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오늘날 중국은 세계 최대의 밀 소비자로서, 국수와 만두, 빵 및 여러 반죽을 만드는 데 밀을 이용한다. 하지만 늘 그랬던 건 아니다.

밀은 신석기 시대가 끝날 무렵인 약 4600년 전 중국 북부 지역으로 들어왔다. 그리고 나의 연구에 의하면그 당시에는 맛이 별로 없었다. 초기에 밀은 기아를 막기 위해 재배한 작물로서, 요리의 기쁨보단 절망의 작물로 취급되었을 것이다. 

중국 북부의 최초 농민들은 주로 조를 재배했다. 가뭄에 강한 이 작은 씨앗의 곡물은 1만1500년 전부터 재배되기 시작해 오늘날 동아시아에서 주로 재배되며, 미국에선 새의 모이로 이용되었다. 역사 기록과 초기 요리법에 기반하여, 연구자들은 수천 년 뒤인 당나라(618-907년) 시대에 밀이 조를 대체하여 이 지역의 주요 작물이 되었다는 사실을 오랫동안 알고 있었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이러한 변화가 왜, 어떻게 발생했는지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오늘날 밀의 장점은 명백하다. 요리의 다양성 말고도, 밀은 더 빨리 자라며 조보다 꾸준히 더 많은 수확량을 올린다. 하지만 고대의 농민들은 처음부터 이런 사실을 알지 못했다. 역사 기록에서 보면, 적어도 당나라 때까지 밀은 일반적으로 조와 똑같은 방식인 죽으로 소비되었다. 그 곡물은 찌거나 통밀로 조리되어 거칠고 입맛에 안 맞는 요리로 만들어졌다. 여러 초기의 저술가들이 밀죽은 "야만인과 농민을 위한" 음식이라고 언급했는데, 아마 극단적인 시기에만 소비되었을 것이다. 


중국 북부의 농민들은 왜 밀을 재배하기 시작했을까? 

그 답을 추적하기 위하여, 나는 2014년 박사 학위논문을 쓰면서 중국 북부의 여러 지역에서 이 작물을 재배하기 시작했을 무렵의 여러 정보를 수집하기 시작했다.

전통적으로 고고학자는 발굴현장에서 곡물의 유물을 찾아 이를 추론했는데, 얼마나 많이 먹었는지가 아니라 실제로 소비할 수 있었는지만을 밝혀냈다. 최근 연구자들은 이를 해결하는 더 직접적인 방법을 알아냈다.인간 유골의 동위원소를 조사하는 것이다. (동위원소는 탄소처럼 원자량이 약간 다른 요소이다. 어떤 동위원소는 방사성이라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붕괴되지만, 다른 동위원소는 안정적이다.) 뼈부터 치아의 발견되는 모든 탄소와 질소의 여러 안정된 동위원소의 비율은 고대인의 식단에 대한  강력한 정보를 전달한다.  

조와 밀 같은 다양한 식물은 서로 다른 화학 경로를 이용해 자라기에, 토양에서 독특한 비율의 안정적인 탄소 동위원소를 포함하고 있다. (이 차이점은 이른바 C3와 C4 식물로 구별된다.) 우리가 먹는 것이기에, 그것들의 특정한 비율의 탄소가 인간의 유골에 통합되어 몇 세기가 지난 뒤에도 검파될 수 있다.

 특히 조는 중국 북부에서 재배된 유일한 주요 C4 작물이라서, 사람들이 주로 조를 먹다가 C3 작물인 밀 같은 다른 걸로 주식을 바꾸면 상대적으로 쉽게 알아낼 수 있다. 

발표된 보고서들을 조사하여 나는 약 9000년 전인 신석기 시대 중반부터 서기 220년 동한 왕조가 망한 뒤까지 약 1200개의 데이터 포인트를 수집했다. 장소는 북서부인 간쑤성부터 동부인 산둥성에 이르는 현대의 8개의 성에 흩어져 있었다.  

나와 동료들은 이 거대한 데이터 세트에서 흥미로운 점을 발견했다. 이들 광대한 연구 지역에 걸쳐 있는 집단이 모두 동시에 독점적이던 조 기반의 식단에서 더 혼합된 식단으로 이동하기 시작했다. 이는 매우 놀라운 이야기이다. 이처럼 광대한 지리적 구역에서 요리법이 갑자기, 그리고 거의 동시에 바뀌려면 단순히 새로운 음식을 갈망했다는 것 이상의 설명이 필요하다. 


