입니다. 그것이 생명의 모방에 기반해 있을 때 말이죠”라고 말한다. 즉, 그것은 자연을 모방하는 것이다. “최첨단 기술의 개입보다는 자연을 모방하는 것이 기후변화와 토질, 식량안보와 같은 여러 문제를 해결하는 묘책이 될 수 있습니다.


폴란 씨는 “오픈 소스 탄소 격리”라는 접근법을 요구한다. 그는 그것을 가장 잘 적용하는 방법을 찾기 위해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한데, 전망은 낙관적이라고 강조한다. 대기의 탄소를 추출하고 땅속에 저장하기 위한 광합성의 활용과 방목법의 개량이 “먹고 살면서 동시에 지구를 구할 수 없다는 제로섬”의 최악의 관점을 털어내도록 할 수 있다고 말한다. “또한 작지 않은 앞으로의 과제에 관한 우리의 정신을 고취한다.”


728x90
728x90



Photo: Pablo Clemente-Colon/U.S.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The Arctic has seen better years than 2012. Its sea ice melted to an all-time low this summer, and by fall it was 18 percent smaller than at any point in recorded history. As U.S. scientists noted in their annual Arctic Report Card, the region's sea ice is now "a younger, thinner version of its old self" — and that's not as flattering as it sounds.
 
This year wasn't just an anomaly, either. Arctic sea ice always waxes and wanes with the seasons, but its average late-summer minimum is now shrinking by about 13 percent every decade, according to the U.S.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and its six smallest Septembers have all occurred in the past six years.
 


 
Scientists widely agree the main catalyst is manmade climate change, boosted by a feedback loop called "Arctic amplification." (Antarctic sea ice, meanwhile, is morebuffered against warming and has actually expanded lately.) The problem has become well known even among laypeople, thanks largely to its compelling effect on polar bears.
 
But while many people realize humans are indirectly undermining sea ice via global warming, there's often less clarity about the reverse of that equation. We know sea ice is important to polar bears, but why is either one important to us?
 
Such a question overlooks many other dangers posed by climate change, of course, from stronger storms and longer droughts to desertification and ocean acidification. But even in a vacuum, the decline of Arctic sea ice could be disastrous — and not just for polar bears. To shed some light on why, here are seven of its lesser-known benefits:
 
1. It reflects sunlight
Earth's poles are cold mainly because they get less direct sunlight than lower latitudes do. But there's also another reason: Sea ice is white, so it reflects most sunlight back to space. This reflectivity, known as "albedo," helps keep the poles cold by limiting heat absorption. As shrinking sea ice exposes more seawater to sunlight, the ocean absorbs more heat, which in turn melts more ice and curbs albedo even further. This creates a "positive feedback loop," one of several ways in which warming begets more warming.
 

The angle of sunlight, combined with albedo from sea ice, helps keep the poles cold. (Image: NASA)

 
2. It influences ocean currents
By regulating polar heat, sea ice also affects weather around the world. That's because Earth's oceans and air act as heat engines, moving heat to the cold poles in a constant quest for balance. one method is atmospheric circulation, or the large-scale movement of air. Another, slower method occurs underwater, where ocean currents move heat along a "global conveyor belt" in a process called thermohaline circulation. Fueled by regional differences in warmth and salinity, this drives weather patterns at sea and on land.
 
 

salinity scale

The global conveyor belt of ocean currents, aka "thermohaline circulation." (Illustration: NASA)

Sea-ice loss affects the process in two basic ways. First, warmer poles can disrupt Earth's overall heat flow by changing its temperature gradient. Second, altered wind patterns push more sea ice to the Atlantic, where it melts into cold freshwater. (Seawater expels salt as it freezes.) Since less salinity means less density, melted sea ice floats rather than sinking like cold saltwater. And since thermohaline circulation needs cold, sinking water at high latitudes, this can halt the flow of warm, rising water from the tropics.
 
3. It insulates the air
As cold as the Arctic Ocean is, it's still warmer than the air in winter. Sea ice serves as insulation between the two, limiting how much warmth radiates up from the ocean. Along with albedo, this is another way sea ice helps maintain the Arctic's chilly climate. But as sea ice melts and cracks, it becomes dotted with gaps that let heat escape. "Roughly half of the total exchange of heat between the Arctic Ocean and the atmosphere occurs through openings in the ice," according to the National Snow & Ice Data Center.
 

