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야흐로 새들이 우짖고 푸른 새싹이 돋는 따뜻한 봄날입니다. 하루가 다르게 바뀌는 자연에 맞춰 우리네 몸도 겨우내 묵은 때를 털고 봄기운을 맞이하느라 찌뿌드드하고 졸음이 쏟아집니다. 그와 함께 슬슬 본격적인 농사철이 다가옵니다. 부지런한 농부는 이미 준비를 다 끝냈지만 게으른 농부는 이래저래 마음만 바쁩니다. 열심히 마련한 거름을 내 논밭을 갈고, 이것저것 씨앗을 추스르고 심을 때입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파종播種, 곧 "씨뿌리기"와 관련된 말을 알아보려고 합니다.

씨뿌리기에 앞서 가장 중요한 밭 만들기를 이야기해야 하는데, 여기서는 일단 건너뛰겠습니다. 씨도 씨지만 땅을 빼고는 농사를 말할 수 없습니다. 어떻게 보면 씨보다도 땅이 더 중요합니다. 수컷들이 씨를 뿌려놓고 나 몰라라 하면 암컷들이 다 거두어서 기르는 것처럼 말이죠. 땅을 어떻게 준비하느냐에 따라서 한 해 농사의 풍흉을 점칠 수 있다고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닙니다. 그만큼 땅은 농사의 기본이요, 알파와 오메가입니다. 지금은 씨와 관련된 말을 살피는 시간이니 땅과 관련된 말은 다음으로 미루겠습니다.

씨를 심으려면 먼저 씨앗(종자種子) 준비해야 합니다. 종묘상에서 파는 씨앗을 사면 포장도 깔끔하고, 포장지를 뜯으면 씨앗에 색깔을 입혀 놓은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잘은 모르는데 벌레 피해를 막기 위해서 약품 처리를 한 것이라고 하더군요. 그런 씨앗이 아니라 지난해 직접 받은 것이라면 씨앗가리기(종자예조種子豫措)를 해야 합니다. 겉은 말짱해 보이지만 물에 담그면 둥둥 뜨는 것들은 속이 덜 여문 것이니 골라내고 할 수 있으면 알찬 놈들로만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렇게 씨고르기(선종選種)을 마치면 바람이 잘 통하는 선선한 곳에 매달아 놓고 심는 날까지 기다리면 됩니다. 오래 묵은씨라면 옆 마을에 아는 사람이나 이웃에게 새로 씨앗을 받아 씨앗갈이(종자갱신種子更新)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물론 내가 좋은 씨앗이 있다면 서로 씨앗바꾸기(종자교환種子交換)도 하는 것이 예의입니다. 옛날 사람들은 피난을 가더라도 가장 먼저 챙긴 것이 씨앗이라고 합니다. 좋은 씨앗은 베개 속에 꽁꽁 넣어놓았다고도 합니다. 그만큼 씨앗을 목숨처럼 생각했기 때문일 겁니다. 그런 씨앗을 서로 나누는 행위는 얼마나 중요한 것이겠습니까.

이러한 씨를 크기에 따라 분류하면 잔씨앗(소립종小粒種)과 중씨앗(중립종中粒種), 큰씨앗(대립종大粒種)이 있습니다. 정확하게 어떤 것이 잔씨앗이고 큰씨앗인지 구분되어 있지는 않지만 아무래도 상추씨 같이 재채기 한 방에도 다 날아가 버리는 것들이 잔씨앗이고, 작두콩 같이 큰 놈들이 큰씨앗이 아닐까 합니다. 이건 객관적인 기준이 없으니 내가 본 것들 가운데 기준이 생기는 아주 주관적인 잣대입니다. 수치화하고 계량화하면 편리하기는 하지만 왠지 재미가 없지 않겠습니까. 시스템으로 만드는 것도 저마다 자기한테 맞게 해야지 시스템이 먼저 있고 사람이 거기에 끼워맞춰야 하는 프로크루스테스의 침대 같은 요즘은 참 이상한 시대입니다.

아무튼 한데(노지露地) 심는 것 가운데 잔씨앗은 잎남새(엽채류葉菜類)나 줄기남새(간채류幹菜類)가 대표적입니다. 이렇게 씨앗이 작은 놈들은 흩뿌림(산파散播)을 하거나 줄뿌림(조파條播)를 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하지만 흩뿌림은 아무나 할 수 있는 건 아니고, 어느 정도 감이 있는 분들이 해야 합니다. 어르신들이 흩뿌림하는 모습을 보면 대충 뿌리는 것 같은데도 싹이 날 때 보면 어김없이 좍좍 흩어져서 아주 잘 자랍니다. 이런 일을 초보자가 했다가는 한 군데에서 뭉텅뭉텅 자라서 나중에 솎을 때 애먹습니다. 배게뿌림(밀파密播)는 처음 뿌리는 분은 조심해야 할 사항입니다. 어떤 분은 몇 십 평에 심을 수 있는 씨앗을 한 평에 다 쏟아붓는 경우도 있지요. 걔네들이 나올 때 보면 콩나물 시루 같은 지하철이 생각납니다.

이런 작은 놈들을 다룰 때 이래저래 가장 편한 방법은 손가락으로 한 줄 죽 긋고, 엄지와 집게손가락으로 조금씩 집어서 살살살살 뿌리는 것입니다. 이렇게 얕심기(천식淺植)를 하다보면 정신을 집중하느라 잡념이 사라지는 무념무상의 경지도 살짝 맛볼 수 있습니다. 흙덮기(복토覆土)도 두 손가락으로 살살 덮고, 따로 밟기(답압踏壓)나 누르기(진압鎭壓)를 하지 않아도 됩니다. 그러고 일주일에서 열흘이 지나면 터져나오는 새싹들! 참 신비롭고 가슴 뿌듯한 뭔가가 가슴에서 찌르르 흐릅니다.

어느 정도 알이 굵은 놈들은 점뿌림(점파占播)를 합니다. 그 유명한 "새 한 알, 벌레 한 알, 사람 한 알"씩 먹는다는 말은 점뿌림을 말합니다. 그런데 요즘은 이 말도 뻥입니다. 새들이 어찌나 극성인지 다 먹어치웁니다. 뒤적거려서 찾아 먹지 않으면 떡잎을 똑똑 끊어먹어서 더 이상 자라지 못하게 합니다. 아주 속터질 노릇이지요. 저는 몇 해는 "눈치 농법(새들이 없거나 보지 않을 때를 눈치 봐서 심는)"으로 거의 피해를 보지 않았는데, 지난해에는 그 방법도 통하지 않더군요. 씨앗을 어디에 심었는지 모르니 떡잎이 나오는 대로 죄다 따먹어 버렸습니다. 결국은 모종을 키우거나 방충망을 덮는 방법을 동원해서 피해를 보지 않았지요. 그래도 그 등살에도 굴하지 않고 살아 남은 놈들도 있었습니다. 그런 놈들 주변에는 풀덮기(부초敷草)를 해서 위장하고, 떡잎이 없는 놈들은 뽑고 메워심기(보식補植)를 하거나 덧뿌림(보파補播)을 했습니다.

요즘은 잘 안하지만 그냥 집에서 뜯어 먹을 푸성귀를 기를 때는 섞어뿌림(혼파混播)도 했다고 합니다. 밭에 오시는 형님께서 옛날 어머니가 그렇게 하셨다고 합니다. 그러께에는 그대로 해봤는데 그거 참 좋은 방법이었습니다.

앞에서 말한 남새 종류는 한 해에 주로 두 번을 심을 수 있습니다. 봄뿌림(춘파春播)과 가을뿌림(추파秋播)를 할 수 있지요. 저는 봄에 뿌린 놈들을 실컷 먹다가 몇 놈만 놔둡니다. 그럼 알아서 꽃이 피고 씨가 달립니다. 저절로 힘들이지 않고 씨받이(채종採種)를 하는 겁니다. 그럼 지가 알아서 떨어진 놈도 있어서 거기서 가을에 또 자라거나 받은 씨를 가지고 또 심으면 됩니다. 아주 쉬운 두번짓기, 그루갈이(이모작二毛作) 방법입니다.

부추 같은 경우는 다른 것처럼 한해살이(일년생一年生)나 두해살이(월년생越年生)이 아닌 여러해살이(다년생多年生)라서 한자리에서 4~5년은 거뜬합니다. 그보다 오래되면 자라는 것이 신통찮다고 합니다. 먹을 수 있는 양분을 다 골라 먹어서 그럴까요? 아무튼 그때가 되면 뿌리채 캐서 다른 곳에 갖다 심으면 또 막 자란다고 합니다. 농담으로 던져만 놓아도 산다고 할 정도로 생명력이 강합니다. 보통 냄새가 강한 것들이 생명력이 강합니다. 그에 비해 맛있거나 무른 것들이 손도 많이 가고, 아주 골치 아프지요. 지난 봄에는 비타민채라는 것을 심었는데 이게 맛나니까 까맣고 노란 톡톡 튀는 벌레가 엄청 달라붙더군요. 배추에도 안 가고 여기에만 달라붙어서 봄에는 영 별로였는데, 가을에는 좀 덜해서 잘 먹었습니다. 그런데 이놈들이 겨울나기(월동越冬)를 하더군요. 일본에서 들어온 씨라서 추위에 약하지 않을까 생각했는데 정말 뜻밖이었습니다. 잘하면 언피해(동해凍害) 없이 시금치처럼 겨울에도 먹을 수 있지 않을까 합니다.

씨를 가지고 곧뿌림(직파直播)하는 작물 말고도 모종(묘苗)으로 심는 것들도 있습니다. 대표적인 것은 바로 고추이지요. 고추는 얼마나 손이 많이 가는지 모릅니다. 2월 초중순이면 모판흙(상토床土)를 만들어서 씨앗 넣어야지. 그러고 나면 날마다 들여다보며 싹트기 알맞은 온도(발아적온發芽適溫)를 맞추려고 추우면 이불 덮어 주고 따뜻하면 햇볕 쪼이게 하고 지극정성을 들여야 합니다. 모판흙 만드는 건 또 얼마나 까다로운지 모릅니다. 깨끗한 흙에 모래흙도 넣고 숯에다 제대로 썩은두엄(腐熟堆肥)에 그때그때 상황에 따라 알맞게 맞춰줘야 합니다.

저는 성격이 게으른지라 이도저도 귀찮아서 그냥 곧뿌림을 합니다. 지난해 곧뿌림을 하니 수확량이 확실히 적긴 하지만 편하더군요. 그놈들은 곧은뿌리(직근直根)가 속흙(심토深土)으로 쭉 뻗어서 버팀대(지주支柱)가 없어도 바람에 쓰러지지(도복倒覆) 않습니다. 모종으로 키우는 고추는 어느 정도 자라면 옮겨심기(이식移植)를 해야 합니다. 그것도 끝난 것이 아닙니다. 그 상태는 한때심기(가식假植)라서 서리가 내리지 않는다 싶으면 제밭(本田)으로 나가서 아주심기(정식定植)를 해야 합니다. 고추는 얕은 뿌리성(천근성淺根性)이라서 자꾸 옮겨심기를 하는 것이 좋다고 하는데 그건 모종을 키워서 수확량을 많이 낼 때나 그렇습니다. 또 자꾸 옮겨심다보니 곧뿌리가 끊기기에 잔뿌리를 많이 내서 자기도 먹고 살려고 하는 것이지요. 위기를 느끼는 만큼 종족 번식에 더 힘쓴다는 원리입니다. 어떻습니까, 시장 가면 손쉽게 살 수 있는 고추 하나에 얼마나 많은 정성이 들어가는지.

