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스리랑카 북서부의 Mantai라는 항구도시에서 600-800년 무렵의 것으로 추산되는 포도 씨앗이 발굴되었단다.


이는 당시 유명한 무역항이었던 이곳에서 로마의 상인이 가져왔을지 모를 포도가 재배되었다는 증거일지도 모른다고.


너무나 흥미롭지 않은가.


https://www.sciencemag.org/news/2018/12/ancient-grape-seeds-may-link-sri-lankan-trading-port-roman-world



728x90
728x90





  • Sri Lanka is smarting under a severe drought

  • Dry spell has resulted in 20 per cent shortage in crop yield

  • Government is pushing for alternative crops that require less water





Sri Lanka is in the throes of a possible drought, which could adversely affect its farm output this year, indicate latest updates from the government and international agencies.
 
A 15 per cent reduction in paddy production is expected during the main harvesting season that ended in April due to dry weather conditions, says a report released by the World Food Programme and Sri Lanka’s ministries of economic development and disaster management on 19 May.
 
According to the UN Food and Agriculture Organisation (FAO), the food grain output could be 3.8 million metric tons, nearly 20 per cent lower than that of 2013. This, in fact, is about eight per cent lower than the average harvest recorded in the last five years, says FAO’s latest global information and early warning system on food and agriculture.
 
“The losses are mounting because we have not had any significant rains since last November,” Rajith Punyawardena, chief climatologist, department of agriculture says.
 
“The urgent need is to come up with an integrated national policy that brings together agriculture, water resources, nutrition and healthsectors,” he says.
 
One of the worst-hit regions is the northern province. The province registered a shortfall of whopping 60 per cent as the harvest was mere 112,000 metric tons as against an estimated 300,000 metric tons.
 
“The losses were primarily due to planted area drying out for the lack of water,” Sivapatham Sivakumar, provincial director for agriculture tellsSciDev.Net.  
 
Sivakumar says harvest losses in the northern province have raised fears of deteriorating food security among its poorer sections. The FAO said that April saw rice prices soaring to record levels, 23 per cent higher than a year ago.
 
Officials at Sri Lanka's department of irrigation warn that the drought is likely to extend due to a weaker monsoon due to set in by end-May.
 
“All the major irrigation reservoirs are running well below capacity level, at around 30 or 40 per cent. If the monsoon fails, our advice will be to reduce the harvesting extent,” Badra Kamaladasa, director general, irrigation, says.  
 
The Ministry of Agriculture proposes to use 35 per cent of the 779,000 hectares of paddy-growing area to plant alternative crops such as onions, potatoes and chilies during the dry season between May and August. The government will provide high yield seeds and fertiliser at concessional rates for farmers who are ready to make the switch.
 
Sri Lanka last suffered a similar dry spell between December 2011 and October 2012, which affected an estimated 1.8 million people living in arid parts of the country's northern, eastern and southern provinces; and cut the 2012 rice harvest by seven per cent compared to 2011.

728x90
728x90


Ancient irrigation reservoirs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Sri Lanka’s agriculture and could be even more vital now due to changing weather patterns, new research has found. Thomson Reuters Foundation/Amantha Perera




This time last year, most of Sri Lanka was baking amid a drought that lasted 10 months. Reservoirs had run dry in the main food-growing regions in the north and east, where farmers had seen no rain since the end of 2011.

This year could not be more different. The monsoon season has been in full force since the last week of May, after five months of intermittent but heavy rainfall. Sri Lanka’s main reservoirs - vital for the island’s power production and agriculture - are full to the brim.

The Ceylon Electricity Board said in mid-June that the nine reservoirs driving hydro-power generation are able to meet 92 percent of current electricity supply needs. A year back, their capacity was only around 20 percent.

But government officials are not taking any chances. “You would be surprised to know that not only do we track oil prices (and) projections at the Monetary Board meetings, we also keep track of how much water there is in the reservoirs,” Ajith Nivard Cabraal, governor of Sri Lanka’s Central Bank, recently told journalists.

Cabraal said the bank’s concern was motivated by the significant impact of rainfall on both power generation and agricultural production.

But while the problem of erratic rains may seem relatively new, research by Sri Lankan water experts shows that a workable solution to the vagaries of shifting rain patterns has been around for centuries in the form of ancient irrigation reservoirs, or “tanks” as they are known locally.

Experts at the Colombo-based International Water Management Institute (IWMI) say these tanks – mainly located in the north and east – can be used to store excess water from floods, which is then released during dry spells.

Nishadi Eriyagama, a water resources engineer at the IWMI, said farming regions in the dry zone have traditionally relied on reservoirs and irrigation for crop cultivation.

“It has been the custom from ancient times to store excess rainfall in large and small irrigation ‘tanks’ to be used during the dry season,” she told Thomson Reuters Foundation.

‘CRITICAL TO SURVIVAL’

One example is the Parakarama Samudraya tank in north-central Polonnaruwa District. Spanning an expanse of 20 sq km, it was dug out in the 12th century BC and has an 18 km-long outer wall.

It provides water for most of the district’s crops, according to R. M. Karunaratane, the officer in charge of irrigation.

“When the tank is full, like now, there are few problems in the district. But when it runs dry, we have farmers protesting on the streets, burning tyres,” the official said. Last July, farmers surrounded his office, blaming engineers for their water woes.

As rainfall patterns change, it will be vital to have some way of at least partially controlling the water in the reservoir, he added.

“People don’t understand clearly that we can only release water if we have it in the reservoir. When there is no water, my office is the main target of their anger,” he explained.

There are thousands of such tanks in Sri Lanka, concentrated in the drier north and east. Most are relatively small, serving one or two villages.

K.B. Gunapala, a farmer in north-central Anuradhapura District, said the three tanks that provide water to his village of Tambalagollawe determine the annual harvest.

The tanks fill up during the rainy season, after which the water is used for cultivation. “They are critical to the village’s survival,” Gunapala said. 

RESTORATION NEEDED

When the tanks were constructed, their main purpose was to store water for the dry season. But they can also help control floods and protect crops from flood damage, IWMI’s Eriyagama said.

Nonetheless, only sporadic efforts have been made to restore individual tanks and their irrigation networks, and there has yet to been a major, island-wide rehabilitation effort, Eriyagama added.

The IWMI research, which was carried under the CGIAR Research Programme on Climate Change, Agriculture and Food Security (CCAFS), also found that other methods have also been effective in dealing with shifting rainfall patterns in Sri Lanka, including rain water harvesting.

Sonja Vermeulen, head of research for the CCAFS programme, told Thomson Reuters Foundation the new research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supporting farmers’ efforts to manage climate stresses, despite inconclusive evidence on the impact of more extreme weather trends.

“It is imperative that countries take decisive action on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rather than wait for a global movement take place,” she said.

Vermeulen said the Sri Lankan example shows that local, indigenous knowledge and practices can sometimes be put to good use quickly, rather than waiting for newer technologies that could take years and millions of dollars to develop.


728x90
728x90

"일가친척 8명이 츠나미로 죽었지만 우린 바다를 욕하지 않아요. 지금도 바다에 기대어 살아가고 있어요."  


스리랑카의 소규모 어민들 이야기...




Do Not Blame The Sea from The Perennial Plate on Vimeo.


728x90

'곳간 > 영상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도의 '필요를 위한 씨앗'  (0) 2013.05.27
접목 유격대  (0) 2013.05.19
어머니 나무  (0) 2013.05.11
건강한 돼지 사육  (0) 2013.04.18
코코넛  (0) 2013.04.17
728x90

In Sri Lanka, the coconut is, in a sense, a source of life. Not only it is the main ingredient in most Sri Lankan dishes, but the entire coconut tree — From the roots to the coconut itself to the tips of the leaves — plays a major role in the non-culinary ways of life.  Without the coconut, things in Sri Lanka would be very different. We spent the day with a family of 8 on their coconut plantation outside of Negombo, where they showed us all this fruit (nut?) has to offer.





728x90

'곳간 > 영상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머니 나무  (0) 2013.05.11
건강한 돼지 사육  (0) 2013.04.18
심토파쇄기  (0) 2013.04.09
내일의 닭(1948년)  (0) 2013.04.08
물개구리밥을 활용한 자연양계  (0) 2013.04.06
728x90


스리랑카 Sandamalgama 마을의 우물에서 목욕하는 여인.

 사진: 

Anna Barry-Jester




니카라과 Chichigalpa 근처의 사탕수수밭에서 일하던 남편과 동료들의 사진을 들고 있는 여인. 남편은 만성 신장질환으로 사망했다; 그의 네 아들도 현재 병에 걸렸다. 사진: 

Anna Barry-Jester



니카라과 Chichigalpa 근처의 La Isla 마을에서 잠든 아이를 안고 있는 남자. 그는 알 수 없는 만성 신장질환에 걸렸다. 사진:

Anna Barry-Jester



니카라과 Chichigalpa 근처의 마을에 사는 만성 신장질환으로 아버지가 사망한 아이들이 음식을 포장하려고 나뭇잎을 모은다. 사진: 

Anna Barry-Jester




니카라과 La Isla에 사는 아이들이 근처 냇가에서 놀고 있다. 근처 사탕수수 플랜테이션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은 10년 가까이 농약과 노동환경이 이 지역의 만성 신장질환의 유행에 책임이 있다고 주장했고, 연구자들이 만성 탈수증이 중요한 요인이라는 증거를 찾아냈다. 사진: 

Anna Barry-Jester




중앙아메리카에서 이러한 질병은 태평양 연안으로 6개국의 1130km에 걸쳐 있다. 지난 5년 동안 엘살바도르와 니카라과에서 신장질환은 당뇨병, 에이즈, 백혈병보다 더 많은 사람을 죽였다.

