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유엔 식량농업기구에서 아이들 교육용으로 만든 책이다.

내용은 "기후는 변화하고 있다. 식량과 농업도 그래야 한다."



기후는 변하하고 있다.pdf




세계의 많은 사람들이 숲에 살거나 거기에서 먹을거리를 얻습니다. 숲은 사람과 다른 동물들에게 서식처와 먹을거리만이 아니라, 산소를 생산하고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며, 우리에게 맑은 물을 제공합니다. 해마다 농경지를 만들거나 다른 용도로 우리의 숲이 빠르게 사라지고 있습니다. 우리는 건강하게 살아갈 수 있도록 숲을 보호하고 잘 돌보아야 합니다. 




농업

기후변화에 따라 먹을거리를 기르고 생산하는 방법도 바뀌어야 합니다. 기후변화로 세계의 어떤 곳에서는 먹을거리를 기르기가 더 어려워집니다. 이는 홍수나 가뭄, 강우량 변화, 더워지는 날씨 등 때문입니다. 먹을거리와 농업은 세계의 증가하고 있는 인구를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먹여살리기 위하여 기후변화의 영향에 적응해야 합니다. 세계의 빈곤층 대부분은 기후변화에 가장 큰 타격을 입을 농민입니다. 우리는 악천후에 대비하도록 그들의 능력을 강화해야 합니다. 그것을 피할 수 없을 때는 손해와 손실을 줄여 그들이 회복하도록 도와야 합니다. 




가축 관리

농민은 소, 염소, 양, 돼지, 당나귀, 낙타 같은 동물을 돌보면서 상당한 양의 온실가스가 농업에서 생산되고 있습니다. 농민이 이러한 가축을 돌보는 방법을 바꾸는 것이 해로운 가스를 덜 배출하는 지름길이 됩니다. 앞으로 인구가 증가하여 더 많은 가축을 돌보아야 할 것이기에 이는 매우 중요한 일입니다. 그리고 가축을 돌보는 데 채소나 콩 종류를 재배하는 것보다 더 많은 천연자원이 필요합니다. 특히 물이 그렇습니다. 적어도 일주일에 한 번은 고기를 먹지 않는 것이 당신이 도울 수 있는 일입니다.




음식물쓰레기

우리가 매일 먹는 먹을거리를 생산하면서 많은 양의 온실가스가 배출됩니다. 그러나 더 최악인 것은 우리가 생산하는 세계의 먹을거리 가운데 1/3이 버려지거나 손실된다는 것입니다. 음식을 버리는 것은 먹을거리를 생산하려고 들어간 돈과 노동력, 에너지와 땅, 물 같은 자원을 버린다는 뜻입니다. 버려진 음식물은 매립지로 가지고 가서파묻고 썩힙니다. 그렇게 썩으면서 가장 강력한 온실가스의 하나인 메탄 같은 해로운 가스가 배출됩니다. 먹고 남은 음식을 저장하고, 음식의 일부를 냉동하고, 식단을 짜서 부모님을 돕고, 슈퍼마켓에서 필요한 것만 구입하고, 못생긴 과일과 채소를 사려고 노력함으로써 먹을거리가 버려지는 것을 줄일 수 있습니다. 



천연자원

지금 이 순간, 우리는 먹을거리를 생산하는 데 필요한 양보다 훨씬 많은 천연자원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자원을 한정해서 미래세대가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또 우리는 지구의 소중한 자원을 나쁘게 사용하여 중요한 생태계를 파괴하고 있습니다. 숲을 밀어버리고, 물을 오염시키며, 흙을 황폐하게 만들고 있습니다. 지속적으로 관리해야 흙은 많은 양의 탄소를 저장할 수 있어서, 대기의 온실가스를 줄이는 큰 잠재력을 갖습니다. 우리가 천연자원을 지속적으로 관리하면, 기아를 끝내는 데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기후변화도 막을 수 있습니다.



어업

세계의 많은 사람들이 바다와 습지에 의존하여 생계를 꾸려가고 가족들을 먹여살립니다. 또 바다는 깊은 곳에 많은 양의 이산화탄소를 저장하고, 지구상 모든 생명체의 절반 이상이 터전으로 삼는 곳이기도 합니다. 해수면 상승, 수온의 상승, 오염과 남획은 우리의 바다와 습지가 더 이상 건강하지 못하다는 것을 뜻합니다. 무엇보다도 우리의 바다에서 건강한 물고기의 수가 빠르게 감소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바다를 대하는 방법을 어떻게 바꾸고, 우리가 먹는 물고기를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앞으로도 물고기로 가득한 바다를 볼 수 있을 것입니다.



먹을거리 체계

우리가 2030년까지 기아를 없애는 데 도움이 되는 것 가운데 하나는 우리가 지속가능한 먹을거리 체계를 만들 수 있느냐는 것입니다. 무엇이 먹을거리 체계인가요? 먹을거리가 농장에서부터 시장과 슈퍼마켓을 거쳐 마침내 우리의 밥상에 오르기까지는 많은 단계를 거쳐야 합니다. 이 긴 과정은 사슬처럼 연결되어 있고, 그것을 먹을거리 체계라고 합니다. 만약 고리가 부수어지면(예를 들어 충분한 먹을거리가 없어서 우리의 예상대로 작동하지 않으면), 전체 과정이 중단됩니다. 지속가능한 먹을거리 체계는 우리의 지구를 망가뜨리지 않고 증가하는 인구를 먹여살릴 수 있습니다. 그것이 기아를 끝내고 기아 없는 세대를 만드는 핵심입니다. 당신은 지속가능하게 생산되고, 지역에서 재배되며, 공정무역으로 유통된 먹을거리를 구매함으로써 이를 도울 수 있습니다.




