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에너지5

가스랜드 미국 에너지 산업의 이면. 프랙킹의 문제점을 다루고 있음. 2013. 7. 8.
지속가능성에 기여하는 유기농업 지속가능성은 생태계 보전, 사회복지, 경제적 탄력성, 좋은 통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지식과 개발에 대한 현재 상태에 따르면, 어떻게 유기농업이 이러한 각각의 지속가능성의 요소에 기여를 하는가? 지속가능성은 우선 현재와 미래세대에게 재화와 서비스의 지속적인 제공을 보장하기 .. 2013. 7. 8.
영국 노포코의 양계 농민이 녹색에너지를 생산 Nigel Joice poultry farm tour. Photo: Emily West Photography For the first time since the business invested in renewable energy strategy three years ago, it produced more power than it consumed. Mr Joice, and his son, Patrick, welcomed young poultry producers to Uphouse Farm, South Raynham, near Fakenham. They told the 30 members of the joint National Farmers’ Union and ABN .. 2013. 4. 7.
농업을 배우자 5 -소농의 노동력과 에너지 http://www.agriculturesnetwork.org/resources/pdfs/module5-learning-agricultures learning-module5-preview.pdf Module 5 seeks to engage people in discussions about labour dynamics as well as energy use in small-scale farming. Small-scale farmer households work extremely hard in order to produce enough to sustain themselves. Getting the most out of their labour and time is a majo.. 2013. 1. 30.
높아지는 식량 수요가 에너지와 물 공급에 타격을 주다 지하수 고갈... 농업에서 관개용수를 주로 지하수를 퍼올려 사용하면서 점점 지하수 고갈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다. 이는 비단 이 글에 나오는 인도와 같은 곳의 문제만이 아니다. 한국에서도 지하수 고갈이 현실화되고 있다. 현재 지하수 관정을 팔 때 20~30m 정도 깊이에서는 물이 나오지 .. 2012. 5.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