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지방통계청에서 <경상남도 최근 10년간 가축사육동향>을 발표.

경상남도에서 한·육우 20마리 미만 사육농가는 2008년 2만6668가구에서 2018년 8320가구로 1만8348가구(-68.8%)가 감소. 그런데 50마리 이상 사육농가는 2008년 840가구에서 2018년 1637가구로 2배 가까이 증가.

또한 한·육우 사육 마릿수는 2008년 26만3502마리에서 2018년 29만9413마리로 3만5911마리(13.6%) 늘어난 데 반하여, 같은 기간 사육농가는 2만9491가구에서 1만2015가구로 59.3% 감소.

그리고 돼지의 경우, 돼지 1000마리 미만 사육농가는 10년 만에 1/3 수준(927→329가구)으로 감소한 반면, 5000마리 이상 사육농가는 68%(25→42가구) 증가.

닭 1만 마리 미만 사육농가도 절반 이상(49→20가구) 줄었지만, 3만마리 이상 사육 농가는 34.2%(76→102가구) 증가.


한마디로, 축산업의 규모화가 착착 진행되고 있다.


728x90

살충제 계란 문제로 시끄러운 요즘. 미국에서는 양계업에서 사용하는 항생제 문제를 다루는 책 <Big Chicken>이 출간되었단다. 과연 값싼 고기를 풍족히 먹기 위해 어쩔 수 없는 일이냐?


https://www.economist.com/news/united-states/21729544-new-book-about-rise-cheap-chicken-how-use-antibiotics-poultry-farming?fsrc=scn%2Ftw%2Fte%2Fbl%2Fed%2Fhowtheuseofantibioticsinpoultryfarmingchangedthewayamericaeats

728x90

'농담 > 농업 전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의 농업 현대화  (0) 2017.09.29
쌀 대책, 이게 최선인가?  (0) 2017.09.29
중국을 뒤덮고 있는 농업용 비닐  (0) 2017.09.09
농부 없는 농사  (0) 2017.09.07
프랑스의 글리포세이트 퇴출  (0) 2017.09.07

사육 방식에 따른 두 종류의 닭 이야기.



A Tale of Two Chickens from lexicon of food on Vimeo.



728x90

'농담 > 농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뿌리에 냉난방을 하는 방식  (0) 2016.06.02
관행농업과 유기농업의 차이  (0) 2016.05.10
슈퍼잡초는 농업 문제이다  (0) 2016.04.27
환기를 시키다가  (0) 2016.04.27
수경재배는 친환경인가?  (0) 2016.04.23



그래도 10년 전에는 닭이 돈이 되는 때였다고 Mike Weaver 씨는 말한다. 그는 2001년 미국 야생동식물보호국 법률 집행관에서 퇴직한 뒤 웨스트버지니아 포트 세이버트에 사들인 자신의 농장에서 여전히 닭을 사육한다. 그런데 돈은? 갈수록 시원찮아지고 있다.

Keeping the lights on and the heaters running in his gigantic chicken houses seems to cost more every year (“house” is the industry term for a chicken barn; each of Weaver’s is more than two football fields long and can hold about 46,000 chickens). Everything about farming, as a matter of fact, is getting pretty expensive these days. Guess how much the silver dollar-sized plastic cap that he needed the other day to repair a hydraulic clutch on his tractor cost? $33. An outrage.

Then there’s the fact that Weaver says he and other West Virginia “growers” – the industry term for chicken farmers – haven’t received a pay increase for 10 years and are earning just a fraction more in absolute, non-inflation-adjusted dollars than they did three decades ago. All told, it’s been enough to get Weaver seriously fired up. (A spokesman for Pilgrim’s, the company with which Weaver contracts to grow chickens, responds that it pays its West Virginia growers at competitive industry rates).

Nearly all the chicken raised in the United States is grown by farmers who contract with “vertically integrated” companies that own the chickens as well as the entire supply chain, from hatcheries to feed mills to processing and packaging plants. Growers like Weaver are simply paid to raise newly hatched chicks to market weight – a process that, thanks to constant genetic improvement, now takes just about five weeks.