 사진: 

Anna Barry-Jester




니카라과에서 만성 신장질환으로 1시간 전에 사망한 Luis Asavedo(37) 씨. 그의 아내와 9달 된 아이가 임종을 지키고 있다. 사진: 

Anna Barry-Jester




인도 Uddanam에 있는 우물에 비친 아이와 여성 들. 이 지역은 만성 신장질환이 심각한 곳이다. 인도에서 이 질병의 유행은 안드라프라데시 북부의 해안을 따라 특정 지역에서 매우 빈번하게 발생한다. 연구자들은 물이나 토양의 독성 노출 때문이 아닐까 가정하고 있다. 사진: 

Anna Barry-Jester

 




인도에서 만성 신장질환은 주로 캐슈너트와 벼, 코코넛을 주요 작물로 재배하는 지역에서 이상하게 많이 발생한다. 그러나 중앙아메리카와 스리랑카의 비슷한 유행과 달리 하바드와 스토니 브룩 대학의 연구자들은 남성과 여성에게서 거의 비슷하게 발생한다는 걸 알아냈다. 사진: 

Anna Barry-Jester




인도 Vs\isakhapatnam의 Seven Hills 병원에서 신장투석을 받고 있는 Laxmi Narayna 씨. 이 46세의 코코넛 농부는 매주 치료를 받기 위해 1시간 거리를 찾아오는데, 그의 주치의에 따르면 "사람들이 투석을 잘 하지 않는다. 1년 정도만 할 뿐이다"라고 한다. 사진: 

Anna Barry-Jester




Laxmi Narayna 씨가 병원에서 집으로 가는 긴 여정에 나섰다. 그는 1주일에 2번 안드라프라데시 북부의 Gonaputtuga에 있는 그의 마을에서 병원까지 와서 투석 치료를 받는다. 주 정부의 건강보험에서 그의 치료비와 여비의 일부를 책임진다. 그가 지불하는 약간의 비용은 이미 코코넛 농부인 그와 가족에게 부담이다. 사진: 

Anna Barry-Jester




스리랑카 Padayiya에서 자신의 논을 갈고 있는 농부. 최근 정부 보고서는 카드뮴과 비소가 북중부 스리랑카에서 유행하는 만성 신장질환에 일부 책임이 있다고 밝혔다. "신경독성 요소가 있는 화학비료와 특정 농약의 무분별한 사용을 금지하는 것이 신장을 보호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진술한다. 사진: Anna B

arry-Jester




Anuradhapura 종합병원에서 투석 치료를 받는 Wimal Rajarathna 씨. 사진: 

Anna Barry-Jester





스리랑카 정부는 북중부 지역에서 화학물질이 심각한 만성 신장질환의 알 수 없는 유행을 확산시킨다는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농약과 화학비료를 엄격하게 통제하겠다고 천명했다. 

지난 9월, 농지의 수수께끼(Mystery in the Fields)에서 공공의 진실을 위한 센터(Center for Public Integrity)는 스리랑카와 인도, 중앙아메리카에서 만성 신장질환이란 희귀한 질병이 어떻게 농업노동자들을 죽이는지에 대해 조사했다. 각 지역의 과학자들은 전 세계적으로 수만의 사망자를 발생시키는 이러한 질병이 유행하는 원인을 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독성 노출과 연결되어 있다고 의심한다.

2012년 11월에 스리랑카의 Mahinda Rajapaksa 대통령은 국가예산안에 대한 연설에서 농화학제품에 대한 엄중한 단속을 실시하겠다고 공약했다.

대통령은 “농약과 화학비료가 비전염성 질병을 확산시킨다는 견해가 있다”며 신장질환의 유행에 대한 정치적 논란을 피해 완곡하게 언급했다. “따라서 모든 농화학제품의 생산자와 유통업자들이 품질 기준을 준수하도록 규제안을 마련할 것이다.”

과학 전문가와 이익단체와의 국무회의가 열리고 규제에 대한 권고안을 내각에 제출할 것이라고 스리랑카의 농약 등록관 Anura Wijesekera 박사가 말했다.

농화학제품의 수입과 허가를 총괄하는 Wijesekara 박사는 스리랑카가 올해 초 이미 중요한 단계에 이르렀다고 한다: 카드뮴과 비소를 포함한 9가지 독성물질의 검출에 대한 제한을 확립. 이러한 화학물질을 허용된 양보다 많이 함유한 농약과 화학비료는 유통이 금지되었다.

스리랑카가 급속하게 농약을 금지하는 것은 아니다. 

공식 연구에 따르면, 스리랑카 보건부와 세계보건기구는 6월에 중금속인 카드뮴과 비소에 소량이라도 노출되는 것이 알 수 없는 병인으로 인한 만성 신장질환이라 이름을 붙인 질병의 "원인 요소"라고 선언했다. 농민이 농화학물질에 노출되는 것을 줄여야 한다는 세계보건기구의 사전 경고에도 불구하고  2011년 스리랑카 정부는 소량의 비소가 검출된 농약에 대한 일시적 금지를 해제했다고 Center는 보고한다.

Wijesekara 박사는 농약에 포함된 비소의 수준이 너무 낮아 위협이 되지 않기 때문에 해제했다고 한다.

Wijesekara 박사는 현재 자신이 일하는 등록기관에서 농민들이 과다한 양의 농화학물질을 사용하도록 권장하는 농약과 화학비료 생산자들의 홍보를 제한하고 있다고 한다. “그들은 고속 소비재로 농약을 판촉해 왔다”고 Wijesekara 박사는 농약산업에 대해 말한다. 

그러나 스리랑카 정부는 그동안 엄격한 통제에 대한 정책적 기반을 제공하는 과학적 보고서를 발표하지 않았다고 한다.

6월에 WHO와 스리랑카 보건부가 카드뮴과 비소 노출이 만성 신장질환의 원인일 수 있다고 인용했을 때, 그들은 공개적으로 그 증거를 발표하지 않았다. WHO 관계자는 실험결과를 자세히 설명하는 기술보고서를 9월 말에 발표할 것이라고 했다. 그 마감일이 10월 말로 바뀌고, 검토를 위해 스리랑카 보건부에 제출된 보고서가 다시 뒤로 미루어졌다. 12월 20일, 스리랑카 종합 보건서비스 사무총장 Palitha Mahipala 씨는 기술보고서를 공유하자고 CPI 보고자에게 말했지만, WHO는 1월 중순까지 준비할 수 없다고 나타냈다고 한다. 

일부 전문가들은 정부가 진정으로 그 주장을 뒷받침할 증거가 있는지 없는지 의심하고 있다. Wijesekara 박사는 자신이 올해 초 WHO가 정부 관료와 주요 연구자들에게 과학적 결과를 발표하는 비공개 회의에 참석했다고 한다. 그는 WHO가 지적한 원인은 비소보다 카드뮴이었지만, 농화학물질에 대한 노출과 연결된다는 자세한 증거는 공유하지 않았다고 한다. “난 그것이 만성 신장질환의 원인이 된다고 납득할 만한 어떤 과학적 증거도 없다”고 Wijesekara 박사는 말한다.


신장 수령인에 대한 보호


공식 연구가 밀봉된 상태에서, 스리랑카는 북부의 농지를 강타하고 있는 만성 신장질환 환자의 급증을 개선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올가을, 스리랑카의 북중부 주의 주도 Anuradhapura에 있는 국립병원은 환자가 장기생존할 가능성을 높이고자 처음으로 신장 이식을 실시했다. 

Anuradhapura에서 이식을 받을 7명의 환자 가운데 21세의 Sampath Kumarasinghe 씨가 있다 –9월에 센터가 확인한 병이 든 벼농사 농부. Sampath 씨가 9월 25일 이식을 받고 성공적으로 회복중이라고 Anuradhapura 병원 신장 담당의 Rajeewa Dassanayake 박사는 말한다. 

그러나 그의 새로운 신장을 얻는 일은 쉽지 않았다. 

9월에 센터는 Sampath 씨가 W. B. Ajantha라는 사람이 무료로 기증한 신장을 이식받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보고했다.

Dassanayake 박사는 병원은 Ajantha 씨가 여러 환자에게 자신의 신장을 제공하겠다고 한 것을 발견했다고 한다 –미리 소액의 돈을 받고 가족을 위한 숙소도 요구한 것이다. “그는 자신의 신장을 제공하는 척하면서 수백 루피를 요구했다"고 Dassanayake 박사가 Ajantha에 대해 말했다.

Dassanayake 박사와 Sampath 씨는 Ajantha 씨가 Sampath 씨의 가족과 함께 살며 수술 전 몇 주 동안 그들의 지원에 의존했다고 한다. Sampath 씨는 그의 신장을 얻었다. 수술하고 며칠 뒤, Ajantha 씨는 그 지역을 떠났다. 그는 연락이 닿지 않는다. 

최근 Dassanayake 박사는 이를 악용하는 일부 개인과 집단이 등장했다고 한다. 문제를 막기 위해 Dassanayake 박사는 자신의 병원은 오직 불교 승려와 환자의 가족으로부터 기증받은 신장만 허용하고 대금을 받고 신장을 거래하는 건 금지한다고 했다. 그는 신장을 팔려고 거짓으로 형제자매라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고, 신장을 기증하며 가족들 사이에 돈을 주고받는 사례도 있다고 한다. 

"기증자가 없으면 낙담하여 지푸라기라도 잡으려고 한다”고 Dassanayake 박사는 말한다. “신장을 찾으려고 하는 사람들을 돕는 다양한 사람과 조직들이 있지만, 나는 이런 조직의 하나를 통해 신장을 찾았다는 환자를 한 사람도 보지 못했다”고 한다.