이 영상은 고대 세계의 가장 중요한 작물화된 곡식이 7000년에서 3500년 전 어떤 경로로 확산되었는지 보여준다. Javier Ventura/Washington University


한 가지 가능한 설명은 약 4200년 전 발생했던 완신세 사건 3이라 부르는 주요한 기후변화이다. 당시 대륙들의 기후는 춥고 건조해졌다. 예를 들어 지중해 동부와 서아시아 전역에 걸쳐서 강우량이 1/3에서 절반으로 감소하여 사해의 수위가 45m 감소했다. 이러한 "대가뭄"이 전 세계 작물 생산에 혼란을 야기해 메소포타미아부터 인더스 계곡까지 정치적 격변을 불러왔고, 중국의 중앙 평원에서는 신석기 문화가 붕괴되었다. 

이에 더해, 신석기 말기는 전 세계적으로 인구가 빠르게 증가한 시기였다. 인구가 계속 증가하고 작물 수확량이 변동됨에 따라, 중국 북부의 신석기 농민들은 어려움에 빠졌을 것이라 가정하는 건 합리적이다.

밀은 실제로는 조보다 더 많은 물을 필요로 하기에 역사의 건조한 시기에는 좋지 않은 선택으로 보인다. 하지만 밀은 조와 다른 계절에 교대로 파종할 수 있다는 점도 중요하다. 밀은 조를 수확한 뒤에 파종할 수있다. 그해에 조 농사가 망해도 농민들은 아직 구황을 위해 밀을 재배할 수 있었다. 이것이 중국 북부의 사람들이 밀을 재배하기 시작한 가장 큰 이유라고 생각한다. 

이 이야기에는 많은 교훈이 있다. 기후변화는 극단적 날씨부터 해안선 변화까지 항상 예기치 않은 사회의 변화를 불러왔다. 이 사례에서, 중국 북부에서 일어난 완신세 사건 3의 여파는 결국 맛이었다. 오늘날 중국 북부의 사람들은 국수와 만두, 빵 등을 즐긴다. 하지만 그리 좋은 결과로 이어지지 않을 수도 있다. 늘 그런 건 아니다. 

단 하나의 작물에만 주로 의존하는 대규모 단작은 늘 끔찍한 발상이었다. 예를 들어, 아일랜드의 감자 대기근을 생각해보라. 19세기 중반 감자의 치명적 역병이 발생해, 감자에만 의존하던 이 나라에서 약 100만 명이 사망했다. 



1840년대 감자 기근 시기의 아일랜드처럼 먹을거리 공급 문제는 기아와 폭동으로 이어질 수 있다. British Library/Flickr


그러나 과학자들의 경고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미국과 세계 여러 지역의 많은 대규모 농장들은 그들이 의존하는 작물의 숫자가 위험할 정도로 제한되어 있는 것처럼 보인다. 여러 식물 종 -아마 수십에서 수백만 종- 을 식용할 수 있지만, 오늘날에는 약 200종만 재배되며 단 3가지(옥수수, 밀, 벼)가 인류의 열량 대부분을 구성한다. 유엔 식량농업기구에 의하면, 100년 전에 재배되던 작물의 75%는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 현재 일부 지역에서는 조를 포함한 토종 작물을 되살려 지역의 농업을 더 지속가능하게 만들고자 노력하고 있다. 

고대 중국에서 농민들은 더 다양한 농업 체계로 나아가고자 했으며, 이것이 파괴적이었던 사건을 탐색하는 데 도움을 주게 되었다. 고고학과 역사 자료에 의하면, 밀과 벼, 콩, 귀리, 메밀 및 보리도 재배했는데 밀이 더 선호되었다. 

한 가지 완벽한 작물은 없다. 다양성을 높이는 일이 기후가 요동치는 시기에 살아남기 위한 열쇠이다. 우리는 여전히 인위적인 기후변화에 맞서기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하는 한편, 실용적으로 불확실한 미래에 대비하는 게 현명하다. 기후변화로 인한 장래의 먹을거리 스트레스를 막기 위하여, 더 많은 농민들이 편안한곳을 벗어나 요리의 기반을 확장해 갈 수 있는 좋은 시기이다. 


https://www.sapiens.org/archaeology/chinese-farmers/

728x90
728x90

 

한국 사람이 밥을 많이 먹는다는 면에 놀라며 그 기원으로 꼽는 것이 바로 위의 사진이다.

 

그런데 조선 말고도 과거 아일랜드 사람들 역시 엄청난 대식가였다.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


"1845년 아일랜드 성인은 하루 평균 감자 50~80개를 먹었다.


