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목화를 살펴보는 인도의 농민




어떻게 생명공학 기업들이 종자시장을 독점하여 종자의 가격을 상승시키고, 농부의 선택권을 없애는가?


이 글은 2부 가운데 첫 번째이다.



유전자변형 작물의 도입으로 점점 생명공학 기업들의 종자 독점이 증가하고 있으며, 일부 국가에서는 비극을 낳는 종자 비용의 상승으로 이어지는 한편, 토종 종자를 밀어내고 농민의 종자 선택권을 감소시키고 있다. 이러한 영향은 미국, 브라질, 인도, 필리핀, 남아프리카, 유럽에서도 볼 수 있다. 


종자 독점


미시간 주립대학의 Philip Howard 씨에 따르면, 경제학자들은 종자시장의 40%를 4개의 기업이 통제하고 있어 더 이상 경쟁적이 아니라고 한다. AgWeb에 따르면, “거대 4개의” 생명공학 종자회사 —몬산토, 듀폰, 신젠타, 다우— 가 미국 옥수수 시장의 80%와 콩 사업의 70%를 소유한다.


농부에서 농부(Farmer to Farmer) 운동의 보고에 따르면, 몬산토는 옥수수와 콩, 목화, 채소의 종자시장을 획득하면서 10년도 안 되어 세계의 가장 큰 종자회사가 되었다. 종자를 파는 이외에도, 몬산토는 다른 종자회사의 유전자변형 특성을 인가한다. 그 결과 매년 파종되는 미국 옥수수의 80% 이상과 콩의 80% 이상은 몬산토의 특허를 받은 유전자변형 특성을 함유한다.


몇몇 업체에 의해 업계가 지배된다는 건 작은 종자회사가 더 큰 기업에 구매되고, 반독점법의 집행을 약화시키고, 농민들이 종자를 갈무리하지 못하게 하면서 대법원의 판결로 유전자변형 작물과 기타 식물의 물질에 특허를 주도록 한다는 것을 포함한다. 


미국 법무부(DOJ)는 2010년 농민들이 그 기업의 행위를 설명하는 공개회의를 개최한 뒤 종자시장에 대한 몬산토의 지배력을 조사했다. 그러나 2012년 말, 법무부는 “종자산업에서 반경쟁적인 행위의 가능성에 대한 조사를 마친다”고 발표했다. 


미국 반독점연구소의 부소장 Diana Moss 씨는 Mother Jones의 블로그 운영자 Tom Philpott 씨에게 “2년 조사를 하고 우리의 견해는 무시하고 검토 없이 마쳤다”고 이야기했다.


일리노이 농업협회에서 농상품 수석이사인 Tamara Nelsen 씨는 몬산토와 반독점법 위반으로 법무부에 기소가 되었던 마이크로소프트를 비교한다. “콩 생산의 93%가 라운드업 레디입니다”라고 Nelsen 씨는 Nature Biotechnology에 말했다. “모든 사람이 여전히 마이크로소프트의 체제에 있다고 생각한다. 적어도 농민들이 그렇게 느낀다는 것이다.”


유전자변형 종자 가격의 꾸준한 상승


종자시장이 독점되고 있다는 또 다른 지표는 점점 상상하고 있는 유전자변형 종자의 가격이다. Moss 씨는 경쟁적인 시장에서 광범위하고 빠르게 채택되는 기술 —유전자변형 작물 같은— 은 일반적으로 가격의 급락을 겪는다.


정반대의 일이 유전자변형 작물에서 일어났다. 워싱턴 주립대학의 지속가능한 농업과 자연자원 센터의 연구교수 Charles Benbrook 씨는 2000년부터 2010년까지 유전자변형 콩이 시장을 지배하게 되면서 그 가격은 230% 증가했다고 보고했다. 2010년 몬산토의 라운드업 레디2 콩의 가격은 한 자루당 70달러였는데, 2001년 유전자변형 종자의 가격에서 143% 상승한 것이다. 


미국 농무부의 경제연구소 서비스에 따르면, 1995~2011년 사이 콩과 옥수수 종자의 1200평당 평균 비용은 각각 325%와 259% 상승했다. 이는 대략 유전자변형 옥수수와 콩의 재배면적이 20% 미만에서 80~90% 이상으로 늘어나던 시기이다. 


Moss 씨는 유전자변형 종자의 점진적인 가격 상승은 농민들이 곡물 가격의 상승으로 벌어들이는 이득을 능가하며, 그 결과 농민들이 고비용 저소득으로 압박을 당하게 되었다고 한다. 


