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깊이갈이가 수확량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를 종합한 결과.

깊이갈이를 하면 수확량은 미미하게 6% 정도 증가한다. 선택은 본인의 몫이다. 
이러한 결과는 조건에 따라 달라지는데, 이른바 쟁기바닥층이 존재하는 농경지에서는 수확량이 20% 정도 높아진다. 그러니 흙이 다져진 곳에서는 효과적인 방법일 수 있겠다.
하지만 미사질 황토에서는 깊이갈이로 오히려 수확량이 저하되는 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그런 조건에서는 삼가는 것이 좋겠다.
아무튼 가뭄이 든 해에는 깊이갈이가 심토의 수분을 끌어내는 효과가 있어 효과적이기도 하다. 그러니 상황에 맞게 적용하는 것이 좋겠다.




흙 자체의 물리적 구조를 개선하고 비옥도를 향상시켜 탄력성을 높일 것인지, 깊이갈이라는 방법을 적용해 일시적인 개선 효과를 더할 것인지는 자신의 상황과 조건에 맞추어 실행하면 되겠다. 절대적으로 옳은 방법이란 없을 테니.


http://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0167198717301320?via%3Dihub



728x90
728x90

기사의 제목과 달리 석회 같은 중화제를 사용하여 토양의 산성도만 낮추었을 뿐, 정작 중요한 토양의 유기물 함량은 2%대로 좋은 토양이라고 부르는 5%대에 절반 수준밖에 안 된다. 이래서야 계속해서 화학비료에 의존할 수밖에 없지 않을까. 그런데도 토양 비옥도가 양호하다는 건 기자가 내용을 잘 모르고 불러주는 대로만 받아 적은 결과가 아닐까 한다.

---------


홍성·예산=뉴시스】유효상 기자 = 충남도 농업기술원(원장 김영수)은 도내 150곳의 밭토양을 채취해 토양분석 변화를 조사한 결과, 주요 토양성분이 대부분 적정수준을 보이는 등 토양비옥도가 양호해진 것으로 나타났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토양분석 변화 조사는 밭토양의 환경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4년 주기로 실시되는 것으로, 올해 4월부터 9월까지 도내 150곳의 밭토양 표본을 채취해 산도, 염류농도 등을 분석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조사결과 농경지의 유용미생물 활성에 따른 비료성분 흡수와 생육에 영향을 주는 중요 지표성분으로, 밭토양에서 가장 중요하게 취급되고 있는 토양산도(pH)는 6.2로 적정범위(6.0~6.5)에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 밭토양을 계량하기 위해 사용되던 석회소요량 변화의 경우, 2009년에는 ㏊당 2070㎏이었던 것이 올해 980㎏으로 조사돼 석회사용량을 줄여야 할 정도로 토양비옥도가 상당히 개선된 것으로 조사됐다.

이외 부분에서는 토양 염류농도(0.66dS/m)와 유기물함량(2.3%)을 비롯해 칼륨, 마그네슘도 적정범위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칼슘의 경우 6.8cmol+/㎏로 적정범위(0.5~0.6) 보다 조금 높았고, 인산함량도 적정수준 500㎎/㎏ 보다 높은 751㎎/㎏ 이었지만, 2009년 보다 4㎎/㎏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도 농업기술원 농업환경연구과 최문태 농업연구사는 “밭토양의 경우 노지상태로 기상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과잉성분에 대해 염려할 수준은 아니다”라며 “토양 비옥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적정량의 비료와 퇴비사용이 중요한 만큼 작물 파종이나 정식 전에 해당 시군농업기술센터에 토양분석을 의뢰해 작물에 맞는 시비처방을 받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말했다.

yreporter@newsis.com


728x90
728x90

경기도 군포에 소재한 귀농운동본부의 실습 논. 여기만 총 600평이다. 이 정도만 해도 까마득하지 않은가? 사람들이 주르륵 늘어서서 그렇게 보이지, 기계로 하면 금방이다.




