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원6 강원도 수목 민속의 의미와 가치 연구 최명환, 이영식 공저 2024. 3. 20. 흙은 지지가 아니다 흙은 지지가 아니다. 소중한 자원이자, 다양한 생명이 깃들어 있는 살아 있는 생태계이기도 하다. 영상 중간에 관료인 듯한 사람이 나와서 토양과 비옥도가 중요하다고 이야기하는 대목이 인상적이다. 한국의 농업 관련 관료 중에 그런 사람이 있던가?아무튼 이 영상 재밌습니다. 설정에.. 2019. 7. 12. 토양침식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 사람들에게 흙이 중요하다고 이야기하며 토양침식은 심각한 문제라고 말해도 잘 체감하지 못한다. 하지만 이걸 돈으로 환산해 이야기하면 그나마 조심해야겠단 생각은 하게 된다.토양침식에 관한 새로운 연구에 의하면, 토양침식으로 발생하는 연간 경제적 손실이 80억 달러에 달한다. .. 2019. 6. 27. 보존농업이 식량안보의 핵심이다 남아시아의 225만 평방킬로미터에 걸쳐 펼쳐져 있는 인도 갠지스 평원은 18억 인구의 쌀과 밀 창고이다. 지난 30년의 시간 동안, 주로 녹색혁명의 개량종과 기술 묶음 덕에 농민들은 여름철 몬순에 벼농사를 짓고 짧은 겨울철에 밀농사를 짓는 돌려짓기 체계를 발전시켰다. 인도 북서부에.. 2017. 1. 24. 폐기물인가? 자원인가? - 가축분뇨의 잠재적 가치 최종-제97호-가축분뇨.pdf 1. 생리작용의 결과, 분뇨(糞尿) 분뇨는 스스로 영양을 만들지 못하는 생물이 영양공급원을 섭취하고 소화시켜 양분을 흡수한 후 배출한 찌꺼기를 말하며, 주로 먹는 습관과 깊은 연관이 있으며 소화기관과도 연관이 깊다. 가축분뇨의 경우 섬유질이 많아 연료로 .. 2013. 4. 16. 인간과 가축의 똥을 재활용하는 것이 지속가능한 농업의 핵심 수세식 변기가 편리하긴 하지만, 농토에 공급할 중요한 영양분을 차단시켜 식량 생산을 화석연료에 의존하게 만들기에 생태적 파괴를 불러온다. 그러나 한국과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에서는 4000년 동안 인간의 똥오줌을 매우 소중한 자원으로 활용했다. 특히 중국에서는 사람 똥을 특별.. 2013. 3. 1.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