Older, multiyear sea ice can grow much thicker and sturdier than first-year ice. (Illustration: NASA)

 
4. It keeps methane at bay
Heat isn't all that can seep through weak sea ice. Scientists have long known that Arctic tundra and marine sediments contain large, frozen deposits of methane, posing a climatic risk if they thaw and release the potent greenhouse gas skyward. But in April 2012, researchers from NASA's Jet Propulsion Laboratory discovered "a surprising and potentially important" new source of Arctic methane: the Arctic Ocean itself.
 
Flying north of the Chukchi and Beaufort seas, the researchers found mysterious methane fumes that couldn't be explained by typical sources like wetlands, geologic reservoirs or industrial facilities. Noticing the gas was absent over solid sea ice, they finally traced its source to surface waters exposed by broken ice. They still aren't sure why there's methane in Arctic seawater, but microbes and seabed sediments are likely suspects.
 
"While the methane levels we detected weren't particularly large, the potential source region, the Arctic Ocean, is vast, so our finding could represent a noticeable new global source of methane," NASA's Eric Kort said in a statement. "As Arctic sea ice cover continues to decline in a warming climate, this source of methane may well increase."
 

Gaps in sea ice can release methane into the atmosphere, scientists have discovered. (Photo: NOAA)

 
5. It limits severe weather
It's well-established that global warming boosts severe weather in general, but according to the NSIDC, sea-ice loss also favors bigger storms in the Arctic itself. Under normal conditions, unbroken swaths of sea ice limit how much moisture moves from the ocean to the atmosphere, making it harder for strong storms to develop. As sea ice dwindles, though, storm formation is easier and ocean waves can grow larger.
 
"[W]ith the recent decline in summer sea ice extent," the NSIDC reports, "these storms and waves are more common, and coastal erosion is threatening some communities."
 

Satellites spotted this unusually strong storm in the Arctic Ocean on Aug. 5, 2012. (Photo: NASA)

 
In Shishmaref, Alaska, for example, years of fading ice have let waves eat a shoreline already softened by permafrost thaw. The sea is now invading the town's drinking water, threatening its coastal fuel stores and even forcing its residents to consider relocation. At the same time, a swell in Arctic storms and waves could also create yet another feedback loop, damaging current ice and impeding new growth as it agitates the ocean.
 
6. It supports native people
Shishmaref is an extreme case, but its residents aren't alone in watching their home crumble. Nearly 180 Alaskan native communities have been identified as vulnerable to erosion, Smithsonian anthropologist Igor Krupnik said at a 2011 summit on Arctic climate change, and at least 12 have already decided to relocate to higher ground.
 
Many Arctic people rely on seals and other native animals for food, yet the deterioration of sea ice can make it increasingly difficult and dangerous to pursue certain prey. Hunters must not only wait longer for ice to form, but must travel farther over mushier terrain. "Everywhere we asked people, they talked about increasing uncertainty," Krupnik said. "They talked about irregular changes in weather and weather patterns, they talked about flooding and storms, they talked about new risks of going out on thin ice."
 

Inuit and other indigenous Arctic people often travel across sea ice by snowmobile. (Photo: NOAA)

 
Farther offshore, the retreating ice is often deemed good news for the oil, gas and shipping industries, which are already jockeying for drilling rights and shipping routes in newly ice-free waters. Such activity could pose risks on its own — from whales killed by ship strikes to shores fouled by oil spills — yet may also be hindered by stronger storms and waves, thanks to the same declining sea ice that enabled it in the first place.
 
7. It supports native wildlife
Sea-ice loss has made polar bears into poster children for climate change, and the shoe unfortunately fits. Like people, they sit atop the Arctic food web, so their plight reflects an array of ecological woes. Not only are they directly hurt by warming, which melts the ice rafts they use to hunt seals, but they also indirectly suffer the effects on their prey.
 



Polar bears and other animals are struggling to adapt to less sea ice. (Photo: Continentalshelf.gov)
 
Arctic seals, for instance, use sea ice as everything from a maternity ward and pup nursery to a cover for stalking fish and escaping predators. Walruses also use it as a place to rest and congregate, so its absence often forces them to overcrowd shorelines and swim greater distances to reach food. Caribou have reportedly fallen through thin sea ice while migrating, one of many threats the hardy herbivores face from climate change.
 