어제 이야기를 나누다가 정보(3000평)-단보(300평)-무보(30평)는 일제강점기에 들어온 면적 개념으로, 일본이 서양의 면적 개념을 받아들이면서 생긴 단위라고 했다. 그러면서 한국에는 섬지기-마지기-되지기가 있었다고 넘어가면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마지기의 경우 1말의 씨앗을 심을 수 있는 넓이로 지역마다 다르며, 특히 기름진 농지일수록 작물 사이의 간격을 드물게 심고 척박할수록 간격을 배게 심는다는 이야기까지 곁들였다.


실제로 논의 경우 150~300평을 1마지기라 하고, 밭은 100~400평까지를 1마지라고 본다. 지역의 토질과 비옥도, 경사도 등 다양한 조건에 따라 씨앗을 심을 수 있는 넓이가 달라지는 현상을 잘 보여주는 것이다. 같은 동네라도 어디는 1마지기에 150평인 반면, 어디는 200평인 사례도 있으니 말 다했다. 이렇게 마지기의 평수가 들쭉날쭉하니 정량화, 계측화가 필요한 현대적 토지 개념에서는 죽을 맛인 것이다. 그래서 일제가 조선에 들어오자마자 부리나케 토지조사사업을 벌였을 것이다. 그래야 근대적 개념의 토지 소유관계를 정리할 수 있을 테니 말이다.


참고로 민족문화대백과에서 마지기에 대한 정의에는 다음의 내용이 나온다.


‘마지기당’의 면적은 지역에 따라 여러 가지가 있다. 논의 경우 전국적으로 한 마지기가 80평·100평·120평·130평·150평·160평·180평·200평·220평·230평·250평·300평 등 12개 유형이 있으며, 이 중 200평을 한 마지기로 적용하는 지역이 전국의 75% 가량이고 150평을 한 마지기로 쓰고 있는 곳은 17%, 나머지 10개 유형은 불과 8%였다. 따라서, 우리 나라 논의 한 마지기당 면적은 200평이 표준이며 주로 평야부에서 많이 쓰고 있고, 200평 이외의 규모는 산간부나 도서지방에서 사용되고 있다.

밭의 마지기당 평수는 전국적으로 30평·40평·50평·60평·70평·75평·80평·100평·120평·150평·200평·230평·250평·300평·400평 등 15개 유형이 있으나 이 중 200평 한 마지기를 사용하는 지역이 전국적으로 43%이며, 100평 한 마지기가 24%, 500평을 쓰고 있는 지역이 9%, 300평을 쓰고 있는 지역이 8%, 기타 11개 유형이 16%의 지역에서 잡다하게 사용되고 있다.

밭에서도 논에서와 같이 200평 이외의 면적 규모를 사용하고 있는 지역은 주로 밭면적 비율이 높은 산간지대나 도서지역이다. 따라서 밭에서도 한 마지기당 사용 빈도가 높은 규모는 200평 규모이나 그 사용 빈도는 43%로서 논의 75%보다 집중도가 현저히 떨어지고 있다.


그런데 여기서 의문이 생겨 버린 것이다.

그렇다면 기름진 농지일수록 마지기의 평수가 더 넓어야 하는 것 아닌가? 그런데 왜 강원도의 평수가 전라도의 평수보다 더 넓은 것인가? 왜지? 왜일까?


그것 때문에 4시간 넘게 머리를 싸매고 끙끙거렸다.


그 결과, 나의 마지기에 대한 결론은 이렇다. 


처음부터 오류는 농민들의 실제 농사관행과 나의 고정관념의 충돌 때문에 생겼다. 