원인을 알 수 없는 만성 신장질환의 발생 지도


View CKD incidents in a larger map




http://www.publicintegrity.org/2012/12/28/11985/sri-lanka-new-steps-target-mysterious-kidney-disease#!14

728x90
728x90

에드워드 골드스미스의 취재기

 

 

 

초기 농업은 비생산적이라 치부되기 일쑤다. 하지만 사실 그것은 미래에 가장 희망적인 농업이다. 농민인 무디얀세 테네쿤Mudiyanse Tennekoon 씨는 스리랑카의 전통적인 농촌 생활의 선지자이다. 그는 농사지으며 쿠레네갈라Kurenegala의 작은 마을에 산다. 최근 그는 FAO나 특히 세계은행이 스리랑카에 도입한 집약적인 근대농업 체계의 파괴성과 반생산성을 인식한 사람들 사이에 꽤나 알려져 있다. 그래서 근대농업에 비판적인 두 박식한 남성과 함께 그와 만났다. 한 사람은 국무총리의 아들 두들리 세나나야케의 조카인 우팔리 세나나야케Upali Senanayake 씨, 다른 한 사람은 스리랑카의 전통 삶을 연구하고 있는 공무원 구나세카라Gunasekara 씨이다(에드워드 골드스미스Edward Goldsmith는 “생태주의자Ecoligist”라는 잡지의 편집자이다).

 

에드워드 스미스와 무디얀세 테네쿤 씨.

 

 

 

예전에 사람들은 자급했다

 

골드스미스(이하 G) : 이 지역의 평균적인 농장 크기는 얼마인가요?

테네쿤(이하 T) : 보통 가구에 2500평 이하입니다.

 

G : 자급하고 있습니까?

T : 유감스럽지만 아닙니다. 아버지 대에는 그랬지만, 지금은 소금과 옷뿐만 아니라 전등에 쓸 등유도 사야 합니다.

 

G : 스스로 만들지는 않았습니까?

T : 할머니는 자신과 가족의 옷을 직접 만들었습니다. 마을 뒷산에 있는 땔감을 하고 부대밭을 만들던 숲인 첸나chenna에서 목화를 길렀습니다. 우리는 아직 그러고 있습니다. 게다가 옛날에는 미Mee 나무의 열매에서 추출한 미 오일을 썼기에 등유는 전혀 필요 없었습니다.

 

스리랑카에서 미 나무의 묘목을 심는 영국인 고등판무관(출처 구글).

 

G : 미 오일은 요리에도 자주 쓰나요?

T : 네, 또 약으로도 썼습니다. 코코넛 오일도 그렇구요.

 

G : 인도처럼 현지의 장인들과 옛날처럼 물물교환을 했습니까?

T : 네, 10년 전 마을에서는 도공과 대장장이도 있었습니다. 우리는 식량을 주고 항아리나 도구와 바꾸었습니다. 지금은 마을의 상점에서 이런 것들을 사야 합니다. 게다가 매우 쓸모 있던 점토로 만든 항아리는 이제 구할 수 없습니다.

 

G : 항아리는 주로 무엇을 담는 데 썼나요?

T : 물을 저장하는 데 썼습니다. 왕겨를 채워 그것을 태워 몇 시간 지나 재가 되면 씻어 내고 물을 넣습니다. 이렇게 물을 차갑게 보존했습니다.

 

G : 그거 끝내 주네요. 그런 지식은 아버지가 가르쳐주나요?

T : 물론입니다. 모든 농민은 연구자이자 교사입니다. 그렇지 않으면 농민이 아닙니다.

토지와 기후, 용도에 맞는 300종류 이상의 벼를 재배했다

 

G : 여기에서는 몇 종류의 벼를 재배했나요?

세나나야케(이하 S) : 예전에 스리랑카에서는 280종을 재배했는데, 지금은 15~20종만 남았습니다. 정부의 정책에 의해서 그 이외의 품종은 절멸되어 버렸습니다(D.Dreberg에 따르면 1974년에는 300~400의 벼 품종이 재배되었다<superintendent of school gardens quoted in C. Wright, Glimpses of Ceylon>).

T : 저는 지금 123종의 붉은벼를 기억하고 있는데, 남아 있는 건 겨우 3~4종뿐입니다.

 

G : 이러한 품종에는 어떤 차이가 있나요?

T : 먼저 우리는 두 번의 농사철에 맞는 다른 품종이 필요합니다. 북동 계절풍과 관련된 마하Maha와 남서 계절풍과 관련된 야라Yala라는 두 농사철이 있지요. 마하 기간에는 ‘4개월’이라 부르는 품종을 심습니다. 그 이름처럼 자라는 데 4개월 걸립니다. 야라 기간에는 ‘3개월’이란 품종을 심습니다. 마하 기간의 품종에는 갈색과 흰색의 무룬가카얌Murungakayam, 웰라 일란가리야Wella illangaliya, 혼다라와라Hondarawara, 간가라Gangala, 베루위Beruwee가 있습니다. 야라 기간의 품종에는 다하나라Dahanala, 콕칼리Kokkali, 칸니 무룬가Kanni Murunga, 파츠하 페루말Pachha Perumal, 쿠루위Kuruwee, 수반델Suvandel이 기억납니다. 또 ‘6~8개월’이란 품종인 마위Mawee도 길렀습니다.

 

G : 마위는 무엇인가요?

T : 그건 승려를 위한 겁니다. 불교의 승려는 정오 이후에는 음식을 먹지 않아서, 다음날 아침까지 몸을 유지하려면 영양가 높은 음식이 필요합니다. 마위는 매우 영양가가 높고, 단백질 함량도 높습니다. 그것이 우리가 재배한 까닭입니다.

 

G : 그밖에 어떤 품종이 있었나요?

T : 아기 엄마를 위한 헨나티Heenati를 길렀습니다. 지방과 당분이 많아 젖이 잘 나오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두 농사철에도 그것을 길렀습니다. 또 논에서 일하는 남자를 위해서는 탄수화물이 많아 힘이 나기에 칸니 무룬가를 길렀습니다. 그것은 전통 의식에 쓰는 우유를 만드는 데에도 쓰였습니다. 수반델은 독특한 향 때문에 길렀습니다.

이러한 다양한 품종의 일부는 특히 논에 물이 충분할 때 길렀습니다. 반면 물이 별로 없을 때에는 다른 품종을 썼습니다. 물이 많은 곳에 쓰던 품종을 구델Goodel 또는 고다Goda라 부르고, 뒤의 것은 마다위Madawee 또는 알위Alwee라고 합니다. 어떤 품종은 특히 질퍽한 곳에 알맞은 게 있고, 또 진흙이 적은 고지대에 알맞은 품종도 있었습니다. 또 아주 기름진 흙에 필요한 품종도 있고, 매우 척박한 흙에서도 잘 자라는 품종도 있었습니다. 그리고 어떤 품종은 다른 품종보다 해충에 강해서 전통적인 해충 방제법이 실패했을 때에는 다른 품종보다 그걸 심었습니다.

새를 위한 벼농사, 새는 그것을 알고 있다

 

G : 논의 해충을 방제하는 전통적인 방법은 무엇인가요?

T : 해충은 오늘날보다 훨씬 적었습니다. 하나는 토종 벼는 줄기가 길어 바람에 날려서 곤충이 줄기에 붙어 있기가 어려웠습니다. 요즘 나오는 하이브리드 품종은 줄기가 짧고 훨씬 단단하여 해충이 붙어 있기 쉽습니다. 또 신품종 벼와 달리 토종은 잎이 커서 늘어지며 그늘을 만들어 풀이 자라는 것도 막았습니다. 벼는 특히 생육기 중에 짧지만 결정적인 기간인 약 2주일(이삭이 패고 나서 약 2주일의 물알들 때) 동안 해충을 예방해야 합니다. 이 기간에는 가족 모두가 경계 태세를 취해 어떠한 비상사태에도 대처할 준비를 했습니다. 이것이 우리 작물을 보호하기 위한 핵심이었습니다. 그리고 이 시기에 늘 하던 일은 다럭daluk이란 선인장 수액을 논에 넣는 것입니다. 이것은 어떤 곤충을 물리치는 데 매우 효과적이었습니다.

벼가 누렇게 물들면, 우리는 알곡이 생기기 시작할 때까지 논의 물꼬에 대나무 잎을 묻었습니다. 이 단계(물알들 때)에 알곡은 아직 거의 액체입니다. 그래서 곤충에게서 벼를 보호하려고 승려가 버린 옷을 구해다가, 그것을 코코넛 오일에 담가서 심지를 만듭니다. 그 다음 그걸 논의 이곳저곳에 불을 밝혀 놓지요. 승려의 옷에는 밝은 노란색 채소의 염료가 포함되어, 그걸 태울 때 빛과 함께 해충을 물리치는 매우 강한 냄새가 납니다. 또 다른 장치는 여기에서 자라는 덩굴식물의 잎을 부수어 가루를 내서 액즙을 만들어 논의 물꼬에 붓곤 했습니다. 이 액즙은 물에 떠서 벼의 둘레에 붙는데, 그것은 결정적인 2주일 동안 벼를 먹는 해충인 고드웰라Godwella를 죽이는 효과가 있습니다.

또 우리는 논의 네 귀퉁이에 마크라Makra 잎을 모아서 말린 걸 층층이 쌓았습니다. 또 거기에는 카두라Kadura의 나뭇가지도 심었습니다. 그것은 논의 벌레를 끌어 모으는 코코넛 등불의 받침으로 썼습니다. 또 점성학으로 점을 쳐 가장 좋은 날을 정해 볍씨를 심었습니다. 저는 이것도 해충의 침입을 막는 데 도움이 되었다고 확신합니다.

이것과는 별도로 하던 일은, 강바닥에서 모래를 긁어모아 논과 관개수로에 뿌렸습니다. 이것도 효과가 있다고 확신합니다. 또 바라밀에서 끌어낸 매우 끈끈한 물질로 긴 밧줄을 만들어, 아이들이 논을 가로질러 줄을 질질 끌면 논의 벌레가 거기에 달라붙습니다. 그게 아니면 둠말라Dummala라고 부르는 나무의 진을 스며들게 한 여러 헝겊 조각을 묶어서 이걸 끌고 다녔습니다. 피노비아Pinovia란 특별한 도구를 손에 든 아이들이 논에 들어가 수면에 있는 벌레를 잡기도 했습니다.