“세계 곳곳에서 많은 농민들의 삶을 파괴하고 있다


유전자변형 종자의 계속 상승하는 가격에서 발생하는 문제는 개발도상국에서 가장 극적이고 비극적인 모습으로 나타난다. Consumers International에 의해 수행된 연구에 따르면, 필리핀의 27만에 이르는 소농이 유전자변형 옥수수를 재배해도록 강요당하여 결국 빚더미에 앉게 되었다. 옥수수 종자의 비용이 도입될 때보다 282% 상승하면서 농민의 총 생산비에서 18~21%를 차지하게 되었다. 그 나라에서는 종자의 공급과 돈 빌려주는 일을 같이 하는 업자들이 만약 농민이 유전자변형 옥수수의 재배를 거부하면 대출을 해주지 않는다.


비싼 유전자변형 종자 가격의 영향은 1998년 이후 25만의 소농이 목숨을 끊은 인도에서 더욱 극심하다. 인도의 농민들은 인도의 면 생산 가운데 95%를 차지하는 유전자변형 Bt 목화를 재배한다. 뉴욕타임즈의 보고에 따르면, 종자의 가격이 한 자루에 700~2000루피(38달러)에 달하여, 토종 종자의 비용보다 약 3~8배나 한다. 필리핀의 상황과 비슷하게, 인도의 농민들도 값비싼 유전자변형 종자와 농약을 사느라 부채를 지게 되었다. 흉년이 들면, 많은 농민들이 농약을 마시고 자살하는 것이다. 


인도 정부의 자문에 따르면, 자살은 유전자변형 목화의 도입 이전에 시작되었지만 유전자변형 목화가 그 문제를 가속화시켰다고 한다. “목화 농민들이 Bt 목화로 전환한 뒤 깊은 위기에 빠졌다. 2011~2012년 농민 자살의 만연이 Bt 목화 재배 농민들 사이에 특히 심각해졌다”고 진술했다. PBS의 다큐멘터리 “자살의 종자(Seeds of Suicide)”에서도 부채와 그로 인한 자살에 값비싼 유전자변형 종자와 농약을 연관시켰다. 


미시간 대학에서 생태학과 진화생물학을 전공하는 John Vandermeer 교수는 유전자변형 종자가 "지금 세계 곳곳에서 많은 농민의 삶을 파괴하고 있다"고 한다. 



(2부는 비GMO 종자의 가용성을 제한하고, 미국과 유럽, 브라질, 남아프리카에서 농민의 선택권을 줄이고 있는 점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참고자료:

  • Philip Howard. “Visualizing Consolidation in the Global Seed Industry: 1996–2008.” Sustainability 2009, 1(4), pg. 1266-1287.
  • Sara Shafer. “Behind the Seed Scene.” AgWeb. July 28, 2012.
  • Kristina Hubbard, Farmer to Farmer Campaign on Genetic Engineering. “Out of Hand: Farmers Face the Consequences of a Consolidated Seed Industry.” December 2009.
  • Tom Philpott. “DOJ Mysteriously Quits Monsanto Antitrust Investigation.” Mother Jones. December 1, 2012.
  • Charles Benbrook. “The Magnitude and Impacts of the Biotech and Organic Seed Price Premium.” December 2009.
  • Daniel Grushkin. “Threat to Global GM Soybean Access as Patent Nears Expiry.” Nature Biotechnology. January 2013, Vol 31: 10-11.
  • Vivekananda Nemana. “In India, GM Crops Come at a High Price.” New York Times. October 16, 2012.
  • Z. Haq. “Ministry Blames Bt Cotton for Farmer Suicides.” Hindustan Times. March 26, 2012.



http://www.non-gmoreport.com/articles/february2013/the-gmo-seed-cartel.php

728x90
728x90

Of all the GMO controversies around the world, the saga of Bt cotton in India continues to be one of the most interesting and important. In the latest chapter, reported by theBusiness Standard, cotton yields have dropped to a 5-year low, setting off a fascinating round of finger pointing.


Data from the India Ministry of Textiles.

India approved Bt cotton in 2002 and within a few years yields were up dramatically. There are different sets of data out there, but let’s use the India Ministry of Textiles data since it’s this weeks news story. This chart shows the national trends in cotton yield (kg per hectare).

If you follow GMO debates you will have heard several years of kennel barking about how these figures show a “remarkable success.” But as I have pointed out (in my blog and in EPW), most of the rise in productivity had nothing to do with Bt cotton; in fact it happened before Bt cotton became popular.