소중한 지구의 천연자원을 보전하기

1. 물을 낭비하지 마세요.

2. 새로운 것을 먹으세요.

3. 바다를 물고기로 가득하게 하세요.

4. 에너지 효율은 최고로 하세요.

5. 유기농산물을 구매하세요.

6. 흙과 물을 깨끗하게 하세요.

7. 태양광이나 다른 청정 에너지를 사용하세요.



낭비를 줄이고 먹을거리 발자국을 줄이기

1. 필요한 것만 사세요.

2. 못생긴 과일과 채소를 고르세요.

3. 표기에 속지 마세요.

4. 플라스틱을 제한하세요.

5. 재활용하세요.

6. 먹을거리를 현명하게 저장하세요.

7. 먹다 남긴 음식을 사랑하세요.

8. 거름을 만드세요.



기후에 좋은 또 다른 방법

1. 쓰레기에 정통해져라.

2. 자전거, 걷기 또는 대중교통을 활용하라.

3. 지역에서 물건을 사라.

4. 도시를 푸르게 만들어라.

5. 숲을 보호하고 종이를 아껴라.

6. 기후변화에 대한 최신 정보를 얻어라.

7. 세상에 널리 알려라. 

8. 물려줘라.

9. 생태적 여행객이 되어라.

10. 생태적 육아를 촉진하라.





기후는 변하하고 있다.pdf
3.39MB
728x90
728x90

자원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비효율과 낭비를 무시하면서 식량생산에만 초점을 맞추는 전략은 바람직하지 않다. 





It never fails. Whenever we talk about meeting the world’s growing demands for food, energy and water, chances are good that we start with ways to produce more of these vital resources. We talk about solar panels, nuclear power stations, GMOs, advanced hydroponics facilities, desalination methods, and other, latest whizbang technologies.

We seem obsessed with the need to always deliver more energy,more food and more water, without asking the obvious question: Can we use our existing resources better by becoming more efficient and reducing the huge amount of waste we see today?

Let’s look at food as an example.

There is no doubt that the demand for food is increasing. Population growth alone — from over 7 billion today to an expected 9 billion by 2050 (a 28 percent increase) — would, if all else stays the same, imply that 28 percent more food is needed. But all else is not staying the same: Diets are changing, with dramatic increases in meat and dairy consumption as much of the world becomes wealthier. All told, the expected changes in population, wealth and diets — assuming that recent historical trends are a good guide — would result in the need to roughly double global crop production by 2050, according to University of Minnesota ecologist David Tilman and colleagues. And increases in biofuel consumption may further exacerbate the situation.

Many in the agricultural sector use this estimate to justify a massive investment in agronomic practices and improved crops, including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The argument goes like this: We need to double the world’s food supply. To do so without clearing the world’s remaining forests, we’ll need to double the average yields on the world’s existing farmland, and that will take more advanced agricultural technology.

It’s estimated that, on average, 30 to 50 percent of the world’s food is never consumed. It’s wasted somewhere in the supply chain that connects farmers to consumers.

Yes. And no. As I’ve written about extensively, this is not the whole story.

It turns out that recent investments in agricultural technology and advanced genetics have been making only a modest dent in meeting our global food demands. In the last 20 years, the world’s total agricultural production increased by roughly 28 percent. only 20 of those 28 percentage points are attributable to increased yields — roughly 1 percent per year, since crop yields tend to grow linearly. And for the last decade, my colleague Deepak Ray has shown that crop yields for many important crops have, in fact, begun to slow down and stagnate in many regions.

Even if crop yields were not stagnating, the challenges of meeting future food demands from yield increases alone is daunting. Doubling global crop production by 2050 would require a 2.7 percent annual (noncompounding) yield increase. Clearly, with yields increasing at roughly 1 percent per year, we are far from meeting that goal, and that’s with decades of research and investment in new agricultural and genetic technologies. Simply put, until something new comes along, genetics and agronomics alone are unlikely to get us to the solution we need.

That’s where waste comes in.

It’s estimated that, on average, 30 to 50 percent of the world’s food is never consumed. It’s wasted somewhere in the supply chain that connects farmers to consumers. In poorer countries, much of the waste happens between the farm and the marketplace, because crops are lost to pests or due to a lack of infrastructure (trains, trucks, roads, warehouses, etc.) to get products to market. In rich countries, most of the food waste happens around the retailer or consumer — in our supermarkets, restaurants, cafeterias and refrigerators. And while it is bad enough that we lose the food in rich countries, in poor countries the food is lost, but so is the farmer’s income — a double tragedy.

So if we’re losing 30 to 50 percent of the world’s food through waste, and all of the agricultural technologies of the past 20 years have only given us a 20 percent increase in crop yields, why aren’t we focusing at least as much attention on reducing food waste? Even cutting waste in half would be a huge step toward global food security and a boon for the environment. Billions of dollars are currently invested in genetic modification, advanced agricultural chemicals and farm machinery. Where is the comparable investment in reducing food waste? 

