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농생태학: 지속가능한 먹을거리 체계의 생태학









26장 지속가능한 농업생태계에서 지속가능한 먹을거리 체계로



이전 장에서 우리는 먹을거리 체계의 가장 중요한 두 부분인 먹을거리를 재배하는 사람과 그걸 먹는 사람을 다시연결해야 할 필요성에 초점을 맞추었다. 지역화된 대안 먹을거리 연결망이 세계로 뻗어나가 크기와 영향력이 커짐에 따라, 세계 먹을거리 체계는 지속가능성의 방향으로 변환되기 시작한다. 하지만 이 현상 자체는 중요한 변화의 동인이지만, 일어나야 할 일의 일부만 나타낸다. 궁극적으로 필요한 일은 패러다임의 전환 -사고, 가치, 윤리, 신념 체계 및 인간 사회의 사회적, 경제적 조직의 근본적 혁명- 이다. 먹을거리 체계의 지속가능성은 인류가 지구를 점유하는 방식과 병행하는 변화를 통해서만 달성될 것이다. 이 변화의 규모는 22장에서 전환 과정의 5단계로 설명했던 것이다. 그 장에서 설명했듯이, 5단계의 본질은 "공정성, 참여, 정의에 기반하여 지속가능할 뿐만 아니라 지구의 생명을 유지하는체계를 복원하고 보호하는 데에도 도움이 되는 새로운 세계 먹을거리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다.


어떤 이는 농생태학자들이 수행하는 일에 그러한 광범위한 사회 변화의 의제를 통합시키는 것을 농생태학에 너무 많은 걸 요구하는 것이라 말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책의 여러 장에서 주장했듯이, 생태적 지속가능성은 먹을거리 체계가 존재하는 더 넓은 맥락에서 격리될 수 없다. 농생태학이 작물 생산이란 좁은 범위에 대해 관심을 제한하고 농학(산업형 먹을거리 체계의 과학적 무기로 작동하곤 하는)의 대안으로 만족한다면, 농업과 먹을거리 체계를 지속가능성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능력이 엄청나게 제약된다. 4단계와 5단계의 전환을 농생태학의 임무에 포함시키는 일은 현장의 중심에 있는 -그리고 이 연장선에서 지구의 운명이 좌우될 수 있는- 전체적이고, 장기적이며, 생태학에 기반한 접근법을 자연스럽게 연장하는 것이다. 






지속가능성을 향한 과정


1990년대 이후 유기농업, 생물농업, 생태농업 등 다양하게 이름이 붙여진 농생태학에 기반한 농업에서 아주 상당한 증가가 있었다. 1999-2010년 사이 인증된 유기농업에 쓰이는 토지의 면적은 3700만 헥타르까지 3배 증가했다. 그러한 농지가 오세아니아(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태평양 제도의 국가를 포함하는)에서 1200만 헥타르, 유럽에서 1000만 헥타르, 그리고 라틴아메리카에서 840만 헥타르가 있다. 미국에서는 2011년 인증된 유기농 식품의 매출이 315억 달러에 달했다. 


특히 산업국에서 농생태학의 생산으로 전환하는 일은 주로 2단계에서 발생하고 일부는 3단계에서 일어났으며, 농장의 규모에 초점을 맞추어 왔다. 오늘날 인구 증가의 대부분이 집중되는 개발도상국에서, 지속가능한 먹을거리 생산을 촉진하려는 운동이 점점 중요해지고 있는데, 그 이유 가운데 일부는 이들 국가의 농민들이 대규모 투입재를 대체할 수 있는 자원에 제한적으로 접근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제3세계"라 부르는 곳의 농업은 더 노동 집약적이고 산업국에서보다 훨씬 소규모로 일어나기에, 전 세계의 인증된 유기농 농민 160만 명 가운데 약 80%가개발도상국에 살고 있다는 사실은 그리 놀라운 일이 아니다. 더 나아가, 인증되지 않은 농생태학에 기반한 농업은 개발도상국의 자급과 지역의 시장을 지향하는 생산에 관련된 수백만 명의 토착민, 소농, 소규모 가족농에 의해 실천된다. 흥미롭게도 이들 소규모 유기농 농민 대부분은 그들의 생산 체계를 3단계로 재설계하고자 중요한 걸음을 걸어 왔으며, 많은 농민들이 4단계에서 소비자 단체와의 연결을 향하여 훌륭한 진전을 보이고 있다(그림26.1).



그림26.1 니카라과 산라몬에 있는 유기농 커피 농장. 그 농장은 과실수, 그늘, 땔감, 토종 나무의 숲 및 기타 유용한 종들을 포함하여 수출시장을 위한 커피 이외의 다양성을 갖추었다. 그림24.9의 대규모 단작의 유기농 당근과 대조를 이룬다.




이전 장에서 검토했듯이, 지속가능하게 재배한 먹을거리에 대한 소비자의 수요와 관심의 증가는 최근 세계의 여러 지역에서 4단계로의 전환 과정을 추동해 왔다. 매우 강력한 지역 먹을거리와 농사 운동은 농민장터, 다양한 형태의 지역사회 지원 농업, 재배자와 섭취자를 더 밀접하게 연결하는 직거래 제도 등의 상당한 성장을 촉진해 왔다. 1985년 최초의 공식적 지역사회 지원 농업이 출현한 미국에만 현재 수천 개의 등록된 지역사회 지원 농업제도가 있다. 그 가운데 일부는 다양한 농민의 단체를 대표하고, 신선하고 가공된 산물을 소비자에게 제공하며, 온라인 주문을 가능하게 하고, 농민과 농법, 운영의 지속가능성 요소에 대한 설명을 소비자에게 공급한다. 그러한 관계의 결과로 생성된 먹을거리 체계의 지식은 5단계로 일부 변화를 시작하는 데 중요한 도화선이 되었다. 개발도상국에서 일어나는 매우 비슷한 변화는 세계의 여러 지역에서 힘을 얻고 있는 지역 먹을거리와 식량주권 운동과 보조를 같이 한다. 


이러한 모든 과정과 4단계의 대안 먹을거리 체계 연결망의 뚜렷한 증가에도 불구하고, 이들 연결망이 차지하는 세계 먹을거리 생산과 소비의 전체 비율은 한 자리 숫자로 낮은 상태이다. 또한 산업형 먹을거리 체계는 유기농 먹을거리를 흡수하고 "슬로우"와 "지역" 먹을거리 운동의 언어를 자신의 광고에 적용함으로써 이들 변화의 잠재적 충격을 크게 둔화시켰다. 이는 대안 먹을거리 체계가 전체 먹을거리 체계를 5단계로 이동시키고 사회에 더 폭넓은 변화를 일으키는 데 제한적인 영향을 미치는 주류의 외부에 있다는 걸 의미한다. 


다르게 해야 할 일은 무엇인가? 대안 먹을거리 운동은 얼마나 더 진행되어야 하는가? 농생태학은 어떻게 그 운동을 강화할 수 있는가? 우리는 먹을거리 체계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필요한 것과 지속가능한 먹을거리 체계가 어떠한 모습일지 더 상세히 탐구하며 이들 질문에 답하기 시작할 것이다. 






지속가능성의 달성


1장에서 우리는 산업형 농업의 지속가능하지 않은 관행을 더 세밀하게 대조하는 방법으로 "지속가능한 먹을거리 체계의 요소"들을 열거했다. 우리는 먹을거리 체계가 존재하는 사회 체계의 일부 측면과 함께 지속가능성의 농생태학적 토대를 탐구해 왔는데, 이제 우리는 "지속가능한 먹을거리 체계는 어떠한 모습인가"라는 질문을 다시 살펴보고 더 완전한 의미를 지닌 답을 공식화할 수 있다. 지속가능성이 수반하는 것을 살펴보면 우리가 먹을거리 체계를 위해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에 대한 더 명확한 전망을 제공하고, 그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우리가 직면한 장벽과 과제를 강조한다. 






먹을거리 체계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필요사항

농생태학자와 지속가능한 먹을거리 체계를 구축하고자 노력하는 다른 사람들은 필연적으로 지속가능성을 구성하는 것에 관하여 동의하지 않을 것이다. 지속가능한 먹을거리 생산과 분배를 조직하기 위하여 가장 이상적인 형태에 관하여 서로 다른 생각을 가지며, 지속가능한 미래로의 변환을 가속화하는 최선의 방안에는 차이가 있을것이다. 이러한 차이는 가치의 다양성, 기본 가정, 기본적 목표를 공유하는 사람들 사이에 존재하는 세계관 때문에 발생한다. 이런 의견의 다양성은 건강하지만, 논쟁의 대상이 되지 않는 참조점을 갖는 것도 도움이 된다. 그러한 하나의 참조점은 생물권의 수용력에 의해 제공된다. 생태학에서, 수용력은 보통 그 생태계를 파괴하지 않으며 생태계가 지원할 수 있는 개체군의 크기로 정의된다. 그러나 인간 존재와 전체 생물권을 다룰 때에는 개별 인간 존재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다양할 수 있기 때문에, "종의 전반적인 생태적 영향"으로 "개체군의 크기"를 대체하는 것이 더 의미가 있다. 


현재의 먹을거리 체계가 지속가능하지 않은 궁극적인 이유는 인간 종이 생물권의 수용력을 초과하도록 하는 데 있다. 이러한 가장 넓은 맥락에서, 그와 대조적으로 지속가능한 먹을거리 체계는 인간 종이 생물권의 수용력 안에서 살 수 있도록 허용하는 것이다. 


브리티시 컬럼비아 대학의 매티스 웨커너겔Mathis Wackernagel과 윌리엄 리스William Rees가 1990년에 개발한 생태발자국 개념은 생물권에 놓여 있는 개인, 도시, 지역 또는 국가 -또는 인류의 모든 것-  의 생태적 수요를 측정하는 널리 인정되는 수단이 되었다. 그것은 삶의 과정에서 인간 존재가 하는 모든 일과 함께 이루어지는 자원의 사용, 에너지 이용, 오염에 대해 평가하는 것을 수반한다. 물론 이러한 추산은 개략적이지만, 인간 사회 전체가 그 수용력을 명백하게 초과하는 수준에서 현재 생물권에 충격을 주고 있다는 공감대가 널리 퍼져 있다. 현행 추산은인간 종이 지속가능하기 위하여 1.5개의 지구가 필요한 수준에서 생물권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한다(Global Footprint Network 2014). 2030년까지 인류는 스스로를 지원하기 위하여 2개에 상당하는 지구를 이용하는 지점에 도달할 것으로 예측된다. 그리고 그 예측은 증가하는 충격에 대한 보수적인 추산에 근거한다. 


인간 사회와 그 먹을거리 체계가 지구의 수용력을 초과하는 매일매일 우리의 영향은 우리를 지원하는 생물권의 능력을 약화시킨다. 우리는 무한하지 않은 지구의 생태적 계좌에서 빌려 쓰고 있다. 어떤 지점에서, 지구의 생명을 유지하는 생태계 -먹을거리가 재배되고, 폐기물을 재활용하고, 우리에게 물과 에너지, 섬유, 원료를 제공하는- 는 고장나기 시작할 것이다. 우리의 부채는 만기가 올 것이다. 그때 지속가능성에 대한 가장 기본적인 기준점은 지구의 수용력 -또는 때때로 생태용량(biocapacity)이라고도 부름- 을 초과하지 않는 인류 전체의 생태발자국이다. 이 기준점을 기반으로, 만약 그동안에 1.5개 지구 이상으로 상숭한다면 우리는 생태발자국을 적어도 33% 이상까지 더 낮추어야 한다.


인류의 생태적 영향은 모든 형태의 자원 이용과 모든 종류의 폐기물 배출에서 비롯되지만, 농업이 가장 많이 기여한다. 농업은 다른 어떤 인간의 활동보다 많은 물과 토지를 이용하고, 온실가스 전체 방출량의 상당 부분을 방출하며, 질소와 인 같은 생태계를 파괴하는 물질을 대량으로 환경에 방출한다. 이것에다 우리가 먹을거리를 가공, 유통, 소비하는 방식의 생태적 영향을 추가하면, 사람 또는 도시 또는 국가의 생태발자국 가운데 먹을거리와 관련된 비율 -"먹을거리 발자국"- 은 그것의 전체 생태발자국에 비례한다는 것이 분명해진다.


그래서 인류의 생태발자국이 지속가능한 것보다 현재 약 50% 더 크다면, 우리의 먹을거리 발자국도 그렇다. 이전 장들은 이미 우리의 존재에 대한 이런 기본적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수반되는 것 -소비의 영향을 엄청나게 줄이는 것과 함께 먹을거리 생산 방식의 근본적인 변화- 을 나타냈는데, 이제는 그 목표를 개략적으로 정량화했다. 먹을거리 체계의 생태적 영향을 33% 줄이는 것이다. 


인간 종의 전체 먹을거리 발자국을 적어도 1/3 정도 줄이려면 1인당 평균 먹을거리 발자국을 동등한 양만큼 줄여야 한다. 그건 간단한 수학이다. 전 세계 사람들의 먹을거리 발자국은 상당히 다양하기 때문에, 이는 가장 큰 먹을거리 발자국을 가진 사람들이 더 작은 먹을거리 발자국을 가진 사람보다 훨씬 많은 비율로 생태적 영향을 줄여야 한다는 것을 뜻한다. 실제로 윤리적 관점에서, 가장 작은 먹을거리 발자국을 가진 사람은 적어도 최소한의 식량안보 수준에 도달할 수 있도록 먹을거리를 증가시키는 것이 허용되어야 한다(그림26.2).



그림26.2 국가의 소득별로 분류된 생물용량 대비 세계의 생태발자국을 1인당 글로벌 헥타르로 나타냈다. 이 자료는 2007년에 계산되었다. 2007년 세계의 평균 생물용량은 1인당 1.8글로벌 헥타르였다. (Global Footprint Network, National Footprint Accounts, 2010. 에서)





생태발자국에 대한 이러한 조사가 더 큰 평등을 위한 생태적 논증을 제공한다는 것을 인식하는 게 중요하다. 국가들 사이와 국가 내의 먹을거리 자원에 대한 접근에 존재하는 오늘날의 극단적인 불평등은 지속가능성의 목표와양립할 수 없다. 그러므로 먹을거리와 관련된 더 큰 공정성 -이 책이 제시하는 먹을거리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기본 원리 가운데 하나- 은 윤리적 필요성이 있다는 점 이외에도 생태적으로 긴요한 것이다. 






먹을거리 체계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전망

어떤 종류의 먹을거리 체계를 통해 인류는 전반적인 생태적 영향과 그 먹을거리 발자국을 33% 이상 줄일 수 있을까? 이는 농업과 더 큰 먹을거리 체계를 위한 미래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전망을 이끌어야 할 질문이다. 이와 같은 참조점이 문제에 적용된다면, 필요할 변화의 깊이와 범위가 더 명확해진다. 단순히 생물권에 대하여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인간의 영향을 줄이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그러한 영향에 기여하는 사람들의 숫자가 계속 증가하더라도 그걸 상당히 감소시켜야 한다. 문제의 원인이 평소와 다를 바 없기에 여느때와 다를 바 없이 접근법을 변경하는 것만으로는 효과가 없을 것이다.


이러한 현실을 감안할 때, 우리는 지속가능한 먹을거리 체계의 전망을 구축하기 위하여 몇 가지 기본 전제를 개발할 수 있다. 


모든 것이 밥상에 있다. 문화, 인간의 관습, 또는 사회 구조가 지속가능성에 기반한 변환을 벗어날 수 없어서, 요구되는 변화는 매우 근본적이다. 여기에는 가치와 윤리를 형성하고 돌보는 통치의 체계와 정치 조직, 경제 및 기관 등이 포함된다. 


먹을거리 체계의 지속가능성은 전반적인 지속가능성에서 격리될 수 없다. 우리가 스스로를 부양하는 방법은 우리가 하는 다른 일과 분리될 수 없이 우리의 존재에 매우 기본적이다. 또한 생물권은 먹을거리와 관련된 영향과 다른 인간의 활동으로 인한 영향을 구별하지 않는다. 


더 큰 평등이 다른 무엇보다 가장 중요하다. 앞서 언급했듯이, 불평등 -부, 권력, 소비, 먹을거리에 대한 접근등에서- 은 지속가능성과 상반된다.  


우리는 성장에 대한 중독을 걷어차야 한다. 모든 세게 경제 체계의 핵심에 있는 성장의 필요성은 근본적으로 인류의 생태발자국을 줄이는 일과 양립할 수 없다. 성장은 소비에 의해 주도되고, 소비는 우리가 줄여야 할 생태적 영향을 생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전제들을 염두에 두고서 우리는 농생태학의 세계관이란 여과기를 적용할 수 있으며, 지속가능한 먹을거리 체계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드러내야 한다고 제안한다. 


•먹을거리 체계가 박혀 있는 무역과 생산 활동을 조직하는 체계(경제 체계)는 동등한 교환, 공정함, 접근성의 원리에 기반한다. 그것은 기능하기 위하여 성장이나 자본 축적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탐욕스럽지 않다. 

•먹을거리 체계는 종자와 토양부터 밥상과 본디 있던 자리에 이르기까지 전체 지역사회에 먹을거리 생산의 혜택과 비용을 비교적 균등하게 분배하는 공유재로서 조직된다. 사유화되는 이윤의 유혹은 공익을 증진하려는 바람으로 대체된다. 

•먹을거리 체계와 더 큰 사회적 지원은 모두, 사실은 모든 생태적 비용에 대한 완전하고 투명하며 공정한 계산을 요구한다. 생산과 소비 행위의 부정적 결과는 환경이나 덜 강력한 개체군에 흡수되지 않도록 계산에 넣어지고, 균등하게 부담되며, 완화된다. 

•먹을거리 체계의 지리학은 사람들이 자신의 먹을거리가 재배, 가공, 준비되는 곳과 훨씬 가까워지도록 설계된다. 지역성, 신선함, 접근성, 재배자와 섭취자 사이의 관계가 귀중한 요소들이다. 

•농업에서 산업적 문화 에너지 이용은 생물학적 문화 에너지, 특히 인간의 형태로 대체된다. 먹을거리를 생산하려고 일하는 사람들은 적절하고 공정하게 가치를 인정받고 보상을 받는다. 인구의 더 많은 비율이 먹을거리 생산에 직접 참여한다.

•식사는 진짜 영양적 필요에 기반하고, 기업의 이윤보다는 건강과 복지를 지원한다. 열량만 있는 먹을거리는 알려지지 않고, 가장 생태적 비용이 높은 먹을거리 -특히 동물에서 유래된 먹을거리- 는 드물게 먹는 사치품으로 취급된다. 소비되는 육류는 통합된 작물-가축 체계 또는 지속가능하게 관리되는 방목 또는 목초 체계에서 생산된다. 

•모든 개인이 다른 사람과 홀로, 또는 공동으로 지속가능하게 생산되고 소비되는 충분하고 문화적으로 용납할 수 있는 먹을거리에 대한 권리를 갖는다. 

•농업 생산은 먹을거리와 환경 서비스를 모두 제공하는 다원적 경관에 통합된 다양하고 소규모의 농장에 의해 주로 다루어진다. 외부 투입재에 의존하고 수확량 최대화에 초점을 맞추는 대규모 단작은 사라진다.  

•먹을거리 체계는 탄소 중립적이다. 생산 체계는 탄소를 토양으로 되돌리고 살아 있는 바이오매스에 격리시킴으로써 기후변화를 완화한다. 

•농촌의 지역사회는 건강하고 역동적이며 자신의 필요를 충족시키는 한편, 다른 사람에게 먹을거리와 환경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것은 인구 밀도가 더 높은 지역의 중심지와 잘 통합되어 있다. 

•풀뿌리 수준의 지역사회 -여성, 아동, 노인 및 빈곤층을 포함하여- 는 상위에 있는 경제적, 정치적 권력에 의해결정이 내려지기보다는 그들 자신의 업무를 지시하고 통치할 권한을 갖는다. 


먹을거리 체계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이러한 전망은 5단계로 전환하는 일의 가능한 목표, 또는 종점을 구성한다. 이러한 모든 특징을 실현하면 인류가 생물권의 수용력에 미치는 생태적 영향을 제한할 것이란 보장은 없으나, 이러한 특징을 지닌 먹을거리 체계를 창출하는 일이 지구와 우리 종의 미래를 보증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



그림26.3 캘리포니아 중부 연안에 있는 소규모 목초 방목 육계 농장. 유기농 사료는 곤충, 종자, 풀로 보완되고,동물은 상대적으로 스트레스가 없는 조건에서 사육되며, 동물을 이동시킨 뒤 해당 장소를 작물 생산에 이용할 수있다. 이와 같은 체계는 미래의 지속가능한 먹을거리 체계가 지니는 여러 근본적 특징과 호환된다.

 






험난한 길


앞서 언급했듯이, 이전 논의에서 서술한 전망을 향해 나아가는 데 엄청난 진전이 있었다. 이러한 전망의 요소 가운데 많은 부분이 여러 독자들에게 특별히 터무니 없는 소리가 아닐 것이며, 그것들 가운데 상당수가 이미 전 세계에서 작은, 지역의 규모로 실현되고 있다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우리는 변화의 장벽이 엄청나고, 우리의 선택을 제약하고 지속가능성에 대한 빗장을 높이는 우리가 통제할 수 없는 많은 중요한 요소가 있다는 사실을 인정해야 한다. 






생태학적, 인구통계학적 현실과의 직면

인간은 농업, 건축 자재와 연료, 섬유, 채광, 도시 개발 및 운송과 에너지 기반시설의 구축을 위한 나무의 수확으로 지구의 표면을 변화시켰다. 우리는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수십만 년 동안 볼 수 없던 수준으로 증가시켰다. 우리는 적극적인 잡초, 무척추동물, 질병 유기체 및 기타 해충이 이전의 장벽을 넘어 널리 퍼지도록 하여 생태계 도처를 망가뜨리고 있다. 우리는 바다를 남획하여 한때 많은 양의 먹을거리를 제공하던 수산업을 파괴하고 있다. 우리는 엄청난 양의 환경에 파괴적인 물질을 물과 공기, 토양에 누출하고 쏟아부어 어디에나 그것이 흔해지게 만들고 있다. 이 모든 인간의 영향이 누적된 효과가 지질 규모에서 일어난 환경 변화이다. 수천 년이란 짧은 기간에인간 종은 지구를 변화시키는 힘이 되어, 많은 과학자들은 우리가 인류세Anthropocene라 부르는 새로운 지질 시대로 접어들었다고 주장한다. 


인류세가 정의하는 측면은 인간의 활동이 생물권 변화의 주요 동인이었다는 점이다. 무서운 부분은 우리가 활기를 띠게 한 새로운 역학에 대해 제한적인 이해만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가 무얼 하든지 가까운 미래에 특정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는 변화를 촉발시켰음을 알고 있다. 이러한 변화의 주요 동인은 우리가 내일 화석연료의 연소를 과감하게 줄이더라도 몇 세기 동안 세계적으로 지구를 온난하게 만들고 기후에 영향을 줄 대기에 축적된 이산화탄소와 기타 온실가스이다. 


인간 활동으로 인해 초래된 생물권의 가장 중요한 변화 가운데 일부는 다음과 같다. 우리는 더 이상 이러한 변화가 일어나지 않도록 막을 수 있는 능력은 없다. 그러나 우리는 각각의 변화와 그 진행 속도를 어느 정도 통제할 수는 있다.  


•담수의 공급 -농업과 일반적인 인간의 이용 모두를 위한- 은 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줄어들고, 어떤 곳에서는큰 재앙이 될 것이다. 이는 대수층의 과다한 사용, 많은 지표수와 대수층의 오염, 세계의 산맥에 내리는 눈의 양 감소, 일부 건조 및 반건조 지역의 강수량 감소로 인한 결과이다. 

•생물다양성은 계속 감소할 것이고, 멸종과 절멸의 속도는 가속화될 것이다. 많은 자연계가 이미 더 취약해졌고, 더 많은 종의 상실은 그 취약성을 증가시킬 뿐이다. 이들 체계가 생물다양성을 상실하고 더욱 단순해짐에 따라,그 생태계 서비스는 상실될 위기에 처해 있다. 종의 상실은 돌이킬 수 없다. 

•많은 농경지가 담수 자원이 희박해지고 기후가 온난해지면서 해수면 상승, 염류화, 가뭄 및 사막화로 상실될 것이다. 

•남획과 바다의 산성화 및 온난화로 인한 방대한 생태적 변화의 희생자로 여러 수산업이 붕괴될 것이기 때문에,야생에서 잡는 물고기로부터 훨씬 적은 양의 단백질을 이용하게 될 것이다. 

•인 같은 중요한 먹을거리 체계의 자원을 악용할 수 있는 공급은 줄어들 것이고, 그 결과 가격과 가용성의 증가는 그걸 필요로 하는 더욱 적은 수의 사람에게 접근을 국한시키도록 결합될 것이다. 

•기후변화는 흉작률을 높이고, 수확량을 줄이며, 아마 일부 농지는 포기하게 만들 수 있어 세계의 여러 지역에서 농업을 점점 더 위험한 사업으로 만들 것이다. 


이러한 본질적으로 돌이킬 수 없는 추세가 결합된 영향은 절망적이다. 우리가 인류의 전반적인 생태발자국을 증가시키고 있는 시점에, 이러한 변화는 생물권의 생물용량을 줄이고 있으며, 더 나아가 우리의 발자국과 지구가 그걸 흡수할 수 있는 능력 사이의 격차를 더욱 벌리고 있다. 그 간격이 더 벌어질수록 더 많은 생물용량이 감소한다. 


그 다음 인구 증가의 문제가 있다. 유엔이 제시한 세계의 인구 증가 예상에 의하면, 지구에 사는 사람의 숫자는 2010년 70억에 근접하고, 2050년에는 90억을 조금 넘을 것이다(United Nations 2010). 이러한 증가 대부분은 아마개발도상국에서 발생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20억의 사람들이 더 많다는 건 인간 종의 생태발자국도 크게 증가한다는 것을 뜻하며, 이는 발자국을 줄이려는 목표를 매우 복잡하게 만든다. 인구 증가로 계속해서 잠재적 발자국이 더 높은 수준으로 재설정될 뿐만 아니라, 1인당 필요한 감축량도 상당히 증가한다는 걸 의미한다. 


또 다른 문제는 개발도상국의 인구 증가가 소득 증가와 결합되는 것인데, 더 많은 가공된, 동물에서 유래한, 고부가가치의 먹을거리 -정확히 가장 생태적인 영향이 큰 것- 에 대한 수요가 증가한다는 의미이다. 그래서 세계에서 인류의 숫자가 증가함에 따라, 각자의 1인당 영향도 그렇게 된다.    



그림26.4 코스타리카 골피토 근처의 대규모 단작 팜유 플랜테이션. 농경지는 생물연료를 위한 수요를 충당하기 위해 대체되었다. 이는 산업형 농업이 먹을거리 체계의 생태발자국을 확장시키는 방식의 하나이다.




 





농업이 현재의 길로 계속 간 결과

이전의 논의가 침울한 미래를 가리키는 것처럼 보인다면, 우리가 산업형 농업과 성장 의존형 경제의 필요에 의해유도된 현행 먹을거리 체계의 궤도를 계속 따라간다면 우리의 세계가 어떻게 보일 것 같은지 생각해보라. 1장에서 상세히 설명했듯이, 산업형 농업의 관행은 다량의 온실가스 배출, 동물 분뇨와 농화학물질에 의한 환경오염, 토양 상실, 관개를 위한 다량의 담수 사용, 농생물다양성의 침식, 자연계의 감소와 악화 및 그 생태계 서비스의 상실 등 많은 생태적 충격으로 가장 핵심적으로 특징지을 수 있다. 산업형 농업이 여전히 지배적인 한 인류의 전반적인 생태발자국이 계속 확대될 것이란 데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더 나아가, 산업형 농업이 운영되는 자본주의 경제 체계는 1인당 먹을거리 발자국을 증가시키도록 먹을거리 체계의 소비 쪽에 계속하여 압력을 가할 것을 보증한다. 체계를 추동하는 성장과 자본 축적은 소비의 증가에서 비롯되기에, 우리는 체계와 그 많은 동맹들이 더 많은 소비를 할 것이라 확신할 수 있다. 


산업형 농업이 우리를 이동시키고 있는 궤도로 계속 가는 단기적 결과를 예측하기란 어렵다. 현행 먹을거리 체계의 생태적 충격이 뚜렷하게 줄어들지 않는다면 결국 농업 생산성의 토대가 되는 자연계의 파국을 야기할 것이 분명하지만, 우리는 그 파국이 시작되기까지 얼마나 오래 걸릴지, 얼마나 빨리 생물권으로 가지를 뻗을지, 그리고 얼마나 재앙이 될지 거의 알지 못한다. 


그러나 현재의 길을 계속 가는 일이 단기적으로 극단적 위기를 낳지는 않을 것이라 믿는 데에는 여러 이유가 있다. 농업생태계의 유전자원 장(15장)에서 언급했듯이, 산업형 농업은 그 관행의 단기적 결과를 완화시킬 수 있는능력을 보여준다. 특정 기술의 부정적 영향은 새로운 기술로 일시적으로 "정정되어" 계속 순환되도록 한다. 그 부분에서 생물권은 그 토대가 심각하게 약화되더라도 비교적 정상적인 방식으로 기능을 계속할 수 있는 놀라운 탄력성을 가진 것처럼 보인다. 그리고 인간 사회도 빈곤하고 굶주린 사람들의 시위를 진정시키고, 단기적인 먹을거리 위기와 가뭄을 견디며, 그 안정성을 유지시키는 개선으로 압력에 대응하는 능력을 보여줌으로써 상당히 탄력적인 것처럼 보인다. 


실제의 극심한 위기가 부재한 가운데, 산업형 농업의 지지자들은 비료 사용의 증가, 유전자변형 종자, 시장과 생물연료 작물에 대한 초점을 포함하여 모든 기술적 수정의 사용을 정당화하기 위해 위기의 위협을 계속하여 성공적으로 이용할 가능성이 있다. 우리가 24장에서 지적했듯이, 지배적인 이야기는 세계의 증가하는 인구를 부양하기 위해 산업형 농업의 수확량을 증가시키는 농법과 접근법에 더욱 강한 중점을 두어야 한다는 것이다(Conway 2012). 이러한 관점이 신빙성을 잃을 때까지, 산업형 농업은 먹을거리 체게에서 그 지배력을 계속 가지기 위해 필요한 정당성을 가질 것이다. 


그러나 임박한 위기의 부재가 우리를 안주하게 만들어서는 안 된다. 인간이 이미 생물권에 촉발시킨 돌이킬 수 없는 변화와 결합된 산업형 농업의 궤도를 계속 따라가는 건 재앙으로 이어질 것이 틀림없다. 시간 문제일 뿐이다. 우리가 그런 일이 일어나도록 한다면, 특히 환영받지 못하는 종류의 해결첵이 강요될 수 있다. 즉, 광범위한 기근, 전쟁, 폭력으로 인한 급속한 인구 감소가 그것이다. 


아무도 이 잔인한 그림이 미래의 현실이 되기를 바라지 않는다. 그러나 우리의 먹을거리 체계를 통제하는 세력은자신들이 그러한 미래가 서둘러 도달하도록 돕고 있다는 걸 보지 못한다. 


우리는  먹을거리 체계에서 진로를 빨리 돌릴수록 더 좋다. 하루하루 지날 때마다 이전에 설명한 문제와 영향은 악화될 뿐이다. 여러 전환의 단계가 완전히 실행되도록 오래 기다릴수록 우리가 지닌 운명에 대한 통제력이 약해진다. 









변화를 위한 희망과 행동


이 글은 먹을거리 체계의 근본적인 변화가 필요하며 가능하다고 처음부터 끝까지 가정했다. 농생태학의 분야는 더 공정하고 공평한 먹을거리 체계의 목표를 실현하는 일이 현실적이라는 가정에 기반하여 적극적인 사회 변화의방향을 채택하길 주창했다. 이러한 가정은 방금 논의된 벅찬 과제와 현실에  직면해서도 집요하게 계속된다. 


지속가능한 먹을거리 체계를 창출하는 우리의 능력에 대해 확신을 갖는 한 가지 이유는 농민의 협동과 사회 변화에 대한 농생태학의 약속을 뒷받침하고 있는 기본 원리의 일부를 실천하는 데 성공한 경험에 있다. 예를 들어, 참여 행동 연구의 과정을 통하여 세계의 농생태학자들은 반성적이고 반복적인 과정에 먹을거리 체계에 대한 연구, 참여, 행동을 연결하여 현재의 연구와 지도사업에 대한 하향식 접근법의 효과적인 대안을 만들어내는 먹을거리 체계의 연구와 개발 프로젝트를 떠맡아 왔다(참여 행동 연구에 대한 특별 주제를 참조). 


지속가능한 먹을거리 체계에 갈 수 있다고 믿는 훨씬 더 중요한 이유는 4단계와 5단계의 전환 과정에서 구체화된풀뿌리 변화 모델이 지닌 잠재적 힘이다. 전환 과정 1-3단계에서 진행은 4단계 대안 먹을거리 연결망을 위한 기반을 확장한다. 대안 먹을거리 연결망의 숫자가 증가하고 그들의 힘과 시계가 증가하여, 더욱더 많은 소비자들이그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 따라서 더욱더 많은 사람들이 먹을거리를 재배하는 사람들에게서 건강한 먹을거리를 직접 구매하는 경험을 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연결함으로써, 구매자는 재배자와의 관계를 발전시키고, 활용된 농법의 생태적 건전성을 배우며, 어떻게 산업형 먹을거리 체계가 사람과 환경 앞에 이윤을 두고 생태적 악화나 사회적 불의에 대한 비용을 지불하지 않는지에 대해 자각하게 된다. 이러한 경험이 지속가능한 대안을 지원함으로써 현행 체계를 변화시키는 데 참여할 동기를 부여하고, 그것이 기본 신념과 가치, 윤리 체계가 변화하는 5단계로 변화하기 위한 확장된 기초를 형성한다. 이 과정의 일부인 확장된 자각은 환경적, 사회적 관계의 다른 측면으로 뻗어가, 우리의 생태발자국을 줄이고, 성장의 한계를 인식하며, 지속가능하게 사는 데에 초점을 맞추는 패러다임의 전환을 가져온다. 


이 모델에서 어느 한 단계에서 변화는 처음 단계에서 그 이상의 변화를 지원하기 위한 피드백을 주고 차례로 다음 단계에서 더 많은 변화를 지원해, 다음 단계로 변화할 수 있게 한다. 그러므로 전반적인 효과는 강력하게 상승효과를 일으킨다. 우리는 이미 전 세계의 대안 먹을거리 연결망의 급속한 확장과 복제에서 이러한 상승효과를 보고 있다. 산업형 먹을거리 체계에 대한 대안들의 숫자가 늘어남에 따라, 전 세계의 소비자와 섭취자들의 행동과 신념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연결망의 연결망을 형성하여 함께 연결되기 시작하고 있다. 어느 시점에, 대안적인 체계는 산업적, 기업 통제형 먹을거리 체계를 쓸모없게 만들 것이다. 사람들은 산업형 먹을거리 체계에 의한 피해를 더 완전히 자각하고 그걸 포기하게 되며, 그 대신 자기 주변에서 성장해 왔고 더 공평하고, 정당하며, 지속가능한 사회를 지원하는 것으로 이미 증명된 대안적인 체계에 참여하기로 선택하고 있다. 이런 식으로, 이 글에서 권장하는 변화를 위한 행동의 종류는 위기가 없는 지속가능성으로의 이행을 급속하게 전개할 수 있다.  


먹을거리 체계를 변환하기 위하여 전환의 수준이 함께 작동하는 방식은 표26.1에 요약되어 있다. 




농생태학이 담당할 세 가지 측면의 역할

단계

규모

생태학적 연구

농민의 실천과 협동

사회 변화

1. 산업적 관행의 효율성 증대

농장

중요

비용 절감과 환경 영향을 줄임

부차적

2. 대안적 농법과 투입재의 대체

농장

주됨

중요

대안적인 농법으로 전환하는 걸 지원

부차적

3. 전체 농업생태계의 재설계

농장, 지방

주됨

지속가능성의 지표를 개발

중요

농장 규모에서 진정한 지속가능성을 구축

중요

사업의 실행 가능성과 사회적 지원을 구축

4. 재배자와 섭취자 사이의 연결을 재확립하고 개발

지역, 지방, 국가

지원함

학제간 연구는 대안적인 변화와 실행 가능성을 위해 필요한 증거를 제공

중요

직접적이고 지원적인 관계를 형성

주됨

경제의 구조조정, 가치와 행위의 변화

5. 세계 먹을거리 체계가 모든 사람에게 지속가능하고 공평하도록 재구축

세계

지원함

통학문적 연구는 변화 과정을 촉진하고 지속가능성을 모니터함

중요

패러다임의 전환을 위한 실천적 기초를 제공

주됨

세계의 체계가 근본적으로변환됨

표26.1 전환의 단계: 산업형 농업에서 지속가능한 세계 먹을거리 체계로




우리는 이 변화의 모델이 지나치게 낙관적인 가정에 근거할 수 있다는 걸 인정한다. 독자들이 이를 신조로 채택하라고 권장하지는 않는다. 농생태학의 핵심에 있는 전체 체계에 대한 접근법은 이 장의 앞쪽에서 논의된 과제들을 진지하게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기후변화와 산업형 먹을거리 패러다임의 권력은 어떤 형태로든 지속가능성은 아직 멀었다거나 인류는 장기적이고 격렬한 위기 이후에야 지구에서 지속가능한 존재를 달성할 것이라면서 독자들이 인류가 생태적 아마겟돈으로 향하게 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결론을 내리도록 할 수 있다. 이는 모두 현재 우리의 지식 상태에 기초한 합리적 결론이다. 


하지만 미래에 관한 신념이 현재 우리가 하는 일을 통제하게 해서는 안 된다. 그렇게 된다면 "예언"은 그대로 성취되게 된다. 그래서 지속가능한 먹을거리 체계가 눈앞에 닥치지 않은 것처럼 보이더라도, 마치 그것이 있는 것처럼 행동하고 그 목표를 향하도록 노력하는 일이 여전히 필수적이다. 이런 자세를 바츨라프 하벨Vaclav Havel은 희망이란 단어로 표현했다. "희망은 무언가가 잘 될 것이란 확신이 아니라, 무언가가 어떻게 되는지에 관계없이 의미가 있다는 확실함이다."


철학적 영역을 넘어, 미래가 어떻게 될지에 대한 의구심에도 불구하고 대안적인 먹을거리 체계를 구축하고, 먹을거리 정의란 쟁점에 대한 의식을 높이며, 산업형 농업을 지원하고 있는 이념에 도전하려는 지속가능성이란 목표를 지지하는 농생태학자와 다른 사람들에게는 중요하고 실천적인 이유가 있다.    


•대안 먹을거리 연결망과 먹을거리 정의 문제에 대한 관심의 증가는 현재 사람들의 삶에 진정한 차이를 가져온다. 그들은 최저생활임금을 가진 일자리를 창출하고, 사업가의 발전을 위한 기회를 만들고, 지역 경제를 강화하며, 사람들에게 건강한 먹을거리를 제공한다. 

•지속가능성을 향해 나아가는 모든 과정은 제한적이지만, 인류의 생태발자국을 줄이고 생물권에 미치는 피해를 늦추기 위한 긍정적 걸음이다. 

•현상 유지가 오랫동안 지속되고 근본적으로 다른, 지속가능한 먹을거리 체계로 전환하는 일이 실제 위기에 의해 촉발된다면, 기능하고 있는 대안들의 존재는 전환이 더 신속하고 덜 분열적으로 일어나는 걸 도울 수 있다. 


인류가 겉으로는 무한하게 보이는 우리의 지구를 거의 파괴하는 힘을 휘두를 수 있었단 것이 우리 가운데 많은사람에게 놀라운 일이었다면, 아마 우리는 그걸 치유할 우리의 힘과 우리 종의 지능과 연민이란 고유한 조합에 내재된 잠재력에 똑같이 놀라게 될 것이다. 우리가 시도할 때까지 우리는 알 수 없을 것이다. 


농생태학의 지식은 전 세계의 농사 체계에 존재한다. 종자를 심을 때마다 새로운 지식이 싹트고 있다. 이러한 지식을 먹을거리 체계에서 진행되고 있는 패러다임의 전환에 연결하면, 새로운 대안적인 먹을거리 체계의 패러다임을 위한 운동이 될 수 있는 사회 변화가 촉진된다. 이 운동은 우리가 의존하고 있는 환경에 지속가능성을 가져오고, 그것이 발전시킨 다시 지역화된 경제의 번영을 가져오며, 우리 모두가 참여하고 있는 사회에 공정성과 접근성을 가져온다. 우리는 각각 필요한 변화를 일으켜야 할 책임이 있다. 이 책에 제시된 농생태학의 전망이 이러한 변환을 위한 기초를 제공하기를 희망한다. 



그림26.5 캘리포니아 살리너스 근처 ALBA 교육센터의 다양한 유기농 채소밭. 농업노동자는 전환 과정의 모든 단계를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독립적인 유기농 농민이 될 수 있도록 토지, 농기계, 시장접근성, 훈련에 접근할 수 있다.  


 






사례 연구: 참가 활동 연구


본질적으로 학제간인 농생태학은 협동 연구와 교육을 통하여 먹을거리 체계의 모든 자원 부문으로부터 여러 참가자를 연결시킬 때 가장 효과적이다(Uphoff 2002; Guzmán-Casado and AlonsoMielgo 2008; Snapp and Pound 2008). 이러한 협동적 접근법이 변화를 위한 활동과 연결되면, 참가 활동 연구라고 부르는 과정이 발전한다. 참가 활동 연구는 먹을거리 체계의 모든 목소리, 특히 전통적으로 연구와 개발 과정에서 배제된 소농, 소비자, 농업노동자, 여성, 아동 등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하고자 모색하는 반성, 행동, 연구의 반복적이고 계속 진행되는 과정이다. 이렇게 소외된 사람들은 상담을 통해서만이 아니라 직접 참여를 통해서 과정에 참가한다(Eksvärd et al. 2009). 


참가 협동은 참가 활동 연구 또는 교육 프로젝트의 초기에 시작된다. 협력자는 서로 대화를 통해 상호작용하여 협력자의 필요, 능력, 관심의 대부분을 충족시키는 공통의 합의에 도달한다. 이 대화를 통해 프로젝트의 목표, 과제, 혜택에 대한 공유된 이해를 발전시킬 수 있다. 하지만 대화는 또한 행동과 실천에도 연결되어 있다.농민의 경우, 이것은 농장의 설계와 관리에서 주요한 변화를 의미할 수 있다. 먹을거리 소비자의 경우, 그것은구매 양식, 먹을거리의 선택, 먹을거리가 어떻게 농장에서 밥상까지 이르렀는지에 대한 이해에서 주요한 변화를 의미할 수 있다. 변화를 위한 행동이 취해질 때마다 무언가 변화될 수 있고, 협력자가 개발한 장기적 관계는 후속 교환, 새로운 활동, 미래의 변화를 가능하게 한다.  


농생태학의 원리 -그것이 분명하게 그러한 것으로 인식되든지 아니든지- 는 산업형 농업의 체계 외부에서 일부러 먹을거리를 재배하고 있는 중소규모의 농장에서 매일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작업은 농장 수준의 농법과그것이 존재하는 사회경제적 맥락 모두에서 미래의 변화를 위한 비옥한 흙을 제공한다. 참여 관계를 통하여 농생태학의 과학과 이러한 형태의 실천을 연결시켜서 매우 실천적인 종류의 농생태학이 나타난다. 실천과 과학 사이의 피드백이 개발되어, 농민들이 해결해야 할 문제를 정의하고, 해결책을 시험하며, 산업형 모델을 대체해야 하는 혁신적인 대안을 실험하는 데 도움이 된다.


참가 활동 연구가 어떻게 농민의 지식을 연구와 지원에 통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사례는 산타크루즈에 있는 캘리포니아 대학의 대학원생과 교수들의 학제간 협동연구단체에 존재한다. 멕시코와 중앙아메리카의 커피 지역사회를 포함하고 있는 참여 프로젝트에서 여러 분야의 비영리단체 연구원과 함께 협력하여, 이 단체는 연구결과를 학술지에 게재(예, Bacon et al. 2005)하고, 지역사회에서 직접 활동을 조직하는 데 도움을 준다(그림26.6). 참가 활동 연구의 또 다른 사레는 스페인 안달루시아로서, 코르도바 대학의 사회학과 캄페시노 연구소(Institute of Sociology and Campesino Studies)의 농생태학 대학원 프로그램과 관련된 연구자, 교수, 농촌진흥사 등이 스페인 남부의 소농과 협동조합, 소비자의 필요에 초점을 맞추어 개발되었다(Sevilla-Guzmán 2006; Cuellar-Padilla and Calle-Callado 2011). 농사 지역사회와 농생태학자 사이의 또 다른 비슷한 관계는 브라질의 토지 없는 농민 운동(MST)와 비아캄페시나 같은 라틴아메리카 전역의 사회운동에서 강력한 농생태학 구성요소를 촉진시켰다(Altieri and Toledo 2011). 



그림26.6 니카라과 산라몬에서 지역에서 재배한 먹을거리로 참여 영양 워크샵에 참여한 사람들. 지역의 요리법과 먹을거리로 조리하는 일은 산업형 먹을거리 체계에 의해 생산된 열량만 높은 가공식품을 대체할 수 있다. 




참가 활동 연구는 여러 방식으로 농생태학의 접근법을 뒷받침하는 기본 원리를 반영한다. 농생태학의 다양성과 전체 체계에 대한 강조는 다양한 목소리와 지식 체계를 함께 가져오며 연구와 교육, 사회 변화 과정을 민주화하려는 노력에 반영된다. 농생태학의 접근법에서 매우 중요한 장기적인 관점은 장기간의 관계 형성과 참가 활동 연구 과정의 순환적/반복적 특성에 대한 참가 활동 연구의 강조에 반영된다.   









생각거리


1. 마가렛 미드Margaret Mead의 이 유명한 인용문은 먹을거리 체계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운동과 어떤 관련이 있는가? "사려 깊고 헌신적인 시민들의 작은 모임이 세상을 바꿀 수 있다는 걸 절대 의심하지 마라. 실제로 지금까지 그래왔다." 


2. "인구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찾는 걸 복잡하게 만드는 윤리적, 사회적, 개인적, 신앙에 바탕하는 쟁점은 무엇인가? 


3. 자신의 지역사회에서 진행되고 있는 먹을거리 체계의 패러다임 전환의 특성은 무엇인가? 당신은 어떻게 그에 더 많이 참여할 수 있는가?


4. 소규모의, 전통적이고, 토착이며, 지역적인 먹을거리 체계는 지속가능한 농업생태계의 대안이 되는 사례로 여겨지곤 한다. 그러한 체계는 어떻게 "되돌아감으로써 앞으로 나아갈 것"인지를 입증하는가?


5. 당신이 먹이사슬에서 더 낮은 걸 먹고자 한다면, 어떻게 현재의 식습관을 바꾸어야 하는가? 이것이 먹을거리 체계가 설계되고 관리되는 방법에 어떻게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




 





인터넷 자료


Food Tank: The Food Think Tank 

http://www.foodtank.com

An independent voice seeking sustainable solutions for our broken food system, with up-to-date resources, examples, and options for our most pressing environmental and social problems. 


Global Footprint Network 

http://www.footprintnetwork.org

A nonprofit organization working to ensure a sustainable future where all people have the opportunity to live satisfying lives within the means of one planet. Their work aims to accelerate the use of the ecological footprint methodology to measure human impact on earth so we can make informed choices and changes for the future.


Personal Footprint 

http://www.footprintnetwork.org/en/index.php/GFN/page/ personal_footprint/ 

A questionnaire-based calculator, created by the Global Footprint Network, for estimating an individual’s ecological footprint. Your footprint is presented in terms of the number of planets it would take to support humanity if everyone lived like you. 


Population Connection 

http://www.populationconnection.org

A US-based grassroots organization that advocates for population stabilization, family planning, and access to contraception for all who want it. 


Vital Signs online 

http://www.vitalsigns.worldwatch.org

A very up-to-date source of information that provides business leaders, policymakers, and engaged citizens with the latest data and analysis they need to understand critical global trends. It has excellent data in the area of food and agriculture. 


World Population Balance 

http://www.worldpopulationbalance.org 

An organization that grapples with the issues of overpopulation, population control, and the need for a smaller, truly sustainable population.










읽을거리


Hamilton, L. 2009. Deeply Rooted: Unconventional Farmers in the Age of Agribusiness. Counterpoint: Berkeley, CA. 

Profiles of three unconventional farmers whose stories provide hope that the seeds of change in our food systems already exist in small farmers like these. 


Pollan, M. 2008. In Defense of Food: An Eater’s Manifesto. The Penguin Press: New York. 

A strong statement of how and why the alternative food movement must stand up to the dominant industrial food industry. 


Reed, M. 2010. Rebels for the Soil: The Rise of the Global Organic Food and Farming Movement. Earthscan: London, U.K. 

An engaging historical account of how the organic movement has fostered and organized alternatives to the dominant industrial model of agriculture. 


Wittman, H., A. A. Desmarais, and N. Weibe (eds.). 2010. Food Sovereignty: Reconnecting Food, Nature, and Community. Food First Books: Oakland, CA. A look at the historical rise of the industrial food system, its negative impacts, and the social movements that are planting the seeds of a revolution of change that could fundamentally alter our relationship with food—and with each other.


728x90
728x90

농생태학: 지속가능한 먹을거리 체계의 생태학








22장 생태학에 기반한 관리로 전환하기


농민들은 어떠한 혜택을 얻을 것이라 생각될 때 새로운 농법을 기꺼이 받아들여 혁신가이자 실험자라는 평판을 얻는다. 지난 50-60년에 걸쳐, 농업에서 혁신은 주로 다수확과 농업 이익에 중점을 두고 추동되었고, 그 결과 주목할 만한 수익만이 아니라 부정적인 환경 및 사회적 부작용 등이 나타났다. 그러나 실리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는 강한 압력이 계속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농민이 더 환경에 건전하고 농업의 장기적 지속가능성에 기여할 잠재력이 있는 농법으로 전환하는 걸 선택하고 있다. 다른 사람들은 다양한 생태학의 정보에 근거한 접근법을통합하여 맨처음부터 농기업을 시작하고 있다. 두 유형의 노력들 모두 넓은 의미에서 "전환"을 나타낸다. 


지난 수십 년 동안 산업국에서 유기농업, 대안농업, 생태농업의 두드러진 성장은 우리가 먹을거리를 재배하는 방식의 변화가 이미 진행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1997-2013년 사이 미국에서 유기농업 농지의 면적이 4배 이상 늘어 약 93만 헥타르에 이른다. 이 기간 동안 유기농산물에 대한 소비자의 수요는 연간 10-20% 높아졌다(USDA 2013). 인증된 농지에서 생산된 생산 총액은 2013년 3200만 달러 이상으로 추산되며, 그 가운데 인증된 유기농 목장과 방목장의 생산액이 1년에 약 2400만 달러에 달한다. 분명히 관행농업의 지혜에 도전하여 더 지속가능한 접근법으로 먹을거리를 재배하는 일이 문화적으로, 경제적으로 뿌리를 내리고 있다. 


생태학에 기반한 관리로 전환하는 건 앞선 장들에서 논의한 원리에 기초한다. 이번 장에서 우리는 먹을거리를 재배하는 방식을 바꾸는 실제 과정에서 그러한 원리들이 어떻게 작동할 수 있는지 논의한다. 전환 과정에 종사하는농민들은 직감과 경험, 지식을 통해 무엇이 지속가능하지 않으며 적어도 무엇이 더 지속가능한지 알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과정을 더 상세히 연구할 필요가 있다. 이 장은 산업형/관행적 체계를 더 지속가능한 체계로전환하기 위한 계획서를 제안함으로써 그 목표를 달성하는 데 기여한다. 지속가능성 자체를 구성하는 것을 조사하는 것이 23장의 주제이다. 







전환을 촉진하는 요인들


농업은 항상 진화하며 새로운 농법을 채택하고 있다. 20세기에 농업은 오늘날 농업을 지배하는 고도로 전문화되고, 구매하는 투입재에 의존하는 체계를 개발한 경제적, 기술적 압력의 복합에 반응했다. 수확량을 증가시키는 기술들, 농장 지원 프로그램 및 연구개발은 소수의 대규모 농장 쪽으로 농업을 밀어붙이는 데 도움이 되었다. 하지만 몇 년 전, 많은 농민들이 오늘날 우리가 "대안적인 농업"이라 부르는 것으로 전환하기 시작했다(National Research Council 1989; Gliessman and Rosemeyer 2010). 대안적인 농법의 채택은 농민들이 산업적, 관행적 농법에 의문을 제기하고 더 지속가능한 방법으로 농업생태계를 관리하도록 장려하는 여러 요인과 함께 차츰 가속화되었다. 


• 에너지 비용이 극적으로 상승하여 계속 오르고 있다. 

• 산업적 또는 관행적 농법으로 생산된 작물은 이익률이 낮다. 

• 성공 가능성이 입증된 새로운 생태적 농법이 있으며, 개발되고 있다. 

• 소비자, 생산자, 규제당국 사이에 환경에 대한 인식과 먹을거리 품질에 대한 의식이 높아지고 있다.

• 대안적인 방식으로 재배되고 가공된 농산물에 대한 새롭고 강력한 시장이 있다.

• 농민들은 생태학에 기반한 방식의 채택을 위한 문화적 지원이 증가하고 있음을 감지하고, 정치 판도를 가로질러 소비자와 지역사회 구성원들이 대안농업의 기초가 되는 보존, 자급, 자치, 책임의 가치를 지원할 수 있음을 인정한다.  

• 지속가능한/생태적 방식으로 전환하는 데 성공한 더욱 많은 농민들이 "역할 모델"이 되고 있다. 


전환기의 첫째 또는 둘째 해에는 농민들이 수확량과 이익 모두가 감소하는 경우가 많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그를 고집한 대부분의 농민들은 결국 전환을 통해 경제적, 생태적 혜택을 실현시킨다. 성공한 전환의 대부분은 농장 운영의 경제성을 새로운 투입재와 관리 등의 비용과 다른 시장 체계 및 가격으로 조정하는 농민의 능력에 달려 있다.







전환을 위한 원리의 안내

 

전환 과정은 복잡할 수 있어, 현장의 농법과 농장 운영의 일상적 관리, 계획, 판매전략, 철학을 바꾸어야 한다. 다음의 원리는 전반적인 변화를 탐색하기 위한 일반적인 지침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생물학적 질소 고정과 균근 관계 같은 자연 과정에 대한 의존도를 높여 통류되는 양분 관리에서 양분 순환 모델로 전환한다.

•재생할 수 없는 에너지원 대신 재생할 수 있는 에너지원을 사용한다. 

•환경이나 농민, 농업노동자 또는 소비자의 건강에 해로울 가능성이 있는 재생할 수 없는 농장 외부의 인적 투입재의 사용을 제거한다. 

•물질을 체계에 추가해야 할 경우, 합성의 제조된 투입재 대신 자연에서 발생하는 물질을 사용한다.  

•해충과 질병, 잡초를 "방제하는" 대신 관리한다.

•생물학적 관계를 감소시키고 단순화시키는 대신 농장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생물학적 관계를 다시 확립시킨다. 

•농장 경관의 작부 패턴과 생산 잠재력 및 물리적 제약을 더 적절히 맞춘다.  

•작물과 동물의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농장을 변형시키기보다는 농작물과 동물 종의 생물학적, 유전적 잠재력을 농장의 생태적 조건에 적응시키는 전략을 활용한다. 

•특정한 작부체계나 농사철의 결과보다는 농업생태계 전반의 건강을 가장 높게 평가한다. 

•토양, 물, 에너지, 생물 자원의 보전을 강조한다.

•전반적인 농업생태계의 설계와 관리에 장기적 지속가능성에 대한 생각을 포함시킨다.


이들 원리의 통합은 농장에서 상호작용과 관계의 상승효과를 창출하여 결국 지속가능한 농업생태계의 특성을 발달시키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다음 장에서 더 상세히 논의할 것이다. 상황에 따라 특정 원리에 중점을 둘 수 있지만, 모두가 전환 과정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우리는 산업적/관행적 투입재와 농법을 환경친화적인 대안으로만 대체하여 전환에 접근하는 방식에 만족하면 안 된다. 우리는 시장의 수요에만 맞춘 접근 방식이나, 농업 공동체의 경제적, 사회적 건강을 고려하지 않는 접근 방식에 대해서도 만족하면 안 된다. 전환은 세계의 모든 지역에서 모든 사람을 위한 장기적인 식량안보를 보장하는 일환이 되어야 한다. 


그림21.1 캘리포니아 산타크루즈 대학의 CASFS에 있는 실험 농장. 지속가능한 농업생태계의 설계와 관리에 대한 혁신적인 연구가 이 독특한 시설에서 수행된다. 






전환의 단계


많은 농민들에게 지속가능한 농업생태계의 설계와 실천으로 급속히 전환하는 일은 가능하지도, 현실적이지도 않다. 그 결과, 전환을 위한 여러 노력이 지속가능성이란 궁극적 목표를 향해 느린 걸음으로 나아가거나, 단순히 어느 정도 환경에 더 건전한 먹을거리 생산 체계를 개발하는 데에 초점을 맞춘다. 전환을 위한 노력을 관찰한 범위로부터, 농장 규모에서 세 가지 뚜렷한 전환의 단계가 확인되었다(MacRae et al. 1990; Gliessman 2004). 여기에서는 농장 규모를 넘어서는 두 가지 추가 단계를 제안한다. 처음 세 가지 단계는 농민들이 산업적 또는 관행적 농업생태계로부터 실제로 전환하는 단계를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되고, 다섯 가지 단계 모두를 종합하면 전체 세계의 먹을거리 체계를 위한 단계적이고 점진적인 전환 과정의 윤곽을 보여주는 지도로 이용될 수 있다. 


1단계: 비싸고 희소하거나 환경에 해를 입히는 투입재의 사용과 소비를 줄이기 위하여 산업적/관행적 농법의 효율성을 높인다.

이 접근법의 목표는 투입재를 더 효율적으로 사용해서 더 적은 투입재를 필요로 하고, 그걸 사용해서 생기는 부정적 영향도 줄이는 것이다. 이 접근법은 수많은 농업 기술과 농법이 개발되었던 많은 관행적 농업 연구의 주요 강조점이었다. 최적의 작물 간격과 밀도, 향상된 농기계, 개선된 농약 적용을 위한 해충 감시, 개선된 작업 시기,최적의 비료와 관개 실행을 위한 정밀농업 등이 그 사례이다. 이런 종류의 노력은 관행농업의 부정적 영향을 감소시키긴 하지만, 외부의 인적 투입재에 대한 의존성을 깨는 데에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 


2단계: 산업적/관행적 투입재와 농법을 대안적인 농법으로 대체한다.