Not all wildlife likes Arctic sea ice, though. Warm, open seas let migratory whales stay later in the summer; some bowheads from Alaska and Greenland have even recently begun mingling in the Northwest Passage. And less ice means more sunlight for phytoplankton, the base of the marine food web. Arctic algae productivity rose 20 percent from 1998 to 2009, according to NOAA, especially in giant blooms near "skylights" in the ice.
 
Less sea ice also helps the Arctic Ocean absorb more carbon dioxide from the air, removing at least some of the heat-trapping gas from the atmosphere. But like most apparent perks of climate change, this silver lining has a cloud: Excess carbon dioxide is making parts of the Arctic Ocean more acidic, NOAA reports, a problem that's potentially fatal to marine creatures such as shellfish, coral and some types of plankton.





728x90
728x90

Greenland surface melt measurements from three satellites on July 8 (left panel) and July 12 (right panel), 2012. Source:(NASA, 2012)

Available in: EspañolFrançaisالعربية

Highlights:

  • New World Bank-commissioned report warns the world is on track to a “4°C world” marked by extreme heat-waves and life-threatening sea level rise.
  • Adverse effects of global warming are “tilted against many of the world's poorest regions” and likely to undermine development efforts and goals.
  • Bank eyes increased support for adaptation, mitigation, inclusive green growth and climate-smart development.

November 18, 2012 – Like summer’s satellite image of the melting Greenland ice sheet, a new report suggests time may be running out to temper the rising risks of climate change.

"Turn Down the Heat: Why a 4°C Warmer World Must be Avoided," (pdf) (eBook version) warns we’re on track for a 4°C warmer world marked by extreme heat-waves, declining global food stocks, loss of ecosystems and biodiversity, and life-threatening sea level rise.

Moreover, adverse effects of a warming climate are “tilted against many of the world's poorest regions” and likely to undermine development efforts and global development goals, says the study by the Potsdam Institute for Climate Impact Research and Climate Analytics, on behalf of the World Bank. The report, urges "further mitigation action as the best insurance against an uncertain future."

A 4°C warmer world can, and must be, avoided – we need to hold warming below 2°C
 
–  Jim Yong Kim, President, World Bank Group

"A 4°C warmer world can, and must be, avoided – we need to hold warming below 2°C," said World Bank Group President Jim Yong Kim. "Lack of action on climate change threatens to make the world our children inherit a completely different world than we are living in today. Climate change is one of the single biggest challenges facing development, and we need to assume the moral responsibility to take action on behalf of future generations, especially the poorest."

The report, reviewed by some of the world’s top scientists, is being released ahead of the next comprehensive studies by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in 2013/14, and follows the Bank’s own Strategic Framework for Development and Climate Change in 2008 and the World Development Report on climate change in 2010. "Turn Down the Heat" combines a synthesis of recent scientific literature with new analysis of likely impacts and risks, focusing on developing countries. It chronicles already observed climate change and impacts, such as heat waves and other extreme events, and offers projections for the 21st century for droughts, heat waves, sea level rise, food, water, ecosystems and human health.

The report says today’s climate could warm from the current global mean temperature of 0.8°C above pre-industrial levels, to as high as 4°C by 2100, even if countries fulfill current emissions-reduction pledges.

"This report reinforces the reality that today’s climate volatility affects everything we do," saidRachel Kyte, the Bank’s Vice President for Sustainable Development. "We will redouble our efforts to build adaptive capacity and resilience, as well as find solutions to the climate challenge."

The World Bank doubled lending for climate change adaptation last year and plans to step up efforts to support countries’ initiatives to mitigate carbon emissions and promote inclusive green growth and climate-smart development. Among other measures, the Bank administers the $7.2 billion Climate Investment Funds now operating in 48 countries and leveraging an additional $43 billion in clean investment and climate resilience.

This report reinforces the reality that today’s climate volatility affects everything we do
 
–  Rachel Kyte, Vice President, Sustainable Development, World Bank

Rising Sea Levels

The report says sea levels have been rising faster in the last two decades than previously, and this rise is being seen in many tropical regions of the world. This phenomenon is partly due to melting of the Greenland and Antarctic ice sheets; the rapid growth in melt area observed since the 1970s in Greenland’s ice sheet is a clear illustration of its increasing vulnerability. Arctic sea ice also reached a record minimum in September 2012. "There are indications that the greatest melt extent in the past 225 years has occurred in the last decade," says the report.