The companies deliver chicks and feed and return later to collect the full-grown chickens for slaughter and processing, while the growers construct, maintain, upgrade and pay for utilities and labor in their poultry houses.

“In general, it’s been an extremely effective and efficient system that’s been able to produce low-cost, high-quality protein for consumers around the world,” says Mike Lacy, head of the poultry science department at the University of Georgia – the country’s biggest chicken-producing state. “The contract system has served consumers well [and] … it’s contributed to the success of a lot of family farmers.”

Bill Roenigk, an economist with the National Chicken Council, says vertical integration offers poultry farmers stable income and manageable risk, and has benefitted both growers and poultry companies for decades. The industry also points out that vertical integration protects growers from the market volatility. When feed is expensive or chicken prices are low (or both), the company, rather than the growers, suffers.



Lacy and others, however, acknowledge that Weaver’s fundamental complaint – stagnating income and rapidly increasing expense – holds true for growers across the country.

“The growers’ plight has been getting worse and worse starting in the early to mid-90s, and really accelerated in the last five years,” says Bob Taylor, a professor and researcher at Auburn University’s College of Agriculture.

(In this 2010 paper, Taylor reports after a full accounting of all associated expenses and income, the average Alabama grower lost money on a poultry operation in 10 of the 15 years between 1995 and 2009.)

After a fuel price spike in 2007 and 2008 hit growers hard, Weaver founded the Contract Poultry Growers Association of the Virginias to advocate for improved conditions and better pay for contract growers. Today the group works on projects to improve individual growers’ bottom lines – e.g., looking at heaters that burn chicken litter rather than propane – and fights to reform aspects of the contract system that many growers feel are unfair.

At the heart of much criticism against the industry is the fact that getting into the poultry business isn’t cheap, and indebted farmers are often in poor position to advocate for themselves. After buying his farm, Weaver spent about $200,000 to convert its two existing turkey houses for chicken production. Building a farm like his from scratch today would cost around $1 million, he estimates. And when “you’re in debt up to his ass” like this, Weaver says, you can’t just quit, even if you’re losing money on your flocks.

Reforming the way growers are paid, and increasing the amount, is another of Weaver’s goals. Growers like him earn a base rate of between 5¢ and 5.5¢ per pound (depending on the specifications of a grower’s houses) of live weight the company hauls off when the flock is grown. Every week, the company ranks all the finished flocks it’s collected from first to worst based on how efficiently each grower’s flocks convert feed to weight. The growers at the top get bonuses for good performance, subsidized by penalties subtracted from the base pay of growers at the bottom of the list.

The industry says this creates an incentive-based system that rewards dedicated, skilled growers. Critics, however, sometimes take a more cynical view, as the major variables that can mean the difference between a bonus-earning flock and a penalty-earning flock are in the company’s hands. If the company doesn’t like Grower X – perhaps because he’s begun to agitate for better conditions – it could send him a flock of chicks hatched from hens at the ends of their breeding lives, which, on average, won’t grow as quickly as others. Or it could cut back on the amount of corn in the feed it sends him. With bad chicks or bad feed, a grower is virtually guaranteed to be penalized for poor performance, Weaver says.



Furthermore, says Taylor, growers have no way to verify the data used to calculate their pay or dispute a performance penalty when they receive their settlement checks.

The mere possibility of this happening is powerful. Fear of economic punishment for upsetting the company is pervasive among growers. Even worse is the prospect of being “cut off,” or dropped altogether by a company, which generally can terminate a grower’s contract at will with 90 days’ notice – potentially devastating to a grower with mortgage payments to make on his poultry houses.

As a result, very few growers are as willing to be as outspoken as Weaver about difficult circumstances they may be facing (“one of the real travesties” of all this, he says). As a case in point, Weaver says he used to regularly earn production bonuses by topping the weekly pool of growers. He says it hasn’t happened once in the past three years.

