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재배13 기후변화에 따른 연도별 벼 불임률 재미난 지도를 보았다. 기후변화에 따른 연도별 벼 불임률 지도. 지도를 보면, 그러니까 2060년 정도 되면 지금과 똑같은 벼 품종으로는 농사가 제대로 되지 않는다는 이야기이다. 농사가 되긴 되는데 평균 20% 정도는 이삭이 제대로 맺히지 않는다는 뜻이다. 저 북쪽이나 현재의 고랭지에.. 2019. 11. 18. 메밀 재배법 파종량 소요량 : 4~8㎏/300평 일찍 심기 : 드물게 뿌림늦게 심기 : 배게 뿌림 ※ 봄 심기 6, 비닐피복 8㎏/300평파종 적기여름 재배 : 4월 중하순가을 재배 : 7월 중~8월 상순 ※ 가뭄이 극심할 때 대파작물로 활용시비콩 전용복비 (8-14-12)25~50㎏/300평재식거리 줄뿌림 18~20×5㎝일반재배 : 60×15㎝.. 2018. 6. 22. 콩은 언제 심는 게 좋은가 자기가 사는 지역에 따라, 그리고 그곳의 환경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농촌진흥청에서 권장하는 건 다음과 같다. 최근 기후변화 때문에 콩을 재배하는 방법도 바뀌고 있다는데, 그래서 수원과 청원, 밀양, 익산 등지에서 2009년부터 3년에 걸쳐 실험을 했단다. 과연 언제쯤 콩을 심는 것이 가.. 2018. 6. 3. 파리지옥 재배 아이가 파리지옥에 관심을 보여 구입했다. 동네 화원에 가니 파리지옥은 여름에나 나온다고 하여 그냥 인터넷으로 주문했다. 꼼꼼히 포장을 잘해서 왔기에 아무 문제 없었다. 후기에는 화분이 손상되었다는 글도 있어 걱정했는데, 몇 번의 경험을 통해 포장법을 완성한 것 같다. 파리지.. 2018. 4. 27. 벼농사와 벼농사 문화의 시작 유라시아 농경사 권1 제1장 벼농사와 벼농사 문화의 시작 中村愼一 들어가며 2008년 1월, 중국에서 벼농사 고고학 연구의 전문가 4명을 일본에 초청해 최신 연구성과에 대한 보고를 들을 기회가 있었다. 거기에서 강한 인상을 받은 점은 중국의 벼농사 기원론이 이미 "언제, 어디에서?"의 단.. 2018. 4. 3. 유전자변형 작물의 재배를 허용하지 않는 국가 목록 공식적으로 유전자변형 작물의 재배가 금지된 국가.아프리카 대륙; 2개국알제리(2000년부터)마다가스카르(2002년부터)아시아 대륙; 4개국터키키르기스스탄부탄사우디아라비아아메리카 대륙; 4개국벨리즈페루에콰도르베네수엘라유럽 대륙; 28개국스코틀랜드웨일즈북아일랜드독일프랑스네.. 2017. 12. 1.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