이 전환 단계에서 목표는 자원 집약적이고 환경을 악화시키는 제품과 농법을 더 환경친화적인 것으로 대체하는 것이다. 유기농업과 생물학적 농업 연구는 그러한 접근법을 강조해 왔다(그림22.2). 대안적인 농법의 사례에는 합성 질소 비료를 대체하기 위한 질소 고정 덮개작물과 돌려짓기의 활용, 농약보다는 생물학적 방제의 이용, 감소 또는 최소 경운으로 전환하기 등이 포함된다. 이 단계에서, 기본적인 농업생태계의 구조는 크게 변경되지 않기에 산업적, 관행적 체계에서 일어나는 똑같은 문제 가운데 대부분이 투입재 대용물을 사용하는 체계에서도 발생한다. 


그림22.2 캘리포니아 중부 연안에 있는 딸기의 2단계 전환 과정에 대한 농장 안의 연구. 관행농법과 유기농법을최소한 3년 동안 동시에 비교한다. 




3단계: 새로운 생태적 과정들의 모음을 기반으로 그것이 기능하도록 농업생태계를 다시 설계한다.

이 단계에서, 전반적인 체계의 설계에 나타나는 근본적인 변화가 1단계와 2단계에서 아직 존재하는 많은 문제의 근본 원인을 제거한다. 따라서 문제를 해결하는 더 타당한 방법을 찾기보다는 애초에 문제가 발생하는 걸 방지하게 된다. 전체 체계의 전환에 대한 연구는 농업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이란 맥락에서 수확량을 제한하는 요인들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문제가 인식되어서, 외부 투입재를 적용하는 대신 내부의 장소별, 시기별 설계와 관리의 접근법에 의해 방지된다. 돌려짓기의 활용, 섞어짓기, 혼농임업 등을 통한 농장 구조와 관리의 다양화가 그 사례이다. 


4단계: 먹을거리를 재배하는 사람과 그걸 소비하는 사람들 사이의 더 직접적인 연결을 다시 수립한다. 

전환은 문화적, 경제적 맥락 안에서 발생하고, 그 맥락은 더 지속가능한 농법으로 전환하는 걸 지원해야 한다. 지역 차원에서, 이는 소비자가 지역에서 재배된 먹을거리를 높이 평가하고, 1-3단계의 전환을 통해 이동하려 노력하는 농민들에게 자신의 푸드달러(food dollar)로 지원한다는 걸 의미한다. 이러한 지원은 일종의 "먹을거리 시민권"(25장 참조)으로 바뀌어 먹을거리 체계를 변화시키는 힘이 된다. 이러한 변화가 전 세계의 지역사회에서 더 많이 발생하면, 5단계에 도달하기 위한 전제조건인 지속가능성의 새로운 문화와 경제를 구축하는 쪽에 더 가까워진다. 


5단계: 3단계의 지속가능한 농장 규모의 농업생태계와 4단계의 지속가능한 먹을거리 관계에 의해 창출된 토대 위에 공평, 참여, 정의에 기반한 새로운 세계의 먹을거리 체계를 구축한다. 이러한 체계는 지속가능할 뿐만 아니라, 지구의 생명을 유지하는 체계를 복원하고 보호하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 

1-4단계와 달리, 5단계는 세계적 범위의 변화를 수반하고, "전환"의 개념을 초월하여 인류 문명의 본질에 깊게 도달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5단계로 가는 길은 우리가 이번 장과 다음 장에서 초점을 맞추고 있는 농장 규모의 현실적인 전환 과정을 반드시 거쳐서 가야 한다. 우리는 이 글의 마지막 부에서 5단계로 전환하는 것이 무엇을 포함하는지 모색할 것이다.  


연구의 측면에서, 농학자와 기타 농업 관련 연구자들은 1단계에서 2단계로 전환하는 작업을 잘 수행했고, 3단계로 전환하는 것에 대한 연구가 얼마 동안 진행되었다. 그러나 4단계와 5단계에 포함되는 먹을거리 체계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윤리학과 경제학에 대한 연구는 이제 막 시작되었다(Freyfogle 2001; Berry 2009; Jackson 2011). 농생태학은 필요한 연구의 유형에 대한 기초를 제공한다. 그리고 결국 그것은 지속가능성이 무엇이며 우리가 어떻게 알고 그걸 어떻게 달성하는지와 같은 더 크고 추상적인 질문에 대한 답을 찾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사례 연구: 딸기 생산 체계의 전환


지중해성 기후의 캘리포니아 중부 연안은 중요한 딸기 재배지역이다. 약 6220헥타르에 달하는 몬테레이 카운티와 산타크루즈 카운티에서는 2012년 전체 캘리포니아 작물의 절반에 해당하는 9억7600만 달러 상당의 딸기를 생산했다. 다른 많은 지역에서와 같이 이곳의 딸기 생산은 비용이 많이 들고, 에너지 집약적이며, 환경에해로운 농장 외부의 투입재에 매우 의존한다. 


거의 30년 동안 캘리포니아 산타크루즈의 캘리포니아 대학에 있는 농생태학 연구집단(Agroecology Research Group)은 이러한 산업적/관행적 딸기 생산 체계를 더 지속가능한 농업생태계로 전환시키는 과정을 연구하는 다각적인 연구 프로젝트를 수행해 왔다. 이 프로젝트는 산업적/관행적 농법에 강하게 부여된 체계조차 변할 수 있다는 증거를 제공한다. 또한 전환에 내재된 어려움과 장애물도 예를 든다. 딸기 전환 연구 프로젝트의 연차별 전개는 표22.1에 요약되어 있다.



연도

활동 또는 획기적 사건

전환 단계

1986

처음으로 전환하는 농부와 접촉

1단계와 2단계

1987-1990

농장 안의 전환을 비교하는 연구

2단계

1990

첫 번째 전환에 대한 발표, 캘리포니아 농업 44:4-7

2단계

1990-1995

유기농 관리의 개선

2단계

1995-1999

돌려짓기와 작물 다양화

초기 3단계

1996

두 번째 전환에 대한 발표, 캘리포니아 농업 50:24-31 

2단계

1997-1999

메틸브로마이드의 대안에 대한 연구 프로젝트

2단계

1998

딸기 연구집단의 생물학적 농업 체계((BASIS) 수립

2단계와 3단계

1999

토양 건강/ 작물 돌려짓기 연구 시작

2단계와 3단계 

2000-2006

딸기 농업생태계의 건강 연구

2단계와 3단계 

2002-2003

북아메리카 딸기 재배자 연합이 자금을 지원하는 병원체 연구

2단계와 3단계 

2001-2005

미국 농학회 회의에서 포스터/구두 발표

3단계

2003-2006

자주개자리 유인작물 프로젝트

3단계

2004

유기농 딸기 생산 단기 과정

2단계와 3단계

2004-2008

미국 농무부-유기농 연구 이니셔티브 프로젝트: 유기농 채소와 딸기 생산을 위한 통합 네트워크

2-4단계 

2004

협력 재배자는 농민장터와 직거래를 보완하기 위해, 파이와 조각케잌, 잼 같은 고부가가치 제품을 판매하는 농장 내의 판매대를 개설

4단계

2005-2006

산타크루즈 대학 식당에 지역의 유기농 딸기

4단계 

2006

캘리포니아 딸기 위원회와 북아메리카 딸기 재배자 연합이 유기농 돌려짓기 체계 연구에 자금을 지원

3단계

2007

돌려짓기 주기를 단축시킬 수 있도록 메틸브로마이드 훈증의 대안으로 ASD에 대한 연구 시작

2단계와 3단계

2011

미국 농무부-유기농 연구 이니셔티브 프로젝트: 지역의 농장에서 ASD 연구의 확대를 위한 지원

2단계와 3단계

2014

작물 돌려짓기와 생물훈증 연구 발표, 농생태학과 지속가능한먹을거리 체계 38(5): 21pp. (2014)

2단계와 3단계

2014

협력 재배자에게 먹을거리 정의 인증을 수여

5단계

표22.1 딸기 전환 연구 활동의 연대기(캘리포니아 산타크루즈 대학의 농생태학 연구집단이 수행)



캘리포니아의 산업적/관행적 딸기 생산의 현재 체계는 토양 훈증 메틸브로마이드가 도입된 1960년대 초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그 시기까지 재배자들은 밭마다 몇 년 동안 딸기를 돌려짓기하면서 딸기를 여러해살이로 다루었다. 메틸브로마이드를 사용해 재배자가 딸기를 한해살이 작물로 관리하며 매년 같은 토지에서 재배했다. 1960년대 이후 사용된 그 체계에서 딸기는 늦여름이나 초가을에 농사철이 끝난 뒤 매년 제거된 다음, 토양은 경운되어 다음 농사철에 새로운 식물을 다시 심기 전에 훈증되었다. 점적 관개, 비닐 덮기, 토양 조작이란 집약적 체계가 필요해졌다(그림22.3).



그림22.3 캘리포니아 왓슨빌 근처의 메틸보로마이드로 훈증된 산업적/관행적 딸기밭. 기화된 메틸브로마이드는 며칠 동안 비닐 아래에 머문다. 유기농 관리로 전환하는 일은 매우 유독하고 값비산 화학물질을 다양한 대안적 투입재와 농법으로 대체하는 걸 포함한다. 





1단계 전환

농생태학 연구집단의 참여 이전에 수행된 전환과 관련된 첫 번째 노력은 생산 체계의 성격을 바꿈에 따라 수확량과 수익성을 높이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투입재를 감소시키고 환경에 대한 영향을 줄이기 위하여 병해충을 방제하는 더 효과적인 방법을 발견하고자 광범위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예를 들어, 일반적 해충인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의 방제를 위한 여러 진드기약이 농약에 대한 진드기의 저항성 발달, 비표적 유기체에 대한 부정적 영향, 지하수의 오염, 수확한 딸기의 잔류농약과 농업노동자에 대한 건강 영향 등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시험되었다(Sances 1982). 


2단계 전환

1980년대 초에 유기농 식품에 대한 관심이 농업에서 잠재적인 시장의 힘이 되고 농약 안전 및 환경 품질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면서 농민들이 대응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환경에서 산타크루즈 대학의 연구자들과 지역의농민이 전환을 위한 협력관계를 형성했다. 1987년, 이러한 협력관계는 딸기 전환을 비교하는 연구 프로젝트가 되었다. 3년 동안 딸기는 유기농으로 관리되어 재배된 딸기와 함께 나란히 관행적 투입재와 관리를 이용하여 실험밭에 재배되었다. 유기농 실험밭에서, 각각의 관행적 투입재 또는 농법은 유기농의 등가물로 대체되었다. 예를 들어, 진드기약으로 점박이응애를 방제하기보다는 이로운 포식자인 칠레이리응애(Phytoseiulus persimilis)를 유기농 실험밭에 풀어주었다. 3년의 전환기 동안 점박이응애의 개체군 수준을 관찰하고, 포식자의 방출을실시하며, 반응을 정량화했다. 연구가 끝날 무렵, 포식자의 이상적인 비율과 방출량 -현재 업계의 표준- 이 산출되었다(Gliessman et al. 1996). 

3년의 비교 연구 이후에, 연구자들은 계속하여 변화를 관찰하고, 농민은 자신의 투입재 사용과 농법을 계속하여 조정했다. 이는 특히 토양 매개 질병과 관련하여 그러했다. 몇 년 동안의 유기농 관리 이후에 뿌리 썩음병의 원인인 버티실리움 달리애Verticillium dahliae 같은 질병이 더 자주 발생하기 시작했다. 그 대응은 투입재 대체물에 대한 연구를 강화하는 것이었다. 갓 생물훈증에 대한 초기 실험이 이루어지고, 유기농 비옥도 관리의 조정이 일어나며, 균근 토양 접종물이 시험되었다. 하지만 농업생태계는 아직 기본적으로 딸기의 대규모 단작이었고 질병으로 인한 문제가 증가했다. 

혐기성 토양 소독(ASD)은 메틸브로마이드 훈증을 대체하는 방법이다. 이 기술로 브로콜리 작물 잔여물부터 갓 깻묵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유기물의 원천을 토양에 포함시킨 다음, 물을 가득 대고 물이 스며들지 않는 비닐 방수포를 덮었다. 혐기성 조건과 유기물의 분해 산물의 배출이 결합해 메틸브로마이드와 똑같은 기능을 수행하지만, 유기농 인증 기준에 따른 물질만 허용된다(Shennan et al. 2010). 큰 의문은 이러한 대체물이 대규모 단작식 유기농 딸기를 계속 생산하게 할지, 아니면 3단계에서 다양화와 농법을 결합시키는 창의적 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는지의 여부이다. 


3단계 전환

생태계의 안정성은 그 체계의 모든 구성요소의 역동적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개념에 기반하여, 연구자와 농민은 단순화된 대규모 단작에 의해 생성된 문제들에 대한 저항을 설계하는 방법을 고안했다. 농민은 메틸브로마이드가 출현하기 이전에 사용된 전통적인 작물 돌려짓기 농법으로 부분적으로 돌아가야 한다는 것을 깨달았다. 연구진은 딸기 농업생태계를 다시 설계하여 다양성과 복잡성이 돌려짓기를 더 효과적으로 만들고, 경우에 따라서는 기간을 더 줄일 수 있도록 돕기 위하여 생태적 상호작용에 대한 그들의 지식을 이용했다.이들 발상의 시험은 상당한 진전을 이루고 있다. 예를 들어, 갓 덮개작물은 독성 천연화합물의 방출을 통해 잡초와 질병을 타감작용으로 줄이는 능력이 시험되었다. 브로콜리는 버티실리움 병원체를 위한 숙주가 아니기 때문에 돌려짓기 작물로 매우 중요하고, 토양에 포함된 브로콜리 잔여물이 병원체의 존재를 감소시키는 생물훈증물을 토양에 방출하는 것이 밝혀졌다(Muramoto et al. 2005, 2014). 시금치, 완두, 아티초크 같은 질병의 숙주가 아닌 다른 작물들도 딸기와 함께 성공적으로 돌려짓기에 활용되었다. 

여전히 체계의 외부에서 구매해 방출해야 하는 생물농약에 의존하기보다는 천연 조절제를 체계에 포함시켜 지속적인 기반에서 존재하며 활동하도록 만들 생각으로 연구진과 농민은 재설계 접근법에 착수했다. 예를 들어,그들은 잔존하는 딸기 식물체나 밭 주변의 유인작물 두둑에서 칠레이리응애 포식자를 위한 서식처가 제공될 수 있다는 발상을 시험했다. 아마 가장 새로운 재설계 아이디어는 노린재(Lygus hesperus)를 위한 유인작물로딸기밭에 자주개자리 두둑을 도입한 것일 터이다. 그 해충은 딸기 과실에 심각한 변형을 일으킬 수 있고, 보편자 해충이기 때문에 투입재 대체를 통해 방제하기 매우 어렵다. 딸기밭의 25번째 두둑마다 자주개자리 두둑으로 대체(밭의 약 3%)한 다음 그 두둑에 방제 전략(진공청소, 생물농약 살포)을 집중시켜서, 노린재 피해를 수용할 수 있는 수준으로 줄일 수 있었다(Swezey et al. 2013). 이러한 자주개자리 두둑의 능력은 더 나은 천연 해충 방제를 위한 익충의 저장고로 기능한다는 걸 시험했을 뿐만 아니라, 밭의 표본조사로 자주개자리의 두둑에서 발생하는 천적의 풍부함을 보여주었다. 스페인에서 선택적 기생자(Peristenus relictus)가 그 두둑에 성공적으로 도입되어, 그것이 현재 번식하며 노린재의 애벌레에 기생하여 생물학적 방제에 도움이 되고 있다(Sweezy et al. 2014)(그림22.4). 





그림22.4 자주개자리 두둑은 딸기 농업생태계에서 해충을 위한 유인작물과 익충을 위한 서식처로 활용된다. 그러한 농지 규모의 다양화는 3단계 전환의 사례이다. 




4단계 전환

소비자는 더 지속가능한 설계와 관리로 농업생태계를 전환시키는 데 매우 중요한 힘이 되고 있다. 산타크루즈대학의 캠퍼스의 학생들이 학교식당의 관리자에게 지역 농산물, 유기농산물, 공정무역 제품 -유기농 딸기를 포함하여- 등을 식단에 포함시키자고 설득했을 때, 4단계의 전환이 처음 출연했다. 지속가능성의 문화가 형성되기 시작했다는 또 다른 지표가 있다. 소비자들은 유기농산물에 대한 수요를 증가시켜 유기농업이 점점 중요해지도록 할 수 있다. 엄청 많은 딸기가 재배되는 두 곳의 중부 연안 카운티에서, 2012년 전체 35,630개의 농지가 유기농 인증을 받아 1997년보다 7배 이상 증가했다. 이들 카운티의 유기농업에서 발생하는 전체 농장수익은 2012년 2억4770만 달러로, 1997년 대비 2000% 이상 급증했다(Monterey County Agricultural Commissioner 2013; Santa Cruz County Agricultural Commissioner 2013). 표22.2에서 볼 수 있듯이, 같은 기간 동안 유기농 딸기의 생산이 아주 유사하게 증가했다.



연도

유기농 생산 면적(헥타르b)

공표된 총 가치(달러)

유기농 생산자 수

1997

약 54

없음

없음

1998

약 99

250만

82

1999

약 326

870만

99

2000

약 220

970만

119

2001

약 306

930만

113

2002

약 517

1250만

105

2003

약 522

2460만

99

2004

약 559

2840만

없음

2005-2010

없음

없음

없음

2011

약 663

6350만

95

표22.2 캘리포니아 유기농 딸기 생산의 변화, 1997-2011a

출처: California Department of Food and Agriculture, California Organic Program (www. cdfa.ca.gov/is/i_%26_c/organic.html);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Department of Agricultural Statistics.


a 캘리포니아 식품농업부(CDFA)의 자료는 1997-2004년의 것만 이용할 수 있음; 가장 최근의 자료는 미국 농무부에서 2011년까지만 이용할 수 있음.

b 면적은 미래의 파종을 위해 휴한이나 미경작지 등이 포함될 수도 있어 과대평가되는 경향이 있음.




5단계 전환

이러한 긍정적 추세에도 불구하고, 5단계의 전환 과정에서만 해결할 수 있는 몇 가지 지속가능성의 쟁점이 이러한 딸기 생산의 극적인 성장과 연결되어 있다. 예를 들어, 토양침식과 양분 침출이 유기농 딸기밭의 넓은 면적에 걸쳐 관찰되었다. "5단계의 사고"라 부르는 것은 전체 체계의 건강에 대한 우려의 일부로 그러한 쟁점에 대한 고려를 포함해야 한다. 더 복잡한 사회적 쟁점은 5단계로 전환하는 걸 시작하기 위한 초기의 노력에 대한 초점이기도 하다. 표22.2에서 볼 수 있듯이, 재배면적이 증가했지만 2000년 이후 유기농 딸기 생산자의 수가 감소했다. 또한 유기농 딸기는 보통 더 많은 노동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노동자의 건강과 안전, 성별 임금 격차의 철폐 등의 문제를 고려해야 한다. 농생태학 연구집단과 함께 협력하는 농민은 몇 년 전 미국 농업노동자 노동조합(UFW)과 계약을 체결해 임금과 건강, 휴가 혜택 등을 보장하고 있는 유일한 유기농 재배자 가운데 하나이다. 또한 그의 농법과 노동자와의 관계에 사회정의를 통합한 방식 때문에 식품정의(Food Justice) 인증(http://www.agriculturaljusticeproject.org)이라 부르는 것을 달성하기 위한 첫 번째 농장 가운데 하나이기도 하다. 그의 전체 체계적 접근법은 5단계로 전환하기 위해 취할 수 있는 발걸음의 중요한 사례이다. 2단계와 3단계를 넘어서려는 연구자들에게 필요한 다음의 중요한 걸음은 4단계와 5단계에 필요한 변혁적 변화에 자신의 연구를 연결하는 것이다.       





사례 연구: 유기농 사과 생산으로 전환하기


유기농으로 관리되는 농업생태계가 완벽하게 지속가능하지 않더라도, 산업형 및 관행적 체계보다는 더 지속가능한 농법을 강조한다. 그러나 유기농 생산으로 전환하려 고려하고 있는 농민들은 인증된 유기농업의 생태적 장점 이상의 것을 염려한다. 그들은 유기농업으로 얻은 이익으로 가족을 부양할 수 있는지 등과 같은 전환에 따른 경제적 결과에 관해 알고 싶어 한다. 


그러한 현실적 우려를 인식하며 연구자들은 전환 과정을 연구하고 산업적/관행적 관리와 유기적 관리의 경제성을 비교한다. 그러한 한 연구에서, 캘리포니아 산타크루즈 대학의 농생태학과 지속가능한 먹을거리 체계를 위한 센터(CASFS)에 있는 연구진은 캘리포니아 왓슨빌의 농장에서 그래니 스미스Granny Smith 사과를 1단계 전환에서 2단계 유기농 관리로 이행시키는 걸 분석했다(Swezey et al. 1994). 연구진은 식물의 양분 함량, 잡초의 종과 풍부함, 해충 피해, 사과의 주요 해충인 코들링 나방의 생활주기 등을 포함하여 이행 과정의 생태적 변수를 관찰했다. 이러한 꼼꼼한 관찰을 통해 연구진은 필요에 따라 관리 전략을 조정할 수 있었다. 이들 전략에는 유기질 토양개량재를 적용하고, 코들링 나방을 혼란스럽게 만드는 페르몬을 사용하여 나방의 교미 주기를 교란하는 일 등이 포함되었다.


또한 연구진은 연구 기간 동안 경제적 비용과 소득을 추적했다. 유기농 체계는 익지 않은 사과를 손으로 솎는 일 같은 농법 때문에 관행농 체계보다 노동력을 10% 더 많이 사용하고, 재료의 비용은 관행농 체계보다 17%더 높았다. 그러나 유기농 체게는 사과의 품질과 전체 사과의 양에서 더 많은 수확량을 생산했다. 전체적으로,유기농 체계는 더 많은 수확량과 프리미엄 유기농 사과를 위한 시장에서 더 높은 가격을 받아 경제적 수익도 더욱 높았다. 


이 연구는 산업적/관행적 농업에서 인증된 유기농으로 전환하는 일이 꼼꼼하게 계획을 세우고 노동집약적일 수 있지만, 유기농 사과의 생산이 수익성이 있을 수 있음을 입증했다. 2단계 전환 방식을 개선한 비슷한 연구가 캘리포니아에서 처음으로 유기농 사과 생산 매뉴얼로 출간되었다(Swezey et al. 2002). 매뉴얼에서 언급된 3단계 전환의 유일한 구성요소는 영구적인 두둑 사이에 콩과식물과 목초의 덮개작물을 활용하는 것이다. 유기농 사과 농업생태게의 장기적 지속가능성은 아직 해결해야 할 것이 있다(그림22.5)



그림22.5 캘리포니아 코라리토스에서 유기농 관리로 전환하고 있는 반왜성 대목 위의 후지 사과





전환하려는 노력의 평가


처음에는 생태학에 기반한 농업생태계 관리로 전환하여 그 체계에 생태적 변화들이 나타난다(Gliessman 2004; Gliessman and Rosemeyer 2010). 합성 농화학물질의 사용이 감소되거나 제거되며, 양분과 바이오매스가 체계 안에서 순환됨에 따라, 농업생태계의 구조와 기능도 변화한다. 기본적인 토양의 구조와 유기물 함량, 토양 생물군의 다양성과 활성에서 시작해 다양한 과정과 관계가 변형된다. 결국 주요한 변화는 잡초, 곤충, 질병 개체군 사이의 활성과관계에서, 그리고 이로운 유기체와 해로운 유기체 사이의 균형에서도 발생한다. 궁극적으로 양분 역학과 순환, 에너지 사용의 효율 및 전반적인 체계의 생산성이 영향을 받는다. 전환기 동안 이들 변화를 측정하고 관찰하면 농민이 전환 과정의 성공 여부를 평가하고 적응형 관리를 통해 대응하도록 돕는다. 이런 종류의 평가는 지속가능성을 위한 요건을 결정하기 위한 틀을 제공하고, 더 지속가능한 농법으로 전환하는 일이 가능하고 경제적으로 실현할 수 있도록 농업 지역사회의 더 많은 부분을 설득하는 데 도움이 된다.  


연구자의 경우, 전환 과정에 대한 연구는 연구 장소를 물색하며 시작된다. 이곳은 소유자-운영자가 인증을 받은 유기농업 같은 인정되는 대안적인 관리 유형으로 전환하고자 하며 전환 과정 동안 농장 체계의 설계와 관리에 참여하고자 바라는, 기능하고 있는 농장 안의 상업적 작물 생산 단위여야 한다(Gliessman 2002b, 2004). 그러한 "농민우선의" 접근법은 결국 다른 농민들이 채택할 수 있는 가장 좋은 기회를 지닌 경제성 있는 농법을 모색하는 데 필수적이라 간주된다. 


전환 과정을 완료하는 데 필요한 시간은 작물의 유형이나 농사짓고 있는 작물, 농장이 위치한 지역의 생태적 조건, 관리와 투입재 사용의 과거 이력 등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단기간인 한해살이 작물의 경우 그 기간은 3년 정도로 짧을 수 있고, 여러해살이 작물과 동물 체계의 경우 그 기간은 아마 적어도 5년 이상이 걸릴 것이다.


전환 과정에 대한 연구는 다음 몇 가지 수준의 자료 수집과 분석이 수반된다. 


1. 관찰과 표본조사를 통해 시간의 경과에 따른 생태적 요인과 과정의 변화를 조사한다.

2. 변화하고 있는 농법과 투입재, 설계, 관리와 함께 수확량의 변화가 어떠한지 관찰한다.

3. 앞서 언급한 변화에 수반되는 에너지 사용, 노동력, 수익성 등의 변화를 이해한다. 

4. 축적된 관찰을 기반으로, 지속가능성의 핵심 지표를 파악하고 앞으로도 그것을 잘 관측한다.

5. "농민 친화적이고", 농장 안의 농민에 기반한 관찰 프로그램에 적용할 수 있는 지표를 확인하는데, 이는 생태적 지속가능성에 대한 우리의 이해와 연결되어 있다. 


어떠한 이미 파악된 수확량 제한요인을 극복하기 위해 어떠한 관리법의 변경이 필요한지 결정하기 위하여 각 농사철, 연구 결과, 현장 특유의 생태적 요인, 농민의 기술과 지식, 새로운 기술과 농법을 모두 조사할 수 있다.


전환 과정의 궁극적 성공은 먹을거리 체계에 있는 모든 사람의 태도, 가치, 선택, 윤리가 변화하는 데 달려 있다.이들 변화가 분명해짐에 따라 새로운 지속가능성의 문화가 출현하여, 우리가 투입재와 농법을 단순히 대체하여 농업생태계를 다시 설계하는 것이 아니라 전체 먹을거리 체계를 변화시키는 방향으로 나아가도록 연구와 혁신을 북돋울 것이다. 







생각거리


1. 많은 전통적 농사 체계의 장기적인 생태적 지속가능성을 저해하고 있는 세력은 무엇이고, 어떻게 이들 세력에대응할 수 있는가?


2. 당신이 산업형 또는 관행적 관리의 오랜 역사가 있는 여러분의 지역사회에서 농장을 관리해야 하는 경우, 농장을 지속가능한 관리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시작하기 위하여 먼저 변경해야 할 것은 무엇인가?


3. 지속가능하지 않은 관리에서 지속가능한 관리로 농장을 전환시키는 데 시간이 얼마나 걸릴 것이라 생각하는가? 어떠한 변수가 전환 기간의 길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


4. 농장을 생태학에 기반한 관리로 전환하려 고려하고 있는 농민에게 제공될 수 있는 장려책은 무엇인가?


5. 생태적 관점에서, 대체물 수준으로 전환하는 것이 충분하지 않은 이유는 무엇인가?








인터넷 자료


Alternative Farming Systems Information Center 

http://www.nal.usda.gov/afsic

An excellent source of information on alternative farming systems and practices, designed especially for farmers. 


National Sustainable Agriculture Information Service 

http://www.attra.org

A rich source of information designed to help small-scale and rural farmers and farm communities. 


Sustainable Agriculture Research and Education (SARE) 

http://www.sare.org

A good place to find research results about the transition to sustainable agriculture.



 






읽을거리


Filson, G. C. (ed.). 2004. Intensive Agriculture and Sustainability: A Farming Systems Analysis.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Press: Vancouver, British Columbia, Canada. 

A farming systems analysis for the issues associated with sustainable agriculture, including interactions between social, economic, and ecological indicators of sustainability. 


Francis, C. A., C. Butler-Flora, and L. D. King (eds.). 1990. Sustainable Agriculture in Temperate Zones. John Wiley & Sons: New York. 

An in-depth examination of approaches to sustainability in temperate agricultural systems. 


Gliessman, S. R. (ed.). 1990. Agroecology: Researching the Ecological Basis for Sustainable Agriculture. Series in Ecological Studies #78. Springer Verlag: New York. 

An edited volume on the research approaches in the field of agroecology and sustainability. 


Gliessman, S. R. and M. E. Rosemeyer (eds.). 2010. The Conversion to Sustainable Agriculture: Principles, Processes, and Practices. Advances in Agroecology Series. CRC Press/ Taylor & Francis Group: Boca Raton, FL. 

A collection of case studies that demonstrate the theory, processes, and practical steps needed to make the transition to sustainability in agriculture using an agroecological approach. 


National Research Council. 1989. Alternative Agriculture. National Academy Press: Washington, DC. 

An excellent review of the roots of the alternative agriculture movement in the United States, its motivations and its future. 


National Research Council. 2010. Toward Sustainable Systems in the 21st Century. Committee on Twenty-First Century Systems Agriculture. National Academies Press: Washington, DC. 

Using the same framework as the groundbreaking study released in 1989, this report assesses the scientific evidence for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different production, marketing, and policy approaches for improving and reducing the costs and unintended consequences of industrial agriculture. It discusses the principles underlying alternative farming systems and practices that could improve sustainability. 


Röling, N. G. and M. A. E. Wagemakers. 2000. Facilitating Sustainable Agriculture: Participatory Learning and Adaptive Management in Times of Environmental Uncertain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Analyzes the implications of adopting sustainable agricultural practices, both at the farm and the landscape scale, with a focus on social aspects.



728x90
728x90

농생태학: 지속가능한 먹을거리 체계의 생태학








20장 농업생태계의 에너지학


에너지는 생태계와 생물권 전체의 혈액이다. 가장 근본적은 수준에서, 생태계가 하는 일은 에너지를 포획하고 변형하는 것이다. 


에너지는 생태계를 통하여 한 방향으로 끊임없이 흘러가고 있다. 그것은 태양 에너지로 들어가 광합성을 하는 유기체(식물과 조류)에 의해 유기분자의 화학 결합이나 바이오매스에 저장되어 잠재적 에너지로 전환된다. 이러한 잠재적 에너지가 일할 수 있는 유기체에 의해 수확될 때마다, 그 가운데 많은 부분이 더는 일하거나 변형되는 데 이용할 수 없는 열 에너지로 변환된다. 그것은 생태계에서 상실된다. 


본질적으로 농업은 생태계에서의 에너지 포획과 흐름에 대한 인간의 조작이다. 인간은 농업생태계를 이용해 태양에너지를 먹을거리, 사료, 섬유, 연료로 이용할 수 있는 특정 바이오매스의 형태로 전환시킨다. 


모든 농업생태계 -초기 농업의 단순하고 국지적인 파종과 수확부터 오늘날의 집약적으로 변경된 농업생태계까지- 는 태양에 의해 제공되는 것 이외에 그들의 인간 지킴이가 주는 에너지의 투입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투입은 수확되는 물질의 형태로 농업생태계로부터 에너지가 많이 제거되기에 부분적으로 필요하다. 하지만 농업생태계가 자연 과정을 어느 정도 벗어나 반대되어야 하기에 필요하기도 하다. 인간은 다양한 방식으로 개입 -비작물 식물과 초식동물의 관리하고, 관개하고, 토양을 경운하는 등- 하고 일해야 한다.


지난 수십 년 동안의 농업의 "근대화"는 주로 수확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주로 농업에 더 많은 양의 에너지를 투입하는 과정이었다. 하지만 이러한 추가된 에너지 투입의 대부분은 재생할 수 없는 화석연료에서 직간접적으로 온 것이다. 또한 산업형 농업에 에너지를 투자한 것에 대한 수익은 그다지 좋지 않다. 많은 작물의 경우, 우리는 먹을거리 에너지로 돌아오는 것보다 더 많은 에너지를 투자한다. 이 과정에서 생기는 배출도 기후변화에 기여했다. 그러므로 우리의 에너지 집약적 형태의 농업은 근본적인 변화 없이 미래에도 지속될 수 없다. 






에너지와 열역학 법칙


농업에서 에너지 흐름과 투입에 대한 조사는 에너지와 그것을 지배하는 물리 법칙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필요하다. 먼저, 에너지란 무엇인가? 에너지는 일을 하는 능력이라고 가장 일반적으로 정의된다. 일은 힘이 일정 거리이상 작용할 때 발생한다. 에너지가 실제로 일을 할 때 그것을 운동에너지라고 부른다. 예를 들어 휘두르는 괭이와 움직이는 쟁기에, 태양에서 오고 있는 광파에도 운동에너지가 있다. 에너지의 또 다른 형태는 움직이지 않지만 일을 할 수 있는 에너지인 위치에너지이다. 운동에너지가 일을 하고 있을 때, 그 가운데 일부는 위치에너지로 저장될 수 있다. 바이오매스의 화학 결합에 있는 에너지는 위치에너지의 한 형태이다. 


물리 세계와 생태계에서, 에너지는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끊임없이 이동하고 변화하는 형태를 띤다. 열역학의 두 법칙이 이것이 어떻게 발생하는지 설명한다. 열역학 제1법칙에 의하면, 에너지는 어떤 이동이나 변형이 일어나더라도 생성되지도, 파괴되지도 않는다. 에너지는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이동하거나 일을 하는 데 사용되는 한 형태에서 다른 형태로 바뀌며, 그 모두는 설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나무의 연소(나머지 산물의 위치에너지를 더한)에 의해 생성되는 열 에너지와 빛 에너지는 연소되지 않은 나무와 연소하는 동안 소모되는 산소의 위치에너지와 동일하다. 


열역학 제2법칙은 에너지가 전달되거나 변형될 때 에너지의 일부가 더 이상 통과할 수 없는 형태로 전환되어 일을 할 수 없다고 서술한다. 이러한 열화된 형태의 에너지는 단순히 무질서한 분자의 운동인 열이다. 열역학 제2법칙은 항상 더 큰 무질서, 또는 엔트로피 쪽으로 향하는 경향이 있음을 의미한다. 엔트로피를 상쇄하려면 -즉, 질서를 만들려면- 에너지를 소비해야 한다. 


제2법칙의 작동은 자연 생태계에서 명확하게 볼 수 있다. 에너지는 먹을거리의 형태로 한 유기체에서 다른 유기체로 전송되고, 그 에너지의 상당 부분이 엔트로피가 순 증가하는 것과 함께 대사 활동을 통해 열로 분해된다. 또다른 의미에서, 생물학적 체계는 무질서에서 질서를 창출할 수 있기 때문에, 제2법칙에 부합하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태양 에너지의 형태로 체계의 외부에서 지속적으로 에너지가 투입되기 때문에, 생물학적 체계는 이를 할 수 있을 뿐이다.


모든 체계에서 에너지 흐름을 분석하려면 에너지 사용을 측정해야 한다. 이 목적을 위해 여러 단위를 이용할 수 있다. 이번 장에서 우리는 먹을거리 생산에서 에너지의 투입과 함께 인간의 영양을 연결시키기 가장 좋기 때문에선호되는 단위로 킬로칼로리(kcal)를 사용할 것이다. 다른 단위와 그 등가는 표20.1에 나열되어 있다.



단위

정의

등가

칼로리(cal)

15℃의 물 1g(1ml)을 1℃ 올리는 데 필요한 열량

0.001kcal

4.187J

킬로칼로리(kcal)

15℃의 물 1kg(1L)을 1℃ 올리는 데 필요한 열량

1000cal

4187J

3.968Btu

영국 열량 단위(Btu)

물 1파운드를 1℉ 올리는 데 필요한 열량

252cal

0.252kcal

줄(J)

물체에 1N의 힘을 가해 물체가 그 방향으로 1m 이동했을 때 일의 양

0.252cal

0.000252kcal

표20.1 에너지 측정의 단위 




태양 에너지의 포획

 

생태계와 농업생태게를 통한 에너지 흐름의 출발점은 태양이다. 태양이 방출한 에너지는 식물에 의해 포획되고, 3장과 4장에서 논의된 광합성 과정을 통하여 저장된 화학 에너지로 전환된다. 광합성을 통해 식물에 의해 축적된에너지는 생태계에서 에너지 저장의 첫 번째이자 가장 기본적인 형태이기에 1차 생산이라 부른다. 식물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호흡 이후에 남은 에너지는 순1차생산(NPP)이고, 바이오매스로 저장되어 남는다. 농업을 통하여 우리는 이러한 저장된 에너지를 직접 소비하거나, 우리가 소비하거나 일을 시킬 수 있는 동물에게 먹여서 수확하고 이용할 수 있는 바이오매스에 집중시킨다.  


식물은 태양 에너지를 얼마나 효율적으로 포획하여 저장된 바이오매스로 그것을 전환시킬 수 있는지가 달라진다.이러한 차이는 식물의 형태(예, 잎 면적), 광합성 효율, 생리의 차이로 인한 결과이다. 또한 식물이 성장하는 조건에 달려 있다. 농업의 식물은 가장 효율적인 식물 가운데 일부이지만, 그들조차 햇빛을 바이오매스로 전환시키는 효율은 거의 1%를 넘지 않는다(1%의 효율은 식물에 도달하는 태양 에너지의 1%가 바이오매스로 전환되는 걸의미).


토지의 면적당 가장 생산적인 먹을거리 및 사료 작물의 하나로 간주되는 옥수수는 곡물과 옥수수대 사이에 균등하게 나뉜 15,000kg/ha/계절 정도의 건조 바이오매스를 생산할 수 있다. 이 바이오매스는 연중 옥수수밭에 도달하는 태양 에너지의 약 0.5%(또는 재배철 동안 옥수수밭에 도달하는 햇빛의 약 1%)에 해당한다. 40,000kg/ha의 신선한 덩이줄기(건조 물질 7,000kg/ha에 해당)를 수확하는 감자는 전환 효율이 약 0.4%이다. 곡물 수확량2700kg/ha이자 건조 물질 수확량 6750kg/ha인 밀은 전환 효율이 약 0.2%이다. 열대 지역에서 사탕수수의 전환 효율은 가장 높다고 알려진 것(약 4.0%) 가운데 하나이다.


이러한 효율은 상대적으로 낮지만, 약 0.1%로 추산되는 성숙한 자연 식생의 평균 전환 효율보다 여전히 몇 배나 더 높다(Pimentel 2012).  또한 우리는 자연 식생의 바이오매스 가운데 인간이 소비할 수 있는 건 거의 없는 반면, 농업 종에 저장된 에너지 가운데 상당 부분을 소비할 수 있다는 사실을 고려해야 한다(그림20.1). 



그림20.1 태양 에너지의 바이오매스 전환 효율. (Pimentel, D. et al., Bioscience, 28, 376, 1978; Ludlow, M.M., Aust. J. Plant Physiol., 12, 557, 1985; Pimentel, D., W. Dahzhongh, and M. Giampietro. Technological change in energy use in U.S. agricultural production. In S.R. Gliessman [ed.], Agroecology: Researching the Ecological Basis for Sustainable Agriculture. Springer-Verlag: New York, pp. 302–321, 1990.의 자료)


 



산업국에서 소비되는 먹을거리의 대부분은 식물 바이오매스가 아니라 동물 바이오매스이기 때문에, 우리는 식물성 에너지에서 육류, 우유, 달걀로 전환하는 효율도 조사해야 한다. 동물은 유지와 호흡에 너무 많은 대사 에너지를 상실하기 때문에 식물 바이오매스로부터 동물 바이오매스를 생산하는 건 비효율적이다. 


이러한 전환을 분석하는 건 육류와 우유, 달걀은 주로 단백질을 위해 생산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동물 바이오매스에 있는 단백질의 에너지 함량에 관하여 이루어진다. 사육장이나 감금된 가축은 동물의 종류와 생산 체계에 따라 단백질 에너지의 각 단위를 생산하기 위하여 20-120단위의 식물성 사료 에너지가 필요하다. 이는 저품질에서 0.8%의 효율, 고품질에서 5%의 효율과 등가이다. 만약 이러한 전환 효율이 동물의 사료 생산을 위한 효율과 결합된다면, 동물 생산 체계의 비효율성은 분명해진다. 예를 들어, 소 사육장에서 먹이는 식물성 산물은 식물에 도달한 태양 에너지의 약 0.5%를 함유하고, 소비되는 소의 고기에 있는 단백질은 사료에 있는 에너지의 10.8%를 함유하여, 전체 효율은 0.004%에 불과하다(그림20.2).



그림20.2 젖소는 우유 생산을 늘리기 위하여 농축사료를 먹는다. 옥수수 사일리지, 자주개자리 펠렛, 기타 보충제가 유제품을 생산하는 에너지 비용을 증가시킨다. 




방목되는 가축은 다른 형태의 농업에 적합하지 않는 토지에 방목하고, 자연 생태계나 낮은 에너지를 필요로 하는 목초 체계에서 직접적으로 사료를 섭취할 수 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 다르게 고려되어야 한다. 그들은 인간이 직접 소비할 수 없는 바이오매스에 포함된 에너지를 변형시킬 수 있다. 







먹을거리 생산에서 에너지 투입


우리가 소비하는 먹을거리의 모든 에너지가 원래 태양에서 비롯되지만, 농업생태계의 맥락에서 먹을거리를 생산하려면 추가적인 에너지가 필요하다. 이 추가적인 에너지는 인간의 노동, 동물의 노동, 기계로 이루어지는 작업의 형태로 제공된다. 또한 에너지는 기계, 농기구, 종자, 비료를 생산하고, 관개를 제공하며, 먹을거리를 가공하고, 그걸 시장에 운송하는 데에도 필요하다. 우리는 농업의 에너지 비용을 이해하고, 농업에서 더 지속가능하게 에너지를 사용하는 토대를 마련하고자 이런 모든 에너지 투입을 조사해야 한다. 


무엇보다 농업에 있는 다양한 유형의 에너지 투입을 구별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생태적 에너지 투입이라 부르는태양 복사로 인한 에너지 투입과 문화적 에너지 투입이라 부르는 인간에게서 유래된 에너지 투입 사이의 기본적 차이가 있다. 문화적 에너지 투입은 생물학적 투입과 산업적 투입으로 더 나눌 수 있다. 생물학적 투입은 유기체에서 직접적으로 비롯되고, 인간의 노동과 동물의 노동, 분뇨를 포함한다. 산업적 에너지 투입은 화석연료와 방사성 핵분열, 지열과 수자원의 근원으로부터 유래한다(그림20.3). 



그림20.3 농업에서 에너지 투입의 유형. 생물학적 문화 에너지와 산업적 문화 에너지는 특정 농업생태계의 외부에서 비롯될 수도 있고(이 경우 외부에서 인간의 투입이란 형태임), 체계를 갖춘 근원에서 유래되었을 수도 있다. 




비록 우리가 이러한 모든 에너지원을 "투입"으로 이야기하고 있지만, 어떠한 형태의 문화적 에너지는 특정한 농업생태계 안의 근원에서 유래될 수 있어 우리가 그 용어를 사용한다는 의미에서는 투입이 되지 않는다는 점에 주의하는 게 중요하다. 그러한 에너지의 "내부 투입"은 농장 거주자의 노동, 농장 안 동물의 분뇨, 농장 안의 풍차나 풍력 터빈의 에너지를 포함한다.  





문화적 에너지 투입과 수확 산출

지속가능성의 관점에서, 농업생태계에 있는 에너지 흐름의 주요 측면은 생태적 에너지를 바이오매스로 전환시키는 데 문화적 에너지가 어떻게 사용되는가 하는 점이다. 인간이 먹을거리의 생산에서 환경에 가하려고 하는 자연과정의 변형이 클수록 필요한 문화적 에너지의 양도 커진다. 에너지는 작물 유기체의 최적의 성장과 발달을 유지하기 위하여 낮은 다양성의 체계를 유지하고, 간섭을 제한하며, 체계의 물리적, 화학적 조건들을 변형하기 위해 필요하다.  


문화적 에너지의 투입이 클수록 생산성을 더 높일 수 있다. 그러나 둘 사이에 일대일 관계가 있는 건 아니다. 문화적 에너지 투입이 매우 높을 때, 문화적 에너지를 추가로 "투자"하여 돌아오는 "수익"은 아주 적기도 하다. 농업생태계의 산출은 에너지의 측면에서 측정될 수 있기에, 우리는 간단한 비율로 농업생태계의 에너지 사용 효율을 평가할 수 있다. 수확된 바이오매스에 함유된 에너지의 양을 그 바이오매스를 수확하는 데 필요했던 문화적 에너지의 양과 비교하는 게 그것이다. 모든 세계의 농업생태계에 걸쳐, 이 비율은 에너지가 투입되는 것보다 훨씬 많은 것이 나오는 비율부터 에너지 투입이 에너지 산출보다 더 큰 비율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인간의 노동이란 형태로 생물학적 문화 에너지만 사용하는 비기계화된 농업생태계(예, 목축이나 이동식 경작)는 투자된 문화 에너지의 각 칼로리에 대하여 5에서 거의 40칼로리의 먹을거리 에너지로 달라지는 수익을 실현할 수 있다. 역축을 활용한 영구적인 농사 체계는 문화 에너지의 투입이 더 높지만, 이러한 더 큰 에너지 투자가 더 높은 수확량을 가능하게 하기에 그러한 체계는 여전히 문화 에너지의 투자에 대해 유리한 수익을 안겨준다.


그러나 기계화된 농업생태계에서, 산업적 문화 에너지의 매우 많은 투입이 생물학적 문화 에너지의 대부분을 대체하여 높은 수준의 수확량을 가능하게 하지만 에너지 사용 효율을 크게 감소시킨다. 옥수수와 밀, 벼 같은 곡물의 생산에서, 이러한 농업생태계는 문화 에너지 1칼로리당 1-3칼리로의 먹을거리 에너지를 수확할 수 있다. 기계화된 과실과 채소 생산에서, 그 에너지 수익은 기껏해야 에너지 투자보다 약간 더 큰 정도이며, 대부분의 경우 에너지 수익은 더 작다(Pimentel and Pimentel 2008). 동물성 먹을거리의 생산에서 그 비율은 대부분의 경우 훨씬 불리하다. 예를 들어, 미국의 소고기 생산은 획득한 칼로리당 약 5칼로리의 문화 에너지가 필요하고, 돼지고기는 10칼로리 정도가 필요하다(Pimentel and Pimentel 2008).


동물성 먹을거리는 전체 에너지 함량보다 단백질 함량이 더 중요하기 때문에, 우리는 또한 동물이 소비하는 사료에 있는 에너지와 비교하여 이들 먹을거리의 단백질에 있는 에너지의 측면에서 그것들을 생산하는 에너지 효율을고려해야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우유와 돼지고기, 사육장 소고기에 있는 단백질의 칼로리당 그걸 생산하는 데에 30-80칼로리의 에너지가 필요하다. 비교하자면, 식물성 단백질(곡물 단백질의 경우)의 칼로리는 3칼로리의 문화 에너지로 생산될 수 있다. 농축된 식물성 단백질(예, 메주콩으로 만든 두부)을 생산하더라도 단백질의 칼로리당 20칼로리를 넘지 않는다. 




그림20.4 다양한 농업생태계의 에너지 투자에 대한 수익 비교. 왼쪽으로 연장된 막대는 실현된 산출이 투입보다더 큰 체계를 가리킨다. 오른쪽으로 연장된 막대는 에너지 투입이 결과로 얻은 먹을거리의 에너지 값보다 더 큰 체계를 가리킨다. (Cox, G.W. and Atkins, M.D., Agricultural Ecology, W. H. Freeman and Company, San Francisco, CA, 1979; Pimentel, D. et al., Int. Comm. Agric. Eng. Ejournal 1, 1-32, (cigr-ejournal.tamu.edu), 1998, accessed August 24, 2014. Pimentel, D. and Pimentel, M., Food, Energy, and Society, 3rd edn., CRC Press/Taylor & Francis Group, Boca Raton, FL, 2008. 에서 자료)



그림20.4에 제시된 자료는 농업의 문화 에너지 요구가 자연 생태계 과정의 변형 수준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우리의 주장을 강화한다. 인간이 생태계의 기본 구조를 손대지 않고 놔두면 비용은 적다. 관심을 가진 특정한 작물 종의 풍요를 증가시키는 약간의 사소한 변형이 이루어지면, 더 많은 문화 에너지가 필요하지만 그 수익은 여전히 유리하다(그림20.5). 하지만 복잡한 자연 생태계가 토착 종들과 매우 다른 생활 양식을 가진 작물 대규모 단작으로 대체된다면 -캘리포니아 서부의 산조아킨 계곡에 있던 건조한 관목지가 관개가 되는 면화밭으로 변한 경우처럼- , 문화 에너지 비용은 급격히 상승한다. 그 목표가 이전 자연계가 보여준 이상의 수준으로 태양 에너지의 포획(생산성)을 높이는 것이라면, 필요한 문화 에너지의 수준은 매우 높을 수 있다(그림20.5).



그림20.5 멕시코 베라크루즈에서 토착 나무의 그늘 아래에서 재배하는 커피. 이 농업생태계에서, 커피는 토착 나무의 상부 캐노피를 크게 변경시키지 않으면서 하층의 종들을 대체한다. 자연 생태계가 거의 변경되지 않기 때문에, 그 체계의 생산성을 유지하기 위해 문화 에너지도 조금만 투입한다. 

  



그림20.6은 서로 다른 유형의 농업생태계의 상대적 에너지 비용과 에너지 혜택에 대한 또 다른 관점을 제공한다. 많은 양의 문화 에너지를 사용하는 건 산업형 농업생태계가 다른 농업생태계보다 더 생산적일 수 있게 하지만, 그러한 체계가 그 에너지 투자에 대한 좋은 수익을 실현하는 건 아니다. 우리가 산업적 문화 에너지의 투입을 줄이고, 생물학적 문화 에너지의 투자를 늘리며, 산업적 문화 에너지의 사용 방법을 변화시킨다면, 더욱 에너지 효율적인 먹을거리 생산이 가능하다.


그림20.6 네 가지 유형의 체계에서 에너지 투입과 산출의 대략적인 상대적 크기. 각각의 체계에 대한 생태적 에너지 투입의 실제 크기는 표시된 것보다 훨씬 크다. 현대의 기계화된 농업의 경우, 전체 에너지 산출은 문화 에너지의 투입보다 더 작다. 이 격차는 표시된 것보다 더 극단적이곤 하다. 




생물학적 문화 에너지의 이용

생물학적 문화 에너지는 인간이 통제할 수 있는 생물학적 근원을 가진 에너지 투입이다. 여기에는 인간의 노동, 인간이 지휘하는 동물과 그 부산물의 노동, 인간이 지휘하는 모든 생물학적 활동이나 부산물이 포함된다. 대략적인 에너지 값을 지닌 생물학적 문화 에너지의 서로 다른 형태가 표20.2에 나와 있다. 



투입 유형

에너지 값

인간의 중노동(마체테로 벌목)

400-500kcal/ha

인간의 경노동(트랙터 운전)

175-200kcal/ha

대형 역축의 노동

2400kcal/ha

지역에서 생산된 종자 

4000kcal/kg

소의 분뇨

1611kcal/kg

돼지의 분뇨

2403kcal/kg

판매 퇴비

2000kcal/kg

생물가스 슬러리

1730kcal/kg

표20.2 농업에 대한 몇 가지 유형의 생물학적 문화 에너지의 에너지 함량

출처: Cox, G.W. and Atkins, M.D., Agricultural Ecology, W. H. Freeman and Company, San Francisco, CA, 1979; Zhengfang, L., Energetic and ecological analysis of farming systems in Jiangsu Province, China, Presented at the 10th International Conference of the International Federation of Organic Agriculture Movements (IFOAM), Lincoln University, Lincoln, New Zealand, December 9–16, 1994; Pimentel, D. and Pimentel, M., Food, Energy, and Society, 3rd edn., CRC Press/Taylor & Francis Group, Boca Raton, FL, 2008. 에서 자료




생물학적 문화 에너지는 궁극적 원천이 태양 에너지인 먹을거리 에너지에서 유래된다는 점에서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생물학적 문화 에너지는 수확할수 있는 바이오매스의 생산을 촉진하는 데에도 효율적이다. 우리가 이전에 보았듯이, 주로 생물학적 문화 에너지에 의존하는 농업생태계는 에너지 산출 대 투입의 가장 유리한 비율을 얻을수 있다. 


인간의 노동은 농업이 시작된 이래로 핵심적인 문화 에너지 투입이었고, 오늘날 세계의 여러 지역에서 동물의 노동과 함께 주요한 에너지 투입이 계속되고 있다. 예를 들어, 이동식 화전 경작 체계에서, 인간의 노동은 광합성을통해 포획되는 에너지 이외에 추가되는 사실상 유일한 형태의 에너지이다. 이러한 체계의 10:1-40:1의 범위로 나타나는 문화 에너지 투자 대 먹을거리 에너지 생산의 높은 비율은 인간의 노동이 얼마나 효율적으로 태양 에너지를 수확할 수 있는 물질로 전환시킬 수 있는지를 반영한다(Rappaport 1971; Pimentel and Pimentel 2008). 예를 들어,멕시코의 전통적인 이동식 경작 또는 화전의 옥수수에 대한 에너지 수지는 그림20.7에 나와 있다. 



그림20.7 멕시코의 전통적인 이동식 경작의 옥수수에 대한 문화 에너지 투입. 이 체계의 문화 에너지 투입 대 먹을거리 에너지 산출의 비율은 10.7:1이다. 도끼와 괭이(벌목과 종자 파종용)만 산업적 문화 에너지의 투입을 필요로 했다. (Pimentel, D. and Pimentel, M., Food, Energy, and Society, 3rd edn., CRC Press/Taylor & Francis Group, Boca Raton, FL, 2008. 에서 자료)




생물학적 문화 에너지가 주요한 투입인 여러 유형의 전통적이고 기계화되지 않은 먹을거리 생산 체계는 문화 에너지에 대한 그들의 투자에서 매우 유리한 수익을 실현한다. 가축을 이동시키고 돌보는 일이 주요한 인간의 활동이며 동물은 자연 식생에서 그들의 먹을거리 에너지를 얻는 목축 농업생태계에서, 문화 에너지 투자 대 먹을거리에너지 생산의 비율은 3:1에서 10:1 정도이다. 집약적이고, 기계화되지 않은 농사 체계조차 양의 에너지 수지를 유지한다. 동남아시아 지역의 논벼 생산 체계는 문화 에너지 투자의 칼로리당 38칼로리의 먹을거리 에너지를 얻을 수 있다. 


이들 체계에서 인간 노동의 에너지 값은 일을 하는 동안 사람이 쓰는 먹을거리 칼로리가 얼마인지를 조사하여 계산된다. 비록 이 기법이 좋은 기준 자료를 제공하지만, 다양한 기타 요인들을 고려하지는 않는다. 한 예로, 일하는 동안 대사되는 먹을거리를 재배하는 데 필요한 에너지와 일하지 않을 때 인간 일꾼의 다른 모든 기본적 요구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에너지를 고려할 수도 있다. 그러한 추가는 인간 노동의 에너지 값을 증가시킬 것이다. 다른 한편, 인간의 노동이 농업에서 에너지 투입으로 이용되든지 아니든지 인간의 기본적 요구는 제공되어야 하고,쉴 때도 먹을거리가 필요하다. 이를 토대로, 농작업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추가적 먹을거리 에너지만 고려하여 인간 노동의 에너지 비용을 줄일 수도 있다. 


주로 생물학적 문화 에너지에 의존하는 여러 농업생태계에서, 동물은 토양을 경운하고, 물건을 운송하며, 분뇨로바이오매스를 전환시키고, 젖과 고기 같은 단백질이 풍부한 먹을거리를 생산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이동식 경작에서 영구적 농업과 가축화가 발생하기 시작한 전환기에 농업에서 동물을 활용하는 일이 상당히 증가했다(그림20.8). 



그림20.8 에콰도르 쿠엥카 근처에서 옥수수 파종을 위해 쟁기질하는 소. 이 체계에서 에너지의 대부분은 재생할수 있는 지역의 근원에서 나온다. 




동물 노동의 활용은 전체 생물학적 문화 에너지 투입을 증가시키고 에너지 투자 대비 에너지 수확의 비율을 3:1 가까이 낮추지만, 이동식 농업 대신 영구적 농업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재배할 수 있는 면적을 늘리고, 토양을 비옥하게 하는 분뇨를 생산하며, 육류와 젖, 동물성 산물을 수확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동물은 인간이 직접 소비할 수 없는 바이오매스를 소비하여 그 상대적 에너지 비용을 낮춘다. 동물의 견인력을 활용한 옥수수 생산의 에너지효율에 대한 사례가 그림20.9에 나와 있다.



그림20.9 동물의 노동을 활용하여 전통적인 옥수수 생산 체계로 투입되는 문화 에너지. 이 체계의 문화 에너지 투입 대 먹을거리 에너지 산출 비율은 4.34:1이다. 토양으로 포함되는 덮개작물과 휴한 식물의 에너지는 계산에 포함되지 않는다. 토양으로 돌아가는 동물의 분뇨는 소의 에너지 투입에 포함되었다. (Cox, G.W. and Atkins, M.D., Agricultural Ecology, Freeman, San Francisco, CA, 1979; Pimentel, D. and Pimentel, M., Food, Energy, and Society, 3rd edn., CRC Press/ Taylor & Francis Group, Boca Raton, FL, 2008.에서 자료) 




생물학적 문화 에너지는 지속가능한 농업의 중요한 구성요소이다. 인간과 그들의 동물에서 나오는 에너지 투입은일반적으로 재생할 수 있고, 태양 에너지의 더 많은 부분을 수확할 수 있는 먹을거리 에너지로 변환하는 데 도움이 되는 에너지를 제공한다. 인간과 동물 노동의 이용은 유용한 산물에 에너지를 집중시키는 방식으로 자연 생태계 과정을 변경함으로써 열역학 제1법칙을 활용하는데, 장기적으로 농업생태계를 유지하기 위하여 항상 태양에서 오는 에너지를 생태적 투입으로 되돌림으로써 여전히 제2법칙을 따른다. 생물학적 문화 에너지의 활동적 분석을 행할 때, 이런 형태의 에너지는 농업에 대한 경제적 비용 이상의 것임을 명심해야 한다. 이는 지속가능한 생산과정의 필수적인 부분이다. 





산업적 문화 에너지의 이용

농업이 기계화되기 시작하자 산업적 문화의 근원에서 오는 에너지를 이용하는 일이 급격히 증가했다. 기계화와 산업적 문화 에너지는 생산성을 크게 증가시켰을 뿐만 아니라, 농업 생산의 본질도 변화시켰다. 인간과 동물의 노동은 대체되었고, 농사는 화석연료 생산과 소비에 결부되었다. 