또 씨앗의 분류에는 햇빛을 받으면 싹이 빨리 트는 담배나 양배추 같은 볕밭이씨(광발아종자光發芽種子)와 반대로 햇빛을 받지 않아야 싹이 빨리 트는 호박이나 오이 같은 그늘밭이씨(암발아종자暗發芽種子)도 있습니다. 곡식의 품종에는 키 작고 이삭 큰 품종(단간수중형품종短稈穗重型品種)과 키 작고 이삭 많은 품종(단간수수형품종短稈穗數型品種)이라는 분류도 있습니다.

나중에 자라면서 햇빛을 좋아하느냐 싫어하느냐에 따라 짧은볕식물(단일성식물)과 긴볕식물(장일성식물)로도 나뉩니다. 물론 햇빛을 싫어한다고 해서 어두운 곳을 좋아한다는 것은 아닙니다. 광합성을 해야 하는 만큼 햇빛은 꼭 있어야 하는 것이지요. 취나물처럼 뿌리나누기(분근分根)로 심는 것이 있는가 하면, 모종을 심을 때 곧추심기(직립식直立植)하는 것도 있고, 빗겨심기나 휘어심기 같은 방법도 있습니다.

또한 다른 것보다 일찍 익는 올씨(早生種)와 늦게 익는 늦씨(만생종晩生種), 적당한 때 익는 가온씨(중생종中生種), 엊늦씨(중만생종中晩生種)라는 구분도 있지요. 올씨와 늦씨는 착각하기 딱 좋습니다. 올씨라고 하여 일찍 심는 것이 아닙니다. 올씨는 빨리 익는 것이니 오히려 늦게 심을 수 있는 씨앗입니다. 이런 씨는 그루갈이나 부룩으로 심을 수 있지요. 여느 때보다 일찍 심는 것은 올뿌림(조파早播)라고 합니다. 요즘은 뭐든지 철당겨가꾸기(촉성재배促成栽培)를 합니다. 딸기만 해도 어릴 때는 분명 5월쯤부터 먹은 것 같은데 이제는 1~2월이면 나오기 시작해서 3월이면 거의 끝나갑니다. 뭐든지 몇 개월씩 빨라졌습니다. 자연의 만물은 나이가 들수록 철든다는데, 사람은 거꾸로 시간이 지날수록 철부지가 되어갑니다.

728x90

'농담 > 雜다한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석기, 일본 다녀오다-5  (0) 2008.09.10
우리말로 농사짓자 -1편 음메~소  (0) 2008.09.04
2007년 4월 22일  (0) 2008.09.04
2007년 3월 23일  (0) 2008.09.04
부드러움과 단단함  (0) 2008.09.04

이번호에서는 어렵고 낯선 농사 용어 대신 우리말로 농사짓는 문제를 제기하려고 합니다. 범람하는 외국어의 홍수와 그 잔재 속에서 우리말로 농사짓는 것도 전통을 지키는 한 방안입니다. 토종과 전통 농업을 되살리는 일만큼 우리말을 되살리는 일도 중요한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우리말로 농사짓자는 생각은 예전부터 했습니다. 처음 한자어나 외국어로 된 농사 용어를 마주하고는 이게 무슨 말인지 몰라 한참 고민했던 적이 있습니다. 추비니 윤작이니 종자니 하는 말들이 모두 그랬습니다. 그냥 우리말로 웃거름, 돌려짓기, 씨앗이라고 하면 쉽게 알아들을 수 있는데 굳이 어려운 말을 썼습니다. 왜 그럴까 가만히 그 까닭을 생각해보니 우리의 역사와 무관하지 않았습니다.

우리나라의 학문은 일본 제국주의가 들어오면서 확립되었습니다. 물론 이 학문은 서양식 근대 학문을 가리킵니다. 그러면서 이른바 신식 공부했다는 일본 유학을 다녀온 사람들이 주요한 자리에 앉아 자기들이 배운 것을 그대로 들여오고, 사람들도 그냥 그걸 따르게 되었습니다. 요즘에는 그 역할을 미국 유학을 다녀온 사람들이 대신합니다. 그래서인지 우리말은 일본식 표현과 미국식 표현으로 뒤범벅되어 있습니다. 책을 봐도 그렇고, 일상생활에서 쓰는 말을 봐도 그렇습니다.

어떤 사람은 언어가 사고를 지배한다고 했습니다. 어느 날 영어나 일본어를 보고 있다가 문득 드는 생각이 외국어를 잘하려면 생각하는 방법도 그네들처럼 해야겠다고 느꼈습니다. 그만큼 말은 그것을 쓰는 사람들의 역사, 문화, 사상, 가치를 반영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니 우리말로 농사짓는 일은 참 중요한 일입니다. 이 땅에서 나고 자란 것들과 소통하는 가장 첫걸음이 이름을 붙이고 부르는 일인 만큼 농사도 우리말로 지으면 더 좋겠다고 생각합니다. 입으로만 신토불이를 외치지 말고 정신을 올곧게 세워야 FTA건 뭐건 이길 수 있지 않을까요.


이제 바야흐로 새들이 우짖고 푸른 새싹이 돋는 따뜻한 봄날입니다. 하루가 다르게 바뀌는 자연에 맞춰 우리네 몸도 겨우내 묵은 때를 털고 봄기운을 맞이하느라 찌뿌드드하고 졸음이 쏟아집니다. 그와 함께 본격적인 농사철도 다가왔습니다. 부지런한 농부는 이미 준비를 다 마쳤습니다. 가으내 열심히 마련한 거름을 내 논밭을 갈고, 이것저것 씨앗을 추스르고 심을 때입니다. 그래서 이번호에서는 지금까지 토종에 대해서 열심히 취재했으니 그것을 심는 일인 파종播種, 곧 "씨뿌리기"와 관련된 말을 간략하게 알아보며 우리말로 농사짓자는 문제를 말하려 합니다.

씨뿌리기에 앞서 가장 중요한 일은 흙을 만드는 일입니다. 씨도 씨지만 땅을 빼고는 농사를 말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흙살림’이라고 이름을 지었는지 모르겠습니다. 어찌 보면 씨보다도 땅이 더 중요합니다. 수컷들이 씨를 뿌려 놓고 나 몰라라 하면 암컷들이 다 거두어서 기르는 것처럼 말입니다. 땅을 어떻게 준비하느냐에 따라서 한 해 농사의 풍흉이 좌우된다고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닐 겁니다. 땅 이야기는 다음 기회로 미루고 다시 씨앗 이야기로 돌아가겠습니다.


씨를 심으려면 먼저 씨앗(종자種子)을 준비해야 합니다. 종묘상에서 파는 씨앗을 보면 씨앗이 알록달록합니다. 잘은 모르는데 약품 처리해서 그렇다고 합니다. 그것이 아니라 손수 받은 씨라면 미리 씨앗가리기(종자예조種子豫措)를 해야 합니다. 겉은 말짱해 보이지만 물에 담그면 둥둥 뜨는 것들은 속이 덜 여문 것이니 골라내고, 알찬 놈들만 고르는 것이 좋습니다. 그렇게 씨고르기(선종選種)를 마치면 바람이 잘 통하는 선선한 곳에 매달아 놓고 심는 날까지 기다리면 됩니다. 취재를 다녀 보니 한곳에서 오랫동안 심던 씨앗이면 옆 마을이나 이웃과 서로 씨앗바꾸기(종자교환種子交換)를 하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멀리 사는 사람에게 아들딸을 시집장가 보내는 것과 비슷한 이치일까요? 또 옛날 사람들은 난리가 나서 피난을 가더라도 가장 먼저 씨앗을 챙겼다고 합니다. 중앙아시아로 쫓겨난 고려인들도 그랬다고 합니다. 그만큼 씨앗을 목숨처럼 생각했기 때문일 겁니다.

이러한 씨에는 잔씨앗(소립종小粒種)과 중씨앗(중립종中粒種), 큰씨앗(대립종大粒種)이 있습니다. 정확하게 어느 정도의 크기가 잔씨앗이고 큰씨앗인지 서양에서 들어온 농업 이론서처럼 수치로 정해져 있지는 않습니다. 그냥 내가 보기에 상추씨 같이 재채기에도 날아가 버리는 것들은 잔씨앗이고, 작두콩 같은 것은 큰씨앗이 아닐까 합니다. 수치화하고 계량화하면 편리하기는 하지만 재미는 없습니다. 저마다 기준이 다르고 처한 조건이 다른 만큼 자기한테 알맞게 해야지, 시스템이 먼저고 거기에 사람을 끼워 맞추는 프로크루스테스의 침대 같은 요즘은 참 이상한 시대입니다.


아무튼 한데(노지露地) 심는 것 가운데 잔씨앗은 잎남새(엽채류葉菜類)나 줄기남새(간채류幹菜類)가 대표적입니다. 이렇게 잔씨앗은 흩뿌림(산파散播)하거나 줄뿌림(조파條播)하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흩뿌림은 아무나 할 수는 없고, 연륜이 많은 분들이 잘하십니다. 어르신들이 흩뿌림하는 모습을 보면 대충 뿌리는 것 같은데도 나중에 보면 어김없이 좍좍 흩어져서 싹이 틉니다. 이를 초보자가 따라하면 한 군데에서 뭉텅뭉텅 싹이 나 솎을 때 애먹습니다. 배게뿌림(밀파密播)은 처음 씨를 뿌리는 분이 조심해야 할 사항입니다. 심지어 어떤 분은 몇 십 평에 심을 씨앗을 한 평에 다 쏟아 붓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런 작은 놈들을 다룰 때는 손가락으로 한 줄 골을 내고, 손가락으로 조금씩 집어서 살살 뿌리는 것이 좋습니다. 이렇게 얕심기(천식淺植)를 하다보면 정신을 집중하느라 잡념이 사라지는 무념무상의 경지도 살짝 맛볼 수 있습니다. 흙덮기(복토覆土)도 두 손가락으로 살살 덮고, 따로 밟기(답압踏壓)나 누르기(진압鎭壓)를 하지 않아도 됩니다. 그러고 일주일에서 열흘이 지나면 터져 나오는 새싹들! 참 신비롭고 가슴 뿌듯한 뭔가가 가슴에서 찌르르 흐릅니다.