Fortunately, there are some innovators attacking the food waste problem. For example, Simon Wong, a business leader in Hong Kong who is heavily involved in the restaurant and banquet business, is hoping to change cultural eating habits there. Waste disposal costs in the city have increased because landfill space is nearly exhausted, which means reducing food waste makes good business sense. So Wong has worked to change the traditional eight-course banquet menus, which are very popular in Hong Kong, to a six-course meal, which is still more than satisfying andgreatly reduces the amount of food thrown away. If this were fully adopted across the city, simply changing banquet menus would save 200 metric tons of food waste every day. 

We seem fascinated by ever more elaborate means of production, but fail to look at our current use.

We should learn from pioneering efforts like this, seeing the enormous opportunities to reduce food waste — and enhance food security, food safety,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and economic competitiveness worldwide. There is a singular opportunity here, but only if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make the necessary investment. It would make sense for USAID, the Gates Foundation, agribusiness and venture capitalists to match the investment currently made in agricultural biotechnology with parallel investments in reducing food waste. Given the enormous food security, health, environmental and business benefits at stake, it seems odd we haven’t seen more activity here.

Perhaps food suffers from the same problem as energy, water and other resources. We seem fascinated by ever more elaborate means of production, but fail to look at our current use. While it is easy to shout things like “Drill, baby, drill!” and pretend it’s a resource management strategy, we need to actually address our global resource challenges from a balanced perspective. That includes bolstering efforts to improve the supply of resources, but it must also mean better management of our resource demands, especially in reducing waste and improving efficiency.

In a world where resources will become steadily more scarce, competitive and volatile, we need to be smarter about how we meet our needs. Let’s start by picking all of the low-hanging fruit — both that linked to the supply and that linked to demand. Let’s not waste the opportunity to reduce waste.


728x90
728x90


1917년 미국 식품청의 홍보물. Fred G. Cooper라는 사람이 만들었단다. 


어느새 무려 100년 전의 이야기가 되었다.

그런데 재미난 점은, 이때에도 역시 밀과 고기를 덜 먹고, 로컬푸드를 구매하며, 음식물을 남기지 말라고 권장했다는 사실.


그러나 100년 동안 이것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여전히 유효한 구호가 되고 있다는 역설... 

728x90
728x90


FW자체로는 퇴비로 쓸 수 없는 폐기물로서 비료관리법에 따라 등록된 비료제조업체가 비료제품을 생산 할 때 
혼합제로 사용되어 생산 완료된 비료제품이 되었을 때 비로소 부산물퇴비의 한 종류인 FW퇴비가 되는 것으로서 혼합비율은 제품의 15%정도 (염분농도 1%이하가 되기 위한 혼합률의 적정 비율)이다.
FW는 폐기물로서 유상 또는 무상으로 거래 할 수 없다. 퇴비의 원료로 제공되어서 그 결과 퇴비로 생산될지라도 비료관리법에 따라 시,도에 등록하여야 하고 미등록된 무허가 퇴비제조업체는 유상 공급이 불가하며 무상이라 
할지라도 1일 1.5톤 이하 생산업자에 한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또, FW는 어디에놓든 대기환경보호법과 수질환경보존법에 따라 저촉 받게 되어 있는데 일반 양계, 양돈농가에서 축분과 FW를 혼합했다 해도 자신의 농경지에 사용한 것은 무관하나 폐기물의 범주를 벗어나지 못해 유상이든 
무상이든 타인에게 공급될 수 없다. 혼합제에 대한 내용과 비율도 신고해야 하고 이를 수정해도 신고해야 할 만큼 비료관리범은 엄격히 제정되어 있으나 현실은 수리비 수거비 수익을 목적으로 수거한 FW를 이처럼 불량퇴비로 만들어 내용을 잘모르고 있는 농민들에게 무상공급하는 방법으로 처리하는 수거업체가 많은데 이는 FW불법처리의 가장 보편화된 방법이 되고 있다.

각종 부산물을 지원화 하는 방법중에는 퇴비원료로의 재활용율이 가장 높은데 축분은 FW에 비해 발생량이 10배에 이를 뿐만 아니라 농가 정서상 퇴비원료로는 FW보다 축분을 우선적으로 사용하려는 심리가 작용하는 것이 
현실이다. 축분이 FW에 비해 10배이상 발생되어 양이 많다는 점이 성분상 FW에 비해 질소가 많이 함유되어 있어 조건이 좋고 FW는 지저분하고 악취가 있고, 수분이 많아 쉽게 썩고, 선별작업도 해야 하므로 비료제조업체는 FW를 꺼리고 축분을 선호한다.한편, 벼농사에는 수산물퇴비를 거의 대부분 사용하지 않고 대부분 밭농사에서 
사용하게 되는데 FW퇴비 외의 다른 부산물 퇴비생산량으로도 이를 충분히 소화 하고도 남는 실정이어서 FW퇴비의 수요 감소 원인이 되고 있다. 더구나 FW퇴비는 염분이 있어 농도가 높은 경우 농작물 성장을 억제 시킬수 
있으며 농도가 낮더라도 반복 사용시 수확량을 감소 한다는 연구 조사 발표가 있을 만큼 농민들은 FW퇴비를 
좋아하지 않는다. 퇴비는 포장지에 부산물함유량을 의무적으로 표기하게 되어 있어 아주 큰 일부 제조업체 
생산품은 소수이나 대부분의 농민들이 FW함유표기만 봐도 기피하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결국 수요가 낮아 
FW퇴비의 유통량이 많지 못한 것이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FW퇴비는 소비자인 농민이 좋아하지 않고 따라서, 퇴비제조업체들이 FW를 혼합한 
퇴비의 생산을 꺼리게 되므로 생산량이 적을 수 밖에 없다. 일부의 퇴비제조업체에서 생산하기도 하지만 그나마 
70%이상이 무상으로 공급되고 있는데, 이를 포함하더라도 실제 FW퇴비가 사용되는 것은 국내 퇴비 총 사용량의 10%를 넘지 못한다는 일부 주장이 있는데, 실제 FW의퇴비화로서의 재활용량은 FW총 발생량의 10%를 넘지 않을 것이라 추산된다. 
농림부 추정치 통계에 따르면 2003년 유기질 퇴비 총 샌산량은 250만톤 (2000년 통계청 자료는 133만톤)인데 
이중 10%가 아닌 20%가 FW퇴비로 본다면, 그 수량은 50만톤이다. 그런데 이중 FW가 소요된 물량은 15%함량
으로 볼 때 50만톤 ⅹ 15% = 75,000톤 이고 침출수 50%를 감안 할 때 FW사용량은 15만톤으로 FW 년발생 420만톤의 2%수준에 불과한 양이다.