오늘날의 산업형 농업생태계는 산업적 문화 에너지 투입에 크게 의존하게 되었다. 미국의 옥수수 생산은 체계를 위한 거의 모든 에너지 투입이 산업적 근원에서 나오는 농업생태계의 좋은 사례이다. 그림20.10은 옥수수 생산에서 헥타르당 전체 에너지 투입 및 이 에너지가 다양한 투입 유형들 사이에 어떻게 분배되는지 보여준다. 인간 노동의 형태로 된 생물학적 문화 에너지는 이 체계에서 최소한의 부분이다. 



그림20.10 미국의 옥수수 생산에 이용되는 10,535,650kcal/ha에 달하는 문화 에너지의 구성요소. 전체 곡물 수확량은 평균 7500kg/ha이고, 킬로칼로리 산출 대 투입 비율은 2.5:1이다. (Pimentel, D. and Wen, D., Technological changes in energy use in U.S. agricultural production, in: Carrol, C.R., Vandermeer, J.H., and Rosset, P.M. (eds.), Agroecology, McGraw Hill, New York, 1990, pp. 147–164. 에서 자료) 




2차대전 이후 문화 에너지가 옥수수를 생산하는 데 이용되는 방식에서 일어난 변화는 일반적으로 농업에서 에너지 이용이 어떻게 변화했는지 보여주는 좋은 사례이다. 1945년에서 1983년 사이, 미국의 옥수수 수확량은 3배 증가했는데, 에너지 투입은 5배 이상 증가했다. 1945년 옥수수에서 에너지 투입 대 에너지 산출의 비율은 3.5:1에서 5.5:1 사이였다. 1975년까지 이 비율은 3.2:1에서 4.1:1 사이로 감소했고, 1990년대 초에는 2.53:1로 나타났다(Pimentel and Pimentel 2008). 지난 10년 동안 이러한 수익의 비율은 작물의 요구를 측정해 투입을 맞춤으로써("정밀 농업") 균형 잡힌 농업에 대한 투입이 계속 강화되면서 거의 똑같이 유지되었다.  


에너지의 측면에서 말하자면, 산업적 문화 에너지는 태양 에너지와 생물학적 문화 에너지 둘 모두보다 더 고품질의 것이다. 그것은 칼로리에 더 집중된 칼로리이고, 태양 에너지나 생물학적 문화 에너지보다 일을 하기에 더 큰 능력을 지니고 있다. 예를 들어 화석연료의 형태로 1kcal의 에너지는 태양 방사 1kcal의 약 2000배의 일을 할 수있다. 


하지만 산업적 문화 에너지는 일반적으로 그것이 할 수 있는 일의 관점에서 볼 때 매우 고품질의 것이지만, 이러한 에너지의 각 형태는 더 고품질의 상태를 갖게 하는 데 필요한 에너지의 양이 달라진다. 예를 들어, 킬로칼로리의 전기는 킬로칼로리의 석유 연료보다 4배의 일을 할 수 있지만, 전기를 생성하기 위하여 훨씬 더 많은 에너지가 소비되었다. 열역학 법칙에 따라 인간은 에너지를 응집하기 위하여 에너지를 소비해야 하며, 새로운 에너지는그 과정에서 생성될 수 없다. 그래서 우리는 그 에너지의 형태로 변환하기 위해 소비되는 에너지의 총량과 함께, 특정 형태의 에너지 킬로칼로리당 수행할 수 있는 절대적 일의 양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산업적 문화 에너지 투입을 비교하기 위하여, 우리는 그 에너지 비용을 계산할 수 있다. 표20.3은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산업적 에너지 투입에 대한 에너지 비용의 범위를 보여준다. 



기계(트럭과 트랙터 평균)

18,000kcal/kg

가솔린(정제 및 운송 포함)

16,500kcal/L

디젤(정제 및 운송 포함)

11,450kcal//L

LP 가스(정제 및 운송 포함)

7,700kcal/L

전기(발전 및 전송 포함)

3,100kcal/kWh

질소(질산암모늄으로)

14,700kcal/kg

인(중과린산석회로)

3,000kcal/kg

칼륨(탄산칼륨으로)

1,860kcal/kg

석회(채굴과 가공 포함)

295kcal/kg

살충제

85,680kcal/kg

제초제

111,070kcal/kg

표20.3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산업적 문화 투입의 대략적인 에너지 비용

출처: Fluck, R.C. (ed.), Energy in Farm Production, Energy in World Agriculture, Vol. 6, Elsevier, Amsterdam, the Netherlands, 1992.에서 자료




산업적 문화 에너지는 농업에서 직간접적으로 이용된다. 직접적 이용은 산업적 문화 에너지가 트랙터와 운송 차량에 동력을 공급하고, 가공 기계와 관개 펌프를 가동하며, 온실을 덥히고 식히는 데 이용될 때 발생한다. 간접적에너지 이용은 산업적 문화 에너지가 농작업에서 사용되는 기계, 차량, 화학적 투입재 및 기타 재화와 서비스를 생산하기 위해 농장 외부에서 이용될 때 발생한다. 이러한 에너지는 우리가 때로는 농사 체계에서 소비되는 직접적 에너지를 계산할 때 간과하곤 하는 에너지 비용을 강조하기 위하여, 내재에너지 또는 에머지라고 부르기도 한다(Odum 1996). 전형적인 산업형 농사 체계에서, 에너지 이용의 약 1/3이 직접적이고, 2/3는 간접적이다. 


비료, 특히 질소 비료의 생산은 농업에서 간접적 에너지 이용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현대 농업에서 이용되는 모든 에너지의 거의 1/3이 질소 비료의 생산에 소비된다. 이 에너지 비용은 질소 비료가 너무 집약적으로 사용되고, 그것을 생산하는 데 너무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기 때문에 높다. 예를 들어, 옥수수 생산에서는 헥타르당 전체 에너지 투입의 30%를 차지하는 약 152kg/ha의 질소 비료가 농지에 적용된다(Pimentel and Pimentel 2008). 이러한 에너지 투입은 분뇨, 생물학적 질소 고정, 순환을 통해 크게 줄일 수 있다.


간접적 에너지 이용의 또 다른 15%는 살충제의 생산에서 발생한다. 배합, 포장, 농장으로의 운송이 포함되면 에너지 비용은 어느 정도 더 높아진다. 새로운 살충제가 보통 수십 년 전에 흔히 사용되던 것보다 소량을 살포하게 되었지만, 살충제는 일반적으로 에너지 함량이 더 높다. 


농업에서 산업적 문화 에너지 투입의 대부분이 직간접적으로 화석연료에서 유래하거나, 그것의 제조를 위해 화석연료에 의존한다. 산업적 에너지의 다른 근원은 그것들이 비록 지역적 기준에선 중요할지 몰라도, 농업에서는 전반적으로 매우 작은 역할을 담당한다. 미국 중서부의 옥수수 생산을 위한 에너지 수지의 분석에 의하면, 산업적 에너지 투입의 90% 이상이 화석연료에서 유래하고, 생산에 필요한 전체 에너지의 1% 미만이 노동의 형태로 재생할 수 있는 생물학적 문화 에너지에서 유래된다고 밝혀졌다(Pimentel and Wen 1990). 작물 생산이 완전히 화석연료에 의존하면, 그러한 에너지의 비용이나 가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무엇이든 농업에 극적인 충격을 줄 수 있다. 


현재의 추세는 증가하고 있는 생산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농업에서 화석연료의 사용이 계속하여 증가할 것으로 나타나(Pimentel and Pimentel 2008), 세계의 석유 매장량의 더 급격한 고갈, 탄소 배출과 기후변화에 대한 더 많은 기여, 화석연료에 대한 다른 용도와의 경쟁으로 이어질 것이다. 






농업생태계에서 지속가능한 에너지 이용을 위하여


에너지의 렌즈를 통하여 관행농업을 조사하는 일은 지속불가능성의 중요한 근원을 드러낸다. 산업형 농업이 오늘날 먹을거리 그 자체가 함유하는 것보다 더 많은 에너지를 생산과 가공, 운송 및 판매를 위해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투자된 에너지의 대부분은 한정된 공급원을 가진 근원에서 비롯된다. 우리는 우리 먹을거리를 생산하기 위해 화석연료에 의존하게 되었지만 화석연료가 늘 풍부한 공급원에서 이용할 수 있는 건 아니고, 항상 달러로 환산하여 상대적으로 저렴하지도 않다. 또한 농업에서 화석연료의 이용에 대한 의존은 우리의 먹을거리 생산 체계에서 거의 모든 지속불가능성의 다른 근원과 연결되어 있다. 





집약적 화석연료 이용의 문제

농업에 대한 에너지 투입 수준의 증가는 지난 수십 년 동안 세계의 많은 농업생태계에서 수확량 수준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그러나 앞서 설명했듯이, 이들 에너지 투입의 대부분은 산업적 근원에서 비롯되고, 대부분은 화석연료의 이용에 기반을 두고 있다. 만약 세계 인구의 증가에 따라 먹을거리 수요를 충족시키려는 전략이 이러한 근원에 계속하여 의존한다면, 그 결과는 농업의 생태적 토대를 계속하여 훼손하고 경제적 위험을 높이며 사회문제를 야기할 것이다. 


가장 직접적으로, 농업에서 화석연료의 이용은 세계의 전체 탄소 배출의 많은 부분을 계속 차지하여 대기의 온실가스 증가에 크게 기여하고 기후변화를 추동하는 데에 도움을 줄 것이다. 농업의 화석연료에 대한 의존성이 지닌또 다른 문제는 더 간접적인데, 화석연료의 에너지 집약도가 어떻게 먹을거리 체계를 기능할 수 있게 하는지에 대한 결과이다. 이 책의 도처에서 지적했듯이, 생태적 과정이 무시될 때 환경 악화가 농업생태계에서 나타나기 시작한다. 집약적 문화 에너지 투입의 이용은 우리가 생태적 과정을 무시하도록 허락한 것이다. 무기질 비료의 적용으로 토양비옥도의 하락이 가려진다. 살충제는 농업의 생물다양성 감소에 기여하고 이를 숨긴다.  


그러나 생태적 과정을 무시한 결과는 이제 더욱 명백해지고 있다. 농장의 수준에서, 육중한 기계화로 전환하고 화석연료에서 유래된 화학적 투입재를 많이 사용하여 유기물 상실, 양분 침출, 토양 악화 및 토양침식의 증가라는 문제들을 야기했다. 물 공급원이 오염되고, 지하수를 과도하게 퍼올려 대수층이 고갈되며 물 부족이 발생하고있다. 해충과 질병은 살충제의 남용으로 저항성을 발달시켰고, 살충제는 농장의 환경과 자연 생태계를 모두 오염시켜 농민과 농업노동자의 건강 문제를 야기하고 익충과 미생물의 개체군을 파괴하고 있다. 


농장 외부에서, 기계화된 농업과 관련된 비바람에 의한 토양침식은 다른 체계, 특히 하천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질소비료(N2O와 NO)에서 나오는 가스 배출에 대한 최근의 연구는 대기에 이들 물질이 추가되는 것이 세계의 질소 순환에 충격을 주기 시작하고, 오존층을 더욱 손상시키며, 기후변화를 악화시킨다고 밝혔다(Fields 2004).항상 농업에 대한 높은 산업적 에너지 투입을 수반하는 농사 체계의 단순화는 지역의 생물다양성을 크게 상실시키고 있다.


경제적, 사회적 관점에서, 농업에서 화석연료 에너지에 대한 과도한 의존으로 생기는 문제는 이용되는 에너지에 대한 투자 수익의 효율성 문제를 훨씬 뛰어넘는다. 화석연료 이용에 대한 의존은 석유의 가격과 공급 변화에 더욱 취약해진다는 걸 뜻한다. 1973년 석유 파동과 그 이후의 주기적인 파동에서 보았듯이, 석유 가격은 갑자기 상승하여 농산물 생산 비용이 증가할 수 있다. 화석연료 소비가 전 세계적으로 계속 높아짐에 따라, 화석연료에 기반한 농업은 더욱 위험해졌다. 개발도상국들이 증가하는 먹을거리 수요를 충족시키고자 스스로 농업 산출을 강화해야 하는 시기에 문제는 더 심각해질 것이다. 


화석연료에 기반한 농업이 지닌 마지막 문제는 그것이 특정 종류의 농업 개발과 연결되어 있다는 점이다. 그것은세계 곳곳에서 전통농업을 대체해서 도시로 이주하게 만들고 문화적 유대를 붕괴시키며 자립을 훼손하는 대규모 기계화된 농업을 가능하게 한다.





미래 에너지의 방향

분명히, 지속가능한 먹을거리 생산은 에너지의 더 효율적 이용에 크게 의존할 뿐만 아니라, 특히 산업적 문화 에너지 투입과 화석연료에 대한 의존도가 덜하다. 이 장에서 제시된 것처럼, 농업에서 에너지를 더 지속가능하게 이용하는 핵심은 생물학적 문화 에너지의 이용을 확대하는 일이다. 생물학적 투입은 재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역에서 이용할 수 있으며 지역에서 통제할 수 있고, 친환경적이고, 농업생태계의 생태적 건강에 기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화석연료에 대한 의존을 줄이는 대안 에너지원과 적정기술로 전환하는 일도 중요하다. 


현재 이용되고 있는 여러 농업생태계는 미래를 향한 길을 제시한다. 동물과 콩과식물이 화석연료에서 유래된 투입재를 일부 대체하고 있는 전형적인 유기농업 체계는 동등한 산업형/관행 체계보다 28-32%의 에너지를 덜 소비한다(Pimentel et al. 2005). 덴마크의 한 연구는 목초-토끼풀이 통합된 유기 낙농장은 그 관행농 상대보다 전체 에너지 이용을 37.5% 줄일 수 있고, 유기농 곡물 및 두둑별 작물에 콩과식물을 돌려짓기로 활용하는 체계는 관행농 체계와 비교하여 전체 에너지 이용을 각각 81.5%와 75% 감소시켰다고 밝혔다(Dalgaard et al. 2001; Dalgaard 2013). 


이 책 전반에 걸쳐 제시된 생태학에 기반한 선택과 접근법 가운데 많은 부분이 에너지 효율을 개선하는 일과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다. 그것들은 에너지를 더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이용하는 먹을거리 생산 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여러 전략을 제안한다. 

 

1. 산업적 문화 에너지, 특히 화석연료처럼 재생할 수 없거나 오염을 시키는 근원의 이용을 줄인다. 

  a. 기계화된 경운이 덜 필요한 최소 또는 감소 경운 체계를 이용한다.

  b. 관개를 위해 소비되는 에너지의 양을 줄이기 위하여 물 사용과 물 손실을 줄이는 방법을 채택한다.

  c. 인공적 투입재를 필요로 하지 않고 각 작부 주기에 의해 야기되는 교란에서 회복되도록 자극하는 적절한 작물 돌려짓기와 연계를 이용한다.

  d. 화석연료와 그 쓰임을 대체하기 위한 재생할 수 있고 에너지 효율적인 산업적 문화의 근원과 에너지의 이용을 개발한다. 

  e. 가능하면 농장 내의 산업적 문화 에너지의 근원(예, 태양광 전기, 풍력 에너지, 소수력발전, 생물연료)을 개발한다.

  f. 폐기물을 줄이고, 에너지의 품질과 그 쓰임을 더욱 적절히 일치시켜서 산업적 문화 에너지를 더 효율적으로 이용한다.

  g. 동물성 산물의 전반적인 소비를 줄이고, 소비되는 동물성 산물의 경우 방목되거나 목초를 먹이거나 버려지게 될 농작물 바이오매스로 사육하는 가축에 더 의존한다. 

  h. 생산을 지역화하고, 계절적 및 지리적으로 소비자와 생산자를 더 직접적으로 접촉하게 하여 농업 부문의 에너지 사용을 줄인다.


2. 생물학적 문화 에너지의 이용을 증가시킨다.

  a. 인간 에너지를 감소시키거나 제거해야 할 경제적 비용이라고 보기보다는 농업의 에너지 흐름에서 필수적 부분으로 본다. 

  b. 수확된 양분을 그것이 비롯된 농지로 돌려준다. 

  c. 토양비옥도와 품질을 유지하기 위하여 분뇨와 식물의 부산물을 더 광범위하게 이용한다. 

  d. 일을 제공하는 가축의 능력을 이용하고, 농장에서 양분을 순환시키며, 기타 생태계 서비스(19장 참조)를 제공하는 통합된 가축과 작물 체계를 설계하고 구현한다. 

  e. 장거리 운송의 에너지 비용을 줄이기 위하여 지역과 농장 내에서 이용하는 농산물을 증가시킨다.

  f. 생물학적 방제와 통합 해충 관리의 이용을 확대한다.

  g. 외부 투입재의 필요성을 줄이기 위하여 작물의 뿌리에 있는 균근 관계의 존재를 장려한다.


3. 생물학적, 생태적 관계가 양분과 바이오매스 투입 및 개체군 조절 과정을 더 많이 제공하여서 더 낮은 수준의 문화 에너지 투입이 필요한 농업생태계를 설계한다.

  a. 질소 고정 작물, 풋거름, 휴한을 더 잘 이용한다.

  b. 덮개작물, 사이짓기, 익충의 장려, 잘 설계된 가축 통합 등을 통하여 생물학적 해충 관리를 더 잘 이용한다.

  c. 작물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환경을 변경하려 시도하기보다는 지역의 환경에 적절하거나 적응된 작물을 도입한다.

  d. 서식지와 미기후 관리를 위하여 방풍림, 생울타리, 비작물 지역을 작부체계에 통합시킨다.

  e. 지역의 자연 생태계를 모델로 이용하여 농업생태계를 설계한다. 

  f. 더 나은 농업생태계의 재생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작부체계에서 천이 발달의 이용(예, 혼농임업을 통해)을 최대화한다. 

  g. 농사 체계를 단순화하기보다는 다양화한다.


4. 농업을 순수한 탄소의 흡수원으로 만들어서 기후변화를 중화시키는 힘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바이오매스 또는 토양 유기물에 탄소를 저장하는 농업생태계의 설계와 관리 접근법을 강조한다. 


5. 효율성, 생산성, 재생가능성(23장 참조)이란 병렬의 목표를 포함하는 에너지와 관련된 지속가능성의 지표를 개발한다.


우리는 화석연료를 계속하여 집약적으로 사용하지 않으면 농업이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는 먹을거리 수요를 충족시킬 수 없을 것이란 주장을 너무 자주 듣는다. 이러한 관점은 앞으로 수십 년 동안 우리가 직면할 주요한 과제를강조하지만, 그 관점은 현재의 먹을거리 생산 방식으로 야기된 문제들의 심각성과 만약 연구가 농업생태계의 전체 체계 분석을 목표로 하면 존재하고 개발될 수 있는 매우 현실적이고 실용적인 대안들을 모두 무시한다.


또한 우리는 화석연료를 대신해 생물연료에 의존할 수도 없다. 현재 생물연료를 개발하려는 분투는 생물연료의 생산이 직접적인 인간의 소비와 농업에서 쓰이는 것에서 바이오매스와 먹을거리 산물을 다른 곳으로 돌리기 때문에 상당한 위험이 있다(Hunt et al. 2006). 게다가 생물연료는 좀처럼 양의 에너지 균형을 갖지 않는다. 예를 들어,1000L의 에탄올을 생산하려면 830만kcal의 에너지(그 대부분이 화석연료로부터)가 필요한데 똑같은 1000L의 에탄올은 에너지 값이 500만kcal에 불과하다(Pimentel et al. 1998). 비록 생물연료가 더욱 지속가능한 농업생태계를 개발하는 데에 그 지위를 갖고 있지만, 그것은 일부가 주장하는 쉬운 해결책은 아니다. 


20세기 농업에서 에너지 이용의 급격한 증가는 농사의 본질을 근본적으로 변화시켰다. 농업에서 생태적 요인이 되는 에너지와 전체 농업생태계의 신생 특징이 되는 그것의 이용과 흐름을 이해함으로써 현행 농법을 평가하는 더 나은 수단을 개발하는 동시에 21세기 세계의 먹을거리 생산 체계를 위한 더 지속가능한 기반을 확립하는 농법과 정책의 개발에 기여할 수 있다. 대안적이고 생태적으로 건전한 에너지 이용과 전환 체계를 개발하는 데 오래 걸릴수록 우리의 현행 에너지 의존적인 체계는 더욱 취약해질 것이다. 




사례 연구: 햇빛 농장(Sunshine Farm) 프로젝트


1900년대 중반 이전에 많은 농장이 주로 햇빛을 받아 운영되었다. 그들은 토양비옥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작물 돌려짓기와 농장에서 생산된 분뇨를 사용하고, 일은 역마와 농장에서 태어난 사람들이 수행했다. 100년 전의 이러한 농장을 염두에 두고 토지 연구소(Land Institute)의 마티 벤더Marty Bender 씨는 1990년대 초 자체의연료와 비옥도를 제공할 수 있는 현대적 농장을 창설하기 시작했다. 그 결과 캔자스 살리나 근처에 약 20헥타르의 관행적 작물과 소들이 방목되는 약 40헥타르의 대초원 목초지로 구성된 10년짜리 시범사업인 햇빛 농장이었다. 


농장이 형성되면서, 그곳은 1900년대 초와 그 이전의 농장과 많은 유사점을 보였다. 가축과 작물이 통합되고, 역마가 일을 수행하며, 다양한 작물이 재배되고, 어느 시기에는 농경지의 약 40%에 콩과식물을 심었다. 그러나 1920년대의 농민과 달리 벤더 씨는 원하는 대로 쓸 수 있는 새로운 재생할 수 있는 에너지 기술을 보유하고 있었다.  

 

그는 작업장의 도구를 가동하고, 전기 울타리를 충전하고, 양수기를 돌리며, 부화기를 가열하고, 농가에 전기를 제공하는 등 농장의 모든 전력 요구를 제공하고자 설치된 4.5kW 광전지 배열이 있었다. 페르슈롱Percheron 역마 한 쌍과 바이오디젤 트랙터는 농지 운영을 위한 동력원을 제공했다. 벤더 씨는 트랙터의 바이오디젤 연료를 위한 원료를 제공하고자 대두와 해바라기를 농경지의 약 1/4에 심었다. 그러나 농장 안에서 가공할 수 없었기에, 유지종자는 지역의 협동조합에 판매하고 동등한 양의 바이오디젤 연료를 구매했다. 


농장의 상업적 사업의 측면인 가축은 달걀과 닭고기를 생산하기 위해 사육하는 가금류와 함께 육우로 구성되었다. 이들 동물(및 역마)을 위한 사료의 약 3/4은 농장에서 생산되었다. 작물 측면에서, 밀은 판매용으로 재배되고, 초과된 유지종자 깻묵도 판매했다. 농장 운영의 주요 구성요소는 표20.4에 나열되어 있다. 


에너지원

구성요소

기능

농장에서 생산된 곡식에 더하여 일부 구매된 사료

역마

농지 운영

햇빛

4.5kW 광전지 배열

작업장 도구, 양수기, 전기 울타리, 부화기를 위한 전기

농장에서 나온 원료 분담과 함께, 지역의 협동조합에서 구매한 바이오디젤

바이오디젤 트랙터

농지 운영

농장에서 생산된 곡식에 더하여 일부 구매된 사료

텍사스 롱혼 육우

판매용

농장에서 생산된 곡식에 더하여 일부 구매된 사료

가금류

판매용(달걀과 닭고기)

1차 생산, 동물 분뇨

곡식 작물

판매용(밀)과 동물 사료(자주개자리, 수수, 귀리)

1차 생산, 동물 분뇨

유지종자 작물

바이오디젤 생산(압착유)와 동물 사료(깻묵)

1차 생산

 콩과작물

질소 고정, 마초, 동물 사료 

표20.4 에너지원 및 기능과 함께 햇빛 농장의 구성요소



에너지 회계는 햇빛 농장 프로젝트의 중요한 측면이었다. 벤더 씨와 동료는 동등한 에너지 값을 도출하고자 학술 문헌에 발표된 에너지 요인을 활용해, 농장의 모든 투입과 산출의 무게를 꼼꼼히 측정했다. 이러한 자료는 데이터베이스에 공들여 입력되어, 농장 전체와 그 구성요소의 사업에 대한 에너지 수지를 생성하는 데 이용되었다. 이러한 수지는 직간접적 에너지 비용이 모두 포함되었다. 


에너지 회계는 입증 과정에 걸쳐 농장의 에너지 요구 -자본 지출과 인간 노동에 구현된 에너지는 세지 않음- 가운데 약 90%가 농장 내의 투입에 의해 공급되었다고 밝혔다. 나머지 10%는 구매한 종자와 사료 및 판매한작물의 인과 칼륨에 구현된 에너지였다(Bender 2002; Baum et al. 2009).


햇빛 농장 프로젝트는 여러 용도로 사용되었다. 첫쨰로, 농사 운영이 수확량을 희생시키지 않으면서 에너지 자급에 근접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 여러 전통적 농법 -돌려짓기, 풋거름, 가축 통합, 작물 다양성, 역축의 이용- 이 에너지 효율적 농업생태계의 필수적인 구성요소일 수 있으며, 현대의 대안적인 에너지 기술도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는 걸 보여주었다. 게다가 개별 농장의 에너지 자급을 높이는 것이 화석연료에 대한 농업의 의존을 줄이는 유일한 수단은 아니라는 걸 보여주었다. 또한 햇빛 농장이 유지종자를 재배했지만 바이오디젤 연료의 생산은 대형 협동조합에 맡기고 광전지 배열은 지역의 전력망에 결부시킨 것처럼, 지역의 재생에너지 경제로 농장을 통합시켜야 할 수도 있다. 






생각거리


1. 생물학적 문화 에너지 투입과 산업적 문화 에너지 투입은 생태적 영향과 관련하여 어떻게 다른가?


2. 재생할 수 있는 근원에서 얻을 수 있는 농업에 대한 산업적 문화 에너지 투입의 유형은 무엇인가?


3. 우리는 어떻게 재생할 수 없는 에너지원을 재생할 수 있는 에너지원으로 대체하면서 증가하는 먹을거리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가?


4. 농업생태계에서 에너지 집중과 이송의 효율성과 효과를 향상시키는 데 동물은 어떤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가?  


5. 농업에서 지속가능한 에너지의 이용에 대한 여러분의 정의는 무엇인가?


6. 화석연료의 이용은 산업형 농업의 환경 비용을 어떻게 감추었는가?


7. 우리의 "기술에 대한 신뢰"는 생태학에 기반하는, 농업을 위한 지속가능한 에너지원의 개발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


8. 에너지가 사용될 농장에서 에너지 작물을 "재배하는" 일에 대한 제약은 무엇인가? 







인터넷 자료


Alternative Fuels Data Center 

http://www.eere.energy.gov/afdc

A vast collection of information on alternative fuels and the vehicles that use them.


Land Institute 

http://www.landinstitute.org

A nonprofit research and education organization that promotes natural systems agriculture, in which nature is the model for reconnecting people, land, and community. 


National Sustainable Agriculture Information Service: Energy in Agriculture 

http://www.attra.ncat.org/energy.html 

This private, nonprofit organization helps people by championing small-scale, local, and sustainable solutions to reduce poverty, promote healthy communities, and protect natural resources. 


Resilience 

http://www.resilience.org

An information source for building sustainable and resilient communities, with a section focused on energy use and independence. 


United States 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 

http://www.eia.gov 

An extensive source of information on all energy sources and uses in the United States, including alternative and renewable energy. 


Windustry: Wind Farmers Network 

http://www.windustry.org 

A nonprofit organization working to create an understanding of wind energy opportunities for rural economic benefit.







읽을거리


El Bassam, N., P. Maegaard, and M. Schlichting. 2012. Distributed Renewable Energies for Off-Grid Communities: Strategies and Technologies toward Achieving Sustainability in Energy Generation and Supply. Newnes: Boston, MA. 

For the more than two billion people in the world who do not have access to modern electric systems, and for those who want to disconnect, this book is a wealth of information on alternative energy systems. 


Fluck, R. C. (ed.). 1992. Energy in Farm Production. Energy in World Agriculture, Vol. 6. Elsevier: Amsterdam, the Netherlands. 

Still the most comprehensive review of the basic principles of energy use in agriculture; includes data on energy use efficiency and potential alternative energy sources. 


Odum, H. T. 1983. Systems Ecology: An Introduction. Wiley: New York. 

A key work on the systems view in ecology that analyzes how energy flows through natural ecosystems and examines how this knowledge can be linked to the sustainability of humanmanaged systems. 


Outlaw, J. L., K. J. Collins, and J. A. Duffield. 2005. Agriculture as a Producer and Consumer of Energy. CABI Publishing: Wallingford, U.K. 

An examination of agriculture’s role as a producer and consumer of energy, including recent research on issues related to efficiency, alternative fuels, and environmental impact. 


Pimentel, D. (ed.). 2008. Global Economic and Environmental Aspects of Biofuels. CRC Press/Taylor & Francis Group: Boca Raton, FL. 

An important book that addresses the key environmental and economic issues associated with the production of biofuels, with a clear message that it will not be a viable alternative to fossil fuels if it continues to displace food production and impact the environment. 


Pimentel, D. and M. Pimentel (eds.). 2008. Food, Energy, and Society, 2nd edn. University Press of Colorado: Niwot, CO. 

A review of the problems inherent in an agriculture that is dependent on nonrenewable sources of energy and the complex issues involved in developing alternatives. 


van Ierland, E. C. and A. O. Lansink (eds.). 2002. Economics of Sustainable Energy in Agriculture. Springer: Berlin, Germany. 

A collection of case studies on energy efficiency improvement and the use of biomass for more sustainable agricultural systems. 


728x90
728x90

농생태학: 지속가능한 먹을거리 체계의 생태학








19장 농업생태계의 동물


가축은 1장에서 이야기한 산업형 농업의 지속불가능성에 대한 여러 이유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공장식 사육시설(CAFO)는 공기와 물을 오염시켜 분뇨를 자원이 아닌 문제로 만든다. 육류 산업은 경제력 집중, 수직계열화, 가족농의 적 등의 대표적 사례이다. 동물사료용 대두와 옥수수의 생산이 세계의 경작지를 차지하는 비율이 지나치게 높다. 인간의 소비를 위한 육류와 축산물의 집중적 생산은 에너지를 비효율적으로 쓰고 생태적으로 해롭다. 육류의 공장식 축산은 소규모 가축 생산에 의존하는 개발도상국의 농촌에 거주하는 농민들의 경제적 기반을 약화시키는 경향이 있다. 육류 소비를 늘리는 경향이 있는 식생활은 빈부격차를 더 두드러지게 만든다. 광우병과조류 인플루엔자 같은 가축의 질병은 인류를 위협한다. 항생제와 호르몬이 함유된 육류와 동물성 지방이 너무 많은 식생활에 의해 나타나는 인간의 건강에 대한 위험과 결합된 이들 문제는 가축을 나쁘게 보이도록 하여, 지속가능성의 옹호자, 소비자 활동가만이 아니라 채식주의자와 동물권 활동가 같은 산업형 농업의 여러 비판자들의 비판 대상이 되고 있다. 


확실히 그러한 비판 가운데 일부는 그럴 만한 가치가 있다. 하지만 문제는 동물이 오늘날의 농업생태계와 먹을거리 체계에 통합되는 방식과 관련이 있지, 동물 자체나 그들을 먹을거리로 이용하는 데 있는 게 아니다. 동물은 농업생태계에서 여러 이로운 역할을 담당할 수 있기에, 지속가능성에게 매우 기여한다. 실제로, 이번 장에서 볼 수 있듯이 농업생태계에 동물을 포함시키는 일은 생태적 지속가능성과 경제적 실현성을 실행하는 데 차이를 만들곤 한다. 


비교적 최근 농업의 역사에서 -미국에서 세기가 바뀔 즈음에- 농장에는 가축과 작물이 모두 당연히 포함되었다. 이 장의 핵심 개념을 사용하여, 작물과 가축이 통합되었다. 그 이후에 발생한 작물과 가축 사이의 분리는 문자 그대로 농업의 붕괴를 나타낸다. 이러한 분열은 우리 먹을거리 체계의 생태적 기반을 위협할 뿐만 아니라,  우리의 가축과 함께 개발해 온 수천 년에 걸친 상리공생의 관계를 근본적으로 변경시켰다. 


지속가능성은 오늘날 부분적으로는 동물과 작물을 재통합하는 데 달려 있다(그림19.1). 그것은 우리의 먹을거리체계에서 동물성 단백질을 거부하도록 요구하는 게 아니라, 후기 산업화 시대로 산업화 이전의 농업이 지녔던 최고의 측면을 적용시키기 위하여 농생태학의 개념과 원리를 활용해 가축을 먹을거리로 사육하는 합리적이고 통합된 접근법을 요구하는 것이다. 이번 장에서 우리는 이러한 재통합이 일어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할 것이다. 초점은 축산업을 지속가능하게 만드는 방법이 아니라, 작물과 동물을 혼합함으로써 얻는 상승작용과 우리를 지속가능성으로 향하게 하는 그들의 역할에 둔다. 


그림19.1 캘리포니아 트레스 피노스 근처의 유기농 호두와 닭이 함께 통합된 농사 체계. 이동식 닭장이 날마다 옮겨다녀서 닭들이 먹이를 먹게 하여 잡초 관리에 도움이 되고, 토양에 분뇨를 추가하게 된다. 호두나무는 뜨거운 여름에 그늘을 제공한다. 닭은 소비자에게 직거래되어, 목장에 와서 자신의 갓 도축된 주문을 받아 간다. 호두는 가을에 수확된다. 덮개작물은 겨울철에 재배된다. 


 





생태계에서 동물의 역할


동물 -대체로 종속영양생물로 정의된- 은 지구의 모든 생태계의 필수 구성요소이다. 그들은 독립영양생물(식물)을 소비하고, 그들의 바이오매스를 동물성 바이오매스로 변형시키며, 결국 양분이 풍부한 폐기물과 한때 살아 있던 유기물의 형태로 독립영양생물에게 다시 순환된다. 농업생태계는 바이오매스를 수확할 목적으로 관리되어 자연 생태계가 변형된 것이기에 동물 역시 필요로 한다. 물론 농업생태계에서 수확된 바이오매스의 궁극적 소비자인 인간은 모든 농업생태계에서 동물의 역할을 수행한다. 하지만 우리가 그 역할을 하는 유일한 종이어서는 안 되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다. 자연 생태계가 입증하듯이, 농업생태계에는 다양한 동물 종을 위한 충분한 공간이 있다. 


우리가 비인간 동물을 작물을 기반으로 하는 농업생태계로 재통합시켜 더욱 지속가능한 먹을거리 생산 체계를 달성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방식을 모색하려면, 우리는 늘 그렇듯이 자연 생태계에서 시작해야 한다. 생태계는 동물이 생태적 온전함과 안정성을 방해하거나 악화시키기보다는 오히려 어떻게 향상시킬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동물이 자연 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에서 하는 역할에 대해서는 2장에서 상세히 논의되었다. 13장에서 우리는 동물이 작물과 직면하고 있는 환경의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여러 방법(예, 수분매개자와 초식동물로서)에 대해 논의하고, 농업생태계에서 먹을거리와 섬유의 생산을 위해 흔히 사용되는 동물의 기본적인 생리학적 과정과 영양요구를 다루었다. 여기에서 우리는 가축을 포함시키는 농업생태계의 설계와 관리에 그 지식을 적용해 나아가는 괌점에서 그 장들에서 제시된 개념들을 검토하고 확장한다. 






식생의 형성

생태계의 영양 구조에서 종속영양 유기체인 초식성 동물은 식물이 생산한 바이오매스를 소비하고, 이러한 먹이 활동이 육상의 생태계에서 집합적으로 식생이라 부르는 식물 종들의 풍부함, 분포, 다양성에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초식성 동물은 육상 생태계 대부분의 구조적 구성에 대한 주요한 구성요소 -결정 요인- 이다.


초식동물과 그들이 소비하는 식물 사이의 긴밀한 연관 떄문에, 많은 생태계는 초식동물의 다양성과 꽃의 다양성 사이에 강한 상관관계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동아프리카의 세렝게티에서 다양한 유제류 동물상이 뜯어 먹는 여러 종들은 포식성 동물과 식물 모두의 놀라운 풍요로움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McNaughton 1985, 1990; Murray and Illius 1996). 풀을 뜯어 먹는 10종 이상의 유제류가 아주 가까이에서 발견될 수 있고, 몇몇 종들은 혼합된 집단으로 함께 발견된다. 이들 초식동물은 서로 다른 식물 종, 식물의 서로 다른 부분(잎, 줄기, 꽃) 및 서로 다른 생활 단계(생풀 또는 마른풀)에 있는 식물을 먹는다. 게다가 이주 주기 때문에, 연중 서로 다른 시기에 식물에게 그들의 초식성 압력을 가한다. 각각의 초식동물 종들의 식이성 특수화에서 나타나는 이러한 차이는 초식에 대응하고 그를 활용해 다른 식물과의 종간 경쟁을 최소화하고자 다양한 전략을 따르는 구성요소인 식생과 함께 공진화했다. 그 결과 체계의 구조적 다양성이 지위 중복, 공존, 상리공생이 진화하도록 하고 더욱 다양해지도록 기여했다. 


북아메리카 대평원의 여러해살이 풀 대초원 생태계 -그 토착의 형태로- 는 꽃의 다양성과 결부된 초식동물 다양성의 또 다른 사례였다(그림19.2). 들소, 엘크, 영양 및 기타 풀을 뜯는 동물들이 서로 다른 식물 종과 서로 다른 식물의 부분을 계절의 서로 다른 시기에 선택적으로 소비하여, 짧은 풀과 중간 풀, 긴 풀의 종들로 구성된 대초원의 식생과 공진화한다. 또한 대초원 생태계는 초식동물이 생태계 구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입증하기도 했다. 짧은 풀과 중간 풀, 긴 풀 종들의 비율은 토양의 유형과 강우량 같은 비생물 요인으로 인해 한 방향이나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과 함께 풀을 뜯는 행위와 화재에 의해 주로 결정되었다(Briske 1996). 대초원초식동물의 야생의 무리가 심각하게 감소한 이후, 토착 식물의 종 구성도 바뀌었다.



그림19.2 캔자스 맨해튼 근처의 콘자Konza 대초원 생물실험소(Biological Station)에 방목되고 있는 들소. 들소는 미국 중서부 대부분의 대초원 생태계를 형성하는 핵심 요소였다. (사진 제공 Catherine Burns)




토착 대초원 생태계의 최근 복원 프로그램은 이러한 토착 방목 압력을 회복시키는 방법에 대한 과제에 직면해 있고, 화재와 풀 베기나 가축의 활용과 함께 자연 방목을 모방해야 하는 대안에 직면해 있다. 오클라호마에 있는 긴풀 대초원 보호구역(Tallgrass Prairie Reserve)에서, 자연보호협회(Nature Conservancy)는 2500마리 이상의 들소 무리와 대초원 생태계를 복원하고 그 원래의 토착 식물과 동물의 다양성을 촉진하고자 규정된 불태우기인 "부분 소각" 관리도구를 활용하고 있다. 또 다른 사례로, 세계 야생생물 기금(WWF)은 북부 대평원 생태 지역의 약 690만-1100만 헥타르를 적어도 1만 마리의 들소 무리를 부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에 수반되는 이들 체계의 식물과 동물 다양성이란 특성을 지닌 충분히 큰 규모로 복원을 추진하려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2006년 세계야생생물 기금은 그 아메리카 대초원 보호구역에 처음으로 200마리의 들소를 풀어주고, 2010년에 프레리도그가주변 목장에서 옮겨져 그들의 굴이 멸종위기에 처한 검은발족제비의 집으로 이용될 수도 있도록 보호구역의 중심지에 풀어 놓았다. 보호구역은 이들 동물 군집이 번성하는 데 필요한 크기를 함께 제공하는 공공, 민간, 부족의 토지라는 독특한 모자이크로 구성되어 있다. 





에너지 흐름의 활성화

초식동물이 식물을 먹고 차례로 육식성 동물에게 먹힐 때, 에너지는 한 영양 단계에서 다른 단계로 흐르고 있다. 당신은 영양 단계 사이의 에너지 흐름이 비효율적이란 사실을 떠올릴 것이다. 광합성으로 고정되고 식물성 바이오매스에 저장된 상대적으로 작은 비율의 태양 에너지는 그 바이오매스가 다음 영양 단계에서 동물성 바이오매스로 전환될 때 보존된다. 한 영양 단계에서 다른 단계로 이동하는 에너지의 대부분(최대 90%)은 동물에 의해 대사 열로 방출되거나 분뇨로 다시 토양에 쌓인다(Odum and Barrett 2005). 그러나 동물의 분뇨에 함유된 에너지는 토양 유기체 활동의 필수 동인이기에 상실되지 않는다. 


영양 단계에서 뛸 때마다 에너지가 상실된다는 것은 더 높은 단계마다 바이오매스가 계속해서 작아져야 한다는 걸 의미한다. 따라서 기본 생태학 교재의 "에너지 피라미드"와 비슷한 모양이 된다. 식물은 에너지 피라미드에서 바닥의 단계만 차지할 수 있기 때문에, 모든 단계에서 동물성 바이오매스에 저장된 에너지는 더 상위의 영양 단계마다 2차 소비자에게 필수적이다. 따라서 생태계의 동물 다양성은 에너지가 전달될 수 있는 영양 단계의 숫자,즉 대체로 에너지 피라미드의 높이와 동물상의 다양성이 주된 결정요인이다. 세렝게티의 사례로 돌아가서, 초식동물의 다양성은 치타, 사자, 하이에나, 땅늑대, 표범, 들개, 재칼, 독수리, 대머리수리, 악어를 포함하는 포식자와 기타 2차 소비자 및 다양한 작은 육식동물과 잡식동물의 상대적으로 높은 다양성을 가능하게 만드는 것이다.





양분의 순환

모든 자연 생태계에서 초식동물은 물질이 체계를 통해 순환되는 역동적인 과정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효율성, 생산성, 안정성의 신생 특징은 모두 이러한 근본적인 생태계 과정과 연관된다. 


생태계는 동물, 분해자, 잔사식생물에 의존하여 식물성 물질에 저장되어 있는 양분을 방출한다. 그러므로 동물은질소 순환, 탄소 순환, 인 순환의 중요한 부분이다(모두 2장에서 논의함). 양분이 지질이나 대기의 저장소로 다시 배출되든지 아니든지, 처음 단계는 소화, 배설, 분해가 뒤따르는 식물 조직의 소비이다(그림19.3).



그림19.3 들소와 들소의 분뇨. 동물에 의한 식물성 바이오매스의 소비는 세계 대부분의 자연 생태계에서 양분의순환에 기여한다. (사진 제공 Catherine Burns)





군집의 역학에 대한 영향

앞서 논의했듯이, 초식은 생태계의 식생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는 구조적 의미에서 지적되었지만, 기능적의미에서 종간 상호작용과 생태계의 복잡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도 이해될 수 있다. 초식동물에 의한 방목이나 먹이 활동은 특정한 종이나 식물의 부분을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것을 수반하여 군집에 있는 각 종의 개체군이 상호작용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방목 압력은 특정한 식물의 종이 경쟁 배제를 통해 생태계를 우점하지 못하도록 막아서 다양성과 복잡성을 감소시키는 주요한 요인이 되곤 한다(그림19.4). 방목 패턴이 변화하면 -예를 들어 토착 방목자의 제거, 초식동물 개체군의 변화, 또는 비토착 초식동물의 도입 등으로 인해- 식물 종 우점의 변동이 불가피하게 발생한다.


그림19.4 스페인 남부에서 삼림지의 하층 식생을 개선하고 있는 소들. 동물은 중요한 순간에 체계를 이동하며 풀의 덮개를 관리하고, 나무의 발달을 촉진하며, 동물성 산물을 생산한다. 




초식동물이 군집의 역학에서 담당하는 중요한 역할의 사례는 도입된 종이 우점하는 생태계에 의해 제공된다. 세계의 많은 지역에서, 외래의 비토착 식물 종들은 도입된 비토착 방목 동물과 관련하여 우점을 확립하여 외래의 초식동물이 제거된 뒤에도 지속될 수 있도록 토착 생태계에 변화를 야기한다(Colvin and Gliessman 2000). 반대로 비토착 식물에 의한 침입은 소비를 통해 외래의 것을 통제할 수 있는 초식동물의 부재로 인하여 문제가 될 수 있다. 


동물, 특히 더 큰 초식동물이 어떻게 군집 역학의 일부로 기능하는지에 대한 인식과 앞서 논의된 기타 생태계 과정이 가축을 작물 생산으로 통합시킬 수 있는 방법을 고려할 때 우리를 안내할 수 있다. 식물의 종속영양 소비자(이자 어떤 경우에는 절지동물과 연체동물의 해충)로서 가축은 종들의 상호작용을 관리하고(16장), 농업생태계의다양성과 탄력성을 높이고(17장), 천이 과정을 활용하며(18장), 에너지 포획과 사용의 효율성을 최대화(20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가축과 농업의 공진화 

 

가장 초기의 인간 문화에서, 사람들은 수렵채집인으로서 토지에서 벗어나 생계를 꾸리며 그들 주변의 생태계에서이용할 수 있는 동물과 식물을 최대한 활용했다. 그러므로 일부 인간 사회가 더 큰 개체군을 부양하고 더 안정적으로 먹을거리 공급을 보장할 수 있는 경제를 개발함에 따라 그들이 식물을 길들이는 것과 거의 동시에 동물을 길들였다는 건 그리 놀랄 일이 아니다. 


길들임은 두 가지 의미에서 공진화의 과정이었다. 첫째, 15장에서 논의된 것처럼 길들인 종은 인간의 문화와 함께 일제히 변화하여 각각 다른 종에 의존하게 된다. 둘째, 식물의 작물화 -즉, 농업의 발전- 는 동물의 가축화와 방목과 목초 체계의 발달과 병행하여, 직접적으로 연결되곤 하며 진행되었다. 


전 세계적으로 매우 다른 환경과 생태계는 야생 종의 길들임을 기반으로 더욱 안정된 사회경제적 방식의 개발을 위한 매우 다른 기회를 제공하고, 서로 다른 제약을 부여했다. 일부 환경은 어떤 종류의 농업도 지원하기에는 너무 춥고 건조했지만, 가축화에 적합한 토착 유제동물을 제공했다. 다른 환경은 농업과 가축의 사육에 모두 좋았다. 농경사회로 발달하려는 선사시대의 인간 문화 가운데 일부는 동물에 기반한 체계를 만들고, 다른 일부는 작물에 기반한 체계를 만들었다. 어떤 경우에는 두 가지가 직접적으로 결합되었다. 


그러나 길들여진 동물에 거의 전적으로 의존하는 체계의 사례가 많이 있지만, 길들여진 동물이 전혀 없이 작물에기반한 체계는 거의 없다. 이런 의미에서 동물은 참으로 농업의 전형적인 특질이다. 


동물이 길들여진 곳이라면 어디나, 동물은 인간 사회의 필수적인 부분이 되어 돌봄과 존경을 모두 받았다. 이런 식으로 "공-진화"에 대한 상리공생적 의미가 완수되었다. 가축의 사육은 축산(animal husbandry)이라 부르기도 하여, 축산이란 용어의 오래된 의미에서 돌봄의 개념이 명백하다. 축산은 웹스터의 1913년 사전에 "길들여진 것의 돌봄; 경제; 길들여진 것의 관리; 절약"으로 정의되어 있다. 따라서 "축산"은 인간과 그 가정의 복리와 함께 길들여진 동물의 관리를 연결한다. 





방목과 목초 체계

먼저 우리는 초식동물을 방목하는 가축화에 기반하는 체계의 개발을 검토할 것이다. 이러한 농업 진화의 가닥은 오늘날까지 생존하여 동물 만의 체계를 낳았지만, 그것은 또한 식물과 동물을 모두 이용하는 통합된 체계의 진화에 직접적인 역할을 담당하기도 했다. 


15장에서 설명했듯이, 인간은 관찰력 있는 수렵채집인에서부터 야생 개체군들의 꼼꼼한 관리자, 가축을 길들이는 돌보미로 전환되었다. 이 과정에서 동물은 보호와 먹이, 번식을 위해 인간에게 의존하게 되고, 인간은 다양한 서비스와 산물을 동물에게 의존하게 되었다. 


지역의 환경 제약과 가축화에 적합한 토착 포유류 및 조류의 가용성에 따라, 동물을 포함시키는 다양한 유형의 먹을거리 생산 체계가 인간 사회에 의해 개발되었다. 이들 체계는 시간의 경과와 함께 다양한 방식으로 진화했는데, 전반적으로 동물이 더 철저히 가축화되고, 인간이 그 관리법을 강화하며, 동물이 먹는 식물 종들이 관리에 응하여 더 바람직한 특성을 개발했다고 공진화의 일반적 과정을 묘사할 수 있다. 


축산의 가장 이른 형태는 인간이 먹이와 물을 찾아 경관을 가로지르며 동물을 따라다니는 목가적 유목 생활이었다(Koocheki and Gliessman 2005). 이러한 생활 방식은 일반적으로 양과 염소의 야생 근연종 같은 야생 상태에 존재하는 동물들이 희박한 식생의 덮개에서 먹고 살고자 전적응한 상대적으로 극한인 반건조의 환경인 지역에서 개발되었다. 목가적 유목 생활은 인간의 공동체가 그 길들여진 동물의 무리가 없으면 생존할 수 있을지 의심스러운 일부 매우 건조하고 산간 지대인 곳에 아직도 존재한다. 최소한 상당한 기술적 개입 없이 작물 농업이 극도로 어렵거나 불가능한 지방에서, 이들 동물은 부족한 자원을 위해 먹이를 찾아다닐 수 있으며 인간이 직접적으로 소비할 수 없는 식생을 수확할 수 있는 동물성 산물로 바꾼다. 이들 체계의 돌보미로서 인간은 방목을 위한 그 경관의수용력의 한계를 존중하고, 자원 가용성의 계절적 및 지방적 변동을 이해하며, 그들의 동물이 필요로 하는 바에 따라 사회 구조를 개발시켜야 한다. 중동의 건조 지방에 가장 주목할 만한 유목 체계와 함께, 동물 가축화의 초기 시기로 거슬러 올라가는 잘 관리된 오늘날의 유목 체계의 사례들이 있다(그림19.5). 


그림19.5 이스라엘 네게브 사막의 유목 체계에서 목양업자가 이동시키고 있는 양. 이 지방의 강우량은 연간 30mm를 넘지 않아 작물 농업에는 너무 적다. 




강우량이 더 많고 수자원에 더 접근할 수 있는 세계의 일부 지역에서, 목가적 유목은 관리되는 방목의 유형으로 진화했다. 사람들은 영구 거주지를 수립하고, 동물은 명확한 방목지에 먹이를 찾는 시기 동안 풀어 놓는다. 좋은 축산은 동물을 돌보는 것만이 아니라, 방목지의 건강을 유지하는 것으로 진화했다. 10장에서 논의했듯이, 불은 이들 체계에서 목초와 방목지 개선을 위해 사용된 가장 초기의 도구 가운데 하나일 가능성이 높다. 이 체계는 자연 생태계를 기준으로 활용하는 인간 관리자가 식생의 구조, 종들의 구성, 풀사료의 품질 및 건강한 방목지나 목초지의 기타 지표에 대한 철두철미한 지식을 개발하고 유지했을 때 지속가능하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관리되는 방목 체계는 건조 지역부터 습한 강우 상황까지, 온난한 기후부터 추운 기후까지, 대부분의 토양 유형과 조건에 걸쳐서, 자연 초원, 목초와 풀이 있는 떨기나무숲, 사바나 또는 초지의 군데군데 나무가 있는 개방된 삼림지, 또는 동물이 소비하기에 적합한 하층 식생을 지닌 숲에 이르기까지 오늘날 세계의 대부분 지역에 존재한다(Hodgson and Illius 1996). 그 방목 체계가 잘 관리되고 동물의 유형과 숫자가 식생에 적절할 때, 관리되는 방목 체계는 산업형 먹을거리 체계에서 동물로부터 유래되는 먹을거리의 대부분을 생산하는 데 이용되는 공장식 사육시설에 대한 지속가능한 대안이 된다. 


결국, 인간-가축 관계의 공진화는 인간이 사료의 품질과 양을 개선하고자 목초의 종을 심고 관리하는 또 다른 단계에 도달했다. 자연의 방목 생태게를 관리하는 일에서 식용 사료와 목초 종을 직접 파종하는 일로 전환한 것은 아마 경운 도구를 끌 수 있으며 토양을 개선하는 것으로 적용할 수 있는 분뇨를 생산하는 가축의 가축화와 함께 밀접히 연관되어 발생했을 것이다. 곡식의 크기, 사료의 품질, 성장 활력이 모두 증가함에 따라, 분명히 아주 유사한 공진화가 식물 쪽에서도 일어나고 있었다. 풀, 곡식, 콩류는 모두 각각 가축에게 보완적인 영양을 제공하고 균형 잡힌 양분을 토양으로 투입하는 목초의 혼합 가운데 일부가 되었다. 비가 내리지 않는 여름이나 추운 겨울철 같이 파종한 목초가 자라지 않는 시기가 길어지는 곳에서는 목초 바이오매스를 수확하고 말려 부족한 시기에 활용할 사료로 저장하여 그 시간 동안은 동물을 가둔 채 사육하는 체계가 개발되었다. 


그러한 목초 체계는 오늘날 전 세계적으로 아직도 매우 흔하며, 관리되는 방목 체계처럼 동물에 기반하는 먹을거리와 섬유 산물을 생산하는 매우 지속가능한 수단이 될 수 있다. 특히 동물 생산 체계가 매우 보편적인 곳의 여러 농업대학에서는 목초 설계, 관리, 개선의 연구에 전념하는 학과와 프로그램이 있다. 





혼합된 작물-가축 체계

동물과 사료용 식물의 공진화가 일어나고 있는 한편, 세계의 일부 지역에서 인간은 자신의 소비를 위해서도 작물을 개발하고 있었다. 동물은 작물의 거름을 위한 분뇨만이 아니라 경운과 운송력을 제공하고, 인간이 그 자신과 그들의 동물 및 환경 모두의 필요에 균형을 맞추었을 때 발생했을 것으로 예상되는 농장 경관의 다양화에 한몫했기 때문에, 동물은 거의 항상 이러한 작물 개발의 일부였다. 


초기 농경사회는 모두 가축화된 동물을 어느 정도 이용했다. 인더스 계곡의 고대 문화는 닭을 가축화했다. 동남아시아의 문화는 가금류와 물소를 사육했다. 메소포타미아에서는 소와 양, 염소가 중요했다(그림19.6). 길들일 수 있는 야생 종이 풍부하지 않은 신세계에서도 칠면조와 털이 없는 개 등의 가축화된 동물이 농경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예를 들어, 미국 남서부의 푸에블로 선조들은 옥수수, 강낭콩 호박을 재배했는데, 깃털과 비상 식량 및 거름을 위해 가축화된 칠면조를 사육했다. 


그림19.6 고대 메소포타미아의 가축화된 양. 루브르 박물관에 있는 이 돌 조각에 새겨진 양 같은 가축화된 동물은 "비옥한 초승달" 지역에서 이루어진 농업의 초기 형태에서 중요했다. 





식물과 동물의 통합 정도는 초기의 농업 체계에서 다양했다. 일부 사회에서는 작물 생산 체계가 가축 목초 체계와 함께 개발되었다. 다른 사회에서는 가축화된 동물에서 유래한 먹을거리가 작물을 기반으로 하는 체계를 보완했다. 어느 쪽이든, 패턴은 인류 문명의 주요한 중심지와 함께 개발되는 통합된 작물-가축 체계를 위해 설정되었다. 


이러한 통합된 체계는 각각의 구성요소, 또는 사업의 생태적 상보성을 활용하기 위해 작동하는 전체로서 함께 관리되는 서로 다른 활동의 다양한 혼합을 수반한다. 중동, 유럽, 북아프리카, 남아시아를 포함하여 적절한 강우가 내리는 세계의 여러 온대 지역에서 통합된 체계는 상당한 복잡성의 수준에 도달했다. 예를 들어, 초기의 근대 유럽에서 전형적인 통합된 농장은 각각의 구성요소의 여러 조합을 포함하는 돌려짓기와 휴한과 함께 수확할 수 있는 사료나 마초(한해살이와 여러해살이)를 위한 목초, 작물(한해살이와 여러해살이), 동물 방목 지역(목초로 활용되는 식물 종의 일부를 개선했을 가능성이 있음), 가축의 울타리, 숲이나 조림지, 어떤 종류의 습지, 개울이나 우물, 인간의 거주 및 활동을 위한 장소를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양식의 통합된 농장 -과 축산과 관련된 문화적 가치- 은 미국으로 수입되어 모델 체계가 되었다. 20세기가 시작될 때까지 미국에서 대부분의 농장은 이러한 복합적 사업의 통합을 보여주었다. 통합된 농장은 오늘날 여전히 존재하지만, 가축과 작물 생산이 완전히 분리된 전문화되고 산업적 규모로 운영되는 곳이 훨씬 많다. 


가축과 작물의 분열은 2차대전 이후 전문화된 기계, 비료, 농약이 광범위하게 도입되며 이루어졌는데, 미국에서는 수십 년 전부터 농업의 전문화가 시작되었다(Gregson 1996). 균일한 시장의 신호와 멀리 떨어진 시장에 대응하기 위하여, 농민들은 재배 조건과 관리 및 기후에 대한 반응을 모두 표준화하는 효과를 지닌 생산 투입재에 의존하기 시작했다. 다양성은 덜 필요해 보였고, 농장은 단순화되기 시작했다. 효과적이고 저렴한 화학 비료에 접근할 준비가 되어 농민들은 토양의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더 이상 생물학적 질소 고정과 가축을 통한 양분 순환에 의존하지 않아도 된다는 인식이 조장되었다. 정부 지원 프로그램과 학술 연구기관은 전문화의 가치를 더욱 촉진했으며, 1980년대 말에는 가축과 작물의 분리가 상당히 완료되었다(Gregson 1996).  


그러나 우리가 1장에서 보았듯이, 가축과 작물의 분리와 -그리고 가축의 대규모 공장식 사육체계와 작물의 대규모 단작의 동반 성장- 연관된 문제들이 우리를 괴롭히기 위해 돌아왔다(Nierenberg 2005). 이제 지속가능성이 농업의 주요한 목표이고, 전문화를 촉진하는 투입재의 비용이 그들이 생산하는 작물의 가치보다 빠르게 상승하고 있어 작물과 가축을 통합하려는 발상이 다시 한 번 눈에 띄었다. 