The degree to which any of this actually occurs, however, is impossible to quantify.

“I can’t say that there’s never been abuse, but I would say that it is rare,” says Lacy of the University of Georgia. “It’s never in the company’s best interests for a grower to fail, and they will bend over backwards to try to solve whatever problem there is.”

He points out that banks’ willingness to lend to a company’s growers provides something of a check and balance to bad behavior that could put growers out of business. If a particular company’s growers have a track record of loan defaults, banks won’t lend to them as freely and the company could face production problems.

Regardless, Weaver says the challenges facing him, his association’s membership and growers in general are as difficult as ever right now. He hopes things will get better, but it’s hard to feel too optimistic these days. If the companies give his growers a two-cent base pay increase they’ve been asking for for several years – that’s close to a 40 percent raise – he may still be doing this in five years, he says. If not, he’ll close his doors, sooner rather than later.

But he won’t do it quietly.

“I have to sleep well at night,” Weaver says. “If somebody’s doing something wrong and needs to be told about it, I’ll tell ‘em. I hate to shut it down, but I’m not going to be abused, either.”

http://modernfarmer.com/2014/02/chicken-farming-discontents/?utm_source=hootsuite

728x90

"미국의 양돈 산업은 단 2700개의 농장이 현재 미국 전체 돼지의 절반을 사육하고 있다. 나머지 절반은 1970년 90만 개에서 14만 개로 줄어든 농장에서 사육한다. 계란은 전체 2억7천만 마리의 산란계 가운데 95%가 300곳의 양계 농장에서 사육되는데, 각각의 농장은 7만5천 마리 이상씩 산란계를 소유하며 관리한다. 단 10개의 기업이 모든 육계 생산의 90%를 통제한다. 


유럽연합도 이와 비슷한 상황이다. 6%의 농민이 곡물의 60%를, 모든 가축의 15~40%를 생산한다. 영국에서는 단 52곳의 양돈 농장이 8만 마리의 돼지를 사육하는 반면, 20마리 이하의 돼지를 사육하기도 하는 또 다른 4만 곳의 농장에서 17만 마리의 돼지를 사육한다. 육계 부문에서, 330곳의 농장이 6700만 마리의 육계(전체의 66%)를 사육하는 한편, 1000마리 이하를 사육하기도 하는 720개의 농장에서는 5만9천 마리를 사육한다. 이러한 사정은 산란계에서도 마찬가지이다. 2만 마리 이상의 닭을 소유한 300개의 농장에서 2900만 마리의 산란계(전체의 80%)를 사육하지만, 전체 농장의 45%는 100마리 미만을 소유하기도 하며 40만 마리를 사육하고 있다. 곡물 재배에서는 8300개의 농장이 전체 곡물 재배의 절반을 차지하는 한편, 3만2천 개의 농장은 전체 면적의 10%만 차지하며 대부분 20헥타르 미만의 농장이다."


ㅡ피터 쥴스, <Agri-Culture>

728x90

'농담 > 농업 전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도권과 지방도시에 살아보니 다르다  (0) 2015.10.15
<현대농업>을 구독합시다  (0) 2015.10.13
닭은 사랑입니다  (0) 2015.03.12
농업 분야의 성차별  (0) 2015.03.06
농촌지도사업  (0) 2015.03.05


The Farm of the Good Shepherd from maryn on Vimeo.



Frank Reese raises heritage chicken and turkeys on his Good Shepherd Poultry Ranch in tiny Lindsborg, Kansas. The birds belong to breeds that the poultry industry discarded over decades as it refined the modern meat chicken. Reese chooses to raise them because he believes the breeds have valuable genetics that the industry will someday need once again, and that would be lost if he did not preserve them. But it's a solitary life, and not well-compensated; as Frank asks, "What will happen to these birds when I die?"