S : 이 모든 것을 통해 우리는 매우 복잡한 농업 형태가 가능하려면 온 가족의 협동이 필요하다는 점을 깨달았습니다. 개발의 여파로 가족공동체가 파괴되면서 세대가 끊기고, 그것을 실천할 방법이 사라졌습니다. 서양에서 행해지는 매우 파괴적인 근대농업에 의지하는 수밖에 방법이 없습니다.

T : 그렇습니다.

 

G : 서양에서는 그런 방법을 ‘생물 방제’라 하는데, 당신은 그것을 했던 겁니까?

T : 네, 사실입니다. 가장 효과적인 해충 방제법의 하나는 코코넛 껍데기를 부수어 논의 네 귀퉁이에 뿌리는 겁니다. 이것은 데말리츠츠Demalichch 또는 일곱 자매라 불리는 회갈색 새를 불러옵니다. 새는 부수어진 코코넛을 먹거나 논의 해충도 잡아먹습니다. 특히 가장 중요한 2주일 동안 벼를 먹는 벌레인 고드웰라를 잡아먹지요.

 

G : 해충 방제를 위한 전통 의식이 있나요?

T : 우유를 끓여서 흘러넘치게 하는 의식이 있었습니다. ‘우유가 항아리에서 흘러 나온다’는 것을 뜻하는 ‘키리우투루네와kiriuturunewa’라고 불렀습니다. 논의 주요 해충인 벼멸구에 매우 효과적이라고 여겼습니다. 또 해충을 물리치는 데에 매우 효과가 있다고 여겨진 다른 의식은, 논 한가운데에 장식을 단 장대를 꽂는 것입니다.

 

G 설치류는 어떤가요? 그게 옛날에도 문제였나요?

T : 쥐를 잡는 데에는 미Mee 나무의 동쪽에서 캔 뿌리의 네 조각을 묻고서, 그걸 논의 네 귀퉁이에서 태웠습니다. 그렇게 하면 쥐는 잘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G : 새는 어떤가요.

T : 각 논의 농사가 끝나는 쿠룰루 팔루와kurulu paluwa라는 시기에 새를 위해 조그만 부분에 벼를 길러서 잘 대처했습니다.

 

G : 그런데 어떻게 새가 그 벼가 자기 것인지 알았나요?

T : 우리는 몇 천 년 동안 이 일을 했습니다. 새에게 어느 것이 자신의 논이고, 어느 것이 우리 인간의 논인지 가르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이 있었습니다. 물론 새들은 좀처럼 우리의 논 지역에 침입하지 않았지만, 침입하더라도 벼의 해충이나 ‘고드웰라’를 먹거나 아이들이 내쫓거나 했습니다.

S : 마법 같은 해충 방제법은 없습니다. 우리 농민은 모든 해충을 피할 수 있는 ‘기적의 품종’이나 ‘기적의 화학물질’을 팔려고 하는 서양의 과학자를 믿을 만큼 어리석지 않습니다. 산업사회가 붕괴되고 서양의 과학자들이 사라진 훨씬 뒤에도 논의 해충은 주변에 있겠죠. 우리는 다양한 방법으로 해충들과 함께 살며 그 약탈을 조절해야 합니다. 각각의 방법은 조그만 기여밖에 하지 않을지도 모릅니다. 그것을 위해 필요한 지식은 아버지에게서 아이에게로 이어질 겁니다. 아이들을 도시의 학교에 보내 당신의 서양 과학적인 미신을 가르치지 않을 때에만 이 일이 가능합니다. 또한 온 가족이 완전히 협동할 때에만 가능합니다. 작업한 시간마다 임금을 줘야 하는 종업원으로는 이러한 협동을 결코 달성할 수 없습니다.

 

 

질소고정 나무와 과일박쥐의 똥이 거름

 

G : 논의 땅심은 어떻게 유지합니까?

A : 매우 많은 방법을 썼습니다. 하나는 논에 미 나무를 심는 것입니다. 미는 콩과식물로, 뿌리혹박테리아가 질소를 고정합니다. 이전에는 1헥타르에 20그루를 심었습니다. 잎에도 질소가 많은데 그 아래에 쌓여 덮였습니다. 또 매우 흥미로운 것은 과일박쥐가 미 나무의 열매를 좋아해 과실이 익을 때에는 엄청나게 모인다는 겁니다. 그 결과 질소를 많이 함유한 박쥐의 똥도 중요한 거름이 되었습니다. 또 첫비(Akwassa) 전에 볍씨를 심어 질소를 얻었습니다. 아시다시피 이러한 비에는 많은 질소가 함유되어 있습니다.

또 우리는 쏘라Thora, 안다나Andana, 히리야Hiriya, 니디쿰바Nidikumba, 필라Pila라고 부르는 수확철 사이에 여러 콩과의 풀이 논에서 자라도록 했습니다. 그것들은 논의 옆이나 위에 자리한 작은 구역의 놔두는 땅인 필레와스Pillewas에서 자랍니다. 콩과의 풀씨는 필레와스에서 오는 것이기에 우리는 그곳에서 농사짓지 않았습니다. 또 그곳은 쟁기질에 부리는 물소가 쉬는 곳도 됩니다. 물소의 똥은 비가 내리면 아래쪽의 논으로 흘러와 이것도 거름이 되었습니다. 또 우리가 똥을 누거나 오줌을 누는 곳도 필레와스에 자라는 떨기나무의 그늘입니다. 이것도 땅심을 높이는 데 기여했습니다. 물론 현재는 근대적인 개발로 논의 면적을 늘렸기에 필레와스도 농지가 되어 버렸습니다. 그것이 결과적으로 땅심의 저하로 이어졌습니다.

또 이미 말했듯이 전통적인 벼 품종은 줄기가 길어 지금처럼 줄기가 짧은 품종보다 논에 돌려주는 볏짚이 많았습니다. 또한 중요한 것은 각 마을의 뒷산에는 정글이 우거지고, 거기에서 ‘저수지’로 흘러와 논에 물을 댈 때 쓰는 물이 흘렀습니다. 정글이 주는 것은 그것만이 아니라 홍수가 나면 논으로 흘러오는 흙도 있었습니다.

이 모든 방법을 써서 우리는 땅의 힘을 유지했습니다. 그것들이 기능해야지 그렇지 않으면 농사를 지을 수 없지요.

 

 

근대 보급(하이브리드) 품종은 가뭄에 약하다. 수확량이 늘어난 것도 수분이 많을 뿐

 

G : 화학비료는 쓰려고 했습니까?

T : 네, 이 몇 년은 화학비료가 필요한 하이브리드 벼를 재배했기에 그래야 했습니다.

 

G : 쌀에는 어떤 영향이 있습니까?

T : 제 논은 1200평입니다. 풍년일 때에는 2800kg을 생산합니다. 우리 가족이 1년에 2100kg을 소비하기에 풍년일 때에는 남습니다. 문제는 우리가 자급적이지 않기 때문에 더 많은 잉여물이 필요하다는 점입니다. 아마 제 아버지 대에는 필요한 것이 적어서 논의 생산력도 적었을 겁니다. 또 그는 매우 많은 품종을 심었기에 해마다 수요를 충분히 만족시킬 만큼 생산했을 겁니다. 우리가 문제가 있는 해에 맞부딪쳐도 어떤 품종은 잘 자랐습니다. 이러한 다양한 품종은 현재 심고 있는 하이브리드 품종만큼 가혹한 상태에 취약하지 않았습니다. 가뭄이 나면 하이브리드 벼는 말라 버립니다. 지금 해마다 가뭄이 지독해지고 있습니다. 누구나 알다시피 정글이 사라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또 다른 문제는 하이브리드 벼는 보존하기 어렵다는 점입니다. 갈무리해 놓으면 2~3개월 뒤에는 곰팡이가 핍니다.

 

G : 토종은 얼마나 보존하나요?

T : 적어도 3년은 갑니다.

구나세카라 : 저는 아버지가 아직 저장고에 3년 전의 쌀이 있는데 어머니가 햅쌀로 밥을 짓는다고 뭐라 하시던 일이 기억납니다. 보관 방법도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쌀은 쥐가 들지 않는 대에 놓인 커다란 흙항아리에 보관했습니다. 항아리는 숨구멍이 있어서 쌀이 숨을 쉬고 서늘하게 있었습니다. 항아리는 라임 잎으로 안을 대고, 카라Kara의 잎도 해충을 쫓는 데 유용했습니다.

 

G : 근대적인 하이브리드 벼의 보관성이 나쁜 것은 수분 함유량이 많기 때문입니다. 화학비료를 쓰면 생산물의 무게는 늘지만, 이는 주로 수분 함량 때문입니다. 만약 말려서 재면 비료를 쓰지 않는 경우와 거의 같은 무게라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유럽에서 두 연구를 통해 제3세계의 저장 문제는 주로 이 늘어난 수분 함량 때문이라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하나는 서섹스Sussex대학, 다른 하나는 UNEP에서 실시했습니다.

T : 어떤 경우 하이브리드 밀은 밀가루를 만들어 먹어도 아무 맛이 없습니다. 이런 모든 이유 때문에 저는 하이브리드 벼농사를 그만두고 다시 토종으로 농사지을 계획입니다. 허나 문제는 씨앗을 찾는 일인데, 우리는 서로 전통농업의 체계로 돌아가는 걸 도울 수 있도록 현지의 농민들을 하나로 모으고 있습니다.

옛날 체계에는 다른 이점도 있습니다. 이제는 생산할 수 없는 다양한 먹을거리를 예전에는 생산했다는 점입니다.

물고기가 없어졌기에 말라리아가 늘었다

 

G : 예를 들면 어떤 것인가요?

T : 먼저 예전에는 바울루Baulu, 위라Weera, 바라밀, 힘부투Himbutu, 우드 애플Wood Apple, 히말라야 야생배와 아보카도 등 많은 먹을거리를 구하려고 자주 정글에 갔습니다. 지금은 정글이 벌목되어서 이제는 그런 먹을거리를 구할 수 없습니다. 정글을 재생해야 합니다.