어느 정도 알이 굵은 놈들은 점뿌림(점파占播)합니다. 점뿌림해야 "새 한 알, 벌레 한 알, 사람 한 알"이란 말이 나옵니다. 그런데 요즘은 이 말도 뻥입니다. 새들이 어찌나 극성인지 다 먹어 치웁니다. 뒤적거려서 찾아 먹지 않으면 떡잎만 똑똑 따먹어서 더 이상 자라지 못하게 합니다. 아주 속 터질 노릇입니다. 저는 몇 해는 "눈치 농법(새들이 없거나 보지 않을 때를 눈치 봐서 심는 방법)"으로 거의 피해를 보지 않았는데, 지난해에는 그 방법도 통하지 않더군요. 어디에 심었는지는 들키지 않았으나 떡잎은 숨길 수 없었습니다. 결국 모종을 키우거나 방충망을 덮는 방법을 택했습니다. 새들의 등살에도 굴하지 않고 살아남은 놈들도 있었습니다. 그런 놈들 주변에는 풀덮기(부초敷草)를 해서 위장하고, 떡잎이 없는 놈들은 뽑고서 메워심기(보식補植)를 하거나 덧뿌림(보파補播)을 했습니다.

요즘은 잘 안하지만 그냥 집에서 뜯어 먹을 푸성귀를 기를 때는 섞어뿌림(혼파混播)했다고 합니다. 밭에 오는 형님이 그러시는데 옛날 어머니께서 그렇게 하셨다고 합니다. 그러께에는 그 말대로 해봤는데 그거 참 좋은 방법이었습니다. 텃밭 정도라면 이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앞에서 말한 남새 종류는 한 해에 봄뿌림(춘파春播)과 가을뿌림(추파秋播)을 할 수 있습니다. 저는 봄에 뿌린 놈들을 실컷 먹다가 몇 놈만 놔둡니다. 그럼 지가 알아서 꽃이 피고 씨가 달립니다. 저절로 힘들이지 않고 씨받이(채종採種)를 하는 겁니다. 그럼 알아서 떨어진 놈들은 거기에서 가을에 다시 자라거나 받은 씨를 가지고 또 심으면 됩니다. 아주 쉬운 두번짓기, 그루갈이(이모작二毛作) 방법입니다.

부추 같은 경우는 다른 것처럼 한해살이(일년생一年生)나 두해살이(월년생越年生)가 아닌 여러해살이(다년생多年生)라서 한자리에서 4~5년은 거뜬합니다. 그래도 한자리에서 오래 지나면 신통찮아져서 뿌리 채 캐다가 옮겨 심어야 합니다. 부추는 농담으로 던져만 놓아도 산다고 할 정도로 생명력이 강합니다. 보통 냄새가 강한 것들이 생명력이 강합니다. 그에 비해 사람 입에도 맛있거나 무른 것들은 손도 많이 가고 아주 골치 아픕니다. 지난봄에는 비타민채를 심었는데 이게 맛나니까 배추에 갈 벌레들이 모두 달라붙었습니다. 배추에 끼는 벌레들을 꾀는 데 쓰면 좋겠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이놈들이 겨울나기(월동越冬)를 하더군요. 일본에서 들어와 추위에 약하지 않을까 했는데 정말 뜻밖이었습니다. 잘하면 언피해(동해凍害) 없이 시금치처럼 키울 수 있지 않을까 합니다.


씨를 가지고 곧뿌림(직파直播)하는 작물 말고도 모종(묘苗)으로 심는 것들도 있습니다. 대표적인 것은 바로 고추입니다. 고추는 얼마나 손이 많이 가는지 모릅니다. 2월 초중순이면 모판흙(상토床土)을 만들어서 씨앗 넣어야지, 그러고 나면 날마다 들여다보며 싹트기 알맞은 온도(발아적온發芽適溫)를 맞추려고 밤에는 이불 덮어 주고 낮에는 햇볕 쪼이게 하고, 지극 정성을 들여야 합니다. 모판흙 만드는 일도 얼마나 까다로운지 모릅니다. 깨끗한 흙에 모래도 넣고 숯에다 잘 썩은두엄(부숙퇴비腐熟堆肥)에, 그때그때 상황에 맞춰 만들어야 합니다.

저는 게으른지라 이도 저도 귀찮아서 그냥 곧뿌림합니다. 지난해 곧뿌림하니 확실히 수확량이 떨어지긴 했지만 편하긴 하더군요. 그래도 환금작물이 목적이면 힘들어도 집에서 먹을 것은 충분했습니다. 신기한 건 곧은뿌리(직근直根)가 속흙(심토深土)으로 쭉 뻗어서 버팀대(지주支柱) 없이도 바람에 쓰러지지(도복倒覆) 않는다는 겁니다. 모종으로 키우는 고추는 어느 정도 자라면 옮겨심기(이식移植)해야 합니다. 그걸로 끝이 아닙니다. 그 때는 한때심기(가식假植) 상태라서 서리가 내리지 않는 시기가 되면 제밭(本田)에 아주심기(정식定植)를 해야 합니다. 고추는 얕은 뿌리성(천근성淺根性)이라서 자꾸 옮겨 심는 것이 좋다고 하는데, 수확량 때문에 그렇습니다. 자꾸 옮겨 심으면서 곧은뿌리가 끊기는 대신 잔뿌리를 많이 내서 위기를 느끼는 만큼 더 종족 번식에 힘쓰는 원리입니다.


이밖에도 많은 씨앗과 관련한 많은 말이 있지만 마지막으로 하나만 더 말하고 끝내겠습니다. 다른 것보다 일찍 익는 올씨(조생종早生種)와 늦게 익는 늦씨(만생종晩生種), 적당한 때 익는 가온씨(중생종中生種), 엊늦씨(중만생종中晩生種)라는 구분도 있습니다. 올씨와 늦씨는 헷갈리기 딱 좋습니다. 올씨라고 하여 일찍 심는 씨라고 생각했는데, 빨리 익는 만큼 오히려 늦게 심을 수 있는 씨앗입니다. 이런 씨는 부룩이나 대우칠 수 있습니다. 여느 때보다 일찍 심는 것은 올뿌림(조파早播)라고 합니다. 요즘은 뭐든지 철당겨가꾸기(촉성재배促成栽培)를 합니다. 딸기만 해도 어릴 때만 해도 5월쯤부터 먹은 것 같은데, 이제는 한겨울에 나와 봄이면 들어갑니다. 뭐든지 몇 개월씩 빨라졌습니다. 자연의 만물은 나이가 들수록 철든다는데, 사람은 거꾸로 시간이 지날수록 철부지가 되어 갑니다.

728x90

'농담 > 雜다한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가 살면서 가장 억울한 일  (0) 2008.09.04
소리  (0) 2008.09.04
자전거 타고 서울로  (0) 2008.08.22
예산 장터 국수집  (0) 2008.08.21
우리말로 농사짓자 3-1탄 땅을 알아야 농사짓지  (0) 2008.08.19

하계파종(夏季播種)

여름뿌림

하고(夏枯)

더위시듬

하기전정(夏期剪定)

여름가지치기

하대두(夏大豆)

여름콩

하등(夏橙)

여름귤

하리(下痢)

설사

하번초(下繁草)

아래퍼짐풀, 밑퍼짐풀

하벌(夏伐)

여름베기

하비(夏肥)

여름거름

하수지(下垂枝)

처진가지

하순(下脣)

아랫잎술

하아(夏芽)

여름눈

하엽(夏葉)

여름잎

하작(夏作)

여름가꾸기

하작물(夏作物)

여름작물

하잠(夏蠶)

여름누에

하접(夏接)

여름접

하지(下漬)

겉절이

하지(夏枝)

여름가지

하파(夏播)

여름파종

한랭사(寒冷紗)

가림망

한발(旱魃)

가뭄

한선(汗腺)

땀샘

한해(旱害)

가뭄피해

할접(割接)

짜개접

함미(鹹味)

짠맛

합봉(合蜂)

벌통합치기, 통합치기

합접(合接)

맞접

해면질(海綿質)

갯솜질

해채(菜)

염교

해충(害蟲)

해로운 벌레

해토(解土)

땅풀림

행(杏)

살구

향식기(餉食期)

첫밥때

향신료(香辛料)

양념재료

향신작물(香愼作物)

양념작물

향일성(向日性)

빛따름성

향지성(向地性)

빛따름성

혈관(血管)

핏줄

혈구(血球)

피톨

혈뇨(血尿)

피오줌

혈명견(穴明繭)

구멍고치

혈변(血便)

피똥

혈액응고(血液凝固)

피엉김

혈전(血栓)

핏줄막힘

혈통(穴統)

핏줄

혈파(穴播)

구멍파종

협(莢)

꼬투리

협실비율(莢實比率)

꼬투리알비율

협장(莢長)

꼬투리길이

협폭파(莢幅播)

좁은이랑뿌림

형성층(形成層)

부름켜

형잠(形蠶)

무늬누에

호과(胡瓜)

오이

호도(胡挑)

호두

호로과(葫蘆科)

박과

호마(胡麻)

참깨

호마엽고병(胡麻葉枯病)

깨씨무늬병

호마유(胡麻油)

참기름

호맥(胡麥)

호밀

호반(虎班)

호랑무늬

호숙(湖熟)

풀익음

호엽고병(縞葉枯病)

줄무늬마름병

호접(互接)

맞접

호흡속박(呼吸速迫)

숨가쁨

혼식(混植)

섞어심기

혼용(混用)

섞어쓰기

혼용살포(混用撒布)

섞어뿌림, 섞뿌림

혼작(混作)

섞어짓기

혼종(混種)

섞임씨

혼파(混播)

섞어뿌림

혼합맥강(混合麥糠)

섞음보릿겨

혼합아(混合芽)

혼합눈

홍저(紅菹)

깍두기

화경(花莖)

꽃줄기

화경(花梗)

꽃대

화관(花冠)

꽃부리

화농(化膿)

곪음

화도(花挑)

꽃복숭아

화력건조(火力乾操)

불말리기

화뢰(花)

꽃봉오리

화목(花木)

꽃나무

화묘(花苗)

꽃모

화본과목초(禾本科牧草)

볏과목초

화본과식물(禾本科植物)

볏과식물

화부병(花腐病)

꽃썩음병

화분(花粉)

꽃가루

화산성토(火山成土)

화산흙

화산회토(火山灰土)

화산재

화색(花色)

꽃색

화속상결과지

(化束狀結果枝)

꽃덩이열매가지

화수(花穗)

꽃송이

화아(花芽)

꽃눈

화아분화(花芽分化)

꽃눈분화

화아형성(花芽形成)

꽃눈형성

화진(花振)

꽃떨림

화채류(花菜類)

꽃채소

화탁(花托)

꽃받기

화판(花瓣)

꽃잎

화피(花被)

꽃덮이

화학비료(化學肥料)

화학거름

화형(花型)

꽃모양

화훼(花卉)

화초

확산(擴散)

퍼짐

확좌(擴座)

자리넓히기

환금작물(環金作物)

돈벌이작물

환모(渙毛)

털갈이

환상박피(環床剝皮)