"It’s early yet but clearly some of the small island states and coastal communities are beginning to take a hard look at their options," said Erick Fernandes, co-lead of the Bank’s Global Expert Team on Climate Change Adaptation. "The need to adapt to climate change will increase as global population reaches 9 billion in 2050," he added.

Ocean Acidification

Coral reefs are acutely sensitive to changes in water temperature and acidity levels. The report warns that by the time the warming levels reach 1.4° C in 2030s, coral reefs may stop growing. This would be a result of oceans becoming more acidic as a result of higher CO2 concentrations. And with 2.4° C, coral reefs in several areas may actually start to dissolve. This is likely to have profound consequences for people who depend on them for food, income, tourism and shoreline protection.

Heat Extremes

A 4°C warmer world would also suffer more extreme heat waves, and these events will not be evenly distributed across the world, according to the report.

Sub-tropical Mediterranean, northern Africa, the Middle East, and the contiguous United States are likely to see monthly summer temperatures rise by more than 6°C. Temperatures of the warmest July between 2080-2100 in the Mediterranean are expected to approach 35°C – about 9°C warmer than the warmest July estimated for the present day. The warmest July month in the Sahara and the Middle East will see temperatures as high as 45°C, or 6-7°C above the warmest July simulated for the present day.

Lower agricultural yields

Hotter weather could in turn lower crop yields in a 4°C world—raising concerns about future food security. Field experiments have shown that crops are highly sensitive to temperatures above certain thresholds. one study cited in the report found that each “growing degree day” spent at a temperature of 30 degrees decreases yields by 1% under drought-free rain-fed conditions.

The report also says drought-affected areas would increase from 15.4% of global cropland today, to around 44% by 2100. The most severely affected regions in the next 30 to 90 years will likely be in southern Africa, the United States, southern Europe and Southeast Asia, says the report. In Africa, the report predicts 35% of cropland will become unsuitable for cultivation in a 5°C world.

Risks to Human Support Systems

The report identifies severe risks related to adverse impacts on water availability, particularly in northern and eastern Africa, the Middle East, and South Asia. River basins like the Ganges and the Nile are particularly vulnerable. In Amazonia, forest fires could as much double by 2050. The world could lose several habitats and species with a 4°C warming.

Non-linear impacts

As global warming approaches and exceeds 2°C, there is a risk of triggering nonlinear tipping elements. Examples include the disintegration of the West Antarctic ice sheet leading to more rapid sea-level rise, or large-scale Amazon dieback drastically affecting ecosystems, rivers, agriculture, energy production, and livelihoods. This would further add to 21st-century global warming and impact entire continents.

The projected 4°C warming simply must not be allowed to occur—the heat must be turned down. only early, cooperative, international actions can make that happen.

728x90
728x90

화학비료는 마법과 같았다. 그걸 주면 작물이 쑥쑥 자라고 수확량이 늘었다. 그런데 화학비료를 주면 줄수록 땅은 망가졌고 환경은 악화되었다.

아산화질소는 지구온난화의 주범으로 지목되는 온실가스의 하나이다. 이것이 화학비료를 줄 경우에 더 많이 배출된다는 것이 이번에 밝혀졌다. 화학비료는 단위면적당 생산량을 비약적으로 증가시키는 데 공헌을 했지만, 그와 함께 환경을 악화시키는 데에도 한몫했다. 화학비료를 중심으로 농사를 짓는 대규모 단작 방식의 현대농업이 발생시키는 환경비용을 감안한다면, 결코 현대농업이 유기농업에 비해서 생산성과 효율성이 더 높다고 이야기할 수는 없을 것이다.  



전북농업기술원(조영철 원장)은 노지 수박 재배에서 유기질비료와 화학비료 작물재배 전에 투입하고 아산화질소 배출량을 생육기(5월) 동안 측정한 결과 유기질비료에서 화학비료 대비 최고 18% 까지 감축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고 밝혔다. 