그러니까 현실에서 농민들은 보통 땅이 기름지면 작물의 간격을 드물게 심고, 척박하면 배게 심는 관행이 있다. 그러니까 마지기는 1말의 씨앗을 심을 수 있는 넓이로서, 기름진 곳일수록 넓이가 더 넓고 척박한 곳일수록 더 좁은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그런데 나의 고정관념은 기름진 곳의 마지기는 더 작고, 오히려 척박한 곳이 더 넓으리라는 것이었다. 이렇게 생각하고 있었으니 마지기라는 개념이 도무지 이해되지 않았던 것이다.


나 이외의 사람들도 흔히 가지고 있는 고정관념인데, 강원도의 마지기 평수가 호남보다 더 넓으리라는 것이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한 지역 안에서도 농지가 처한 조건에 따라서 마지기의 넓이가 달라진다. 그런데 경기도는 몇 평, 강원도는 몇 평, 전라도 몇 평 하는 식으로만 구분해서 생각하는 것이 가장 큰 문제였다.


이 고정관념이 깨지게 된 결정적 요인은 "평야의 마지기가 산간 지역의 마지기보다 넓다"는 이야기를 들으면서였다. "기름진 농지=더 작은 평수의 마지기"가 아니었단 말이다! 

그런데 나도 그렇고 다들 잘못 생각하고 있었던 것이다. 이는 투입량이 아닌 산출량을 중심으로 생각하는 일이 언제부터인가 자연스러워졌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하기도 한다. 기름지기에 땅이 작아도 많이 생산할 수 있고, 그것이 곧 편리와 효율성이란 관념 말이다.


아직까지도 헷갈리긴 하고 더 자세하게 따져봐야 할 문제이긴 한데, 중요한 것은 '마지기'가 "1말의 씨앗을 심을 수 있는 넓이"를 가리키는 것이지 더 적은 농지로 더 많은 수확을 올리는 넓이를 뜻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뱀다리; 이에 대한 의문으로 <임원경제지> 번역팀의 홈페이지에서 논의가 이루어지기도 했다. 내용이 아주 좋으니 읽어보시길 바란다. 아래 링크를 걸어두었다. 


http://www.imwon.net/?mid=freeboard&comment_srl=5042&category=0&sort_index=readed_count&order_type=desc&page=9&listStyle=list&document_srl=6378




마지막으로 임원경제지 연구소의 정명현 소장이 일러주시길, 

건 땅의 마지기가 더 적다고 생각하는 경우는 수확량을 기주느로 보기 때문일 것 같네요. 수확량 기준은 조선 정부에서 쓴 '결부제'에서 사용한 방식입니다. 마지기는 파종량 기준이므로, 건 땅이 더 넓어야겠죠. 참고로 실록에는 논에는 '마지기'가, 밭에는 '~일갈이'로 구별해서 표현했습니다. 논밭에 모두 쓴 경우는 민간에서 서서히 쓰다가 요즘은 모두 쓰는 것 같네요.


728x90
728x90

eOrganic author:

Michelle Wander, University of Illinois

In organic farming systems, soil fertility means more than just providing plants with macro- and micronutrients. Effective fertility management considers plants, soil organic matter (SOM), andsoil biology. Ideally, organic farming systems are designed to enhance soil fertility to achieve multiple goals. Important goals include: the protection and, if possible, improvement of soil physical condition so that the soil supports healthy plants and soil-dwelling organisms and has the ability to resist and recover from stresses like flooding or aggressive tillage; the maintenance of soil buffering capacity to minimize environmental degradation caused by soil loss or soils' failure to filter nutrients or degrade harmful compounds; and increased water and nutrient use efficiency by increasing biological fixation and retention of needed nutrients while reducing their loss from the system to the extent possible. Organic farming systems are designed with the aim of maintaining nutrients in organic reservoirs or in bioavailable mineral forms instead of just supplying nutrients through frequent fertilizer additions. This is achieved by cycling nutrients through organic reservoirs. Soil fertility is improved by organic matter management and not through input substitution. The remainder of this article explains why.