껍질돌려벗기기

돌려벗기기

환수(換水)

물갈이

환우(換羽)

털갈이

환축(患畜)

병든가축

활착(活着)

뿌리내림

황목(荒木)

제풀나무

황숙(黃熟)

누렇게 익음

황조슬충(黃條)

배추벼룩잎벌레

황촉규(黃蜀葵)

닥풀

황충(蝗)

메뚜기

회경(回耕)

돌아갈이

회분(灰粉)

회전족(回轉簇)

회전섶

횡반(橫斑)

가로무늬

횡와지(橫臥枝)

누운가지

후구(後軀)

뒷몸

후기낙과(後期落果)

자라떨어짐

후륜(後輪)

뒷바퀴

후사(後飼)

배게기르기

후산(後産)

태낳기

후숙(後熟)

따익히기, 따익힘

후작(後作)

뒷그루

후장(後腸)

뒷창자

후지(後肢)

뒷다리

훈연소독(燻煙消毒)

연기찜소독

훈증(燻蒸)

증기찜

휴간관개(畦間灌漑)

고랑물대기

휴립(畦立)

이랑세우기

휴립경법(畦立耕法)

이랑짓기

휴면기(休眠期)

잠잘때

휴면아(休眠芽)

잠자는 눈

휴반(畦畔)

논두렁, 밭두렁

휴반대두(畦畔大豆)

두렁콩

휴반소각(畦畔燒却)

두렁태우기

휴반식(畦畔式)

두렁식

휴반재배(畦畔栽培)

두렁재배

휴폭(畦幅)

이랑나비

휴한(休閑)

묵히기

휴한지(休閑地)

노는땅, 쉬는땅

흉위(胸圍)

가슴둘레

흑두병(黑痘病)

새눈무늬병

흑반병(黑斑病)

검은무늬병

흑산양(黑山羊)

흑염소

흑삽병(黑澁病)

검은가루병

흑성병(黑星病)

검은별무늬병

흑수병(黑穗病)

깜부기병

흑의(黑蟻)

검은개미누에

흑임자(黑荏子)

검정깨

흑자(黑仔)

배내주검

흑호마(黑胡麻)

검정깨

흑호잠(黑縞蠶)

검은띠누에

흡지(吸枝)

뿌리순

흡혈(吸血)

피빨이

희석(稀釋)

묽힘

희잠(姬蠶)

민누에


 

출처 : 돌터
글쓴이 : 金石基 원글보기
메모 :
728x90

파쇄(破碎)

으깸

파악기(把握器)

교미틀

파조(播條)

뿌림골

파종(播種)

씨뿌림

파종상(播種床)

모판

파폭(播幅)

골너비

파폭률(播幅率)

골너비율

파행(跛行)

절뚝거림

패각(貝殼)

조가비

패각분말(敗殼粉末)

조가비가루

펠레트(Pellet)

덩이먹이

편식(偏食)

가려먹음

편포(扁浦)

평과(果)

사과

평당주수(坪當株數)

평당포기수, 평포기수

평부잠종(平附蠶種)

종이받이누에

평분(平盆)

넓적분

평사(平飼)

바닥기르기(축산)

넓게치기(잠업)

평사(平舍)

바닥우리

평예법(坪刈法)

평뜨기

평휴(平畦)

평이랑

폐계(廢鷄)

못쓸 닭

폐사율(廢死率)

죽는 율

폐상(廢床)

비운 모판

폐색(閉塞)

막힘

폐장(肺臟)

허파

포낭(包囊)

홀씨주머니

포란(抱卵)

알품기

포말(泡沫)

거품

포복(匍匐)

덩굴뻗음

포복경(匍匐莖)

땅덩굴줄기

포복성낙화생

(匍匐性落花生)

덩굴땅콩

포엽(苞葉)

이삭잎

포유(胞乳)

젖먹이, 적먹임

포자(胞子)

홀씨

포자번식(胞子繁殖)

홀씨번식

포자퇴(胞子堆)

홀씨더미

포충망(捕蟲網)

벌레그물

폭(幅)

너비

폭립종(爆粒種)

튀김씨

표충(瓢)

무당벌레

표층시비(表層施肥)

표층거름주기

겉거름주기

표토(表土)

겉흙

표피(表皮)

겉껍질

표형견(俵形繭)

땅콩형고치

풍건(風乾)

바람말림

풍선(風選)

날려고르기

플라우(Plow)

쟁기

플랜터(Planter)

씨뿌리개, 파종기

피마(皮麻)

껍질삼

피마자(麻子)

아주까리

피맥(皮麥)

겉보리

피목(皮目)

껍질눈

피발작업(拔作業)

피사리

피복(被覆)

덮개, 덮기

피복재배(被覆栽培)

덮어가꾸기

피부(皮膚)

살갗

피접(皮接)

피해줄기

피해경(被害莖)

피해줄기

피해립(被害粒)

상한 낟알

피해주(被害株)

피해포기

 

 

 

출처 : 돌터
글쓴이 : 金石基 원글보기
메모 :
728x90
 

타가노동(他家勞動)

딴집품

타가수분(他家受粉)

다른꽃가루받이

타락법(打落法)

때려떨기

타박상(打撲傷)

맞은 상처

타액(唾液)

타액저낭(唾液貯囊)

침주머니

타진(打診)

두드림진단

타화수정(他花受精)

다른꽃정받이

탈곡(脫穀)

낟알떨기

탈립(脫粒)

알떨림

탈립성(脫粒性)

알떨림성

탈모(脫毛)

털빠짐

탈장(脫腸)

창자빠짐

탈지강(脫脂糠)

기름뺀겨

탈지미강(脫脂米糠)

기름뺀살겨

탈지박(脫脂粕)

깻묵

탈지유(脫脂乳)

기름뺀젖

탈포기(脫苞期)

싹틀때

토(兎)

토끼

토당귀(土當歸)

땅두릅

토모(兎毛)

토끼털

토상(兎箱)

토끼장

토성(土性)

흙성질

토심(土深)

흙살

토양(土壤)

토양검정(土壤檢定)

흙검사

토육(兎肉)

토끼고기

토입(土入)

흙넣기

토층(土層)

흙층

통기(通氣)

바람트기

통상화(筒狀花)

통꽃

퇴비(堆肥)

두엄

퇴수(退水)

물빠짐

퇴적(堆積)

쌓기, 가리

퇴적토(堆積土)

쌓인흙

투광(投光)

빛살들기

투명도(透明度)

맑음도

투수성(透水性)

물스밀성

투하노동(投下勞動)

들인노동

 

 

 

 

출처 : 돌터
글쓴이 : 金石基 원글보기
메모 :
728x90

칼티베이터

(Cultivator)

중경제초기

 

 

 

 

출처 : 돌터
글쓴이 : 金石基 원글보기
메모 :
728x90

차광(遮光)

볕가림

차광재배(遮光栽培)

볕가림가꾸기

차륜(車輪)

차바퀴

차일(遮日)

해가림

차전초(車前草)

질경이

차축(車軸)

굴대

착과(着果)

열매달림, 달린열매

착근(着根)

뿌리내림

착뢰(着)

망울달림

착립(着粒)

알달림

착색(着色)

색깔나기, 색깔내기

착유(搾乳)

젖짜기

착즙(搾汁)

즙내기

착탈(着脫)

달고떼기

착화(着花)

꽃달림

찰과상(擦過傷)

긇힌상처

창상감염(創傷感染)

상처옮음

채두(菜豆)

강낭콩

채란(採卵)

알걷이

채랍(採蠟)

밀따기

채묘(採苗)

모찌기

채밀(採蜜)

꿀따기

채엽법(採葉法)

잎따기

채종(採種)

씨받이

채종답(採種畓)

씨받이논

채종포(採種圃)

씨받이논, 씨받이밭

채토장(採土場)

흙캐는 곳

척박토(瘠薄土)

메마른 흙

척수(脊髓)

등골

척추(脊椎)

등뼈

천경(淺耕)

얕이갈이

천공병(穿孔病)

구멍병

천구소병(天拘巢病)

빗자루병

천근성(淺根性)

얕은 뿌리성

천립중(千粒重)

천알무게

천수답(天水沓)

하늘바라기논, 봉천답

천식(淺植)

얕심기

천일건조(天日乾操)

볕말림

청경법(淸耕法)

김매가꾸기

청고병(靑枯病)

풋마름병

청마(靑麻)

어저귀

청미(靑米)

청치

청예(靑刈)

풋베기

청예대두(靑刈大豆)

풋베기콩

청예목초(靑刈木草)

풋베기목초

청예사료(靑刈飼料)

풋베기사료

청예옥촉서(靑刈玉蜀黍)

풋베기옥수수

청정채소(淸淨菜蔬)

맑은채소

청초(靑草)

생풀

체고(體高)

체장(體長)

몸길이

초가(草架)

풀시렁

초결실(初結實)

첫열림

초고(枯)

잎집마름

초목회(草木灰)

재거름

초발이(初發苡)

첫물버섯

초본류(草本類)

풀붙이

초산(初産)

첫배낳기

초산태(硝酸態)

질산태

초상(初霜)

첫서리

초생법(草生法)

풀두고가꾸기

초생추(初生雛)

갓깬병아리

초세(草勢)

풀자람새, 잎자람새

초식가축(草食家畜)

풀먹이가축

초안(硝安)

질산암모니아

초유(初乳)

첫젖

초자실재배(硝子室裁培)

유리온실가꾸기

초자원개발(硝資源開發)

풀자원개발

초자질소맥(硝子質小麥)

참밀

초장(草長)

풀길이

초지(草地)

꼴밭

초지개량(草地改良)

꼴밭개량

초지조성(草地造成)

꼴밭가꾸기

초추잠(初秋蠶)

초가을누에

초형(草型)

풀꽃

촉각(觸角)

더듬이

촉서(蜀黍)

수수

촉성재배(促成栽培)

철당겨가꾸기

촉진(觸診)

만짐진단

총(蔥)

총생(叢生)

모듬남

최고분얼기(最高分蘖期)

최고새끼치기때

최면기(催眠期)

잠들무렵

최아(催芽)

싹틔우기

최아재배(催芽栽培)

싹틔워가꾸기

최청(催靑)

알깨기

최청기(催靑器)

누에깰틀

추경(秋耕)

가을갈이

추계재배(秋季栽培)

가을가꾸기

추광성(趨光性)

빛따름성, 빛쫓음성

추대(抽臺)

장다리

추대두(秋大豆)

가을콩

추락답(秋落畓)

헤식은 논

추백리병(雛白痢病)

병아리흰설사병

병아리설사병

추비(秋肥)

가을거름

추비(追肥)

웃거름

추수(秋收)

가을걷이

추식(秋植)

가을심기

추엽(秋葉)

가을잎

추작(秋作)

가을가꾸기

추잠(秋蠶)

가을누에

추잠종(秋蠶種)

가을누에씨

추접(秋接)

가을접

추지(秋枝)

가을가지

추파(秋播)

덧뿌림

추화성(趨化性)