또 예전에는 시내, 저수지, 물을 채운 논에서 수많은 물고기를 잡았습니다. 룰라Lula, 카와탸Kawatya, 하다야Hadaya, 아라Ara 등의 물고기는 말라 버린 못에서도 살았습니다. 적어도 이 지역에서 이것들은 대부분 사라지고, 정부가 아프리카에서 들여온 틸라피아Tillapia에게 먹혀 버립니다. 정부는 틸라피아는 식물만 먹는다고 주장하지만 사실이 아닙니다. 다른 것들, 특히 논에 사는 물고기는 농약의 독으로 죽었습니다. 어떤 물고기도 더 이상 살지 않기에 말라리아를 전염시키는 모기 유충이 현재 건기에도 살아남습니다. 그 결과 말라리아가 이전보다 훨씬 심각한 문제가 되었습니다. 또 저수지에서 번식하던 룰라는 피를 만드는 기능이 있어 늘 임산부에게 먹이던 가치 있는 물고기였습니다. 저수지에서 잡을 수 있던 다른 물고기로는 로랄레Lorale, 페티야Petiya, 히리카나야Hirikanaya, 와라야Walaya, 안다Anda, 안쿠타Ankutta도 있었습니다. 특히 코랄레Korale는 매우 맛있는 물고기였습니다. 지금 우리는 단지 틸라피아만 있을 뿐입니다. 나쁘지는 않지만 모든 토종 물고기를 대체할 수는 없습니다. 토종 물고기에는 모두 특별한 용도가 있습니다. 틸라피아는 논에는 넣지 않고 저수지에서만 서식합니다. 이 변화로 우리의 식사와 인생도 눈에 띄게 빈한해졌습니다.

 

우드 애플.

 

 

 

부대밭 농업이 부정되었다

 

G : 그밖에 어떤 먹을거리를 구할 수 있었나요?

T : 많은 식물성 먹을거리를 저수지에서 구했습니다. 예를 들면 연밥, 일종의 연의 씨앗입니다. 또 연의 푸른 줄기도 먹었습니다. 게다가 저수지에서는 연근도 자랐고, 카케티의 뿌리로 가루도 만들고, 망고·바나나·코코넛·바라밀·후추·병아리콩과 콩나물 등도 구했습니다. 아직 어느 정도는 재배하지만 그것들은 옛날 것이 아닙니다.

서양에서는 부정적인데, 우리는 첸나chenna나 부대밭을 잊어서는 안 됩니다. 그것은 논농사에 맞지 않는 마을 뒷산에서 이루어졌습니다. 몇 년 농사지은 뒤 그곳을 버리면 정글이 재생하는 데에 10~14년이 지나면 회복되었습니다. 각 가족은 약 600평 정도 농사지었는데, 그곳은 사유지가 아닌 마을 공유지였습니다. 우리가 거기에서 기른 주요 작물은 조, 쿠루켄Kuruken 외에 건조 곡류였습니다. 요즘은 인구가 늘어나 그 주기가 정글이 완전히 화복할 수 없는 4~5년으로 짧아졌습니다. 현재 첸나 재배는 정부에서 장려하지 않고, 예전에 이 목적으로 쓰던 대부분의 땅은 그에 적합하지 않게 영구적으로 농사짓게 되었습니다.

 

바라밀.

 

 

말라리아의 전통적인 특효약을 정부가 금지했다

 

G : 실제로 모든 전통식에는 약효도 있었다고 생각하는데, 효과적인 말라리아 전통요법도 있었나요?

T : 매우 효과적인 것이 있었습니다. 보통 알려져 있듯이 반자Banja나 간자-마리주아나Ganja-marijuana를 씁니다. 이것은 가장 중요한 약품의 하나로, 예전에는 ‘온 세계에 이길 수 있는 잎’이라고 불릴 정도로 뛰어난 약효가 있었습니다. 우리는 그것을 가루로 내 홍차처럼 우려서 자게리jaggery(Kittul palm으로 만든 설탕)를 넣습니다. 그것은 말라리아에 유일하게 효과적이었는데, 해충에도 유효했습니다. 또 피에 흡수되는 시간을 줄이려고 우리는 다른 먹을거리와 섞어서 그것을 먹기도 했습니다. 벌꿀에도 같은 효과가 있습니다.

구나세카라 : 16세기에 스리랑카에 난파되어 왕의 죄수로 17년 동안 지낸 영국인 로버트 녹스Robert Knox는 반자를 실론의 말라리아 요법이라 불렀습니다. 그 식물은 ‘세 세계의 지배자’라고 불렸습니다.

 

G : 약용으로 아직도 반자를 씁니까?

T : 아니요. 지금은 정부에서 금지했습니다.

환경에 맞지 않는 일본의 모내기 기술을 정부가 강제하다

 

G : 어린모일 때 모내기하여 수확량을 늘린다고 하는데, 이것을 하려고 합니까?

T : 정부에서는 그것을 강제하려고 합니다. 그들은 이 기술을 일본인에게 배웠습니다. 일본의 벼농사 지역 대부분에는 보통 3주일 정도 이어서 서리가 내리는 시기가 있습니다. 그때 벼가 논에 있으면 손상을 입습니다. 그래서 일본인은 온실 안에서 씨앗을 심어 서리로부터 보호하고, 논에 모내기를 하는 겁니다. 그렇지만 스리랑카에서는 모내기한 뒤에 모가 아프다는 걸 알면 회복에는 최대 2주일이 걸립니다. 이에 대응하는 유일한 방법은 화학비료를 쓰는 것이고, 약한 벼의 해충에게는 농약을 뿌리는 것입니다. 모내기에는 많은 시간이 걸리고, 첸나 농사나 저수지에서 낚시하는 등 다른 활동을 방해합니다. 정부에서는 두그루짓기가 아닌 세그루짓기를 해야 한다고 열성입니다. 정부의 주장은 근대농법에 따를 때 가능한데, 벼멸구가 영구히 서식할 수 있는 곳을 만든다는 것은 말할 것도 없고, 많은 시간이 걸리며 사회생활을 포함하여 우리의 여가 활동에 참견하는 셈입니다.

 

 

트랙터는 땅심을 저하시키고, 실업을 늘린다

 

G : 트랙터를 쓰려고 했습니까?

T : 저는 가지고 있지 않지만 많은 농민이 쓰고 있습니다. 그것은 물소만큼 좋지 않습니다. 한 쌍의 물소는 약 900kg의 무게이고, 그 발은 논의 흙을 밟는 데에 알맞은 모양입니다. 그 결과 논에는 물이 빠지는 걸 줄이는 점토와 딱딱한 표면이 형성됩니다. 한편으로 진흙 위쪽을 휘저어 무르게 합니다.

물소는 1년에 약 680kg의 똥을 싸고, 오줌도 많이 쌉니다. 모두 엄청 땅심에 공헌합니다. 한편, 트랙터는 논에는 너무 무겁습니다. 트랙터가 지나간 곳은 점토층이 파괴되어 물이 지하로 침투됩니다. 트랙터를 쓰면 대량의 물이 필요한데, 오늘날 같은 상황에서 사용할 수 없게 될 겁니다. 또 흙을 뒤섞어서 가벼운 유기물이 표면에 떠올라 홍수 때 떠내려가 버립니다. 그래서 트랙터를 쓰면 땅심의 저하로 이어지는 겁니다. 트랙터는 똥이나 오줌도 싸지 않고, 흙을 만드는 데에는 전혀 공헌하지 않는 것이라고까지 말할 수 있습니다. 우리의 식사에 매우 중요한 우유와 기ghee(불순물을 뺀 탈지유), 커드curd도 만들지 못합니다. 덧붙여 말하자면, 그것은 번도 못합니다. 한 대가 죽으면 다른 트랙터를 사와야 합니다.

물론 트랙터는 노동력을 절감시키고 늘 얘기하지만, 저의 직업은 늘 논밭에 나가야 하는 농업입니다. 그것이 저의 삶입니다. 물론 저는 하루 종일 자고 싶지도, 이웃과 한담을 나누는 데에 시간을 허비하고 싶지도 않습니다. 아무튼 이렇게 높은 실업률의 나라에서 노동 절약의 핵심이 무엇인가요. 옛날에 노동 절약 장치는 생각보다 적었습니다. 가족과 지역사회가 온전하여, 충분한 사람들이 쟁기질, 씨뿌리기, 수확, 저수지 유지에 나섰습니다.

저수지 부흥에는 전통 문화의 부흥도 빠질 수 없다

S : 만약 그런 협동이 없었다면 저수지를 유지하지 못했을 것이고, 아누라다푸라Anuradhapura나 폴로나루와Polonaruwa 문명도 존재하지 않았겠지요. 어쩌면 현 인구와 필적하는 1500만 명이란 인구도 유지할 수 있었을지 모릅니다.

 

G : 정부는 지금 옛 관개 체계를 복구하려 하지는 않나요?

세나나야케 : 그들은 세계은행의 원조로 많은 저수지를 복구했습니다. 하지만 큰 저수지만 그렇고, 그것만으로는 부족합니다. 큰 저수지는 마을의 작은 저수지가 침전물로 막히는 경우에만 유용합니다. 그것들을 유지하는 것이 관개 당국의 일인데, 관료 제도로는 그럴 수 없습니다. 만약 마을의 사회구조가 붕괴된다면 침전물로 막힐 겁니다. 전통농업을 회복하고 싶다면 먼저 사회생활과 문화를 회복해야 합니다.

T : 전적으로 찬성합니다. 복구해야 하는 것은 저수지가 아니라 모든 저수지 농사의 체계입니다. 관료는 그것을 할 수 없습니다. 5개 유형의 저수지가 있었습니다. 먼저 마을의 위에는 정글에 파 놓은 숲 저수지가 있었습니다. 그것은 관개가 아니라 정글에 사는 야생 동물에게 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몇 천 년이나 걸려서 동물들은 그것이 자신의 것임을 배웠고, 물을 구하려 마을에 내려와 농업을 방해하지 않았습니다.