728x90

신선하고 영양가 많은 달걀과 집에서 구운 닭고기는 닭을 키우기에 충분한 이유가 된다. 텃밭에서 닭을 키우고자 한다면, 최고의 퇴비에 들어갈 재료를 넣는 데에 닭을 활용할 수도 있다. 게다가 닭을 풀어놓을 수 있다면 특별 혜택을 볼 수 있으니, 그것은 해충을 잡아 먹는 것이다.  






닭을 키우는 비용


오하이오 주립대학에 따르면, 다 자란 암탉의 경우 1년에 약 38kg의 사료를 먹는다. 방목할 경우 풀이나 음식찌꺼기를 먹어 사료비가 덜 든다. 동물사료 소매점의 포장 사료는 현재 약 450g에 35센트이기에, 1년에 암탉 1마리에 약 30달러 정도 들 것이다. 이 액수는 유기농 사료를 먹이면 더 많이 들고, 도매점에서 사면 더 적게 들 것이다. 닭 1마리당 낳는 알의 갯수는 품종과 연령, 관리법에 따라 달라진다. 그러나 1년에 보통 200~250개를 낳을 것이다. 그래서 달걀 12개당 1.4~1.9달러를 쓰는 셈이다. 나중에 논의할 다른 혜택들을 감안하지 않고, 슈퍼마켓의 달걀에 비하여 12개당 2.5~5달러 들 것이다. (닭으로 키우는 병아리 사육비는 초기 투자가 필요한데, 이 비용은 알을 낳다가 폐기한 뒤 닭고기로 활용하는 가치에 의해 상쇄된다.) 사육비에 대한 상세한 논의는 닭고기를 위한 양계를 보아라. 


닭의 혜택: 텃밭에서

지금, 달걀과 닭고기 말고 닭을 키우는 혜택에는 무엇이 있는가? 어떤 사람들은 텃밭에서 진드기를 방제할 목적으로만 닭을 키운다. 닭을 방목하는 것이 유기적 해충방제의 수단으로 아주 좋다고 이야기한 적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텃밭 양계: 유기적 해충방제를 보길 바란다. 


라임병에 걸리는 위험을 낮추는 일을 가치로 매기기는 매우 어렵다. 하지만 닭 1마리에서 얻는 닭똥거름의 가치를 추산하는 건 할 수 있다. 닭은 곡물사료 에너지의 일부만 활용할 수 있다. 그들은 나머지를 똥으로 싼다. 닭들의 똥은 나무 부스러기나 짚, 낙엽 등 탄소질이 많은 물질과 제대로 잘 버무려지면 토양에 영양분을 추가하고 유기물 함량을 증가시킨다. 


오하이오 주립대학과 하와이 협동조합 교육서비스의 보고에 따르면, 닭 1마리가 한 달에 3.6~5kg 정도의 똥을 싼다. 갓 싼 닭똥에는 다른 기본적인 많은 영양분과 함께 1.5%의 질소가 포함되어 있다. 질소는 가장 공급이 부족한 영양분이기에, 닭똥거름의 가치를 추산하는 데 사용할 것이다. 


한 달에 1마리의 닭이 싸는 3.6~5kg의 똥은 50~80g의 질소를 함유한다. <Knott의 채소 재배자를 위한 핸드북>과 Woods End 실험실에 따르면, 계절마다 대부분의 작물들은 3평당 약 110~150g의 질소가 필요하다. 그 다음으로 암탉 1마리에 3평 정도의 범위라면 8~10주면 대부분의 작물이 건강하게 자라기에 충분한 질소를 공급한다(암탉이 싸는 모든 똥을 거둔다고 가정하면). 1x3m짜리 두둑 위에 이동용 닭장을 설치하고 닭 1마리를 넣어 놓는다면, 약 3주 정도면 필요한 질소를 공급할 것이다. 텃밭의 두둑에 1마리 이상의 닭을 넣어 놓는다면, 얼마 간격으로 이동시켜야 할지 관찰해 봐야 한다. 3평 정도에 닭 2마리면 4~5주, 또는 똑같은 넓이에 닭 3마리라면 2~3주면 된다.

