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위기6

기후변화에 따른 연도별 벼 불임률 재미난 지도를 보았다. 기후변화에 따른 연도별 벼 불임률 지도. 지도를 보면, 그러니까 2060년 정도 되면 지금과 똑같은 벼 품종으로는 농사가 제대로 되지 않는다는 이야기이다. 농사가 되긴 되는데 평균 20% 정도는 이삭이 제대로 맺히지 않는다는 뜻이다. 저 북쪽이나 현재의 고랭지에.. 2019. 11. 18.
일본 마을 산의 생물종 조사 자료 일본의 마을 산에서 나비와 반딧불이 급감 세계의 추세와 마찬가지 심해지는 '보통종'의 위기 일본 자연보호협회가 사무국을 맡고 있는 전국의 마을 산 시민 조사"중요 생태계 감시지역 모니터링 추진사업(환경성 사업. 이하 '모니터링 사이트 1000개 지역 조사'라고 함)에서 2005-2017년도 .. 2019. 11. 14.
인도 오디샤Odisha에서 기후 위기의 씨앗을 파종하다 라야가다Rayagada에서 Bt 면화의 면적이 지난 16년 동안 5,200% 증가했다. 그 결과, 풍부한 토종 조, 토종 벼 품종과 숲의 먹을거리 등 생물다양성의 보고가 우려스러운 생태적 변화를 보이고 있다. "모두 그렇게 해요. 우리도 마찬가지고요." 루파 피리카카 씨는 좀 머뭇거리며 말했다. 그렇게 .. 2019. 10. 7.
현재의 기후 위기는 인간의 책임이다 현재 전 지구적으로 일어나고 있는 이상 기후는 산업혁명 이후 뚜렷해진 결과로서, 전적으로 인간의 책임이라는 연구결과가 발표되었다. https://www.theguardian.com/science/2019/jul/24/scientific-consensus-on-humans-causing-global-warming-passes-99?CMP=twt_a-environment_b-gdneco 당연한 이야기겠지만 이런 연구가 중요.. 2019. 7. 25.
산업형 농업이 기후 위기를 부채질한다 과다한 질소 비료의 사용, 또는 축산 분뇨 등으로 토양에 지나치게 투입된 암모니아 성분이 미생물에 의해 질산으로 전환되면 토양이 산성화된다. 그런데 이렇게 과다한 토양 속의 암모니아가 온실가스인 아산화질소로 바뀌면서 대기로 방출된다는 사실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처음으로 .. 2019. 7. 9.
영국 농업의 위기 Lodge Bank 농장의 낙농가 Kit Dean 씨. 2013년 1월 30일. 사진: Murdo MacLeod 컴브리아 주 노스요크셔 근처의 요크셔 계곡 국립공원의 귀퉁이에 있는 Kit Dean 씨의 낙농장에 도착하기 몇 시간 전, 그는 자신의 사료 공급업자로부터 전화를 받았다. "나는 다시 연기해야 했다"고 그는 말한다. 수천 파운.. 2013. 3.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