FW를 수거하여 자원화공장까지 운반하는 비용이 톤당 75,000원이고 퇴비화 할 때 자원화 업체에 지원하는 비용이 65,000/톤 이라고 볼 때 14만원/톤이 소요된다. 그러나 이렇게 높은 비용이 소요되더라도 퇴비 제조업체에 지급
되는 돈은 65,000원에 불과한다.
혼합을 할 때 투입되는 기타 혼합제의 비용이 톤당 7~10만원 이므로 대부분 제품을 무상으로 공급하는 형편이다 보니 제조업체는 인건비, 연료비, 침출수처리비, 기타 일반관리비등을 빼고 나면 FW퇴비 제품을 무상으로 공급
할 때 퇴비제조업자는 FW 1톤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20만원씩의 손실이 발생한다.

더 자세히 분석해 보자.
양질의 FW퇴비를 만들기 위해서는 FW는 15%만 투입되고 나머지 85%는 톱밥 등의 혼합제가 투입 되어야 한다.
그런데 FW 1톤당 침출수를 빼고 나면 0.45톤 이므로 이 물량을 처리 하기 위해서는 FW퇴비 3톤을 생산하는 
것으로 볼 때(0.45톤 = 0.15톤 ⅹ 3) 
FW퇴비 3톤 생산비는,

위와 같이 퇴비로서의 가치가 없고 생산해도 톤당 20만원의 손실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수요자가 없다 보니 
가축 농가들은 FW를 그 자체 또는, 분뇨와 혼합한 상태의 폐기물들을 어딘가에 적재 할 수 밖엔 없는 실정이다.
실제로 퇴비화를 위해 FW를 수거하는 대부분(80%이상)의 가축 농장은 FW를 야산, 논, 밭, 하천 등에 무단 폐기
하고 있는 상황이어서 어느 농장을 가더라도 직접 확인 할 수 있을 만큼 일반적인 현상이고, 결국 이는 엄청난 
환경오염을 초래하고 있다. 경기도 포천시, 화성시 등지에 M. N. N. 농장에 대량 무단 투기 사례는 이런 현상을 
증명하는 작은 예일 뿐이다.

FW가 실제로 사용되는 양은 위 3항에서와 같이 불과 3.6%에 불과하다. 유관기관에서는 약 60%가 퇴비로 재활용 된다고 발표하는 것에 비해 거의 전량이 어디에 쓰였는지를 알 수 없는 수치 이지만 이는 추 후 따져 보기로 하자. 
그런데, 위 4항에서 보면 FW퇴비 제조업체는 대부분이 FW 1톤을 퇴비화 할 때마다 20만원의 손실이 발생하므로 거의 모든 FW퇴비화 업체들이 FW퇴비를 생산 할 수 없어 결국은 환경을 오염시키는 형태로 처리 할 수 밖에는 
없는 국면에 놓이게 되어 있다.
따라서, FW의 퇴비화를 통한 자원화는 유상으로 판매 할 수 있는 업체만을 자원화 하도록 엄격히 통제해야 한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FW퇴비는 유상으로 거래 될 수 있을 때만 자원으로서의 가치가 있고 무상공급은 경제 원리상 있을 수도 없거니와 있다 하더라도 불량퇴비 일수 밖에 없어 이는 환경을 오염시키거나 토양에 악영향을 입히므로써 작물의 피해를 초래 할 것이다.
또, 농민들은 FW퇴비는 좋지 않다는 인식이 깊어 FW퇴비의 유상화는 매우 힘든 일이다.
그런데, FW퇴비를 연구하는 학자등 전문가들의 이에 대한 견해는 FW퇴비가 꼭 필요 하거나 좋아서가 아니라 FW를 자원화 하는 것 외에는 달리 처리할 다른 방법이 없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FW퇴비화를 추진 할 뿐 이라고 한다.
그렇다면, 차라리 자원화의 방법을 포기하고 민간에서 개발된 다양한 발생지 원천 처리 장비들을 이용한다면 환경오염도 막고, 예산 낭비도 줄이면서 많은 사람들을 범법자로 양산하는 것도 막을 수 있을 것이다.