방목과 목초에 기반한 동물 생산 체계는 또한 지속가능한 먹을거리 체계에 기여할 수 있는 그 잠재성 때문에 주목을 받았다. 그러한 체게에서 생산되는 모든 먹을거리(및 양모 같은 기타 산물)은 1차 생산자의 그것보다 더 높은 영양 단계에서 비롯되지만, 외부의 투입재 없이도 사실상 생산될 수 있다. 그들은 인간이 소화시킬 수 없는 셀룰로오스와 기타 복합적 식물의 바이오매스를 분해할 수 있는 소화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13장 참조), 이들 체계에서 활용되는 방목되고 잎을 먹는 동물들은 인간이 먹을 수 없는 식물에서 비롯되는 먹을거리 칼로리에 접근할 수 있는 수단이 된다. 게다가 세계의 여러 지역에서(미국 남서부의 반건조지역 같은) 잘 관리된 방목지의 방목은 야생의 토착 유제동물에 의해 수행되었던 생태적 기능을 복제함으로써 생물다양성을 보전하는 데 도움이 될수 있다. 






통합된 농사 체계


통합된 농장은 가축이 농장의 운영으로 통합되어 "단지 시장성 있는 농상품으로서가 아니라 -과업을 수행하고 다른 사업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여- 사업들 사이의 긍정적 상승효과를 획득하는" 곳이다(Clark 2004). 이러한 정의에서, '사업'은 판매할 수 있는 산물부터 잡초의 관리와 토양의 건강에 이르기까지 농장 체계의 모든 초점이나 목적을 가리킨다. 


농업생태게에 동물을 통합시킴으로써 발생하는 긍정적 상승효과는 대부분 가축과 작물 및 사료 식물의 생태적 상보성 때문에 발생한다. 식물은 동물을 먹이고, 동물의 배설물은 농축된 형태로 식물이 필요로 하는 양분을 제공한다. 따라서 통합된 체계 -단지 다양화된 것과는 대조되는- 는  이러한 상보성을 이용하여 작물 구성요소와 동물 구성요소 사이에 에너지와 양분을 이동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동물이 농업생태계로 통합되면, 자연계에서 작동하는 더 많은 생태계 과정을 농업생태계의 기능에 통합시켜 그 탄력성과 지속가능성을 증진할 수 있다. 





통합된 체계의 사례

동물의 사육과 작물의 재배를 똑같은 농업생태계에 통합시킨다는 기본 개념은 전 세계에 다양하게 표현되어 있다는 걸 발견한다. 가축 구성요소는 소, 양, 염소, 돼지, 토끼, 말, 황소, 야크, 물소, 가금류, 물새, 물고기, 조개, 벌, 누에를 포함하거나, 먹을거리와 섬유, 노동력, 분뇨, 생태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종들을 포함하거나, 이들의 어떠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작물 구성요소는 곡류, 콩류, 유지류, 방목되는 사료, 채소류, 감자류, 과일이나 견과 나무, 포도 및 기타 먹을거리 작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선택지가 주어지면, 통합의 가능성은 거의 무한하다. 가장 중요한 체계의 유형 가운데 네 가지가 아래와 같이 설명된다. 





방목되는 목초지의 단계를 지닌 작물 돌려짓기

작부체계로 가축을 통합시키는 가장 광범위하고 널리 적용할 수 있는 방식은 방목되는 목초지의 돌려짓기이다. 농법의 세부 내용은 매우 다양하지만, 그 핵심은 인간의 소비를 위해 재배되는 작물(곡류)과 가축이 방목되는 목초 작물을 농지에서 돌려짓기하는 것이다. 이러한 주제의 변형은 방목하지 않으며 목초 작물을 재배한 다음, 갇혀 있는 가축을 위해 그걸 사료로 수확하는 것이다. 방목되는 목초지의 돌려짓기는 예전에 전 세계적으로 흔한 일이었는데, 가축의 유형과 목초의 종, 작물 종 및 돌려짓기 시기는 모두 지역의 조건에 맞추어 조정되었다. 


이 책의 다른 부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작물 돌려짓기는 전반적인 농업생태계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많은 장점이 있다. 잡초의 성장(14장), 농업생태계의 다양성(17장), 물 가용성(9장)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몇 가지 요인일 뿐이다. 동물 구성요소가 포함되면, 돌려짓기 순서를 위한 선택지와 돌려짓기의 잠재적 혜택 모두가 증가한다. 





농목축(Agropastoral) 체계

세계의 일부 산악 지역, 특히 파키스탄, 인도, 중국, 네팔, 부탄에서 가장 흔한 전통적 농업 체계는 사실상 농목축이다. 더 따뜻한 계곡에서 작물을 생산하는 일은 여름철 고원의 목초지에서 가축을 방목하는 일과 결합된다. 보통 가축은 소득과 먹을거리의 주요한 원천을 제공한다. 여름의 공간적 분리에도 불구하고, 통합은 동물의 분뇨를거름으로 사용하고 겨울철 동물의 사료를 위해 목초 작물을 재배하는 일에서 발생한다. 





혼농임업 체계에서 가축

18장에서 논의했듯이, 혼농임업 체계는 작물, 동물, 또는 둘 다와 함께 나무를 통합시키는 체계이다. 초점이 나무-동물 결합에 맞추어지면 이를 임축업(silvopastoral) 체계라 하고, 세 가지(작물, 동물, 나무) 모두가 통합되면 농림축업(agrosilvopastoral) 체계라는 용어가 사용된다(그림19.7). 


그림19.7 코스타리카 푸에르트 비에호에 있는 간단한 임축업 유형의 혼농임업 체계. 살아 있는 울타리로 사용되는 콩과의 나무 Gliricidia sepium은 1년에 3-4번 가지치기를 하고, 소는 그들의 목초지 풀의 식사를 보완하고자 단백질이 풍부한 쳐낸 가지를 먹는다. 





임축 혼농임업의 농법은 나무가 폭우와 양분 침출, 강렬한 태양 열의 영향을 완화시킬 수 있는 열대에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가장 흔한 임축 농업생태계는 자연적이거나 개선된 목초지 위의 상층목으로 나무를 활용하는 걸 포함한다(Buck et al. 1999). 전형적으로 숲은 벌목되고 특정한 나무만 목초지에 그늘을 드리우도록 남겨두며, 생태적또는 경제적 가치를 추가하는 나무의 종을 잘 자랄 수 있는 패턴으로 심기도 한다. 가축 혼농임업 체계에서 동물의 관리가 핵심인데, 나무 -그리고 만약 존재한다면 작물- 와 동물의 요구를 동시에 충족시켜야 하기 때문이다.  


나무(18장 참조)와 가축 모두는 농업생태계에 많은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어서, 두 가지가 결합되면 지속가능성의 여러 구성요소를 함께 가져올 수 있다. Agroforestry Systems 저널에는 생태학적 지속가능성의 여러 특성을 입증하고, 많은 경제적, 사회적 혜택도 제공하는 동물 지향형 혼농임업 체계의 여러 연구 사례가 포함되어 있다. 





사례 연구: 스페인의 목초지(Dehesa) 체계


유럽 남부, 특히 스페인 안달루시아의 산악 지방에는 가축과 작물, 토착 초본 식생 및 참나무 숲을 통합시킨 전통적인 농림축업 체계가 존재한다. 스페인에서 데헤사로 알려진 이 통합된 체계는 자연 경관의 맥락에서 길들여진 방목 동물과 제한된 작물 농업의 신중한 관리를 결합시켜 달성될 수 있는 복잡성과 안정성의 수준을 보여준다(Sevilla-Guzmán 1999). 


데헤사라는 용어는 원래 지역사회의 공동 방목지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토지의 구획을 가리키는 데 사용되었는데, 지역사회의 농업노동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활용되던 동물의 방목과 휴식을 위해 특정한 지역사회 구성원들이 활용하던 곳이었다. 오늘날, 그 용어는 오래된 의미에서 데헤사였던 지역사회를 둘러싸고 있는 숲이 우거진 토지에서 시행되는 관리 체계를 의미한다. 이 지역은 지중해성 가을의 첫 비와 함께 싹이 터 겨울을 거쳐 봄이 되며 자라고 비가 내리지 않는 여름철에 마르는 초본의 하층 식생과 더불어 몇몇 참나무속 종들의 개방된 참나무 숲으로 생장한다. 


데헤사 체계의 기본은 토종 이베리아 돼지(그림19.8), 양을 개방된 참나무 숲에 교대로 방목하거나 혼합하여방목하는 것이고, 때로는 말을 방목하기도 한다. 또한 지역사회의 사람들은 숲에서 땔감과 일부 코르크만이 아니라, 먹을거리, 약품, 향신료로 수많은 토착 식물 종을 수집한다. 더 나은 토양을 지닌 개방된 지역에서는 사료용 풀이나 콩과식물의 작은 밭을 가꾼다. 최근에는 소가 방목자의 혼합으로 추가되었고(그림19.4 참조),토착 야생생물 종이 스포츠로 사냥된다. 



그림19.8 이베리아 돼지. 이 지역에 적응한 품종은 스페인 데헤사 체계의 가장 중요한 동물 구성요소이다. 



데헤사의 주요 측면은 참나무 숲 생태계의 유지이다. 이는 동물 구성요소의 합리적이고 주의깊은 통합으로 가능해진다. 양과 소, 말은 겨울과 봄철에 자연의 초본성 덮개에 방목되고, 이후에는 판매되거나, 더 나은 목초가있는 저지대로 이동되거나, 저장된 마초에 제한된 숫자를 유지한다. 이베리아 돼지의 어미와 새끼는 자유로이 돌아다닐 수 있는 참나무 아래의 큰 우리에 가두어지고, 작은 밭에서 생산된 곡물을 먹는다. 늦여름에 도토리가 나무에서 떨어지기 시작하면, 어린 돼지는 우리에서 풀려나 자유로이 돌아다니며 도토리를 먹는다. 3개월 미만의 기간 동안 돼지는 도토리 식단으로 체중의 50% 이상 불리고, 그 독특하고 인기 좋은 하몽 이베리코jamón ibérico 햄에 쓰이는 살을 만든다. 소는 겨울철의 푸른 초본의 성장을 취하고, 양은 겨울의 푸른 바이오매스만이 아니라 여름까지 지속되는 마른 식물성 물질을 잘 처리할 수 있다. 


데헤사는 주변지 환경의 자원을 지속가능하게 활용한 사례를 대표한다. 그것은 그 관리가 수확량을 최대화하는 게 아니라, 가축의 꼼꼼한 관리를 통하여 경관의 자연적 생산성을 최적화하는 데 기반을 두기 때문에 지속가능하다. 그 기반은 다양화, 식물과 동물의 상보성, 참나무 숲의 부수어지기 쉬운 자연자원을 집약적으로 사용하기보단 광범위하게 사용하기, 지역의 토종 동물 및 수세기에 걸쳐 쌓은 관리 지식이다. 


그러나 공장식 축산의 돼지고기와의 경쟁, 단위면적당 더 높은 수익에 대한 욕구, 농촌 인구의 도시로의 이동 등이 모두 이 놀라운 체게에 압력을 가하고 있다. 앞으로 이를 보존하기 위하여 그것의 가치에 대한 농생태학적 이해가 필요하다. 

   




양식과 작물 생산

전 세게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체계는 작물 생산과 함께 물새나 물고기나 조개류 같은 수생 종의 사육을 포함하고 있다. 예상할 수 있듯이, 이들 체계는 농업이 부재하는 습지대가 두드러진물이 풍부한 지역에서 가장 흔하다.  


통합된 벼와 오리 농사는 일본과 중국의 일부에서 실행되고 있다(Furuno 2001). 잡초와 곤충은 오리가 소비하고, 오리의 분뇨는 벼를 비옥하게 하기 위해 되돌아가며, 인간은 작물의 주기가 끝나면 오리와 벼를 모두 수확한다(그림19.9). 오리의 움직임은 물을 흔들어 더 강한 벼 줄기를 유도하고, 비바람으로 쓰러지는 것에 더 저항성을 갖도록 한다(Zhang et al. 2013). 질소를 고정하는 조류의 상리공생 식물인 수생 양치식물 물개구리밥이 체계에 추가되면 비옥도가 유지되고 수확량이 개선된다. 중국 남부의 벼논양어 체계에서도 비슷한 결과를 달성했다(Guo and Bradshaw 1991; Xie et al. 2011). 농사철 동안 관개 수로와 물을 댄 논을 물고기가 차지하도록 하여, 그들이 없으면체계에서 상실될 양분을 포획활 수 있다. 특히 물고기가 조류를 먹고 조류가 물에서 양분으로 번성하는 체계에서더욱 그러하다. 물고기가 연중 머물 수 있는 둠벙을 파기 위하여 논 일부에서 벼의 생산을 못하더라도 생태적, 경제적 혜택이 더 크다. 


그림19.9 중국 난징 근처의 논에서 오리가 잡초를 먹어치우고 떨어진 씨앗을 찾아다닌다. 폐기물은 동물성 산물과 분뇨의 형태로 자원으로 전환되고 있다. 




물고기는 물고기와 작물, 가축을 결합시킨 어떤 체계에서 개발되어 온 통합된 작부체계의 농생태학적, 경제적으로 이로운 부분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시아의 일부 지역에서 집중적으로 관리되는 습지에서 물고기, 누에, 뽕나무, 돼지, 사탕수수, 채소와 풀을 통합하는 체계가 존재한다. 일부 지역에서는 농민들이 이미 통합된 작물-가축 체계에 양식 구성요소를 추가하고 있다. 가축 분뇨는 물고기가 소비하는 조류나 플랑크톤의 성장을 자국하는 데 사용된다. 그런 다음 물고기의 폐기물은 작물의 양분원으로 이용되고, 물고기 자체는 시장성 있는 산물이 된다. 


통합된 작물-양식 체계는 집약적인 산업 규모의 단일한 종을 이용한 양식업 체계와 명백한 대조를 이룬다(양식업에 대해선 특별 주제를 참조). 여러 측면에서 이들 체계는 소와 돼지, 가금류에 이용되는 가축 감금 체계와 크게 다르지 않다. 사료 -야생에서 동물들이 소비하는 것과 다른- 는 동물의 생산지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서 재배되곤하고, 항생제와 성장촉진제가 사용되곤 하며, 먹이 찌꺼기와 배설물이 물을 오염시킨다. 





특별 주제: 양식업


인간이 소비하는 먹을거리의 대부분이 농업 생산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면, 오랫동안 바다와 호수, 강 등에서 야생 물고기를 잡는 것은 모두 인간이 수렵채집인이었던 선사시대의 유물로 간주할 수 있다. 하지만 어업이 유물이라면, 매우 중요한 일이다. 2009년 전 세계적으로 사람들은 평균 18.5kg의 물고기를 먹었으며, 그 가운데 약 절반은 야생에서 잡았다(FAOSTAT 2013). 아프리카 중부, 남아시아, 오세아니아에 있는 여러 국가의 야생에서 잡은 물고기와 조개류는 동물성 단백질 섭취량의 1/3 이상을 차지한다. 그러므로 야생의 어장은 세계 먹을거리 체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야생의 어획은 전 세계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세계의 야생 물고기 총 어획량은 지난 20년 동안 비교적 안정적이었지만(FAO Fisheries and Aquaculture 2012), 이 수치는 여러 우려스러운 경향을 감추고 있다. 세계적으로 더욱 많은 어획이 과도하게 개발되고 있다고 분류되며, 대서양의 대구 같은 어류는 붕괴되었다. 전 세게적으로 어장의 절반 이상이 완전히 착취되었다고 간주되는데, 이는 다 잡아 버리기 직전이라는 걸 의미한다(FAO Fisheries and Aquaculture 2012). 내륙 수산업(주로 아시아)에서 잡힌 어획량의 증가만이 전 세계의 야생 물고기 포획량의 감소를 막았다. 


야생에서 잡은 물고기의 세계적 어획량은 해마다 거의 똑같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지만, 어류의 소비가 세계적으로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1961년 이후 물고기에서 유래된 먹을거리 공급량은 연평균 3.2% 증가했다. 이러한 증가는 이 시기 동안 평균 1인당 물고기 소비량을 거의 2배로 늘렸다(FAO Fisheries and Aquaculture 2012). 


바다와 호수, 강에서 잡힌 게 아니라면 추가된 모든 물고기는 어디에서 왔을까? 그것은 물고기의 "농사"인 양식업에서 생산되었다. 1980년대 이후 양식업은 매우 빠르게 성장하여, 물고기에 대한 수요와 야생 물고기의 공급 사이에 확장되던 틈을 메웠다. 인간의 소비를 위한 물고기 생산에 대해 양식업이 기여한 비율은 1980년 9%에서 2010년 47%로 증가했다(FAO Fisheries and Aquaculture 2012). 예상은 약간씩 다르지만, 전문가들은 2018년까지 전 세게에서 소비되는 물고기의 대부분이 물고기 농장에서 비롯될 것이라는 점에는 동의한다. 


양식업은 여러 형태로 수행된다. 기본적 요구사항은 물고기가 어떤 식으로든 갇혀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양식하는 물고기가 연못이나 수조에서 사육되면, 그들은 적절한 산소를 공급하고 폐기물을 씻어 없애는 데 필요함 담수의 공급이 필요하다. 이러한 "관개"용수의 필요를 없애고자, 많은 양식업자들은 하천과 강어귀, 연안 지역, 또는 자연적으로 물이 흐르거나 조수의 움직임이 필요한 물의 움직임을 제공하는 외해에 위치한 우리에서 물고기를 사육한다. 중요한 요인은 물고기를 먹이는 방법이다. 여러 조개류와 잉어를 포함하는 일부 양식 종들은 물을 여과하거나거르며 물에서 조류와 플랑크톤, 또는 폐기물을 제거할 수 있는 여과 섭식 동물이기 때문에 인간 사육자가 먹이를 줄 필요가 없다. 어느 정도까지 여과 섭식 종들의 양식은 야생의 먹을거리와 양식하는 먹을거리 사이의 구분(양식업 생산의 약 30%를 차지)을 모호하게 만든다. 


그러나 대부분의 양식 종들은 외부의 사료 공급원을 필요로 한다. 주로 이런 먹이는 끓이고, 압착하고, 말리고, 어분으로 갈아 놓은 저가의 야생에서 잡은 물고기로 구성된다. 그러나 옥수수와 대두 및 기타 농산물이 점점양식업 사료의 일반적인 원료가 되고 있다. 다른 물고기를 다량으로 먹여야 하는 고가의 물고기 양식 -연어가 좋은 사례- 은 소와 돼지의 공장식 축산과 매우 흡사하다.  


전반적으로 양식업은 상당한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사람들이 먹을 수 있는 곡물을 섭취하고 야생의 어족자원을 고갈시키는 데 도움을 주는 것 이외에도, 양식업은 많은 연안의 환경을 파괴하고 있다. 광대한 맹그로브 숲, 갯벌, 해수 소택지, 잘피밭이 양식장으로 전환되었다. 이들 양식장은 연안의 해역을 오염시키는 질소폐기물을 생산하고, 수질 정화, 침식과 폭풍-해일 보호를 비롯하여 해양 종들(때로는 양식장에서 사육되는 종들을 포함)의 다양성 양성소 등으로 이용되던 것들을 대체하며 자연계가 수행하던 환경 서비스를 더 이상 받을 수 없게 만든다. 더 나아가, 물고기 양식을 위해 야생의 치어를 포획하는 것은 해양의 개체군에 막대한 피해를 준다(Roberts 2012). 유전자 변형된 물고기가 탈출해 야생의 어류를 유전적으로 오염시키는 일을 포함하여 질병 발생과 기후변화의 혼란에 대한 높은 취약성 등 양식업을 둘러싼 많은 다른 우려가 있다.  


그 중대한 결점에도 불구하고, 양식업은 여기에 머물러 있다. 사실 양식업은 지속가능한 먹을거리 체계를 개발하기 위한 노력의 일부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할 수 있다. 물고기는 영양가가 높고, 건강에 좋으며, 우리가 우리 먹을거리의 많은 비율을 어패류에 의지할 수만 있다면 증가하는 인구를 부양하기 위해 육상의 농업생태계를 압박하는 걸 줄일 수 있다. 작은 연못이나 둠벙 같은 소규모 양식 체계는 특히 소농들이 접근할 수 있으며, 식량안보를 개선시키는 데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양식업이 해결책의 일부가 되어야 하는 이유는 야생 어획의 미래가 매우 불투명하기 때문이다. 저인망 같은 남획과 서식지를 파괴하는 어로 활동은 여러 물고기 종들에게 단기간에 개체군을 회복할 수 없는 조건을 창출했다(Sale 2011). 바다의 높아지는 온도와 산도는 (조개류의 경우) 직접적으로, 그리고 산호초 같은 치어 서식지와 플랑크톤 기반의 해양 먹이사슬에 영향을 미쳐 물고기의 개체군에 충격을 줄 가능성이 있다. 많은 어획이 과도하게 개발되어 붕괴로 밀어붙이고 있으며, 물고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남획에 대한 압박이계속될 것이다. 


양식업이 야생의 어장이 감소되며 야기되는 문제를 바로잡고, 야생의 물고기 개체군과 수생 및 연안의 해양 서식지에 피해를 주지 않고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변해야 한다. 농업생태계가 생태학의 원리에 기초하여 기능하도록 만들어야 하는 것과 똑같은 방식으로, 양식 체계는 주변의 자연 생태계와 함께 보완되고 작동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지속가능한 양식업 체계의 많은 사례가 이미 존재한다. 기본 전략은 조류를 먹을 수 있는 여과 섭식 종들에 더 초점을 맞추고, 양식장의 규모와 지리적 범위를 제한하고, 어류와 갑각류를 더 낮은 밀도로사육하며, 육상과 습지의 농업생태계와 양식업을 통합하는 일 등을 포함한다(그림19.10)



그림19.10 멕시코 타바스코의 나카주카에서 틸라피아를 사육하는 양식 연못. 많은 강우량과 높은 수위의 이 지역에서, 양식업은 많은 양의 단백질을 생산하는 훌륭한 선택인 한편, 그와 함께 지역의 소규모 농민들에게 좋은 소득원을 제공한다. 작물은 연못을 건설하며 쌓은 인접한 토단에서 재배된다. 이는 지속가능한 양식업의좋은 사례이다.





통합된 농장에서 동물의 이로운 역할

자연계의 초식동물을 모방한 생태적 역할을 수행하면서 가축은 그림19.11에 나오듯이 식물 바이오매스에 함유된 에너지와 물질을 농생태학적으로 유용한 세 가지 흐름으로 전환시킨다. 첫 번째 흐름인 동물 바이오매스는 먹을거리, 섬유, 거름, 원자재로서의 가치가 있다. 두 번째 흐름은 가축의 일을 할 수 있는 능력으로 대표되는 생물체의 문화 에너지이다. 한때 인간이 하지 못하는 농장의 모든 작업을 수행하던 역축은 여러 유형의 가축 가운데 분명한 일꾼이지만, 양과 염소, 닭, 오리 및 기타 동물들도 식생과 잡초의 관리 및 해충 방제의 형태로 소중한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 세 번째 흐름인 분뇨는 식물의 양분을 풍부하게 하고, 토양 미생물들에게 주요한 에너지원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그림19.11 가축의 전환자 역할. 동물은 식물 바이오매스를 유용한 에너지와 물질의 형태로 전환한다.




초식하는 동물의 "산물" -동물 바이오매스, 일, 분뇨- 과 초식 그 자체의 "과정"이 결합되어 농민에게 잠재적인 농장 내 혜택의 모음을 제공한다. 이러한 헤택들은 실제 농장 운영의 맥락에서 다음과 같이 개별적으로 논의된다. 혜택들은 상호연관되고 중복되지만, 개념적으로 분리함으로써 농업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을 개선하고 구매하는 외부의 투입재에 대한 의존을 줄이는 상리공생의 상승효과를 수립하려는 전반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통합을 어떻게 결합시킬 수 있는지를 더 쉽게 볼 수 있다. 표19.1은 통합된 체계의 조건들을 통합되지 않은 작물에 기반한 체계와 비교함으로써 통합의 여러 혜택을 요약한 것이다. 





통합된 체계의 측면

생태학적 효과

농업에 대한 혜택

작물 돌려짓기에 방목하는 마초, 특히 여러해살이 종들을 포함시키기

더 높은 다양성

더 활발한 토양 미생물의 활동

토양 덮개의 유지 

뜸해지는 교란, 개척(잡초성) 종들이 장려되지 않음

자연적 해충 방제 대리자를 위한 서식지 제공

토양 유기물이 증가하도록 함

토양이 침식에 노출되지 않음

잡초의 압력이 감소

뒷그루의 성과 개선

살생물제의 필요성 제거 또는 감소

더 나은 토양의 보비력

똑같은 체게에서 생산된 사료로 시장에 파는 가축을 먹이기

순환형(과 대조적인 선형) 양분 흐름

양분 유출의 감소

구매하는 투입재에 대한 의존도 감소

사업 다각화

작물 폐기물을 생산적으로 활용할 기회

무기질 비료 대신 양분의 원천으로 가축의 분뇨를 활용하기

토양 구조의 개선

더 높은 토양 생물다양성과 미생물의 활동

더 나은 질소 순환

구매하는 투입재에 대한 의존도 감소
토양 유기물 함량의 향상
더 높은 작물 수확량 

식생과 잡초 관리를 위해 가축을 활용하기

자연계에서 초식동물의 역할 모방

살생물제의 필요성 제거 또는 감소

손으로 일할 필요의 감소

표19.1 작물 생산 농업생태계에 가축을 통합시키는 혜택




단백질이 풍부한 먹을거리와 기타 산물의 생산

동물 바이오매스는 자급과 시장 모두를 위한 먹을거리로 중요하다. 우유, 고기 또는 알의 형태로 식물 바이오매스보다 훨씬 많은 단백질을 함유하고 있다. 또한 대부분의 가축은 인간이 먹을 수 없는 식물 바이오매스의 유형 -작물 폐기물, 음식쓰레기, 주로 셀룰로오스가 함유된 식물의 조직- 에서 영양을 얻을 수 있으며, 인간이 먹을 수 있는 다양한 동물 바이오매스의 형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물론 동물 바이오매스는 경제적으로 가치 있는 기타 용도도 많다. 양은 양털을 생산하고, 물새는 깃털을 생산한다. 그리고 동물의 생명 마지막에는 다양한 목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뼈와 기타 부산물을 생산한다. 





작물 잔여물과 부산물의 활용

동물은 수확하고 남은 많은 양의 바이오매스만이 아니라 농산물 가공에서 나온 많은 부산물을 소비할 수 있기 때문에, 동물 사료로 그러한 바이오매스를 활용하는 일은 수확할 수 있는 동물성 산물을 생산하는 동시에 잠재적 폐기물을 순환할 수 있는 양분으로 전환시키는 중요한 방법이다. 옥수수와 조, 밀, 귀리, 보리의 짚은 전 세계의 많은 농업생태계에서 다양하게 조사료로 이용되는데, 짚의 생산지가 소비하는 동물과 최대한 가까이 있을 때 에너지 효율이 극대화된다. 동물을 가두고 먹이를 줄 수 있도록 짚을 베어 헛간으로 나를 수 있지만, 농지에 짚을 놔두고 동물이 직접 먹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아마 가장 효율적인 방법일 것이다. 


집약적 채소 생산이 너무 흔한 캘리포니아에서, 주스를 짜낸 방울 양배추, 토마토, 당근 같은 많은 작물이 동물의방목이나 마초를 보충하려고 사용하는 잔여물을 생산한다. 돼지는 개발도상국의 많은 소규모 농장 체계에서 음식쓰레기와 작물 폐기물의 훌륭한 전환자이다. 이러한 경우 동물은 실제로 채소 작물이 재배되는 농지에 있지 않기에, 동물이 생산한 분뇨는 작물의 농지로 돌려보내야 한다. 






분뇨와 퇴비로 토양에 양분을 돌려주기

식물은 토양에서 취한 양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식물 바이오매스와 소화, 분뇨로 퇴적에서 그들의 소비를 통하여그 양분이 다시 토양으로 순환된다. 농사 체계에 따라서 분뇨는 그것이 가장 필요한 농장의 장소에 수집되고, 퇴비화되며, 적용될 수 있다. 토양으로 분뇨를 되돌리는 일은 양분과 유기물 모두를 토양 생태계로 돌려주는 중요한 방식(8장 참조)일 뿐만 아니라, 농장 시설 외부에서 이러한 물질을 가져올 필요를 줄이는 방법이다. 


대규모 가축 감금 체계에서 생산된 막대한 양의 분뇨를 작부체계에 가져오려는 생태적, 경제적 과제는 1장에서 이미 논의되었다. 통합된 가축-작부체계 -마초가 농장에서 재배되고, 농지에서는 방목하는 목초와 작물을 돌려짓기하고, 작물 잔여물은 동물 사료에 포함시키는- 는 분뇨와 퇴비 관리의 효율성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덴마크에서 수행된 연구(Dalgaard et al. 2002)는 수확을 위한 곡식 작물의 모음과 동물 사료를 위한 풀 및 콩과의 목초 종들을 활용하여 혼합된 낙농과 돼지 생산으로 전환한 농장은 수입된 사료에 더 의존하는 관행적 체계와 유기적 가축 시설과 비교하여, 동물의 사료를 모두 자급할 수 있는 한편 지역의 지하수 체계에 대한 질소 오염이 매누 낮은수준으로 감소되는 사실이 입증되었다. 






토양 건강의 개선

건강한 토양의 주요 구성요소는 토양의 유기물이다. 많은 요인, 유기체들 및 상호작용이 경작 적성, 구조, 보수력, 압축과 침식에 대한 저항성에서 토양의 건강을 나타내는 것과 함께 유기물의 양과 질을 공급한다. 일반적으로 장기간의 경운은 토양 건강 지표의 저하를 수반하는 것과 함께 토양 유기물의 파괴로 이어진다. 그러나 돌려짓기하는 방목용 마초의 형태로 작부체계에 가축을 가져오면 경운의 필요성이 줄어들 뿐만 아니라, 양분과 에너지가 풍부한 유기물을 추가한다. 토양 미생물의 활동이 증가하고, 토양의 구조가 개선되며, 양분 보유 및 가용성이 좋아져 작물이 더 잘 자란다. 일부 지방, 특히 미국의 중서부 지역과 캐나다에서는 작부체계에 여러해살이 목초를 돌려짓기로 도입해, 토양을 경운의 부정적 영향으로부터 잠시 벗어나게 하고 토양 건강의 한도를 회복시키면서 환금성 곡식 작물에 대한 강조가 감소하는 걸 쉽게 정당화할 수 있다(Clark 2004). 






노동의 제공

그들이 소비하는 식물 바이오매스의 물질과 에너지에 힘입어 동물은 경운과 운송의 형태로 노동을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앞에서 논의했지만, 동물이 수행하는 노동은 생물체의 문화 에너지의 형태임에 주목하는 게 중요하다. 그에 따라 농민이 에너지 산출에 대한 에너지 투입 비율을 더 유리하게 달성하고, 구매하는 에너지 투입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20장 참조). 역축의 활용은 오늘날의 세계에서 시대착오적인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화석연료에서 유래된 에너지의 비용이 상승하면 점점 더 매력적인 선택이 될 것이다. 꿀벌은 다른 종류의 "노동"을 제공한다. 시장성 있는 산물로 벌꿀을 생산하기 위해 꿀벌이 농장에 유지되면 작물이나 과실수의 수분도 해준다.  





식생의 관리와 잡초의 방제

잡초 관리는 농민들이 작물 돌려짓기에 목초를 포함시키는 특히 중요한 이유인 것처럼 보인다. 캐나다에서 실시된 농민 설문조사에서, 접촉한 농민 235명 가운데 80% 이상이 목초 이후에 잡초의 압박이 감소했다고 보고한다(Entz et al. 1995). 많은 목초가 메귀리(Avena fatua L.), 캐나다 엉겅퀴(Cirsium arvense L.), 들갓(Sinapis arvensis L.), 강아지풀(Setaria viridis [L.] Beauv.) 같은 가장 문제가 되는 잡초 가운데 몇 가지를 잘 통제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방목하는 동물은 경관과 식생 관리를 위하여 다른 방법으로 이용될 수 있다. 염소는 캘리포나이 연안의 여러 곳에서 옻나무(Toxicodendron diversilobum)를 방제하거나, 수확이 끝난 뒤의 작부체계에서 잡초를 억제하기 위해 이용된다. 양은 미국의 옥수수 지대의 일부에서 현대의 제초제가 출현하기 이전에 옥수수 같은 작물에서 잡초의 방제에 이용되어 왔다고 알려져 있으며, 닭은 가정의 텃밭과 소규모 작부체계에서 토양을 갈고, 해충을 관리하며, 잡초를 방제하는 능력으로 유명하다. 적절하게 관리되는 소와 양, 염소는 크리스마스 트리 묘목장과 방목지에서 재식림 과정에 바람직하지 않은 종들을 뜯어먹는 데 이용될 수 있다. 명백히 대부분의 방목 가축은 목본 식생보다 초본 식생을 더 선호하여, 어린 나무의 농장이나 교란 이후에 숲을 재생시킬 때 풀의 압박을 우선적으로 제거하는 핵심 요인이 된다. 식생 관리를 위한 방목 가축의 활용은 이번 장의 앞부분에서 언급한 북아메리카 중부의 대초원과 세렝게티 평원 같은 곳에서 이루어지는 자연 방목의 영향과 매우 흡사하다. 






돌려짓기에서 뒷그루의 수확량 증가

작물 돌려짓기에 방목되는 목초를 포함시키는 여러 혜택 가운데 하나는 목초 이후에 심는 작물에서 얻을 수 있는더 높은 수확량이다. 이 효과는 방목되는 목초가 자라는 기간의 기타 긍정적 영향 덕분이다. 토양 교란이 줄어들고, 토양 유기물이 증가하며, 잡초가 방제되는 게 그것이다. 캐나다 농민의 설문조사는 목초 돌려짓기 이후에 심은 곡식 작물에서 더 높은 수확량을 보고했다(Entz et al. 1995). 






생태계 서비스의 제공

생태계의 관점에서, 농업 경관에 있는 동물은 먹을거리 생산을 넘어 여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전에 열거한 많은 혜택은 다양한 대규모 생태학적 과정에 기여한다. 


탄소 격리. 가축은 잠재적으로 대기의 이산화탄소 수준을 감소시키는 데 기여하는 토양 유기탄소의 순 증가를 산출하는 것으로 알려진 방식 가운데 두 가지인 임축업 체계의 나무로, 또는 여러해살이 목초 작물로 토지에 다시 덮개를 덮는 일부이다. 

침식 방제. 방목되는 목초 돌려짓기의 필수적인 부분으로서, 동물은 토양침식 방제에 중요한 도구인 식생 덮개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된다. 

유역의 건강 유지. 침식 방제에 도움이 되는 똑같은 요인들이 9장에서 논의된 침투, 여과, 수분 보유의 유역 과정을 촉진하기도 한다. 

생물다양성 보호. 농업 경관에 동물 -특히 작은 가축과 지역에 적응된 종과 토종- 을 다시 통합시키는 건 농업생물다양성의 보존을 촉진한다. 게다가 동물이 기타 환경 서비스를 제공하고 농업에 대한 농장 외부의 부정적 충격을 줄인 결과, 동물은 생물다양성과 전체 경관을 향상시키고 보호한다. 





통합의 사회적, 경제적 혜택

지금까지 우리는 혼합된 가축-작물 체계의 생태학적 혜택에 주로 초점을 맞추어 왔다. 많은 다른 사례에서 보았듯이, 생태학적 혜택이 있는 농법은 경제적, 사회적 혜택도 가지곤 하며, 가축-작물 통합이 좋은 사례이다. 물론 앞서 언급한 점에 많은 경제적, 사회적 혜택이 함축되어 있다. 작물 수확량의 증가, 토양 건강의 개선, 값비싸게 구매하는 투입재의 감소는 모두 농민의 순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두 가지 통합의 사회경제적 혜택은 따로 논의할 만하다. 





사업의 다각화와 경제적 취약성 감소

동물과 작물이 농장에서 함께 길러지는 원래의 이유 가운데 하나는 이러한 혼합이 생산되는 먹을거리의 유형과 농산물의 다양성을 높일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다각화는 간단한 경제 논리를 가졌다. 더 많은 사업들 사이로 실패의 위험을 분산시킴으로써 경제 보장을 높이는 것이다. 이는 오늘날 세계의 대부분의 지역에서 오래전 사라진 자급 상황에 기반한 것이긴 하지만, 똑같은 논리가 농상품으로 먹을거리를 생산하는 맥락에서 여전히 적용된다. 작물 이외에 동물을 사육하면 농민은 알, 우유, 양털, 벌꿀, 비단, 양고기나 소고기 등의 시장성 있는 산물을 추가로 얻을 수 있다. 지역의 시장 조건에 따라, 이들 동물에 기반한 사업은 금적적 가치가 있는 소득 흐름 및 흉작과 시장의 변동에서 보호를 제공할 수 있다(Schierea et al. 2002). 


또한 통합된 농장을 기반으로 할 수 있는 다양한 사업은 지역이나 지방별 마케팅에 이상적인 경우가 많다. 지역의 상점과 식당, 농민장터에서 산물을 판매하고, 협동조합과 지역사회 지원 농업단체를 통하는 것으로 유통업자와 도매업자, 운송업자, 중개업자에게 흐르던 돈이 농민에게 돌아간다. 그러한 지역화된 먹을거리 연결망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25장에서 더 상세히 논의할 것이다. 






개발도상국의 빈곤 완화

혼합된 작물-가축 체계는 개발도상국의 높은 유아 사망률, 만성적 기아, 식량불안, 자원 파괴 및 이러한 문제들로 인해 발생하는 높은 사회적 비용의 근본 원인인 빈곤을 완화시키는 데 이상적이다. 통합된 작물-가축 체계는 소규모로 수익성 있게 운영되고, 다양한 소득 창출 활동을 포함하고, 농장 외부의 투입재를 거의 필요로 하지 않으며 상대적으로 적은 자본 투자를 필요로 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그것은 개발도상국의 많은 사람들에게 더 큰 경제 보장을 창출하는 효과적이고 현실적인 방법이다(LEISA 2005)(그림19.12).


그림19.12 소와 코코넛 야자를 통합시킨 통가의 혼농임업 체계. 야자나무는 코코넛 열매, 코프라, 건설자재를 제공하고, 소는 고기와 우유를 제공한다. 농업과 축산, 임업을 결합시키는 이와 같은 체계는 특히 개발도상국의 소농들에게 적합하다. (사진 Molly Wilson)





체계 자체의 동물 부분은 빈곤한 농민에게는 상당한 경제적 가치를 나타낸다. 가축은 살아 있는 은행이다. 동물은 자본의 창고이자 미래의 생산성에 대한 투자이며, 작물 생산의 위험에 대한 보험의 역할을 한다. 단백질과 칼로리가 부족한 식사를 하는 경향이 있는 곳에서 가축은 단백질이 풍부한 먹을거리를 공급한다. 또한 여성들은 동물의 축산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곤 하기 때문에, 가축을 포함시킨 농업 체계는 사회적으로나 경제적으로 양성평등을 촉진할 수 있다. 


많은 개발도상국에서 혼합된 작물-가축 체계는 이미 농촌 지역에서 주요한 경제적 활동이지만 이들 체계가 잠재적인 상승효과를 모두 활용하지 않고 비효율적으로 운영된 결과, 경제적 수익을 위한 잠재력을 완전히 실현하지 못한다. 예를 들어, 전형적인 소농의 농업생태계를 구조화하는 몇 가지 다른 대안 양식이 부족 농민의 사회경제적 지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고 결론을 내린 연구가 행해진 인도 차티스가르주의 사례가 있다(Ramrao et al. 2005). 모든 경우에, 대안 체계는 동물 구성요소의 다양화와 증가를 수반하고 체계의 모든 구성요소의 통합을 더 긴밀하게 했다.  


표19.2는 세 가지 중요한 특성의 측면에서 혼합된 작물-가축 체계, 방목 체계, 산업형 감금 체계를 비교한다. 그것은 작물-가축 통합과 생태학적 특징, 사회경제적 공평함을 달성할 가능성 사이의 높은 상관관계를 입증한다. 




식물-동물의 통합 정도

외부 투입재의 필요

사회적 공평의 가능성

혼합된 작물-가축 체계

높음

낮음, 부분적으로 닫힌 체계

빈곤을 완화하고, 위험을 감소시키고, 양성평등을 이룰 높은 가능성

광범위한 방목 체계

높음

낮음, 부분적으로 닫힌 체계

가변적이고, 규모에 따라 다름

산업형 감금 체계

낮음

높음, 개방된 체계

낮음

표19.2 생태적, 사회적 측면에서 세 가지 가축 생산 체계의 비교 

 




가축과 먹을거리 체계의 지속가능성


앞의 절에서 분명히 입증했듯이, 가축과 작물 생산을 통합하는 일은 농장과 농민, 개발도상국, 농업 경관, 환경 전반에 광범위한 혜택을 가져온다. 그것은 현행 농업이 생태적, 사회적 체계의 토대를 훼손하고 있는 많은 경향을 뒤집을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그러므로 작물-가축 통합을 증가시키는 일은 세계의 먹을거리 체계를 지속가능성 쪽으로 더 이동시키는 핵심 요소이다. 하지만 그렇게 하는 과정에서 우리는 변화의 기세가 다른 방향에 있기에 큰 과제에 직면하게 된다.


이러한 과제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하여, 우린 전체 먹을거리 체계의 맥락에서 전반적으로 가축 생산을 살펴보아야한다. 이는 우리를 가축과 작물의 농장 수준의 통합을 넘어서는 문제로 이끈다. 이들 문제에 대해 자세히 고민하는 것은 이 장의 의도는 아니지만, 여기에서 간략히 언급하며 6부에서 더욱 논의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할 것이다. 





더 지속가능한 동물성 단백질 경제의 요소들

세계의 먹을거리 체계에서 동물의 역할에 대한 철저한 조사는 생산부터 소비까지 모든 수준에서 심각한 문제를 발견하게 된다. 가축은 에너지를 낭비하고 생태적으로 피해를 주는 방식으로 사육된다. 그들로부터 유래된 산물은 먼 거리를 이동시킨 뒤에만 소비자에게 이른다. 소비자 쪽에서 이들 산물에 대한 수요가 높아서 전체 체계를 추동한다. 더 지속가능한 동물성 단백질 경제로 향하기 위해서는 생산, 유통, 소비라는 세 가지 수준에서 변화가 일어나야 한다. 



생산

이 장에서는 통합된 농사 체계에서 고기와 우유, 달걀을 생산하는 것이 전문화되고, 단일한 목적의 산업형 체계에서 똑같은 산물을 생산하는 것보다 더 지속가능하다는 발상을 지지했다. 하지만 세계적으로 인간의 식단에 포함된 모든 동물성 단백질이 그러한 체계에서 비롯되기를 기대하는 건 비현실적이다. 그러므로 동물성 단백질의 더 지속가능한 생산을 위해 보편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두 가지 원칙을 언급하는 것이 중요하다. 


•에너지로 말하자면, 동물들은 식물성 먹이를 동물성 단백질로 전화시키는 효율성이 서로 다르다. 닭고기, 달걀, 우유를 생산하는 일은 식물 바이오매스를 동물성 단백질로 전환시키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 가운데 세 가지이다. 그러므로 지속가능성은 닭고기, 달걀, 우유 쪽으로 동물 생산을 초점을 이동시키고 소고기의 생산에서 멀어지게 하는 데 달려 있다. 

•소와 젖소에게 가공된 곡물을 먹이는 것과 인간이 먹을 수 없는 식물 바이오매스를 먹이는 것 사이에는 커다란차이가 있다. 전자는 경작할 수 있는 토지의 사용이 매우 비효율적이고, 훨씬 많은 화석연료 보조금을 필요로 한다. 그러므로 지속가능한 먹을거리 체계에서 고기나 젖의 생산을 위해 활용되는 모든 반추동물은 방목될 것이다.이와 비슷하게 모든 돼지는 음식쓰레기와 작물 폐기물을 먹이게 될 것이다. 



소비

공장식 사육시설의 성장, 가축과 작물 생산의 전반적인 붕괴는 전 세계적으로 고기와 기타 동물성 산물에 대한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크게 좌우된다. 산업국의 사람들은 오늘날 전례없이 많은 고기를 먹고 있다. 그와 동시에 개발도상국의 사람들은 산업국의 막대한 육류 소비를 따라잡으려 노력하고 있다. 


이 문제를 다루는 것은 이 장의 범위를 벗어나지만, 우린 더 많은 육류를 소비하려는 경향이 더 지속가능한 먹을거리 체계를 만드는 일의 가장 큰 장벽일 수 있다는 사실을 깨달아야 한다. 그러므로 1인당 육류  소비를 줄여야 한다는 데에는 의문의 여지가 없다. 그와 함께 우리가 먹는 육류는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생산되어야 한다. 이는 소고기와 돼지고기를 덜 먹고, 가금류, 우유, 달걀에 더 의존한다는 것을 뜻한다. 그것은 공장식 사육시설에서 사육된 동물들의 육류보다 통합된 목초 체계에서 키운 동물의 고기를 선호한다는 걸 뜻한다. 



유통

현재의 먹을거리 체계에서, 먹을거리 상품들은 대개 마지막으로 소비되기 전에 장거리를 운송되고, 다량의 화석연료를 사용하며 소비자가 쓰는 돈의 대부분이 농민 대신 가공업자와 유통업자, 중개업자, 도매업자 및 기타 "중간 상인"에게 전달된다. 이러한 유통 체계에 대한 대안 -더 지역화된 먹을거리 연결망- 이 더 강해지고 널리 보급되려면, 동물성 산물의 생산자와 그 산물의 소비자 사이의 지리적, 경제적 연결이 더 긴밀해져야 한다. 


통합된 농장에서 가축을 생산하는 건 이러한 변환에 매우 적합하다. 그러한 생산은 반드시 공장식 사육시설의 생산보다 규모가 더 작다. 대용량의 중앙집중형 공장식 사육시설 생산은 계란과 육류와 유제품을 전국과 세계 시장에까지 유통시키기 위해 설계된 대용향의 중앙집중형 가공과 유통 체계와 함께 이용된다. 이에 따라 개별적 통합된 농장에서 이루어지는 저용량의 지리적으로 분산된 생산은 더 지역적 가공과 유통 체계에 가장 알맞다(그림19.13)



그림19.13 캘리포니아 산타크루즈에 있는 농민장터에서 재배자가 판매하고 있는 지역에서 생산된 달걀. 달걀은 모든 동물성 산물 가운데 가장 에너지 효율이 높기 때문에, 소비자가 농민장터에서 그것을 구매하면 다양한 방식으로 더 지속가능한 먹을거리 체계를 지원하는 셈이다. 




농업의 전문화에 이의를 제기하기

그다지 멀지 않은 과거에 전문화란 개념은 농민들에게 알려지지 않았다. 통합과 사업 다각화가 농장 운영의 기본원리였다. 우리가 먹을거리 생산에 대한 이러한 접근법을 상실함에 따라, 우리의 지역사회는 그 지역의 먹을거리유통 체계와 가족농장의 대부분을 상실했으며, 소비자는 그들의 먹을거리를 생산하는 사람과 그중 많은 걸 담당한 동물들과의 유기적 연결을 상실했다. 대륙의 반대쪽에서 생산된 곡물을 먹이며 공장식 사육시설에 격리된 가축들의 사체와 알, 젖이 수백, 수천 킬로미터 떨어진 시장으로 보내지는 오늘날, 일반적인 소비자가 자신의 식탁에 놓인 스테이크를 보며 아무 생각이 들지 않는다는 건 그리 놀라운 일이 아니다.  


이 책의 다른 곳에서 보았듯이, 농업 분야의 전문화는 지속가능한 생계를 제공하는 생태학적으로 건전한 방식으로 생산된 풍요롭고 건강한 먹을거리에 대한 사회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기에 부적합하게 설계되었다. 가축과작물의 재통합은 더 많은 지역의 먹을거리 유통 연결망, 소규모의 가족이 운영하는 농장의 생존력, 구매하는 투입재에 별로 의존하지 않는 더욱 자립적이고 순환적인 농업생태계 쪽으로 가는 방향을 가리키면서 농업의 전문화와 경제력 집중으로 가려는 경향을 뒤집는 데 도움이 된다.  


가축과 작물 생산의 재통합은 실제로 관행농업의 지속가능하지 않은 것들의 심장을 때리는 일이다. 이러한 이유로, 시장과 연구기관 및 공공정책 분야에서 가축과 작물의 통합을 지원하는 일은 변화를 일으키는 데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러한 옹호는 통합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한편, 전문화와 집중의 막대한 사회적, 환경적 비용에 대한의식을 높인다. 








생각거리


1. 농사 체계로 동물의 재통합을 촉진하기 위하여 소비자가 식단에 어떤 변화를 주어야 하는가?


2. 채식주의와 통합된 가축-작물 생산 체계는 결합될 수 있는가?


3. 통합된 농사 체계의 분석을 위해 가장 적합한 지속가능성의 주요한 지표는 무엇인가?


4. 우리는 동물에 대한 윤리적 대우와 함께 생산 요구를 어떻게 조화시킬 수 있는가?








인터넷 자료


American Forage and Grassland Council 

http://www.afgc.org


American Grassfed Association 

http://www.americangrassfed.org


Center for Integrated Agricultural Systems,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http://www.cias.wisc.edu

Dedicated to the study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farming practices, farm profitability, the environment, and rural vitality. 


Eat Wild 

http://www.eatwild.com 

Information on pasture-based farming; lists farmers and ranchers who raise livestock on pasture and sell directly to consumers. 


Heifer International 

http://www.heifer.org 

A nonprofit organization that helps communities in rural areas around the world integrates appropriate livestock technology, self-reliance, and sustainable development. 


National Grazing Lands Coalition 

http://www.glci.org

Technical assistance for privately owned grazing lands and programs to increas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grazing land resources. 


National Sustainable Agriculture Information Service, livestock section 

http://attra.ncat.org/attra-pub/livestock/livestock.html

A project of the National Center for Appropriate Technology (NCAT).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Symposium on Silvopastoral Systems and Second Congress on Agroforestry and Livestock Production in Latin America 

http://www.fao.org/WAIRDOCS/LEAD/X6109E/x6109e00.htm

Research focusing on the theme of silvopastoral systems for restoration of degraded tropical pasture ecosystems.









읽을거리


Cheeke, P. R. 2003. Contemporary Issues in Animal Agriculture, 3rd edn. Interstate Publishers, Inc.: Danville, IL. 

Covers a wide range of ethical, environmental, and health issues related to animal agriculture.


de Haan, C., H. Steinfeld, and H. Blackburn. 1997. Livestock and the Environment: Finding a Balance. FAO/World Bank/USAID: Rome, Italy. 

An international assessment of the negative impacts of livestock production systems on the environment and an exploration on how to overcome them. 


Furuno, T. 2001. The Power of Duck. Tagari Publications: Sisters Creek, Tasmania, Victoria, Australia. 

A very readable and applicable example of how one animal in particular has played a critical role in sustainable agroecosystem design and management. 


Hauter, W. 2012. Foodopoly: The Battle Over the Future of Food and Farming in America. The New Press: New York. 

An insightful investigation into the control of food production by a handful of large corporations, with several chapters on how this is manifest in the meat industry. 


Hodgson, J. and A. W. Illius. 1996. The Ecology and Management of Grazing Systems. CAB International: Wallingford, U.K. 

A unique look at our understanding and management of land resources used by grazing animals, combining perspectives from ecology, plant science, and animal science. 


Holecheck, J. L., R. D. Pieper, and C. H. Herbel. 2010. Range Management: Principles and Practices, 6th edn. Prentice Hall: Upper Saddle River, NJ. 

The most up-to-date source of information on range management, with its strongest emphasis on the management of grazing itself. It also presents comprehensive information on highly relevant issues such as range animal behavior, economics, energy, and multiple-use environments. 


Little, D. C. and P. Edwards. 2003. Integrated Livestock–Fish Farming Systems. FAO: Rome, Italy. 

Describes the dynamic set of practices that constitutes integrated fish–livestock farming systems in Asia. 


Nierenberg, D. 2005. Happier Meals: Rethinking the Global Meat Industry. WorldWatch Paper 171. WorldWatch Institute: Washington, DC. 

A concise examination of the damaging effects of industrial animal agriculture, or factory farming, as well as proposals for alternative ways that farmers, processors, and consumers can help ensure that meat is made better for people, the environment, and the animals themselves.



728x90
728x90

농생태학: 지속가능한 먹을거리 체계의 생태학







18장 교란, 천이, 그리고 농업생태계 관리



교란과 천이를 통한 회복의 생태학적 개념은 농생태학에서 중요한 응용을 지닌다. 농업생태게는 경운, 토양 준비, 씨뿌리기, 옮겨심기, 관개, 비료 살포, 해충 관리, 가지치기, 수확, 불태우기 등의 형태로 끊임없이 교란을 겪고있다. 산업형 농업에서처럼 교란이 빈번하고 광범위하며 극심하면, 농업생태계는 천이의 가장 초기 단계에 제한되어 있다. 이런 조건은 높은 생산성을 가능하게 하지만, 비료와 농약의 많은 투입을 필요로 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토양 자원을 악화시키는 경향이 있다. 


지속적이고 과도한 교란에 대한 의존에서 벗어나 천이 과정을 더 진행시키고 더 큰 생태학적 복잡성을 생성함으로써 더욱 지속가능한 먹을거리 생산은 달성될 수 있다. 자연 생태계의 교란과 천이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바탕으로, 우리는 교란과 회복의 적절한 관리를 통하여 비옥도와 생산성을 모두 유지할 수 있는 농업생태계의 능력을향상시킬 수 있다. 






자연 생태계의 교란과 회복


생태학의 오래된 교리는 교란 이후 생태계는 즉시 그 교란에서 회복되는 과정을 시작한다는 것이다. 회복은 2장에 소개된 상대적으로 질서 있는 천이 과정을 통하여 일어난다. 가장 넓은 의미에서, 생태적 천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군집의 구조와 기능에 뚜렷한 변화가 발생하는 생태계의 발달 과정이다. 


생태학자들은 천이의 두 가지 기본 유형을 구별한다. 1차 천이는 예전에 살아 있는 유기체에 의해 점유되지 않았거나 생물적 구성요소가 비생물적 구성요소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변화를 겪는 장소(드러난 암석, 빙하로 덮인 표면, 또는 최근 형성된 화산섬 같은)의 생태계 발달이다. 2차 천이는 예전에 살아 있는 유기체에 의해 점유되었지만, 화재와 홍수, 강풍, 집약적 방목이나 기타 사건 등으로 인해 그 유기체의 일부 또는 전부가 제거된 장소의 생태계 발달이다. 강도, 빈도, 교란의 지속기간 등에 따라,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에 미치는 영향은 교란에서 회복하는 데 필요한 시간만큼 달라질 것이다. 농업에서 발생하는 교란과 회복 과정은 보통 예전에는 다른 생물적 구성요소가 있던 장소에서 일어나기 때문에, 우리는 여기에서 2차 천이과정에 관심을 집중할 것이다. 






교란의 성격

자연 생태계가 안정되어 있고 변화하지 않는다는 인상을 주지만, 자연 생태계는 화재, 폭풍, 홍수, 극단의 기온, 전염병 발생, 넘어지는 나무, 산사태, 침식 등과 같은 사건에 의해 일정 규모로 끊임없이 변경되고 있다. 이러한 사건들은 유기체를 죽이고, 서식지를 파괴하고 변경하며, 생물적 조건을 변화시킴으로써 생태계를 교란한다. 이들 영향은 자연 생태계의 구조를 변화시킬 수 있고, 현존하는 유기체의 개체군 수준과 그들이 저장하는 바이오매스를 변화시키게 된다. 


교란은 세 가지 차원으로 다양해질 수 있다.


1. 교란의 강도는 제거된 바이오매스의 양이나 살해된 개체수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10장에서 설명된 세 가지 유형의 화재는 교란 강도의 변화에 대한 좋은 사레를 제공한다. 지표화는 일반적으로 낮은 강도의 교란을 생성하는 반면, 수관화는 높은 강도의 교란을 야기한다. 

2. 교란의 빈도는 각 교란 사건 사이의 평균 시간이다. 교란 사이의 시간 간격이 더 길수록, 각각의 교란 이후 생태계가 완전히 회복할 수 있는 능력이 더 커진다. 

3. 교란의 규모는 작은, 지역화된 조각부터 전체 경관에 이르기까지 다양해질 수 있는 교란의 공간적 범위이다. 개별 나무가 넘어져서 생성된 숲 캐노피의 작은 틈은 소규모 교란인 반면, 강력한 허리케인의 엄청난 파괴는 매우 큰 규모이다. 


교란의 세 가지 특성 모두는 복잡한 방식으로 서로 얽히곤 한다. 예를 들어, 화재는 다양한 빈도로 발생할 수 있다. 화재는 드문드문 발생하는 방식으로 경관 전체에 분포될 수 있으며, 어떤 구역은 매우 강렬하고 다른 구역은 거의 태우지 못할 수도 있다. 






회복 과정

교란에 의한 생태계의 모든 변화나 변경은 회복 과정을 거친다. 회복은 몇 가지 생태계 역학의 결합된 작용을 통하여 발생한다. (1) 생물적 군집 전체는 앞의 장에서 설명된 여러 형태의 간섭을 통하여 물리적 환경을 변경한다. (2) 개별 유기체와 개체군들 사이의 경쟁과 공존은 종의 다양성과 풍부함에 변화를 일으킨다. (3) 살아 있는 바이오매스의 증가하는 양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더욱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기에 생산에서 호흡으로 에너지 흐름이 이동한다. 이들 과정의 상호작용은 최종적으로 교란이 발생하기 이전에 존재했던 것과 유사한 구조와 생태계 복잡성의 수준으로 이어지는 여러 발달 단계(원래 천이의 단계라고 함)를 통하여 생태계가 회복되도록 유도한다. 


회복 과정 동안, 생태계 구조와 기능에 많은 중요한 변화가 발생한다. 이들은 상대적으로 심각하고 광범위한 교란 이후에 가장 뚜렷하다. 주요한 교란을 겪은 천이 과정의 더 중요한 특성에 대한 요약은 표18.1에 나와 있다. 천이의 초기 또는 개척 단계는 r-선택된, 쉽게 분산되는 잡초성 종들에 의해 우점되는데, 이러한 초기의 침입자들은 환경의 조건이 변경되거나 나중에 도착하는 것들의 간섭으로 대체되기 때문에 K-선택된 종들이 우점을 시작한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식물과 동물의 초기 종들이 다른 것에 의해 대체되는 모습이 회복 과정에서 흔하게 관찰되었다(예,  Bazzaz 1996; Finegan 1996; Walker et al. 2007)




천이 과정 동안의 변화

생태계 특성

초기 단계

중기 단계

성숙기

종의 구성

종들의 빠른 대체

종들의 더 느린 대체

거의 변화 없음

종의 다양성

낮음, 빠르게 증가

중간, 빠르게 증가

높은, 약간 감소할 가능성

전체 바이오매스

낮음, 빠르게 증가

중간, 서서히 증가

높음, 느린 증가 속도

살아 있지 않은 유기물의 질량

낮음, 빠르게 증가

중간, 서서히 증가

높음, 느린 증가 속도

총 1차 생산성

빠르게 증가

약간 감소

순 1차 생산성

빠르게 증가

약간 감소

체계의 호흡

증가

느리게 증가

먹이 사슬/그물

점점 복잡해짐

복잡함 유지

종의 상호작용

점점 복잡해짐

복잡함 유지

전반적 양분 및 에너지 흐름의 효율성

증가

효율성 유지

양분 순환

관통해 흐름, 개방된 순환

 

내부의 순환, 폐쇄된 순환

양분 보유

낮은 보유, 짧은 회전 시간

 →높은 보유, 긴 회전 시간 

성장 형태

r-선택, 빠르게 성장하는 종

 →

오래 사는 K-선택 종 

지위의 너비

보편가

 →전문가 

생활주기

한해살이

 →여러해살이 

간섭

주로 경쟁적

 →더 상리공생적 

표18.1 주요한 교란 이후 2차 천이의 과정 동안 생태계 구조와 기능에 일어나는 변화

출처: Odum, E.P., Ecology and Our Endangered Life-Support Systems, Sinauer Associates Incorporated, Sunderland, MA, 1993.