 

질소는 텃밭을 관리하는 데 매력적인 영양분이다. 그것으로 너무 좋은 일을 많이 할 수 있다. 그러나 토마토 같은 작물에 지나치게 많은 질소를 준다면, 열매를 맺지 않고 줄기만 자라기도 할 것이다. 그러니 너무 많이 주지는 말고 예전에 이야기한 지침을 지키길 바란다. 


닭똥에 함유된 질소의 일부는 대기 중으로 날아가 버린다. 가능하면 빨리 흙과 섞거나 퇴비로 만들면 이를 막을 수 있다. 만약 비가 많이 오지 않으면 거기에 물을 뿌려주어라. 존재하는 질소의 일부는 토양미생물이 차츰 분해하여 지효성 형태가 될 것이다. 이건 다음 농사철이나 이듬해에 활용하게 된다. 



닭똥거름의 가치

직접 만든 닭똥거름을 사용함으로써 얻는 잠재적 비용절감 효과는 현재 텃밭에 어떤 거름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예를 들어 잔디 깎은 걸 활용한다면 이미 거름은 공짜이고, 닭똥거름을 써도 비용은 절감되지 않는다. 뭐, 그래도 거름원이 다양해진다는 효과는 있다. 유기질 퇴비를 사다 쓴다면 아마 질소 450g당 10~35달러를 지불하고 있을 것이다. (비료의 가격에 대해서는 공짜 유기질 거름으로 토양을 더 좋게 만들자!를 참조.) 닭똥을 그 가격에 적용하면, 닭 1마리당 1년에 약 20~70달러어치의 가치에 해당하는 질소거름을 공급한다. 경국, 닭들의 가치는 사육하는 닭의 마릿수와 관리법, 텃밭의 크기, 현재 거름에 쓰는 비용에 기반하여 달라질 것이다. (양계의 가치에 대한 전체적 사항에 대해서는 양계의 순 가치를 추산함에 나오는 표를 보라.) 



혜택 요약. 1년에 닭 1마리를 먹이는 데에 30달러를 써서, 약 200~250개의 달걀을 얻는다. 거기에 20~70달러어치의 닭똥거름을 얻는다. 그에 더해 풍부하고, 더 효과 좋은 퇴비에다가 유기적 해충방제도 하고,  큰 즐거움과 더욱 지속가능한 체계를 충족시킨다.   



병원균 예방

오염될 위험은 적지만, 똥은 작물을 오염시키고 결국 음식에 독이 될 수 있는 병원균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이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가을에 두둑에다 거름을 주고 겨울을 나게 하고, 두둑에 준 다음에는 적어도 3달은 기다렸다가 잎채소나 뿌리채소를 심도록 하라. 아니면 똥을 퇴비로 만들어라. 닭똥에 존재하는 병원균은 똥이 마르면 죽고, 또는 햇빛과 산소, 영하의 기온, 강산성이나 강알칼리성에 노출되면 죽는다. 



똥 관리법

닭똥을 거름으로 활용하고자 결심했다면, 닭장을 만들어 관리하는 몇 가지 방법이 있다. 각 방법의 장단점을 비교하고 조건에 가장 알맞은 방법을 택하라. 텃밭의 크기는 어떤지, 닭을 돌보는 데 시간은 얼마나 투여할 수 있는지 등을 고려하면 된다. 다음은 고려해야 할 몇 가지 사항들이다. 


많은 부산물. 닭똥의 절반쯤은 밤부터 새벽 동안 쌓일 수 있게 닭장에 많은 짚을 깔아주어라. 이 방법은 닭들이 도망가지 못하게 막는 고정된 닭장을 활용한다. 또한 많은 짚은 텃밭의 두둑에 더 쉽게 똥을 모으도록 만든다. 