상상이 되는가? 하루에 감자 80개라니... 그냥 평균적으로 하루에 감자 60개를 먹는다고 치면, 한 끼에 20개 정도이다. 이 정도 양이면, 모르긴 몰라도 고봉밥과 맞먹거나 그보다 많을 걸? ‬


작은 알의 감자 20개는 이 정도의 양이다. 이걸 한끼에 다 먹는다고 상상해 보라.



참고로, 지금은 소식으로 유명한 나라 일본도 예외가 아니다. 

그들도 과거엔 대식가였던 것이다!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바람이 분다"라는 만화영화에 나오는 장면을 보자. 딱 봐도 엄청난 밥그릇 크기이다.


다음 대정 7년, 그러니까 다이쇼大正 7년이니 1918년 무렵 쌀 소동 이후 개설된 공설 식당에서 저렴한 가격에 제공하던 식사의 내용을 기록한 자료를 보자. 얼마나 많은 양의 밥을 원했는지 엿볼 수 있다. 




위의 내용을 보면, 한끼에 무려 1홉5작의 쌀로 밥을 지어 제공했단다. 1홉이면 180ml이고, 쌀로 환산하면 무게가 160g 정도이다. 요즘 흔히 쓰는 전기밥솥의 1컵 분량이다. 거기에 5작이 추가되니까, 한끼에 240g의 쌀을 먹은 셈이다. 요즘 전기밥솥 계량컵으로 지은 1인분 반의 밥을 한 사람이 한끼에 먹었다!




아래 일본의 식생활 변화 도표에서도 알 수 있듯이, 근대화의 과정을 거치면서 곡식의 소비량이 대폭 감소하게 된다. 대신 다른 종류의 먹을거리들을 많이 섭취하면서 영양의 균형도 이루고 대식의 문화도 점차 사라지게 되었을 것이다. 그로 인해건강과 긴 수명도 부가적으로 얻게 되었겠지.

 





마지막으로, SBS에서 조선인의 대식과 관련한 이야기를 잘 정리해 놓아 소개한다(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4419515).


탄수화물에만 치중한 식단이라 아무리 많이 먹어도 먹어도 금방 배가 꺼져 허기가 지고, 또 먹을거리 사정이 좋지 않아 먹을 수 있을 때 폭식을 하는 식문화에 대식을 했을 것이라 추정한다.



 


728x90

'농담 > 농-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오스의 화전 농업  (0) 2019.11.21
저수지와 둠벙 지도  (0) 2019.11.20
쌀포대 스탬프  (0) 2019.11.20
호미는 어떻게 되었을까  (0) 2019.11.19
또 하나의 양극화, 도농 격차  (0) 2019.11.15
728x90

아일랜드의 Grow it Yourself 네트워크의 현재 회원은 약 5만 명이다. 


지난해 만든 더블린 옥상텃밭의 거주자인 깃털 씨와 함께 자리한 Andrew Douglas 씨




암탉이 꼬꼬 울며 우리에서 땅을 쫀다. 한 가지 말고는 아무것도 이상한 것이 없다. 닭장이 더블린 시내 중심가에 있는 4층짜리 건물 옥상에 있다. 


그 닭들은 사람들이 작은 공간에서 스스로 식량을 재배하도록 독려하기 위해 만들어진 비영리 전시용 도시농장(Urban Farm)에서 살고 있다.

음향기사 Andrew Douglas 씨는 지난해 Parnell Street에서 떨어진 King’s Inns Street에 있는 Williams & Woods 제과공장을 우연히 찾아낸  몇 년 동안 도시텃밭을 위한 공간을 찾고 있었다. 

현재 옥상은 활동의 벌집이 되었다. 약 160품종의 감자가 용도를 변경시킨 물통에서 재배되고 있다. 이 감자들은 1776년의 어느 날 아일랜드 슬라이고 주의 David Langford가 수집한 토종 감자이다. 

Temple Bar에 있는 Boxty House(감자를 으깨 만든 두꺼운 팬케이크를 굽는 가게) 가 이 프로젝트를 지원하고 있으며, 가을에 수확하면 식당에서 이 감자를 사용할 것이다. 


재활용 용기


주키니, 동부, 양파, 순무는 아시바의 발판으로 만든 곳에 두둑을 지어 재배하는 한편, 재활용 용기에서 딸기와 체리가 무성히 자라고 있다. Paddy O’Kearney 씨는 퇴비를 만들려고 지역 식당에서 나오는 음식물 찌꺼기를 모으고 있으며, 아래층에 계획된 카페가 문을 열면 본격적으로 이걸 내갈 것이다. 