*일부 변화는 단계별 형태로 표시되었지만, 모두 점진적 전환으로 발생한다. 




생태학적 다양성(이전 장에서 설명함)의 구성요소 대부분은 천이 동안, 특히 초기 단계에서 증가하고, 완전히 회복하기 전에 최고 수준에 도달하곤 한다. 특히 농생태학적 중요성은 보통은 천이의 초기 단계 동안 총광합성량이 전체 호합량을 크게 초과하여 높은 순 1차 생산성과 높은 수확 잠재성을 가져온다는 사실이다. 그러나 천이의 발달과 함께 살아 있는 작물이 증가함께 따라, 더 많은 비율의 생산성이 유지에 사용되어 더욱 안정되었단 인상을 준다. 


중요한 농생태학적 함의를 지닌 천이 발달의 또 다른 측면은 시간의 경과와 함께, 특히 천이의 초기 단계에 바이오매스와 살아 있는 작물의 유기물 증가이다. 바이오매스는 결국 분해자를 거치면서 폐기물과 부식질로 전환되기때문에, 바이오매스의 증가는 토양 유기물의 증가를 간접적으로 가져온다. 


회복의 초기 단계 동안, 양분 가용성이 일반적으로 높고 양분 보존은 상대적으로 비효율적이다. 빠르게 성장하는터주식물 종들은 빠르게 우점종이 되어, 개체군 상호작용이 존재하는 소수의 종으로 제한된다. 천이가 진행됨에 따라, 양분 보유가 개선되고, 군집을 형성하는 종들이 체계에서 더 다양한 지위를 점유하기 시작하며, 개체군 상호작용이 강해지고(특히 자원 분할과 상리공생적 간섭을 수반하는 상호작용), 생태계의 구조가 더욱 복잡하게 상호연결된다. 


교란 이후 충분한 시간이 흐르면, 생태계는 결국 표18.1에 제시된 대부분의 특성이 속도나 특성의 측면에서 크게 변화하지 않는 시점(예전에는 절정 단계라고 함)에 도달한다. 예를 들어, 종의 다양성 측면에서 새롭게 군집을 형성하는 종들은 이주 종이나 멸종하는 종의 숫자와 같다. 체계의 양분 상실은 외부에서 오는 투입재에 의해 균형을 이룬다. 종의 개체군 수준은 계절에 따라 변동하지만, 상당히 일정한 평균의 수를 중심으로 그러하다. 이 단계에서, 체계는 다시 한 번 토양, 지형, 수분 가용성에 대한 지방의 기후 및 지역적 조건과 함께 미약한 평형 상태를 이룬다. 변화는 여전히 발생하지만 더 이상 지향성이 없고, 발달상의 변화가 있지만 평형점을 중심으로 변화한다. 2장에서 우리는 그러한 조건을 동적 평형의 하나로 설명했는데, 이는 새로운 교란이 최소한 소규모로 자주 발생하면서 모든 환경이 끊임없이 변화하며 진화하고 있다는 사실을 고려한 개념이다. 


그런 다음, 전형적인 성숙한 생태계에서 국지적인 장소는 정기적으로 교란을 겪고 있을지 모르지만, 표18.1에 열거된 특성들은 에너지와 양분 활용이 매우 효율적이고, 먹이그물이 복잡하며, 상리공생의 관계가 널리 퍼져 있을 만큼 충분히 발달되었다. 그 체계는 교란이 발생하면 변화에 저항성과 탄력성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발생하는 교란 사건이 급격한 변화를 가져오지는 않지만 평형 상태의 조건을 허용하지도 않는다. 






중간의 교란

일부 생태계에서는 교란의 빈도, 강도, 규모가 체계가 완전한 성숙기에 도달하지 못해도 성숙한 생태계의 종의 다양성, 탄력성, 에너지 사용의 효율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허리케인이 발생하면 -그 빈도가 낮은 한- 이러한 고강도의 교란 사건은 종 다양성이 높고 바이오매스가 많은 산림 채계를 생성하는 경향이 있다(Vandermeer et al. 2000; Mascaro et al. 2005). 이러한 체계를 연구하고 있는 생태학자들은 환경의 교란이 너무 빈번하거나 너무 드물지도 않으면서(어떤 중간의 빈도에서) 다양성과 생산성이 모두 높을 수 있는 자연 생태계의 상태로 중간의 교란설을 제시해왔다(Connell and Slayter 1977; Connell 1978). 이런 체계의 교란은 높은 생산성의 초기 천이의 특성을 유지하는 한편, 체계의 전반적 안정성이 성숙한 생태계의 특성인 높은 종의 다양성을 허용한다. 


중간의 교란설이 적용될 수 있는 일부 자연 생태계는 표18.2에 제시되어 있다. 이들 체계를 조사한 결과, 교란 빈도, 교란 간동 및 교란 규모의 다양한 결합을 통해 중간의 교란이 일어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생태계 수준에서, 예를 들어 비교적 소규모의 강렬하고 빈번한 교란은 더 큰 규모의 저강도, 저빈도 교란과 유사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빈도

규모

강도

교란의 성격

높음

작음

낮음

숲에서 나무가 자연적으로 쓰러짐

낮음

높음

허리케인이 산호초나 해안의 열대림에 피해를 줌

높음

중간

낮음

초지에서 초식동물의 방목으로 지상의 바이오매스가 제거됨

중간

중간

중간

온대의 숲에 있는 나무가 얼음과 진눈깨비에 피해를 받음

중간

중간

낮음

건조한 여름 열대림의 지표화

표18.2 자연 생태계에서 중간의 교란에 대한 일부 사례




여러 중간의 교란 상황에서, 시간과 공간의 경관에 걸쳐 불규칙적으로 분산되는 교란은 비교적 작은 면적에서 수많은 천이의 단계가 발생하는 군데군데 있는 경관(patchy landscape)으로 알려진 것을 만든다. 부분에서 부분에 이르는 발달 단계의 차이는 생태계 수준에서 상당한 다양성을 유지하는 데 기여한다. 그러므로 천이의 뒤죽박죽은 생태계의 생태학적 역학의 중요한 측면으로 간주될 수 있다. 부분의 크기, 부분의 발달의 차이, 부분들 사이의 접촉부의 성격 등이 모두 중요한 변수가 되고, 생태학자들은 자연 생태계에서 그들의 역할을 이해하려고 시도하는 상당한 연구에 투자해 왔다(Pickett and White 1985; Groom et al. 2006). 여러 농업 경관의 내재된 뒤죽박죽은 중간 교란의 잠재적 적용과 농업생태계 관리에 대한 뒤죽박죽을 가리킨다(Bruun 2000). 21장에서 더 상세히 살펴볼 것처럼, 뒤죽박죽이란 개념은  농업 경관에서 생물다양성과 생태계 서비스를 보존하고자 하는 접근법에서 특히 중요해졌다(Swift et al. 2004; Groom et al. 2006). 






농업생태계 관리에 적용


현대의 농업은 농민들이 천이의 과정을 깡그리 무시할 수 있는 농법, 기술, 투입재를 개발해 왔다. 자연적 회복 대신에, 농민은 수확으로 제거되거나 재배와 함께 변경되는 것을 대체하는 투입재와 물질을 사용한다. 일정한 교란이 총 생산성의 더 많은 부분이 순 생산성이나 수확할 수 있는 바이오매스로 이용할 수 있는 천이의 초기 단계에 농업생태계가 머물러 있도록 한다. 하지만 인간의 개입과 오염을 시키고 재생할 수 없는 투입재에 훨씬 덜 의존하는 더욱 탄력적인 체계를 개발하기 위하여, 우리는 자연생태계의 회복 과정을 활용하는 데 더욱 많은 노력을기울여야 한다. 자연 생태계의 천이 과정에 대한 우리의 지식은 인간이 야기하는 교란의 영향부터 계획된 방식으로 교란을 도입하는 일에 이르기까지 농업생태계의 회복을 돕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간단히 말하자면, 그 임무는 한편으로는 천이 초기 단계의 이로운 속성 가운데 일부를 활용하는 농업생태계를 설계하는 것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체계가 천이의 후기 단계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하여 얻는 이점들 가운데 일부를 통합시키는 일이다. 표18.3에서 볼 수 있듯이, 농업생태계의 바람직한 생태학적 특성 가운데 하나인 높은 순 1차 생산성은 천이 발달의 초기 단계에 발생한다. 다른 모든 것들은 발달의 후기 단계까지 명확히 나타나지 않는다. 




천이 단계의 가장 큰 발달

농업생태계에 대한 혜택

특성

초기

중기

후기

높은 종 다양성




치명적인 작물 상실의 위험 감소

높은 총 바이오매스




더 많은 토양 유기물의 원천

높은 순 1차 생산성




수확할 수 있는 바이오매스의 생산할 더 큰 가능성

종 상호작용의 복잡성




생물학적 방제를 위한 더 큰 잠재력

효율적 양분 순환




외부의 양분에 대한 필요성 감소

상리공생적 간섭




더 큰 안정성, 외부의 투입재에 대한 필요성 감소

표18.3 천이 발달과 관련하여 농업생태계의 바람직한 생태학적 특성들

 



그 다음에, 연구를 위한 과제는 두 극단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교란과 발달을 통합시키는 방법을 개발하는 일이다. 이는 농업생태계가 자리를 잡고 발달하게 할 뿐만 아니라, 체계의 기간 중 적절한 시기에 교란과 회복이 다시 도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천이 과정을 사용하는 방법을 배우는 일과 관련된다.






천이 발달의 허용

농업은 오랫동안 천이의 초기 단계에 농사 체계를 유지하여 교란의 이점을 이용해 왔다. 이는 특히 생태계의 어느 부분도 발달의 초기 개척 단계를 넘어서 진행되지 않게 하는 한해살이 작부체계에서 그러하다. 이 단계에서 체계는 많은 양의 수확할 수 있는 물질을 생산할 수 있지만, 이렇게 높은 생산 수준에 농업생태계를 유지하는 일은 다른 발달 과정에 해를 끼치기에, 그렇게 하지 않으면 제공될 수 있는 이점들을 제한한다. 


농업생태계 관리에 대한 또 다른 접근법은 그 위치에서 자연스럽게 진행되는 천이 과정을 모델로 사용하는 농사 체계를 설치하여 "자연을 모방하는 것"이다(Ewel 1999; Jackson 2011). 때로는 "아날로그 모델" 또는 "자연계 농업"이라 부르는 그러한 접근법을 통하여, 탄력적이고 생산적인 농업생태계를 확립할 수 있다.


관리되는 천이의 계획에 따라, 자연적 천이 단계는 농업생태계의 구성요소 부분들 사이의 상호작용과 연결의 발달을 촉진하는 식물, 동물, 농법, 투입재를 의도적으로 도입함으로써 모방된다. 식물 종(작물과 비작물 모두)은 체계에 있는 양분을 포획하고 보유하여 좋은 토양의 발달을 촉진시키는 걸 심는다. 이들 식물은 질소를 고정하는박테리아를 지닌 콩과식물과 인을 모아 두는 균근을 지닌 식물을 포함한다. 그 체계가 발달함에 따라, 다양성과 먹이그물의 복잡성, 상리공생적 상호작용이 증가하여 병해충 관리를 위해 더 효과적인 되먹임 메커니즘으로 이어진다. 발달 과정 동안의 강조점은 복잡하고 통합된 농업생태계를 구축하는 데 있다. 


그러한 전략은 더 집약적인 인간의 관리를 필요로 할 수 있지만, 과정과 상호작용이 농업생태계 안에 내면화되기때문에 체계의 외부에서 오는 인간에서 비롯된 투입재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고 더욱 안정된다. 


농민이 최근 경운한 맨흙의 농지에서 시작하여 초기 단계를 넘어 천이 발달이 진행되도록 하는 여러 방법이 있다. 한해살이 홑짓기에서 시작하여 여러해살이 나무 작부체계로 진행되는 일반적 모델의 하나가 그림18.1에 나와 있고, 아래와 같이 설명된다.



그림18.1 농업생태계의 천이 발달 단계. 이 과정의 모든 단계에서 체계의 전체나 일부를 발달의 초기 단계로 되돌리기 위하여 교란을 도입할 수 있다. (1)맨흙, (2)한해살이 홑짓기, (3)한해살이 섞어짓기, (4)한해살이와 짧은 수명의 여러해살이를 혼합한 섞어짓기, (5)나무 묘목과 함께 한해살이/여러해살이 섞어짓기, (6)혼농임업, (7)임목 농업체계. 




1-2. 농민은 빠르게 성장하고, 토양 양분을 포획하며, 초기 수확량을 제공하고, 발달 과정에서 개척 종으로 역할을 하는 단일한 한해살이 작물을 심으며 시작한다. 또한 농민은 초기 천이 과정을 모방하여, 처음 파종에 기타 덜적극적인 한해살이를 선택할 수도 있다.  

3. 다음 단계(또는 이전의 것 대신에)로, 농민은 개척 단계의 다양한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한해살이의 섞어짓기를 심을 수 있다. 그 종은 양분 요구가 다르고, 서로 다른 곤충을 유인하고, 뿌리 깊이가 다르며, 토양으로 서로 다른 비율의 바이오매스를 돌려줄 것이다. 하나는 질소를 고정하는 콩과식물일 수 있다. 오리나 거위 같은 작은 가축이 흔한 이주종이 될 수 있는 잡초를 뜯어먹거나 달팽이를 잡아먹게 할 수 있다. 이들 초기의 종 모두는 회복과정의 개시에 기여할 것이고, 그들은 비작물 식물과 동물 -특히 토양 생태계를 발달시키는 데 필요한 육안으로 보이는 유기체와 미생물-이 군집을 형성할 수 있도록 환경을 변경할 것이다. 

4. 발달의 처음 단계 이후에(첫 번째 농사철 끝이나 두 번째나 세 번째 농사철이 시작될 때), 짧은 수명의 여러해살이 작물이 도입되기 시작할 수 있다. 개척 작물이 생성한 토양 덮개를 활용해 이들 종은 중요한 생태학적 측면에서 농업생태계를 다양화할 수 있다. 더 깊은 뿌리 체계, 살아 있는 바이오매스에 저장된 더 많은 유기물, 더 큰서식지 미기후의 다양성이 모두 결합되어 농업생태계의 천이 발달을 진전시킨다(그림18.2). 


그림18.2 코스타리카 투리알바의 한해살이 옥수수에서 재배하는 짧은 수명의 여러해살이 카사바(Manihot esculenta). 카사바는 옥수수가 확립된 뒤에 도입되었다. 


5. 일단 토양 조건이 충분히 개선되면, 땅은 한해살이와 그들 사이의 구역에 유지되는 짧은 수명의 여러해살이 작물과 함께 수명이 긴 여러해살이, 특히 과수나 임목을 심을 준비가 된다. 나무는 초기 성장기에 있는 동안 주변환경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다. 그와 동시에 한해살이 작물은 그 성장 초기 단계에 주변의 여러해살이가 없으면 그들이 점유하고 있는 지역을 차지할 적극적인 잡초성 r-선택의 비작물 종들의 간섭에 더 취약하기 때문에 혜택을 받는다(그림18.3).


그림18.3 멕시코 남부의 캄페체에서 그멜리나 아르보레아Gmelina arborea 나무의 묘목이 옥수수-호박 재배에 통합되어 있다. 한해살이 체계에 임목 체계를 가입시키는 농법을 타운그야taungya라고 한다.  


6. 임목이 발달함에 따라, 그들 사이의 공간은 아래에 기술된 혼농임업 접근법을 활용하여 한해살이와 짧은 수명의 여러해살이와 함께 계속 관리될 수 있다. 이 시점에서 식생의 관리, 사업의 다양화 및 더 나은 양분 순환을 위하여 더 큰 가축을 도입할 수 있다(19장 참조). 


7. 최종적으로, 일단 나무가 완전히 발달하면, 발달 과정의 종착점에 이른다. 이 종착점은 그 지방의 자연 생태계의 구조를 본떠서 만들 수 있다. 그것이 이루어지면, 농민은 농업생태계 또는 그 선택된 일부를 천이의 초기 단계로 되돌리는 방식으로 그것을 유지하거나(어쩌면 가축과 통합된 체계로) 통제된 교란을 도입하는 선택을 할 수 있다. 


농업생태계가 그림18.1에 설명된 단계를 거쳐 진행되도록 하면, 순 1차 생선상과 살아 있는 바이오매스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 조사하는 데 유용하다. 이러한 변화는 교란 이후에 천이를 겪는 것처럼 자연 생태계에서 발생하는 것과 유사할 것이다. 시간의 경과에 따른 이러한 변화에 대한 일반적 모델이 그림18.4에 나와 있다. 순 1차 생산성은 농업생태계 발달의 초기 단계 동안 빠르게 증가하고, 그 증가한 대부분은 수확할 수 있는 산물로 이용할 수 있다. 천이 발달의 초기 단계에서 시간 간격(예, 그림 18.1의 단계 2와 3)은 발달 과정 동안 이용할 수 있는 순 1차 생산성에서 가장 빠른 증가를 보여주고, 가장 짧은 시간에 수확할 수 있는 가장 많은물질을 제공할 것이다. 또한 이는 대부분의 바이오매스가 방목하는 동물을 위해 이용할 수 있는 지점일 수도 있다. 발달의 후기 단계에서(예, 그림 18.1의 단계 7), 순 1차 생산성의 속도가 감소하기 시작하면 살아 있는 바이오매스(축적된 여러해살이 바이오매스의 형태로)는 상대적으로 높지만 각각의 시간 간격에서 새롭게 수확할 수 있는 물질의 실제 양은 감소하기 시작한다.  


그림18.4 천이에 의해 발달하고 있는 대표적인 생태계에서 연간 순 1차 생산성과 축적된 살아 있고 죽은 바이오매스 사이의 시간의 경과에 따른 관계 변화. 천이의 초기 단계(t2-t1 같은)에서 시간 간격(예, 한 계절)은 순 1차 생산성에서 빠른 증가를 목격하게 되는 반면, 천이의 후기 단계(t4-t3 같은)에서 유사한 길이의 시간 간격 동안은 순 1차 생산성이 약간 감소할 것이다. (Whittaker, R.H., Communities and Ecosystems, 2nd edn., MacMillan, New York, 1975; Odum, E.P., Ecology and Our Endangered Life-Support Systems, Sinauer Associates Incorporated, Sunderland, MA, 1993. 에서 변경함)




시간의 경과에 따른 순 1차 생산성과 바이오매스 사이의 변화하는 관계는 농업생태계 발달의 각 단계마다 관리와생산 전략을 사용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균형과 제약이 변한다. 예를 들어, 발달의 초기 단계에서 순 1차 생산성의 지속적인 제거는 바이오매스의 축적을 제한하는 반면, 순 1차 생산성의 제한된 수확은 농민이 수확을 위해 몇 년을 기다리게 만든다. 동물의 방목은 그들의 분뇨가 체계에 유지되는 한 바이오매스의 회전율을 가속화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발달의 중간 단계에서, 순 1차 생산성은 그 일부는 과실이나 견과류로 수확되고 일부는 바이오매스로 축적될 만큼 충분히 높다. 후기 단계(예, 그림18.1의 단계 7)에서, 순 1차 생산성은 모든 새로운 순 1차 생산성이 바이오매스로 축적되도록 허용하며, 연료와 목재, 사료, 종이 펄프 또는 심지어 먹을거리에 대해서도 선택적으로 바이오매스를 수확할 수 있는 실행이 가능한 전략이 될 만큼 낮은 수준으로 감소한다. 






천이가 발달된 농업생태계의 관리

일단 천이가 발달된 농업생태계가 생성되면, 문제는 그것을 어떻게 관리할지가 된다. 농민은 세 가지 선택지를 갖는다. 


1.여러해살이 체계에서 모든 나무를 벌목하는 것 같은 주요한 교란을 도입하여 천이의 처음 단계로 전체 체계를 되돌린다. 달성되었던 생태학적 이점의 대부분이 상실될 것이고, 과정이 새롭게 시작되어야 한다. 

2.가축의 유무와 관계없이 여러해살이 또는 임목 농업생태계로 체계를 유지한다. 

3. 생태계로 뒤죽박죽을 도입하는 중간의 교란설과 역학을 이용하여, 통제되고 국지화된 방식으로 농업생태계에 교란을 재도입한다. 체계에서 작은 면적을 정리하여 그 구역을 천이의 초기 단계로 되돌려, 한해살이 또는 짧은 수명의 작물을 재배할 수 있다. 교란 과정에 주의를 기울이면 지하의 생태계가 발달의 후기 단계로 유지될 수 있는 반면, 지상의 체계는 수확 제거에 이용할 수 있는 매우 생산적인 종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발달의 초기와 후기 단계의 혼합은 천이 모자이크의 형성으로 이어진다. 이러한 모자이크는 구역의 생태학적 조건만이 아니라, 농민의 필요와 시장 조건의 변화에 따라 조정되고 관리될 수 있다. 또한 가축을 통합할 수도 있다. 


후자의 선택지는 가장 큰 이점을 제공하고, 농민에게 최대의 유연성을 제공한다. 작부 지방의 생태학적 제한에 의해 부과된 제약 안에서, 한해살이와 여러해살이 식물 및 방목하는 동물의 최종적인 혼합은 농민과 농장 지역사회의 필요에 맞출 수 있으며, 시장의 수요와 시장까지의 거리, 시장에 진입할 능력 및 투입재를 구매하고 운송할 수 있는 농민의 능력에 맞게 조정된다. 농장이 투입재와 노동력, 시장에 가까울수록 한해살이 구성요소에 더 중점을 둘 수 있다. 


천이가 발달된 체계를 관리할 때 가장 큰 과제는 한편으로는 체계의 생산성을 촉진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생태계안에 변화와 변동에 대한 저항성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교란을 도입하는 방법을 배우는 일이다. 이는 지역의 환경조건과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성숙한 자연 생태계의 구조 및 장기간에 걸쳐 그러한 조건들의 변경을 유지하는 가능성 등에 따라 여러 가지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미국의 연간 곡물 생산량 가운데 많은 부분을 담당하고 있는 대초원 지방에서, 나무 없이 여러해살이 곡식 체계를 설계하고자 천이 모델을 활용(14장에서 논의됨)하는 데에 초점을 맞출 수 있다. 또 다른 사례는 장기간에 걸친 논 체계의 유지가 습지 생태계에 대한 지식, 정기적인 범람 및 인간의 논 토양 변경에 기반하고있는 중국 양쯔강의 벼를 재배하는 지방에 적용된다. 천이가 발달된 논벼 농업생태계는 버드나무, 낙엽송 같은 내습성이 있고 침수된 조건을 견디는 나무와 기타 강기슭이나 습지의 종들을 활용하고 물새와 물고기로 구성되는동물 구성요소를 추가함으로써 여러해살이 구성요소를 통합할 수 있었다. 



그림18.5 천이가 발달된 농업생태계에서 한해살이와 여러해살이의 혼합에 나타나는 변형. 지역의 시장을 위해 재배되는 옥수수와 강낭콩이 중국 베이징 주변의 근교에서는 감나무로 둘러싸여 있다(a). 모든 시장과 멀리 떨어진 코스타리카 남부에 있는 농촌의 농장에서는 여러해살이 떨기나무와 임목에 집중한다(b).






혼농임업 체계

천이가 발달된 농업생태계의 여러해살이 구성요소들이 나무일 필요는 없지만, 나무가 있는 체계는 어떻게 천이 발달을 관리할 수 있는지에 대한 최선의 사례를 제공한다. 혼농임업(agroforestry)이란 용어는 작물 생산이나 방목을 위해 사용된 토지에 의도적으로 나무를 보유하거나 심는 방법에서 붙여졌다(Wiersum 1981; Nair 1983). 그러한 체계는 작물이나 동물 농업의 요소를 나무의 고유한 생산적이고 방어적인 가치를 기반으로 하는 임업의 요소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결합시킨다. 혼농임업의 범주에 속하는 농법에는 많은 변형이 있다. 혼농조림(agrosilviculture)에서, 나무는 작물과 결합된다. 임축업(silvopastoral) 체계에서, 나무는 동물 생산과 결합된다. 혼농임축업(agrosilvopastoral) 체계에서, 농민은 나무와 작물, 동물의 복잡한 혼합을 관리한다. 모든 혼농임업 체게는 먹을거리와 기타 농산물의 생산을 위한 다양성 및 천이 발달을 이용하는 좋은 사례이다. 


농업생태계로 나무를 통합하는 일은 오랜 역사를 지닌 농법이다. 이는 특히 세계의 열대와 아열대 지방에서 그러하여, 그곳의 농민들은 농작물과 함께 오랫동안 나무를 심어서 먹을거리, 목공품, 사료 등에 대한 기본 수요를 제공하는 데 도움을 받고, 그들의 제한된 자원을 보존하고 보호하는 데 도움을 받았다(Nair 1983). 세계의 온대 지방에서 혼농임업 체계 또한 잘 알려져 있다(Gordon and Newman 1997). 


대부분의 혼농임업 체계의 목적은 산물의 다양성을 확보하고, 외부의 투입재에 대한 필요를 줄이며, 환경에 대한농법의 부정적 영향을 낮추기 위하여 나무 구성요소와 작물이나 동물 구성요소 사이에 발생하는 상호작용의 이로운 효과를 최적화하는 것이다. 여러 측면에서, 혼농임업 체계는 복합적인 작부체계와 똑같은 생태학적 혜택을 창출하고, 복합적 작부체계를 분석하기 위해 사용하는 연구 방법이 혼농임업 체계에도 똑같이 적용된다. 




사례 연구: 신열대구의 베어낸 덮개 체계; 열대우림의 과정을 모방하기 


열대의 토양에서, 인 같은 양분은 토양 무기물과의 화학 반응 또는 화산점토 모재와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이용할 수 없는 형태로 "고정"되곤 한다. 그러므로 여러 습한 열대의 우림에서, 가장 많이 이용할 수 있는 양분은 식물의 바이오매스 자체 -식물의 살아 있는 바이오매스와 숲 바닥의 깊은 깔개층- 에서 발견된다(Chapin et al. 1986). 열대의 나무와 기타 식물들은 자신의 뿌리를 토양으로 방출되기 전에 양분을 흡수할 수 있는 식물의 깔개가 분해되고 있는 곳으로 보내고, 깔개층에서 유기물을 분해하는 균근과 기타 균류와 상호작용함으로써 이러한 상황을 처리한다. 


라틴아메리카의 강수량이 많은 지역의 농민들은 베어낸 덮개 또는 프리홀 타파도frijol tapado로 알려진 전통적인(스페인 침략 이전의) 체계를 활용하여 마른 콩을 재배한다. 이는 둘러싸고 있는(또는 예전) 열대의 우림 생태계의 양분 순환을 모방한 것이다. 즉, 콩이 토양에서보다 주로 덮개층에서 성장한다. 


생산 체계는 2차 식생의 적당한 부분을 선택하여 마체테를 사용해 몇 미터 간격으로 통로를 내면서 시작된다.그런 다음 콩 종자는 경험을 통해 알게 된 적절한 밀도로 그 구역의 통로 양쪽에 있는 식생으로 던져진다. 그런 다음 식생을 베어내, 20cm 정도일지 모르는 덮개층을 형성하기 위해 펼쳐진다. 그러고나서 콩이 발아하여덮개층으로 뿌리를 내리고, 덮개를 통해 배축(뿌리와 떡잎 사이의 줄기)을 뻗는다. 각각의 콩 식물은 그 뿌리 체계의 대부분을 발달시킨다(덮개층에서 75-85%, 꽃과 꼬투리의 지상부가 수확하는 마른 종자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함<Rosemeyer et al. 2000>)(그림18.6).


그림18.6 농민이 이미 식생에 흩뿌려져 있는 콩 종자의 위에 2차 식생을 베어낸다(a). 콩의 싹이 덮개를 통해 나온다(b). 토양은 완벽히 덮이고, 콩과 경쟁할 잡초나 기타 식생이 존재하지 않는다.


덮개층이 잡초 종자의 발아를 억제하지만, 크고 양분이 풍부한 콩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콩 식물은 종자에서 성장하고 잡초와는 거의 경쟁하지 않는다. 두터운 덮개층이 뿌리를 위한 촉촉한 환경을 유지하고, 토양침식을 막는다. 소농들이 수출용 생산에 의해 산허리의 한계지로 밀려나면서, 이 체계의 후자의 특징이 특히 중요해진다. 


콩 식물은 깔개 또는 덮개층을 통해 자신의 뿌리 체계를 뻗음으로써 양분에 쉽게 접근하고, 또한 여러 토양 매개 병원균도 피하게 된다. 코스타리카에서 행해진 실험에서, 베어낸 덮개 체계에서 재배된 콩 식물은 리족토니아에 의한 배축 감염이 증가한 것이 사실이긴 하지만, 토양에 재배된 콩 식물보다 탄저병 뿌리 장애(Colletotrichum lindemuthianum), 뿌리혹선충병(Meloidogyne sp.), 붉은곰팡이 뿌리썩음병 등의 발생 정도가 더 낮았다. 질소를 고정하는 박테리아와 균근에 의한 뿌리혹은 거름을 주지 않고 토양에서 재배한 것보다 덮개 재배한 식물에서 더 높았다(Rosemeyer et al. 2000). 추가된 예비실험에 의하면, 선충류와 곤충의 다양성은 덮개가 없는 체계에서보다 덮개가 있는 체계에서 더욱 큰 것이 입증되었다. 


토지에 대한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이 체계와 함께 전통적으로 활용되던 휴한기가 줄어드는 경향으로 축적되어 덮개로 만들 수 있는 바이오매스의 양이 감소했다. 이는 체계의 실행 가능성을 위협하지만, 혁신도 촉진했다. 나무 사이(alley) 작부 실험은 나무가 매년 가지치기를 통하여 지속가능한 덮개층을 제공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질소를 고정하는, 초기 천이 혼농임업 나무인 홍자귀(Calliandra)와 잉가Inga는 전통적인 베어낸 덮개 체계보다 각각 잎이 빠르고 느리게 분해되며 상당히 많은 부피의 덮개와 그 다음 콩 수확량을 제공할 수 있다(Kettler 1996). 


덮개층을 유지하고 2차 성장의 일부로 생산된 소중한 유기물을 활용함으로써, 베어낸 덮개 체계는 토양의 교란을 제한하는 방식으로 천이를 관리한다. 불은 사용하지 않고, 맨흙이 노출되지 않는다. 다른 말로, 교란이 체계를 초기의 단계로 되돌리지만 완전히 처음으로 돌아가지는 않는다. 이런 의미에서, 그 체계는 훨씬 더 지속가능하다. 주기적인 토지 개간이 관리 도구인 다른 농업생태계에서도 교란의 강도를 제한하는 유사한 방식이 개발될 수 있다.






혼농임업에서 나무의 생태적 역할

나무는 그들이 속한 생태계의 조건을 극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Reifsnyder and Darnhofer 1989; Farrell 1990). 혼농임업의 지속가능한 생산성은 대부분 나무의 이러한 능력에서 기인한다(그림18.7).


그림18.7 외딴 케이폭 나무(Ceiba pentandra)의 그늘에 모여 있는 소들이 멕시코 타바스코의 열대 저지대 목초지에남겨져 있다. 나무는 목초와 방목 체계에 여러 혜택을 제공할 수 있다. 




한해살이 작물의 뿌리보다 나무의 뿌리가 지하로 더 깊게 침투하여, 토양의 구조, 양분 순환, 토양 수분의 관계에영향을 미친다. 나무가 그늘을 지게 해 변경하는 지상의 빛 환경은 습도와 증발산에 영향을 주게 된다. 나무의 가지와 잎은 여러 동물의 생활을 위한 서식지를 제공하고, 바람의 국지적 영향을 변경한다. 떨어진 잎은 토양의 덮개를 제공하고, 그것이 부식하면서 중요한 유기물 공급원이 되어 토양의 환경을 변경한다. 이러한 여러 나무의 생태학적 효과는 그림18.8에 요약되어 있다.



그림18.8 나무가 주변의 농업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나무의 크기, 뿌리의 깊이, 여러해살이란 특성 때문에 나무는 농업생태계의 비생물적 조건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며 여러 생물적 상호작용에 참여한다. 눈에 보이는 영향과 상호작용 외에도, 나무는 비바람에 의한 침식을 제한하고, 동물에게 그늘과 뜯어먹을 잎을 제공하며, 균근과의 연대를 형성하고, 토양 온도를 조절하고, 증발산을 줄일 수 있다. 콩과의 나무는 질소를 고정하는 박테리아와 함께 연대하여 그 체계에 질소를 공급할 수 있다. (Nair, P.K.R., Soil Productivity Aspects of Agroforestry: Science and Practice in Agroforestry, International Council for Research in Agroforestry (ICRAF), Nairobi, Kenya, 1984; Farrell, J., The influence of trees in selected agroecosystems in Mexico, in: Gliessman, S.R. (ed.), Agroecology: Researching the Ecological Basis for Sustainable Agriculture, Springer-Verlag, New York, 1990, pp. 169–183. 에서 고침)  




이들 효과 때문에, 농업생태계에서 나무는 더욱 복잡한 생태계의 신생 특징을 개발하기 위한 좋은 토대가 된다. 나무는 더 효율적으로 태양 에너지를 포획하고, 양분의 섭취와 보유 및 순환을 향상시키며, 체계를 동적 평형의 상태로 유지하도록 한다. 영구적인 미소지와 자원을 제공함으로써, 해충과 그 포식자 모두가 더 안정적으로 개체군을 유지하도록 한다. 혼농임업 체게에서 이러한 모든 요인의 상호작용은 관련된 작물과 동물에게 혜택을 주기 위해 관리될 수 있는 동시에, 외부의 투입재에 대한 체계의 의존도도 줄일 수 있다. 






혼농임업 체계의 설계와 관리

혼농임업 체계에서 농민은 몇 그루의 나무를 포함시킬 것인지, 얼마나 자주, 그리고 어떤 패턴으로 그들을 제거할 것인지, 천이의 모자이크는 어떤 종류의 패턴으로 천이의 모자이크를 유지할 것인지 선택할 수 있다. 이들 관리의 결정은 지역의 환경과 문화만이 아니라, 시장의 특성과 근접성에 달려 있다. 




사례 연구: 멕시코 틀락스칼라에서 토양에 대한 나무의 영향


나무는 다양한 방식으로 혼농임업 체계의 환경에 영향을 미친다. 특정 효과는 고도, 연간 강수량, 바람의 패턴, 지형, 토양의 유형은 물론 나무의 종 같은 요인에 따라서 체계별로 달라진다. 혼농임업에서 나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려면, 농민의 필요는 물론이고 이들 요인 모두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멕시코 틀락스칼라의 저지대 지역에서, 농민들은 일반적으로 다섯 가지 유형의 나무를 조합하여 밭 군데군데에 흩어져 있거나 가장자리에 정렬하도록 유지한다. 연구자 존 패럴John Farrell은 틀락스칼라의 농경지와 가장 흔하게 연관되어 있는 초크체리나무(Prunus capulin)와 앨리게이터 주니퍼 나무(Juniperus deppean) 두 가지를 연구하기로 선택했다(Farrell 1990). 각각의 종에 대해, 그 또는 그녀는 나무의 수관 바로 아래와 나무의 그늘이 지는 구역, 나무의 뿌리 체계에 의해 영향을 받는 구역, 나무의 직접적 영향을 벗어나 있는 외부 구역 등의 조건을 연구했다. 


패럴은 나무의 존재에 의해 토양의 조건이 지속적으로 개선된다는 걸 발견했다. 토양의 탄소, 질소, 인 함량은나무의 영향을 받는 구역에서 유의미하게 더 높았다. 기타 이로운 효과로는 더 높은 토양 pH, 증가된 수분 함량, 낮아진 토양 온도가 포함되었다. 이 모든 효과는 나무와 거리가 멀어지며 감소했다.


부정적 측면으로, 수확량은 나무의 수관 바로 아래에서 감소했다. 이 지역에 심은 옥수수는 더 작고, 그 구역 외부에 심은 옥수수보다 곡식이 절반 정도 생산되었다. 그러나 뿌리의 영향권 안에서 부분적으로 그늘이 지는지역의 옥수수는 나무의 영향권 외부에 재배한 옥수수만큼 생산되었다. 패럴은 그늘진 곳의 옥수수가 수확량이 낮은 건 오직 그늘 때문이며 양분 경쟁 때문이 아니라고 결론을 내렸다. 


나무의 수관 아래에 있는 작물의 그늘짐은 농업생태계에서 나무를 활용하는 일은 항상 절충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그러나 적절한 관리를 통해 농민은 수확량에 대한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나무의 실질적 혜택을 극대화활 수 있다.





나무의 긍정적 영향을 최적화하기

농업생태계의 나머지 부분에 미치는 나무의 긍정적, 부정적 영향 모두에 대한 지식은 체계로 나무를 완전하고 효과적으로 통합시키는 데 필수이다. 앞서 논의된 긍정적 영향은 나무가 미칠 수 있는 부정적 영향과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 여기에는 나무와 다른 작물 사이의 경쟁 또는 타감작용 간섭, 병해충 발생에 유리한 조건을 생성하는 미기후의 변경, 성숙한 나무에서 떨어지는 가지나 과실로 인한 작물의 품질 손상이 포함된다. 이러한 나무의 부정적 효과는 보통 나무의 적절한 공간 배열, 나무 종의 선택, 한해살이 종의 선택, 파종 시기, 가지치기 등으로 회피하거나 완화시킬 수 있다. 나무의 통합은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생태적 상호작용에 대한 광범위한 지식을 필요로 한다. 






상호의존성의 관리

복잡한 혼농임업 체계에서 일어나는 생태학적 과정에 대한 우리의 지식이 더욱 완벽해짐에 따라, 우린 그러한 체계의 사로 다른 구성요소들이 어떻게 상호의존적이 되는지를 알기 시작할 수 있다. 한해살이 작부의 구성요소는 서식지 변경, 토양의 더 깊은 곳으로부터의 양분 포획, 익충의 피난처 등을 하는 나무에 의존하게 될 수 있다. 체계에서 작부 구성요소의 존재는 나무의 성장과 함께 간섭을 일으킬 수 있는 침입성 비작물 식물을 대체할 수 있다. 동물은 그 체계의 한해살이 또는 짧은 수명의 작물이나 사료의 높은 순 1차 생산성으로부터 혜택을 입고, 똥오줌의 형태로 토양으로 양분을 돌려준다(혼농임업 체게에서 동물의 역할에 대한 더 많은 논의는 19장 참조). 혼농임업 체계의 관리는 이러한 생태적 상호의존성의 복잡한 묶음에서 오는 혜택을 최대화하는 데 초점을 맞추어야한다. 


또한 우리는 생태적 상호의존성은 그림의 일부일 뿐이란 점을 기억해야 한다. 인간은 땔감과 건축 자재, 동물을 위한 잎, 과실, 견과류, 향신료 및 약재 등과 같은 품목을 농업생태계에 있는 나무에 의존한다. 혼농임업 체계는 이러한 필요를 염두에 두고 설계되고 관리될 수 있어서, 나무는 생태학적으로나 경제적으로 모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것이 발생하면, 농사 지역사회와 그 농장 사이에서 상호의존성이 개발될 수 있다. 






나무의 공간 배열

나무는 혼농임업 체계에서다양한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다. 사용되는 패턴은 농민의 필요, 농업생태계의 성격, 지역의 환경과 경제적 조건에 달려 있다. 예를 들어, 그림18.9는 농업생태계에서 똑같은 비율의 토지를 나무로 덮을 수 있는 여섯 가지 방식을 보여준다.



그림18.9 혼농임업 체계에서 나무의 배열 모델. (a)경계 식목, (b)방풍림, (c)나무 사이 작부, (d)밭의 나무,(e밭의 나무, (f)순환식 휴한. (Young, A., The environmental basis of agroforestry, in: Reifsnyder, W.S. and Darnhofer, T.O. (eds.), Meteorology and Agroforestry, International Council for Research in Agroforestry, Nairobi, Kenya, 1989, pp. 29–48. 에서 고침)




농민의 주요 강조점이 나무로 살아 있는 울타리와 바람막이를 제공하고, 가끔씩 가지치기로 사료를 얻으며, 땔감이나 과실 같은 산물을 수확하는 것과 함께 임축업 활동에 있다면, 목초지 지역의 둘레에 나무를 (a)경계 식목하는 게 가장 좋은 설계일 것이다. 또 다른 경우로, 바람이 문제이지만 초점이 작물 생산이라면, (b)방풍림이나 바람막이 체계가 최선일 것이다. 나무 구성요소가 작물 생산을 향상시키기 위해 잎을 떨구거나 가지기치로 덮개를 제공하려는 것이면, 방풍림은 농업에 활용되는 소로 사이의 좁다란 나무의 열(c)이 될 수 있다. 또한 나무가 농업적 가치가 있다면, 작부체계나 목초 사이에 나무를 균일하거나(d) 더 무작위로(e) 분포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토양 조건이 너무 척박하여 영구적인 경작이나 방목이 가능하지 않다면 순환식 설계(f)가 이용될 수 있는데, 나무가 발달하는 천이 기간은 화전의 이동 경작에서 요구되는 휴한의 길이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것과 유사한 요인의 범위에 의하여 결정된다. 체계의 모든 구성요소의 상호작용, 통합, 상호의존성에 대한 철저한 이해는 궁극적으로 나무의 공간 배열과 그것을 시간의 경과에 따라 어떻게 바꿀지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열대의 가정 텃밭

많은 복잡성과 다양성만이 아니라, 천이 단계의 모자이크를 유지하기 위한 기회들을 지닌 혼농임업 체계는 열대의 가정 텃밭 체계이다. 그것은 아마 가장 복잡하고 홍미로운 유형의 농업생태계 가운데 하나일 것이고, 우리가 지속가능한 농업을 위한 자원 관리와 관련해 배울 게 많은 것이기도 하다(Méndez 2000; Nair 2001; Kumar and Nair 2004)(그림18.10). 


그림18.10 멕시코 타바스코의 Cupilco에 있는 전통적인 열대의 가정 텃밭. 유용한 허브와 떨기나무, 나무의 다양한 혼합은 주거와 가까운 지역과 연관되어 있다. 




가정 텃밭은 나무가 주요한 생태학적 역할을 수행하면서 인간, 식물, 동물, 토양, 물 등이 통합된 생태계이다. 일반적으로 주거와 가까운 거리에 0.5-2.0헥타르(1500-6000평) 정도의 규모로 잘 규정된 면적을 차지한다. 식물종으로 풍부한 가정 텃밭은 보통 여러해살이 나무가 우점한다. 서로 다른 높이를 지닌 한해살이와 여러해살이의 혼합은 자연의 숲 구조와 비슷한 식생의 층을 형성한다. 높은 종 다양성으로 일년 내내 먹을거리를 수확할 수 있고, 땔감, 약용 식물, 향신료, 관상 식물 같은 기타 다양하고 유용한 산물이 생산된다. 또한 열대의 가정 텃밭은 닭 같은 가축을 통합시킬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제공하기도 한다(Méndez et al. 2001; Del Angel-Perez and Mendoza 2004; Kehlenbeck and Maass 2005).    






높은 다양성

가정 텃밭의 생태적 다양성 -종, 구조, 기능의 다양성 및 수직과 수평의 배열을 포함하는- 은 놀라울 정도로 높다. 두 사례가 삽화로 이용된다. 


멕시코의 고지대와 저지대에 있는 가정 텃밭에 대한 연구에서, 매우 작은 면적(0.3-0.7헥타르)에서 높은 다양성으로 많은 측면에서 지역의 자연 생태계와 유사한 텃밭이 유지된다는 것이 발견되었다(Allison 1983). 연구된 텃밭은 작부체계에서 상대적으로 다양성의 지수가 높았고(표18.4 참조), 주변 지방의 훨씬 더 복잡한 자연 생태계에 가까운 잎 면적 지수와 덮개 수준을 나타냈다.



특성

저지대의 장소

(Cupilco, N=3)

고지대의 장소

(Tepeyanco, N=4)

텃밭 크기(헥타르)

0.70

0.34

텃밭당 유용한 종

55

33

다양성(샤논 지수)

3.84

2.43

잎 면적 지수

4.5

3.2

% 덮개

96.7

85.3

% 빛 투과

21.5

30.5

여러해살이 종(%)

52.3

24.5

나무 종(%)

30.7

12.3

관상용 식물(%)

7.0

9.0

약용 식물(%)

2.0

2.8

표18.4 멕시코 두 장소에 있는 가정 텃밭 체계의 특성

출처: from Allison, J., An ecological analysis of home gardens (huertos familiares) in two Mexican villages, M.A. thesis, University of California, Santa Cruz, CA, 1983. 의 자료




9곳의 다른 열대의 생태계가 지닌 일련의 생태계 특성에 대해 분석한 또 다른 연구(Ewel et al. 1982)에서, 40년 된가정 텃밭이 가장 고르게 분포된 캐노피를 갖는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곳은 지상에서 14m 이상의 높이까지 상당히 균일하게 계층화된 캐노피를 가졌다. 그곳의 잎 면적 지수는 3.9이고 덮개의 백분율은 100%이며, 평방미터당 잎의 바이오매스는 조사된 모든 생태계 가운데 가장 높았다(307g/㎡). 깊이 25cm 아래까지 평방미터당 전체 뿌리의 바이오매스는 잎의 바이오매스와 동일했다. 아마 가장 중요한 점은 시험한 9곳의 체계 가운데 가정 텃밭 토양의 처음 25cm는 지면의 면적당 가장 높은 소구경(<5cm) 뿌리 면적을 가졌다는 것이다. 이들 특성은 생태학적으로 효율적인 체계, 특히 빛을 포획하고 토양의 상층에 양분을 모으며, 지상 바이오매스에 양분을 저장하고, 비와 태양이 토양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는 그 능력을 나타낸다.  


가정 텃밭에 있는 나무 -및 그것이 인간 관리인에 의해 관리되는 방식- 는 텃밭의 다양성, 복잡성, 효율적인 기능의 대부분을 가능하게 한다. 캐노피 층의 사이에 갇혀 있는 이산화탄소는 광합성 활동을 자극할 수 있고, 층 자체가 체게에서 생물학적 방제를 유지하는 데 유용한 조류와 곤충의 서식지 다양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나무의 뿌리는 양분이 체계의 밖으로 침출되는 걸 막고, 나뭇잎이 만든 깔개는 체계의 나머지로 양분을 다시 순환시킨다. 






다양한 용도와 기능

가정 텃밭의 중요한 특성은 그것의 다면적인 유용성이다. 나무는 자급용이나 환금작물로 이용할 수 있는 코코넛 같은 먹을거리를 생산할 수 있다. 나무의 목질 부분은 땔감과 건축 자재로 모두 이용할 수 있다. 식물과 동물에서오는 먹을거리의 다양한 유형은 탄수화물, 단백질, 비타민, 미네랄이 균형 잡힌 다양한 식사를 제공한다(Dewey 1979; Dharmasena and Wijeratne 1996). 종들의 혼합과 그들의 꽃이 피는 시기와 과실 성숙기의 가변성 덕에 일년 내내 먹을거리나 소득의 원천이 보장되도록 항상 무언가 수확할 준비가 되어 있다(Gliessman 1990).


가정 텃밭은 소유자의 사회적 지위를 나타내는 지표나 주택과 직접 관련된 환경을 아름답게 하거나 개선하는 등의 사회적 또는 미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와 함께, 텃밭은 농촌 가구에게 중요한 경제적 기능을 한다. 자바에서 행한 연구들에서, 많은 가구의 연간 소득 가운데 20-30%는 그들의 가정 텃밭에서 얻는다는 것이 밝혀졌다(Hisyam et al. 1979). 주요 먹을거리이자 환금작물에 노동력이 집중되는 벼 수확기에는 지역의 텃밭에서 생산량이 상당히 감소하지만, 연중 나머지 기간에는 텃밭에서 하는 활동이 매우 높았다. 


니카라과의 사례 연구에 의하면, 혼농임업 가정 텃밭은 소득 창출과 소비를 위한 생산 모두를 위하여 가구의 생계에 중요하다는 것이 밝혀졌다(Méndez 2000; Méndez et al. 2001). 평균적으로 가구는 가정 텃밭의 산물을 판매하여그 소득의 34%를 얻었고, 연구된 20곳 가운데 3곳에서는 유일한 소득원이었다. 게다가 가족들은 땔감과 과실, 목재, 약용 식물을 포함하여 그들의 텃밭에서 적어도 40가지 유형의 식물성 산물을 얻고 있다고 보고되었다. 저자들은 생산물과 소득을 위해 가정 텃밭에 의존하는 수준과 식물 종의 숫자 및 관리 구역 사이의 관계를 밝혔다. 가정 텃밭에 대한 의존도는 다양했지만, 텃밭은 그를 유지하는 가족들에게 찬탄을 받는 신뢰할 수 있고 융통성 있는 자원을 대표한다. 






역동적 변화

가정 텃밭에 대한 몇몇 장기 연구들에서는 텃밭이 역동적이고 변화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코스타리카의 한 연구에서, 푸에르토 비에호 근처의 가정 텃밭은 현금 소득의 필요만이 아니라 토지와 노동력의 제한된 가용성 때문에변화의 과정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lietner 1985). 약 990평의 절반에 해당하는 큰키나무층은 고르게 늘어서도록 심은 코코넛으로 대체되고 있는 과정에 있었고, 하층에는 카사바(Manihot esculenta)와 파인애플(Ananas comosus)만 심었다. 그 지방에 전천후 도로가 건설됨에 따라 트럭이 멀리 떨어진 도시의 시장으로 농산물을 운송할 수 있게 되어, 몇 년 전만 해도 존재하지 않던 코코넛과 파인애플 같은 작물에 대한 수요가 생겼다. 농민들은 이 수요를 충족하고자 그들의 농업생태계를 조정하고 있었다. 또한 텃밭 연구의 농민은 최근 농장에 일자리를 얻었고, 더 다양한 가정 텃밭이 필요로 하는 관리의 필요를 덜 충족시키게 되었다. 


코코넛이 성숙하면서 그 아래의 지면에 훨씬 더 그늘이 지는 환경을 조성하기에, 농민은 하층의 식물을 무엇으로이동시켜야 하는지 결정해야 할 것이다. 그 또는 그녀는 토란(Colocasia esculenta)으로 이동할 수 있는데, 이미 텃밭의 더 그늘지는 부분에 흔하다. 또한 그 또는 그녀는 그 체계의 발달 초기에 일반적이었던 한해살이 작물과 짧은 수명의 여러해살이를 다시 통합시키기 위하여 나무 작물의 일부를 제거하기로 결정할 수도 있다(그림18.11).


그림18.11 코스타리카 푸에르토 비에호 근처의 가정 텃밭은 시장용 작물로 전환되고 있다. 새로운 도로가 시장 기회를 개방시켜 텃밭의 종 혼합에 변화를 촉발시켰다.




표18.5의 자료에서 볼 수 있듯이, 코스타리카 구아나카스테 카나스Cañas에서 연구된 가정 텃밭 체계에서 1년부터 이듬해에 이르기까지 텃밭의 다양성과 구성에서 흥미로운 변화가 일어나는 것이 관찰되었다(Gliessman 1990). 텃밭에서 전체 종의 숫자는 12까지 증가했지만, 더 인상적인 건 개별 식물의 전체 숫자가 많이 증가한 점이다. 이러한 증가의 상당 부분은 주로 약용 및 향신료 종과 함께 2년차에 관상용 종의 더 큰 우세에서 주로 발생했다. 호박처럼 1년 전에는 매우 일반적이었던 먹을거리 종의 일부는 초기에 심은 모종을 제거한 가뭄 때문에 1986년엔 존재하지 않았다. 




1985

1986

71

83

개체

940

1870

나무 종

17

16

먹을거리 종

21

18

관상용 종

23

31

약용 종

7

9

땔감용 종

3

5

향신료 종

0

4

표18.5 코스타리카 구아나카스테 카나스에서 2년에 걸쳐 375평의 가정 텃밭에서 식물 종을 비교.

출처: Gliessman, S.R. (ed.), Agroecology: Researching the Ecological Basis for Sustainable Agriculture, Springer-Verlag, New York, 1990. 의 자료




텃밭에서 일부 변화는 가구의 경제적 상황에서 일어난 변화를 추적할 수 있게 한다. 1986년, 그녀와 그녀의 딸이 지역사회에서 판매할 빵을 만드는 소규모 제과업을 시작했기에 가구의 여성이 텃밭을 돌보는 시간을 덜 쓰게 되었다. 제과업이 실패하면 먹을거리 작물이 아마 다시 한 번 더 큰  관심을 받을 것이다. 


사회경제적 요인이 텃밭의 변화 가운데 일부를 차지하더라도, 그 일부는 생태적 이유로 발생한다. 가정 텃밭에서변화는 교란의 변화하는 역학인 회복 과정 때문에 진행되며, 때로는 매우 빠르다. 






사회 체계와의 연결

앞에서 설명한 연구에서 나타나듯이 사회적, 경제적 요인은 가정 텃밭 체계와 그 관리 방식에 중대한 영향을 줄 수 있다. 멕시코 틀락스칼라의 전통농업에 대한 장기간의 연구(González Jácome 1985)는 산업화와 인구 증가에 대한반응으로 가정 텃밭의 다양성과 구조, 관리에 변화가 일어났음을 밝혔다. 일반적으로 농민들은 그들의 가정 텃밭에 있는 종의 숫자를 줄이고, 더 질서 있고 쉽게 관리되는 작부 패턴을 사용했으며, 더욱 쉽게 현금 경제에 진입할 수 있는 종을 심었다. 그러나 틀락스칼라는 농업 외의 일자리를 번갈아 가며 이용할 수 있고 제한되는 여러 차례의 "호황과 불황" 주기를 오랜 기간 동안 겪었기 때문에, 농민들은 농장 이외의 일자리 안정성에 대한 어떤 불신을 가지고 있다. 그 결과, 농장 이외의 일자리에서 일하더라도 외부의 소득이 상실되는 가능성에 대한 보험으로서, 상대적으로 다양한 농업생태계를 유지하고 있다.


지방의 인구 성장은 가정 텃밭 구조에 혼합된 영향을 미쳤다. 틀락스칼라는 푸에블라와 멕시코시티의 크고 확장된 도시형 산업 중심지와 가깝기 때문에, 기본적인 옥수수와 강낭콩부터 절화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한 농산물에 대한 수요와 시장이 상당하다. 이러한 수요는 지역의 작부체계를 다양화시키는 자극이 되지만, 또한 농민들이 환금작물에 중점을 두고 많은 자급용 종을 포기하도록 압력을 가한다. 환금작물과 자급용 작물을 결합시키는 데 이점이 있는 가족들은 가장 다양한 가정 텃밭을 유지하는 한편, 나머지는 주로 환금작물로 전환한다. 


지방의 경제적 변화가 가정 텃밭에 명백한 영향을 미치지만, 이 둘 사이의 연결은 다른 방향으로도 나아갈 수 있다. 가정 텃밭이 존재하는 곳에서는 가족에게 경제적 생존 수단을 제공하여 지역의 경제와 사회적 구조를 안정화시키는 경향이 있다. 그곳은 전통적인 지역의 경제와 현대적인 산업 경제 사이의 가교 역할을 하여, 산업 중심지로 이주하고 전통적인 사회적 유대를 포기하도록 조장하는 힘을 완충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지방자치, 경제적 형평성, 생태적 지속가능성의 가능성을 제시함으로써, 가정 텃밭은 전 세계에 적용되고 응용될 수 있는 중요한 사례를 제공한다(Méndez et al. 2001; Major et al. 2005). 






교란, 회복, 그리고 지속가능성


혼농임업과 가정 텃밭 농업생태계는 지속가능한 농업의 모델로서 유용하기 때문에 이번 장에서 조사되었다. 그것들은 모든 농업생태계에 응용되고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바람직한 특성을 통합한다. 관리할 수 있고 생산적이며, 환경의 다양한 요인이나 조건에 반응하고, 매우 다양한 산물과 물질에 대한 거주민의 요구를 충족시키고, 외부의 사회경제적 수요에 반응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그와 함께 그것들은 값비싼 수입산 농업용 투입재에 의존하지 않고, 환경에 대한 부정적 영향이 매우 제한적이다.


천이가 발달된, 특히 여러해살이 떨기나무와 나무가 있는 체계의 기존 유형에 대한 더 많은 정보가 절실히 필요하다. 도시화와 농업생태계의 단순화 및 환금작물로의 빠른 이동은 특히 개발도상국에서 이들 체계의 존재를 위협하고 있다. 우리는 선택된 농생태학에 기반을 둔 개선과 함께 천이와 교란의 관리에 대한 전통적인 지식을 통합시킨 기존 체계를 탐색하고, 설명하며, 관찰해야 한다.


혼농임업 체계의 가장 큰 가치는 아마도 그것이 나무거 거의 없거나 전혀 없는 농업생태계에 적용할 수 있는 원리를 제공한다는 점일 것이다. 모든 농업생태계를 여러해살이 종들을 통합하고, 적절하게 교란을 도입하며, 교란으로부터 회복을 촉진하는 천이 체계로 간주함으로써, 우리는 지속가능한 먹을거리 생산으로 나아가는 중요한 걸음을 내딛을 수 있다. 한계는 지방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성숙한 생태계와 그러한 생태계 모델을 기반으로 하는 지속가능한 대안들의 설계와 관리에 연관되는 인간이란 구성요소에 의해서만 설정된다. 그것이 곡식 체계이든, 아니면 가정 텃밭이든 관계없이 그것은 역동적이고 다양하고 유연하며, 교란에 대한 탄력성과 저항성이란 중요한 생태계의 특성 및 천이의 회복 과정에 의해 끊임없이 새로워지고 재생되는 능력을 포함해야 한다. 


교란과 회복에 기반한 농법의 더욱 광범위한 보급은 상당한 연구를 필요로 할 것이다. 하지만 그것은 농업생태계의 모자이크가 있는 농업 경관의 발달로 이어질 수 있다. 많은 수확량에 대한 필요는 생태학적으로 상호보완적이고 상호의존적인 몇몇 종들의 섞어짓기로 재배되는 한해살이와 짧은 수명의 여러해살이 작물을 통해 생산될 수 있다. 그러한 체계에서 동물은 다시 한 번 양분 순환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농지의 구조와 조직은 천이가 긴 수명의 여러해살이로 점차 전환되면서 시간의 경과에 따라 변할 수 있다. 그리고 교란의 주기에 통합되어 그곳이 성숙기로 발달하도록 허용되고, 그곳의 여러해살이나 나무 식생은 수확되거나 순환되어 한해살이 작부를 위해 다시 한 번 이용할 수 있게 되는 돌려짓기의 조각을 이룰 수 있다. 결국 지속가능한 모자이크를 달성할 수 있다. 