자원화 정책중 사료화에 대한 현실성은 추후 연구발표 하겠으나 정부는 자원화정책을 탁상행정이나 숫자 앞세우기로 독일병정식 추진만을 강행할 것이 아니라 우수산물 제조업체와 선의의 원형이용 일부 가축농가들은 적극 
육성보호하고 나머지 물량은 전면 폐기물로처리하는 한편 발생지 원천처리 방식의 소위 ‘자가 처리기’의 사용확대를 위한 제도를 개편, 신설하여 자원화정책과 자가처리를 병행하는 정책을 편다면 FW처리문제가 한결 투명하고도 효율적인 결과를 낳게 될 것으로 보며 이를 관계당국에 적극 건의코저 하는 바이다.
728x90
728x90

It's no secret that Americans throw away an enormous amount of food, sending day-old leftovers and slightly wilted spinach straight to the garbage. But what about the food that never even makes it to the kitchen table? A new report released by a British engineering society reveals that worldwide, billions of tons of food are squandered each year because of poor agriculture practices, which include inefficient harvesting and inadequate infrastructure and storage—and it's depleting Earth's water supply.

"This level of wastage is a tragedy that cannot continue if we are to succeed in the challenge of sustainably meeting our future food demands," writes the Institution of Mechanical Engineers. "The potential to provide 60-100% more food by simply eliminating losses, while simultaneously freeing up land, energy and water resources for other uses, is an opportunity that should not be ignored."

According to the report, developing countries, including India, China, and Vietnam, don't have the infrastructure to stop food from rotting. But that doesn't mean that Americans are off the hook: Developed societies tend to waste food on the consumer end of the chain, because it doesn't meet cosmetic standards (i.e., the tomatoes aren't pretty enough for your local supermarket) and also because consumers and supermarkets are throwing away perfectly good food, largely because of conservative "use-by" labels.

The charts below illustrate some of the stats from the report. Now, go home and revisit the Chinese food that's been in the fridge for three days. It's probably fine. (But of course, this isn't medical advice, so don't sue Mother Jones, please.)









728x90
728x90

Almost half of all the food we produce in the world never makes it to a plate. Today, we allow a staggering two billion tons of food to go to waste each and every year. If we eliminated this unnecessary food waste, we could potentially provide 60-100 percent more food to feed the world's growing population.

These are just some of the shocking statistics from anew report by the Institution of Mechanical Engineers (IME), highlighting once again how staggeringly wasteful our food and farming system is. But it's not just simply the food that's going to waste: think about all the wasted energy, water, chemicals and labor that went into producing, transporting, and storing what is ultimately just left to rot.

The IME's new report mirrors a 2011 study by the UN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FAO), entitled Global Food Losses and Food Waste: Extent, Causes and Prevention. The FAO found that industrialized countries waste 222 million tons of food every year -- almost equivalent to the annual net food production in sub-Saharan Africa. In the United States alone, we waste more than 29 million tons of food each year. That's enough to fill the 90,000-seat Rose Bowl every day, according to food-waste guru, Jonathan Bloom, author of American Wasteland.

Look around and it's clear that we're not just wasting food by letting it rot or throwing it away. It's a well-known fact that we already produce more than enough food today for everyone to have the nourishment they need to thrive. But while the number of people suffering from chronic hunger increased from under 800 million in 1996 to over one billion in 2009, obesity and diet-related ill health in the West is running out of control. Although the U.S. makes up only five percent of the world's population, we account for almost a third of the world's weight due to obesity. As our diets have changed to incorporate the ever-increasing availability of cheaper meat and dairy products and highly processed food, devastating diet-related diseases -- like heart disease, Type 2 diabetes and some diet-related cancers -- have reached epidemic levels in the US.

In 2008, 33.8 percent of U.S. adults were diagnosed as clinically obese. One in three people born in 2000 in the U.S. will develop Type 2 diabetes by 2050. Between 1976 and 1980 and 2007 to 2008, obesity among U.S. pre-school age children -- we're talking about kids of just two to five years of age -- increased from five percent to 10.4 percent. During the same period, obesity amongsix to 11-year-olds increased from 6.5 percent to 19.6 percent, and among 12 to 19-year-olds we saw an increase from five percent to 18.1 percent. According to a study of the national costs attributed to overweight and obese people, medical expenses associated with these conditions alone accounted for 9.1 percent of total U.S. medical expenditures in 2006 -- and may have reached as high as $78.5 billion ($92.6 billion in 2002 dollars).

We know that most of the world's hungry live in the developing nations in the South. They are hungry because they cannot afford to buy food or grow it themselves, usually because of poverty, but also due to conflict, poor infrastructure, poor agricultural practices and the over-exploitation of the environment, among other things. They are also hungry because much of their agricultural production is focused on generating food and livestock feed to supply Western markets. Recent price rises caused by harvest failures, commodity speculation and the diversion of grain to produce biofuels over recent years have hardly helped matters (see for example Tom Philpott'sexcellent blog on the horrendous impact U.S. biofuels policy is having on global food prices -- and hunger).

