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변화8

조선 후기 식기 및 음식의 특색과 변화 -이은경 석사 논문 본 논문은 조선시대 후기의 사회, 문화적인 환경을 바탕으로 식기와 음식이 어떤 특색을 가지고 변화, 발전하는지 고찰하면서 식기와 음식의 상호연관성을 연구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이를 위해 우선 조선시대의 사회전반적인 시대적 배경을 살펴보았으며 사용된 식기의 종류와 쓰임을 보기위해서 이 시기 조선의 식기를 가장 정확하게 조사 정리한 아사카와 다쿠미의 ‘조선 도자명고’의 내용을 근거로 하였다. 식기의 형태와 문양의 변화는 오늘날 유물로 전해지는 여러 작품을 중심으로 시기별로 비교하면서 전개시켜 나갔다.또한 문헌에 나타난 음식과 식기의 종류를 보기위해 조선후기에 기록된 의궤와 조리서를 참고로 고찰하였다. 의궤는 시기별로 1719년, 1829년, 1902년의 의궤로 하였으며 기록 중에서 기용부분과 도식부분의 해석.. 2025. 1. 10.
일본의 월별 명칭 1月の和風月名・異称睦月(むつき) : 睦月とは、仲睦まじい月を意味。新年を迎え、家族や親類知人が往来し、仲睦まじくすることに由来。そのほか、'生月(うむつき)'、稲の実をはじめて水に浸す月で'実月(むつき)'が転じたという説もある。 正月(しょうがつ)  : 一年の最初の月という意味で、とくに'松の内'をさす。室町時代中期の辞典『壒嚢鈔(あいのうしょう)』によると、「政治に専念した秦の始皇帝の降誕の月を政月(せいぐゎつ)と言っていたものが、正月と書かれるようになり、しゃうぐゎつと改められた」とある。「正」という字には、正しくする、改めるという意味がある。 初春月(はつはるづき), 新春(しんしゅん), 孟春(もうしゅん) : 春の初め、新しい春という意味。旧暦の1月は立春に近いこと、立春から二十四節気が始まることから、春は1年の始まりを意味している。孟春の'孟'という字には、物事の最.. 2024. 9. 1.
기후변화에 따른 연도별 벼 불임률 재미난 지도를 보았다. 기후변화에 따른 연도별 벼 불임률 지도. 지도를 보면, 그러니까 2060년 정도 되면 지금과 똑같은 벼 품종으로는 농사가 제대로 되지 않는다는 이야기이다. 농사가 되긴 되는데 평균 20% 정도는 이삭이 제대로 맺히지 않는다는 뜻이다. 저 북쪽이나 현재의 고랭지에.. 2019. 11. 18.
인구 감소와 한국 사회 저출산 고령화로 인해 한국 사회가 어떻게 변할지에 대한 좋은 기사가 있어 퍼 왔다. http://realestate.daum.net/news/detail/main/20180702001156984 지금부터 10년의 인구 변동, 한국 사회 통째로 바꾼다 인구학으로 본 대한민국 우리 사회에서 저출산 고령화라는 단어가 회자한 지 얼마나 되었을까? 얼마.. 2018. 7. 2.
전주의 인구 통계 전주의 인구는 얼마나 될까? 가장 정확한 건 행정안전부에서 제공하는 주민등록 통계자료일 것이다. http://www.mois.go.kr/frt/sub/a05/totStat/screen.do 최대 42개월의 자료를 제공하고 있어 2015년 5월부터 1년 단위로 2018년까지 살펴보았다. 결과는 아래와 같다. 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오르락내리락 .. 2018. 6. 11.
18가지 도표로 보는 미국 농업의 변화 미국의 농장은 변화했다. 20세기 전반기에 농민은 수천 평의 땅에서 여러 작물과 가축을 키웠다. 오늘날, 대부분의 농민은 훨씬 더 넓은 면적에서 몇 가지나 한 가지 농산물에 특화되어 있다. 그러한 집중은 농민이 더 많은 수익을 내는 데 도움이 되었지만, 한 가지 농상품 가격에 널을 뛰.. 2018. 2.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