생각거리


1. 자연 생태계의 교란에 대하여 농업생태계의 인간이 유도한 교란의 생태학적 영향은 얼마나 비슷하거나 다른가?


2. 농업생태계의 설계와 관리를 위한 "아날로그 모델"은 여러분의 농업 지대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 설명하라. 여러분의 체계가 거쳐야 하는 천이의 단계와 여러분의 농장 주변에 존재하는(또는 존재했던) 자연 생태계에서 일어나는 일을 어떻게 반영하는지 확실히 나타내야 한다. 


3. 혼농임업 체계의 설계가 환경에 미치는 나무의 생태학적 영향에 관한 지식에 의해 어떻게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특정 산물에 대한 농민의 필요에 따라 어떻게 형성될 수 있는지 몇 가지 사례를 들라. 


4. 여러분이 살고 있는 장소에 특별히 적합한 가정 텃밭 혼농임업 체계의 설계에 생태학적 균형과 수확력을 어떻게 통합할 것인가? 여러분의 설계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적, 문화적 배경을 모두 명확히 설명하라.


5. 지난 수십 년 동안 많은 농업 경관, 특히 산업국의 농업 경관에서 나무가 사라진 이유는 무엇인가?


6. 농생태학의 관점에서, 지속가능한 농업에서 다양성과 교란 사이의 가장 중요한 관계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7. 천이 조각들의 모자이크로 구성된 농업 경관이 어떻게 "홑짓기의 섞어짓기"로 묘사될 수 있는지 설명하라. 






인터넷 자료


Agroforestry Net 

http://www.agroforestry.net

An organization based in Hawaii and focused on the Pacific Islands. 


Association for Temperate Agroforestry 

http://www.aftaweb.org

An excellent source of information on agroforestry systems suitable for more temperate regions of the world. Edible Forest Gardens www.edibleforestgardens.com An organization dedicated to developing the vision, design, ecology, and stewardship of perennial polycultures of multipurpose plants in small-scale settings.


Holistic Management International 

http://www.holisticmanagement.org

A natural resource approach that uses ecological processes, including succession, for pasture and agroecosystem management. 


The Overstory 

http://www.agroforestry.net/overstory

An agroforestry “ejournal,” focused on home gardens. 


Society for Ecological Restoration 

http://www.ser.org 

An international society, with an academic journal, dedicated to reversing ecosystem degradation and restoring the earth’s ecological balance for the benefit of humans and nature. 


World Agroforestry Centre

http://www.worldagroforestry.org 

Considerable information about research and development partnerships in the area of agroforestry in the tropics, directed toward reducing poverty and environmental impacts.







읽을거리 


Atanga, A., D. Khasa, S. Chang, and A. Degrande. 2014. Tropical Agroforestry. Springer: Berlin, Germany.

An up-to-date review of the principles and experiences of agroforestry in tropical regions of the world. 


Bazzaz, F. A. 1996. Plants in Changing Environments: Linking Physiological, Population, and Community Ec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A foundational overview of the interactions between plants and different organisms as they participate in succession and ecosystem recovery. 


Clewell, A. F. and J. Aronson. 2013. Ecological Restoration: Principles, Values, and Structure of an Emerging Profession. Island Press: Washington, DC. 

An engaging review of the principles and practice of the profession of restoration ecology and the human needs and values that motivate practitioners. 


Howell, E. A., J. A. Harrington, and S. B. Glass. 2011. Introduction to Restoration Ecology. Island Press: Washington, DC. 

An interdisciplinary examination of the field of restoration ecology, from the ecological science to the policy decisions. 


Jackson, W. 2011. Nature as Measure: The Selected Essays of Wes Jackson. Counterpoint: Berkeley, CA. 

Essays from the founder of the Land Institute that focus on using nature as the model for designing agroecosystems as an alternative to industrial agriculture. 


Nair, P. K. R. and D. Garrity (eds.). 2012. Agroforestry: The Future of Global Land Use. Springer: Berlin, Germany. 

A comprehensive coverage of the concepts and experiences of agroforestry in both developing countries and industrialized temperate regions. 


Odum, E. P. 1969. The strategy of ecosystem development. Science 164: 262–270. 

A key paper for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uccession and ecosystem development.


Ronnenberg, K. L., G. A. Bradshaw, and P. A. Marquet (eds.). 2003. How Landscapes Change: Human Disturbance and Ecosystem Fragmentation in the Americas. Ecological Studies 162. Springer: Berlin, Germany. 

A multidisciplinary overview of the interactions between humans and ecosystem processes, and how they have affected the landscapes of North and South America. 


Schelhas, J. and R. Greenberg. 1996. Forest Patches in Tropical Landscapes. Island Press: Washington, DC. 

An assessment of the ecological and social value of tropical forest remnants, and the issues surrounding their management and conservation. 


Schroth, G., G. A. B. da Foseca, C. A. Harvey, C. Gascon, H. L. Vasconcelos, and A. M. N. Izac (eds.). 2004. Agroforestry and Biodiversity Conservation in Tropical Landscapes. Island Press: Washington, DC. 

Rich in case studies, this edited volume critically analyzes the biodiversity conservation potential of tropical agroforestry systems at the landscape scale. 


Walker, L. R., J. Walker, and R. J. Hobbs (eds.). 2007. Linking Restoration and Ecological Succession. Springer: New York. 

A comprehensive discussion of how plants, animals, and microorganisms develop and interact following disturbances, and how this knowledge can be used in restoration. 


Watt, A. S. 1947. Pattern and process in the plant community. Journal of Ecology 35: 1–22. 

A classic paper on the way succession works in plant communities.


728x90
728x90

<농생태학: 지속가능한 먹을거리 체계의 생태학>








17장 농업생태계 다양성


농업생태계와 자연 생태계 모두 유기체와 유기체가 살아가는 무생물의 물리적 환경으로 구성된다. 앞의 세 장에서는 개체군과 군집 수준에서 이러한 체계의 유기체 또는 생물적 구성요소에 주로 관심을 쏟았다. 이번 장에서 우리는 생태계의 비생물적 구성요소를 그림에 추가하기 시작해서, 생태계 수준의 연구에 도달하겠다. 이 수준에서 우리는 체계를 전체로서 바라보고, 그 구조와 기능에 대한 더욱 완벽한 그림을 얻을 것이다. 


전체 체계를 특징 짓는 복잡성은 지속가능한 농업생태계 설계를 위한 중대한 토대인 생태학적 상호작용의 기초이다. 이들 상호작용은 주로 체계의 다양성의 기능이다. 


다양성은 체계의 복잡성의 산물이기도 하고, 척도이기도 하고, 토대이기도 하며, 따라서 지속가능한 기능을 지원하는 그것의 능력이다. 한 관점에서, 생태계 다양성은 체계의 서로 다른 생물과 무생물의 구성요소가 조직되고 상호작용하는 방식의 결과로 발생한다. 또 다른 관점에서, 다양성 -생물지화학 순환과 다양한 살아 있는 유기체의 복합에 의해 분명해짐에 따라- 은 체계의 조직과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번 장에서, 우린 먼저 전체 체계로서 농업생태계를 관리하고, 그들의 신생 특징을 이용하는 게 무엇을 의미하는지 살펴본다. 그런 다음 자연 생태계의 생물다양성, 농업생태계 환경에서 다양성의 가치, 다양성을 평가하는 방법, 그리고 다양성의 관리에서 도서 생물지리학 이론이 할 수 있는 역할을 탐구한다. 마지막으로, 농업생태계의 설계와 관리를 위한 틀을 개발하는 관점에서 생태학적 다양성과 지속가능성 사이의 연결을 탐구한다. 







전체 체계 접근법과 기회


이전 장에서 우리는 작물 군집의 개체군들 사이의 상호작용이 어떻게 군집 수준에서만 존재하는 신생 특징으로 이어지는지 보았다. 생태계 수준에서, 농업생태계를 그 부분들의 합보다 훨씬 더 크게 만드는(또는 그 농지에 있는 작물의 합보다 훨씬 큰 농장) 또 다른 신생 특징들의 세트가 존재한다. 이 수준에서 작동하는 관리는 광범위한이로운 상호작용과 과정을 활용할 수 있다. 





전체 체계의 관리 

농생태학은 부분과 전체를 모두 연구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전체의 개념이 그 부분의 합보다 더 크다는 개념이 널리 인식되어 있지만, 농장 생산과 실행 가능성과 관련된 복잡한 문제를 다루기 위한 방법으로 개별 작물이나 동물에 대한 상세한 연구를 강조하는 현대의 농학과 기술에 의해 오랫동안 무시되어 왔다. 우리는 전문화와 농사체계의 작물 구성요소의 수확량에 대한 좁은 초점으로부터 많은 것을 배웠지만, 농업의 지속가능성을 완전히 이해하고 지속가능한 관리법을 시행하기 위해서는 전체 농장(과 전체 먹을거리 체계)에 대한 이해를 개발해야 한다. 


농업생태계 관리가 전체 체계의 신생 특징에 의해 주어지는 기회들을 고려하면, 조건과 개체군을 통제한다는 패러다임은 그들을 관리한다는 패러다임으로 대체된다. 그러한 관리 패러다임에 따라, 우리는 항상 모든 행위나 농법의 전체 체계에 대한 영향을 고려하고자 노력하고 있으며, 계획적으로 전체 체계의 기능과 신생 특징들에 기반한 농법을 설계한다. 


산업적 접근법에 따라, 모든 조건을 개별적으로 엄격히 통제하고 균질화하려는 시도는 이로운 관계와 간섭을 제거하는 결과를 낳곤 하여, 부정적 간섭과 상호작용만 남기게 된다. 산업의, 또는 관행농의 관리법은 더욱 복잡한 상호작용이 일어날 수 있는 군집과 생태계 수준보다는 오히려 체계의 개체나 개체군 수준에서 주로 작동한다. 


개체군 수준, 통제 지향형 산업적 접근법에 내재된 문제들은 지난 수십 년 동안 해충과 잡초, 병원군의 방제에 적용된 방식에서 쉽게 볼 수 있다. 좋은 벌레만, 또는 잡초는 죽어야 하는 것이란 원칙에 기초하여, 작부체계에서 각각의 표적 해충을 제거하거나 죽이기 위하여 놀라운 기술들이 개발되었다. 이들 기술은 예를 들어, 표적 해충의 포식자를 제거함으로써 다양한 방식으로 농업생태계를 단순화시켰다. 그러나 단순화된 농업생태계에서 해충의 침입은 더 흔해지고 치명적이 되어, 그 결과로 생기는 문제를 처리하기 위해 외부 투입재의 사용을 증가시켜야 한다.  





다양성의 구축

전체 체계 관리에서 가장 중요한 우선사항은 높은 다양성만이 이로운 상호작용을 위한 잠재성이 있기 때문에 더 복잡하고 다양한 농업생태계를 만드는 일이다. 농민은 이 장의 나머지에서 논의하듯이 다양성을 높이는 다양한 농법과 원리를 통하여 체계에 식물 종의 숫자를 늘림으로써 시작한다. 그런 다음 19장에서 논의하는 것처럼, 가축이 작물과 통합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화는 비생물적 조건에 긍정적 변화를 가져오고, 이로운 절지동물과 기타 동물들의 개체군을 유인한다. 생식력과 생산성을 유지하고 해충 개체군을 규제하는 방식으로 체계가 기능하도록 -그 특정 구성요소의 적절한 관리와 함께- 신생 특징들이 개발된다. 그림17.1은 다양한 농업생태계를 관리하는 역학의 매우 일반적인 개념화를 그린 것이다. 




그림17.1 다양한 농업생태계에서 체계의 역학




다양하고 복잡한 체계에서, 농민들이 직면하고 있는 모든 과제는 아니지만 많은 경우에는 체계의 구성요소와 상호작용을 적절하게 관리하면 외부 투입재를 추가할 필요가 거의 없어진다. 예를 들어, 해충 관리 분야에서 해충 개체군은 농업생태계 관리자가 의도적으로 설정한 체계의 상호작용에 의해 통제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양분 순환의 분야에서 동물은 인간이 소비할 수 없는 식물성 물질을 농장에서 사용하기 위한 분뇨로 전화시킬 수 있다. 


유기농 농민과 농생태학자가 개발한 "대안적" 해충 관리의 여러 방법은 다양성에 기초한 전체 체계 관리의 좋은 사례이다. 이들 방법은 해충 개체군을 억제하는 이로운 상호작용을 확립하기 위한 토대로서 농업생태계의 다양성과 복잡성을 증가시킨 데 의존한다. 특정 농업생태계에서 적용된 몇 가지 방법에 대한 설명이 표17.1에 나와 있다. 



해충 문제

대안적 관리법

행위의 메커니즘

브로콜리에 벼룩잎벌레(Phyllotreta cruciferae) 피해잡초성 갓(Brassica spp.)의 사이짓기덫 작물이 작물로부터 해충을 유인한다.
포도 덩굴에 포도 쌍점매미충(Erythroneura elegantula) 피해

잡초성 블랙베리(Rubus spp.) 경계에 파종

기생 말벌(Anagrus epos)을 위한 대안 숙주를 풍부하게 한다.

사탕수수에 진딧물(Rhopalosiphum maidis) 피해

공격적인 목초성 잡초를 경계에 파종

목초성 잡초가 진딧물이 머무는 다른 식물을 대체한다.

큰담배밤나방(Heliothis zea) 피해

옥수수에 자연의 잡초 복합체가 발달하도록 함

해충의 알과 유충에 대한 포식자들의 존재와 효과를 향상시킨다.

옥수수에 담배거세미나방(Spodoptera frugiperda) 피해콩과 사이짓기익충의 풍부함과 활동성을 증가시킨다.

카사바에 가루이(Aleurotrachelus socialis) 피해

동부와 사이짓기

식물의 활력과 가루이 천적의 풍부함을 증가시킨다. 

참깨에 벌집나방(Antigastra sp.) 피해

옥수수나 수수와 사이짓기

키가 큰 동반 작물이 드리우는 그늘이 해충을쫓아낸다. 

양배추에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 피해토마토와 사이짓기

화학적으로 나방을 쫓아내거나, 양배추의 존재를 가려준다. 

사과 과수원에 코드링나방(Cydia pomonella) 피해

특정 식물 종을 덮개작물로 재배

코드링나방의 천적에게 먹이와 서식지를 추가로 제공한다. 

포도밭에 태평양 응애(Eotetranychus willamette) 피해

목초를 덮개작물로 재배

겨울철의 대체 먹이에게 서식지를 제공해포식성 응애의 존재를 촉진한다. 

사탕무 뿌리에 사탕무 포낭선충(Heterodera schachtii) 피해

자주개자리와 돌려짓기

숙주 식물이 존재하지 않을 때 "생물학적 단절"을 제공한다. 

꽃이 피고 있는 포도에 꽃노랑총채벌레(Frankliniella occidentalis) 피해

현화식물 통로

포식자가 포도밭 한가운데로 퍼질 수 있도록 생물학적 고속도로를 제공한다. 

표17.1 체계의 상호작용에 기초한 대안적 해충 관리의 대표적 사례

출처: Altieri, M.A. and Nicholls, C.I., Biodiversity and Pest Management in Agroecosystems, 2nd edn., Howarth Press, Binghamton, New York, 2004b; Andow, D.A., Annu. Rev. Entomol., 36, 561, 1991. 에서 고침






생태학적 다양성


생태학에서, 다양성의 개념은 주로 군집 수준에 적용되는 경향이 있다. 다양성은 특정 위치에서 군집을 구성하고있는 여러 종들의 숫자로 이해된다. 그러나 생태계에는 종의 숫자에 의해 파악되는 것 너머 다른 종류의 다양성과 이질성이 있다. 예를 들어, 숲에서 여러 임관 수준에서 보이듯이 생태계는 그 구성요소의 공간적 배열에 다양성을 갖는다. 그 기능의 과정에서 다양성을 갖고, 그 생물상의 게놈에서 다양성을 갖는다. 그리고 생태계는 주기적으로나 방향적으로 시간의 경과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변화하기 때문에, 시간적 다양성이라 부를 수 있는 것을 갖는다. 


그러므로 다양성은 다양한 차원이 있다. 이들 차원이 인지되고 정의될 때, 다양성의 개념 자체가 넓어지고 복잡해진다. 그것을 우리는 생태학적 다양성이라 부를 것이다. 


생태학적 다양성의 가능한 차원 가운데 일부는 표17.2에 정리되어 있다. 다른 차원들이 인지되고 정의될 수 있지만, 이들 7개 항목은 이 책에서 활용될 차원이다. (생물다양성이란 용어는 일반적으로 종의 다양성과 유전적 다양성의 조합을 언급하고자 사용된다.) 이들 다양한 생태학적 다양성의 차원은 자연 생태계와 농업생태계 모두의 다양성을 완전히 이해하기 위해 유용한 도구이다. 


차원

서술

종의

체계에서 서로 다른 종들의 숫자

유전적

체계(각 종들의 안 및 서로 다른 종들 사이)에서 유전적 정보의 변동성 정도

수직적

체계에서 별개의 수평선상의 층이나 수준들

수평적

체계에서 유기체의 공간적 분포 양식

구조적

체계의 구조에서 "위치"(지위, 영양 역할)의 숫자

기능적

체계의 구성요소들 사이의 상호작용, 에너지 흐름, 물질 순환의 복잡성

시간적

체계에서 주기적 변화(일별, 계절별 등)의 이질성 정도

표17.2 생태계에서 생태학적 다양성의 차원





자연 생태계에서 다양성

다양성은 자연 생태계 대부분의 고유한 특성처럼 보인다. 서로 다른 생태계 사이의 다양성 정도는 매우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생태계는 그들의 비생물적 환경의 제약을 받을 때 가능하면 다양성을 표현하려는 경향이 있다. 


다양성은 부분적으로는 진화적 역학의 기능이다. 15장에서 논의했듯이, 돌연변이 유전적 재조합, 자연선택이 결합해 지구의 생물상 사이에서 가변성, 혁신, 분화를 생산한다. 일단 다양성이 생성되면, 그것은 스스로를 강화시키는 경향이 있다. 종 다양성이 커질수록 서식지의 분화가 더 커지고, 생산성이 더 높아져 종의 다양성이 더욱 커지게 된다. 


다양성은 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탠슬리Tansley(1935)가 식물과 동물의 군집과 그들의 물리적 환경의 조합을 언급하기 위하여 "생태계"라는 용어를 창안한 이후, 생태학자들은 체계의 다양성과 안정성 사이의 관계를 입증하고자 시도해 왔다. 자연 생태계는 일반적으로 더 큰 다양성이 동요와 교란에 대한 더 큰 저항성을 허용한다는 원리에 부합한다. 높은 다양성을 가진 생태계는 물질 순환과 에너지 흐름의 과정에서 교란으로부터 회복하고 균형을 되찾을 수 있도록 더 탄력적인 경향이 있다. 낮은 다양성을 가진 생태계에서 교란은 기능에 영구적인 변화를 쉽게 일으킬 수 있고, 그 결과 생태계로부터 자원의 상실과 그 종들의 구성에 변화를 불러올 수 있다. 






다양성의 규모

고려되고 있는 영역의 크기는 다양성(특히 종 다양성)이 측정되는 방법에 영향을 미친다. 계곡의 숲에서 단일한 위치의 종 다양성은 계곡의 여러 군집들 전체에 걸친 종 다양성과는 다르다. 


단일한 위치에서 종 다양성은 알파 다양성이라 부르곤 한다. 이는 단순히 한 군집의 상대적으로 작은 영역에 있는 종의 다양성이다. 군집 또는 서식지 전체에 걸친 종 다양성 -한 위치부터 다른 위치까지에 이르는 종의 다양성- 은 베타 다양성이라 부른다. 산맥이나 계곡 같은 지방의 종 다양성을 측정한 더 큰 규모의 감마 다양성도 있다.


다양성의 세 가지 유형 사이의 차이는 가상의 5km 절개로 설명할 수 있다.  특정 지점의 10m 이내에서 종의 숫자를 셈으로써 절개를 따라 어떤 위치에서 알파 다양성을 측정할 수 있다. 이와 대조적으로 베타 다양성의 측정은 서로 다르지만 인접한 서식지에서 절개를 따라 적어도 두 지점을 포함한다. 이 두 위치의 종 구성이 매우 다르면 베타 다양성이 높다. 만약 두 서식지 사이의 종 구성이 약간 변하면 베타 다양성이 낮다. 감마 다양성의 측정은 전체 절개의 길이를 따라 이루어져, 종의 전체 숫자와 그 분포의 변이 모두를 고려한다. 원칙적으로, 알파, 베타, 감마 다양성 사이의 구별은 구조적, 기능적 다양성 같은 생태학적 다양성의 다른 차원으로 확대될 수 있다. 


알파, 베타, 감마 다양성은 여러 생태계와 경관이 그 다양성의 구조에서 어떻게 달라지는지 설명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유용한 개념적 구분이다. 예를 들어 모든 방향으로 수백 킬로미터 뻗어 있는 매우 다양한 자연의 초원은 높은 알파 다양성을 가질 수 있지만, 넓은 영역에 걸쳐 모든 위치에서 똑같은 상대적 비율로 똑같은 종이 발견되기 때문에 초원의 베타와 감마 다양성은 비교적 낮다. 이와 대조적인 예로, 토종이 아닌 초원, 단일한 종에 의해 우점된 숲 군집, 가파른 비탈에서 자라고 있는 떨기나무 군집 같은 단순한 군집들의 복잡한 모자이크로 구성된 경관을 고려해 보라. 알파 다양성은 각각의 군집에서 상대적으로 낮지만, 그 영역 전체에 걸친 모든 절개는 다양한 종들의 집단으로 겹쳐 베타와 감마 다양성을 상대적으로 높게 만든다. 


알파와 베타 다양성의 규모는 특히 농업생태계에 유용하게 적용된다. 예를 들어, 높은 베타 다양성을 지닌 작부체계는 높은 알파 다양성을 지닌 농업생태계와 똑같은 이점을 제공할 수 있는 한편 관리가 훨씬 용이해진다(그림17.2).



       상자당 하나의 종 = 낮은 알파 다양성                   상자당 세 가지 종 = 높은 알파 다양성

        세 유형의 상자 = 높은 베타 다양성                     한 유형의 상자 = 낮은 베타 다양성

        (a)                                                         (b)

그림17.2 농업생태계의 맥락에서 알파 다양성 대 베타 다양성. 단순화를 위하여, 각각의 모양은 작물을 나타내고, 각각의 상자는 위치를 나타낸다. 이 규모는 위치가 더 많은 작물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에서 어느 정도 임의적이다. 이 도표의 요점은 (a)세 가지 작물을 줄지어 심은 (a)와 세 가지 작물을 사이짓기하는 (b)를 표현할 수 있는 두 배열 사이의 대조를 보여주는 것이다. 

 



특별 주제: 리조븀Rhizobium 박테리아, 콩과식물, 그리고 질소 순환


생태학적 다양성을 활용하는 한 가지 중요한 방법은 질소를 고정하는 콩과식물을 농업생태계에 도입하는 것이다. 콩과식물과 리조븀 속의 박테리아 사이의 상리공생 관계로 인하여, 대기에서 유래된 질소가 체계의 모든 생물적 구성원이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질소에 대한 그 수요를 보충하는 체계의 능력은 생물적 다양성에 의해 가능해진 신생 특징이다. 


리조븀 박테리아는 토양에 공기 속의 질소를 포획해 박테리아와 식물이 이용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시키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이들 박테리아는 토양에서 자유로이 살 수 있다. 그러나 콩과식물이 존재하면, 그 박테리아가 식물의 뿌리 구조를 감염시킨다. 박테리아는 뿌리 세포 내부로 이동하여 그것을 변형시키고 박테리아가 번식할 수 있는 혹을 형성한다. 뿌리혹에 있는 박테리아는 숙주 식물에게서 그들이 필요로 하는 모든 당분을 받기 시작하며 독립적으로 살 수 있는 능력을 포기한다. 그리고 숙주에게는 그들이 고정시킨 질소를 제공함으로써 보답한다. 이 상호작용은 두 유기체 모두에게 이점을 제공한다. 식물은 그들이 없으면 이용할 수 없는 질소를 얻고, 박테리아는 토양에서 훨씬 더 많은 수준의 개체군을 유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리조븀이 자유로이 홀로 살 때보다 뿌리혹을 지닌 콩과식물에서 더 많은 질소 고정이 발생한다. 숙주 식물이 죽으면, 박테리아는 독립영양 생활양식으로 돌아가서 토양 군집으로 다시 들어갈 수 있다. 


질소는 제한적인 양분이 되곤 하기 때문에, 콩과식물과 리조븀의 관계는 다른 식물을 부양하기에는 질소가 너무 적게 함유되어 있는 토양에서도 콩과식물이 생존할 수 있게 만든다. 콩과식물이 죽은 뒤에 토양으로 되돌아가게 되면, 그것이 살아 있는 동안 바이오매스에 통합되어 있던 박테리아가 고정시킨 질소가 토양의 일부가 되어 다른 식물이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리공생은 역사적으로 농업에서 중요했다. 콩과식물-리조븀 공생은 여러 전통적 농업생태계에서 질소를 추가하는 주요한 원천이고, 질소 비료가 개발되기 전 많은 작부체계로 환경의 질소를 통합시키는 데 활용된 유일한 방법 가운데 하나였다. 콩과작물은 라틴아메리카에서 흔한 옥수수-강낭콩-호박 섞어짓기에서와 마찬가지로 비콩과작물과 사이짓기되었고, 미국과 다른 지방에서 콩과식물은 토양의 질과 질소 함량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덮개작물과 풋거름작물로 이용되었다. 또한 콩과식물은 휴경 체계의 관리에서도 중요한 부분을 차지했다. 이들 체계 모두는 콩과식물-리조븀 공생을 활용하여, 생물학적 질소 고정을 이용해 전체 식물 군집에게, 궁극적으로 인간에게 유용한 질소를 쓸 수 있게 한다. 






천이 과정과 다양성의 변화

발달의 초기 단계나 교란 이후의 자연 생태계에 대한 연구들은 다양성의 모든 차원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증가하는경향이 있음을 입증했다. 이러한 과정은 지위 다양화, 서식지 변경, 경쟁적 치환, 자원 분할, 공존과 상리공생 및 기타 형태의 간섭의 개발 등을 통해 일어난다. 생태계 과정들에서 가변성과 변동은 이러한 다양화에 의해 감쇠되어, 다양성이 증가함에 따라 그 체계의 안정성이 더욱 향상된다. 


생태계가 교란되면, 그 생태학적 다양성의 각 차원이 단순화되거나 발달의 초기 단계로 돌아간다. 종의 숫자가 감소하고, 수직적 성층이 줄어들며, 상호작용이 더 적게 발생한다. 교란 이후에 생태계는 2차 천이라 부르는 회복 과정을 시작한다(자세한 건 18장 참조). 이 과정 동안, 체계는 교란 이전에 존재하던 종과 상호작용, 과정의 다양성을 복원하기 시작한다. 


결국 체계는 성숙기라 부르는 것에 도달하는데, 이는 물리적 환경에서 에너지 흐름, 양분 순환, 개체군 역학에 대한 완전한 잠재력이 실현될 수 있는 천이 조건으로 정의될 수 있다. 성숙기에 있는 생태계의 구조적, 기능적 다양성은 추가적인 사소한 교란에 직면하여 변화에 대한 저항성을 제공한다. 


천이의 단계를 거쳐 다양성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긴 하지만, 생태학에 관한 최신 연구에 의하면 성숙기는 적어도종의 관점에서 가장 높은 다양성을 지닌 단계를 대표하지 않을 수 있다. 오히려 가장 높은 다양성은 성숙기에 가까워지면서 달성되고, 완전히 성숙기에 도달하면 다양성이 약간 감소한다. 바이오매스는 성숙기에도 느린 속도이지만 게속 증가한다(그림17.3). 


그림17.3 2차 천이 동안 종 다양성과 바이오매스의 변화







다양성, 안정성, 탄력성

다양성과 "안정성" 사이의 관계에 관하여 생태학에서는 많은 논의가 있었다. 두 가지 사이에는 어떤 상관관계 -즉, 생태계의 다양성이 더 클수록 변화에 대한 저항성이 더 커지고, 교란으로부터 더 잘 회복하는- 가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상관관계의 정도와 강도에 대해서는 의견 차이가 있다. 


그 문제의 대부분은 안정성에 대해 일반적으로 인정된 정의의 제한된 성격 때문에 발생한다. "안정성"은 보통 체계 안에 있는 유기체의 개체군에서 상대적으로 변동이 없는 것을 말하여, 평행 상태를 유지하는 조건이나 변화의결여를 암시한다. 이러한 안정성의 개념은 특히 다양성의 생태학적 결과를 기술하는 것과 관련하여서는 부적절하다. 이런 이유 때문에 안정성이란 용어는 2장에서 생태계 구조에 대한 서문에서 언급했듯이, 탄력성저항성이란 용어로 주로 대체되었다. 되새기기 위하여, 저항성은 일반적으로 변화에 저항할 수 있는 능력이고, 탄력성은 교란으로부터 되돌아와 교란 이전에 존재하던 것과 비슷한 상태로 돌아갈 수 있는 능력이다. 일반적으로 체계의 다양성은 탄력성과 저항성 모두와 매우 상관관계가 있다. 


일부 생태학자의 경우, 저항성과 탄력성이 다양성에서 기인하는 모든 관련된 특징의 이유라 보지 않는다. 그들은생태계의 튼튼함, 상호작용 및 에너지 흐름과 물질 순환의 자체 통제 과정의 복잡한 수준을 유지할 수 있는 그것의 능력이라 부를 수 있는 것에 초점을 맞춘 개념을 원한다. 그러한 개념은 특히 저항성과 탄력성을 넘어 무언가를 모색하는 농민과 농업생태계 관리자가 농업생태계에서 다양성의 가치와 이용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생태계에서 다양성이 생성되는 것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하여, 우리는 다양한 형태의 생태학적 다양성과 특정 생태계 과정 및 특성들 사이의 가능한 인과관계에 대해 더 많은 연구를 해야 한다. 이 분야의 중요한 작업은 이미 완료되었다. 예를 들어, 더 높은 조류 종의 다양성은 더욱 다양한 먹이 활동과 둥지짓기 행위를 지원하기 때문에, 더 복잡한 군집 구조와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와 비슷하게, 포식자-먹이 다양성과 더 복잡한 먹이그물은 실제 종의 숫자와 서식지 다양성 모두와 상관관계가 있다. 






농업생태계에서 생태학적 다양성


대부분의 농업생태계에서 교란은 자연 생태계에서보다 훨씬 더 빈번하게, 주기적으로, 그리고 더 큰 강도로 발생한다. 농업생태계가 그 천이 발달에서 아주 멀리 나아갈 수 있는 경우란 드물다. 그 결과, 농업생태계에서 다양성은 유지되기가 어렵다. 


다양성의 상실은 자연 생태계를 특징 짓는 종들 사이의 긴밀한 기능적 연결을 매우 약화시킨다. 양분 순환의 속도와 효율성 변화, 에너지 흐름이 변경되고, 인간의 간섭과 투입재에 대한 의존도가 증가한다. 이런 이유로, 농업생태계는 자연 생태계보다 저항성이 떨어지고, 탄력성이 부족한 것으로 간주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농업생태계는 산업형 농업생태계가 전형적으로 그러하듯이 단순화되고 다양성이 빈약할 필요는 없다. 바이오매스를 수확하는 필요성에 의해 부과된 제약 안에서, 농업생태계는 자연 생태계가 나타내는 다양성의 수준에 접근할 수 있으며 더 큰 다양성으로 인해 허용되는 높아진 탄력성과 저항성, 튼튼함의 혜택을 누릴 수 있다. 다양성의 더 많은 요소가 농사 체계에 존재할 때 가능한 상호작용의 복잡성을 관리하는 일은 외부 투입재에 대한 필요를 줄이고 지속가능성으로 나아가는 핵심 부분이다. 





농업생태계 다양성의 가치

지속가능한 농업의 핵심 전략은 다양성을 농업 경관으로 다시 통합시키고, 그것을 더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것이다. 다양성의 증가는 대규모 단작에서 그 극단적 형태에 도달하는 오늘날의 산업형 농업 대부분에서 초점을 맞추는 것과 반대된다. 특히 다양성을 제한하고 균일성을 유지하기 위해 개발된 모든 투입재와 농법을 고려할 때, 다양성은 그러한 체계에서 더 불리한 것으로 간주된다. 


복합적 작부체계에 대한 연구는 농업 환경에서 다양성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한다(Francis 1986; Vandermeer 1992; Altieri 1995b; Innis 1997; ong et al. 2004; Mohler and Stoner 2009; Volder and Franco 2013)). 다양성은 여러 가지 이유에서농업생태계에서 소중하다.


•다양성이 높아지며 미소서식지가 더욱 분화되어, 체계의 구성요소인 종들이 "서식지 전문가"가 되도록 한다. 각 작물은 그 고유한 요구사항에 이상적으로 적합한 환경에서 재배될 수 있다.  

•다양성이 증가함에 따라, 농업생태계의 지속가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종들 사이의 공존과 이로운 간섭을 위한 기회도 늘어난다. 앞서 논의된 질소 고정 콩과식물과 관련된 작물 사이의 관계가 그 주요 사례이다. 

다양한 농업생태계에서 농업 현황과 관련된 교란된 환경을 더 잘 활용할 수 있다. 개방된 서식지는 외부에서 온 잡초성의 유해하고 개척하는 침입자가 아니라 그 체계에서 이미 발생한 유용한 종이 집단 서식할 수 있다. 

•높은 다양성은 초식동물과 그 포식자 사이의 다양한 종류의 이로운 개체군 역학이 가능하게 만든다. 예를 들어, 다양한 체계는 일부만 해충인 몇몇 초식동물 개체군만이 아니라 모든 초식동물을 먹이로 삼는 포식자 종의 존재도 장려할 수 있다. 포식자는 개별 초식동물 종의 개체군을 억제함으로써 초식동물 종들 사이의 다양성을 향상시킨다. 초식동물 다양성이 더 증대되면, 해충인 초식동물은 우점하지 못해 어떤 작물도 위협할 수 없다. 

•더 큰 다양성은 농업생태계에서 더 나은 자원 이용 효율을 가능하게 하곤 한다. 서식지 이질성에 대한 체계 수준의 적응이 더 잘 이루어져, 작물 종의 요구, 지위의 다양화, 종들 지위의 겹침, 자원의 분할에서 상호보완적 상태로 이어진다. 예를 들어 전통적인 옥수수-강낭콩-호박 사이짓기는 세 가지 서로 다르지만 상호보완적인 작물 유형이 함께 가져온다. 세 가지 모두를 이질적인 농지에 심으면, 어느 한 곳에서 토양의 조건은 적어도 세 작물 가운데 하나의 요구를 적절히 충족시킬 가능성이 있다. 균일한 농지에 심으면, 각각의 작물은 약간 서로 다른 지위를 차지하고 토양의 양분에 대한 서로 다른 요구를 만들 것이다.    

•다양성은 특히 더 예측할 수 없는 환경 조건인 지역에서 농민의 위험을 감소시킨다. 한 작물이 잘 되지 않으면,다른 작물에서 나오는 수입으로 보완할 수 있다. 

•가축이 농업생태계에 통합되면, 이로운 상호작용을 위한 여러 기회가 발생한다. 예를 들어, 방목은 더 나은 양분 순환을 가능하게 하고, 여러해살이 목초 식물이 제공한 미소지를 점유하는 이로운 절지동물의 수를 증가시키며, 비작물 종들의 우점을 바꾼다. 이것과 기타 상호작용은 19장에서 더 상세히 논의된다.  

•다양한 작물의 집합은 전체 체계에서 중요하게 여겨지지만 매우 균일하고 단순화된 체계에서는 매력적으로 느껴지지 않을, 다양한 비작물 유기체 -이로운 포식자, 기생자 및 길항제를 포함하여- 에 의해 점유될 수 있는 작부체계 안에 미기후의 다양성을 창출할 수 있다. 

•농업 경관의 다양성은 주변의 자연 생태계에 생물다양성을 보존하는 일에 기여할 수 있는데, 이 문제는 21장에서 논의될 것이다.

•다양성 -특히 체계의 땅속 부분- 은 양분 순환, 지역의 수문 과정에 대한 통제, 유해한 화학물질의 해독 같은 농장의 안팎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생태적 서비스를 수행한다. 


다양성에 대한 우리의 이해가 비작물 식물(흔히 잡초라 불리지만 생태학적 또는 인간에게 가치가 있을 수 있음),동물(특히 해충의 천적과 인간에게 유용한 동물), 미생물(박테리아, 원생생물, 균류의 지하 다양성은 여러 농업생태계 과정을 유지하는 데 필수임) 등을 포함하며 작물 종 너머로 확장되면, 우린 더 큰 다양성으로 촉진되는 다양한 생태학적 과정을 보기 시작한다. 






농업의 체계에서 다양성을 증가시키는 방법

앞서 논의된 다양성의 혜택을 농업 경관에 추가할 수 있는 다양한 선택지와 대안이 있다. 이들 대안은 (1)기존 작부체계에 새로운 종을 추가하는 것, (2)이미 존재하는 종들을 재편성하거나 구조를 조정하는 것, (3)다양성을 향상시키는 농법이나 투입재를 추가하는 것, (4)다양성을 감소시키거나 다양성을 제한하는 투입재나 농법을 제거하는 것이 포함될 수 있다. 




사이짓기

농업생태계의 알파 다양성을 증진하는 기본적이고 직접적인 방법은 두 가지 이상의 작물을 혼합하여, 서로 다른 작물의 개체들 사이의 상호작용을 하게 만드는 것이다. 사이짓기는 "시간과 공간의 차원에서 작부의 증대와 다양화"로 정의되는 다수의 작부가 일반적 형태이다(Francis 1986). 사이짓기는 똑같은 농사철에 여러 작물을 순차적으로 심어 시간적 다양성을 추가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작물이 존재하여 수평적, 수직적, 구조적, 기능적 다양성을 추가한다. 특히 열대의 농촌이나 개발도상국의 전통적 농사 체계에서 가장 발달된 사이짓기 또는 섞어짓기 체계는 2-3가지 작물의 비교적 단순한 혼합부터 혼농임업이나 텃밭 농업생태계에서 발견되는 매우 복잡한 작물의 혼합에 이르기까지 다양한다(18장에서 더 자세히 논의됨)(그림17.4).



그림17.4 다수의 작부에 대한 두 가지 사례. (a) 당근, 비트, 양파는 독일 비첸하우젠에서 재배되었고, (b) 한해살이와 여러해살이 작물은 이탈리아 리바델가르다에서 다양한 텃밭을 형성하기 위해 결합되었다.





띠 모양 작부

다수의 작부 가운데 또 다른 형태는 인접한 두둑에 서로 다른 작물을 심어, 홑짓기의 섞어짓기라고 부를 수 있는 걸 만드는 일이다. 알파 다양성 대신 베타 다양성을 증진하는 이 농법은 다수의 작부에 여러 다양성의 혜택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작물과 작물의 혼합의 경우, 다수의 작부보다 관리와 수확 문제가 더 적기 때문에 다양성을 증대시키는 더 실용적 방법이다. 




생울타리와 완충용 식생

농지의 둘레 주변에 심은 나무나 떨기나무, 또는 그곳에 남아 있는 반은 자역적인 식생의 구역이나 두둑은 여러 유용한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실용적 측면에서, 그것들은 바람으로부터 보호하고, 동물을 차단하고(또는 에워싸고), 나무의 산물(땔감, 건축 자재, 과일 등)을 생산할 수 있다. 생태학적으로 생울타리와 완충용 두둑은 농장의 베타 다양성을 증가시키고, 이로운 유기체를 유인하여 이용하고 그들에게 서식지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농지와 인접한 자연 생태계 사이에 더 넓은 두둑으로 심으면, 한 체계가 다른 체계에 미칠 수 있는 잠재적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지방의 전반적인 생물다양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완충 구역을 형성한다(그림17.5). 


그림17.5 멕시코 틀락스칼라 Tepeyanco에 있는 텃밭 주변의 다목적 생울타리. 선이장은 동물에게 장벽을 형성하고, 차요테 호박과 살구나무는 먹을거리를 제공한다. 


 



덮개작물

덮개작물은 토양의 덮개를 제공하고자 보통 작부 주기의 중간에 농지에 심는 비작물 종이다. 덮개작물은 한해살이부터 여러해살이까지 다양하고, 목초와 콩과식물이 주로 사용되지만 여러 종류의 분류군이 포함된다. 하나 이상의 덮개작물 종을 심음으로써 체계의 다양성을 높이는 일은 여러 가지 중요한 혜택이 있다. 덮개작물 재배는 토양 유기물을 향상시키고, 토양의 생물학적 활성과 토양 생물상의 다양성을 촉진하며, 이전 작물에 남겨진 양분을 토양에 끌어모으고, 토양침식을 감소시키고, 생물학적으로 고정된 질소를 공급하며(덮개작물의 종 가운데 하나가 콩과식물이라면), 작물 해충의 천적에게 대안이 되는 숙주를 제공한다. 과수원 같은 일부 체게에서 덮개작물은 잡초의 발달을 억제하는 추가적인 목적을 수행할 수 있다(Sullivan 2003). 





돌려짓기

돌려짓기로 작물을 재배하는 일은 시간의 차원에서 체계의 다양성을 증진시키는 중요한 방법이다. 돌려짓기는 보통 여러 작물을 연속적인, 또는 반복적인 순서로 심는 걸 포함한다. 돌려짓는 작물들 사이의 토양에 미치는 생태학적 영향의 차이가 클수록 이 방법의 혜택이 더 커진다. 작물을 교대하는 일은 회전 효과라 알려진 것을 만들어,끊임없이 홑짓기로 재배할 때보다 다른 작물 이후에 재배되는 작물이 더 잘된다. 다른 식물 종의 잔여물을 토양에 추가함으로써, 돌려짓기는 토양 미생물의 생물학적 다양성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 각각의 잔여물 유형은화학적, 생물학적으로 다양하여, 서로 다른 토양 유기체를 자극 및/또는 억제한다. 어떤 경우에, 한 작물에서 나온 잔여물이 다음 작물의 해충이나 질병에 대한 길항제가 되는 유기체의 활동을 촉진할 수 있다. 또한 돌려짓기는 토양비옥도와 토양의 물리적 특성을 개선하고, 토양침식을 줄이며, 더 많은 유기물을 추가하는 경향이 있다. 미국 중서부에서 대두/옥수수/콩과식물-건초 돌려짓기의 잘 알려진 이점은 부분적으로는 더 큰 시간적 다양성이 양분과 질병 관리를 돕는 방식에 근거한다. 다양성의 차원에서 돌려짓기의 영향에 대한 연구는 이러한 중요한 농법의 유효성을 개선할 수 있다. 





휴한

돌려짓기 농법의 변형은 작부의 순서에 토지를 단순히 경작하지 않거나 휴한하는 기간을 두는 것이다. 휴한기를 도입해 체계의 여러 부분, 특히 토양에서 2차 천이와 다양성의 회복을 포함하는 과정인 토양의 "휴식"을 허용한다. 10장에서 논의된 화전 농법은 아마 가장 잘 알려진 휴한 체계일 것이다. 오랜 휴식 기간은 토종 식물과 동물의 다양성이 다시 도입되고 토양비옥도가 회복되도록 한다. 어떤 체계에서, 휴한 원리는 농경지부터 2차 성장 토종 식생에 이르기까지 여러 천이 단계에서 농지의 모자이크를 생성한다. 건지 농법의 지방에서, 휴한은 강우가 토양 수분 저장고를 재충전하는 동시에, 경작하지 않는 동안 토양 생태계의 다양성을 회복할 수 있게 촉진하도록 한 해씩 걸러 일어날 수 있다. 휴한을 활용하는 또 다른 변형은 보호하는 일 외에 생선성을 높이는 것이다. 화전-휴한 혼농임업에서 특정 작물은 휴한기가 시작하기 직전이나, 의도적으로 재확립되도록 도입되어서 휴경기 동안 수확물을 얻을 수 있게 한다(Denevan and Padoch 1987). 휴한기가 작부 주기로 통합되는 곳이라면, 다양성이 회복되는 과정을 허용하도록 작물이 부재하는 것만이 아니라 인간이 야기하는 교란이 없다는 것이다.  





감소된 또는 최소한의 경운

농업생태계에서 교란은 천이의 개발과 다양성을 제한하는 주요한 역할을 하기에, 교란을 최소화하는 농법은 다양성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토양 경운의 강도를 줄이고 토양 표면에 잔여물을 남기는 것은 체계의 교란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가져오는 주요한 방법이다. 경운의 빈도와 강도를 모두 줄임으로써 얻게 되는 여러 이점은 8장에서 논의되었다. 관행적 경운과 비교하여 무경운 농법은 지렁이의 풍부함과 활성의 증가, 토양 생물상의 다양화, 토양의 구조와 보비력, 내부의 양분 순환, 유기물 함량 등의 개선을 수반한다고 밝혀졌다(Coleman et al. 2009). 작부체계의 지상 다양성이 낮게 유지되더라도, 토양의 분해자 하부조직의 종 다양성은 토양 교란의 감소와 함께 증가한다. 지상의 식물 다양성을 높이는 일만으로도 이 하부조직을 향상시킬 수 있다.  





높은 유기물 투입재

높은 수준의 유기물은 감소된 경운 체계에 대해 앞서 언급한 구조적, 기능적 다양성과 똑같은 유형의 자극을 수반하여, 땅속 하부조직의 종 다양화를 활발하게 만들기 위해 중요하다. 오랫동안 유기농업의 핵심 구성요소로 여겨졌던 높은 유기물 투입재는 8장에서 검토했던 여러 혜택을 가지고 있다. 토양의 유기물 함량은 퇴비를 적용하고, 작물 잔여물을 토양으로 통합시키고, 덮개작물을 재배하고, 작물을 다양화하며, 기타 다양성 향상 농법을 사용하여 증가시킬 수 있다. 





화학적 투입재 사용의 감소

여러 농업용 농약이 작부체계에서 많은 비표적 유기체를 해치거나 죽이고, 아니면 여러 기타 유기체의 풍부함과 다양성을 제한할 수 있는 잔류물을 남긴다는 사실은 오래전부터 알려져 왔다. 따라서 농약의 사용을 제거하거나 줄이면 농업생태계를 다시 다양화하는 일에 대한 주요한 장애물이 제거된다. 이러한 재다양화에 수반되는 다시 대량 서식하는 과정은 이 장의 뒷부분에서 논의한다. 그러나 농약에 의존하게 된 체계에서 농약을 제거하는 일은어려운 과제임을 인정해야 한다. 첫 번째 반응은 해충 개체군의 극적인 증가일 수 있다. 오직 시간과 다양성의 재확립만이 해충을 억제하기 위한 내부의 메커니즘을 발달시킬 수 있다. 





가축의 통합

농업 경관으로 다시 동물을 통합시키면 농업생태계의 전반적인 생물다양성이 증가한다. 게다가 방목, 작물 잔여물의 소비, 분뇨 퇴적 같은 동물의 활동은 구조적 다양성, 종의 우점, 체계의 기능이란 측면을 변경할 수 있다. 농장 사업 자체의 다양화에서 추가적 혜택이 발생한다. 가축 통합은 19장에서 더 상세히 논의된다. 






다양화의 관리

균일한, 대규모 단작의 농업생태계에서 이로운 과정과 상호작용을 지원하는 더 다양한 체계로 이동하는 일은 다단식 과정이다. 처음에는 농업 경관에 다양성을 도입하는 앞서 기술한 모든 방법이 농업 활동의 부정적 충격을 완화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그런 다음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더 많은 종을 도입하면 통합된 농업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을 위한 기회가 확장되어, 내장된 완충제와 체계의 역학이 체계의 가변적인 반응을 약화시킨다. 마지막으로, 다양화된 경관에서 간섭의 종류와 형태는 경쟁적 배제부터 공생적 상리공생에 이르기까지 더 많은 유형의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만든다(표17.3).




영향을 받는 생태학적 다양성의 차원

방법

유전적

수직적

수평적

구조적

기능적

시간적

사이짓기








띠 모양 작부








생울타리와 완충제








덮개작물








돌려짓기








휴한








최소 경운








높은 유기물 투입재








화학물질 사용의 감소



 

 

 ○

 

가축의 통합



 

 ○

 ○

 ○

표17.3 농업생태계에서 생태학적 다양성을 증진시키는 방법

● 직접 또는 주요 효과 / ○ 간접, 2차적, 또는 잠재적 효과 / 빈칸은 거의 또는 전혀 효과 없음.




농장 수준에서 다양성을 관리하는 일은 큰 도전이다. 관행농의 관리와 비교하면 작업량이 더 많고, 위험이 크며, 불확실성이 높아질 수 있다. 또한 더 많은 지식이 필요하다. 그러나 궁극적으로, 농업생태계에서 다양성이 어떻게 작동하는지에 대한 생태학적 기반을 이해하고, 그것을 제거하기보다는 오히려 복잡성을 활용하는 것이 지속가능성으로 이어지는 유일한 전략이다. 






농업생태계의 다양성과 그 혜택을 평가하기


다양성을 가장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우리는 다양성을 측정하고 다양성의 증가가 실제로 농업생태계의 성과와 기능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평가할 수단이 필요하다. 우린 다양성의 존재와 그 분포의 패턴을 경관에서인식할 수 있어야 하고, 그러한 다양성의 존재가 농업생태계의 성과에, 특히 농민의 관점에서 어느 정도까지 혜택이 되는지 알아야 한다. 다양성의 존재와 영향을 분석하고 연구하기 위해 취할 수 있는 몇 가지 접근법이 있다. 






종 다양성의 지표

어떤 종류의 사이짓기라도 홑짓기보다는 더 다양하다는 것이 명백하다. 그러나 -종의 숫자와 파종 비율이 모두 다른- 두 가지 서로 다른 사이짓기 체계의 다양성을 비교하려면 각각의 다양성을 측정해야 한다. 그렇게 하고자 우린 자연 생태계를 살피려 생태학자들이 개발한 도구와 개념을 빌릴 수 있다. 


생태학자는 생태계나 군집의 다양성이 종의 숫자 그 이상의 것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을 알고 있다. 50개의 미국 삼나무, 50개의 탄오크, 50개의 개솔송나무로 구성된 군집은 130개의 미국 삼나무, 10개의 탄오크, 10개의 개솔송나무로 구성된 군집보다 더 다양하다. 둘 다 종의 숫자와 전체 개체수가 똑같지만, 첫 번째 군집에서 개체들은 미국 삼나무가 우점한 두 번째 군집에서보다 더 고르게 분포되어 있다. 


이 사례는 종 다양성에 두 가지 구성요소가 있음을 보여준다. 종 풍부도라 부르는 종의 숫자와 종 균등도라 부르는 서로 다른 종들이 체계의 안에서 각 개체가 얼마나 균등하게 분포하는지가 그것이다. 자연 생태계와 농업생태계 모두에서 다양성을 포괄적으로 측정하려면 두 구성요소를 모두 고려해야 한다. 


이들 개념이 농업생태계의 다양성을 분석하는 데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는 표17.4에 나와 있다. 이 표에서는 각각 똑같은 수의 개별 작물을 가진 네 가지 서로 다른 가설적인 체계가 비교된다. 이들 체계 중에서 세 가지 작물의 섞어짓기가 다른 체계와 관련하여 종 풍부도와 종 균등도 모두 높은 유일한 체계이기에 가장 다양하다. 




홑짓기

두 가지 작물의 

고른 섞어짓기

세 가지 작물의 

고른 섞어짓기

세 가지 작물의 

고르지 않은 섞어짓기

옥수수

300

150

100

250

호박

0

150

100

25

강낭콩

0

0

100

25

종의 숫자(s)

1

2

3

3

개체의 숫자(N)

300

300

300

300

상대적 종 풍부도

낮음

중간

높음

높음

상대적 종 균등도

높음

높음

높음

낮음

표17.4 네 가지 가설적인 농업생태계의 다양성 측정

 



체계의 종 다양성을 측정하기 위한 기준으로서 각 종들의 개체수를 사용하는 대신, 바이오매스나 생산성 같은 종의 어떠한 다른 특성을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는 한 종의 전형적인 개체의 바이오매스가 다른 종의 개체의바이오매스와 매우 다를 때 더 적절할 수 있다. 개체수, 바이오매스, 생산성은 모두 특정 종에 대한 중요치의 예이다. 


생태학은 체계의 종 다양성을 정량화하는 다양한 방법을 제공한다. 가장 간단한 방식은 종 균등도를 무시하고, 개체수의 측면에서 종의 숫자를 측정하는 것이다. 그러한 측정은 마르갈레프Margalef의 다양성 지수에 의해 제공된다. 


다양성 = s - 1 / N          


여기에서 s는 종의 수, N은 개체수


마르갈레프 지수의 유용성은 표17.4의 고르고 고르지 않은 세 가지 작물의 섞어짓기처럼 똑같은 sN을 갖는 여러 가지 체계의 다양성을 구분할 수 없기 때문에 제한적이다.  


종 균등도를 고려한 두 가지 다른 다양성 지수가 있고, 더 유용하다. 샤논Shannon 지수는 특정 종의 개체를 무작위로 선발할 때 더 큰 다양성이 더 큰 불확실성과 일치한다는 발상에 기반한 정보 이론의 적용이다. 이는 다음의 공식으로 나타낸다. 




ni는 i번째 종에 속하는 체계(또는 표본)의 개체수이다.


심슨Simpson의 다양성 지수는 똑같은 이름을 가진 군집 우점의 지수와는 반대이다. 그 구성요소인 종의 어느 것도다른 종보다 더 우점하지 않는다고 간주될 때 체계가 가장 다양하다는 원리에 근거한다. 이는 다음의 공식으로 나타낸다. 




심슨 지수의 경우, 최소값은 1이다. 샤논 지수에서는 0이다. 두 최소값은 홑짓기에 존재하는 조건인 다양성의 부재를 가리킨다. 이론적으로, 각 지수의 최대값은 종의 숫자와 그들이 생태계에 얼마나 고르게 분포되어 있는지에의해서만 제한된다. 상대적으로 다양한 자연 생태계는 심슨 지수가 5 이상, 샤논 지수는 3-4이다. 


표17.4의 가설적인 체계에 대한 마르갈레프, 심슨, 샤논 지수 값의 계산은 표17.5에 나와 있다. 샤논과 심슨 값 모두는 두 가지 작물의 고른 섞어짓기가 세 가지 작물의 고르지 않은 섞어짓기보다 더 다양하다는 걸 보여주어, 농업생태계 다양성에서 종 균등도가 중요하다는 걸 강조하고 있다. 




홑짓기

두 가지 작물의

고른 섞어짓기

세 가지 작물의

고른 섞어짓기

세 가지 작물의

고르지 않은 섞어짓기

마르갈레프 다양성

0

0.4

0.81

0.81

샤논 다양성

0

0.69

1.10

0.57

심슨 다양성

1.0

2.01

3.02

1.41

표17.5 표17.4에 있는 네 가지 가설적인 농업생태계의 다양성 지수 값




샤논과 심슨 지수가 기반을 하고 있는 이론과 그걸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포함하여 두 지수에 대한 더 자세한 설명은 읽을거리 항목에서 언급하는 생태학 문헌에서 찾아볼 수 있다. 





사이짓기 다양성의 혜택을 평가하기

농장에서 작부체계의 다양성이 커지면서 얻는 가치를 측정하는 방법은 농민이 다양한 작부 방식의 장점이나 단점을 평가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데 매우 유용하다. 앞서 설명한 다양성 지수는 다양성을 정량화할 수 있지만, 그 다양성이 어떻게 성과로 변환되는지, 또는 개선된 성과의 생태학적 기초가 무엇인지는 알려주지 않는다. 두 가지 이상의 작물 종들이 서로 충분히 근접해 있는 작부체계에서, 개선된 수확량, 양분 순환 등등의 명확한 혜택을 제공할 수 있는 종들 사이의 다양한 종류의 간섭이 가능하다(11장과 16장에서 설명함).


연구자들이 사이짓기가 홑짓기에 비해 상당한 수확량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는 많은 증거를 축적했다는 사실에도불구하고, 사이짓기에도 단점이 있을 수 있다는 걸 기억하는 게 중요하다. 사이짓기의 관리에 실질적 어려움이 있을 수 있고, 부정적 간섭의 영향 때문에 수확량의 감소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한 사례는 사이짓기에 대한 논쟁으로 이용되어서는 안 되며, 오히려 그러한 문제를 피하기 위하여 초점을 맞추어야 할 연구를 결정하는 수단으로사용해야 한다. 





토지 동등비

사이짓기 체계의 연구와 평가를 위한 중요한 도구는 토지 동등비(LER)이다. 토지 동등비는 모든 조건이 똑같다면 분리된 홑짓기의 집합으로 동일한 작물을 재배하는 것과 비교하여 두 가지 이상의 작물을 사이짓기로 재배하여 얻은 수확량의 이점에 대한 측정을 제공한다. 따라서 토지 동등비는 다양성의 패턴에 대한 설명을 넘어 사이짓기의 장점을 분석할 수 있게 해준다. 


토지 동등비는 다음의 공식을 이용해 계산된다. 



여기에서 Yp는 사이짓기 또는 섞어짓기에서 각 작물의 수확량, Ym은 단일 작물 또는 홑짓기에서 각 작물의 수확량이다. 


각각의 작물(i)에 대하여 해당 작물의 부분적 토지 동등비를 결정하기 위해 비율이 계산된 다음, 부분적 토지 동등비가 합산되어 사이짓기의 전체 토지 동등비를 제공한다.


토지 동등비 계산 방법의 사례가 표17.6에 나와 있다. 1.0이란 토지 동등비의 값은 손익 분기점으로, 사이짓기와 홑짓기의 집합 사이에 수확량 차이가 없음을 나타낸다. 1보다 큰 값은 초과수확이라 부르는 결과로, 사이짓기의 수확량 이점을 가리킨다. 초과수확의 범위는 토지 동등비의 값에 의해 직접적으로 주어진다. 예를 들어 1.2의토지 동등비는 홑짓기로 심은 면적이 두 작물을 사이짓기로 심은 면적과 똑같은 수확량의 합을 생산하려면 20% 더 커야 한다는 걸 나타낸다. 2.0의 토지 동등비는 홑짓기에 필요한 토지가 2배임을 의미한다. 