물따름성, 물쫓음성

축사(畜舍)

가축우리

축엽병(縮葉病)

잎오갈병

춘경(春耕)

봄갈이

춘계재배(春季栽培)

봄가꾸기

춘국(春菊)

쑥갓

춘벌(春伐)

봄베기

춘식(春植)

봄심기

춘엽(春葉)

봄잎

춘잠(春蠶)

봄누에

춘잠종(春蠶種)

봄누에씨

춘지(春枝)

봄가지

춘파(春播)

봄뿌림

춘파묘(春播苗)

봄모

춘파재배(春播栽培)

봄가꾸기

출각견(出殼繭)

나방난 고치

출사(出)

수염나옴

출수(出穗)

이삭패기

출수기(出穗期)

이삭팰때

출웅기(出雄期)

수이삭 때

수이삭날 때

출하기(出荷期)

제철

충령(齡)

벌레나이

충매전염(蟲媒傳染)

벌레전염

충영

벌레혹

췌장(膵臟)

이자

취목(取木)

휘묻이

취사(炊事)

부엌일

취소성(就巢性)

품는 버릇

측근(側根)

곁뿌리

측아(側芽)

곁눈

측지(側枝)

곁가지

측창(側窓)

곁창

측화아(側花芽)

곁꽃눈

층적저장법(層積貯藏法)

충층갈무리

치묘(稚苗)

어린모

치은(齒)

잇몸

치잠(稚蠶)

애누에

치잠공동사육

(稚蠶共同飼育)

애누에공동치기

치차(齒車)

톱니바퀴

친주(親株)

어미포기

친화성(親和性)

어울림성

침고(寢藁)

깔짚

침시(沈枾)

우린감

침종(浸種)

씨앗담그기

침지(浸漬)

담그기

침투성살균제

(浸透性殺菌劑)

침투성균약

 

 

 

 

출처 : 돌터
글쓴이 : 金石基 원글보기
메모 :
728x90

자(刺)

가시

자가노동(自家勞動)

제집품

자가수분(自家受粉)

제꽃가루받이

자견(煮繭)

고치삶기

자궁(子宮)

새끼집

자근묘(自根苗)

제뿌리모

자돈(仔豚)

새끼돼지

자동급사기(自動給飼機)

자동먹이틀

자동급수기(自動給水機)

자동물주개

자만(子蔓)

아들덩굴

자묘(子苗)

새끼모

자반병(紫斑病)

자주무늬병

자방(子房)

씨방

자방병(子房病)

씨방자루

자비소독(煮沸消毒)

끊임소독

자산양(子山羊)

새끼염소

자소(紫蘇)

차조기

자수(雌穗)

암이삭

자아(雌蛾)

암나방

자연초지(自然草地)

자연풀밭

자엽(子葉)

떡잎

자예(雌)

암술

자웅감별(雌雄鑑別)

암술가리기

자웅동체(雌雄同體)

암수한몸

자웅분리(雌雄分離)

암수가리기

자저(煮藷)

찐고구마

자추(雌雛)

암평아리

자침(刺針)

벌침

자화(雌花)

암꽃

자화수정(自花受精)

제꽃가루받이

제꽃정받이

작부체계(作付體系)

심기차례

작열감(灼熱感)

모진아픔

작조(作條)

골타기

작토(作土)

갈이흙

작형(作型)

가꿈꼴

작황(作況)

됨새, 작황

작휴재배(作畦栽培)

이랑가꾸기

잔상(殘桑)

남은 뽕

잔여모(殘餘苗)

남은 모

잠가(蠶架)

누에시렁

잠견(蠶繭)

누에고치

잠구(蠶具)

누에연모

잠란(蠶卵)

누에알

잠령(蠶齡)

누에나이

잠망(蠶網)

누에그물

잠박(蠶箔)

누에채반

잠병(蠶病)

누엣병

잠복아(潛伏芽)

숨은 눈

잠분(蠶糞)

누에똥

잠사(蠶砂)

누에똥

잠사(蠶絲)

누에실, 잠실

잠실(蠶室)

누엣간

잠아(潛芽)

숨은 눈

잠엽충(潛葉)

잎굴나방

잠작(蠶作)

누에되기

잠족(蠶簇)

누에섶

잠종(蠶種)

누에씨

잠종상(蠶種箱)

누에씨상자

잠좌지(蠶座紙)

누에자리종이

잡수(雜穗)

잡이삭

잡초(雜草)

잡풀

장간(長稈)

큰키

장과지(長果枝)

긴열매가지

장관(腸管)

창자

장기(腸器)

내장

장류(醬類)

장종류

장망(長芒)

긴까락

장방형식(長方形植)

긴모꼴심기

장벽(腸璧)

창자벽

장시형(長翅型)

긴날개꼴

장일성식물

(長日性植物)

긴볕식물

장일처리(長日處理)

긴볕쬐기

장임전(腸稔轉)

창자꼬임

장잠(壯蠶)

큰누에

장중첩(腸重疊)

창자겹침

장폐색(腸閉塞)

창자막힘

재발아(再發芽)

다시싹나기

재배작형(栽培作型)

가꾸기꼴

재상(栽桑)

뽕가꾸기

재생근(再生根)

되난뿌리

재식(栽植)

심기

재식거리(栽植距離)

심는거리

재식면적(栽植面積)

심는면적

재식밀도(栽植密度)

심음배기

저(楮)

닥나무, 닥

저간정지(低幹整枝)

낮추만들기

저견(貯繭)

고치저장

저니토(低泥土)

시궁흙

저마(苧麻)

모시

저밀(貯蜜)

꿀갈무리

저상(貯桑)

뽕저장

저설온상(低說溫床)

낮은 온상

저수답(貯水畓)

물받이논

저습답(低濕沓)

고논

저습지(低濕地)

질펄땅

저위생산답(低位生産畓)

소출낮은 논

저위예취(低位刈取)

낮추베기

저작구(咀嚼口)

씹는 입

저작운동(咀嚼運動)

씹기운동, 씹기

저장(貯藏)

갈무리

저항성(低抗性)

버틸성

저해견(害繭)

구더기난 고치

저휴(低畦)

낮은이랑

적고병(赤枯病)

붉은마름병

적과(摘果)

열매솎기

적과협(摘果鋏)

열매솎기가위

적기(適期)

제때, 제철

적기방제(適期防除)

제때방제

적기예취(適期刈取)

제때베기

적기이앙(適期移秧)

제때모내기

적기파종(適期播種)

제때뿌림

적량살포(適量撒布)

알맞게 뿌리기

적량시비(適量施肥)

알맞은 양 거름주기

적뢰(摘)

봉오리따기

적립(摘粒)

알솎기

적맹(摘萌)

눈솎기

적미병(摘微病)

붉은곰팡이병

적상(摘桑)

뽕따기

적상조(摘桑爪)

뽕가락지

적성병(赤星病)

붉음별무늬병

적수(摘穗)

송이솎기

적심(摘芯)

순지르기

적아(摘芽)

눈따기

적엽(摘葉)

잎따기

적예(摘)

순지르기

적의(赤蟻)

붉은개미누에

적토(赤土)

붉은 흙

적화(摘花)

꽃솎기

전란(顚卵)

알굴림

전란(轉卵)

알굴리기

전륜(前輪)

앞바퀴

전면살포(全面撒布)

전면뿌리기

전모(剪毛)

털깍기

전묘대(田苗垈)

밭못자리

전분(澱粉)

녹말

전사(轉飼)

옮겨기르기

전시포(展示圃)

본보기논, 본보기밭

전아육(全芽育)

순뽕치기

전아육성(全芽育成)

새순기르기

전염경로(傳染經路)

옮은 경로

전엽육(全葉育)

잎뽕치기

전용상전(專用桑田)

전용뽕밭

전이(剪耳)

귀표내기

전작(田作)

밭농사

전작(前作)

앞그루

전작물(田作物)

밭작물

전정(剪定)

다듬기

전정협(剪定鋏)

다듬가위

전지(剪枝)

가지다듬기

전지(前肢)

앞다리

전지관개(田地灌漑)

밭물대기

전직장(前直腸)

앞곧은 창자

전층시비(全層施肥)

거름흙살섞어주기

절간(節間)

마디사이

절간(切干)

썰어말리기

절간신장기(節間伸長期)

마디자랄때

절간장(節稈長)

마디길이

절개(切開)

가름

절근아법(切根芽法)

뿌리눈접

절단(切斷)

자르기

절상(切傷)

베인상처

절수재배(節水栽培)

물아껴가꾸기

절이(折耳)

귀접힘

절접(切接)

깍기접

절토(切土)

흙깍기

절화(折花)

꽂이꽃

절흔(切痕)

베인자국

점등사육(點燈飼育)

불켜기르기

점등양계(點燈養鷄)

불켜닭기르기

점적식관수(点滴式灌水)

방울물주기

점진최청(漸進催靑)

점진알깨기

점청기(点靑期)

점보일때

점토(粘土)

찰흙

점파(点播)

점뿌림

접도(接刀)

접칼

접목묘(接木苗)

접나무모

접삽법(接揷法)

접꽂아

접수(接穗)

접순

접아(接芽)

접눈

접지(接枝)

접가지

접지압(接地壓)

땅누름압력

정곡(情穀)

알곡

정마(精麻)

속삼

정맥(精麥)

보리쌀

정맥강(精麥糠)

몽근쌀비율

정맥비율(精麥比率)

보리쌀비율

정선(精選)

잘고르기

정식(定植)

아주심기

정아(頂芽)

끝눈

정엽량(正葉量)

잎뽕량

정육(精肉)

살코기

정제(錠劑)

알약

정조(正租)

알벼

정조식(正祖式)

줄모

정지(整枝)

가지고르기

정지(整地)

땅고르기

정화아(頂花芽)

끝꽃눈

제각(除角)

뿔없애기

제경(除莖)

줄기치기

제과(製菓)

과자만들기

제대(除袋)

봉지벗기기

제대(臍帶)

탯줄

제동장치(制動裝置)

멈춤장치

제마(製麻)

삼만들기

제맹(除萌)

순따기

제면(製麵)

국수만들기

제사(除沙)

똥갈이

제심(除心)

속대자르기

제염(除鹽)

소금빼기

제웅(除雄)

수술치기

제점(臍点)

배꼽

제족기(第簇機)

섶틀

제초(除草)

김매기

제초제(除草劑)

기음약

제핵(除核)

씨빼기

조(棗)

대추

조간(條間)

줄사이

조고비율(組藁比率)

볏짚비율

조기재배(早期栽培)

일찍가꾸기

조단백질(粗蛋白質)

거친흰자질

조맥강(粗麥糠)

거친보릿겨

조미료(調味料)

양념

조사(粗砂)

왕모래

조사(繰絲)

실켜기

조사료(粗飼料)

거친먹이

조상(條桑)

가지뽕

조상육(條桑育)

가지뽕치기

조생상(早生桑)

올뽕

조생종(早生種)

올씨

조소(造巢)

벌집짓기, 집짓기

조숙(早熟)