Check it out: the biggest rises were from 2002/3 to 2004/5, when yields rose 56% from 302 to 470 kg. But by 2004/5, only 5.6% of India’s cotton farmers had adopted Bt. Do the math: if those 5.6% of planters were really responsible for a 56% rise in yields, then they must have been harvesting 3,288 kg/ha.

So Bt didn’t explain the big rise in yields, and since Bt has taken over, yields have been steadily worsening. What are we to make of this? Well, two things, according to the Business Standard and the Monsanto spokesperson who was their main informant. one has to do with what has gone wrong, the other with what we need to get out of this mess.

1. What Went Wrong? (the farmers screwed up?)

It seems the bollworms — the voracious pests that that Bt cotton is designed to kill — are developing resistance. But resistance, according to Monsanto, is “natural and expected.”

Whoa — that’s not what the farmers were told to expect. I was there when Bt cotton was being rolled out and they were told repeatedly and confidently that they wouldn’t have to spray any more. In fact we were all being told that “genetic farming is the easiest way to cultivate crops. All that farmers have to do is to plant the seeds and water them regularly. The genetically modified seeds are insect resistant, so there is no need to use huge amounts of pesticides.”

All the farmer has to do is plant and water the seeds… and then wait around for resistance, which is natural and expected. But wait there’s more: when it does appear, it’s the Indian farmers’ fault. Monsanto’s spokesman explains:

Among the factors that may have contributed to pink bollworm resistance to the Cry1Ac protein in Gujarat are limited refuge planting and early use of unapproved Bt cotton seed, planted prior to GEAC approval of Cry1Ac cotton, which may have had lower Bt protein expression levels, he added.

A “refuge” is a strip of non-Bt seeds farmers are asked to plant around their Bt fields, basically to raise bollworms that aren’t resistant to Bt, so they can hopefully breed with any resistant bollworms.[1] Very few Indian farmers actually do this, because it’s a lot of extra work for no return. Here’s an insight from 30 years of research on farming: if you’re pushing a technology that is only sustainable if farmers follow practices that require extra work for no return, you are pushing an unsustainable technology.

The other Monsanto suggestion is that the farmers are to blame for planting unapproved seeds. Sorry, that dog don’t hunt. Those unapproved seeds were Navbharat-151 and they have been much written about; they were better than the approved seeds, and their Bt levels were apparently sky high. Gujarat, where they were planted, has had India’s biggest rises in yields.

But while we’re blaming Indian farmers, why stop there? Monsanto also explains that

farmers have been constantly educated to adopt measures such as need-based application of insecticide sprays during the crop season and adoption of cultural practices like keeping the field clean of cotton stubble and crop-leftovers, ploughing of land after harvest so that the resting stages of the insects in the soil could be destroyed.

I have yet to bump into the educators who are giving farmers constant remediation on spraying, plowing, and field clearing. But I do bump into a lot of biotechnology people who pontificate on the wisdom of the Indian farmer. The farmer has long been seen as backward, tradition-bound, and inept. “We need to teach proper tillage,” a Monsanto executive explained to me years ago. But farmers are obstinate, and in fact this was one of the arguments for GM seeds:

It’s his fault.

for years people have tried to change cultural practices of these farmers, and it just hasn’t worked. It has been a complete failure, because you have to modify infrastructure, you have to re-educate them as to how to modify their farming practices themselves. But with biotech, the technology is in a seed. All you have to do is give them the seed. (-biotechnologist Martina McGloughlin)

But as soon as Indian farmers adopted GM seeds, we were told that “we should leave the choice of selecting modern agricultural technologies to the wisdom of Indian farmers” and that “farmers are excellent businessmen who aren’t persuaded by anything or anybody that doesn’t make their job easier or more profitable.” [2]

So don’t question the wisdom of the farmer! He is a genius — at least when he is buying GM seeds. But otherwise, he has to be told how to plant, spray, plow, and clear fields!

2. Now What? (More innovation?)

So despite all the GM seeds, India’s cotton yields keep on dropping. (In some states, they are now lower than they were before Bt seeds became popular.) So what’s the way forward?

To me this is a very hard question, but not to the Business Standard, which simply reports the news that

continuous R&D and innovation to develop new value-added technologies is imperative to stay ahead of insect resistance. To support such innovation, Monsanto demanded government policies’ support to encourage investment in R&D which will result in Indian farmers having a wider choice of better and advanced technologies translating thereby, higher yield.

No kidding — innovation from Monsanto is going to keep us ahead of the insects and guarantee higher yields. But lets take a look at the facts, at least as reported by the industry-friendly ISAAA. Yields started dropping after 2007/8. But that was just after new genetic constructs started appearing: a new 2-gene technology in 2006/7, and by 2009, six different constructs were approved. And these rapidly proliferating technologies were appearing in dizzying numbers of seed products. After 2006/7, the number of Bt hybrid seeds being offered to farmers jumped from 62 to 131 to 274; by 2009/10 there were 522.

