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사육7

제초용 동물과 살다 -3장 염소를 방목하다 3장 염소를 방목하다 1) 시작하며이 장부터는 드디어 동물의 방목, 방사에 대하여 해설하겠습니다. 최초는 염소입니다.5월에 들어서면 모내기를 향한 준비가 시작됩니다. 논 주변의 논두렁 풀베기는 염소가 담당합니다. 15년 정도 전부터 먹이기 시작한 염소. 지금은 저의 논에 빼놓을 수 없는 존재가 되었습니다. "염소의 매력은?"이라 묻는다면, 저는 이렇게 답하겠습니다. ①소형이고 다루기 쉬운 점, ②특별한 시설을 필요로 하지 않는 점, ③농사일 틈틈이 염소들의 귀여운(아니, 우스꽝스러운?) 얼굴이나 행동을 보면 마음이 평화롭고, 가족끼리 대화가 활기차게 되는 점, 그리고 가장 중요한 것인데 ④뛰어난 균형 감각과 민첩성을 겸비한 제초용 동물로서 큰 잠재력을 지니고 있는 점.일본의 염소 사육 마리수는 195.. 2025. 7. 12.
쇠똥구리여 돌아오라 한국에서는 쇠똥구리들이 멸종되었다고 들었습니다. 소들이 논과 밭, 외양간에서 축사로 내몰리고, 산과 들에는 각종 화학물질이 살포되면서 그렇게 되었다고 알고 있습니다.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 한국의 들판에서 쇠똥구리를 다시 볼 수 있는 날이 올까요? 2020. 10. 4.
축산업의 규모화 동남지방통계청에서 <경상남도 최근 10년간 가축사육동향>을 발표.경상남도에서 한·육우 20마리 미만 사육농가는 2008년 2만6668가구에서 2018년 8320가구로 1만8348가구(-68.8%)가 감소. 그런데 50마리 이상 사육농가는 2008년 840가구에서 2018년 1637가구로 2배 가까이 증가.또한 한·육우 사육 .. 2019. 1. 2.
어떻게 농업이 기후를 바꾸는가? 농업, 벌채, 기타 토지 사용이 전체 온실가스 배출의 약 20%를 차지한다. 녹색혁명이 시작된 이래, 세계 농업 체계의 생산성은 2배 이상이 되어 증가하는 인구의 식량안보를 개선하고 점점 부유해지는 세계의 음식 수요를 충족시켰다. 이러한 놀라운 생산성은 또한 환경오염 비용을 발생시.. 2016. 6. 15.
믿지 못할 무항생제 인증제 농산물에는 유기농업 이전 단계로 무농약이라는 것이 있다. 말 그대로 농약을 쓰지 않고 농사지은 농산물에 붙여주는 인증이다. 그것과 마찬가지로 축산물에는 무항생제라는 것이 있다. 이건 항생제와 같은 약품을 쓰지 않고 가축을 사육했다는 뜻이다. 항생제는 가축의 질병을 치료하.. 2016. 5. 25.
이것은 두 종류의 닭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사육 방식에 따른 두 종류의 닭 이야기. A Tale of Two Chickens from lexicon of food on Vimeo. 2016. 5.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