온실가스는 지구온난화의 직접적인 원인으로 지구온난화는 지표부근의 대기와 바다의 평균온도가 장기적으로 상승하는 현상이며 2005년 기준으로 100년간 한반도의 평균기온은 세계평균보다 2배 이상 기온상승이 빠르게 진행돼 왔다. 

온실효과는 사람에 의해 배출된 온실가스가 지구온도를 급격하게 상승시키는 것으로 온실효과의 직접 원인이 되는 온실가스는 이산화탄소(CO2), 메탄(CH4), 아산화질소(N2O) 등이 있다. 

이번에 개발된 아산화질소 감축 기술은 “기후변화 협약”에 따른 교토의정서의 온실가스 감축 의무이행을 위한 농업부문의 사전준비로 보면 된다 면서 작물의 온난화 적응 및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기술 개발과 정확한 평가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고 말했다. 

아울러 그동안 농가현장 컨설팅을 위한 작물 시비처방 기술과 연관해 온난화 대응 전략도 절실히 요구된다고 덧붙였다. 


728x90
728x90

농사를 짓지 않는 사람들은 잘 인식하지 못하지만, 농사짓는 사람에게 중국에서 벌레들이 바람을 타고 건너온다는 건 놀라운 사실이 아니다. 그러한 벌레들이 바람을 타고 날아와 낙하하는 자연의 현상 때문에 해마다 작물의 해충들이 발생하곤 했다. 

그런데 문제는 이러한 현상이 기후변화와 더하여 더욱 빈번하고 극심해진다는 데에 있다. 특히나 따뜻해진 날씨 덕에 이러한 해충들이 더 일찍 날아와 더 오랫동안 피해를 주며, 심할 경우 한국의 겨울 날씨에서도 월동이 가능해지는 건 아닌지 우려스럽다는 점이다. 

중국 남부의 농사 지역을 조사하여 그 지역에 이러한 벌레들에 강한 종자가 있으면 가져다가 저항성이 있는 작물을 육종하는 건 어떨까? 그냥 농약만 치는 걸 해답으로 여기기보다는 말이다...

  



중국 벌레들이 몰려오고 있다.


서해안 일대에서 벼에 치명적인 피해를 주는 애멸구가 출현하고, 제주에선 멸강나방이 발견되는 등 중국에서 날아든 해충들이 크게 늘어나고 있다. 최근 고온현상이 이어지면서 '벌레들의 침공'이 시작된 것이다.

3일 농촌진흥청과 전북도 등에 따르면 지난달 27~29일 전북 군산과 부안, 충남 서산ㆍ보령 등 서해안 일대에서 애멸구가 공중포충망에 대량으로 채집돼 이들 지역에 병해충 발생 경보와 주의보가 내려졌다. 애멸구 출현은 지난해(5월 31~6월 2일)보다 약간 빠른 것으로 부안에서 105마리, 군산에선 36마리가 채집됐다. 애멸구는 치명적 바이러스인 벼줄무늬잎마름병을 옮긴 뒤 말라 죽여 '벼 에이즈'로 불린다. 초기에는 잎에 황화 증상과 줄무늬가 생기고 심하면 벼가 말라 죽고 이삭이 기형으로 나온다. 중국에서 기류를 타고 애멸구가 많이 날아온 2007년, 2009년에 부안ㆍ김제 등 서해안지역을 중심으로 줄무늬잎마름병이 대량 발생했다. 이번에 채집된 애멸구의 보독충률(줄무늬잎마름병 바이러스 보유 비율)은 태안지역은 5.0 %, 부안은 1.1 %로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이다.

이에 따라 애멸구에 의한 벼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논이나 논 주변에 애멸구가 어느 정도 있는지 지속적인 예찰활동을 하고 애멸구가 많은 지역은 적용 약제로 초기 방제를 철저히 해야 한다. 또 이앙 전 애멸구 방제전용 입제를 육묘상에 처리해야 한다. 만약 약제처리를 하지 않고 이앙한 논에서 애멸구 발생하면 즉시 유제ㆍ수화제 등 방제전용 약제를 반드시 살포해야 한다.

농업기술원 관계자는 "벼줄무늬잎마름병은 일단 발생되면 치료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병을 매개하는 애멸구를 초기에 철저히 방제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말했다.