There you have it: Indian cotton farmers today are being pelted with a hailstorm of new gene technologies and seed products, their yields steadily dropping, and the way forward is clear to the Business Standard: invest in Monsanto innovation.

————————————————————————————————-

[1]Further explanation: A field full of Bt plants puts selective pressure on bollworm populations favoring worms with natural resistance to Bt. The resistant bollworms would thrive and spread the resistance trait, while the Bt-vulnerable bollworms die off. The plants in the refuge are non-Bt, so Bt-sensitive worms are supposed to thrive there; they are supposed to mate with the Bt-resistant worms and water down the resistance trait.
[2] Pinstrup-Andersen, P., and E. Schioler 2000 Seeds of Contention: World Hunger and the Global Controversy over GM Crops. Baltimore: Johns Hopkins Univ. Press; Fumento, M. 2003 BioEvolution: How Biotechnology is Changing Our World. San Francisco: Encounter Books.


728x90
728x90

Two Cotton Fields from SC-NRCS & ESRI-SC Partnership on Vimeo.



똑같은 목화밭인데 토양 간리를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서 차이가 난다는...


한쪽은 그냥 맨흙을 노출시켜 목화를 심고, 다른 한쪽은 덮개작물을 덮은 다음 심었더니 이런 차이가 난다.

토양 표면의 온도와 습도 등에 큰 차이를 준다고... 눈으로 확인하시라!


728x90

'곳간 > 영상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행농업의 경운과 토양의 건강  (0) 2013.01.30
유기농업과 토양의 건강  (0) 2013.01.30
흙 이야기  (0) 2013.01.30
마블링 권하는 사회  (0) 2013.01.21
도시 양계  (0) 2013.01.18
728x90

인도의 유전자조작 목화의 도입과 농민의 자살률 증가라는 사실이 어느 정도 논리적이긴 하지만 모든 원흉이 유전자조작 씨앗에 있는 것은 아니라는 글이다. 나도 이 글을 읽기 전에는 인도에게 유전자조작 씨앗은 재앙만 가져왔다고 생각했는데 조금 달리 생각할 필요가 있을 것 같다. 인도의 자살률은 1시간에 15명 정도로 한국과 마찬가지로 세계에서 가장 높은 편에 속한다고 한다(http://blog.daum.net/stonehinge/8727727). 이렇게 높은 자살률이 꼭 GM 씨앗 때문에 발생한다고 볼 수는 없을 것이다. 물론 GM 씨앗의 비싼 가격과 그것이 흉작으로 이어졌을 때 발생하는 부채 문제는 한 요인으로 작용했을 것이다. 그렇다고 GM 씨앗이 도입되면서부터 자살률이 높아지고 그것만 제거하면 자살자들이 줄어든다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GM 씨앗이 사라져도 농민들은 정부의 정책과 사회구조 등에 따라 생활에 압박을 받을 수 있고, 그것이 자살로 이어지는 원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니 GM 씨앗=악의 씨앗이라는 단순한 논리구조는 철회되어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그렇다면 인도의 농업과 농민에게 GM 씨앗의 어떠한 점이 문제가 되는지 그걸 집중적으로 파고들어갈 수밖에 없다. 아무튼 아래의 글을 통해 인도의 농업과 농민의 자살 문제를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을 접할 수 있어서 좋았다. 농민의 빈곤 문제가 GM 씨앗 이전에 놓여 있으리라... 


추가로 얼마전 인도에서 집단으로 성폭행을 당한 젊은 여성들의 문제도 무시할 수 없는 사회현상이라고 생각한다. 인도 특유의 카스트라는 계급제도의 문제, 빈곤, 성차별, 부정부패 등등이 인도의 젊은이들, 특히 젊은 여성들에게 지옥문을 열고 있는 것은 아닌지 모르겠다(http://blog.daum.net/stonehinge/8727729). 인도라는 사회에 대한 환상이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그런 것이 있다면 버리자. 어디나 사람 사는 곳은 마찬가지다. 인도에 간다고 제3의 눈이 열리고, 깨달음을 얻고 하는 그런 일이 일어나지 않는다. 인도 사람들이 다들 성자고, 영적인 존재들인 것도 아니다. 인도도 한국과 마찬가지로 사람들이 하루하루 노동하며 살아가는 곳이다. 실상을 제대로 보고 해결책을 모색할 때, 그때 깨달음이라는 것도 찾아올지 모른다.