두 번째 저수지는 산의 저수지입니다. 그곳의 목적은 운하가 아니라 첸나에서 농사짓는 물을 공급하는 것이었습니다.

세 번째는 포타 웨팅PPota Wetie으로 알려진 모래막이 저수지입니다. 그것은 쉽게 준설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네 번째는 저장용 저수지로서 보통 그것은 2개가 같이 있어 쌍둥이 저수지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곳은 차례대로 쓰여서 한쪽이 유지되는 동안 다른 하나가 쓰였습니다. 이것은 수많은 마을 저수지로 이어졌습니다.

S : 이러한 저수지는 전통 농촌에 꼭 필요한 역할을 담당했습니다. 우리는 사원이나 논도 없는 건조한 지역의 저수지가 없는 마을은 상상할 수도 없습니다. 사실 마을의 세 가지 기본 구성요소는 사원(불사리탑), 논(Kumbura), 저수지(Wewa)였습니다. 물론 테네콘 씨가 말했듯이, 그것 말고도 중요한 요소가 있었습니다. 위쪽의 정글, 채소밭과 첸나 농사가 이루어진 떨기나무숲입니다.

T : 물론입니다.

 

G : 전통적인 마을은 어떠했습니까?

T : 집들을 매우 가깝게 붙여서 지었습니다. 이렇게 하여 귀중한 땅을 최소한으로 차지하도록 했습니다. 이 배열은 마을의 빠질 수 없는 협동을 유지하도록 했습니다. 예를 들면 한 여성이 여러 이웃의 아이를 맡았습니다. 작물 수확과 저수지를 유지하는 등 많은 사람이 필요할 때 이것은 중요했습니다.

 

G : 저수지를 유지하는 조직은 어떻게 되나요?

T : 그것은 왕의 권한인 라자카리야Rajakariya 봉사의 일부였습니다. 누구나 1년에 40일은 이 봉사를 해야 했습니다. 그렇지만 이것은 왕의 개인적인 욕심 아니라 지역사회 전체를 위해 해야 하는 일이었습니다.

구나세카라 : 실제로 어떤 왕은 라자카리야의 일이라며 캔디Kandy에서 자신의 왕궁 정면에 있는 인공 호수의 진흙을 치우라고 시켰는데, 사람들이 ‘이는 지역사회의 일이 아니다’라며 그것을 거부했습니다. 그것은 왕의 개인적인 책임이라 개별적으로 처리해야 했습니다.

S : 물론 영국인들은 라자카리야의 완전한 원칙을 오해하여, 학정이라 여기고 캔디의 봉건적인 과거의 유물이라며 철폐시켰습니다. 이는 영국인이 지금까지 한 일 가운데 가장 파괴적인 일의 하나였습니다. 이 나라에서 협동의 원칙을 파괴한 겁니다. 다행스럽게도 그것이 완전히 파괴되지 않고 초보적인 모양으로 남아 있습니다. 마을 사람들은 공익을 위하여 아직도 1년에 14일은 봉사하고 있습니다. 그것은 1970년에 관개 당국이 최종적으로 폐지한 관습입니다. 관료들은 마을 사람들이 협동하는 것을 인정하지 않았지요. 그것은 봉사를 위한 수요를 감소시켰습니다. 만약 라자카리야 체계가 여전히 기능하고 있다면, 관개 당국의 관료들은 전혀 필요 없을 겁니다. 물론 지금은 저수지를 유지하는 것이 그들의 책무이지만, 그에 대해서 그들은 아무것도 하지 않습니다.

 

G : 저에게 말한 모든 이야기를 통해 서양식 기술 농업의 모든 선물을 완전히 거절하는 것이라 해석해도 좋습니까?

T : 그렇습니다.

 

G : 옛 농민들의 전통농법을 좋아하는 거네요.

T : 네, 좋아합니다만 모든 여건이 가능하지 않게 만들고 있습니다. 공식적인 관점으로 보면, 저는 ‘자급 농민’이기에 가난합니다. 서양식 교육도 받지 않아서 무교육자입니다. 특히 저의 모든 지식, 전통과 문화는 계량화할 수 없습니다. 정규 경제로도 다룰 수 없기에 실업자라고 합니다. 저는 시장에 공헌하고 있지 않으며, 거지라고까지 불렸습니다.

 

 

스리랑카는 과거로 돌아가야 한다

 

S : 이 모든 것이 금세 바뀔 거예요. 당신이 모범이 되어 우리의 전통을 배우려고 젊은이들이 모일 겁니다. 지금의 경향은 지속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문제는 감당할 수 없을 만큼 커지고 있습니다. 플랜테이션을 계속하려고 정글을 모조리 베어 사라지고 있습니다. 전례가 없는 속도로 토양침식이 늘어나고, 저수지는 진흙으로 틀어 막히고 있습니다. 모래막이 저수지나 쌍둥이 저수지, 마을의 저수지를 유지할 사람은 아무도 없고, 완전히 침전물로 저수지가 막힌 마을도 존재합니다. 당장은 누구나 시내와 도시로 이주하려 합니다. 현재 콜롬보에는 10년 전에는 없었던 커다란 빈민가가 있습니다. 지금의 경향이 계속되면 콜롬보는 캘커타처럼 되어 버리겠지요. 사람들은 자신의 식량을 시장경제에 의존하게 되고, 그 가격은 오르고 있습니다. 정부는 사람들을 먹이는 일보다 수출하는 돈벌이작물을 생산하려 하고, 습지 지역에서 우리 토지의 절반이 묵혀지고 있습니다. 또는 마하웨리 계획을 세워 커다란 댐 들을 지으려 하고 있습니다. 그런 것이 아니라 과거의 농업 체계를 부활시켜야 합니다. 물론 현재 우선시되고 있는 개발주의를 포기하지 않으면 이 일은 할 수 없습니다. 이 나라를 서양과 같은 열대판 산업 국가로 바꾸려는 시도는 자멸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것은 섬뜩한 영양불량과 기아를 가져올 뿐입니다. 이 스리랑카에 있어야 할 것은 과거의 ‘젖과 꿀이 흐르는 땅’이어야 합니다.

 

자신의 농장 앞에 선 테네쿤 씨.

 

 

<참고자료>

Edward Goldsmith, Traditional Agriculture in Sri Lanka, interviews Mudyanse Tennekoon, Goviya: Traditional Sri Lankan agriculture,2000.

 

 

translated by 김서방.

728x90
728x90

스리랑카의 전통농업 - 저수지 관개

 

 

 

밀림 깊숙이 잠든 공학 기술 유적

 

1848년 어느 아침, 영국의 역사가로서 작가 겸 여행가이기도 한 제임스 에머슨 테넨트James Emerson Tennent 경卿은 횃불을 들고서 스리랑카 북부의 밀림지대를 여행하고 있었다. 그는 깊은 밀림 안에는 고대의 경이적인 공학 구축물이 잠들어 있다고 들었다. 원시림은 인간이 들어오는 것을 거부하여, 가시나무가 무성하고 길은 좁고 가팔라 일행은 16㎞나 되는 길을 거의 말에서 내려 걸어야 했다. 그리고 가까스로 목적지에 도착한 그의 눈앞에 펼쳐진 것은 거대한 제방의 유적이었다.

 

제임스 에머슨 테넨트 경.

 

 

파다위야 저수지(Padawiya Tank)로 알려진 이 경이적인 공학 구축물은 1500년 이상 전의 것이다. 일행은 거대한 저수지와 제방을 말을 타고 가는 데에만 2시간이나 걸렸다.

 

“호수는 20~22㎞ 넓이일 것이다. 좁은 골짜기도 18㎞이다. 거대한 제방이 수복되어 적어도 상류 24㎞까지는 물이 고여 있었을 것이다. 제방 자체가 거대한 사업으로 길이는 약 18㎞. 제방의 높이는 20m 이상이고, 끝에서도 9m, 바닥에서는 60m의 너비이다.”

 

파다위야 저수지는 1~12세기에 걸쳐 구축된 몇 천 개의 저수지 가운데 하나일 뿐이다. 가장 큰 인공 호수 파락-라마 호수(Parak-rama Sea)는 24평방킬로미터인데, 그것 말고도 포루투칼어의 ‘tanque’와 연관되어 ‘저수지’라고 불리는 몇 천 개의 인공 호수와 제방의 연결망이 마을마다 물을 보내고자 설계되어 연결되었다. 구조와 설계는 놀라울 만큼 고도의 것이기에, 테넨트 경은 초보적인 도구만을 써서 단단한 화강암을 깎았을 그 일을 절찬했다.

 

스리랑카의 인공 호수.

 

 

온 국토에 묻힌 관개망

 

벼를 기르는 데에는 물이 꼭 필요한데, 스리랑카 국토의 2/3는 대부분 비가 내리지 않는 건조 지대이다. 이런 기후 조건 때문에 고대 신할라Sinhalese 왕조의 왕들은 관개가 필요하다는 점을 인지하고, 몬순으로 내리는 비를 붙들기 위한 제방과 운하를 건설했다. 어떤 한 왕은 이렇게 말했다.

 

“이 나라에는 약간의 빗물도 소중해, 사람에게 도움이 되지 않고서 바다로 흘러가게 하면 안 된다.”

 

각 왕의 업적은 기록으로 남았다. 바사바Vasabha(65~109)는 12개의 저수지와 12개의 운하를 건설했고, 마하세나Mahasena(274~302)는 1890㏊에 이르는 미네리Minneri 호수를 포함해 16개의 저수지를 건설했다. 다투세나Dhatusena의 치세(460~478)에는 너비 12m, 길이 1900㎞의 운하가 왕도王都 아누라다푸라Anuradhapura에 급수를 했다. 수리 사업에 가장 열을 올린 사람은 파라크라마 바후Parakrama Bahu 1세(1153~1186)로, 770개의 저수지와 534개의 운하를 건설하고, 2300개의 저수지와 3621개의 운하를 수복했다. 풍족한 작물의 수확과 그것이 가져오는 부富는 사원에 집중되고, 꽃밭에는 분수가, 도시에는 궁전이 건축되었다.

