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방제8 박쥐의 해충 방제 효과 옛날엔 서울에서도 어스름한 밤이 되려 하면 동네 야산에서 박쥐가 나와 날아다니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물론 서울 변두리이긴 했지만, 난 아직도 그 모습을 기억한다. 국립생태원에서 2016년 2월부터 10달 동안 삼척·문경·안성·함평·제주 지역에서 집박쥐, 긴날개박쥐 등 곤충을 먹.. 2019. 6. 21. 생쥐와 동거하는 혁신도시 지금 이곳이 원래 농경지였던 곳을 밀어버리고 신도시를 건설해서 그런지, 참으로 쥐가 많다. 예전에는 그저 아직도 남아 있는 주변의 축사 때문에 축산분뇨 냄새가 심하구나 했는데, 살다 보니까 축산분뇨 악취에다 근거리에 있는 공단에서 날아오는 공장 냄새가 간혹 한번씩 나더니, .. 2018. 1. 7. 해충 통제도 유전자변형 기술을 활용한다고 2010년대에 들어와 자주 보았던 뉴스가 있다. 모기를 매개로 하여 확산되는 질병을 막고자, 유전자변형 모기를 풀어서 해결한다는 이야기들이다. 아래의 기사들을 보면 그 내용을 살펴볼 수 있는데, 핵심은 이렇다. 사람의 피를 빨지 않는 수컷 모기의 유전자를 변형해 치명적 유전자를 가.. 2017. 7. 14. 미국선녀벌레, 흔하디 흔해진 외래종 곤충 한국에도 미국선녀벌레가 들어왔다는 이야기는 들었는데, 요즘 곤충들을 살펴보고 있는지라 한번 찾아보았다.유럽에는 이미 1970년대 말에 이탈리아에서 처음 발견된 뒤, 40여 년이 지난 현재 계속 퍼져서 표에 보이듯이 저런 상황이라고 한다. 그럼 방제법은 딱히 없는가 해서 살펴보니, .. 2017. 7. 7. 풀을 억제하는 한 방법 매우 재미난 연구결과입니다. 개밀의 경우, 영양 경쟁보다 빛 경쟁에 더 취약한 모습을 보인다고 하네요. 영양 경쟁을 할 때는 오히려 뿌리줄기를 더욱 발달시켜서, 이듬해에 또 그 뿌리줄기들에서 더 많은 싹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겁니다.그러니까, 여러해살이 풀인 개밀을 억.. 2017. 4. 26. 소루쟁이를 먹는 벌레 오늘은 산책을 하다가 말라죽어 있는 소루쟁이의 잎을 발견하고 신기해서 자세히 들여다보았다. 그랬더니 까만 벌레가 붙어서 갉아먹은 것임이 드러났다. 지인들께 물으니 이게 바로 무잎벌레, 좁은가슴잎벌레라고 하더라. 이놈들, 주로 무와 배추에 달라붙는 해충의 하나이다. 그러니.. 2017. 4. 24. 이전 1 2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