---------



Nani Kisol  마을에서 목화를 심을 밭을 준비하려고 쟁기질하는 인도의 농민들.



그것은 유사 이래 자살자의 거대한 파도라고 부른다. 

인도에서는 부채에 짖눌린 농민이 30분마다 자살한다고 인권활동가가 말한다. 대금업자와 해로운 농업정책이 유전자조작 목화 씨앗의 도입과 연관되어 있다고 한다. 

Charles 왕세자는 “인도에서 어느 정도 GM 작물의 흉작에 기인하는 소농의 자살률은 참으로 소름끼치고 비참하다”고 언급했다. 영국의 Daily Mail은 이를“GM의 대량학살”이라고 부른다.

GM 씨앗만 자살로 연결되는 것이 아니다. 

“농민의 자살이란 문제는 단지 농민만의, 또는 농촌만의, 또는 마을만의 문제가 아니다. —그것은 훨씬 폭넓은 정치경제적 문제다”라고 요크대학의 교수 Raju Das 씨는 말한다. 


농민에 집중되면서 일반인에 비해 2배나 높은 자살률을 보이는 젊은 인도 여성들의 자살 위기는 잊혀졌다.

농민의 자살 문제는 1995년 인도 남부의 마하라슈트라에서 자살하는 농민들이 많아진다는 보고가 나온 뒤 처음으로 언론의 관심을 받았다.



인도의 다른 주에서도 농민의 자살이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그러나 미국에 기반을 둔 몬산토에서 인도 농민에게 Bt 목화로 알려진 유전자조작 목화 씨앗을 팔기 시작한 7년 뒤 —2002년— 까지는 아니었다.  그 씨앗은 살충 물질을 생산하여 더 많은 수확량을 올리지만, 일반적인 목화 씨앗보다 10배 이상 비싸다. 

몇 년 안에, 농민이 씨앗 값을 갚지 못해 부채에 시달리다가 돈을 갚지 못해 자살한다는 이야기가 들리기 시작했다. 또 다른 이야기로는 GM 작물이 흉작이 들어 부채를 만들어 자살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반박하기 어려운 이야기다. 

A 2011년 인권과 세계정의를 위한 센터(CHRGJ)에서 발표한 보고서에서는 인도의 농촌 농민에 대한 값비싼 유전자조작 씨앗의 판매가 자살 위기를 상승시키는 핵심요소라고 주장했다.

“다국적 농산업 기업들은 ... 적극적으로 인도 농업에 유전자조작 씨앗을 도입하는 걸 촉진함으로써 ... 인도 시장의 새로운 세계화를 통해 이윤을 얻었다”고 보고서는 말한다. 

그러나 2008년, 개발도상국에서 기아를 끝내는 걸 목표로 하는 64개국의 정부와 민간재단, 해외와 국내 단체의 연합인 국제 식량정책연구소는 완전히 다른 결론을 내렸다. 

“인도에서 Bt 목화가 농민의 자살을 이끄는 원흉이라고 비난하는 것은 부정확할 뿐만 아니라 잘못된 주장이다”라며, 인도에 Bt 목화가 도입되면서 실제로 수확량이 증가하고 농약의 사용이 약 40% 정도까지 감소하는 효과가 있었다고 보고서에서 이야기했다. 

2009년, 코넬대학 농정책경제학과의 교수 Ron Herring 씨는 많은 인도 농민들이 구식 농법과 불규칙한 장마비에 의존하는 일이 많다고 지적했다. 

그는 “ ‘흰 황금’의 유혹은 강력하다”고 적었다. “물이 없으면, 목화 농사는 흉년이다. 관개용수 없이 메마른 황토에서는 위험성이 너무 높다. 농민들은 이를 안다; 대안은 종종 더 악화된다. 목화는 가족의 재정적 상황을 변화시킬 잠재력을 지닌 유일한 환금작물이지만, 상당히 위험하다.”

Das 씨는 “영국인이 떠난 지 60년이 지난 지금도 인도 농지의 70%가 장마비에 의존한다. 이는 장마가 찾아오지 않고 비가 내리지 않으면 가뭄이 들고, 정부에서는 관개시설에 충분한 투자를 하지 않았다는 것을 뜻한다.”

그는 농민들이 많은 압박을 받고 있다고 한다: 정부 보조금의 상실; 값싼 외국산 수입품; 건강보험의 꾸준한 민영화; 치솟는 교육비와 기초생계비의 증가.

