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유전공학8 GMO 논쟁의 사회적 결과 읽고 생각해 볼만한 문제이다. 알아야 비판할 수도 있는 법이다. ------------------------------https://scimoms.com/social-consequences-gmo-debate/ GMO 논쟁은 20년 동안 계속되고 있지만, 사실 이 논쟁은 GMO에 관한 것이 아니다. 오히려"GMOs"는 여러 가지 매우 실질적 우려들에 대한 입장이 되었다. 먹을거리 공.. 2019. 9. 10. 유전자 편집 토마토, 미국 농무부의 승인을 얻다 미국에서는 농무부가 유전자 편집 기술을 이용해 육종한 6가지의 토마토 품종을 승인했다는 소식이 들린다. 과학기술은 정말 빠른 속도로 발전한다.http://www.egreennews.com/view.php?ud=20190804052622694394b5829de2_1 http://news.agropages.com/News/NewsDetail---31328.htm 2019. 8. 5. 식물 육종의 역사 인간이 식물을 이용해 온 것은 언제부터인가? 인간이 농경을 시작한 것이 이른바 "신석기 혁명"이라 부르는 무렵이라고 보면, 식물을 이용한 것은 그보다 더 오래되었을 것이다. 실제로 더 오래된 구석기 시대의 유적에서도 식물을 이용한 여러 유적과 유물들, 그리고 식물체들이 발굴되.. 2019. 1. 23. 육종과 함께 미국의 옥수수 수확량이 어떻게 변화했는가? 1906년. 최초로 옥수수의 유전자 유전에 관한 과학적 연구가 시작됨.1921년. 이중교배에 의한 교잡종 옥수수가 상업화됨.1960년대. 1대 잡종에 의한 교잡종 옥수수가 퍼지기 시작함.1980년대. 유전자 표식과 삽입에 관한 연구가 시작됨.1996년. 미국에서 최초로 유전자변형 옥수수가 상업화됨... 2017. 6. 29. 질소를 고정하는 박테리아를 활용한 유전자변형 작물 콩은 대기의 질소 성분을 고정시켜 식물에 필요한 질소질을 쉽게 얻는다고 한다.그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콩과 공생하는 뿌리혹박테리아인데, 유전공학의 기술로 작물에 질소를 고정시키는 박테리아를 주입해 생산량을 늘리는 유전자변형 작물이 개발되었다는 소식이다.참 별의별 걸 .. 2017. 4. 4. 유전자변형 벼 상용화와 관련하여 요 며칠 유전자변형 벼의 상용화와 관련한 소식이 눈에 자주 띄었다. 그에 반대하는 측에서 우려하는 바가 무엇인지는 잘 알겠지만, 그걸 읽다 보면 우려를 넘어 공포를 조장하는 측면이 있어 몇 가지 짚고 넘어가는 것이 좋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아침으로 먹을 미역국을 .. 2015. 10. 6.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