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살10 인도 오디샤Odisha에서 기후 위기의 씨앗을 파종하다 라야가다Rayagada에서 Bt 면화의 면적이 지난 16년 동안 5,200% 증가했다. 그 결과, 풍부한 토종 조, 토종 벼 품종과 숲의 먹을거리 등 생물다양성의 보고가 우려스러운 생태적 변화를 보이고 있다. "모두 그렇게 해요. 우리도 마찬가지고요." 루파 피리카카 씨는 좀 머뭇거리며 말했다. 그렇게 .. 2019. 10. 7. 미국에서는 왜 기록적인 숫자의 농민들이 스스로 목숨을 끊는가? 미국 농민들의 자살 문제를 다룬 글을 보아서 서툴지만 한국어로 옮겼다. 미국의 농민들은 일반인에 비해 5배, 심지어 퇴역군인에 비해서도 2배 이상 높은 자살율을 기록하고 있단다. 그만큼 삶의 벼랑으로 몰렸다는 방증이겠다. 그나마 밀의 경우 최저가격 보장제가 있어 버티지만, 현재 .. 2017. 12. 7. 심각한 미국 농민들의 자살률 문제 아이오와 대학의 새로운 연구에 의하면, 미국의 농민과 농업노동자 들의 자살 건수는 1980년대 농장의 위기가 끝난 이후로도 계속 높은 편으로 다른 분야의 노동자들보다 훨씬 높은 수치라고 함. 이 연구에서 1992-2010년까지 전국의 농민과 농업노동자들에게 일어난 자살과 살인사건을 조사.. 2017. 6. 21. 인도 농민들의 자살 문제 기후변화로 인해 심각한 가뭄이 들면서 인도의 농민들이 자살로 내몰린다는 안타까운 소식입니다. http://edition.cnn.com/2016/08/21/opinions/cnnphotos-sutter-india-drought/ 이 현상을 분석하면 간략히 이렇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투자비를 늘려 작목을 전환하든지, 시설을 늘리든지, 기계를 사들이든지.. 2016. 8. 26. 미국 농민의 자살 문제 http://newsweekkorea.com/?p=4624 인도 농민들의 자살 문제가 시끄러웠던 적이 있다. 그런데 선진국 중 선진국이라는 미국에서도 농민의 자살율이 가장 높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심지어 트라우마에 시달리는 참전 군인들보다도 자살율이 높다고 한다. 농민은 왜 이렇게 극단으로 내몰리게 된 .. 2016. 8. 2. GM 작물에 대한 날카로운 관찰 Palmer amaranth has taken root as a herbicide-resistant ‘superweed’ in many US cotton fields. In the pitched debate over genetically modified (GM) foods and crops, it can be hard to see where scientific evidence ends and dogma and speculation begin. In the nearly 20 years since they were first commercialized, GM crop technologies have seen dramatic uptake. Advocates say th.. 2014. 3. 16.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