Herring 씨는 그리고 만약 인도 농민들이 GM 씨앗이 비경제적이라는 것을 알았다면, 왜 그들은 그것을 포기하지 않느냐고 되물었다. 

“소농은 시장경제의 교활한 대표들에게 취약할 뿐만 아니라 단순하고 아둔한 존재로 구성되어 있다”고 Herring 씨는 적었다.

“이 이야기에서는, 지난 10년 동안 인도의 목화 농민들이 속아왔다는 것을 알아내지 못했거나, 이익을 냈는지도 계산할 수 없어서 속았는지 아닌지도 모르는 사람들이라고 하는 것이다.

“이 이야기에서 놀라운 점은 인도의 농민들 —그 이야기에서 종종 소농으로 낙인을 찍는— 이 그러한 높은 수준의 무능력한 상태로 오랫동안 생존해 왔다는 것이다.”

그러나 인도에서 자살은 전국에 만연한 위기이다.

토론토의 세계건강연구를 위한 센터의 센터장이자 인도의 자살률에 대한 공동연구자인 Prabhat Jha 씨는 일반인 가운데 젊은 여성의 자살률이 더 높다는 점이 특히 우려스럽다고 한다.





그는 “농민의 자살도 중요한 현상이지만, 우린 자살에 관한  더 큰 그림을 볼 필요가 있다”고 말한다.

“인도에서 자살에 대한 주요한 이야기는 농민만이 아니라, 앞날이 창창한 15~29세 사이의 젊은이들이다. 그래서 내가 생각하는 진정한 질문은 왜 그렇게 많은 젊은 인도인들이 자살을 하는가이다.”

인도에서 자살한 농민의 숫자는 일반인에 비해 훨씬 적다. 보고서에 따르면, 농업노동자 가운데 자살률은 10만 명당 7명인 반면 인도의 전체 자살률은 10만 명당 15명에 육박한다. 

그리고 농민의 자살이 1995~2002년 급격하게 상승했지만, 요즘은 하향세거나 평준하다.

그는 “사실, 우리의 연구는 농업 이외의 직종에 종사하는 남성 자살자가 2배 이상임을 발견했다. 이는 농업보다 사무직, 학생, 기타 직종에서 더 많은 자살자가 있었다는 것을 뜻한다”고 말했다.

Herring 씨는 농민의 자살과 GM 씨앗에 대한 이야기가 많은 사람들에게 너무 매력적인 것이었다고 한다.

그는 “인도에서 Bt 목화의 재앙에 대한 이야기는 일관성 있고 세계적으로 퍼졌다; 그것은 관심을 사로잡고 행동을 강제한다. 또한 어떠한 경험적 또는 생물학적 기반도 없다”고 적었다.

National Post http://goo.gl/7BCxn


728x90
728x90


막연히 '미국의 목화농사는 대규모로 이루어지니 기계를 쓸 거야'라고 생각했다. 세상에나 그 막연한 생각이 아래의 사진 3장에 확 깨버린다. 이건 뭐 어마어마한 규모의 농사구만!


이에 반해 제3세계의 목화농사는 주로 사람의 노동력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그러니 경쟁력이란 걸 따지자면 이런 대규모 농업에 비할 수 있겠는가? 거기에다 미국의 목화농업은 정부를 통해 보조금도 엄청 받는다는 사실. 세계의 주요 목화 생산국인 미국의 목화 가격에 따라 제3세계의 목화농민들이 살았다 죽었다 한다는 것이 이제야 실감난다. 


이와 관련하여 요즘 <코튼로드>라는 책을 보는데 거기에 나오는 몇 구절을 옮기면 이렇다.

아마두 투마니 투레 당시 말리 대통령은 "지원금이 없다면 미국 농민들은 우리 말리 농민보다 훨씬 비싼 값에 목화를 생산할 겁니다. ... 또 유럽과 미국 사이의 환율전쟁에 대항해 우리가 무얼 할 수 있겠습니까? 유로가 오르면 달러로 매매되는 우리 목화는 값이 떨어집니다."


말리에 주재한 비키 허들스톤 미국 대사는 이렇게 말한다. "아프리카는 언제나 자기들이 안고 있는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기보다 다른 대륙의 탓으로 돌리죠. ... 당신이 정직한 사람이라면 미국에 가서 매우 현대적인 농업의 진면목을 볼 겁니다." 


어째서 미국의 목화 농업이 세계의 목화 농민을 들었다 놓는지, 미국의 매우 현대적인 농업의 진면목이 무엇인지 아래의 사진을 보면 확 다가온다. 더 많이 알려면 역시 그곳에 가봐야 한다! 