낙엽이나 잔디 깎은 것, 짚, 나무 부스러기 등을 8~10cm 정도 까는데, 특히 횃대 아래에 집중하라. 닭들이 텃밭에 직접적으로 똥을 싸지 않기에 몇 개월마다 그걸 치워서 두둑 위로 옮긴다. 많은 부산물로 일과 시간을 줄이기를 참고하라. 


이동식 닭장. 두둑의 크기에 맞춰서 이동식 닭장(트랙터라고도 부름)을 만들어 덮개작물이 자랐거나 아니면 가을에 닭들이 두둑에 똥을 싸도록 옮길 수 있다. 가벼운 닭장을 만들기 위해 철사를 용접해서 쓸 수 있다. (닭장 그물이라 부르는 철사는 값이 싸지만, 일부 천적이 뚫고 들어갈 수 있음.) 철사의 면은 토끼장에 쓰이는 J 클립과 함께 자를 수 있다. 닭장이 울타리를 친 텃밭 안에 있으면 구조 없이도 만들 수 있지만, 그렇지 않거나 목초지에 닭장을 두려면 개나 여우 같은 천적으로부터 보호할 강한 구조가 필요하다. (이에 대해서는 다음을 참조. Build an Affordable, Portable and Predator-Proof Chicken Coop.) 닭들을 위해 큰 플라스틱 통을 활용할 수도 있고, 닭들이 흙을 파헤치고 천적으로부터 보호하고자 하면 철조망 마루를 만들면 된다. 


터널과 문을 더한 닭장. 주 닭장에서 이동식 닭장과 함께 두둑으로 닭이 직접 나오도록 용접한 철조망 울타리로 만든 터널과 문을 활용한다. 아래에 나오는 “닭똥을 관리하기 위한 이동식 닭장과 터널의 활용”이란 항목을 보라. 



방사. 이 방법은 닭똥을 붙들지 않는 반면, 닭이 진드기나 기타 해충을 먹게 하는 데에는 좋다. 닭들이 사료보다 좋은 먹이를 찾아다니며 해충을 방제해 주기에 돈이 절약된다. 천적의 공격에 더 노출이 될 수 있는데, 이동식 전기 울타리로도 매의 공격을 막을 수는 없다. 농장의 좋은 개가 있거나 사람이 밖에 있을 때만 닭을 내보내거나 어두워지기 전에 닭들이 닭장으로 알아서 돌아오도록 하면 되기는 한다. 




닭똥을 관리하기 위한 이동식 닭장과 터널의 활용

텃밭에 닭들을 풀어넣으려면, 텃밭의 한쪽이나 여러 면에 길고 영구적인 터널을 설치하여 닭들이 잠을 자는 닭장과 연결시킨다. 이동식 철조망 닭장이 두둑에서 두둑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표준 너비에 맞추어 두둑을 설계하라. 닭들이 영구적인 터널에서 필요에 따라 여닫는 작은 문을 통해서 닭장이 덮여 있는 두둑으로 들어갈 수 있을 것이다. 터널 체계는 천적으로부터 닭을 안전하게 보호하고, 여러 곳에 똥을 쌀 수 있도록 만들어준다. 



자세한 설치방법이 필요하신 분은 원문을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728x90

소농에게 닭은 참으로 유용한 동물이다.

소나 돼지처럼 먹을 걸 많이 들이지 않아도 되고, 그만큼 노동력이 훨씬 덜 들면서 소중한 단백질 공급원인 달걀과 고기를 제공한다.

또한 닭은 왕성한 식욕으로 풀과 해충을 먹어치우는가 하면, 질소질이 풍부한 똥거름을 제공하기도 한다.

농부에게 닭은 하나도 버릴 것이 없는 어여쁜 존재이다.

최근 미국에서는 '뒤뜰 양계(Backyard Chicken)'라는 형태의 양계법이 확산되고 있다. 그 사람들이 닭과 함께 텃밭 농사를 잘 짓는 법까지 고민하며 실천하고 있는가 보다.