This cartoon depicts idealized changes that occur where fast mineral nutrient cycling (depicted by red arrows) in depleted organic reservoirs (depicted by blue sphere) is altered by improved management to result in slower cycling rates (yellow arrow) within an enlarged reservoir.
Figure 1. This cartoon depicts idealized changes that occur where fast mineral nutrient cycling (depicted by red arrows) in depleted organic reservoirs (depicted by blue sphere) is altered by improved management to result in slower cycling rates (yellow arrow) within an enlarged reservoir. Figure credit: Michelle Wander, University of Illinois.

The intention of organic systems is to manage the full range of soil organic and inorganic nutrient reservoirs and prevent unwanted loss by retaining them in forms that can be accessed by crops through biological leveraging. one objective during transition is to enhance symbiotic associations between plants and their microbial partners, organic reserves, and the physical environment. For more on the role that microbes play in N cycling see Soil Microbial Nitrogen Cycling for Organic Farms.

This holistic view is the basis for the soil fertility management practices used in organic agriculture. There are four soil fertility management practices typically used in organic cropping systems that determine the cycling and availability of nutrients in the soil:

  1. use of organic residues as soil amendments or sparingly soluble minerals;
  2. use biological N-fixation as the major N source;
  3. use of a rotation that includes active plant growth (cover crops, intercrops etc.) as much as possible and that minimizes bare fallow
  4. plant species are diversified in space and time to fulfill a variety of functions (minimize weeds and pests, support below-ground processes, erosion control, N fixation, build SOM etc.).

Organic fertility is not a matter of input substitution

Organic farming systems cannot rely on use of soluble, inorganic nutrient sources. Conventional fertilizer management guidelines hinge upon assessments of plant-available N and P combined with empirical fertilizer addition studies that are able to provide estimates of the amount of fertilizer required to achieve yield goals. Although many organic producers do use soil testing to assess soil nutrient levels, they report that while these tests often indicate that plant-available N or P may be limiting, their yields do not reflect these soil test results. There are several reasons to expect that organic production systems require their own suite of management tools. First, organic soil amendments vary in quantity and quality. Second, the condition of the soil resource plays a large role because it supplies and recycles added nutrients. Results can vary greatly after organic materials are added for a variety of reasons, some of which, can be managed. Current research on organic fertility management is looking closely into avenues for soil testing and management of amendments and soil biology to optimize fertility by taking into account the synergisms that occur in biologically active soils.

The figures above depict changes in N cycling in systems where N is supplied in inorganic fertilizers to systems that rely on organic sources. The size of the blue sphere represents the active or labile fraction of soil organic matter and the thickness and coloration of the arrows reflect the size and cycling rates of nutrient reserves. Red arrows identify pools that cycle more rapidly than yellow.
Figure 2. The figures above depict changes in N cycling in systems where N is supplied in inorganic fertilizers to systems that rely on organic sources. The size of the blue sphere represents the active or labile fraction of soil organic matter and the thickness and coloration of the arrows reflect the size and cycling rates of nutrient reserves. Red arrows identify pools that cycle more rapidly than yellow. Figure credit: Michelle Wander, University of Illinois.

Avoiding problems of nutrient over-addition with biology

Loss of nutrients applied to agricultural soils causes environmental harm. Off-site problems caused by over-application of nutrients are better recognized than are problems caused on-site. Conventional agriculture is cited as the primary source of non-point source and P pollution that contributes to myriad environmental and health risks. Problems of over-application in organic systems vary; probably P over-additions are most widespread where manure is readily accessible. This is because the ratio of P to N in manure exceeds that required by the plant.

Over-addition of N, particularly in readily available forms, is a common problem in agriculture. Over-addition in organic systems can occur in situations where leaching is restricted (e.g. in greenhouses) or after N rich cover crops or manures are applied. The notion that N surplus promotes microbial activity that contributes to nitrate leaching and nitrous oxide emissions, two important environmental problems, which works against organic matter storage, is finally being recognized by main stream scientists.