섞어짓기의 수확량(Yp), kg/ha

홑짓기의 수확량(Ym), kg/ha

부분적 토지 동등비(Yp/Ym)

작물 A

1000

1200

0.83

작물 B




800




1000




0.80


표17.6 토지  동등비 계산을 위한 대표 자료 





토지 동등비의 적용과 해석

부분 및 전체 토지 동등비 값은 실제 작물의 수확량이 아니라 비율이기 때문에, 다양한 작물의 혼합을 비교하는 데 유용하다. 어떤 의미에서, 토지 동등비는 작부체계에서 발생하는 사이짓기 간섭의 수준을 측정한다. 


이론적으로 혼합에서 각각의 작물에 대한 농생태학적 특성이 정확하게 똑같다면, 그것들을 함께 심으면 각각의 작물 구성원이 전체 수확량에 동등한 비율로 기여하여 그것들을 따로 심는 것과 똑같은 전체 수확량으로 이어져야 한다. 예를 들어, 두 가지 유사한 작물을 함께 심는다면 전체 토지 동등비는 1.0이고 부분적 토지 동등비는 각각 0.5이어야 한다. 그러나 여러 혼합에서 우리는 1.0보다 큰 전체 토지 동등비를 얻고, 각각의 작물이 농생태학적으로 다른 작물과 똑같을 경우 이론적으로 얻을 수 있는 것보다 비례적으로 더 큰 부분적 토지 동등비를 얻었다. 10.보다 더 높은 전체 토지 동등비는 혼합의 작물 구성요소들 사이에 긍정적 간섭이 존재함을 나타내고, 또한 혼합에 존재하는 모든 부정적인 이종간의 간섭이 홑짓기에 존재하는 종내의 간섭만큼 강력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아마 혼합에서 경쟁의 회피나 자원의 분할이 일어날 수 있다.  


전체 토지 동등비가 1.5보다 크거나, 혼합의 적어도 한 구성원의 부분적 토지 동등비가 1.0보다 클 때, 사이짓기의 상호작용에서 부정적인 간섭이 아주 적고 긍정적인 간섭으로 작물 혼합의 구성원 가운데 적어도 하나가 홑짓기에서 심어진 것보다 더 잘 될 수 있다는 강력한 증거이다. 


16장에서 논의된 -전체 토지 동등비가 1.97인- 전통적인 옥수수-강낭콩-호박은 이러한 상황에 대한 좋은 사례를 제공한다(표16.3 참조). 그 체계의 옥수수 구성요소는 부분적 토지 동등비가 1.50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실제로 단독으로 심었을 때보다 혼합에서 더 잘 생산되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를 불러온 긍정적 간섭은강낭콩의 뿌리에 있는 리조븀 박테리아에 의한 생물학적 고정을 통해 N 가용성이 향상된 점, 옥수수와 강낭콩 사이의 상리공생적 균근 연결을 통하여 이 N의 일부가 전달되었을 가능성, 그리고 이로운 곤충의 존재를 향상시키고 해충을 감소시킨 호박에 의한 서식지 변경 등이 결합된 것이다(이전 장에서 설명됨). 강낭콩과 호박의 경우 부분적 토지 동등비가 매우 낮았지만(각각 0.15와 0.32), 그들의 존재는 명백히 옥수수의 수확량 증대에 중요했다. 


전체 토지 동등비가 1.0 미만이면, 특히 혼합의 구성요소인 부분들의 토지 동등비가 모두 유사한 방식으로 낮아진 경우라면 부정적 간섭이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경우에 사이짓기는 홑짓기와 비교하여 수확량의 단점을 제공한다. 


토지 동등비와 부분적 토지 동등비를 분석한 때, 무엇이 이점을 구성하고 이점의 크기가 얼마인지에 관하여 혼란이 발생할 수 있다. 혼란을 피하려면 상황에 따라 사이짓기의 이점을 평가하는 데 필요한 여러 기준이 필요하다고 인식해야 한다. 적어도 세 가지 기본 상황이 있다(Willey 1981). 


1. 사이짓기 수확량을 결합한 것이 더 많은 수확량을 올리는 단일 작물의 수확량을 초과해야 하는 경우. 이 상황은 목초 사료의 혼합 같은 매우 비슷한 작물의 혼합이나, 다계의 밀 작물 같은 작물 내부의 유전자형 혼합을 평가할 때 있을 수 있다. 그러한 경우 부분적 토지 동등비는 전체 토지 동등비가 1보다 크기만 하면 이점을 결정하는 데 중요하지 않다. 그것이 작부체계의 어느 부분에서 유래되었는지에 관계없이 농민의 요구는 대개 최대 수확량을 바랄 것이기 때문이다. 양적인 이점은 가장 많은 수확량을 올리는 단일 작물의 수확량과 비교할 때, 사이짓기의 수확량을 결합한 것이 증가하고 전체 토지 동등비가 1.0을 초과하는 범위이다. 


2. 사이짓기는 "주"작물의 완전한 수확량과 부차적 작물의 추가 수확량을 더한 것을 제공해야 하는 경우. 이러한 상황은 주요한 요구가 필수적인 식량작물이거나 특히 귀중한 환금작물일 경우에 발생한다. 사이짓기에 이점이 있으려면, 전체 토지 동등비가 1.0을 초과해야 하고 주작물의 부분적 토지 동등비는 1.0에 가깝거나 더 높아야 한다. 핵심 작물에 중점을 두고, 관련된 식물이 어떠한 긍정적 사이짓기 간섭을 제공해야 한다. 앞서 언급된 옥수수-강낭콩-호박 사이짓기가 이러한 상황의 좋은 사례이다. 농민이 옥수수 수확량에 주로 관심을 갖기 때문이다. 강낭콩과 호박에서 일부 추가적 수확량을 얻는다면, 그것들의 부분적 토지 동등비가 매우 낮더라도 옥수수로 얻는 수확량의 이점을 넘어 추가되는 보너스로 간주된다. 양적인 이점은 홑짓기에서 그 성과를 넘어 주작물이 자극되는 범위이다. 


3. 사이짓기 수확량을 결합한 것이 단일 작물의 수확량을 결합한 것을 초과해야 하는 경우. 이러한 상황은 구성요소인 작물 두 가지(또는 모두)를, 특히 제한된 토지에 심어서 재배해야 할 때 발생한다. 사이짓기가 이점이 있으려면, 전체 토지 동등비가 1.0보다 커야 하지만, 혼합의 모든 구성원이 그 과정에서 자신의 부분적 토지 동등비에서 큰 감소를 겪을 수 없다. 부정적 간섭은 그러한 혼합이 이로워지도록 작용할 수 없다. 이런 상황은 토지 동등비 값의 사용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왜냐하면 단일 작물의 비율이 전체 토지 동등비 값에 기반한다는 것이 언제나 명백한 건 아니기 때문이다. 사이짓기 상황에서 간섭은 왜곡된 부분적 토지 동등비로 이어지는 홑짓기의 비율과는 매우 다른 수확량 값을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파종 비율로만 비교할 수 없다. 


이러한 여러 상황을 인지하는 일은 두 가지 이유에서 중요하다. 첫째, 주어진 결합에 대한 연구가 농법에 근거를 두도록 보장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 둘째, 수확량의 이점이 고려되고 있는 상황에 적절한 근거가 확실하고 양적인 측면에서 평가되도록 보장한다. 결국, 최고로 기능을 하는 사이짓기 양식은 농민과 연구자 모두의 기준을 충족시키는 것이다. 특정한 여러 작물을 비교할 수 있는 더 많은 기준을 두려면, 수확량 이외의 수치를 토지 동등비를 계산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Andersen et al. 2004). 이런 측정에는 단백질 함량, 전체 바이오매스, 에너지 함량, 소화할 수 있는 양분 함량, 또는 금전적 가치 등이 포함된다. 그러한 계산이 작물이 농업생태계에 기여할 수 있는다양한 기여도를 평가하기 위한 유사한 지표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동물 사료의 생산을 위한 콩과식물/목초 혼합의 경우 두 가지의 50:50 사이짓기가 2년에 걸쳐 평균 1.36의 건조물질 사료 토지 동등비를, 그리고 같은 기간 동안 1.52의 사료 품질에 대한 토지 동등비 조단백질 추정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런 결과는 혼합에서 더 많은 바이오매스가 생산되었을 뿐만 아니라, 품질 또한 증진되었음을 나타낸다(Seyedeh et al. 2010). 






군집 형성(colonization)과 다양성


지금까지 우리는 농민이 더 많은 종을 심음으로써 다양성을 직접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과 그 또는 그녀가농업생태계에서 "자연적" 다양화가 발생할 수 있는 조건을 생성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탐구해 왔다. 우린 농민이실제로 심지 않은 유기체가 어떻게 체계로 들어가 그곳에서 스스로를 확립하는지에 대한 질문을 무시해 왔다. 이질문은 그 존재가 장려되는 바람직한 유기체 -초식동물의 포식자와 기생자, 이로운 토양 유기체 및 도움이 되는 타감작용의 잡초 같은- 와 농민이 체계에서 배제시키고 싶어 하는 초식동물 같은 바람직하지 않은 유기체 모두에 관한 것이다. 


유기체가 농업생태계에서 어떻게 군집을 형성하는가에 대한 이러한 질문을 해결하기 위하여, 작물의 농지를 유기체가 농업생태계의 종 다양성 가운데 일부가 되기 위해 건너야 하는 "바다"로 둘러싸인 "섬"으로 생각하는 게 도움이 된다. 생태학적 의미에서, 명확하게 다른 생태계로 둘러싸인 모든 고립된 생태계는 섬이다. 둘러싸고 있는 생태계가 섬에 도달하여 군집을 형성하는 유기체의 능력을 제한하기 때문이다. 14장에서 분산과 확립에 대한 우리의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우리는 여기에서 유기체가 실제로 섬에서 군집을 형성하는 것에 대한 연구가 농업생태계에서 군집을 형성하는 것을 이해하는 데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 그리고 이 과정이 농업생태계의 다양성과 어떻게 관련되는지를 탐구할 것이다.





섬 생물지리학 이론

섬에 관한 생태학적 이론의 모음은 섬 생물지리학으로 알려져 있다(MacArthur and Wilson 1967). 섬 생태계는 대개 다른 유사한 생태계와 매우 격리되어 있다는 발상에서 출발한다. 유기체가 섬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하는 일련의 사건은 섬 생태계의 발전을 인도하는 반응의 세트를 움직이게 한다. 섬의 핵심 특성은 유기체가 섬에 도달한 뒤 실제의 지위를 결국 결정하는 많은 상호작용이 유기체가 뒤에 남겨 놓은 지위의 조건과 매우 다르다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은 유기체가 더 많은 잠재적 지위를 점유할 기회를 주거나, 새로운 지위로 확장할 수 있는 특성을 진화시킬 기회를 준다. 이는 특히 최근에 교란된(예, 경운) 농경지와 매우 유사한 환경인 바다에 새롭게 형성된 섬의 경우에 그러하다. "군집 형성이 되지 않은" 농지에 도착한 최초의 해충은 특히 그 농지에 있는 작물의 조건에 적합한 전문가 해충인 경우 그 잠재적 지위를 매우 빠르게 채울 수 있는 기회를 갖는다. 


섬 생물지리학 이론은 한 섬의 종 다양화 과정의 결과를 예측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들 방법은 섬의 크기, 섬으로 분산되는 걸 제한하는 장벽의 유효성, 섬 서식지의 가변성, 이주 근원에서 섬까지의 거리, 섬이 격리되었던 시간의 길이 등을 고려한다. 


섬 체계의 실험적 조작(Simberloff and Wilson 1969)과 섬의 다양성에 대한 연구들은 다음과 같은 원리를 위한 기초를 제공한다. 


•섬이 작을수록 유기체를 발견하는 데 더 오래 걸린다. 

•외래 동식물의 근원에서 섬이 멀수록 그들이 그곳을 찾는 데 더 오래 걸린다. 

•더 작고 더 멀리 떨어진 섬에는 더 작고 더욱 빈약한 몸집의 식물군과 동물군이 있다. 

•섬의 많은 지위가 점유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섬에 도달한 유기체의 대부분이 본토의 똑같거나 유사한 유기체보다 훨씬 더 넓은 지위를 점유한다.  

•초기의 외래 동식물은 그들을 제한하는 포식자와 기생자보다 먼저 도착하곤 하며, 처음에는 매우 빠른 개체군 성장을 경험할 수 있다. 

•군집이 형성됨에 따라, 섬의 지위 구조에 변화가 발생하며 초기의 외래 동식물의 멸종이 일어날 수 있다. 

•가장 일찍 도착한 것들은 주로 r-선택이다.


결국 그 이론은 특정 섬에서 가능한 군집 형성과 멸종 비율을 예측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한 예측은 생태적 조건과 잠재적 종 다양성 사이의 관계 및 멸종과 더 많은 군집 형성 사이의 평형의 확립을 통제하는 요인이 무엇인지 이해할 수 있게 해야 한다. 






농업의 응용

섬과 작물 농경지 사이의 유사점은 연구자들이 섬 생물지리학 이론을 농업에 적용할 수 있게 한다. 한 작물 농경지가 다른 작물로 완전히 둘러싸이거나, 작은 구획이 똑같은 작물의 더 큰 농지 안에 있는 곳에서 실험을 설계할 수 있다. 초기의 사례는 프라이스Price(1976)가 해충과 천적이 대두밭에서 군집을 형성하는 비율을 연구한 것이었다. 그 연구는 실험적인 섬들로 대두밭에 있는 작은 구획들을 이용해 수행되었다. 작은 구획은 대두의 "바다"로둘러싸여, 한쪽 면은 천연림에 접해 있으며 다른 면에는 더 많은 대두밭이 있었다. 군집 형성의 다양한 근원으로부터 서로 다른 거리에 있는 대두밭의 작은 구획들은 전체 농사철 동안 모니터링되어, 해충과 이로운 그들의 조절자 모두의 도착 비율, 풍부함, 다양성이 측정되었다. 더 쉽게 분산된 해충은 대두밭의 내부에 있는 작은 구획에도달한 최초의 유기체였고, 다음으로 그들의 포식자와 기생자의 일부가 뒤를 따랐다. 섬 생물지리학 이론에 의해 에측된 해충과 천적의 종과 개체 사이의 평형은 아마 대두밭의 짧은 생활주기로 인해 도달하지 못했다. 이 연구는 비슷한 성격의 다른 연구들을 북돋았다(Altieri and Nicholls 2004b 참조). 


더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이로운 절지동물이 작물의 농경지로 침투하는 서식지 고속도로 -먹이와 피난처를 제공하는 식생이 자라는 통로- 가 제공되면 농경지를 둘러싸고 있는 그들의 피난처로부터 작물의 농경지로 더욱 쉽게 이동한다고 제시한다(예, Nicholls et al. 2000). 섬 생물지리학 이론의 관점에서, 이것은 대륙부터 섬까지 연륙교를 건설하는 일과 같다. 이 원리가 포토밭에서 어떻게 작동하는지 조사한 연구가 사례연구: 포도밭에서 꽃이 피는 식물의 통로를 사용하여 이로운 곤충의 다양성을 증대하기에 설명되어 있다.


데니스Denys와 챠른트케Tscharntke(2002)는 작물 농경지를 둘러싸고 있는 여러 유형의 가장자리 식생 조각에서곤충의 종 풍부도에 초점을 맞추는 연구를 수행했다. 초식성 곤충에 대한 포식성 곤충의 더 높은 비율이 더 큰 조각들에서 관찰되어서, 포식자와 기생자의 역할이 면적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고 한 섬 생물지리학의 영양 단계 가설을 뒷받침한다. 피사니 가로우Pisani Gareau와 셰넌Shennan(2010)은 캘리포니아 중부 해안의 다양한 채소작물 주변에 자생하는 여러해살이 종의 생울타리를 조사한 결과, 이러한 경계 지역에 많은 수의 이로운 곤충이 있으며 그들은 먹이를 찾기 위해 작부체계로 100m까지 이동한다는 걸 발견했다. 이는 군집 형성의 근원이 생물학적 해충 관리 가능성을 증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고 에측하는 섬 생물지리학 이론의 적응을 뒷받침한다(그림17.6). 



그림17.6 콜리플라워 "섬" 주변에 장벽을 형성하는 유채(Brassica campestris). 유채는 이로운 곤충을 유인하고, 초식성 해충이 작물로 이동하는 걸 지연시킬 수 있다. 




사례연구: 포도밭에서 꽃이 피는 식물의 통로를 활용하여 이로운 곤충의 다양성을 증대하기


캘리포니아의 많은 포도 재배 지역에서, 대규모 단작 포도밭이 경관을 우점한다. 중요한 먹이 자원과 자연 및 비작물 식생이 제공하는 월동지가 상대적으로 부족하기 때문에, 이러한 경관에 존재하는 자연적인 곤충 포식자와 기생자의 숫자는 크게 감소한다. 


이와 대조적으로, 포도 재배자들이 더 작은 포도밭을 경영하고 포도밭의 둘레에 자연 식생 구역과 강기슭의 통로를 유지하여 더욱 다양한 경관을 보유하거나 창출하는 곳에서는 자연의 포식자와 기생자의 존재가 북돋아져 왔다. 이로운 곤충의 다양성을 증대시키는 경관 다양화 방법의 긍정적 효과는 다양한 농업생태계에서 입증되어 왔다(Coombes and Sotherton 1986; Thomas et al. 1991; Corbett and Plant 1993; Altieri 1994a).


자연 및 기타 비작물 식생의 조각과 구역이 홑짓기 포도밭 사이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이러한 더 다양한 포도 재배 지역에서, 곤충 포식자 및 초식동물 개체군의 역학에 대한 분석은 섬 생물지리학 이론의 좋은 응용이다. 이들 경관에서 포도 홑짓기는 이로운 곤충이 일년 내내 살지 않는 대신 그들의 먹이와 숙주가 존재할 때 인접한 비작물 식생에서 그곳으로 분산된다는 의미에서 "섬"이다. 


니콜스Nicholls 외(2000)의 연구는 비작물 식생이 이미 포도밭에 인접해 존재한다면, 이로운 곤충의 생물다양성으로 인한 긍정적 효과가 가까운 자연 식생과 인접한 꽃이 피는 식물의 통로로 포도밭을 관통시키는 비교적 간단한 방법으로 크게 향상될 수 있다는 것을 밝혔다. 그 통로는 서식지와 "생물학적 고속도로"로 이로운 곤충에게 기여하여, 그들이 비농업 지역에 있는 그들의 레퓨지아에서 포도밭 깊숙한 곳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그림17.7).   


그림17.7 캘리포니아에 있는 포도밭의 내부를 관통하고 있는 꽃이 피는 식물의 통로. 통로는 강기슭의 숲(배경)에 있는 그들의 레퓨지아에서 포도밭으로 이로운 곤충의 이동을 촉진한다. 



연구진은 딱 한 가지 측면에서만 달랐던 인접한 두 곳의 포도밭 구역을 비교했다. A구역은 경계를 이루는 강기슭의 숲과 인접한 600m 길이의 비작물 식생의 통로로 양분되었다. B구역은 경계를 이루는 숲은 있지만 유사한 통로가 없었다. A구역에 있는 통로는 회향(Foeniculum vulgare), 서양톱풀(Achillea millefolium), 개망초(Erigeron annuus), 부들레야(Buddleia spp.)를 포함한 지역에 적응한 꽃이 피는 식물 65종이 살고 있었다.이들 식물 대부분은 토종은 아니지만 특별히 잡초도 아니다(회향은 예외이다. 그러한 통로에 이용하려면 주의해야 함). 


다양한 표본조사 방법으로 연구진은 다음과 같은 패턴을 관찰할 수 있었다.


•통로는 칠성풀잠자리, 난방애꽃노린재, 딱부리긴노린재, 쐐기노린재 및 여러 종의 꽃등애, 무당벌레, 꽃벼룩, 거미류를 포함한 절지동물 포식자의 건강한 다양성을 지원했다.  

•보편가 포식자의 다양성은 식물 통로가 있는 포도밭 구역에서 전반적으로 더 높았다. 

•통로가 있는 포도밭 구역에서, 현존하는 주요한 포도 초식동물의 숫자(서부 포도매미충과 꽃노랑총채벌레)는 식물 통로 근처에서 가장 낮고 한복판에서 가장 높았다. 다른 포도밭 구역에서, 이들 초식동물은 구역 전체에 고르게 분포되었다.

•대부분의 보편가 포식자는 통로가 있는 구역에서 밀도의 기울기를 나타냈으며, 식물 통로 근처에서 가장 큰수치에 도달했다. 다른 구역에서, 이들 보편가 포식자들은 더 고르게 분포되었다. 

•기생말벌(Anagrus epos)에 의한 매미충 알의 기생 비율은 두 포도밭 구역에서 거의 똑같았다. 


이런 결과는 익충 -기생말벌은 제외하고- 의 생물다양성에 인접한 강기슭 숲의 긍정적 효과가 A구역의 꽃이 피는 식물 통로에 의해 증폭되었다는 걸 보여준다. 무당벌레와 풀잠자리에게는 통로가 진딧물과 기타 매미충류의 형태로 먹이를 제공했다. 꽃등에에겐 꿀과 꽃가루를 공급했다. 애꽃노린재 같은 포식성 곤충에겐 중립적인 곤충 먹이를 제공했다. 이러한 먹이 자원을 제공함으로써 통로는 익충이 포도밭으로 더 깊숙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했다. 섬의 생물지리학 관점에서, 통로는 홑짓기 "섬"의 크기를 효과적으로 줄여 익충들의 "군집 형성"을 촉진한다. 


섬 생물지리학 이론의 응용과 다양성의 가치를 입증하는 외에도, 이러한 연구는 경관의 규모에서 다양성과 생태학적 과정을 살펴보는 일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자연 식생과 비작물 지역의 자투리를 포함하는 더욱 다양한농업 경관을 허용하고, 창출하거나 보유하는 농법은 여러 가지 이유로 권장되어야 하며, 이는 우리가 23장에서 더 상세히 탐구할 개념이다. 


섬 생물지리학의 이론에서 개발된 개념을 사용하여, 해충의 도착을 늦추거나 체계로 익충의 이동을 촉진시키는 등과 같은 방식으로 작부체계에서 "섬 상태"를 조작할 수 있다. 그러한 접근법은 곤충과 잡초, 질병 유기체와 함께 일할 가능성이 있다. 이상적으로, 우리는 개체군 구조를 예측할 수 있는 지점에 이르길 바라며, 그 결과 그러한 정보를 사용해 작물 농경지의 최적 크기, 경관에서 그들의 배열, 작물 사이의 거리, 분리가 효과가 있는 시간, 그리고 이것이 대상 작물 사이의 지역에 있는 작물이나 기타 식생의 종류에 의해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를 알아낼 수 있다. 다시 말해, 우리는 매우 복잡한 요인들의 세트를 다루고 있지만, 농생태학의 맥락에서섬 이론을 활용하는 잠재력이 크다(표17.7).



유기체의 유형

근원

장벽 변수

섬 변수

연구 질문

초식성 해충

둘러싸고 있는 작물 농지

장벽의 유형


작물 농지로 해충의 분산을막는 효과적인 장벽은 무엇인가?

초식성 해충

둘러싸고 있는 작물 농지

장벽의 크기


비슷한 작물의 농지 사이에 어느 정도 떨어진 거리가 한 농지에서 다른 농지로 해충이 확산되는 걸 가장 잘 방제하는가?

바라지 않는 잡초

둘러싸고 있는 작물 농지

유형, 크기, 장벽의 성격(예, 바람막이)


작물 농지로 잡초가 분산되는 걸 막는 효과적인 장벽은 무엇인가?

초식동물의 포식자

체계의 외부 어디나


대안 숙주를 위한 서식지

포식자의 군집 형성은 어떻게 장려될수 있는가?

질병 유기체

둘러싸고 있는 작물 농지


섬의 크기

질병 유기체가 발견하거나 도달하기 더 어려운 작은 작물 섬이 있는가?

바라지 않는 잡초

둘러싸고 있는 작물 농지


지위의 점유

점유된 지위가 새로운 외래 유기체의침입에 저항할 수 있는가?

이로운 곤충

체계의 외부 어디나

작물 농지 주변의 띠 모양 작부

작물 농지 안의 통로

작물 사이의 지역이 익충을 유인하고 보유하는 방식으로 다양화될 수 있는가?







다양성, 탄력성, 그리고 지속가능성


농업생태계의 다양성은 농지에서 작물의 특정한 배열, 서로 다른 농지가 배열되는 방식, 서로 다른 농지가 농업 지역의 전체 농업 경관 가운데 일부를 형성하는 방식 등을 포함하여 여러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다양성이 증가함에 따라, 우리는 작물과 비작물 요소 모두를 포함한 농업생태계의 구성요소 부분들 사이의 상호작용으로 이어지는 긍정적인 간섭의 형태를 활용할 수 있다. 농생태학자의 과제는 농사 체계로 다양성을 도입하고, 현실적으로 중요한 생태계 기능의 여러 구성요소들을 통합하며, 그러한 다양성을 장기간에 걸쳐 관리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이점을 입증하는 일이다. 


부분적으로 이러한 과제를 충족시키는 일은 이번 장에서 제시된 여러 종류의 다양성과 체계의 저항성 및 탄력성 사이의 관계를 알아낸다는 걸 의미한다. 농업생태계의 각 종들은 탄력성과 저항성을 유지하는 과정과는 다른 무언가를 가져오기에, 농생태학 연구의 중요한 부분은 각 종들의 기여를 이해하고 최적의 시기와 장소에 각 종들을체계에 통합하기 위하여 이 지식을 활용하는 데 초점을 맞추는 것이다. 이러한 통합이 일어남에 따라, 체계의 신생 특징이 나타나 최고의 신생 특징 -지속가능성- 이 발전할 수 있도록 한다. 


가장 지속가능한 농업생태계는 일종의 모자이크 형태의 구조와 발달 양식을 가진 것일 수 있다. 이러한 농업생태계는 한해살이, 여러해살이, 떨기나무, 나무 및 동물 등이 혼합된 조각보 수준의 다양성을 갖는다. 아니면 가장 지속가능한 체계는 적용된 관리 유형에 따라 여러 단계의 발달이 동시에 발생하는 것일 수 있다. 그러한 체계는 더 단순한 지상의 식물 체계를 갖더라도 더욱 성숙한 토양의 하부조직이 발달될 수 있도록 최소 경운을 통합시키거나, 두둑별 작부나 생울타리를 이용해 농장의 경관 전반에 걸쳐 모자이크 수준의 발달과 다양성을 창출할 수 있다. 일단 다양성의 한도가 확립되면, 쟁점은 다음 장에서 탐구할 교란의 빈도와 강도 가운데 하나가 된다.    







생각거리


1. 섬 생물지리학 이론에 기반을 둔 해충 관리 전략을 기술하라.


2. 농업생태계의 한 구성요소의 다양성 부족이 다른 구성요소의 더 큰 다양성으로 보상될 수 있는 상황을 설명하라. 


3. 농업생태계에서 다양성과 위험의 회피 사이의 연결은 무엇인가? 당신의 견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사례를 제시하라.


4. 홑짓기로 하나만 심을 때보다 사이짓기에서 작물이 더 많은 수확량을 생산할 수 있게 하는 몇 가지 가능한 메커니즘은 무엇인가? 


5. 농민들이 더욱 다양한 농사 체계로 전환하는 걸 가로막는 주요한 장애물은 무엇인가? 필요한 장려책을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종류의 변화가 일어나야 하는가?


6. 통합 해충 관리(IPM)의 성공적인 활용을 가장 잘 촉진할 수 있는 농업생태계 다양화의 형태는 무엇인가?


7. 왜 세계의 열대지방에서 온대지방보다 사이짓기와 혼농임업 농업생태계가 더 흔한가?







인터넷 자료


Agroecology in Action 

http://www.agroeco.org

The website of Professor Miguel Altieri, at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with extensive material on agroecological pest and habitat management. 


Cedar Creek Ecosystem Science Reserve 

http://www.cbs.umn.edu/explore/cedarcreek

An important long-term ecological research site at which scientists carry out long-term vegetation diversity experiments and studies in prairie ecosystems. 


Kellogg Biological Station, Long Term Ecological Research Site 

http://www.lter.kbs.msu.edu

One in a network of long-term ecosystem study sites (LTER) where research aims to understand the ecology of Midwest cropping systems and agricultural landscapes. They study interactions among plants, microbes, insects, management, and the environment to learn how agriculture can provide both high yields and environmental outcomes that benefit society. 


The Land Institute 

http://www.landinstitute.org

A well-known research and training center in Salina, KS, which has focused on agroecosystem diversity management through its natural system agriculture approach.









읽을거리


Altieri, M. A. and C. Nicholls. 2004. Biodiversity and Pest Management in Agroecosystems, 2nd edn. Howarth Press: Binghamton, New York. 

A review of the role of vegetational diversity in insect pest management, combining an analysis of ecological mechanisms and design principles for sustainable agriculture.


Carlquist, S. 1974. Island Biology. Columbia University Press: New York. 

An excellent overview of the biological and evolutionary processes characteristic of island ecosystems. 


Gaston, K. J. and J. I. Spicer. 2009. Biodiversity: An Introduction. Wiley Publishers: Hoboken, NJ. 

An overview of what biodiversity is, its relevance to humanity and issues related to its conservation. 


Golley, F. B. 1994. A History of the Ecosystem Concept in Ecology. Yale University Press: New Haven, CT. 

A full review of the development and importance of the ecosystem concept. 


Loreau, M. 2010. From Populations to Ecosystems: Theoretical Foundations for a New Ecological Synthesis. Princeton University Press: Princeton, NJ. 

A comprehensive and critical overview of recent empirical and theoretical research on the need for and value of an integrated ecological approach for understanding the important links between biodiversity and ecosystem function. 


Ricklefs, R. E. 2008. The Economy of Nature, 6th edn. W. H. Freeman and Company: New York. 

A very balanced review of the field of ecology that links basic principles with an understanding of environmental problems. 


Smith, R. L. and T. M. Smith. 2012. Elements of Ecology, 8th edn. Prentice-Hall: New York. 

A text of general ecology that provides an overview of the discipline with an excellent focus on applications in the field.


728x90
728x90

농생태학: 지속가능한 먹을거리 체계의 생태학







15장 유전자원


초기의 인간 문화가 가치 있는 것으로 밝혀진 특정한 식물과 동물에 대한 활용과 돌봄을 강화함에 따라 농업이 일어났다. 이 과정 동안, 인간은 우연히 이들 유용한 유기체에서 특정한 형질과 특성을 선택하여 시간의 경과와 함께 그 유전적 구성을 변경했다. 식용 또는 유용 바이오매스를 생산하는 그들의 능력은 향상되었지만, 인간의 개입 없이 생존할 수 있는 능력은 감소했다. 인간은 먹을거리, 사료, 섬유 등을 위해 이들 작물화, 가축화된 종에의존하게 되었고, 그들 대부분은 우리에게 의존하게 되었다. 이러한 인간과 길들여진 종들 사이의 상호의존성은 농업의 본질이며, 그것은 유기체의 게놈을 간접적으로 조작함으로써 가능해졌다. 


인류 역사의 대부분 동안 인간은 유전학에 대한 명백한 지식 없이도 작물과 가축의 유전적 구성을 조작했다. 농민은 단순히 가장 바람직한 특성을 나타내는 개체나 개체군에서 얻은 종자를 심거나 동물을 사육하는 선택을 했고, 이는 작물과 가축의 진화를 유도하기에 충분했다. 점차 식물과 동물의 육종은 우리가 선택의 유전적 기초에 관해 더 많이 배우고 우리의 이익에 더 분명하게 가도록 하기 시작함에 따라 과학으로 발전했다. 오늘날, 생명공학과 유전공학 분야는 인간이 길들여진 종의 게놈을 소유하며 전에 없던 속도와 방식으로 식물과 동물에 형질과 특성을 통합할 수 있게 되면서 급속하게 힘을 확대하고 있다.


그러나 지속가능성의 관점에서 볼 때, 지난 수십 년 동안 이루어진 작물과 가축의 육종을 위한 노력의 방향 -및 미래를 위해 제시된 방향- 에 깊은 우려가 일어나고 있다. 농업의 유전적 기반은 인간 사회가 몇 종의 식용 유기체와 이들 종에서 발견되는 유전자와 유전자 조합의 숫자가 더 적어지는 데에 점점 의존하게 됨에 따라 위험한 지점까지 줄어들었다. 작물은 해충과 질병에 대한 유전적 기초 및 불리한 환경 조건에 견딜 수 있는 능력의 대부분을 상실하여 흉작으로 이어지고, 최적 성장 조건들을 유지하기 위해 인간에서 유래되는 투입재와 기술에 더욱 의존하게 되었다. 게다가 작물 그 자체를 넘어 유전자원 -야생의 작물 근연종, 잡초의 파생물, 전통적 토종 품종, 유전적 라인, 육종 비축물- 이 크게 감소했다. 


유전학과 농업 사이의 관계는 방대한 주제이다. 이번 장에서는 농업이 지속가능성을 향해 이동하는 데에 유전적 다양성의 역할이 무엇인지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토대에 초점을 맞추어 그 일부분을 탐구한다. 우린 자연에서 일어나는 유전적 변화와 그것이 어떻게 유전적 다양성을 초래하는지 검토하고, 인간이 길들여진 종(작물에 초점을 맞추어)에서 유전적 변화를 유도하고 조작하고자 사용하는 과정을 서술하며, 농업이 체계적으로 농업생물다양성을 감소시키는 방식을 살펴보고 어떻게 유전자원을 적절히 관리하여 농업생물다양성을 보존할 수 있는지 논의한다. 





자연에서 일어나는 유전적 변화와 유전적 다양성의 생산


지질 연대의 관점에서 볼 때, 지구의 식물상과 동물상은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다. 종의 신체와 행동의 특성들이 변하고, 새로운 종이 나타나며, 다른 종들은 멸종한다. 진화라고 부르는 이런 변화는 부모로부터 자손에게로 형질이 전해지고, 환경 조건의 변화에 의해 추동되는 방식으로 가능해진다. 빙하기가 왔다가 사라지고, 대륙이 이동하며, 산이 새로 나타나고 침식됨에 따라 살아 있는 것들이 반응한다. 자연 선택을 통해 변화하고 달라지는 환경이 종의 게놈에 작용하여 변화를 일으킨다. 이는 세대에서 세대까지는 눈에 띄지 않지만, 수천에서 수백만 년에 걸쳐 변화가 축적되면 극적으로 드러난다. 


자연 선택은 자연에서 발견되는 유전적 다양성을 창출해 왔으며, 인간이 동식물을 길들이고 농업생태계를 만드는 데에 활용한 원자재이다. 그러므로 자연 선택이 어떻게 작용하는지, 인간이 유도하는 유전적 변화와 농업 유전자원의 유지에 어떻게 적용되는지 이해하는 게 중요하다. 






적응

적응이란 개념은 환경과 종의 형질을 관련시키기 때문에 자연 선택을 이해하는 기초이다. 이 용어는 과정과 그 과정으로 인해 생성되는 특성을 모두 가리킨다. 고정적인 용어로, 적응은 유기체가 환경의 조건을 견디고 번식할 수 있게 하는 데에 가치 있는 유기체 또는 그 일부분의 어떠한 측면이다. 적응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유기체가 자원을 더 잘 이용할 수 있게 한다. 

•환경의 스트레스와 압력으로부터 보호를 제공한다. 

•유기체의 이익을 위해 지역의 환경을 변경한다. 

•번식을 촉진한다.


자연에 존재하고 있는 어떠한 유기체도 생존하기 위하여 매우 많은 적응을 해야 한다. 이론적으로, 거의 모든 유기체의 행동과 신체의 특성들은 적응이다. 이를 언급하는 또 다른 방법은 어느 시점에서나 자연적으로 존재하고 있는 유기체는 항상 그 환경에 적응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특정 종에 의해 소유된 적응은 환경이 늘 변화하고 유기체가 끊임없이 적응하기 때문에 반드시 오랜 기간에 걸쳐 동일하게 유지되지는 않는다. 적응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하는 과정을 적응이라고도 하며, 그 과정이 자연 선택이란 측면으로 이해된다. 



그림15.1 멕시코 오악사카 시장에서 판매하는 콩의 다양성. 전통적 품종은 지역의 생태적, 문화적 다양성을 반영한다. 





변이와 자연 선택

유성생식으로 번식하는 종의 개별 구성원들은 서로 동일하지 않다. 인간 사이에 존재하는 변이는 비록 우리가 그걸 항상 분간할 수 없을지라도 다른 종들에 반영된다. 이러한 자연적 가변성은 유전자형 -개체에 의해 전달되는 유전적 정보- 의 차원과 표현형 -유전자형의 신체 및 행동의 발현- 의 차원에 모두 존재한다. 


어떤 개체군을 대상으로 개체의 숫자를 조사하면 표현형의 가변성의 존재가 신속히 입증된다(그림15.2). 식물에있는 잎의 숫자부터 어느 동물의 꼬리 길이에 이르기까지 어떤 특성은 가변성의 범위를 보여준다. 각 특성에 대한 평균값이나 최빈값이 발생하고, 각 형질에서 변이가 도수 분포로 그래프로 그려지면 확률의 정규 곡선(종 모양의 곡선)을 따르는 경향이 있다. 일부 개체군들은 매우 좁은 범위의 변이를 나타내는 한편, 다른 개체군들은 훨씬 더 넓게 나타난다. 비록 표현형 변이가 유전자형 변이와 직접적으로 연관성이 있는 건 아니지만, 대개는 중요한 유전자형의 기초를 갖는다. 



그림15.2 멕시카 타바스코에 있는 농민의 농지에서 나온 호박 열매의 가변성. 하나의 열매에서 나온 종자가 농지에 심는 데 이용되었다. 





종 안의 유전적 가변성은 주로 DNA 복제의 본질에 기인한다. DNA가 항상 완벽하게 복제되는 것은 아니다. 돌연변이라고 부르는 다른 유형의 오류가 항상 어떤 빈도로 발생한다. DNA 복제는 번식을 위한 전제 조건이기에, 새로운 개체는 끊임없이 돌연변이와 함께 나타난다. 일부 돌연변이는 치명적이고, 일부는 해롭고, 일부는 중립적이며, 단 몇 가지만 이로운데, 모든 돌연변이는 유전적 차이를 나타내기에 유전적 가변성을 표현한다. 대부분의 돌연변이는 단순히 DNA 분자의 뉴클레오티드 배열에 일어나는 단일한 변화이다. 그 자체로는 별 중요한 효과가 없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합쳐져 더 큰 열매, 서리 저항성이나 기어오르기 위한 덩굴손의 추가 같은 근본적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가변성은 유성생식에 의해 생성되기도 한다. 두 개체가 유성생식으로 번식할 때, 각각의 유전자는 다른 생식세포(성세포)로 따로 분배되고, 생식세포가 수정하면서 결합될 때 생식세포에서 전달된 유전 물질이 새로운 방법으로 혼합된다. 변이도 염색체가 삭제되거나 전위될 때, 또는 상동 염색체가 첫 번째 감수분열에서 분리되지 않을 때 감수분열(생식세포의 형성)하면서 도입된다. 


후자 종류의 "오류"는 일반적인 염색체(일배체) 대신 각각의 염색체(이배체)의 두 가지 복사본을 가지고 있는 생식세포를 생성한다. 이런 이배체 생식세포 가운데 하나가 정상적인 일배체 생식세포와 융합되면 염색체의 일배체 숫자가 3배인 접합체가 생길 수 있고, 이배체가 또 다른 감소되지 않은 이배체와 융합하면 일배체 숫자의 4배인 접합체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한 염색체 숫자의 증가는 특히 식물에서 중요한 유전적 다양성의 또 다른 근원을 나타낸다. 배수체(Polyploid)라고 부르는 이배체 이상의 염색체를 지닌 식물은 전형적으로 그 이배체과는 다른 특성을 가지며, 자연에서 비교적 흔하게 발생한다. 


자연적인 유전적 변이 때문에, 개체군의 일부 개체는 다른 개체가 소유하지 않은 형질을 갖거나, 다른 개체보다 더 크거나 작은 특정 형질을 나타낼 것이다. 이들 형질은 그걸 소유한 개체에게 살아가는 데 특정한 이점을 줄 수있다. 이들 개체가 더 빨리 성장하고 더 많은 숫자가 살아남거나, 어떤 번식의 이점을 가질 수 있다. 그런 요인들로 인해, 그들은 다른 개체보다 더 많은 자손을 남길 수 있어서 개체군 전체에서 그들의 유전적 물질의 표현을 증가시킨다. 그것은 어떤 종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유전적 변화를 겪는 차별화된 번식의 성공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런 변화의 방향과 방식은 자연 선택에 의해 결정된다. 이는 환경 조건에 따라 어떤 형질이 이점을 가져와서 개체군의 빈도가 증가하는지 결정하는 과정이다. 개체군이 살았던 환경이 완전히 최적이며 결코 변하지 않는다면, 유전적 변화가 일어나지만 그것을 유도하는 자연 선택은 없을 것이다. 그러나 환경 조건은 늘 변화하고 있으며 최적인 상황은 결코 오래가지 않기 때문에, 자연 선택은 항상 어떤 수준에서 발생한다. 기후 같은 요인의 장기적 변화 이외에도, 자연 선택은 다른 종의 개체군 성장, 이주를 통한 새로운 종의 출현, 포식자와 초식동물의 진화, 침식과 퇴적, 천이 및 기타 과정으로 인한 미소서식지의 변화 같은 환경의 변화에 의해 유발된다. 


자연 선택은 전체 종이 아니라 개체군에 작용한다. 한 종의 개체군이 그 종의 나머지로부터 번식적으로 격리된다면, -즉, 물리적 장벽이 그 구성원들을 다른 개체군의 구성원과 이종교배하는 걸 막는다면- 그 개체군은 독특한 방식으로 유전적 변화를 겪을 수 있다. 공간과 시간에 걸쳐 환경은 결코 균질하지 않기 때문에, 격리된 개체군은 그 종의 다른 개체군보다 어느 정도 다른 선택 압력을 받게 된다. 그러므로 한 개체군이 유전적으로 격리되면 그들은 어느 정도 다르게 진화하는 경향이 있다. 생물지리학적으로 그 종은 개체군의 모자이크가 되고, 각각은 유전적으로 독특한 생리학적, 형태학적 특성을 갖는다. 각각의 별개의 개체군은 생태형이라 한다. 진화의 시간을 통해 생태형은 그 종의 다른 생태형과 충분히 구별될 수 있어 그 자체로 별개의 종이 된다. 


생태형의 발달을 일으키고 종 분화를 추동하는 진화의 과정은 지구 생물상의 유전적 기초를 끊임없이 다양화하고있다. 종이 멸종하더라도 새로운 종이 항상 진화하고 있으며, 많은 기존 종의 게놈이 시간의 경과와 함께 더욱 변화하고 있다. 그러나 오늘날 우리의 큰 두려움 가운데 하나는 농업을 포함한 인간의 활동이 근본적으로 이 과정을 변경시키고 있다는 점이다. 우리의 자연 서식지의 파괴, 변경 및 단순화는 멸종률을 크게 증가시키고 생태형들을 제거하기에, 자연의 유전적 다양성과 그것이 재생될 잠재력을 좀먹고 있다(Wilson 2002).






직접 선발과 길들임


농업의 문맥에서 유전적 변화는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개체군의 유전적 변화와 크게 다르다. 인간은 농업의 종이 살고 있고, 성장하며, 번식하는 환경을 구축하고 조작하여서 그들에게 완전히 다른 선택 압력의 세트를 생성한다. 인간은 어느 형질이 가장 바람직한지 결정하고, 이런 형질을 그 종을 경작하고 번식시키는 방식으로 선별한다. 인간은 농업 개체군의 유전적 변화를 "지휘하기" 때문에, 이런 유전적 변화가 발생하는 과정을 직접 선발이라 한다. 


오늘날 농업의 종 -식물과 동물 모두- 은 차츰 자연 선택에 의해 지배되는 자연계로부터 직접 선발이 운영되는 인간이 통제하는 체계로 그 맥락을 이동시킴으로써 길들여졌다. 약 1만-1만2천 년 전, 인간은 오늘날의 농민들이 하듯이 엄격히 통제된 농업 환경을 조성하지 못했다. 식물의 경우 그 서식지를 변경하고, 번식을 촉진하며, 경쟁자를 방제하고, 때로는 그들을 더 형편이 좋은 장소로 이동시킴으로써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특정 종들을 돌보아주었다. 동물의 경우 초식동물의 무리를 더 가까이 따라다니고, 그들을 포식자로부터 보호하기 시작하며, 사료를 제공하곤 했다. 자연 선택은 그러한 체계에서 여전히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인간의 개입이 아직 유용한 종들이 자연 환경의 혹심함 속에서 살아남아야 한다는 사실을 극복하기엔 충분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길들임의 과정은 인간이 유용한 식물과 동물이 발생한 환경을 더 잘 변경하고 통제하며, 의도하지 않게 특정한 유용 형질을 선별하기 시작하면서 이들 종의 번식을 어느 정도까지 관리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시작되었다. 길들이는 과정이 진행됨에 따라, 초기의 농경민들이 더 많고 더 예측할 수 있는 수확량을 가진 식물에서 종자를 선택하고 초기 목축민들은 예를 들어 가장 많은 젖을 생산하는 염소를 번식시키려 선택하면서 선발이 더 의도적으로 이루어졌다. 길들임의 과정에서 자연 환경의 차폐 효과는 덜 중요해지고 직접 선발이 더 큰 역할을 맡았다. 결국, 작물과 가축 종은 농업생태계의 밖에서는 더 이상 생존할 수 없을 정도까지 그 유전적 구성이 변경되는 지점에 도달했다. 


길들여진 종들은 인간의 개입에 의존하고, 인간 종은 이제 길들여진 식물과 동물에 의존한다. 생태학적 측면에서, 이러한 상호의존성은 절대적 상리공생으로 간주될 수 있다. 이는 상호간의 변화 과정을 거쳐 일어난 것이다. 인간의 문화는 특정한 유용 종들의 유전적 구성을 변화시키고, 그러한 변화의 결과 그들 스스로 변형되었다. 





작물과 가축에게서 선발된 형질

오늘날의 작물과 가축은 수천 년에 걸쳐 많은 선발 압력을 받았다. 식물에서, 인간은 최적 수확량과 매력적인 맛과 외관, 수확의 용이성, 그리고 최근에는 비료와 물 적용에 대한 빠른 반응과 가공의 용이성, 운송으로 인한 손상에 대한 저항성, 더 긴 유통기간, 유전적 균일성 등을 위해 선발해 왔다. 동물에서, 우리는 온순함, 더 쉽게 관리할 수 있는 번식 주기, 바라는 부분과 산물 -더 좋은 양털, 더 크고 많은 계란, 더 많은 젖이나 근육 조직 등- 의 빠른 성장과 최대 생산을 위해 선발해 왔다. 


이런 선발 과정은 다른 것들 중에서도 길들여진 종의 생리와 형태를 크게 변경시켰다. 길들여진 식물에서, 탄소 분할은 야생 종에서 일어나는 탄소 분할과는 매우 다르게 운영된다. 작물은 그들이 유래된 자연의 종이 하는 것보다 식용 또는 수확할 수 있는 부분에 훨씬 더 많은 바이오매스의 몫을 저장한다. 결과적으로, 환경 저항성 -환경에서 스트레스와 위협 또는 제한된 요인을 견딜 수 있는 능력- 을 부여하는 형질이나 행동에 사용하기 위한 에너지는 더 적게 분할된다. 또한 환경 저항성을 부여했던 많은 형질이 그 유전자형에서 모두 상실되었다. 유사한 변화가 길들여진 동물 종에서 발생했다. 그들의 생리와 형태의 유전적 기초에서 일어난 이런 근본적 변화로 인하여, 많은 길들여진 종과 품종들은 완전히 인공적이고 최적화된 조건을 필요로 한다. 식물의 경우, 이는 이상적인 토양 수분, 양분 가용성, 온도 및 햇빛만이 아니라, 그들이 선발된 다수확 형질을 잘 수행하고 표현하기 위한 해충의 부재 등을 의미한다. 동물의 경우, 이는 통제된 기후 조건, 항생제, 인공 수정(미국에서 거의 모든 칠면조 생산을 차지하는 칠면조 품종은 동물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신체 구조와 추가의 고기 때문에 인간의 도움 없이는 번식할 수 없음)을 의미하곤 한다.   


그러므로 농업에서 직접 선발은 우리를 어려운 상황으로 이끌었다. 우리의 주요 작물 품종은 설계한 것처럼 성과를 낼 수 있도록 무기질 비료, 살충제, 제초제 및 관개용수 같은 외부 투입재를 필요로 하고, 우리의 길들여진 여러 동물들은 호르몬과 항생제, 고도로 통제된 조건 및 고도로 가공된 사료를 필요로 한다. 하지만 그러한 외부 투입재는 환경과 인간의 건강 및 토양 자원의 악화에 악영향을 미치는 농업의 주요한 원인이다. 인간이 작물과 가축의 성장을 보호하고 촉진하기 위해 개발한 많은 방법과 물질을 사용을 제한하는 조치가 취해지면, 수확량과 생산은 나빠질 수 있다. 


이 문제는 작물에 대한 살충제 사용과 관련하여 특히 애를 먹는다. 식물의 초식을 견디는 자연적 능력 -형태학적 적응, 상리공생적 상호작용, 불쾌한 화합물의 생산 및 기타 방법을 통하여- 은 다른 형질의 개발을 희생시키면서 대부분 상실되어 왔다. 농업생태계는 초식을 통한 작물의 상실을 막고자 살충제 사용에 의존하게 되지만, 살충제사용은 초식동물 개체군에 대한 선택적 압력이 되어 살충제 저항성으로 진화하도록 하여 더 많은 살충제의 적용이나 새로운 살충제 유형의 지속적 개발이 필요하게 만든다. 


근본적 문제는 개별 종과 품종의 유전적 구성 뿐만 아니라, 전체 농업생태계의 구조와 조직으로부터 환경 저항성의 형질을 상실해 왔다는 것이다(17장 참조). 그러므로 길들여진 종의 게놈으로 환경 저항성을 다시 통합시키려는 시도는 개별 종과 품종의 수준에서만이 아니라 농업생태계의 수준에서 노력해야 한다. 



특별 주제: 농업의 기원


1만-4천 년 전 사이에 각각의 지리, 기후, 토착 식물상과 동물상을 가진 세계 여러 지역에서 독자적으로 농업이 발생했다. 초기 농업의 발달에 대해 널리 알려진 여섯 곳의 중심이 그림15.3의 지도에 나와 있다. 중국에 있는 중심은 때로는 남쪽의 양쯔강 계곡과 북쪽의 황하 계곡이란 두 가지 부중심으로 나뉜다. 동남아시아와 남태평양의 "중심"은 나타난 것보다 좀 더 넓은 영역으로 확산되어 퍼져 있다. 어떤 연구자는 이 목록에 다른 중심들을 추가한다. 하나는 북아메리카의 오하이오와 미시시피강 계곡에 있고, 다른 하나는 인도 아대륙에 있다. 


이들 지방이 공통적으로 가진 것은 높은 자연적 생물다양성, 다양한 지형과 기후 및 식용 식물 종들의 더 집약적인 관리를 통한 잠재적 이익을 활용할 준비가 된 인간 문화이다. 각 중심에 있는 지역의 식물상은 식물의 과와 속이 뚜렷한 집합체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각 지방에서 작물화된 식물의 종류는 매우 다양했다.  


그림15.3 초기 농업의 중심과 식물의 작물화





식물의 직접 선발 방법

농민과 작물 육종가는 자연 선택과 유사한 간접적 수단부터 식물의 게놈에 직접적으로 작용되는 첨단 기술에 이르기까지, 여러 방법으로 작물의 종과 품종의 유전적 구성을 변화시킨다. 이런 후자의 방법은 그 자체가 선발이 아니며 지속가능성의 관점에서 특별한 우려를 일으키기 때문에, 이 장의 다음 절에서 따로 논의한다. 


특정 종에 사용될 수 있는 직접 선발의 방법은 번식하는 방식에 달려 있다. 어떤 식물 종(여러해살이보다 한해살이에 더 많음)은 주로 제꽃가루받이(자가수분)로 번식한다. 이들은 식물 꽃의 암술 부분이 똑같은 식물에서 온 꽃가루에 의해 수정되는데, 종종 같은 꽃에서 온 꽃가루로 수정된다. 다른 식물 종(한해살이보다 여러해살이에 더 많음)은 다른꽃가루받이(타가수분)에 의해 주로 번식한다. 그러한 식물은 전형적으로 개체의 암꽃 부분이 다른 식물에서 온 꽃가루에 의해서만 수정되도록 하려고 일종의 형태, 화학 또는 행동에 관한 적응을 한다.     





집단 선발

비교적 최근까지도 직접 선발의 유일한 방식은 다수확 능력 또는 질병 저항성 같은 더 바람직한 하나 이상의 형질을 나타내는 개체군에서 그런 개체들을 모아서 그 종자를 이용해 다음 농사철에 심는 것이었다. 집단 선발이라부르는 이 방식은 개체군에서 형질이나 형질들의 상대적 빈도를 점진적으로 바꿀 수 있다(그림15.4). 집단 선발 방법을 통하여 전 세계의 농민들은 토종이라 부르는 품종을 개발해 왔다. 토종은 지역의 조건에 적응하며, 전체적으로는 유전적으로 별개이긴 하지만 그 구성원들은 유전적으로 다양하다(그림15.5).


그림15.4 집단 선발 과정. 바람직한 특성들을 선발하는 이 방식은 지역의 조건에 대한 적응을 유지하며 유전적 가변성을 최대로 허용한다. 




그림15.5 멕시코 타바스코의 저지대에서 집단 선발된 지역의 토종 옥수수 네 가지. 각 토종은 다른 이름, 파종시기, 선호하는 장소가 있다. 




집단 선발은 제꽃가루받이와 다른꽃가루받이 식물 모두에서 비슷하게 작동한다. 다른꽃가루받이 식물이 관련될 때, 집단 선발은 방임 수분이 발생하는 걸 허용한다. 또한 타교잡으로 알려진 개체군의 구성원들 사이에서 일어나는 이러한 자연적인 꽃가루의 혼합은 유전자형 변동성을 높인다. 제꽃가루받이 식물인 경우 집단 선발은 상대적으로 높은 변동성을 유지할 수 있게도 한다.  


이 더 오래되고, 더 전통적인 직접 선발 방식은 전체 유기체와 농지 기반의 선발을 수반한다. 상대적으로 느린 과정이며 그 결과가 더 가변적임에도 불구하고, 자연 생태계의 자연 선택 같은 장점이 있다. 지역의 조건에 대한 적응과 관련된 형질들은 수확량이나 성과의 더 직접적으로 바람직한 측면과 함께 유지되고, 유전자형의 가변성도 유지된다. 그러한 특성들은 제한된 자원과 생산 조건이 더 변동적인 소규모 농사 체계에서 특히 매우 중요하다. 직접 선발의 다른 모든 방법은 유전적 균일성을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으며, 선발 과정에서 지역의 환경 조건의 역할을 크게 줄이거나 제거한다.   





순계 선발

제꽃가루받이 식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선발 방식은 다양한 개체군에서 몇몇 우수해 보이는 식물을 선택한 다음각각의 자손에서 여러 세대에 걸쳐 광범위한 시험을 하는 것이다. 시험 기간이 끝나면 기존 품종과 완전히 구별되는 우수한 품종이 새로운 품종으로 배출된다. 그 식물은 제꽃가루받이를 하기 때문에, 선발된 유전자형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비교적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순계 선발 과정은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될 수 있다. 하나는 새로운 특성들이 결합된 새로운 계통을 생산하기 위해 인공 수분을 통해 기존의 순계 사이에 유전자를 전송시키는 것이다. 때로는 특정한 바람직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 부모와 인공 수분을 한 자손을 반복하여 여교잡시켜 이루어지기도 한다. 





합성 품종의 생산

다른꽃가루받이 식물에서, 합성 품종이라 부르는 제꽃가루받이 순계에 유사한 것이 다양한 기술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그 기본 원리는 우수한 특성을 가지며 잘 교잡된다고 알려진 몇 가지로 부모의 유전자형을 제한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자주개자리에서 이는 격리된 농지에 몇 가지 특정 출처(2-3가지 영양계 같은)에서 얻은 종자를 심어서 자연적인 교잡이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런 다음 이 농지에서 생산된 종자는 합성 품종으로 유통된다. 합성 품종은 제꽃가루받이 순계 품종보다 유전적 변동성이 더 크지만, 집단 선발된 방임 수분 품종보다는 변동성이 훨씬 적다. 






이종 교잡

오늘날 많은 중요한 작물 -특히 옥수수- 에서 직접 선발의 주요 방식은 잡종 품종의 생산이다. 잡종은 각각 다른 순수교배 계통에서 나온 두 가지 매우 다른 부모 사이의 교잡이다. 잡종 품종을 만드는 과정에는 두 가지 기본 단계가 포함된다. 


첫째, 두 가지 별개의 순수교배 계통이 생산된다. (순수교배는 게놈이 대부분의 유전자 자리에서 대체로 동형이란 뜻이다.) 다른꽃가루받이 식물(과 자주 다른꽃가루받이를 하는 제꽃가루받이 식물)에서, 이 단계는 다양한 방식으로 수행되는 인공적인 동계 교배를 수반한다. 


둘째, 두 가지 순수교배 계통은 작물을 생산하려고 농민이 심는 잡종 종자를 생산하기 위해 교잡된다. 이 단계에서 똑같은 계통의 식물들 사이에서 제꽃가루받이나 다른꽃가루받이가 일어나지 않을 수 있어 특정한 기술을 사용해야 한다. 옥수수에서 사용되는 한 기술은 꽃가루를 기증하는 부모의 계통과 종자를 생산하는 부모의 계통을 줄이나 두둑을 번갈아 가며 심고, 옥수수꽃이 꽃가루를 생산하기 전에 종자를 생산하는 식물의 수꽃이삭을 제거하는 것이다(옥수수꽃에서 수꽃만 들어 있음). 수수 같은 제꽃가루받이 식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또 다른 기술은 세포질적 웅성불임이라 부르는 동계 교배 부모의 계통 가운데 하나로 유전적으로 통제된 웅성불임을 도입하는 것이다. 그런 다음 이 계통은 다른, 불임이 아닌 부모의 계통에서 나온 꽃가루에 의해서만 수분될 수 있기 때문에 종자를 생산하는 부모의 계통으로 사용된다.   


두 가지 선발하여 동계 교배한 부모들의 잡종 자손은 보통 그 부모와는 매우 다르다. 그들은 더 크고, 더 굵은 종자나 열매를 생산하며, 또는 어느 부모가 소유하지 않은 기타 바람직한 특성을 갖는다. 잡종 강세라고 알려진 이 반응은 교잡 품종의 큰 장점 가운데 하나이다. 또 다른 바람직한 특성(관행농업의 관점에서 볼 때)은 유전적 균일성이다. 특정 교잡의 모든 잡종 종자는 똑같은 유전자형을 가질 것이다. 


그러나 잡종 품종에는 내재하는 단점(또는 종자회사의 관점에서는 장점)이 있다. 잡종 식물이 생산한 종자 -제꽃가루받이나 다른꽃가루받이를 통해- 는 생식에 의한 재조합이 다양한 새로운 유전자 조합을 생산하여 그 대부분이 부모의 잡종 강세를 나타내지 않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파종하기에 바람직하지 않다. 그러므로 농민은 해마다 종자 생산자에게서 잡종 종자를 구매해야 한다. 


