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무역8 아프리카 대륙의 상호불신 문화, 그리고 한국 아프리카 대륙에 만연한 '상호불신 문화'가 어디에서 기인하는가에 대해 분석한 연구가 있다고 한다. 이거 한국도 해당하는 것 같아서 찌릿찌릿하다. 언어의 한계 때문에 정확히 옮기지는 못하겠지만, 대략 이런 내용이다. 아프리카 대륙에서는 악명 높은 노예 무역이 횡행했다. 그런데 .. 2019. 10. 1. 중세의 동서 교역로 그 옛날부터 동과 서는 이렇게 연결되어 있었다. 이 길들을 따라 사람이 오가고, 그에 따라 새로운 식물과 동물이 오가고, 그를 기르는 방법들이 오가며, 그걸 거두어 먹는 법도 왕래했겠지. 그나저나 이런 걸 만들다니 대단하다. https://merchantmachine.co.uk/medieval-trade-routes/?fbclid=IwAR19eDIpPbX282ud.. 2019. 3. 27. 농업 전쟁을 선포한 트럼프 대통령 미국 시간으로 6월 1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런 트윗을 올렸다. https://twitter.com/realDonaldTrump/status/1003634405036961793 내용은 "미국 농민들은 지난 15년 동안 제대로 하지 못했다. 멕시코, 캐나다, 중국 및 기타 국가는 그들을 불공정하게 대했다. 내가 무역협상을 마무리하면 그런 것은.. 2018. 6. 5. 대두 전쟁 요즘 미국과 중국의 무역을 둘러싼 힘겨루기로 불안불안하다. 그러나, 결론부터 이야기하면 중국은 미국을 아직은 절대 이길 수 없다. 결국은 미국이 원하는 대로 흘러갈 가능성이 높은데, 중국도 그 점을 잘 알고 있으니 최대한 자존심 상하지 않게 자신의 요구를 수용하게 만들고자 하.. 2018. 4. 15. 유럽의 수렵채집인과 농경민 사이의 무역망이 있었다는 주장 밀 농사는 현재의 터키에서부터 남쪽(보라색 화살표)과 북쪽(노란색 화살표)을 통해 유럽으로 퍼졌다. 그런데 이번 Bouldnor Cliff의 바닷속 토양에서 복원한 DNA를 분석하니 영국에서 밀이 재배되기 2천 년 전에 전파되었음이 밝혀졌다. 영국 남부 해안에 살던 수렵채집인들이 영국 제도에 밀.. 2015. 2. 27. 설탕, 그 달콤하지 않은 이야기 요즘 음식은 달아도 너무 달다. 어째 이렇게 달기만 한 것인지 놀라울 정도로 달다. 불고기도 달고, 음료수도 달고, 온통 단맛 투성이다. 단맛이 나지 않는 걸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사람들은 단맛에 익숙해져 있고, 이제는 달지 않으면 맛이 없다고 생각할 지경이 되었다. 심지어 과일도 .. 2013. 7. 29.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