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정2 마을의 작은 정미소가 구하는 아시아, 아프리카의 쌀농사 -4장 4장 농촌 정미소의 파급 효과 농촌 정미소는 그걸 쓰지 않는 농민에게도 도움이 된다 쌀농사 역사가 긴 아시아 여러 나라에서는 오늘날 농촌의 곳곳에 농촌 정미소가 있어서 농민이 널리 이용하고 있다. 아시아의 쌀농사 농민에게는 "나락으로 파는 건 손해, 백미로 만들어 팔면 돈벌이가 된다"는 것은 당연한 상식이 되고 있다. 그래서 그들의 대부분은 "가능하다면 나락으로가 아니라 백미로 만들어 팔고 싶다"고 염원한다. 그러나 빚에 쫓기고 있는 많은 소농민은 연간 수십 퍼센트에 이르는 고리의 빚을 서둘러 변제할 필요에 쫓기고 있기에, 나락 가격이 가장 싼 수확 직후의 시기에 손해를 감수하고 대부분의 나락을 그대로 집하업자에게 팔아 치울 수밖에 없는 일이 많다. 비록 나락 채로 팔더라도 그것을 좀 더 저장했다가 .. 2025. 3. 20. 맛있는 쌀 고르는 방법 쌀 소비량이 줄어든다는 기사가 떴다. 1985년 1인당 1년에 약 128kg을 소비하다가, 30년 뒤인 2015년에는 그 양이 약 63kg으로 줄었다는 분석이다. 기사에서는 쌀 소비량이 줄어든 요인으로 살찐다고 안 먹는 게 한 요인이라고 지적하는데, 꼭 그렇지만은 않을 것이다. 긴 노동시간과 공부시간으.. 2016. 6. 7.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