올익음

조숙재배(早熟栽培)

일찍가꾸기

조식(早植)

올심기

조식재배(早植栽培)

올심어가꾸기

조지방(粗脂肪)

거친굳기름

조파(條播)

줄뿌림

조파(早播)

올뿌림

조흥(潮紅)

붉어짐, 조홍

조회분(粗灰分)

거친회분

족(簇)

족답탈곡기(足踏脫穀機)

디딜탈곡기

족착견(簇着繭)

섶자국고치

종견(種繭)

씨고치

종계(種鷄)

씨닭

종구(種球)

씨알

종균(種菌)

씨균

종근(種根)

씨뿌리

종돈(種豚)

씨돼지

종란(種卵)

씨알

종모돈(種牡豚)

씨수퇘지

종모우(種牡牛)

씨황소

종묘(種苗)

씨모

종봉(種蜂)

씨벌

종부(種付)

접붙이기

종빈돈(種牝豚)

씨암퇘지

종빈우(種牝牛)

씨암소

종상(終霜)

끝서리

종실(種實)

씨알

종실중(種實重)

씨무게

종양(腫瘍)

종자(種子)

씨앗, 씨

종자갱신(種子更新)

씨앗갈이

종자교환(種子交換)

씨앗바꾸기

종자근(種子根)

씨뿌리

종자예조(種子豫措)

종자가리기

종자전염(種子傳染)

씨앗전염

종창(腫脹)

부어오름

종축(種畜)

씨가축

종토(種兎)

씨토끼

종피색(種皮色)

씨앗빛

좌상육(桑育)

뽕썰어치기

좌아육(芽育)

순썰어치기

좌절도복(挫折倒伏)

꺽어쓰러짐

좌지답(座止畓)

주저앉은 논

주(株)

포기, 그루

주간(株間)

포기사이, 그루사이

주간(主幹)

원줄기

주간거리(株間距離)

그루사이, 포기사이

주경(主莖)

원줄기

주근(主根)

원뿌리

주년재배(周年栽培)

사철가꾸기

주당수수(株當穗數)

포기당이삭수

주두(柱頭)

암술머리

주산단지(主産團地)

고장

주아(主芽)

으뜸눈

주위작(周圍作)

둘레심기

주지(主枝)

원가지

중간낙수(中間落水)

중간물떼기

중간아(中間芽)

중간눈

중경(中耕)

매기

중경제초(中耕除草)

김매기

중과석(重過石)

중과린산석회

중과지(中果枝)

중간열매가지

중력분(中力粉)

보통밀가루, 밀가루

중립종(中粒種)

중씨앗

중만생종(中晩生種)

엊늦씨

중묘(中苗)

중간모

중생종(中生種)

가온씨

중식기(中食期)

중밥때

중식토(重植土)

찰질흙

중심공동서(中心空胴薯)

속빈감자

중점토(重點土)

질찰흙

중증(重症)

심한증세

중추(中雛)

중병아리

증체량(增體量)

살찐양

지(枝)

가지

지각(枳殼)

탱자

지경(枝梗)

이삭가지

지고병(枝枯病)

가지마름병

지근(枝根)

갈림뿌리

지대(地代)

땅도지, 도지

지두(枝豆)

풋콩

지력(地力)

땅심

지력증진(地力增進)

땅심돋우기

지리초석(智利哨石)

칠레질석

지면잠(遲眠蠶)

늦잠누에

지발수(遲發穗)

늦이삭

지방(脂肪)

굳기름

지분(紙盆)

종이분

지삽(枝揷)

가지꽂이

지엽(止葉)

끝잎

지잠(遲蠶)

처진누에

지접(枝接)

가지접

지제부분(地際部分)

땅닿은곳

지조(枝條)

가지

지주(支柱)

받침대

지표수(地表水)

땅윗물

지하경(地下莖)

땅속줄기

지하수개발(地下水開發)

땅속물찾기

지하수위(地下水位)

지하수높이

직근(直根)

곧은뿌리

직근성(直根性)

곧은뿌리성

직립경(直立莖)

곧은줄기

직립성낙화생

(直立性落花生)

오뚜기땅콩

직립식(直立植)

곧추심기

직립지(直立枝)

곧은가지

직장(織腸)

곧은창자

직파(直播)

곧뿌림

진균(眞菌)

곰팡이

진압(鎭壓)

눌러주기

질사(窒死)

질식사

질소과잉(窒素過剩)

질소넘침

질소기아(窒素饑餓)

질소부족

질소잠재지력

(窒素潛在地力)

질소스민 땅심

집단사육(集團飼育)

모아기르기

집단재배(集團栽培)

집단가꾸기

집수정(集水井)

물웅덩이

징후(徵候)

낌새

 

 

출처 : 돌터
글쓴이 : 金石基 원글보기
메모 :
728x90
 

아(蛾)

나방

아(芽)

아고병(芽枯病)

눈마름병

아삽(芽揷)

눈꽂이

아접(芽接)

눈접

아접도(芽接刀)

눈접칼

아주지(亞主枝)

버금가지

아충

진딧물

꽃받침

악성수종(惡性水腫)

악성물종기

악편(片)

꽃받침조각

안(眼)

안구(眼球)

눈알

안점기(眼点期)

점보일때

안접(鞍接)

안장접

암거배수(暗渠排水)

속도랑물빼기

암발아종자(暗發芽種子)

그늘받이씨

암최청(暗催靑)

어둠알깨기

압궤(壓潰)

눌러으깨기

압사(壓死)

깔려죽음

압조법(壓條法)

휘묻이

압착기(壓搾機)

누름틀

액비(液肥)

물거름

액아(腋芽)

겨능랑이눈

액제(液劑)

물약

액체비료(液體肥料)

물거름

앵속(罌粟)

양귀비

야건초(野乾草)

말린들풀

야도아(夜盜蛾)

도둑나방

야도충(夜盜)

도둑나방

야생초(野生草)

들풀

야수(野獸)

들짐승

야자유(椰子油)

야자기름

야잠견(野蠶繭)

들누에고치

야적(野積)

들가리

야초(野草)

들풀

약(葯)

꽃밥

약목(若木)

어린나무

약빈계(若牝鷄)

햇암탉

약산성토양(弱酸性土壤)

약한산성흙

약숙(若熟)

덜익음

약염기성(弱鹽基性)

약한알칼리성

약욕(藥浴)

약물목욕

약웅계(若雄鷄)

햇수탉

약지(若枝)

어린가지

약지(弱枝)

약한가지

약충(若)

애벌레, 유충

약토(若兎)

어린토끼

양건(乾)

볕에말리기

양계(養鷄)

닭치기

양돈(養豚)

돼지치기

양두(羊痘)

염소마마

양마(洋麻)

양삼

양맥(洋麥)

호밀

양모(羊毛)

양털

양묘(養苗)

모기르기

양묘육성(良苗育成)

좋은모기르기

양봉(養蜂)

벌치기

양사(羊舍)

양우리

양상(揚床)

돋움모판

양수(羊水)

새끼집물

양수(揚水)

물푸기

양열물(釀熱物)

열낼감

양열재료(釀熱材料)

열낼재료

양유(羊乳)

양젖

양육(羊肉)

양고기

양잠(養蠶)

누에치기

양접(揚接)

딴자리접

양질미(良質米)

좋은쌀

양토(壤土)

참흙

양토(養兎)

토끼치기

어란(魚卵)

말린생선알, 생선알

어분(魚粉)

생선가루

어비(魚肥)

생선거름

억제재배(抑制栽培)

늦추가꾸기

언지법(偃枝法)

휘묻이

얼자(蘖子)

새끼가지

엔시리지(ensilage)

담근먹이

여왕봉(女王蜂)

여왕벌

역병(疫病)

돌림병

역용우(役用牛)

일소

역우(役牛)

일소

역축(役畜)

일가축

연가조상수확법

(年間條桑收穫法)

연간 가지뽕거두기

연간조상육(年間條桑育)

연간가지뽕치기

연골(軟骨)

물렁뼈

연구기(燕口期)

잎펼때

연근(蓮根)

연뿌리

연맥(燕麥)

귀리

연부병(軟腐病)

무름병

연사(練飼)

이겨먹이기

연상(練床)

이긴모판

연수(軟水)

단물

연용(連用)

이어쓰기

연이법(練餌法)

반죽먹이기

연작(連作)

이어짓기

연초야아(煙草夜蛾)

담배나방

연하(嚥下)

삼킴

연화병(軟化病)

무름병

연화재배(軟化栽培)

연하게가꾸기

열과(裂果)

열매터짐, 터진열매

열구(裂球)

통터짐, 알터짐, 터진알

열근(裂根)

뿌리터짐, 터진뿌리

열대과수(熱帶果樹)

열대과일나무

열옆(裂葉)

갈래잎

열재료(熱材料)

열냄감

염기성(鹽基性)

알칼리성

염기포화도(鹽基飽和度)

알칼리포화도

염료(染料)

물감

염료작물(染料作物)

물감작물

염류농도(鹽類濃度)

소금기농도

염류토양(鹽類土壤)

소금기흙

염수(鹽水)

소금물

염수선(鹽水選)

소금물가리기

염안(鹽安)

염화암모니아

염장(鹽藏)

소금저장

염중독증(鹽中毒症)

소금중독증

염증(炎症)

곪음증

염지(鹽漬)

소금절임

염해(鹽害)

짠물해

염해지(鹽害地)

짠물해땅

염화가리(鹽化加里)

염화칼리

엽고병(葉枯病)

잎마름병

엽권병(葉倦病)

잎말이병

엽권충(葉倦)

잎말이나방

엽령(葉齡)

잎나이

엽록소(葉綠素)

잎파랑이

엽맥(葉脈)

잎맥

엽면살포(葉面撒布)

잎에뿌리기

엽면시비(葉面施肥)

잎에거름주기

엽면적(葉面積)

잎면적

엽병(葉炳)

잎자루

엽비(葉)

응애

엽삽(葉揷)

잎꽂이0

엽서(葉序)

잎차례

엽선(葉先)

잎끝

엽선절단(葉先切斷)

잎끝자르기

엽설(葉舌)

잎혀

엽신(葉身)

잎새

엽아(葉芽)

잎눈

엽연(葉緣)

잎가선

엽연초(葉煙草)

잎담배

엽육(葉肉)

잎살

엽이(葉耳)

잎귀

엽장(葉長)

잎길이

엽채류(葉菜類)

잎채소류, 잎채소붙이

엽초(葉)

잎집

엽폭(葉幅)

잎너비

영견(營繭)

고치짓기

영계(鷄)

약병아리

영년식물(永年植物)

오래살이작물

영양생장(營養生長)

몸자람

영화(潁化)

이삭꽃

영화분화기(潁化分化期)

이삭꽃생길때

예도(刈倒)

베어넘김

예찰(豫察)

미리살핌

예초(刈草)

풀베기

예초기(刈草機)

풀베개

예취(刈取)

베기

예취기(刈取機)

풀베개

예폭(刈幅)