 

미네리 호수의 수문.

 

스리랑카의 옛 왕도 아누라다푸라의 현재 지도. 

 

파라크라마 바후 1세의 부조상. 

 

테넨트 경에게 감명을 준 저수지의 대부분은 현재 완전히 진흙으로 차 있다. 하지만 수많은 소규모 저수지는 지금도 건재하고, 일부는 침니가 차 있지만 건조 지대 관개농업의 기반이 되고 있다. 스리랑카 쌀의 약 40%는 지금도 3개월 동안만 비가 집중되는 건조 지대에서 생산되고 있는데, 그 대부분이 기원전 300년부터 서기 1200년에 걸쳐서 건설된 고대의 관개 체계에 의존하고 있다. 저수지의 32%는 쿠루네갈라Kurunegala, 23%는 아누라다푸라 지역에 있는데, 그 밀도는 놀라울 정도로 건조 지대의 약 4만㎞ 이내에 약 3만 개의 저수지가 구축되어 있다. 대략 1정방킬로미터마다 저수지가 있다는 계산으로, 약 33만 호의 농가가 이러한 저수지의 혜택을 받으며 마을을 이루어 살며 약 14,8000㏊의 농사땅을 관개하고 있다.

 

 

현지 주민이 자발적으로 유지 관리

 

그럼 대부분의 저수지는 왜 흙에 묻혀 방기되어 버렸을까? 비트포겔Wittfogel은 대규모이건 소규모이건, 저수지는 중앙집권적인 국가관료제도에 의해 구축된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저수지가 방기된 까닭도 왕조의 붕괴로 설명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케임브리지대학의 인류학 교수이자 스리랑카 관개농업의 일인자이기도 한 에드문드 리치Edmund Leach 경은 거대한 저수지는 관료 제도의 업적일지도 모르지만, 마을에 있는 소규모 저수지는 그렇지 않다고 반론했다. 경이 이렇게 생각한 데에는 세 가지 이유가 있다.

 

첫째는 거대 저수지가 소농이 관개를 할 목적으로 구축된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과연 거대 저수지는 거대한 두 옛 도시 아누라다푸라와 그 뒤에 천도한 폴로나루와Pollonaruwa에서 소비되는 작물을 생산하는 근교농업의 관개에 쓰이기는 했다. 하지만 그 직접적인 수익은 농민이 아니라 주로 분수 등 장식용의 급수에 쓰이고 있었다. 폴로나루와를 1164~1197년에 걸쳐 통치한 파라크라마 바후 1세는 101곳의 사원과 불상을 건설하고, 수많은 저수지도 건설했다. 그런데 리치 경은 말한다.

 

“그것들은 실용적인 구조물이 아니라 기념비였다.”

 

경에 따르면, 이러한 저수지는 왕의 권력을 과시하고자 구축된 것이지 식량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것이 아니었다.

 

둘째는 이와도 겹치는 것이지만, 거대 저수지의 목적이 체질적으로 장식용이며 스리랑카의 농촌은 이에 의존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중앙 정권이 혼란스러워지고 거대 저수지가 황폐해진 시기에도 농촌의 삶은 아무 문제없이 적절하게 지속되었다. 각 마을에는 마을 사람들 스스로 유지·관리하는 소규모 관개 체계가 있었다.”

 

그리고 경은 또한 관개 사업을 행하려는 중앙집권적인 관료제도가 존재했다는 증거를 찾을 수 없다고 지적한다. 고대 스리랑카의 사회 체계는 중세 유럽과 다른 세계의 봉건시대와는 꽤 달랐다. 역사학의 연구를 통해 중앙집권적인 관료제도에 의해서 공사가 이루어졌다는 증거를 찾아볼 수 없다. 저수지를 유지·관리하는 작업의 대부분은 라자카리야Rajakariya에 의해서 이루어졌다. 라자카리야란 모든 마을 사람이 농한기의 40일을 왕을 위하여 무료로 일하던 풍습이다. 나중에 영국은 유쾌하지 않은 봉건체제의 유물이라며 이 제도를 폐지했는데, 이 제도는 나라가 강제한 것도 아니고 마을 사람들이 나라에 고용된 것도 아닌, 그 노동은 어디까지나 왕에게 경의를 표하는 방식이었다.

 

그래서 캔디 왕조의 궁전 밖에 인공 호수를 구축하려던 계획을 마을 사람들이 거부한 일도 있다. 그것은 장식용 전시품은 라자카리야의 노무에 의해서 구축되어야 하는 것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경은 이렇게 썼다.

 

“그러기는커녕 왕의 연대기를 보면, 선선히 마을의 저수지를 잘 수리해주는 군주가 칭찬되고 있다는 사실은 이러한 작업이 국가 규모의 것이 아니라는 점을 보여준다. 고대부터 마을 저수지의 수리는 일반 서민의 일이었다.”

 

마을의 저수지의 유지·관리는 마을 사람 자신에 의해서 이루어졌다. 대규모 수복과 새로운 저수지를 건설하는 데에는 타밀족 카스트제도의 육체노동자 쿨란카티Kulankatti에 의해 이루어졌는데, 그들도 국가의 고용인이 아닌 마을 사람들과 직접 계약을 맺어 일하고, 관개 체계는 지역사회의 손으로 운영되어 왔다.

 

 

마을의 생활과 일체였던 관개

 

전통적인 스리랑카의 농촌을 특징지어 왔던 것은 사원, 불사리탑(다고바dagoba), 저수지(웨와wewa), 논(케타ketha)이었다. 고대 스리랑카에서 벼농사는 직업이 아닌 여타의 사회활동과 밀접하게 연결된 생존 방식이었다. 김매기, 쟁기질, 모내기, 수확의 각 단계에는 노래, 음악, 춤의 특별한 의식이 따르고, 지금도 남아 있는 전통 춤은 이러한 의식에 기원하는 것이다. 그것들은 수확, 쟁기질 등을 상징하는 율동 같은 노동에 바탕을 둔다. 캔디언 댄싱Kandyan dancing은 수확한 뒤 마을에서 실행한 코호마 칸카리야Kohomha Kankariya라는 의식이 기원이다. 중요한 것은 고비야goviya, 곧 마을의 스님이었다. 중요한 농사일은 스님에 의해서 시작되었다. 쟁기질하기 좋은 날을 골라 사원의 종이 울리면 마을 사람 모두가 들에 나갔다. 스님은 논에 들어가 쟁기질하는 물소에 맞추어 노래했다. 오Ohoooo~ 암마amma, 오~ 아뽀appo 오~, ‘오’는 바다의 소리이고, 암마는 어머니, 아뽀는 아버지이다. 성가는 모든 고비야가 불렀다. 그리고 수도 근교에서 이루어진 쟁기질 의식에는 왕이 참가했다.

 

스리랑카의 쟁기질(위)과 캔디언 댄싱(아래) 

 

 

 

어느 소농 사회에서라도 마찬가지이듯 농업은 가족의 일이며, 아이들을 포함해 가족의 각 구성원에게는 특정한 일이 있었다. 논에서 원숭이를 쫓고 소와 물소를 돌보며 논에서 아버지를 거드는 것은 남자아이의 일이었다. 어머니가 땔감을 모으는 일과 식사 준비를 돕고, 소와 물소의 젖을 짜는 일을 돕는 것은 여자아이들이었다. 여자아이는 어머니나 이모와 함께 이불을 만들었다. 어머니는 아궁이를 따뜻하게 유지하고, 난로가 집의 중심이었다. 이 때문에 스리랑카에서는 어머니의 지위가 가장 높았다. 마을에서는 서로 돕는 ‘아타마attama’와 ‘카이야kaiya’란 전통이 있어, 언제라도 이웃에게 도움을 구할 수 있었다. 예를 들면 농촌 지역사회는 친척으로 구성되어 있었기에, 어른들이 논밭에서 일하거나 관개시설의 유지로 바쁠 때에는 한 사람의 여성이 모든 아이를 돌보았다.

 

더하여 스리랑카의 전통 사회는 다른 어느 소농 사회에서도 그러했듯이, 수확량을 최대로 하기보다도 위험을 최소로 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가뭄, 홍수, 병해충 등의 위험을 벗어나고자 농민들은 다양한 품종을 심었다.

 

 

자연과 조화된 평등한 농경사회

 

상류의 저수지에서 흘러나온 물은 하류의 저수지에 모여 논으로 흘러가고, 서로 이어져 있던 물의 흐름이 거대한 저수지와 운하로 연결되어 나아갔다. 저수지와 농업용수와 논은 하나로 어우러지고, 또 대부분이 천 년 이상 존재해 온 것부터 인간의 구축물로 특정된 것들은 복잡할 만큼 지역의 환경과 자연 생태계와 일체가 되었다. 논, 거주지 등의 거시적인 토지이용에만 주의를 기울인 것이 아니고, 상류의 침전지(고다 왈라goda wala), 보호 제방(이스웨티야iswetiya), 상류의 바람막이(가스곰마나gasgommana), 하류의 바람막이(카타카두와(kattakaduwa) 등의 미시적인 토지이용도 생태계의 중요한 요소로 보았다.

 

하류의 바람막이숲, 카타카두와

. 

 

저수지의 물은 농사 기간을 늘리고, 건기에 벼를 재배할 수 있게 한다. 하지만 저수지가 가져온 장점은 그것만이 아니다. 농작물에 영향을 미치는 쾌적하고 시원한 기후를 유지하고, 농업 생물다양성도 보전해 왔다. 사실 저수지는 습지 생물다양성의 가장 풍족한 원천의 하나이다. 저수지 둘레의 동식물은 다양하고, 건기에는 저수지의 물이 소나 야생 동물의 유일한 수원이 되었다. 주요 저수지로 들어가기 전에 진흙을 퇴적하려고 설계된 모래막이 저수지(포타 웨티예pota wetiye)와 한쪽에 물을 대는 기간에 사용하는 ‘쌍둥이 저수지’ 등 다양한 형태의 저수지가 만들어졌는데, 그 모두가 관개에 쓰려는 것이 아니었다. 예를 들면 마을 위쪽의 산에 저수지를 만드는 전통도 있었는데, 그 저수지는 야생 동물이 물을 구하러 논에 내려와 벼를 망치는 것을 막고자 그들에게 물을 제공하는 것이었다. 또 지금은 비판되고 있는 부대밭 방식의 농업 체나chena를 위하여 급수하는 산의 저수지조차 있었다.