이러한 농기계를 묘사한 글이 <코튼로드> 129~130쪽에 나온다. 아래의 사진과 함께 보면 좋을 것 같아 인용한다.


멀리 지평선까지 둘러보아도 눈에는 온통 순백의 세계만이 들어온다. 바로 수확 첫날(5월16일)이다. 마투그로수에서 수확하는 첫날이라는 뜻이리라 짐작한다. 몇몇 녹색 반점들이 멀리서 가물거린다. 그보다 더 멀리에는 숲이 버티고 있어서 순백의 세계를 저지한다. 저 숲은 앞으로 얼마나 오랫동안 버틸 수 있을까? 흰색 바다가 브라질의 중심을 독점했다. 백색이란 우리에게는 눈이나 얼음의 상징이다. 백색은 순수를 뜻하며, 순수란 차가움이다. 그런데 도대체 이 열대지방을 몰아친 거대한 백색의 장원은 무어란 말인가? 이 백색의 장원 뒤에는 무슨 비밀이 숨어 있을까? 

가까이 다가가자 녹색 반점의 정체가 드러난다. 상당히 야성적인 동물로 크기가 엄청 크고(높이 3미터), 끔찍할 정도로 먹성이 좋다. 꼬부라진 검은 손가락으로 불쌍한 목화를 낚아채서 심연처럼 보이는 입속으로 집어넣는 여섯 개의 녹색 살인귀. 이 커다란 구멍을 입이라고 부른다면, 그 안에서는 이빨 대신 둥그런 강철판이 쉬지 않고 돌아간다. 맹렬하게 작동 중인 존디어 사의 기계가 바로 녹색 반점의 정체다. 곤충을 닮은 다른 기계들도 이에 못지않게 저돌적으로 움직인다. 엄청 크고 노란 거인 개미는 목화를 운반한다. 회색과 빨간색이 섞여서 잠자리처럼 보이는 녀석은 보통 때에는 발을 움츠리고 있다가 갑자기 발을 쭉 뻗는다. 끝이 늘어나는 긴 발이다. 이 긴 발들이 이제 막 수확을 시작한 밭에 뿌리는 안개비 같은 건 뭘까? 구멍이 뚫린 데다가 오줌까지 싸대는 발이라니...... 이 괴상한 브라질의 잠자리는 정말 놀라운 존재다. 

그러는 동안 목화는 통으로 옮겨졌으며, 압축기가 오랫동안 사정없이 그 위를 눌렀다. 트럭들이 기다리고 있었다. 이 트럭들은 집채만한 '잿빛 금궤'를 운반하기 위해서 여기까지 온 것이다. 백색의 장원을 보고 일으킨 현기증이 다시금 엄습한다. 이 거대한 기계 곤충들은 물론 전문기사가 운전을 한다. 하지만 그들은 땅에 발을 내려놓는 법이 없다. 거대한 들판에 인간이라고는 그림자도 보이지 않는다. 나는 다시금 아프리카를 생각해본다. 과거 식민지 농장 시절에 수확은 어떤 모습이었을까 상상해본다. 지금으로부터 2세기 전이었다면 이 1만 헥타르를 수확하기 위해 얼마나 많은 노예가 동원되어야 했을까?






728x90
728x90

 

어디 시작해 볼까? 신청한 지는 2~3년 지났지만 이제야 빌려왔다.

728x90

'농담 > 雜다한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白石전집>을 펴다  (0) 2012.12.02
동지까지는 칩거하자  (0) 2012.11.29
요지야  (0) 2012.11.25
명문대 연습장  (0) 2012.11.24
대형화되는 김치냉장고  (0) 2012.11.24
728x90

나와 관점이 그리 일치하진 않지만, 말리의 상황을 대략 알 수 있는 글이라 옮긴다.



written by 수마일라 디아라Soumaila T. Diarra. 2011년 1월 17일자.



말리 직물회사에 속한 목화 가공 공장




많은 말리의 농부들이 올해 목화농사를 거부하고 대신 곡식농사를 짓는다. 목화는 먹을 수 없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관계자들은 그 변화가 식량안보를 위협할 수 있다고 한다.

 

 

목화의 가격이 떨어지는 것과 함께 형편없이 경영관리되는 말리의 국영 직물회사(프랑스어 약자 CDMT로 알려진)에 낙담한 많은 농부들이 그들 농장의 목화농사 넓이를 줄이거나 포기하고 다른 걸 심었다.