In response to concerns about how we can feed the world's growing population, which is predicted to reach nine billion by 2050, the industrial food lobby has misleadingly claimed that we urgently need to double food production. They argue that the only way we can hope to feed the world is by further intensifying agricultural production, with more agrochemicals, the global uptake of GM crops and a dramatic increase in intensively farmed livestock -- methods which happen to be highly profitable for their promoters. Yet people are waking up to the fact that food security is not simply about producing "more" of the same food, as those with vested interests would like us to believe. This argument is not only far too simplistic, but will simply exacerbate the significant human health and environmental problems that I have written about many times before -- particularly in a future where climate change and ever-diminishing supplies of natural resources (such as fossil fuels) are now the accepted reality.

Many leading scientists, development organizations and policymakers now recognize that the further intensification of agriculture is just no longer an option. Increasingly, scientists and global development institutions alike are recognizing that we need to make fundamental changes in the way we farm and how we feed ourselves. The consensus is that we need to find ways of farming that not only produce sufficient quantities of the right kinds of food, grown in the right places, but which also minimize greenhouse gas emissions and other environmental impacts associated with intensive farming practices. In other words, we not only need to reduce the amount of food we currently waste, but we also need to dramatically improve our high-calorie, high-processed, high-waste Western diet -- a diet which is literally killing us and destroying our planet.

Numerous reports and policy documents are now singing from the same hymn sheet, calling for a wholesale shift in food production and consumption. For example, the increasingly influential International Assessment of Agricultural Knowledge, Science and Technology for Development (IAASTD) published the findings of a three-year project involving 400 independent scientists and development experts from across the world. The IAASTD report makes fascinating reading and concludes that small-scale farming and agroecological practices, such as organic farming, had a vital role to play in feeding the world in the future. The IAASTD also questioned the idea that GM crops are the panacea many people believe them to be.

In March 2011, the United Nations released "Agro-ecology and The Right to Food," which states that agro-ecology can double food production within 10 years in critical regions by using ecological methods. Based on an extensive review of the recent scientific literature, the study called for a fundamental shift towards agroecology and supporting independent farms as a way to boost food production and improve the situation of the world's poorest. A recent U.N. report, entitled "Dead Planet, Living Planet: Biodiversity and Ecosystem Restor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recommends a blend of the new and the old: pest management using natural predators, intercropping agroforestry and green manures. The Animal Welfare Approved program has routinely held the position that scientifically sound high-welfare, sustainable systems offer a real alternative to the failed experiment of industrial farming, and are the only way we can feed and water the world sustainably for the long term.

Don't be fooled by the Doomsday rhetoric of those who want nothing more than to maintain the status quo. As fast food, obesity and the market for drugs to treat diet-related health problems spreads worldwide, it's now blatantly clear that Big Food simply wants to continue profiting from our misery. We need to fundamentally change our food and farming system, our diet and global food distribution infrastructure -- and we need to do it now. At a time when we are being bombarded by vested corporate interests to further industrialize food production in order to feed the world's growing population, simply producing more of the same would be the biggest waste of all.

728x90
728x90

위는 CNN에서 만든 음식물쓰레기 정보도이다. 요즘 서구 사회는 이렇게 한눈에 정보를 알 수 있게 만드는 기술이 엄청나게 발달했다.

아무튼 위의 그림에서 보듯이 운송, 가공, 도소매점 및 가정에서 음식물쓰레기가 발생한다. 여기에 하나 더 추가하자면 농장에서 가격이 맞지 않아 폐기되는 농산물들을 들 수 있다.

 

 

 

서울시에서 하루에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의 침출수가 1800여 톤에 달한다. 그중에서 1/3인 622톤이 그동안 바다에 버려져 왔다. 그런데 이번 달부터 그러한 폐수의 해양투기가 금지되면서 난리가 났다.

 

지자체에서는 그 폐기 비용을 당연하다는 듯이 폐기업체에게 떠넘겼고, 폐기업체에서는 왜 공공의 일을 사기업에게 전가하느냐면서 반발하여 음식물쓰레기의 반입을 금지하고 있다. 당연히 음식물쓰레기 대란이 코 앞에 닥친 것이다(http://goo.gl/6AqZv).

 

솔직히 지금과 같은 식량 생산-소비 체계에서는, 그리고 지금의 한국 사회구조에서는 '돈'으로 해결하는 것밖에 답이 보이지 않는다. 나에게 해결책을 찾으라고 한다면, 음식물 쓰레기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않도록 도시농업을 활성화하여 집집마다 텃밭을 가꾸게 하거나 식품의 이동거리를 줄이는 지역 먹을거리가 실현될 수 있도록 도시계획을 짜고, 음식물쓰레기가 나오더라도 그것을 거름으로 만들어 텃밭에서 활용하거나 소규모로 가축을 키워 먹을 수 있도록 하겠다. 헌데 서울시의 상황이 그걸 허락하지 않는 것이 슬프다. 여기는 세계에서 가장 인구밀도가 높은 도시이다 보니 '땅'이 없다. 결국은 서울이란 대도시가 너무 과밀화되어 있는 것이 모든 문제의 핵심이다.

 

참, '텃밭보급소'의 올해 중점 사업이 퇴비통 보급이라고 했지. 오호, 날개 돋친 듯 팔리겠구나!