 

하지만 부대밭 농업을 행한다고 그들이 숲을 파괴한 것은 아니었다. 그러기는커녕 고대 스리랑카의 문명은 숲 보호에 열심이었다. 16세기 해적 로버트 녹스Robert Knox는 배가 난파되어 캔디 왕의 포로로 15년을 지냈는데, 녹스에 따르면 숲의 파괴를 막은 것은 법이 아니라 오히려 신앙이었다고 한다. 신할라족은 선조가 스리랑카에 침입했을 때 선주민의 정령이 고지대의 열대 밀림으로 도망쳐 들어갔다고 믿어 숲에는 들어갈 수 없다고 생각했다. 아무튼 진실이 무엇이든, 고지대의 숲이 보호된 것은 건조 지대의 농업이 확실히 지속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지금과 마찬가지로 천 년 전에도 섬 가운데에 치솟은 산들이 몬순을 가로막아, 숲은 그 비를 머금고 하천의 흐름을 지속하여 왔다.

 

이처럼 전통 지역사회는 흙, 물, 자연 생태계를 보전하고자 최선의 노력을 기울여 왔다. 식량 안전 보장은 그 문화의 틀 안에 짜여 들어가 있었다. 벼농사는 10~3월까지의 마하maha와 4~9월까지의 얄라yala라고 2번 이루어졌는데, 수자원을 보전하고자 지하수를 농업용수로 쓰는 일은 결코 하지 않았다.

 

마을의 집들은 근접하여 세워져 최소한의 땅만 낭비되도록 했다. 또 주요한 농사땅에 항구적인 건축물을 세우는 것을 금하는 풍습도 있었다. 벽돌을 만들 권리가 있었던 것은 왕과 성직자뿐이고, 다른 사람들은 흙으로 지은 작은 집에서 살았다. 하지만 벽돌과 흙집은 모두 흙으로 돌아가, 그 결과 유기물을 농사땅에 제공했다. 그 관습은 건전한 생태학의 원칙에 따라 성립되어 있었다.

 

건조 지대의 많은 마을에는 마을의 저수지와 똑같은 이름이 붙여졌는데, 이처럼 저수지에 따른 관개 체계가 건조 지대의 사회조직과 전통문화의 결정적인 요소가 되었다. 저수지를 통해 이룬 각 마을의 자립은 독특한 분산 사회 체제로 나아가는 길을 열어 주었다. 자원을 평등하게 나누고, 공평한 소유권, 이것이 바로 고대 스리랑카 문화의 가장 결정적인 특징이고, 그것이 평화가 이어지는 농촌 사회의 확립으로 이어졌다.

 

왕조는 번영하든지 아니면 쇠퇴하지만, 마을과 그 저수지는 몇 천 년이나 쭉 이어졌다. 리치 경은 마을과 그 관개 체계의 우수한 지속성을 지적한다.

 

“마을과 관개 저수지가 한 번 건설되면, 건조 지대에서도 관개 지역을 일정한 규모로 유지해야 했기 때문에 마을의 인구 변동은 매우 적었다.”

 

그리고 다른 전통 사회와 마찬가지로, 신할라족도 ‘태양과 달이 거기에 있는 한’이란 비문을 남기고 그들의 기관을 영구적이라고 보아 왔다.

 

 

근대화에 따른 지역사회 파괴

 

하지만 영국인이 건너온 뒤, 그들은 처음에는 커피, 나중에는 홍차 플랜테이션 농장을 개간하려고 숲을 파괴하기 시작했다. 독립할 때 스리랑카 국토의 40%는 아직 숲이었다. 하지만 그 이후 목재를 팔아 외화를 벌고자 숲 전체가 파괴되어, 지금은 국토의 겨우 4~5%밖에 안 된다. 숲을 파괴한 결과는 비참했다. 토양침식의 영향이 모든 유역에서 일어났다.

 

식민지 정부가 벌인 대규모 관개 프로젝트도 건조 지대에서 대폭적인 숲의 파괴로 이어졌다. 식물도, 비옥한 들도 사라지고, 마을의 생태계는 파괴되어 가뭄의 위험성이 증가했다. 가장 심각한 영향을 받은 것은 마을의 지역사회였는데, 지역사회가 파괴된 결과도 결정적이었다. 리치 경은 이렇게 지적한다.

 

“중앙집권화된 관개 기관이 마을 저수지의 유지와 사용에 간섭할 권한을 가진 것은 1860년 이후이다.”

 

영국 식민지 당국이 가장 먼저 행한 것은 1860년대에 관개 기관을 세우고, 마을 사람들에게서 저수지를 유지하는 책무를 빼앗아 중앙의 관개 기관에 위임한 일이다. 그 결과는 파멸적이었다. 서로 돕는 전통은 거의 사라져 버렸다. 많은 주요 농사일, 특히 김매기는 이제 적절히 이루어지지 않는다.

 

스리랑카에서 전통적인 관개를 연구한 거의 모든 연구자가 지역사회의 연관이 갖는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는데, 전문적인 일이 돈에 좌우되지 않고 이루어졌던 것은 상호 권리와 의무에 따라 엮인 지역사회의 유대(cohesive community)가 있었기 때문이다. 테넨트 경은 말한다.

 

“저수지의 파괴와 최종적인 방기는 사회 부패의 필연적인 결과라고 생각한다. 특히 그것을 오래도록 유지해 온 지역사회가 해체된 데 원인이 있다. 그 결과 붕괴의 과정이 타국에서는 완만히 진행된 것과는 달리 실론에서는 갑자기 일어났다.”

 

이 때문에 현재 건조 지대의 거의 모든 관개 체계는 일찍이 고대에 존재하던 것보다 훨씬 조잡해졌다. 1874년의 C. 라이트Wright의 “실론 견문(Glimpses of Ceylon)”에 따르면, 300~400품종의 벼가 재배되고 있었고, 에드워드 골드스미스가 1882년 현지의 농민을 만났을 때에도 그 농민이 젊었을 무렵에는 보통 280종 이상의 벼를 심었다고 한다. 하지만 지금은 15품종밖에 남지 않았다.

 

지역사회의 변화에 맞춰 행정당국도 치밀한 유지·관리를 행하지 않았다. 관개 기관에게 소규모 저수지는 과거의 쓸모없는 유산에 지나지 않는다. 근대의 경제 비용·편익 분석에 기초하면 야생 동물의 이익을 위하여 여분의 저수지를 유지하고, 하물며 수리하는 일은 정당화될 수 없다. 전통적인 관개는 경제 편익을 위하여 희생되었다.

 

고대의 체계는 근대 제방과는 달리 지역의 수리학적 특성을 잘 파악하고 있었다. 용수로는 등고선을 따르고, 물의 흐름을 늦추며, 물의 손실도 적었다. 하지만 20세기의 대규모 관개 개발 프로젝트는 고대의 저수지 체계가 달성한 기능을 이해하지 못하는 것만이 아니라 고대의 저수지 체계를 무시하거나 파괴했다.

 

 

 

전통문화의 재평가

 

스리랑카의 1인당 쌀 소비량은 현재 약 150㎏/년이고, 수입 쌀은 10% 미만일 뿐이다. 쌀을 안정적으로 생산하는 일은 나라의 발전과 빈곤·기아를 줄이는 데 빠뜨릴 수 없는 일이다. 건조 지역의 농촌에 만연한 빈곤을 줄이는 데에도 안정된 용수의 확보가 특히 중요하며, 건조 지대에 팽개쳐진 고대의 저수지는 말라리아 기생충의 발생원이 되고 있다. 마을의 저수지를 회복하는 일은 말라리아의 소멸을 위해서도 빠뜨릴 수 없다. 이를 위해 스리랑카 정부는 2004년 마을에 있는 1000개의 저수지를 수복하는 프로젝트를 수립했다.

관개 계획의 전통은 지금도 스리랑카에 존속하고 있다. 19세기의 탐험가 테넨트 경이 다시 발견한 저수지의 대부분이 회복되고, 마하웰리 계획(Mahaweli Diversion Scheme) 등 새로운 사업도 진행되고 있다. 그것은 건조 지대의 몇 십만㏊의 땅을 관개하고, 나라의 발전력을 배로 늘리고 있다. 불도저와 컴퓨터의 도움을 받아 고대의 왕들이 착수한 스리랑카의 포괄적인 관개 체계는 지금도 이어지고 있다.

 

 

written by 吉田太郞, translated by 김서방

 

 

인용문헌

 (1) Wewe Irrigation System (Sri Lanka) GIAHS, FAO. 

 (2) Edward Goldsmith and Nicholas Hildyard,Traditional irrigation in the dry zone of Sri Lanka, The Social and Environmental Effects of Large Dams, 1984.

 (3) Mr Ghaz, A Scheme That Holds Water: An Irrigation System That Goes Back to Ancient Times, March 4, 2010.

 (4) Manik Sandrasagra, Life in the Village: on the Origins of Lanka, Serendib magazine Vol. 10 No. 1 Jan-Feb 1991.

728x90

'농담 > 농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멕시코의 전통농업 - 카헤테  (0) 2010.09.06
인도의 전통 축산업 - 코란가두  (0) 2010.09.03
사헬Sahel의 전통농업 - 자이Zai  (0) 2010.08.25
아마존의 전통농업 - 테라 프레타  (0) 2010.08.12
일본의 논농사  (0) 2010.08.1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