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6 아프리카 대륙의 상호불신 문화, 그리고 한국 아프리카 대륙에 만연한 '상호불신 문화'가 어디에서 기인하는가에 대해 분석한 연구가 있다고 한다. 이거 한국도 해당하는 것 같아서 찌릿찌릿하다. 언어의 한계 때문에 정확히 옮기지는 못하겠지만, 대략 이런 내용이다. 아프리카 대륙에서는 악명 높은 노예 무역이 횡행했다. 그런데 .. 2019. 10. 1. 중국의 사회생태농업 출처 http://thetomorrow.kr/archives/10107?fbclid=IwAR2xc7LvgT6PWCusQEonXOy0gd-yCQFti8kENt2Ts0YKVe6nDQnXY6L8BN0 기획칼럼 김유익의 [중국 신향촌건설]사회생태농업의 발전이 도시와 농촌의 양성良性 공진화를 촉진한다김유익 2019.07.09 0 COMMENTS역자 주: 사회생태농업이라는 표현은 신향촌건설운동 진영이 근년에 쓰.. 2019. 7. 9. 농생태학 -24장 농업, 사회, 그리고 농생태학 농생태학: 지속가능한 먹을거리 체계의 생태학 24장 농업, 사회, 그리고 농생태학 1장에서 우리는 오늘날 세계의 많은 부분을 지배하는 산업적 농업 체계의 엄청난 생산성을 위해 우리가 지불해야하는 대가의 일부인 환경과 사회, 농업 생산성의 토대에 대한 여러 심각한 해악을 설명했다.. 2019. 5. 25. 중세에서 보는 쌀과 고기 유라시아 농경사 권2 기고1 중세에서 보는 쌀과 고기 -하라다 노부오原田信男 중세라는 시대 일본의 중세는 국가 지배가 성립을 보았던 고대와 그 체계가 완성을 보았던 근세의 사이에 끼어 있던 시대이며, 고대와 근세가 통일집권적인 정치 체계를 가지고 있는 데 반해 지방분권적인 성.. 2018. 5. 23. 와츠지 데츠로와 풍토 유라시아 농경사 권1 기고 4 와츠지 데츠로和辻哲郞와 풍토 -풍토론의 가능성을 열며 쿠라타 타카시鞍田崇 풍토는 이 시리즈 <유라시아 농경사> 전체를 꿰뚫는 핵심어의 하나이다. 광대한 유라시아 대륙과 그 주변의 각지에서는 역사적으로 다양한 문화가 생성되어 전개되었는데, 그.. 2018. 4. 16. 계절풍 농경권의 사람들과 식물 유라시아 농경사 권1 서장 계절풍 농경권의 사람들과 식물 들어가며 왜 지금 농경인가 인간은 왜, 농경이라 하는 '귀찮은' 일을 시작한 것일까? 그 전의 생업인 '수렵채집'과 어째서 결별하게 된 것일까? 이 질문에 대한답은, 사실 필요 없다. 여러 가지 가설은 있지만 모두 '넘고처지어' 결.. 2018. 3. 27.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