Excess nutrients can also increase plant susceptibility to pathogens and arthropod pests and can also lead to increased weed competition. For current research results see the video presentation by Larry Phalen on Biological Buffering. Tendencies toward nutrient leaching and the ability to hold and retain nutrients vary with soil types and climate. Soil texture and CEC are related to this, with nutrient storage capacity increasing with soil clay and silt contents and cation exchange capacities.

These problems and those associated with herbicide and insecticide application can be avoided by managing soils biological activity to enhance:

  1. Reliance on N-fixation as a source of N,
  2. Mycorrhizal associations,
  3. Plant-induced liberation of nutrients,
  4. General suppression of soil borne disease, and
  5. Decay of weed seed and inhibition of weed seed germination.

There is growing acceptance that maintenance of high levels of available nutrients works against these processes and accelerates organic matter decay. In addition, nutrient excess or imbalance can compromise plant and animal health. Excess tillage can have a similarly undesirable effect on soils and soil organisms. Of course tillage is an important tool for fertility management. Perennial sods are mechanically killed, cover crops are plowed in, and manures are incorporated. The figure below shows how tillage has been argued to alter the soil food web (Fig. 3). Heavy reliance on tillage in organic farming systems can only be maintained without harm in systems that include adequate plant cover and where tillage is timed to avoid compaction and erosion. Soil texture, slope, and climate all influence the degree to which tillage can or can not be safely tolerated.

The increased soil stratification and size and activity of soil organism populations under conservation tillage compared to conventional tillage lead to increased nutrient retention.
Figure 3. The increased soil stratification and size and activity of soil organism populations under conservation tillage compared to conventional tillage lead to increased nutrient retention. Figure credit: Ed Zaborski, University of Illinois. Adapted from House and Parmelee (1985).

This is why organic strategies for fertility management focus as much or more on crop rotation and tillage practices than they do on nutrient dense soil amendments. The contributions of carbon-rich amendments and roots to soil fertility are recognized within organic systems.

References and Citations

  • House, G. J., and R. W. Parmelee. 1985. Comparison of soil arthropods and earthworms from conventional and no-tillage agroecosystems. Soil and Tillage Research 5: 351–360.
  • Phalen, L. undated. Biological buffering: Building resilience from the ground up [Online audio slide presentation]. Agroecology and Sustainable Agriculture Program, University of Illinois, Urbana. Available at: http://www.vimeo.com/2151324 (verified 11 Jan 2009).

Additional Resources

Selected references that trace the historical origins of concept:

  • Darwin, C. 1881. The formation of vegetable mould through the action of worms with observations on their habits. John Murray, London.
  • Hopkins, C. 1910. Soil fertility and permanent agriculture. Ginn and Company, Boston, MA.
  • King, F. H. 1911. Farmers of forty centuries; or, Permanent agriculture in China, Korea, and Japan. Courier Dover Publications, New York.
  • Waksman, S. 1936. Humus: Origin, chemical composition, and importance in nature. The Williams & Wilkins Company, Baltimore, MD.
  • Albrecht, W. A. 1938. Loss of organic matter and its restoration. In Soils and Men.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Washington, DC.
  • Northbourne, L. 1940. Look to the land. 1st ed. Dent and Sons, London.
  • Howard, A. 1943. An agricultural testament. Oxford University Press, London.
  • Balfour, B. E. 1942. The living soil. Faber and Faber, London.
  • Rodale, J. I. 1945. Pay dirt: Farming and gardening with composts. Devin-Adair, New York.
  • Pfieffer, E. 1947. Soil fertility, renewal and preservation: Bio-dynamic farming and gardening. Faber and Faber, London.
  • Odum, E. 1969. Strategy for ecosystem development. Science 164: 262–270. (Available online at: http://dx.doi.org/10.1126/science.164.3877.262) (verified 21 March 2010).
  • Koepf, H. H., B. D. Petterson, and W. Shaumann. 1976. Biodynamic agriculture: An introduction. Anthroposophic Press, Spring Valley, NY.
  • Lowrance, R., B. R. Stinner, and G. J. House. (ed.) 1984. Agricultural ecosystems; unifying concepts.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Selection of additional readings:

  • Norton, B. G. 2005. Sustainability: A philosophy of adaptive ecosystem management. University of Chicago Press, Chicago.
  • Paustian, K., H. P. Collins, and E. A. Paul. 1997. Management controls on soil carbon. p. 15–49. In E. A. Paul, K. A. Paustian, E. T. Elliott, and C. V. Cole. (ed.) Soil organic matter in temperate agroecosystems: Long-term experiments in North America. CRC Press, Boca Raton, FL.
  • Pearson, H. L., and P. M. Vitousek. 2002. Soil phosphorus fractions and symbiotic nitrogen fixation across substrate-age gradient in Hawaii. Ecosystems 5: 587–596. (Available online at: http://dx.doi.org/10.1007/s10021-002-0172-y) (verified 21 March 2010).
  • Phillips, C. J., D. Harris, S. L. Dollhopf, K. L. Gross, J. I. Prosser, and E. A. Paul. 2000. Effects of agronomic treatments on structure and function of ammonia-oxidizing communities. Applied and Environmental Microbiology 66: 5410–5418. (Available online at: http://aem.highwire.org/cgi/content/full/66/12/5410) (verified 21 March 2010).
  • Randall, G. W., D. R. Huggins, M. P. Russelle, D. J. Fuchs, W. W. Nelson, and J. L. Anderson. 1997. Nitrate losses through subsurface tile drainage in Conservation Reserve Program, alfalfa, and row crop systems. Journal of Environmental Quality 26: 1240–1247. (Available online at:https://www.agronomy.org/publications/search?search[-3]=&searchType[-3]=Any&search[-2]=Randall&searchFields[-2][Author]=Author&searchType[-2]=Phrase&search[-1]=&searchFields[-1][Title]=Title&searchType[-1]=Phrase&volume=26&issue=&year=&first-page=&journal[jeq]=jeq&search[0]=) (verified 4 April 2011).
  • Rastetter, E. B., P. M. Vitousek, C. Field, G. R. Shaver, D. Herbert, and G. I. Agren. 2001. Resource optimization and symbiotic nitrogen fixation. Ecosystems 4: 369–388. (Available online at: http://dx.doi.org/10.1007/s10021-001-0018-z) (verified 21 March 2010).
  • Schimel, J. P., and J. Bennett. 2004. Nitrogen mineralization: Challenges of a changing paradigm. Ecology 85: 591–602. (Available online at: http://dx.doi.org/10.1890/03-8002) (verified 21 March 2010).
  • Stockdale, E. A., M. A. Shepherd, S. Fortune, and S. P. Cuttle. 2002. Soil fertility in organic farming systems—fundamentally different? Soil Use Management 18: 301–308. (Available online at: http://www3.interscience.wiley.com/journal/119192126/abstract) (verified 21 March 2010).
  • Wander, M. 2009. Agroecosystem integrity and the internal cycling of nutrients. p.137–166. In P. Bohlen and G. House (ed.) Sustainable agroecosystem management: Integrating ecology, economics, and society. Taylor and Francis, New York.
728x90
728x90




인도의 농업부에서는 2월 1~3일 농업 생산을 2배로 늘리는 것에 대한 회의를 개최했다. 초대된 “저명한 연사들”에는 개발을 위한 농업 과학기술 국제평가(IAASTD)의 회원이나 인도 과학자들이 아니었다. 그들은 오히려 GMO 반대운동을 하고 공개적으로 그것을 홍보하다가 생명공학 산업의 지도자로 돌아섰다. 먹을거리와 농업에 대한 오래된 패러다임은 확실하게 무너졌다.