 

수도 바마코에서 30km 떨어진 사나코로바라는 마을의 지역 농민회 대표 압둘라예 세리바 트라오레Abdoulaye Sériba Traoré 씨는 여전히 목화농사를 짓고 있는 몇 안 되는 사람의 하나다. “사람들은 제때 돈을 받지 못하니까 목화농사를 거부했어요. 나는 2009년에 수확한 걸 2010년 후반에야 지불받았죠. 난 매우 실망해서 농장에 심고 싶지 않았지만...” 그는 2009년의 목화 판매 대금으로 1400달러를 받았다고 한다. CDMT는 농부들에게서 대부분의 원면을 구입하고서는 농민에게 대금을 지불하기까지는 일상적으로 몇 달이나 걸린다.

 

그의 지역에 처음으로 목화농사를 소개한 사람의 하나인 트라오레 씨는 낙심하지만은 않는다. “물론 목화 판매와 연관된 어려움 때문에 난 그에 전념하던 것을 줄였습니다.”

 

 

목화는 니제르강 남쪽부터 나라의 서남부에 걸쳐 13만 제곱킬로미터에 이르는 넓이를 차지할 만큼 말리의 농부에게 중요한 농산물이다. 거의 인구의 1/4이 사는 이 지역에서 농부들은 목화와 함께 옥수수, 기장, 수수, 벼는 물론 땅콩과 지역에서는 니에베niébé라 부르는 동부를 심는다.

 

 

이곳 농부들은 목화농사가 다른 작물의 생산량을 늘리는 데 도움이 된다고 지적한다. 지투무 타말라라는 남쪽 마을에 사는 농부인 사일 사마케는 “목화농사는 땅을 거름지게 하지요. 목화를 기를 때 외상으로 화학비료와 다른 농자재를 갖다가넣기 때문입니다. 목화와 돌려짓기하기에 곡식 작물 또한 기름진 흙에서 기를 수 있어 좋습니다”라고  말한다.

 

 

은행은 농부들에게 곡물을 생산하기 위한 화학비료와 다른 농자재를 살 돈은 빌려주지 않는다. 그래서 식량안보는 먹을 수 없는 돈벌이작물인 목화의 생산과 밀접하게 얽혀 있다. 2003~2006년 목화가 비쌀 때는 지역의 농부들에게 도움이 되었고, 식량 생산 또한 엄청나게 늘었다. 140만 톤이란 꽤 많은 곡물이 목화 재배 지역에서 수확되었다. 목화에서 얻은 그 이익은 또한 점진적으로 수많은 소를 구입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이 지역의 농부들은 약 220만 마리의 소 떼가 있다.

 

 

그러나 분석가 모하메드 타부레Mohamed Tabouré 씨에 따르면, 보조금 혜택을 입은 미국 목화 농부들 때문에 세계시장에서 목화의 가격은 곤두박질쳤다.  말리에서는 국내 생산량이 감소했다. 목화의 전국적인 생산량은 2003~2004년 약 62만 톤이었는데, 2009년 재배철이 끝났을 무렵에는 20만 톤으로 엄청나게 떨어졌다. 타부레 씨는 “우리는 ‘생산량 감소’가유로화와 CFA프랑에 대한 달러 가치의 하락은 물론, 토양이 나빠지고 땅심이 떨어져 경작지에서 생산량이 줄어드는 현상이 늘어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고 한다.

 

 

농부들이 목화농사를 꺼려 하면서그들이 화학비료를 사는 데 쓰는 대출금도 제한되고 있으며, 그 결과 식량안보의 위기에 처할 것이다. 이걸 막고자 말리 정부에서는 농자재 보조금을 지원해야 한다. 목화 1kg에 지불되는 가격이 지난해 수준으로 반등하고 있다. 만약 이것이 지속되면, 더 많은 농부가 목화농사로 돌아갈 수 있을 것이다. 만약 말리가 지난 10년의 전반기와 같은 목화 생산량을 회복한다면 말리 직물회사의 경영개선도 활력을 얻을 것이다. 그것과 함께 식량안보가 강화될 것이다.


728x90

'농담 > 농업 전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5억에 이르는 소농에 관한 중대한 다섯 가지 질문  (0) 2011.01.25
중국 여성 농민의 고충  (0) 2011.01.25
흰쌀밥에 고깃국  (0) 2011.01.17
새마을 규약  (0) 2011.01.16
기업농과 소농의 차이  (0) 2011.01.10
728x90

 

 

 

 위 세 꽃은 모두 목화꽃.

 

다래. 아주 맛있어서 아이들이 어른들 몰래 먹다가 혼나곤 했다. 

 

 

 목화 송이.

 

 

출처 : 돌터
글쓴이 : 金石基 원글보기
메모 :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