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두레3 일본, 용두레 秋田県 横手市 八橋昭和 33年(1958) 6月촬영 佐藤久太郎 2025. 4. 4. 물을 이용한 선조들 우리나라에서 벼농사 재배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진 청동기시대 이래 농경사회에서 물을 이용하는 기술의 필요성이 불가피하였으며, 수전경작 이후 필연적으로 수리(水利)의 중요성이 대두되어 수리관개(水利灌漑)시설을 촉진시켰다. 오늘날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양수 시설로는 맞두.. 2010. 5. 17. 용두레 한쪽을 파낸 통나무를 삼각대에 매달아 놓고, 물을 퍼서 멀리 던져 올리는 기구이다. 무넘이가 얕은 곳의 물을 퍼 올리는 데 쓴다. 웅덩이 물을 용두레로 푸다가 무넘이가 높아지면 맞두레로 푼다. 지역에 따라 「통두레·파래·풍개」라고도 부르는 데 한 시간에 15~20톤의 물을 풀 수 있다. 2008. 9. 4.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