2008년 4월 15일, IAASTD는 400명의 과학자들이 6년에 걸쳐 수행한 연구보고서를 발표했다. 그 보고서에서는 지금과 같은 방법은 더 이상 대안이 아니라고 지적했다. 녹색혁명만이 아니라 유전자조작 생물체(GMO)도 식량안보를 보장할 수 없다는 것이다. 우리에게는 자연의 법칙과 생태적으로 지속가능하게 작동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필요하다. 왜 인도의 농업부 장관 Sharad Pawar 씨는 이미 죽은 패러다임을 방어하고 생명공학 거인들의 영업사원이 되었는가? 새로 발생한 생태농업의 과학적 패러다임은 우리가 지구와 인간의 건강 및 농민의 생계를 보호하면서 식량생산을 2배로 늘릴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혔다.

농업의 오래된 패러다임은 전쟁에 뿌리를 두고 있다. 폭탄과 화학무기를 만들며 성장한 산업이 전쟁이 끝난 뒤에 자신을 농화학산업으로 개조했던 것이다. 폭탄을 만들던 공장들이 인공 화학비료를 만들기 시작하고, 화학무기는 점차 살충제와 제초제로 바꾸었다. 1984년의 인도 보팔에서 발생한 가스폭발사고는 농약이 사람을 죽인다는 것에 대한 신호였다. 농업에서 농약은 지속적으로 농민을 죽이고 있다. 2012년 발표된 Navdanya의 보고서 가운데 하나인 “우리 먹을거리의 독(Poisons in our Food)”은 농업에서 사용하는 농약과 암과 같은 질병의 유행이 연결되어 있음을 밝힌다. 날마다 “암 열차”가 희생자들을 싣고 인도의 녹색혁명 중심지인 펀자브 지역을 떠난다. 지난 5년 동안 펀자브 지역에서는 3만3천 명이 암으로 죽었다.

화학적 압력은 농업의 패러다임을 바꾸어 놓았다. 생태적 과정과 함께 협력하고 다양한 종과 함께 농업생태계의 건강을 고려하는 대신, 농업은 화학물질에 순응하며 외부투입재에 의존하게 되었다. 소농이 다양한 농산물을 생산하는 대신, 화학물질에 의존한 대규모 단작이 몇 가지 안 되는 농상품에 집중하게 되었다. 그에 따라 8500가지의 식물종을 먹던 인간의 식단은 세계적으로 거래되는 영양가가 부족하고 독성을 함유한 8가지로 바뀌었다. 

과학적 패러다임도 변화되었다. 전체론적 접근법을 채택하는 대신, 환원주의와 기계론적 패러다임에 기반을 둔 파편적인 학문에 따르게 되었다.

국내총생산이 실물 경제와 자연과 사회의 건강성을 측정하지 못하는 것처럼, "수확량"이란 범주는 농업 체계의 실제 비용과 실제 산출을 제대로 측정하지 못한다.

2010년 10월 25일, 유엔의 식량농업기구는 식량과 농업에서 세계의 식물유전자원의 상태에 대한 두 번째 보고서를 발표했다. 그 보고서에서는 화학물질에 반응하도록 육종한 것이지 "다수확"을 올릴 수 있는 것이 아닌 이른바 녹색혁명의 다수확 품종(HYVs)을 관찰했다. "수확량"이란 편협한 측정기준이 농업을 대규모 단작의 구렁텅이로 몰아감에 따라 다양성이 사라지고 자연과 사회의 자산이 서서히 파괴되었다. 

FAO의 보고서에 따르면, 공업형 대규모 단작 농업은 농업생물다양성의 75%가 멸종되도록 만들었다. 75%의 벌이 독성 농약으로 인해 죽임을 당했다. 지구에 있는 물의 75%가 화학물질을 집약적으로 사용하는 공업형 농업의 집약적 관개로 인해 오염되었다. 공업형 농장에서 나와 물에 녹아든 질산염이 바다에 "죽음의 구역"을 만들고 있다. 화학적 공업형 농업은 75%의 땅과 흙을 악화시켰다. 