제주에선 지난해에 이어 올해 또 다시 멸강나방이 나타났다. 제주도 동부농업기술센터는 지난 1일 오후 2시께 예찰활동을 벌이다 서귀포시 성산읍 온평ㆍ신산리 옥수수밭 8필지 2.5㏊에서 올해 들어 제주에서 처음으로 멸강나방을 발견했다. 지난해는 이보다 6일이나 빠른 것이다.

동부농업기술센터는 최근 중국과 제주 사이에 형성된 기압골 기류를 타고 멸강나방이 일찍 출현한 것으로 보고 있다. 멸강나방은 주로 중국에서 해마다 5월 하순~6월 중순, 7월 중순~하순에 기압골을 타고 제주로 날아오는 해충이다. 성충은 10~25일 만에 700여개의 알을 낳으며, 4~5일 만에 부화된 알은 초지를 비롯해 벼, 보리, 수수, 옥수수, 귀리 등 볏과 작물의 잎을 순식간에 갉아먹어 상당한 피해를 준다.

동부농업기술센터는 농업기술원 등 관련기관과 농가에 이런 사실을 통보, 예찰활동을 강화하도록 했다. 또 멸강나방이 발견되면 즉시 방제작업을 벌이도록 당부했다.

이처럼 중국으로부터 해충 유입 시기가 빨라지고 개체 수도 늘어나는 데는 지구온난화의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농촌진흥청 관계자는 "여름이 길어지고 겨울철 온도가 상승하면서 추운 날씨에 맥을못추던 벌레들이 급격히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며 "가뭄이 길어지는 기후변화도 벌레가 늘어나는 데 한몫하고 있다"고 말했다.

최수학기자 shchoi@hk.co.kr
정재환기자 jungjh@hk.co.kr


728x90
728x90

Officials from the local Water Conservancy Bureau walk on the fringe of a desert, which has been planted with grass to prevent desertification, in Minqin County, in northwest China's Gansu province on December 8, 2010. REUTERS/Stringer

* Soil's carbon store being depleted, releasing CO2

* Draining peatlands produces 6 pct of manmade emissions

By Nina Chestney

LONDON, Feb 13 (Reuters) - Global warming will get worse as agricultural methods accelerate the rate of soil erosion, which depletes the amount of carbon the soil is able to store, a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report said on Monday.

Soil contains huge quantities of carbon in the form of organic matter. which provides nutrients for plant growth and improves soil fertility and water movement.

The top metre of soil alone stores around 2,200 billion tonnes of carbon, which is three times the level currently held in the atmosphere, said the UNEP Year Book 2012.

"Soil carbon is easily lost but difficult to rebuild," the report said.

"Soil carbon stocks are highly vulnerable to human activities. They decrease significantly (and often rapidly) in response to changes in land cover and land use such as deforestation, urban development and increased tillage, and as a result of unsustainable agricultural and forestry practices."

Such activities can break down soil's organic matter. When this happens, some carbon is converted to carbon dioxide, a greenhouse gas that is one of the main contributors to global warming, and it is lost from the soil.

Around 24 percent of global land has already suffered from declines in health and productivity over the past quarter of a century due to unsustainable land use, UNEP said.

Some 60 percent of carbon stored in soils and vegetation was lost as a result of land use changes, such as clearing land for agriculture and cities, since the 19th century.

As global demand for food, water and energy is forecast to rise dramatically, soils will come under increasing pressure.

Without changing the way land is managed, over 20 percent of forests, peatlands and grasslands in developing countries alone could lose vital ecosystem services and biodiversity by 2030, the report said.

The degradation of peatlands is a particular concern.

Peatlands contain over a third of the world's soil carbon, making them the most effective carbon store on earth. But the draining of peatlands currently produces over 2 billion tonnes of CO2 emissions a year - equivalent to around 6 percent of manmade greenhouse gas emissions, the report said.

To ensure soil carbon stocks are enhanced, not depleted, UNEP suggested agricultural methods such as reduced tillage and the careful use of animal manure or chemical fertilisers and crop rotation.

Financial incentives to improve land use such as payments for carbon storage, flood control and water quality improvement, and a global climate deal that includes the trade of carbon credits for soils could help improve management of soil resources, the report said.

Although rules governing the treatment of land use, land use change and forestry are being debated as part of a new global climate deal, UNEP said there was a "critical need" to develop universal ways to measure, report and verify changes in soil carbon over time. (editing by Jane Baird)


728x90
728x90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