벨너비

오모(汚毛)

더러운 털

오수(汚水)

더러운 물

오염견(汚染繭)

물든 고치

옥견(玉繭)

쌍고치

옥사(玉絲)

쌍고치실

옥외육(屋外育)

한데치기

옥촉서(玉蜀黍)

옥수수

옥총(玉)

양파

옥총승(玉繩)

고자리파리

옥토(沃土)

기름진땅

온수관개(溫水灌漑)

더운물대기

온욕법(溫浴法)

더운물담그기

완두상충(豌豆象)

완두바구미

완숙(完熟)

다익음

완숙과(完熟果)

익은열매

완숙퇴비(完熟堆肥)

다썩은 두엄

완전변태(完全變態)

갖춘탈바꿈

완초(莞草)

왕골

완효성(緩效性)

천천히 듣는

왕대(王臺)

여왕벌집

왕봉(王蜂)

여왕벌

왜성대목(倭性臺木)

난장이바탕나무

외곽목책(外廓木柵)

바깥울

외래종(外來種)

외래품종

외반경(外返耕)

바깥돌아갈이

외상(外傷)

겉상처

외피복(外被覆)

겉덮기, 겊덮개

요(尿)

오줌

요도결석(尿道結石)

오즘길돌

요독증(尿毒症)

오줌독증세

요마비(腰麻痺)

허미마비

요실금(尿失禁)

오줌흘림

요의빈삭(尿意頻數)

오줌자주마려움

요절병(腰折病)

잘록병

욕광최아(浴光催芽)

햇볕싹띄우기

용수로(用水路)

물대기도랑

용수원(用水源)

끝물

용제(溶劑)

녹는약

용탈(溶脫)

녹아빠짐

용탈증(溶脫症)

녹아빠진 흙

우(牛)

우결핵(牛結核)

소결핵

우량종자(優良種子)

좋은씨앗

우모(羽毛)

깃털

우사(牛舍)

외양간

우승(牛蠅)

쇠파리

우육(牛肉)

쇠고기

우지(牛脂)

쇠기름

우형기(牛衡器)

소저울

우회수로(迂廻水路)

돌림도랑

운형병(雲形病)

수탉

웅봉(雄蜂)

수펄

웅성불임(雄性不稔)

고자성

웅수(雄穗)

수이삭

웅예(雄)

수술

웅추(雄雛)

수평아리

웅충(雄)

수벌레

웅화(雄花)

수꽃

원경(原莖)

원줄기

원추형(圓錐形)

원뿔꽃

원형화단(圓形花壇)

둥근꽃밭

월과(越瓜)

김치오이

월년생(越年生)

두해살이

월동(越冬)

겨울나기

월동식량(越冬食糧)

겨울나기식량

위임신(僞姙娠)

헛배기

위조(萎凋)

시듦

위조계수(萎凋係數)

시듦값

위조점(萎凋点)

시들점

위축병(萎縮病)

오갈병

위황병(萎黃病)

누른오갈병

유(柚)

유자

유근(幼根)

어린뿌리

유당(乳糖)

젖당

유도(油桃)

민복숭아

유두(乳頭)

젖꼭지

유료작물(有料作物)

기름감작물

유목(幼木)

어린나무

유묘(幼苗)

어린모

유박(油粕)

깻묵

유방염(乳房炎)

젖알이

유봉(幼蜂)

새끼벌

유산(流産)

새끼지우기

유산(乳酸)

젖산

유산가리(酸加里)

황산가리

유산균(乳酸菌)

젖산균

유산망간(酸mangan)

황산망간

유산발효(乳酸醱酵)

젖산띄우기

유산양(乳山羊)

젖염소

유살(誘殺)

꾀어죽이기

유상(濡桑)

물뽕

유선(乳腺)

젖줄, 젖샘

유수(幼穗)

어린이삭

유수분화기(幼穗分化期)

이삭생길때

유수형성기(幼穗形成期)

배동받이때

유숙(乳熟)

젖익음

유아(幼芽)

어린싹

유아등(誘蛾燈)

꾀임등

유안(硫安)

황산암모니아

유압(油壓)

기름압력

유엽(幼葉)

어린잎

유우(幼牛)

애송아지

유우(乳牛)

젖소

유우사(乳牛舍)

젖소외양간, 젖소간

유인제(誘引劑)

꾀임약

유제(乳劑)

젖빛약

유제(油劑)

기름약

유지(乳脂)

젖기름

유착(癒着)

엉겨붙음

유추(幼雛)

햇병아리, 병아리

유추사료(幼雛飼料)

햇병아리사료

유축(幼畜)

어린가축

유충(幼蟲)

애벌레, 약충

유토(幼兎)

어린토끼

유합(癒合)

아뭄

유황(黃)

유황대사(黃代謝)

황대사

유황화합물(黃化合物)

황화합물

유효경비율(有效莖比率)

참줄기비율

유효분얼최성기

(有效分蘖最盛期)

참새끼치기최성기

유효분얼한계기

(有效分蘖限界期)

참새끼치기한계기

유효분지수(有效分枝數)

참가지수, 유효가지수

유효수수(有效穗數)

참이삭수

유휴지(遊休地)

묵힌땅

육계(肉鷄)

고기닭

육도(陸稻)

밭벼

육돈(陸豚)

살퇘지

육묘(育苗)

모기르기

육묘대(陸苗垈)

밭모판, 밭못자리

육묘상(育苗床)

못자리

육성(育成)

키우기

육아재배(育芽栽培)

싹내가꾸기

육우(肉牛)

고기소

육잠(育蠶)

누에치기

육즙(肉汁)

고기즙

육추(育雛)

병아리기르기

윤문병(輪紋病)

테무늬병

윤작(輪作)

돌려짓기

윤환방목(輪換放牧)

옮겨놓아먹이기

윤환채초(輪換採草)

옮겨풀베기

율(栗)

은아(隱芽)

숨은 눈

음건(陰乾)

그늘말리기

음수량(飮水量)

물먹는 양

음지답(陰地畓)

응달논

응집(凝集)

엉김, 응집

응혈(凝血)

피엉김

의빈대(疑牝臺)

암틀

의잠(蟻蠶)

개미누에

이(李)

자두

이(梨)

이개(耳介)

귓바퀴

이기작(二期作)

두번짓기

이년생화초(二年生花草)

두해살이화초

이대소야아(二帶小夜蛾)

벼애나방

이면(二眠)

두잠

이모작(二毛作)

두그루갈이

이박(飴粕)

엿밥

이백삽병(裏白澁病)

뒷면흰가루병

이번지(二番枝)

둘째가지

이병(痢病)

설사병

이병경률(罹病莖率)

병든줄기율

이병묘(罹病苗)

병든모

이병성(罹病性)

병걸림성

이병수율(罹病穗率)

병든이삭률

이병식물(罹病植物)

병든식물

이병주율(罹病株率)

병든포기율

이성휴(二盛畦)

두가옷지기

이식(移植)

옮겨심기

이앙기(移秧機)

모내기때

이앙기(移秧機)

모심개

이앙밀도(移秧密度)

모내기뱀새

이야포(二夜包)

한밤묵히기

이유(離乳)

젖떼기

이주(梨酒)

배술

이품종(異品種)

다른품종

이하선(耳下線)

귀밑샘

이형주(異型株)

딴꼴포기

이화명충(二化螟)

이화명나방

이환(罹患)

병걸림

이희심식충(梨姬心食)

배명나방

익충(益)

이로운벌레

인경(鱗莖)

비늘줄기

인공감미제(人工甘味劑)

단맛나니

인공부화(人工孵化)

인공알깨기

인공수정(人工受精)

인공정받이

인공포유(人工哺乳)

인공젖먹이기

인안(鱗安)

인산암모니아

인입(引入)

끌어들임

인접주(隣接株)

옆그루

인초(藺草)

골풀

인편(鱗片)

인후(咽喉)

목구멍

일건(日乾)

볕말림

일고(日雇)

날품

일년생(一年生)

한해살이

일륜차(一輪車)

외바퀴수레

일면(一眠)

첫잠

일수입수(一穗粒數)

한이삭일수

일조(日照)

일협립수(1莢粒數)

꼬투릳당일수

임돈(姙豚)

새끼밴돼지

임신(姙娠)

새끼배기

임신징후(姙娠徵候)

임신기, 새깨밴징후

임실(稔實)

씨여뭄

임실유(荏實油)

들기름

입고병(立枯病)

잘록병

입단구조(粒團構造)

떼알구조

입도선매(立稻先賣)

벼베기전팔이

베기전팔이

입란(入卵)

알넣기

입묵(入墨)

먹물뜨기

입상비료(粒狀肥料)

싸락거름

입색(粒色)

낟알색

입수계산(粒數計算)

낟알셈

입제(粒劑)

싸락약

입중(粒重)

낟알무게

입직기(織機)

가마니틀

잉여노동(剩餘勞動)

남는노동

 

 

 

 

출처 : 돌터
글쓴이 : 金石基 원글보기
메모 :
728x90
 

사(砂)

모래

사견양잠(絲繭養蠶)

실고치누에치기

사경(砂耕)

모래가꾸기

사과(絲瓜)

수세미

사근접(斜根接)

뿌리엇접

사낭(砂囊)

모래주머니

사란(死卵)

곤달걀

사력토(砂礫土)

자갈흙

사롱견(死籠繭)

죽은고치

사료(飼料)

먹이

사료급여(飼料給與)

먹이주기

사료포(飼料圃)

사료밭

사망(絲網)

실그물

사면(四眠)

넉잠

사멸온도(死滅溫度)

죽는온도

사비료작물(飼肥料作物)

먹이거름작물

사사(舍飼)

가둬기르기

사산(死産)

죽은새끼낳음

사삼(沙蔘)

더덕

사성휴(四盛畦)

네가옷지기

사식(斜植)

빗심기, 사식

사양(飼養)

치기, 기르기

사양토(砂壤土)

모래참흙

사육(飼育)

기르기, 치기, 사육

사접(斜接)

엇접

사조(飼槽)

먹이통

사조맥(四條麥)

네모보리

사총(絲蔥)

실파

사태아(死胎兒)

죽은태아

사토(砂土)

모래흙

다래

삭모(削毛)

털깎기

삭아접(削芽接)

깍기눈접

삭제(削蹄)

발굽깍기, 굽깍기

산과앵도(酸果櫻挑)

신앵두

산도교정(酸度橋正)

산성고치기

산란(産卵)

알낳기, 산란

산리(山李)

산자두

산미(酸味)

신맛, 산미

산상(山桑)

산뽕

산성토양(酸性土壤)

산성흙

산식(散植)

흩어심기

산약(山藥)

산양(山羊)

염소, 산양

산양유(山羊乳)

염소젖, 산양유

산우(山芋)

산유(酸乳)

젖내기

산육량(産肉量)

살코기량

산자수(産仔數)

새끼수

산파(散播)

흩뿌림

산포도(山葡萄)

머루

살분기(撒粉機)

가루뿜개

살비제(殺劑)