728x90
728x90



 2013년을 시작하며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건강이나 식단을 개선할 계획을 세울 것이다. 우리는 식량체계를 고치기 위한 더 커다란 계획을 농민, 정책입안자, 소비자라는 더 광범위한 집단의 범위에서 구상해보자 -전 세계의 농지와 회의실과 밥상에서 장기적 영향을 미치는 진정한 변화. 이는 세계에 여전히 굶주리고 있는 10억 명과 과체중과 비만에 시달리는 그 이상의 고통을 해결할 계획이다. 우리는 도구를 가지고 있다 -2013년 그것을 사용하자!


여기 2013년 식량체계를 변화시킬 13가지 해결책이 있다:

1. 도시를 경작하자: 식량생산은 농지나 공장에서만 하는 것이 아니다. 전 세계 약 10억 명의 사람들이 도시에서 식량을 생산한다. 아프리카 최대의 빈민가인 Kibera에서, 농민은 토종 채소의 씨앗을 심어 농촌의 농민들에게 판매하고 있다. 뉴욕의 Bell Book & Candle 식당에서, 소비자들은 로즈마리, 체리토마토, 로메인 상추 및 기타 채소를 식당의 옥상텃밭에서 기른다.

2. 새로운 접근법을 만들자: 오클랜드의 People's Grocery와 시카고의 Fresh Moves는 신선식품을 접할 기회가 부족한 저소득층이 건강한 식품을 선택할 기회를 주고자 휴대전화 식료품점을 만들었다. 감자칩이나 탄산수 대신 그들은 그 지역사회에서 일반적으로 이용하지 못하는 저렴한 유기농산물을 제공한다.

3. 건강한 식품을 먹자: Michael Pollan 작가는 조부모님이 알지 못하는 아무것이나 먹지 말라고 조언한다. 합성보존료나 첨가물이 없는 더 많은 과일과 채소, 완전식을 먹어보자.

4. 요리를 하자: 영국과 미국에서 가사 수업이 감소하며 젊은이들은 기본적인 요리법도 모르게 되었다. 요리사인 Jamie Oliver, Alice Waters, Bill Telepan 씨는 학교에서 아이들에게 건강하고 영양가 풍부한 음식을 어떻게 만드는지 가르치고 있다.

5. 잔치를 열자: Hartman 그룹에 따르면, 미국 성인의 약 절반이 혼자 밥을 먹는다. 가족이나 친구와 함께 밥을 먹으면 지역사회와 대화를 증진시킬 수 있다. 최근의 연구들은 가족과 밥을 먹는 아이들이 그렇지 않은 아이들보다 전형적으로 더 행복하고 안정적이라고 제안한다. 

6. 육식을 피하자: 세계의 약 20억 명이 미량영양분 부족으로 고통을 받고 있다. 세계채소센터(World Vegetable Center)는 아프리카와 아시아의 농민이 건강과 소득을 개선시킬 수 있도록 고부가가치의 영양분이 풍부한 채소를 재배하는 걸 돕는다. 

7. 음식쓰레기를 만들지 말자: 먹을거리의 약 1/3이 버려진다 -농지에서, 운송되면서, 가게에서, 집에서. 그러나 그런 음식쓰레기를 예방하는 쉬운 방법이 있다. Love Food, Hate Waste와 같은 단체에서는 소비자에게 남는 부분의 비율을 조절하고 그걸 요리하는 비결을 알려주는 한편, 볼리비아에서 태양광 건조기를 사용해 음식을 보존하도록 한다. 

8. 청소년을 참여시키자: 지적이고 경제적으로 자극이 되는 농사는 식량체계와 청소년들에게 매력적인 활동이 될 것이다. 아프리카의 사하라 이남 지역에 걸쳐 휴대전화와 인터넷은 기후와 시장 정보에 농민을 연결하고 있다; 미국에서 Food Corps은 건강한 식생활을 준비시키고자 학생들에게 어떻게 작물을 기르고 요리하는지 가르치고 있다.

9. 노동자를 보호하자: 전 세계의 농업과 식품 노동자들은 더 나은 임금과 노동조건을 위해 싸우고 있다. 짐바브웨에서, 일반적 농업, 플랜테이션 노동자연합(General Agricultural and Plantation Workers Union, GAPWUZ)은 학대로부터 노동자들을 보호한다. 미국에서 이모칼리 노동자연합(Coalition of Immokalee Workers)은 플로리다의 토마토 수확 노동자들에게 정당한 임금을 지불하도록 Trader Joe's와 Chipotle를 설득시켰다.

10. 농민의 중요성을 인정하자: 농민은 단순히 농민이 아니라, 사업가이자 토지의 수호자이자 교육자이자 지역사회에서 지식을 공유하는 사람이다. 국제 슬로우푸드는 전 세계에서 농민들과 함께 일하며 그들이 생물다양성과 문화를 지키는 데 중요한 존재임을 인식시키고 있다. 

11. 정부의 역할을 인식시키자: 국가는 모든 사람들이 안전하고, 값싸고 건강한 음식을 먹을 수 있도록 하는 정책을 시행해야 한다.  가나와 브라질에서 전국적인 학교급식프로그램과 지속가능한 농업 생산을 위한 지원을 늘리는 정부의 조치로 굶주리는 사람들의 숫자가 엄청나게 줄었다. 

12. 측정기준을 바꾸자: 정부, 비정부기구, 자금 제공자 들은 영양의 개선과 환경보호보다는 생산량과 수확량의 증가와 개선에만 초점을 맞추어 왔다. 측정기준을 바꾸고, 품질에 초점을 맞추면 공중보건과 환경 및 생활을 개선할 것이다.