건물 안에서 Douglas 씨는 물고기와 작물을 함께 키우는 실험을 하고 있다. 물고기의 똥이 작물의 거름이 되고, 물고기에게는 채소나 작물의 조각을 주는 체계이다. 

재배하고 있는 채소는 레몬오이, 검은체리토마토, 파인애플 세이지 등이 있다. 

레몬오이

그는 또한 커피 찌꺼기에서 느타리버섯을 재배하기 시작하려고도 하며, 이를 위해 Arthur Guinness 프로젝트의 지원을 알아보고 있다. 

논쟁거리이긴 한데, 그는 곤충농장도 계획한다. “곤충은 고단백이지만 사람들이 꺼려하는 게 큰 문제입니다. 곤충은 세계 곳곳의 토착민들에게 중요한 식단의 일부입니다.”라고 한다. 


귀뚜라미 햄버거


그는 귀뚜라미와 함께 시작하려고 계획하며, 귀뚜라미 햄버거를 기꺼이 손님들에게 제공할 햄버거 가게를 찾아 협력할 수 있길 바라고 있다. 

“우린 사람들이 이에 관해 생각하기 시작하길 바랍니다. 스페인은 큰 곤충농장이 있고, 프랑스는 거대한 곤충농장을 시작하려고 합니다.”

도시농장은 사람들이 스스로 먹을거리를 기르도록 독려하고자 홀로 활동하지 않는다. Grow it Yourself(GIY) 운동은 현재 5만 명의 회원이 있으며, 아일랜드의 워터퍼드에서 Michael Kelly 씨가 시작한 지 4년이 되었다. 

그는 워터퍼드 슈퍼마켓에서 사던 마늘이 중국에서 수입된 것이라는 걸 알고는 스스로 먹을거리를 재배하기 시작했다. 그가 마늘 재배에 어려움을 겪었을 때, 농민들에게서 도움을 얻으려고 찾아보았지만 아무도 찾지 못했다. 


800개의 공동체 먹을거리 단체


현재 800개 이상의 공동체 먹을거리 단체와 GIY 운동을 포함한 프로젝트가 존재한다. 

Kelly 씨는 이번주 영국에서 단체를 시작했고, 5년 안에 20개국에서 100만 명 이상의 스스로 재배하는 농부를 만들어 내는 것이 목표이다.

그는 왜 더 많은 사람들이 현재 스스로 먹을거리를 재배하는지에 대한 몇 가지 이유가 있다고 말한다. 

그는 “우리는 자신이 먹는 먹을거리가 어디에서 오는지 걱정하고, 건강한 먹을거리를 먹고자 하는 경향이 있으며, 식량안보와 지속가능성에 대해 우려하는 사람들 등 거의 최악의 상황에 처해 있다”고 말한다. 

“거기에 불황이 더해지며 절약과 비용 절감에 대한 관심과 시간 여유가 많은 사람, 또한 켈트 호랑이 시기의 사소한 것에 대한 관심 이후 실질적인 것과 근본으로 돌아가려 하는 좀 더 미묘한 감각을 지닌 사람들이 생겼다.”

GIY는 학교에서 “뿌리고 재배한다(Sow and Grow)”라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그는 10만 명의 아이들이 2015년까지 학교에서 스스로 채소를 재배할 것이라 믿는다. 

"언뜻 보기에 아이들이 작은 포트에 씨앗을 심는 건 하찮은 일입니다. 그러나 그들이 어떻게 먹을거리를 생산하는지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며, 새로운 지평이 열립니다”라고 말한다.


http://www.irishtimes.com/news/ireland/irish-news/dublin-rooftop-urban-farm-showcases-a-growing-movement-1.1465783

728x90
728x90

아일랜드의 젊은 농부. 무려 23살부터 농사를 시작했다. 
지금은 새싹채소를 재배하여 아일랜드 곳곳으로 납품... 요즘 한국에서도 식물공장에서 이런 농사를 지으려고 한다는 소식을 들었다.


Darragh Flynn - The Happy Pear Living Foods from Future Farmer Films on Vimeo.



How can you farm without land? Sprout!

Darragh Flynn (27) started the Happy Pear Living Foods Farm 4 years ago in 2009. He now grows wheatgrass and many different types of sprouts, like beans, sunflower, chickpeas, alfafa, leaks, etc. Darragh delivers all over Ireland and shows us that even without land, it is possible to set up a viable farming business, just get a few second-hand truck containers and start!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