기후변화의 원인이 되는 전체 온실가스 배출의 40%가 화석연료와 화학물질을 집약적으로 사용하는 세계화된 공업형 농업 체계로 인해 발생한다. 이러한 자연 자산에 대한 생태적 파괴를 “사람들을 먹여살린다”는 명목으로 정당화하면서도 기아 문제는 커지고 있다. 10억 명의 사람들이 늘 굶주리고 있다. 또 다른 20억 명은 음식과 관계된 영양실조와 같은 질병으로 고통을 받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기아와 영양실조는 건강과 지속가능성보다 이윤에 의해 구동되는 식량체계 때문이다.

영양가 있는 먹을거리 대신 무역을 위한 농상품의 생산에 초점이 맞춰질 때 기아와 영양실조가 발생한다. 옥수수와 대두의 단 10%만이 먹을거리로 쓰인다. 나머지는 동물 사료나 생물연료에 사용된다. 농상품은 사람들을 먹여살리는 식량이 아니다. 고비용의 외부투입재 체계는 보조금으로 4000억 달러를 인위적으로 유통시킨다. 그건 하루에 10억 달러 이상이다. “값싼” 농상품은 재정적, 생태적, 사회적으로 매우 고비용인 것이다. 공업형 화학농업은 농촌 가족을 쫓아낸다. 부채를 지게 하는 것이다. 부채와 주택담보대출은 가족농이 사라지는 주요한 원인이다. 극단적인 경우 인도의 목화 농업지대에서는 값비싼 종자와 화학투입재를 구매하며 부채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지난 10여 년에 걸쳐 12만7천 명 이상의 농민이 자살하게 되었다. 이러한 자살 경제에서 벗어나는 것이 농민과 지구의 모든 생명을 위해서 중요해지고 있다.

농업의 과학적, 생태적 강력한 패러다임이 지속가능한 식량안보가 의존하는 자연 자산(흙, 생물다양성, 물)을 활성화시키는 농생태학과 유기농업의 모습으로 대두되고 있다. 화학농업은 흙을 화학비료를 담는 죽어 있는 빈 용기로 취급한다. 새로운 패러다임은 수십 억의 토양 생물들이 토양을 비옥하게 만든다며 흙을 살아 있는 것으로 인정한다. 화학농업은 생물다양성을 파괴하게 된다.

생태농업은 생물다양성을 보존하고 활성화시킨다. 화학농업은 물을 고갈시키고 오염시킨다. 유기농업은 유기물을 순환시켜서 토양의 보수력을 증진시킴으로써 물을 보존한다. 

생물다양성과 유기물이 풍부한 흙은 기후변화에 대응하여 탄력성과 적응성을 높이는 최고의 전략이다. "수확량"이란 환원주의적 범주 대신 생태발자국을 줄이는 한편 다양성과 영양적 혜택이란 기준으로 측정하면 유기농업이 생산물을 증가시킨다. 

2011년에 발표한 Navdanya의 또 다른 보고서인 “재배면적당 건강성(Health per Acre)”은 생물이 다양한 유기적 체계가 농촌 가족들을 위한 더 많은 소득과 더욱 생물이 다양한 생산물을 생산하는 생태적 체계라는 것을 밝혔다. 우리의 보고서에서는 재배면적당 영양이란 측면에서 측정했을 때 생태적 체계가 더 많은 먹을거리를 생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는 생태적으로 먹을거리의 생산을 2배로 늘릴 수 있다. 생태농업 체계는 배려와 연민과 협력에 기반을 하고 있다. 그들은 생태적 탄력성, 다양성 지속가능한 생계와 건강을 향상시킨다. 

농업의 새로운 패러다임이 모두의 행복을 증진시키는 생활경제와 생활문화를 창출한다.



글: 반다나 시바

출처: http://goo.gl/LhZhB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