응애약

살서제(殺鼠劑)

쥐약

삼면(三眠)

석잠

삼투성(渗透性)

스밀성

삽목(揷木)

꺾꽂이

삽목묘(揷木苗)

꺾꽂이모

삽목상(揷木床)

꺾꽂이모판

삽미(澁味)

떫은 맛

삽상(揷床)

꺾꽂이모판

삽수(揷穗)

꺾꽂이순

삽시(揷枾)

떫은감

삽식(揷植)

꺾꽂이

삽접(揷接)

꽂이접

상(床)

모판

상개각충(桑介殼)

뽕깍지벌레

상견(上繭)

상등고치

상고(常雇)

머슴

상면(床面)

모판바닥

상명아(桑螟蛾)

뽕나무명나방

상목슬(桑木)

뽕나무이

상묘(桑苗)

뽕나무묘목

상습지(常習地)

자주나는곳

상심(桑)

오디

상심지영승(湘芯止蠅)

뽕나무순혹파리

상아고병(桑芽枯病)

뽕나무눈마름병

뽕눈마름병

상엽(桑葉)

뽕잎

상엽충(桑葉)

뽕잎벌레

상온(床溫)

모판온도

상위엽(上位葉)

윗잎

상자육(箱子育)

상자치기

상저(上藷)

상고구마

상전(桑田)

뽕밭

상족(上簇)

누에올리기

상주(霜柱)

서릿발

상지척확(桑枝尺)

뽕나무자벌레

상천우(桑天牛)

뽕나무하늘소

상토(床土)

모판흙

상폭(上幅)

윗너비, 상폭

상해(霜害)

서리피해

상흔(傷痕)

흉터, 상흔

색택(色澤)

빛깔

생강(生薑)

새앙, 생강

생견(生繭)

생고치

생경중(生莖重)

풋줄기무게

생계비(生計費)

생활비

생고중(生藁重)

생짚무게

생돈(生豚)

생돼지

생력양잠(省力養蠶)

품줄여누에치기

생력재배(省力栽培)

품줄여가꾸기

생사(生飼)

날로먹이기

생시체중(生時體重)

날때몸무게

생식(生食)

날로먹기

생유(生乳)

날젖

생육(生肉)

날고기

생육상(生育狀)

자라는모양

생육적온(生育適溫)

자라기 적온

자라기맞는온도

생장률(生長率)

자람비율

생장조정제(生長調整劑)

생장조정약

생전분(生澱粉)

날녹말

서(黍)

기장

서강사료(薯糠飼料)

겨감자먹이

서과(西瓜)

수박

서류(薯類)

감자류

서상층(鋤床層)

쟁기밑층

서양리(西洋李)

양자두

서혜임파절(鼠蹊淋巴節)

사타구니임파절

석답(潟畓)

갯논

석분(石粉)

돌가루

석회고(石灰藁)

석회짚

석회석분말(石灰石粉末)

석회가루

선견(選繭)

고치고르기

선과(選果)

과실고르기

선단고사(先端枯死)

끝마름

선단벌채(先端伐採)

끝베기

선란기(選卵器)

알고르개

선모(選毛)

털고르기

선종(選種)

씨고르기

선택성(選擇性)

가릴성

선형(扇形)

부채꼴

선회운동(旋回運動)

맴돌이운동, 맴돌이

설립(粒)

쭉정이

설미(米)

쭉정이쌀

설서(薯)

잔감자

설저(藷)

잔고구마

설하선(舌下腺)

혀밑샘

설형(楔形)

쐐기꼴

섬세지(纖細枝)

실가지

섬유장(纖維長)

섬유길이

성계(成鷄)

큰닭

성과수(成果樹)

자란열매나무

성돈(成豚)

자란돼지

성목(成木)

자란나무

성묘(成苗)

자란모

성숙기(成熟期)

익음때

성식기(盛食期)

한밥때

성엽(成葉)

다자란잎, 자란잎

성장률(成長率)

자람비율

성장사료(成長飼料)

자람먹이

성추(成雛)

큰병아리

성충(成蟲)

어른벌레

성토(成兎)

자란토끼

성토법(盛土法)

묻어떼기

성하기(盛夏期)

한여름

세균성연화병

(細菌性軟化病)

세균무름병

세근(細根)

잔뿌리

세모(洗毛)

털씻기

세잠(細蠶)

가는누에

세절(細切)

잘게썰기

세조파(細條播)

가는줄뿌림

세지(細枝)

잔가지

세척(洗滌)

씻기

소각(燒却)

태우기

소광(巢)

벌집틀

소국(小菊)

잔국화

소낭(囊)

모이주머니

소독제(消毒劑)

소독약

소두(小豆)

소두상충(小豆象)

팥바구미

소립(小粒)

잔알

소립종(小粒種)

잔씨

소맥(小麥)

소맥고(小麥藁)

밀짚

소맥부(小麥)

밀기울

소맥분(小麥粉)

밀가루

소문(巢門)

벌통문

소밀(巢蜜)

개꿀

소비재배(小肥栽培)

거름적게주어 가꾸기

소상(巢箱)

벌통

소식(疎植)

성글게심기, 드물게심기

소식기(小食期)

적은밥때

소양증(瘙痒症)

가려움증

소엽(蘇葉)

차조기잎, 차조기

소우(素牛)

밑소

소잠(掃蠶)

누에떨기

소주밀식(小株密植)

적게잡아 배게, 심기

소지경(小枝梗)

벼알가지

소채아(小菜蛾)

배추좀나방

소초(巢礎)

벌집틀바탕

소토(燒土)

흙태우기

속(粟)

속(束)

묶음, 다발, 뭇

속명충(粟螟)

조명나방

속성상전(速成桑田)

속성뽕밭

속성퇴비(速成堆肥)

빨리썩을두엄

속야도충(粟夜盜)

멸강나방

속효성(速效性)

빨리듣는

쇄미(碎米)

싸라기

쇄토(碎土)

흙부수기

수간(樹間)

나무사이

수견(收繭)

고치따기

수경재배(水耕栽培)

물가꾸기

수고(樹高)

나무키

수고병(穗枯病)

이삭마름병

수광(受光)

빛살받기

수도(水稻)

수도이앙기(水稻移秧機)

모심개

수동분무기(手動噴霧器)

손뿜개

수두(獸痘)

짐승마마

수령(樹)

나무사이

수로(水路)

도랑

수리불안전답

(水利不安全畓)

물사정나쁜논

수리안전답

(水利安全畓)

물사정놓은논

수면처리(水面處理)

물위처리

수모(獸毛)

짐승털

수묘대(水苗垈)

물못자리

수밀(蒐蜜)

꿀모으기

수발아(穗發芽)

이삭싹나기

수병(銹病)

녹병

수분(受粉)

꽃가루받이, 가루받이

수분(水分)

물기, 수분

수분수(授粉樹)

가루받이나무

수비(穗肥)

이삭거름

수세(樹勢)

나무자람새

수수(穗數)

이삭수

수수(穗首)

이삭목

수수도열병(穗首稻熱病)

목도열병

수수분화기(穗首分化期)

이삭생길때

수수형(穗數型)

이삭많은형

수양성하리(水性下痢)

물똥설사

수엽량(收葉量)

뿡거둠량

수온(水溫)

물온도

수온상승(水溫上昇)

물온도오르기

물온도높이기

수용성(水溶性)

물에녹는

수용제(水溶劑)

물녹임약

수유(受乳)

젖받기

수유율(受乳率)

기름냄률

수이(水飴)

물엿

수잉기(穗孕期)

이삭밸때

수장(穗長)

이삭길이

수전기(穗期)

이삭거의 팼을 때

수정(受精)

정받이

수정란(受精卵)

정받이알

수조(水)

물통

수종(水腫)

물종기

수중형(穗重型)

큰이삭형

수차(手車)

손수레

수차(水車)

물방아, 무자위

수척(瘦瘠)

여윔

수침(水浸)

물잠김

수태(受胎)

새끼배기

수포(水泡)

물집

수피(樹皮)

나무껍질

수형(樹形)

나무모양

수형(穗形)

이삭모양

수화제(水和劑)

물풀이약

수확(收穫)

거두기

수확기(收穫機)

거두개

숙근성(宿根性)

해묵이

숙기(熟期)

익음때

숙도(熟度)

익은정도

숙면기(熟眠期)

깊은잠때

숙사(熟飼)

끊여먹이기

숙잠(熟蠶)

익은누에

숙전(熟田)

길든밭

숙지삽(熟枝揷)

굳가지꽂이

숙채(熟菜)

익힌나물

순찬경법(順次耕法)

차례갈기

순치(馴致)

길들이기

순화(馴化)

길들이기, 굳히기

순환관개(循環觀漑)

돌려물대기

순회관찰(巡廻觀察)

돌아보기

습답(濕畓)

고논

습포육(濕布育)

젖은천덮어치기

승수로(承水路)

물받이구렁

시(枾)

시비(施肥)

거름주기

시비개선(施肥改善)

거름주기개선

시비기(施肥機)

거름주개

시산(始産)

처음낳기

시실아(枾實蛾)

감꼭지나방

시진(視診)

살펴보기진단, 보기진단

시탈삽(枾脫澁)

감우림

시한영농(時限營農)

제째농사

식단(食單)

차림표

식부(植付)

심기

식상(植傷)

몸살

식상(植桑)

뽕나무심기

식습관(食習慣)

먹는 버릇

식양토(埴壤土)

질참흙

식염(食鹽)

소금

식염첨가(食鹽添加)

소금치기

식우성(食羽性)

털먹는버릇

식이(食餌)

먹이

식재거리(植栽距離)

심는거리

식재법(植栽法)

심는법

식토(植土)

질흙

식하량(食下量)

먹는양

식해(害)

갉음피해

식혈(植穴)

심을구덩이

식흔(痕)

먹은흔적

신미종(辛味種)

매운품종

신소(新)

새가지, 새순

신소삽목(新揷木)

새순꺾꽂이

신소엽량(新葉量)

새순잎량

신엽(新葉)

새잎

신장(腎贓)

 콩팥, 신장

신장기(伸張期)

줄기자람때

신장절(伸張節)

늘음마디

신지(新枝)

새가지

신품종(新品種)

새품종

실면(實棉)

목화

실생묘(實生苗)

씨모

실생번식(實生繁殖)

씨로불림

심경(深耕)

깊이갈이

심경다비(深耕多肥)

깊이갈아걸우기

심고(芯枯)

순마름

심근성(深根性)

깊은뿌리성

심백(心白)

속백이

심부명(深腐病)

속썩음병

심수관개(深水灌槪)

물깊이대기, 깊이대기

심식(深植)

깊이심기

심엽(心葉)

속잎

심지(芯止)

순멎음, 순멎이

심층시비(深層施肥)

깊이거름주기

심토(心土)

속흙

심토층(心土層)

속흙층

십자화과(十字花科)

배추과

 

 

 

 

출처 : 돌터
글쓴이 : 金石基 원글보기
메모 :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