어릴 때 시골에 가면 닭들이 자유로이 돌아다니며 먹이를 먹는 모습을 보곤 했다. 어미를 좇아다니는 귀여운 병아리들 하며, 발로 흙을 팍팍 걷어찰 때의 당당한 위용이란 지금 생각해도 놀랍다. 지렁이나 개구리를 던져주면 부리나케 달려와서 어찌나 잘 먹던지...


우리도 이런 방법을 실천하는 사람들이 많아지면 좋겠다. 그들의 경험이 쌓이고 쌓여 다른 사람들에게 널리 퍼지면 참 좋겠다.

---------



닭을 키우는 거의 모든 텃밭농부들이 하는 무서운 이야기가 있다. 날카로운 부리와 강인한 발로 텃밭을 망쳐 놓을 수 있다. 그러나 조금만 신경 쓰면 훨씬 쉽게 달과 함께 농사를 지을 수 있다. 


시애틀 지역의 경관 설계자이자 닭을 방사하는 텃밭(Free-Range Chicken Gardens)의 저자 Jessi Bloom 씨는 행복한 공존을 위해 텃밭에 준비할 것들에 관해 이야기한다. 


첫 번째 고려사항은 공간에 알맞은 적절한 닭의 마릿수이다. "사람들은 공간에 비해 너무 많은 닭을 키웁니다”라고 Bloom 씨는 말한다. 그녀는 작은 도시의 마당이면 3~5마리 이상은 키우지 말고, 좀 더 큰 교외의 부지라도 5~8마리 이상은 사육하지 말기를 권한다. 


Bloom 씨는 “300평의 부지에 30마리의 닭이 있으면 풀어놓지 마세요”라며, “닭들이 다 망쳐 놓을 겁니다” 한다.


필라델피아에서는 불법인 닭 사육을 하는 Linette 씨는 지난해 뒷마당에 6마리의 닭을 들여왔다. 그녀의 부지는 480평으로 충분히 커서, 닭들이 Linette 씨가 보호하길 바라는 식물은 건드리지 않고도 다닐 만큼 공간이 많다. 그럼에도 Linette 씨는 채소 텃밭에는 울타리를 쳐서 재배하는 동안에는 닭들이 들어가지 못하도록 한다. 



울타리가 작물을 보호하기에 알맞지 않으면 간단한 방법으로 수정할 수 있다.




1. 철조망은 친구이다


작은 식물에 둘러친 철조망의 색깔이 식물이 먹을 만큼 자랄 때까지 닭들이 덤비지 못하게 한다.






철조망 구조를 만들기 위해 지주 몇 개를 사용한다. Bloom 씨는 자신의 텃밭이 봄에 환상적이라고 한다. 식물이 어려서 민감할 때 닭들을 쫓으려고 여러 철조망과 장치들이 즐비하기 때문이라고. Linette 씨는 발 높이를 넘지 않는 낮은 철조망 울타리를 사용하여 딸기에 닭들이 덤비지 못하게 한다.



이 정도만 되어도 닭들이 활동할 공간이 넓고 먹을 것이 많기 때문에 울타리를 넘어 작물을 건드리지 않는다. 




2. 무엇이 더 필요한가? 도금 철망도 좋다


철조망보다 더 튼튼한, 이 철망은 새로 심은 씨앗을 보호하는 데 쓸 수도 있다.



사각형으로 자르고, 네 귀퉁이를 또 조금씩 자른다. 그걸 땅에 세울 수 있게 구부리고, 돌멩이 같은 걸로 눌러 놓는다. 사진이 새로 심은 양파의 두둑을 보호하고 있는 모습이다. 닭들이 양파는 잘 안 먹지만, 흙을 파헤치다 새로 심은 모종을 해칠 수 있다.




3. 벽돌과 돌을 활용하라


적극적인 닭은 작은 돌멩이는 날려버릴 수 있지만, 벽돌이나 큰 돌을 식물 주변에 둘러놓으면 그걸 막을 수 있다.






이 방법은 특히 새로 심은 화분에 좋다. 