13. 망가진 식량체계를 고치자: 농업은 세계에서 가장 급박한 과제 가운데 일부의 해결책이 될 수 있다 -실업 문제를 포함하여, 비만과 기후변화. 이러한 혁신은 더 많은 연구, 더 많은 투자, 궁극적으로 더 많은 자금 지원을 필요로 한다. 

우린 할 수 있다  -함께!


출처 http://goo.gl/RHB7G

728x90

'농담 > 농업 전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악양들  (0) 2013.01.12
27년 만의 한파와 우리의 밥상  (0) 2013.01.07
2012년을 마무리하며  (0) 2012.12.31
2012년 세계 농업의 10대 소식  (0) 2012.12.31
벼 대신 콩 심어라  (0) 2012.12.31
728x90



728x90

'곳간 > 사진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원, 화서문  (0) 2013.01.06
경성, 원구단  (0) 2013.01.06
아프리카의 토지수탈 자료  (0) 2012.12.12
2012년 미국의 산불 발생 현황  (0) 2012.12.12
월마트와 식량체계  (0) 2012.12.07
728x90

Food is simply too good to waste. Even the most sustainably farmed food does us no good if the food is never eaten. Getting food to our tables eats up 10 percent of the total U.S. energy budget, uses 50 percent of U.S. land, and swallows 80 percent of freshwater consumed in the United States. Yet, 40 percent of food in the United States today goes uneaten. That is more than 20 pounds of food per person every month. Not only does this mean that Americans are throwing out the equivalent of $165 billion each year, but also 25 percent of all freshwater and huge amounts of unnecessary chemicals, energy, and land. Moreover, almost all of that uneaten food ends up rotting in landfills where it accounts for almost 25 percent of U.S. methane emissions.

Nutrition is also lost in the mix -- food saved by reducing losses by just 15 percent could feed more than 25 million Americans every year at a time when one in six Americans lack a secure supply of food to their tables. Given all the resources demanded for food production, it is critical to make sure that the least amount possible is needlessly squandered on its journey to our plates.

Identifying Efficiency Losses in the U.S. Food System

This paper examines the inefficiencies in the U.S. food system from the farm to the fork to the landfill. By identifying food losses at every level of the food supply chain, this report provides the latest recommendations and examples of emerging solutions, such as making "baby carrots" out of carrots too bent (or "curvy") to meet retail standards. By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our food system, we can make better use of our natural resources, provide financial saving opportunities along the entire supply chain, and enhance our ability to meet food demand.

The average American consumer wastes 10 times as much food as someone in Southeast Asia, up 50 percent from Americans in the 1970s. This means there was once a time when we wasted far less, and we can get back there again. Doing so will ultimately require a suite of coordinated solutions, including changes in supply-chain operation, enhanced market incentives, increased public awareness and adjustments in consumer behavior.

Much can be learned from work that is already under way in Europe. Both the United Kingdom and the European Union have conducted research to better understand the drivers of the problem and identify potential solutions. In January 2012, the European Parliament adopted a resolution to reduce food waste by 50 percent by 2020 and designated 2014 as the "European year against food waste." An extensive U.K. public awareness campaign called "Love Food Hate Waste" has been conducted over the past five years and 53 of the leading food retailers and brands there have adopted a resolution to reduce waste in their own operations, as well as upstream and downstream in the supply chain.



Gains can be made quickly. In just five years, avoidable household food waste in the United Kingdom has been reduced 18 percent. The complexity of the issue cannot be ignored. At the heart are two basic realities that must be acknowledged upfront. The first is that food represents a small portion of many Americans' budgets, making the financial cost of wasting food too low to outweigh the convenience of it. Second, there is the plain economic truth that the more food consumers waste, the more those in the food industry are able to sell. This is true throughout the supply chain where waste downstream translates to higher sales for anyone upstream. Overcoming these challenges as well as the other drivers of food waste discussed in this document will require all hands on deck from the U.S. government to consumers to business. It will also require raising the priority of reducing food waste to the significant level it merits.

Working Toward More Efficiencies in the Food Supply System

The time to act is now. In fact, a recent report by consulting firm McKinsey ranks reducing food waste as one of the top three opportunities to improve resource productivity. Key prospects for change agents include:

  • The U.S. government should conduct a comprehensive study for food losses in our food system and establish national goals for food waste reduction. one key action will be to standardize and clarify the meaning of date labels on food so that consumers stop throwing out items due to misinterpretation. A waste reduction organization in the United Kingdom has estimated this type of clarification could prevent about 20 percent of wasted food in households.
  • State and local governments should lead by setting targets and implementing food waste prevention campaigns in their jurisdictions as well as their own operations. one key opportunity for this is education alongside municipal composting programs.
  • Businesses should start by understanding the extent and opportunity of their own waste streams and adopting best practices. For example, Stop and Shop was able to save an estimated $100 million annually after an analysis of freshness, shrink, and customer satisfaction in their perishables department.
  • Americans can help reduce waste by learning when food goes bad, buying imperfect produce, and storing and cooking food with an eye to reducing waste.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the U.S. food system is a triple bottom-line solution that requires a collective approach by decision-makers at every level in the supply chain. Investing in these food waste reduction strategies, together we can reap the tremendous social benefits of alleviating hunger, the environmental benefits of efficient resource use, and the financial benefits of significant cost savings.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