4. 풀을 활용하라


그렇다, 풀도 작물을 보호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풀을 뽑아 흙이 노출되면 자석에 끌리듯 닭들이 몰려온다. 닭들은 지렁이와 벌레 등을 잡아먹은 다음, 흙에 눕고 흙목욕을 즐긴다. 마늘 같은 튼튼한 작물도 여기에는 못 견디는데, 두둑에 풀을 덮어주는 간단한 방법으로 닭들이 작물을 해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5. 전략적인 파종


Bloom 씨는 닭들이 건드릴 수 없는 좁은 틈에 꽃씨를 심으라고 제안한다. 아래 철조망 사이에 심은 금련화처럼 말이다.





닭이 파헤치거나 쪼을 수 없어 식물이 싹을 틔울 수 있다. 싹이 나면 닭들이 맛을 보려고 몇 번 건드리지만, 마당의 다른 부분처럼 쉽게 건드리지 못한다. 




6. 닭을 위한 식물을 마련하라


덤불과 떨기나무는 닭들이 천적을 피하는 대피처가 될 수 있다.






Linette 씨의 마당에는 닭들이 돌아다니다 위협을 당할 경우 도망갈 덤불이 늘 마련되어 있다. 무더운 날에는 덤불의 그늘에서 오랫동안 휴식을 취하기도 한다. 닭들이 즐길 수 있게 겨울에도 푸르른 나무를 심으면 좋다. 또한 Bloom 씨는 마당에 닭에게 먹일 다양한 딸기를 재배하여 닭을 키우는 데 들어가는 사료값을 줄인다. 그녀는 특정 식물을 추천하지는 않는데, 그게 침입종이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딱총나무 같은 것은 먹이도 되고 대피처도 되기에 좋다고 한다. 블루베리도 닭의 좋은 먹이라고 한다.






닭과 함께 농사짓는 것은 끊임없이 진화하고 있는 중이다. 어떤 체계도 완벽하지 않지만, 몇몇 저렴한 전략이 농사를 더 쉽게 할 수 있다. 






http://modernfarmer.com/2013/06/how-to-chicken-proof-your-garden/















728x90

'농담 > 농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시농부를 위한 염소!  (0) 2013.07.10
마지기는 몇 평인가?  (0) 2013.07.10
인도의 벼농사: 계절풍의 막바지  (0) 2013.07.08
지속가능성에 기여하는 유기농업  (0) 2013.07.08
네팔의 벼농사를 훑어볼까  (0) 2013.07.07


한국의치킨사업현황.pdf



국내 치킨 비즈니스 현황 분석

- 개인사업자 창업 및 영업 실태 위주 -



목 차


Ⅰ. 국내 치킨산업 일반 및 구조

     1. 소비 및 가격 구조

     2. 유통 구조


Ⅱ. 치킨전문점 현황 및 창·폐업 특성 분석

     1. 시장현황 및 수요기반

     2. 창업현황

     3. 매출 및 영업이익

     4. 경쟁강도 분석

     5. 휴·폐업 및 생존기간 분석

     6. 지역별 치킨전문점 현황


Ⅲ. 주요 이슈 및 창업 지원정보

한국의치킨사업현황.pdf
1.7MB
728x90

'곳간 > 문서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 생태계의 보물창고, 둠벙  (0) 2013.05.29
'보농서 역주' 발간  (0) 2013.05.28
방울토마토  (0) 2013.05.25
도시농업의 유형 및 효과  (0) 2013.05.25
서울의 농업 현황  (0) 2013.05.25

과학적 농업이 바꾼 우리의 삶과 닭의 맛


http://archive.org/details/Chickeno1948





728x90

'곳간 > 영상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코넛  (0) 2013.04.17
심토파쇄기  (0) 2013.04.09
물개구리밥을 활용한 자연양계  (0) 2013.04.06
자연농법의 시초 후쿠오카 마사노부  (0) 2013.04.06
살아 있는 풀 덮개를 활용한 지속가능한 농법  (0) 2013.04.0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