감자와 아스파라거스 같은 무성 생식을 하는 덩이줄기나 기타 수단을 지닌 작물 유형에서는 일단 잡종이 바람직한 형질을 가지고 생산되면, 복제물로 무성생식으로 번식한다. 조직 배양 기술의 진보와 함께, 이러한 종자가 없는 잡종을 번식시키는 방법이 더 널리 적용되어 왔다. 중요한 잡종 품종의 다른 부분에서 얻은 소량의 조직을 사용하여 엄격히 통제된 조건에서 복제물을 신속히 재생산할 수 있다. 





인위 배수성

밀, 옥수수, 커피, 면화 같은 오늘날의 중요한 작물 유형 대부분은 오래전부터 자연 배수성을 유발했다. 배수성 식물은 더 왕성하며 열매나 종자가 일반적 이배성 부모보다 더 크기 때문에, 사람들은 초기의 작부체계에서 그들이 발생하면 바람직하다는 걸 발견하고 무엇이 그들을 다르게 만들었는지 알지 못했지만 그걸 선발했다. 


현대의 세포학자들이 작물에 나타나는 여러 유리한 형질이 배수성의 결과라는 걸 발견했을 때, 인위적으로 그걸 유발하기 위한 방법이 개발되었다. 감수분열의 첫 단계에서 콜히친이나 기타 화학적 자극제를 사용하여, 염색체 숫자의 인위적 증식이 가능해졌다. 예를 들어, 인위 배수성은 6배체 밀(Triticum aestivum) 같은 가장 유용한 밀 계통들을 생산했다. 일단 생산되면, 배수성 자체는 순계를 영속시키거나 새로운 잡종을 개발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유전자 이식 변경


앞서 설명한 기술들을 이용하고 있는 식물 육종은 지루하고, 시간이 오래 걸리며, 어느 정도 운에 좌우된다. 유전자는 염색체에 있는 수천 또는 수백만 개의 유전자에서 발생하여, 식물 육종가는 관심이 있는 몇 가지 유전자가 각 세대에서 어떻게 분포되고 재조합될지 결정할 수 없다. 더욱이 이들 기술은 보통 똑같은 종 안에 있는 밀접하게 관련이 있는 부모를 육종하는 것으로 제한된다.


유전공학자에게는 그러한 제한이 존재하지 않는다. 빠르게 발전하는 유전체학 분야에서 최근 몇 십 년 동안 개발된 다양한 기술을 활용하여, 그들은 하나의 유기체 -예를 들어 박테리아- 에서 얻은 단일한 유전자를 고등 식물 같은 완전히 무관한 유기체로 옮길 수 있다. 또한 그들은 합성 유전자 또는 유전자 서열을 만들어, 이를 표적 유기체의 게놈에 통합시킬 수도 있다. 이런 형태의 유전공학은 작물 유전학자가 작물 종에 동결이나 초식 저항성 같은 특정 형질을 도입할 수 있게 하고, 저마다 특유의 형질을 지닌 맞춤형 유기체를 생성할 수 있게 한다. 


1장에서 언급했듯이, 유전공학의 최종 결과는 유전자 이식, 유전자 변형(GM) 또는 유전공학(GE) 유기체라고 불린다. 오늘날 상업적으로 재배되고 있는 유전자 이식 작물에는 옥수수, 대두, 밀, 벼, 면화, 카놀라 종자, 사탕무,토마토, 양상추, 호박, 땅콩, 카사바, 파파야, 감자 등이 포함된다. 이들 및 기타 유전공학 작물을 재배하는 지역은 1990년대 중반 이후 매년 꾸준히 증가했다. 2012년에는 그들이 1억7000만 헥타르를 덮고 있다고 추산되었다(그림15.6 참조). 이러한 생명공학 작물 재배의 급속한 성장기에 걸쳐 한 기업 -몬산토- 은 미국 시장에서 80-90%의 점유율을 유지해 왔다. 


그림15.6 1996-2012년 유전자 변형 작물이 재배되는 세계의 면적(FAOSTAT,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Statistics database, http://faostat3.fao.org/home/index.html. Dates of access range from January 1, 2014 to March 30, 2014의 자료)


  



유전공학 작물은 다양한 목표를 염두에 두고 만들어졌다. 일부는 특정 해충의 공격에 저항성을 갖도록, 일부는 더 나은 영양가를 가진 먹을거리를 만들기 위해, 그리고 일부는 제초제 적용에 저항성을 갖도록 의도되었다. 이들 및 기타 특성들 때문에, 유전공학은 농업이 직면한 여러 과제에 대한 기술적 해답으로 선전되어 왔다. 더 많은먹을거리를 생산하고, 더 나은 먹을거리를 생산하며, 살충제와 제초제의 필요성을 줄이고, 한계지에서 작물을 재배한다는 과제들이다. (표15.1).



바람직한 형질

주장하는 혜택

사례

질병 저항성

작물 상실을 감소시켜 더 많은 수확량

역병에 저항성을 부여하고자 감자의 품종에 인위적으로 박테리아 염색체를 삽입

해충 저항성

살충제 사용의 감소, 작물 상실을 감소시켜 더 많은 수확량

면화, 옥수수, 대두에 Bt 박테리아에서 얻은 독소를 생산하는 유전자를 도입함

옥수수뿌리벌레에 대한 저항성을 만들고자 RNA 간섭 기술을 사용

식품 품질 개선

개발도상국에서 영양부족을 줄임

"골든 라이스"라는 벼에 비타민A를 생산하는경로를 설계

비생물적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

(예, 가뭄, 염분)

한계지에서 더 많은 먹을거리 수확, 관개의 감소, 위험의 감소

사탕무에서 시트르산의 생합성을 허용하는 유전자를 도입하여, 알루미늄 내성과 산성 토양에서 인의 섭취를 증가시킴

더 높은 고도에서 재배할 수 있는 서리 내성을 물려주는 유전자를 지닌 커피나무.

제초제 저항성

작물에 제초제를 살포하면 잡초와 경쟁을 줄여 더 많은 수확량

라운드업 레디 대두는 제초제 글리포세이트(농민들이 유전공학 종자와 제초제를 몬산토에서 구매)에 저항하도록 설계됨

2,4-D 저항성 옥수수와 대두는 글리포세이트에 대한 잡초의 내성이 발달되는 걸 막기 위함 

특정 유용한 화합물의 생산

더 낮은 생산비 

유전공학 옥수수가 생산하는 낭포성 섬유증의 치료를 위한 약물 같은 식물성 제제 

생물연료 생산

에탈올의 더 효율적 생산

전분을 당분으로 전환하기 위해 변경된 옥수수

생물적 환경정화력 

환경에서 독성 화합물을 저렴하게 청소

군용 화약의 화합물을 대사하는 박테리아 유전자를 지니도록 변경된 잡초

바이오매스 생산

목재, 종이, 연료, 셀룰로오스 물질을 위한 유용한 바이오매스를 더 빨리 생산

다양한 나무 종에 유전자를 삽입해 더 빨리 성장하고, 새로운 환경에서 자랄 수 있게 함

표15.1 유전자 이식으로 변형된 작물




작물 유기체의 유전자 이식 변형은 1990년대 상업적으로 실행되기 시작한 이래 논란이 되어 왔다. 유전공학 기술의 적용이 유익한 것으로 여겨지거나, 농생태학의 관점에서도 유익한 측면을 갖는다고 보일지라도, 유전공학 작물의 재배는 일반적으로 여러 잠재적 문제와 심각한 위험을 제기한다. 한 예로, 몇몇 연구자와 농장 단체는 최근 옥수수와 밀, 대두에 이어 미국에서 네 번째로 많이 재배되는 유전공학 자주개자리 품종의 제한 없는 재배와 관련된 문제에 관하여 우려를 표명했다. 꿀벌이 꽃가루를 쉽게 옮길 수 있기에 유기농 자주개자리 재배지가 오염되고, 벌의 넓은 활동 능력에 의해 꿀이 오염되고, 라운드업 제초제의 사용이 증가하고 잡초의 저항성이 증가하며, 유기농 동물 사료에 이용되는 건초 작물이 오염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 시작했다(Hubbard 2008; Zerbe 2011).


증가하고 있는 유전자 이식 작물의 잠재적 문제점 가운데 일부는 아래와 같다. 이들은 모두 가설이 아니다. 대부분 이미 발생하여 문서화되었다. 


• 게놈의 발현에 의도하지 않은 숨겨진 효과. 유전학자들은 특정 유전자를 삽입하여 원하는 형질이 발현되는 유전공학 유기체를 생성할 수 있지만, 그들은 유기체의 원래 유전자와 삽입된 유전자의 예측할 수 없는 상호작용에 대해서는 거의 통제하지 못한다. 예를 들어, 유전공학 유기체는 특정 곰팡이에 의한 질병에는 저항성을 나타낼 수 있지만, 세균성 질병에는 숨겨진 취약성이 있다. 

• 살충제 저항성 해충의 진화를 가속화. 해충 종이 특정한 억제 화합물을 생산하는 작물로만 구성되어 있는 환경에 직면하면, 자연 선택은 그 화합물에 대한 저항성의 진화를 선호할 것이다. 이는 이미 바실러스 튜링겐시스(Bt) 작물의 표적이 되는 해충의 사례에서 발생하여 농민들이 살충제 사용을 늘리게 만들었다.

• 제초제 저항성 유전공학 작물과 함께 사용되는 제초제에 대한 저항성이 있는 잡초의 진화. 이는 잡초가 제초제를 견딜 수 있ㄴ는 능력을 진화시킴에 따라 이미 여러 지역에서 발생했고, 농민들이 사용하는 제초제의 양을 늘리게 만들었다. 

• 작물에서 잡초로 유전자가 이동하는 걸 통해 "슈퍼 잡초"를 생성. 해충 저항성, 제초제 저항성, 또는 활력 개선 유전자가 유전공학 작물 종에서 밀접한 근연의 비작물 종이나 품종으로 이동할 수 있어, 그들을 방제하려는 인간의 시도에 더욱 저항성을 지니거나 자연 생태계를 파괴할 수 있는 잡초를 만든다.  

• 먹을거리 공급으로 독성 물질과 알러지 유발원의 도입. 유전공학 유기체에 수입된 유전자에 의해 생성된 화합물들은 해충을 억제하는 것 외에도 인간 소비자에게 해가 될 수 있다. 비록 그 유전자가 동물 사료를 위한 품종에만 통합되더라도, 그것이 인간의 먹을거리 공급으로 갈 수 있다. 

• 환경의 유전적 오염. 유전공학 작물에서 나온 유전자는 자연 생태계에 예측할 수 없는 결과를 가져와 관련된 토종(또는 양식 연어 같은 유전공학 동물의 경우 똑같은 종의 야생 개체군으로)으로 건너뛸 수 있다

• 야생생물과 유익한 종에 해를 끼친다. 유전공학 작물이 생산한 독소는 표적인 해충 이외에 익충과 수분매개자, 조류 및 기타 동물을 죽일 수 있다. 제초제 저항성 유전공학 작물과 함께 사용되는 제초제는 먹이와 은신처로 이용할 수 있는 비작물 식물(도입된 잡초와 토종 모두)의 숫자를 줄임으로써 유익한 종과 야생생물에 악영향을 미친다. 

• 유전자원에 대한 농기업의 통제 강화. 유전공학 유기체는 특허와 지적재산권 법률로 보호된다. 그것들의 사용증가는 농업생물다양성을 감소시키고, 농민이 농장 외부의 투입재에 더 의존하게 하며, 산업국과 개발도상국 사이의 경제적 분열을 영속화한다. 장기적으로 이는 저절로 영속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유전공학 기술의 가장 심각한 결점으로 판명될 수 있다.  


이 모든 문제 외에도, 작물(과 가축)의 유전자 이식 공학에 대한 더 광범위한 반대 이유는 다른 현대의 식물 육종기술의 -잠재적으로 확대되는- 모든 위험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아래에 논의되어 있다. 



그림15.7 캘리포니아 센트럴 벨리의 유전공학 면화. 몇 가지 유전자 이식 품종들이 이 주의 작물 가운데 큰 비율을 차지한다. 






유전자원 사용의 경향으로 인한 결과


우리의 유전학 지식의 발전에 힘 입은 산업형 농업은 극적인 수확량 증가를 만드는 데 도움이 되는 길들여진 유기체의 유전자원을 확보해 왔다. 하지만 새로운 농업의 품종을 생성하고 배치하는 일은 주로 농기업들의 이윤을 증대하는 데 목표를 맞추었기 때문에, 산업형 농업은 유전자원에 대한 통제를 중앙집중화 하고, 유전적 균일성을촉진하며, 작물과 가축 종의 다양성을 줄이는 경향으로 인해 먹을거리 체계의 토대를 위협하기도 했다. 이런 경향은 여러 수준에서 유전적 다양성을 줄임으로써 길들여진 종이 해충과 질병 및 환경 변화에 더 취약하도록 만들고, 농사와 가축 생산 체계를 인간의 개입과 외부 투입재에 더 의존하게 만들어서 농업의 장기적 지속가능성을 약화시킨다. 





유전적 다양성의 상실

농업에서 유전적 다양성 또는 농업생물다양성은 두 가지 측면에서 중요하다. 유기체들 사이의 차이 -다양성의 "유전적" 구성요소라고 부를 수 있는 것- 와 이런 차이가 실제로 현장에서 활용할 때 어떻게 공간적으로 배열되는지 -우리가 다양성의 "지리적" 구성요소라고 부를 수 있는 것- 이다(Brookfield 2001). 그리고 각 구성요소마다 다양성은 세 가지 별개의 범위에서 중요하다. 지리학적으로 다양성은 전 세계적 범위, 지방이나 전국적 범위, 농장의 범위에서 중요하다. 유전학적으로 우리는 먹을거리 유형의 다양성, 종 안의 다양성 또는 특정 품종 안에 존재하는 다양성에 초점을 맞출 수 있다. 이러한 다양성의 구성요소들은 독립적이기에, 그들은 세계적인 먹을거리 다양성부터 특정 농장에서 작물 품종의 유전적 다양성에 이르기까지, 농업생물다양성의 아홉 가지 측면을 만들어내며 결합된다. 이러한 농업생물다양성의 측면은 어느 정도 단순화하여 표15.2로 정리했다. 




지리적 구성요소

유전적 구성요소

세계의 먹을거리 체계

지방 또는 국가

농장 또는 농지

먹을거리 다양성

먹을거리를 위해 재배되거나 사육되는 먹을거리유형과 종의 숫자

세계적으로 먹을거리 수요를 충족시키는 종은 거의 없다. 예를 들어, 세계의 식이 에너지 가운데 약 60%는 밀, 벼, 옥수수, 감자라는 4종의 식물에서 생산된다. 

지방과 국가가 작물이나 가축 유형을 특화할 가능성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한 유형의 가축이나 한 유형의 작물(대규모 단작)을 키우는 개별 농장 운영이 점차 일반화되고 있다. 

종 다양성: 

각 먹을거리 종의 품종 숫자

매우 적은 품종이 재배되고 있으며, 다른 대부분은 멸종될 것이다. 예를 들어, 오렌지 세 품종이 플로리다 오렌지 작물의 90%를 차지한다. 네 품종의 감자가 세계의작물 가운데 70% 이상을 생산한다.

하나의 유전적 계통을 재배하거나 사육하는 개별 농장 운영이 점차 일반화되고 있다. 

품종 다양성:  

식물 품종에서 독특한 게놈의 숫자, 또는 가축 품종의 균일성 정도

순계, 합성, 교잡, 유전자 이식 품종 -모두 높은 균일성- 은 세계적으로 재배되는 작물의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 

단일한 게놈을 심는 개별 농장 운영이 점차 일반화되고 있다. 예를들어, 잡종 또는 유전자 이식 옥수수 계통을 재배하는 농장. 

표15.2  각각의 경향과 함께 농업생물다양성의 측면




모든 지리적 범위와 모든 유전적 수준에서 농업생물다양성이 감소하고 있다는 증거는 부족하지 않다. 이런 쇠퇴는 두 가지 상호연관된 방식으로 나타난다. 매우 적고 더 균일한 품종이 널리 사용되고, 더 많은 품종이 활용되지않고 사라지며 완전히 없어지고 있다. 다음은 몇 가지 사실을 이야기하고 있다. 


 지구에는 30만 가지 이상의 식용 식물 종이 존재하지만, 현재 세계의 식이 에너지 가운데 60% 이상이 밀, 벼, 옥수수, 감자의 네 가지 식물 종에서만 생산된다(Nierenberg and Halweil 2004; Kotschi 2010).

 미국 낙농 가축의 70%는 홀스타인이고, 거의 모든 판매용 달걀(90% 이상)은 화이트 레그혼이란 한 가지 품종이 낳는다(Halweil 2004). 

 1900년 이후 6000가지 이상의 알려진 사과 품종(그 가운데 86%가 기록됨)이 멸종되었고(Fowler and Mooney 1990), 유럽에 가축화된 동물 품종의 절반이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약 1000가지 품종의 가금류와 소가 있다(Hall and Ruane 1993). 

 농업생물다양성의 요람 가운데 하나인 이란에서, 밀과 벼, 수수의 전체 품종 수 가운데 약 1/4 정도만 이들 작물을 재배하는 총면적의 70-85%를 차지한다(Koocheki et al. 2006).

 세계적으로 적어도 20%의 동물 품종은 멸종위기에 처해 있고, 세계의 어느 곳에선가는 적어도 한 가지 품종의 토종 가축이 매달 멸종된다(FAO 2007).

 1930년에 멕시코에 알려진 옥수수 품종 가운데 약 4/5는 사라졌다.  

 지난 세기에 세계적으로 농민들이 유전적으로 균일하고, 다수확의 품종을 위해 그들의 토종을 포기함으로써 식물의 유전적 다양성 가운데 약 75%가 사라졌다(Nierenberg and Halweil 2004; FAO 2007).


농업생물다양성의 상실은 결코 회복할 수 없는 잠재적으로 소중한 정보의 상실을 뜻하기 때문에 우려할 만하다. 수천 년에 걸친 식물과 가축의 육종과 길들임에 대해 축적된 유전자원을 방대한 양의 주제에 관하여 오래되고 새로운 책들로 가득한 도서관에 비유한다면, 관행농업에서 일어난 경향의 충격은 현행 베스트셀러 도서만 빌려주는한 곳의 도서관으로 대체하는 것에 비교할 수 있다. 


우리가 상실하고 있는 유전적 정보에는 입증되고 잠재적인 다양한 가치가 있다.


•일반적으로 유전적 다양성은 식물과 동물 육종의 원재료이다. 이 다양성의 상실은 앞으로 육종 노력을 위한 기회를 제한할 것이다. 

• 여러 지역의 토종 품종의 존재에 의해 나타나듯이, 작물이나 가축 종의 유전적 다양성은 특정 지역의 특정한 조건에 잘 적응된 유전적 계통을 활용하게 한다. 작물과 가축에서 지역에 적응된 유전적 계통은 더 적은 외부 투입재를 필요로 하기에 지속가능한 체계를 위한 기초가 된다. 

• 작물 품종이나 가축 품종에서 유전적 다양성은 농지에서 환경 저항성의 중요한 구성요소이다. 작물이나 가축의 유전적 기반이 더 넓을수록 일부 개체들이 질병과 환경 조건의 비정상적 변동이나 작물의 경우 초식동물의 공격에 대한 저항성을 가질 확률이 더 높아, 이들 사건 중 하나가 발생한다면 전체 작물의 상실이나 가축의 떼죽음을 막을 수 있다. 

•유전적 다양성은 잠재적 환경 저항성의 저장소이기도 하다. 유전적으로 다양한 작물 품종이나 가축 품종에서 일부 개체들은 상승하고 있는 온도로 인해 일어날 수 있는 새로운 질병의 확산 같은 미래의 사건이나 조건들에 저항성을 부여할 수 있는 유전자나 유전자 조합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이들 유전자는 개체군에 저항성을 제공하도록 선발될 수 있다.  

• 작물의 유전적 다양성은 산업국에서 유기농업으로 재배한 영양가가 더 높은 먹을거리에 대한 소비자의 수요 증가를 충족시킬 수 있는 잠재적 가치를 지닌 형질의 저장소를 보장한다. 타고난 질병과 해충 저항성을 지닌 품종들은 더 지속가능한 저투입 유기농업 체계에서 훨씬 쉽게 재배될 수 있다.  

• 유전적 다양성은 전반적으로 장기적 유연성과 탄력성 및 계절에 따라, 그리고 세월에 따라 변화하는 조건에 순응하고 적응하는 능력을 체계에 부여한다. 


일부 농민, 유전학자, 식물 육종가 및 여타 사람들은 수십 년 전 우리의 먹을거리 작물에서 유전적 다양성이 상실될 위험을 보았다. 한 가지 반응은 일반적으로 활용하지 않는 품종들의 종자를 나중에 쓸 수 있도록 저장하는 "유전자 은행"의 설립이었다. 이들 유전자 은행은 중요한 목적을 수행하지만(Qualset and Shands 2005 참조), 유전적 침식을 막기 위해 할 수 있는 일이 제한되어 있다. 첫째, 현행 유전자 은행의 대부분은 국가와 국제 연구 프로그램이 지원하고 있는 작물의 재고만 유지하고 있으며, 보호되는 작물의 유전적 다양성은 일부만 수집된 것이다. 둘째, 유전자 은행 안의 유전자원에 대한 관리와 평가가 부족하곤 하여 물질의 악화가 발생한다. 셋째, 생식질 수집은 환경과 문화적 선택 압력 모두를 포함하여 유전적 다양성을 유지하고 생성하는 과정을 우선 통합하지 않은 채 실제로 정지 상태이다. 불행하게도 우리는 이미 상실된 품종이, 특히 세계적으로 지역의 수요를 충족시키는 많은 수의 비주류 작물이 얼마나 많은지 결코 알 수 없는데, 현행 생식질 보전의 노력이 일부가 아니다. 



그림15.8 멕시코 농촌에서 멸종위기에 놓인 옥수수 품종. 많은 압력 때문에 농민들이 지역의 토종을 이용하지 못하게 되었고, 그 가운데 남은 많은 것이 유전공학 품종의 유전 물질에 의해 오염되고 있다. 



 



작물 품종에서 더욱 큰 유전적 균일성

품종 수준에서 다양성의 침식은 더 자세히 살펴볼 가치가 있다. 그러므로 우리는 작물에 적용되기 때문에 더욱 상세히 이 주제를 살펴보자. 


모든 고등 유기체는 매우 복잡한 유전적 구조를 가지고 있다. 아주 많은 유전자 -단일한 식물은 1000만 개 이상을 함유할 수 있음- 가 복잡한 방식으로 함께 작용하여 유기체가 기능하고 그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방식을 통제한다. 일부 유전자는 단독으로 작용하지만, 대부분은 다른 유전자와 복잡한 조합으로 작용하는 것처럼 보인다. 자연에서 각 종의 유전적 전체성, 또는 게놈은 앞서 기술했듯이 매우 오랜 진화 과정의 산물이다. 전체적으로 게놈은 유전자형 가운데 다수나 모두가 고유한, 많은 개별 유전자형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형적으로 매우 다양하다. 


집단 선발의 전통적 방법이 종의 게놈 내용물을 변화시키더라도 그것의 유전적으로 풍부한 구조 대부분을 유지하려는 경향이 있다. 이에 반하여 현대의 작물 육종은 품종의 하나나 몇 가지 유전자형의 최적화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작물 품종의 게놈을 변경하고 좁히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과정은 특정한, 고도로 변경된 현대의 농업 환경에서 대단히 잘 작동하는 식물을 만들어 내지만, 또한 품종의 유전적 기초를 크게 제한하기도 한다. 그 범위의 가장 균일한 끝에서, 작물 품종의 유전적 다양성은 그 품종의 교잡 종자라는 단일한 게놈으로 제한된다. 그 범위의 가장 다양한 끝에서, 집단 선발되고 방임 수분된 품종의 유전적 다양성은 수없이 독특한 개별 게놈의 산물이다. 그림15.9는 유전적 다양성의 구조에서 이러한 대조를 보여준다. 



그림15.9 집단 선발된 작물 품종과 교잡 작물 품종에서 유전적 다양성. 집단 선발된 품종에서, 전반적인 유전적 다양성은 어느 개체보다 훨씬 더 크다. 교잡 품종에서, 어느 개체든 그 품종의 모든 유전적 다양성을 함유한다. 




상업적으로 생산된, 교잡 다수확 품종은 종자시장을 사로잡았으며, 이제는 유전적으로 균일한 농지에서 대규모로재배된다. 그들의 우점은 마찬가지로 균일한 유전공학 작물에 의해서만 도전을 받고 있다. 다른 유형의 다양성의상실과 함께 이러한 상황은 우리의 작물이 농업의 아주 오래된 적들 -해충, 질병 및 비정상적인 날씨- 에게 점점 취약해지도록 만든다. 






유전적 취약성

작물과 가축의 유전적 다양성을 상실한 이런 결과는 더 많은 논의가 필요하다. 유전적 취약성은 해충과 질병에 공격을 받거나, 극단적 날씨로 손실되는 좁아진 유전적 조성을 지닌 식물과 동물의 민감성이다. 기본 문제는 작물 품종이나 가축 품종이 넓은 지역에 걸쳐 유전적으로 균일하면 해충이나 질병 개체군이 급속히 발생하기 위한 이상적 조건이 마련되어 있다는 것이다. 


해충과 질병 개체군은 부분적으로 세대 기간이 짧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빠른 속도로 진화한다. 신속한 유전적 변화를 위한 이런 능력을 통해, 그들은 숙주의 방어, 또는 인간에 의해 환경에 도입된 요인(살충제 같은)이 빠르게 변화하는 데에 적응할 수 있다. 이런 이유로, 농업에서 해충과 질병은 살충제와 항생제부터 스스로 독성 화합물을 생산하도록 설계된 유전공학 작물에 이르기까지 농업 과학이 던져 놓은 모든 걸 극복(할 수 있고 언제나 극복)할 수 있었다. 


작물이 자연 선택과 인간이 강요한 선발 압력 모두에 노출되어 있으며 그 체계가 자연 생태계의 많은 특성을 유지하고 있는 전통적 농업생태계에서, 작물은 병원균과 초식동물보다 한 걸음 앞서 갈 수 있도록 싸울 기회가 있었다. 하지만 현대의 식물 육종, 대규모 단작, 농법의 균일성 등으로 우리는 해충과 질병에게 이점을 부여했다. 우린 전반적 단련보다 특정 형질을 위해 작물을 육종하고, 똑같은 장소에서 동시에 대규모 단일한 종의 개체군으로 작물을 심음으로써 저항성의 유전적, 환경적 메커니즘 모두를 변화시키고자 노력한다. 이렇게 하여 더 균일하고 예측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 병해충이 발생할 수 있는 무대가 설정된다. 


게다가 농업과 무관한 변화가 심각한 병해충이 발생할 위협을 증가시키고 있다. 세계 상거래의 상호연결은 병원균이 새로운 영역으로 확장할 수 있는 더 많은 매개체를 제공하며, 기후변화는 기후가 예전에는 병원균을 배제시킨 지역으로 그들을 이동하고 해충 및 병원균의 공격에 작물을 더 취약하게 만들도록 스트레스를 가함으로써 위협하고 있다. 


가축 생산에서 유전적 기초의 균일성이 증가함에 따라 가금류와 소, 돼지, 염소, 양 역시 질병의 확산에 더욱 취약해진다. 더 전통적인 목축 체계에서, 가축 품종은 지역에 따라 다르고 지역의 조건에 잘 적응하여 질병에 대한 저항성이 좋았다. 이와 대조적으로, 현대의 밀집사육시설(CAFO)은 많은 수의 유전적으로 유사한 동물들을 병원균이 급속히 확산하기에 완벽히 설정된 인공적 맥락에 가득 채운다. 


유전적 균일성의 위험에 대해 가장 잘 알려진 사례의 하나는 아일랜드의 감자 대기근이다. 1846년 역병균(Phytophthora infestans)이 아일랜드 감자의 절반을 파괴하여, 광범위한 기근을 불러오고 인구의 1/4이 이주하게 만들었다. 그 역병은 아일랜드의 감자 농민들이 300년 전 가져와서 영양번식된 단 두 가지의 감자 유전자형에만 의존했기 때문에 발생했다. 역병은 그 나라가 먹을거리 공급원으로 탄수화물이 풍부한 감자에 지나치게 의존하게 되었기 때문에 커다란 충격을 주었다. 균류는 그 지방의 서늘하고 축축한 조건에 잘 적응했으며, 일단 질병이 이르러 확립되면 멈추지 않았다. 흥미롭게도 똑같은 균류가 감자의 원산지인 남아메리카의 안데스에서도 발견되었지만, 자연 선택이 계속 진행되는 것과 함께 그곳의 거대한 유전적 다양성은 그 작물의 많은 부분이 저항성을 갖도록 했다. 


잘 알려진 또 다른 사례는 일리노이와 인디아나 지역에서 거의 모든 옥수수를 파괴한 결과 미국 전체에서 옥수수의 15% 이상을 상실하게 만든, 1970-1971년에 발발한 옥수수깨씨무늬병(Helminthosporium maydis)이다(Ullstrup 1972). 이 질병은 교잡 종자를 생산하는 데 사용된 옥수수의 계통으로 육종된 세포질적 웅성불임의 유전적 요인과 관련되어 있다. 이 요인은 웅성불임을 일으켜 값비싸게 손으로 수꽃이삭을 제거할 필요를 없앴지만, 옥수수깨씨무늬병에 대한 잡종의 민감성을 증가시키기도 했다. 그러므로 새로운 역병이 나타났을 때 빠르게 퍼졌다. 종자 생산자와 작물 육종가들은 신속히 대응할 수 있었고, 1972년 농사철까지 민감한 요인의 조합을 변경했다. 


비슷한 문제가 밀에서 발생했다. 세계적으로 재배되는 밀 품종의 90%는 Puccinia graminis tritici라는 균류의 Race Ug99 계통에 감염되기 쉬워, 이는 밀에서 줄기녹병이나 검은녹병을 일으킨다. Ug99는 우간다에서 1998년 처음 발견되었고, 2011년까지 Ug99 계통에 속한 7가지 품종이 발달해 짐바브웨와 남아프리카공화국, 수단, 예멘, 이란만이 아니라 아프리카 동부의 고원에 있는 여러 밀 재배 국가로 퍼졌다. 이 균류는 쉽게 퍼지고 대부분의밀이 그에 저항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Ug99 품종 집단은 밀 생산과 식량안보에 주요한 위협이 되고 있다. 광범위하고 영속적인 저항성을 지닌 새로운 밀 품종을 개발하고 배포하기 위한 전담 프로그램이 성공하더라도, 세계의 여러 지역에서 밀 생산은 큰 위기에 처해 있다(Singh et al. 2011). 


교훈은 분명하다. 단 몇 가지 품종만 우점하는 한, 해충은 작물의 낮은 유전적 다양성을 이용하고 그 저항성을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흉작이 발생하면, 농민은 더 이상 자신들의 농지에 존재하던 예전의 유전적 다양성에 접근할 수 없기 때문에 새로운 저항성 품종을 생산하는(또는 화학 살충제를 제공하는) 기반시설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다(Eigenbrode 2011). 


지난 30년에 걸쳐 산업국에서 농업의 전반적 성공은 여러 면에서 유전적 취약성의 문제를 가려 왔다. 일부 지방의 잉여 수확량은 다른 곳의 흉작을 보완할 수 있었다. 하지만 지방의 흉작은 여전히 일어나고 있으며, 흉작의 가능성은 더 큰 규모로 존재하고 있다(Qualset and Shands 2005).





인간 개입에 대한 의존도 증가

관행농업의 유전자원 통제와 그 외부 투입재, 기계화, 농장 외부의 기술적 전문지식에 대한 의존성 사이에는 중요한 연관이 있다. 작물과 가축 품종의 유전적 다양성의 극적인 감소는 살충제, 제초제, 비료 생산, 관개 및 물 사용, 기계화, 화석연료의 농업 이용이 극적으로 증가한 것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 연결은 잡종 작물 종자를 광범위하게 사용하는 데에서 매우 분명해진다. 현대의 잡종 작물 품종은 농장의 경계 외부에서는 사실상 무기력하다. 대개는 자신의 종자로부터 스스로 번식할 수도 없다. 가장 극단적인 경우, 그 작물은 매우 특정한 종류의 집약적이고 기술에 기반한 인간의 변경과 농장 환경의 통제 없니는 농사 체계에서 성공할 수 없다. 


농민이 잡종을 위해 지역의 작물 품종을 포기하면, 그것은 구매해야 하는 잡종 종자 이상의 것이다. 모든 잡종은 종자와 함께 오는 투입재와 농법의 "패키지"가 있다. 토양 경운 장비, 관개 체계, 토양 개량제와 비료, 해충 방제 물질 및 기타 농장 투입재 등이 그것이다. 또한 그 패키지는 농장의 조직과 관리의 다른 많은 측면에서 변화가 일어나는 것도 포함한다. 이러한 새로운 투입재와 장비를 위해 지불해야 하는 투자를 회수하고자, 농민은 더 수익성 있는 작물의 생산을 강화해야 한다. 이는 보통 더 적은 종류의 작물로 생산의 집중, 중앙집중화된 시장 구조에 대한 의존, 별도의 숙련된 노동력, 위험과 흉작의 가능성을 줄이기 위한 투입재의 강화를 필요로 한다. 기술 조언은 농장 환경 외부의 근원에 의존(하고 보통 비용을 지불)한다. 농장 전체가 변화하도록 강요된다. 


이러한 변화로 인해 농민은 작물과 농장 및 농사 과정에 관한 그들의 중요한 지역의 전통적 지식을 상실하게 되고, 고도로 균일하고 매우 변경된 조건에서 개발된 유전적 정보에 의존하게 된다. 차츰차츰 최종 결과는 근대화 이전의 농장을 특징짓는 지역의 유전적 다양성과 문화 경험의 상실로 이어진다. 


유전공학 작물은 인간의 개입에 농업이 더욱더 의존하게 만든다. 사실 유전공학 제품을 개발하는 농기업의 관점에서 볼 때, 그것이 핵심이다. 투입재나 조작이 추가적으로 필요할 때마다 더 많은 돈을 벌 기회가 생긴다. 제초제 저항성 품종은 종자가 제초제와 함께 사용되도록 설계되었기 때문에 이런 현상의 좋은 사례이다. 그리고 잡초가 제초제에 저항성을 가지기 시작하면, 문제에 대한 준비된 해결책으로 더 많은 제초제의 적용 같은 형태로 더 많이 투입된다. 유전공학 제품이 투입재를 줄이기 위해 설계된 것으로 판매되더라도 -살충제의 필요성을 줄이는 Bt 품종의 경우처럼-, 최종적인 현실은 표적 해충이 저항성을 빠르게 진화시키기에 달라지곤 한다. 


가축 품종의 유전적 다양성의 침식과 관행적 가축 생산, 특히 밀집사육시설의 투입재 집중도 사이의 관련은 1장에서 이미 다루었다. 대규모 가축 생산의 모든 근거는 유전적 균일성과 동물이 사육되는 엄격히 통제된 투입재 의존적 환경을 통해 얻는 관리 효율성에 달려 있다. 





기타 유전자원의 상실

농업은 작물과 가축화된 동물의 유전적 다양성 이상의 것에 의존한다. 기타 유기체들 집합체의 유전적 다양성도 중요하다. (1)농업생태계를 둘러싼 자연생태계의 유기체들, 특히 작물의 야생 근연종, (2)경제적 중요성이 적은 작물과 가축 품종, (3)기생자, 타감작용 잡초, 나무 및 토양 유기체 같은 이로운 비작물 유기체 등이 그것이다. 


작물의 야생 근연종은 직접 선발 과정에서 새롭거나 진기한 변이의 중요한 원천이다. 그들은 특히 앞서 말한 유형의 전염병의 사건에서 새롭거나 더 강한 유전 물질의 중요한 원천이 되어 왔다. 그러나 그럼15.10에 보이는 야생 면화 같은 야생 근연종은 산림 파괴와 기타 형태의 서식지 변경 때문에 세계의 여러 곳에서 급속히 사라지고 있다. 


그림15.10 멕시코 타바스코에 있는 야생 여러해살이 면화(Gossypium sp.). 작물의 야생 근연종은 여전히 전통적농사 체계의 현지에서 발견할 수 있다. 




잠재적 가치를 지닌 비슷한 종류의 유기체는 탈출한 농업 품종과 그 야생 근연종 사이의 자연 교잡이다. 그러한 교잡은 주로 교잡 종자가 세계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농업 부분으로 퍼지고, 개량종을 사용하는 것과 함께 농사 환경이 단순화되며, 농업생태계와 자연 생태계 사이의 분리가 증가한 덕에 작물과 야생 근연종이 유전 물질을 교환할 수 있는 서식지가 더욱 희귀해지고 있어 멸종위기에 처하게 된다. 


또한 다양한 농업 서식지는 전체 체계를 위해 상당한 중요성을 지닌 비주류 작물 종을 많이 포함하고 있다. 수확할 수 있는 유용한 농산물의 집합체를 제공하는 이외에도, 이들 작물은 체계의 생태적 다양성에 기여한다. 그들은 전체 체계의 에너지 흐름과 양분 순환 과정의 일부이다. 상업적 가치가 전혀 없거나 거의 없는 비주류 작물은 특히 개발도상국의 여러 전통적 작부체계에 보존되어 있다. 그들은 미래의 활용가치가 유망할 수 있지만, 전통 체계가 근대화로 나아감에 따라 사라지고 있다.  


작물과 작물 근연종 이외에도, 농업생태계도 해충의 포식자와 기생자, 타감작용 잡초 및 이로운 토양 유기체를 포함하여 다양한 비작물 식물과 동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대부분은 전반적인 체계의 다양성과 탄력성을 유지하는 데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17장 참조). 그들의 존재와 유전적 다양성은 체계의 전반적인 다양성에 크게 의존하기 때문에, 그들은 농업생태계의 균일성으로 나아가는 경향으로 인해 위협을 받고 있다. 


더 일반적으로, 농업생태계의 전반적인 유전적 다양성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완전히 기능하고 있는 작부체계와 농장 체계는 우선 다양성을 생산하는 유전적, 생태적, 문화적 과정을 보존한다. 생물학적 방제 정보, 식물의 방어, 공생자 및 경쟁자가 모두 농생태학적 가치가 큰 유전적으로 기반을 둔 정보를 활발히 상호작용하며 보존하고 있다. 그리고 이 모든 정보의 일부분만 핵심 작물의 생식질에 있기 때문에, 농사 서식지의 상실은 작물의 유전자 풀 자체가 좁아지고 있는 것보다 훨씬 더 치명적일 수 있다. 






농업생물다양성의 보존


지속가능성은 농업생태계에서 유전자원을 어떻게 관리하고 조작할지에 근본적 변화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변화의 핵심 주제는 유전적 다양성이다. 지속가능한 농업생태계는 개별 유기체의 게놈부터 전체 체계에 이르기까지 모든 수준에서 유전적으로 다양하다. 그리고 이러한 다양성은 유전적 변화가 다양한 개체군들 사이의 상호작용 환경에서 일어나야 했던 공진화의 산물이어야 한다. 이런 방법으로, 모든 구성요소인 유기체 -작물, 동물, 비작물동료, 이로운 유기체 등등- 는 지역의 조건과 환경의 지역적 가변성에 적응할 뿐만 아니라, 인간에게 그들이 특별히 유용해지도록 하는 형질을 소유한다. 


전통의, 토착민의, 그리고 지역의 농업생태계는 지속가능성의 여러 유전적 요소를 포함하고 있으며, 우리는 그 사례로부터 배울 수 있다. 특히 그들은 개체군만이 아니라 전체 작부체계 군집 안의 유전적 다양성이 더 높다. 사이짓기가 훨씬 더 보편적이고, 비작물 종과 근연종이 농경지 안과 주변에서 발생하며, 유전적 다양화를 위한 기회들이 농지 차원에서 풍부하다. 그러한 체계에서, 환경 스트레스와 생물적 압박에 대한 저항성은 훨씬 더 광범위한 유전적 기초를 가지고, 유전적 취약성은 더 낮으며, 해충과 질병이 발생하더라도 치명적인 발발은 드물다. 본질적으로, 그런 체계에서 유전적 변화는 자연 생태계에서 그러는 것처럼 일어난다.





작물에서 오래가는 저항성을 위한 육종

농업의 식물 육종은 주로 가뭄, 척박한 토양, 온도의 극한 같은 물리적 요인이나, 초식, 질병 및 잡초와의 경쟁 같은 생물적 요인 등 환경 요인에 제한되는 것에 대한 저항성을 만드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런 육종 프로그램의 결과 놀라운 수확량을 올리게 되었지만, 이미 언급했듯이 또 다른 결과는 작물의 흉작에 대한 취약성이 증가하고 재생할 수 없는 투입재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졌다는 점이다. 


각각의 문제가 나타나자마자, 작물 육종가들은 저항성 유전자형을 찾을 때까지 작물의 유전적 변이성을 검사한다. 이 저항성은 단일한 유전자에 의해 제공되곤 한다. 앞에서 언급한 유전자 이식 및 여교배 기술은 특정한 작물의 가계에 유전자를 통합시키고자 사용된다. 그 결과는 때로는 수직 저항성이라 부르기도 한다. 거기엔 두 가지 약점이 있다. 첫째, 제한하는 요인이 변하지 않는 한 저항성이 계속해서 기능할 것이다. 불행하게도 해충과 질병, 잡초의 경우, 지속적인 자연 선택 때문에 제한하는 요인이 결코 오랫동안 고정되지 않는다. 그래서 문제의 유기체는 결국 "저항성에 대한 저항"을 발달시키고, 발발이나 유행병이 발생한다. 이 역학은 잘 알려진 작물 육종가의 쳇바퀴의 기초이다. 둘째, 수직 저항성을 위한 육종 과정에서 병원균의 광범위한 스펙트럼에 부분적인 저항성을 제공하는 유전자가 상실된다. 


새로운 유형의 해충, 질병 또는 잡초가 발생하더라도 쉽게 분해되지 않고 더 오래가는 유형의 저항성이 필요하다. 특정 저항성을 개발하기 위한 육종 프로그램을 지휘하는 대신, 전체 작물 체계를 관리하는 것이 그것이다. 오래가는 저항성을 위한 선발은 개체군 수준의 육종법을 이용하여 여러 저항성을 지닌 것들을 축적해야 하고, 작물과 해충, 환경 및 인간 관리자 사이의 상호작용에 대한 동시적 본질을 이해하는 데 달려 있다. 선택은 단일한 특정의것들이 아니라 모든 수준에서 동시에 일어난다. 그 결과 더 오래가는 유형의 저항성을 수평 저항성이라 부른다(Robinson 1996; Garcia-Espinosa 2010). (그림15.11)


그림15.1Roberto García-Espinosa 박사는 그가 육종한 수평 저항성이 있는 콩의 종자를 배포하고 있다. 멕시코몬테씨요에 있는 Colegio de Postgraduados에서 일하면서, García-Espinosa 박사는 멕시코의 믹스테카Mixteca 콩 재배 지방에 존재하는 광범위한 병원균에 저항성이 있는 콩을 개발하는 육종 프로그램을 매우 성공적으로 운영했다. (사진 제공 Don Lotter 박사)




가장 오래가는 저항성을 제공하는 육종법은 방임 수분된, 지역에 적응한 토종의 활용에 달려 있다. 방임 수분된 작물은 일반적으로 교잡 품종과 비교하면 수확량은 낮지만, 유전적 다양성 때문에 지역적 선택 압력에 매우 즉각적으로 반응한다. 또한 그들은 해충과 질병, 잡초를 포함한 모든 지역적 환경 요인이 조합된 상태에서도 최고의 평균 성과를 올린다. 


체계 수준의 저항성의 중요성은 농업 과학자보다 생태학자에 의해 더 쉽게 받아들여진다. 자연 생태계에서의 선발에 대한 연구는 그것이 진화한 생태계로부터 다른 생태계로 도입되었을 때 야생의 생태형이 긍정적 또는 부정적 선택 압력에 모두 반응하는 방식을 되풀이하여 입증해 왔다. 선택은 유기체가 직면하는 생물적, 비생물적 요인의 모든 수준에서 동시에 작동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작물의 유전적 균일성과 관련된 문제는 더 분명해진다. 






식물 유전자원의 현지외 보존

유전자원의 침식과 상실에 대한 우려로 1974년 국제 식물 유전자원위원회(IBPGR)가 창설되었다. 현지외 작물 생식질 저장소의 국제 네트워크가 확립되고, 국제 식물 유전자원위원회 체계의 유전자 은행을 확립하기 위하여 주요 작물 유전자 센터에서 유전물질이 수집되었다. 그 이후 식물 육종가들은 다수확과 저항성 품종을 개발하기 위해 이 유전자원에 크게 의존해 왔고, 모든 유형의 유전자 은행 숫자는 FAO에서 전 세계에 1460개가 있으며 여기에 모두 540만 가지 이상의 표본이 보유되어 있다고 추정한다. 2004년 FAO와 국제농업연구자문기구(CGIAR)의 15개 Future Harvest Center는 작물 다양성의 가장 중요한 수집물의 안보를 장기간 보장하는 독립적인 국제기구인 Crop Diversity Trust를 설립하기 위해 협력했다. 특히 이 트러스트는 위기에 처한 수집물을 구제하고개발도상국이 그들의 수집물을 관리하도록 지원하고자 모색한다. FAO는 2007년 전 세계적으로 식물 유전자원의 상태를 평가한 결과, 현지외 유전자 은행의 네트워크, 특히 여러 국가들 안에서 더 지역적인 데 초점을 맞추고있는 유전자 은행의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데 지원해야 함을 다시 확인했다(FAO 2010). 







식물 유전자원의 현지내 선발과 보존

현지외 보존은 중요하지만, 그 자체로 농업의 유전적 다양성이 침식되는 걸 막을 수는 없다. 유전자 은행에 대한 제한된 자금 지금으로 인해 작물의 범위와 물질이 수집되는 지역이 한정되어 세계의 작물 유전적 다양성의 상당 부분은 이들 저장소에서 유출되었다. 세계의 식량작물 가운데 상당수를 제외한 옥수수, 밀, 콩, 벼, 감자가 가장 주목을 받아 왔다. 이러한 현지외 유전적 보존 노력이 추가하는 문제는 작물이 원래의 문화-생태학적 맥락에서 제거되어, 게놈과 환경 사이의 적응 관계를 끊는다는 점이다(Nevo 1998; FAO 2010). 


지속가능성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유전자원의 보존이 현지내 또는 작물 군집의 환경에서 일어나야 하고, 농민은 그렇게 하는 데 대하여 보상을 받아야 한다(Brush 2004; FAO 2014). 현지내 보존은 고정된 보존보다는 오히려 지속적인 선택과 유전적 변화를 수반한다. 그거슨 유전적인 검사가 일어나도록 하고, 지역의 토종을 유지하며 강화시킨다. 미래에 작물의 재배가 일어날 수 있는 모든 조건 -위치, 시기, 재배 기술- 을 모방하고자 시도한다. 그 결과, 품종이 (1)지역의 환경 조건, (2)지역 환경의 문화적 조건(관개와 경운 및 거름주기 같은), (3)지역적으로 중요한 모든 생물적 작물 문제(해충, 질병, 잡초 같은)에 잘 적응된다. 


현지내 보존은 유전 정보의 저장소가 되는 농장과 작물을 돌보고 관리하는 방법에 대한 문화적 지식의 저장소가 되는 농민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극단적으로 현지내 보존의 원리는 각각의 농장이 자체적인 육종 및 보존 프로그램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한다. 실제로 농민은 가능하다면 그들의 지역에 적응된 토종을 선발하고 보존할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좀 더 실용적 접근법은 지방의 수준에 초점을 맞춘다. 농사 지역의 지방 특성이 중요한 선발 기준을 확립하기 때문에, 검사 프로그램은 해당 지방의 농민들 사이에서 작물 유전 물질의 끊임없는 교환이 이루어지는 한 특정한 지리학적, 생태학적으로 정의된 지방에 대해 어느 정도 중앙집중화될 수 있다(Brush 1995; Cunningham 2001).


현지내 보존은 특히 기후변화의 맥락에서 중요해진다. 주어진 다양한 농업생태계에서 재배되고 있는 토종과 품종들은 건조함이 증가하고 온난화가 진행되는 것과 같은 지향성 환경 변화에 의해 나타나는 선택 압력에 반응하여 진화할 것이다. 이들 작물은 그 지방의 기후변화의 독특한 발현에 더 잘 적응할 뿐만 아니라, 그들의 적응은 조건들이 같은 방식으로 변화하고 있는 다른 지역에서도 재배에 적합해지도록 할 수 있다. 게다가 현지내 보존으로 보존되고 선발된 유전적으로 다양한 개체군들은 이후 기후변화가 농업생태계에 요구할 개체군 -및 농업생태계- 수준의 탄력성에 대한 중요한 원천이 될 것이다. 


궁극적으로 현지내 및 현지외 유전자원 보존 노력은 통합되어야 한다. 이미 비영리 단체와 농민들 사이의 동반자관계는 두 종류의 프로그램이 서로를 보완하고 더 효과적이고 공정한 보존을 촉진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아리조나 투손에 있는 Native Seeds/SEARCH라는 조직은 농민들에게 지역의 전통적 작물 품종을 재배하도록 장려함으로써 현지외 종자 수집과 저장 활동을 보완한다. 이 조직은 품종을 상실한 농민들에게 종자를 제공한 다음, 농민들의 잉여 생산을 구매한다. 그리하여 농민의 농지는 전통적인 유전자원을 보존하고 미래의 품종들을 위해 검사하는 장이 된다. 이들 농지에서도 지역의 지식, 지역의 자원 및 제한된 산업 투입재를 사용할 경우 지속가능성을 위한 육종이 일어날 수 있다(Tuxill and Nabhan 2001; Nabhan 2002).





비주류 작물과 비작물 자원의 보존

농업생태계에 있는 유전자원은 오늘날 많은 사람들이 소비하는 먹을거리의 대부분을 제공하는 상대적으로 소수의 작물 종 너머까지 미치고 있다. 새로운 작물이 될 가능성이 있는 다양한 비작물 종만이 아니라 지역에서 중요한 비주류의, 또는 이용되지 않는 작물은 모두 지속가능한 농업을 위한 육종 프로그램에 이용할 수 있는 유전자원의 일부를 형성한다. 또한 그들은 지속가능한 농업 체계를 위한 유전적 기초를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전체 체계, 수평 저항성 과정의 일부를 형성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모든 다른 유형의 작물, 비작물 및 야생 근연종 등이 포함되도록 유전적 보존 노력을 확대하는 일이 중요하다. 이 목표는 이들 종이 발생하는 전통적인 농업생태계를 보존함으로써 가장 잘 달성된다(Altieri and Nicholls 2004a). 





가축의 유전적 다양성을 평가하기

가축의 유전적 다양성은 작물의 유전적 다양성과 똑같은 이유로 소중하다. 품종의 다양성(및 품종 안의 다양성)은 환경의 변화, 새로운 질병의 위협, 변화하는 시장의 조건이나 소비자의 선호에 대응하여 새로운 품종을 선발하고나 개발하기 위한 원료를 농민에게 제공한다. 특정 지역에 서식하는 가축 품종에는 높은 번식력, 좋은 모성 본능, 질병 저항성, 저급 사료로도 잘 자라는 능력, 열악한 조건에 대한 적응력, 장수, 독특한 축산물 특성 같은 귀중한 형질을 가지곤 한다. 이들 형질은 모두 저투입 가축 생산에 바람직하고 -필수적이며- 널리 퍼진 상업적 품종에는 없곤 한다. 따라서 토착 품종의 가금류, 돼지, 소, 기타 가축 유형들은 지속가능한 가축 생산을 위해 중요하다. 


그러나 동물의 게놈은 유전자 은행에 쉽게 저장될 수 없기 때문에, 가축의 유전적 다양성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작물의 유전적 다양성보다 더 큰 위기에 처해 있다. FAO는 세계의 가축 품종 가운데 43%가 멸종위기에 처해 있다고 추산한다. 


동물이 지속가능성에서 담당할 수 있는 복합적 역할을 인식하면 이런 경향을 뒤집을 기회가 생긴다. 우리가 19장에서 볼 텐데, 지역의 전통적 품종은 작물 생산 체계로 가축을 다시 통합시키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지속가능한 먹을거리 체계를 창출하는 데 필요한 단계이다(그림15.12).


그림15.12 멕시코 유카탄 반도에서 멸종위기에 처한 지역에 적응된 닭 품종과 그 닭장. 학교의 아이들이 세페다Cepeda 마을의 학교 숲 텃밭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그 닭을 사육하고 홍보한다. 다수확의 현대 품종과 달리, 이 닭들은 방사되고 더운 마야의 저지대에 대한 저항성이 있으며, 최소한의 외부 투입재로도 생존할 수 있는 한편, 지역의 식사에 훌륭한 단백질 보완물을 제공한다. 





유전학과 지속가능성


산업형 농업의 추동력인 농기업들은 농업의 과정을 합리화하고, 가능하면 그들의 통제 아래에 모든 생산요소를 두고자 한다. 작물과 가축은 생산의 주요 요인이기 때문에, 그리고 그들의 게놈이 이와 관련하여 어떻게 기능할지를 결정하기 때문에, 농기업들은 충분히 합리적으로 유전학에 많은 관심을 기울였다. 산업형 모델의 농업이 공장과 같다면, 게놈을 조작하는 능력은 공장의 마스터 제어반에 접근하는 것과 같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유전체학은 재무부의 열쇠와 비슷한 무언가를 농식품 기업들에게 제공했다. 


이윤을 창출하고 생산에 대한 통제를 중앙집중화하는 유전학의 중요성을 인식한 농기업은 교잡 종자를 만들고 게놈을 조작할 수 있는 기술을 발전시키는 데 상당한 자원을 투자해 왔고, 이러한 기술의 노하우를 상품성 있는 제품과 패키지 및 서비스로 개발하는 데 적용하고자 적극적이다. 1996년 이후 유전자변형/유전공학 작물의 매우 신속하고 광범위한 채택은 유전체학이 산업형 모델에 얼마나 완벽히 들어맞는지에 대한 명백한 지표이다. 교잡 종자의 개발과 마케팅에 구체적인 전략을 취하며 한 걸은 더 나아간다. 


물론, 산업형 농업의 모든 농법과 접근법은 결과를 가져온다. 농업생물다양성의 침식 같은 그 결과의 일부는 이제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알아차릴 수 있을 만큼 충분히 점진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다른 사람들에게는 현재무시하기 어려운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제초제 저항성과 Bt 유전자를 가진 유전공학 작물의 광범위한 사용이 후자의 범주에 있다. 글리포세이트에 대한 잡초의 저항성 증가와 Bt 독소에 대한 곤충의 저항성 증가는 오늘날 농민들에게 큰 골칫거리이다. 이것이 농기업이 이런 "제품"의 배치가 잘못이었음을 인지하고 있다는 걸 의미하는가? 글리포세이트 저항성과 Bt 작물을 처음으로 개발한 몬산토의 반응은 이것이 성급한 결론일 수 있음을 보여준다. 몬산토는 잡초의 글리포세이트 저항성을 극복하기 위해 설계된 운반 RNA라 부르는 새로운 유전공학 기술을 기반으로 한 신제품을 개발하고 있다. 더 많은 유전공학 기술로 유전공학 기술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려고 시도한다는 건 놀랄 만한 일이 아니다. 산업형 모델이 지닌 가장 일관된 접근법이기 때문이다. 


농식품 기업의 성장하고 있는 권력과 산업형 농업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들을 관리할 수 있는 그들의 분명한 능력은 우리가 농업생물다양성을 보존하면서 직면하는 과제들을 강조한다. 농식품 기업들은 자신의 목적에 적합한 정도까지만 세계의 작물과 가축 품종에 존재하는 유전적 다양성에 관심이 있다. 이와 동시에 산업형 농업의 논리는 모든 수준에서 유전적 균일성을 향해 나아가도록 촉진하는데, 이는 불리한 방향으로 기후가 변화함에 따라 여유가 없는 인류에게 회복할 수 없는 유전적 정보가 지속적으로 상실되고 유전적 취약성이 증가한다는 걸 의미한다. 


산업형 농업이 농업생물다양성의 계속적인 상실을 수반한다면, 유일한 실제 해결책은 먹을거리 체계의 근본적 변화와 산업형 농업 모델에 대한 대안의 개발이다. 그동안 농업생물다양성 침식의 파도를 막으려는 노력은 시장 외부에 존재하는 조치 -정부와 비영리단체 및 농민 조직에 의해 자금을 지원받는 보존 프로젝트 같은- 와 전통적 체계의 보존과 먹을거리 체계의 한계지에 존재하는 대안 체계의 개발 등에 의존하고, 접근할 수 있는 농업생물다양성을 보존해야 할 것이다. 이들 노력이 당분간은 농기업이 창출한 이윤에 필적할 만한 수준의 지원을 받지는 못할 테지만, 농업은 다양성의 전체 범위가 그 길들여진 종들의 정도에 달려 있기에 그러한 노력들은 절대적으로 중요하다.


농민과 육종가들이 수천 년에 걸쳐 개발한 작물과 가축 품종의 놀라운 다양성은 그와 함께 자라는 야생 근연종과 비작물의 유익한 것들과 모두 인류의 자원이자 유산이다. 그것들은 공기와 물, 토양과 같은 공유재이며, 환경의 이러한 측면과 마찬가지로 사적인 이윤을 위해 전유되고 파괴될 위험에 처해 있다. 이러한 공유 유산의 더 많은 상실을 막기 위해서는 길들여진 종들이 본래 개발되었던 아래에 있는 공동선에 대한 책무, 책임감 및 주의와 똑같은 종류의 윤리가 필요하다(표15.3).



자원 또는 과정

지속가능성을 위한 이점

여러 토종과 개발된 품종의 형태에 있는 광범위한 유전적 기초

유전적 취약성의 감소; 유전적 변이를 지속적으로 생산

토종 안에서, 토종 사이의 가변적 유전자의 빈도

유전적 취약성의 감소

때때로 야생의 근연종에서 토종 안으로, 토종 사이의 유전자 유동

가변성 유지, 다양성 및 환경 저항성

지역적 적응의 다양성을 위한 선발

환경 저항성에서 지역적 탄력성을 유지

상대적으로 작은 개체군

유전적 부동으로 인한 다양성을 촉진

방임 수분 육종 체계

이종교배 촉진; 가변성 유지

더 긴 생활주기

이종교배 촉진

지방의, 군데군데 있는 분포

다양성 촉진

야생 근연종의 존재

자연스러운 교잡과 변이를 가져올 수 있음

지역의 육종 

다양성과 적응력 촉진; 환경 저항성 유지 

농장의 유연하고 다양한 환경 조건(예, 사이짓기) 

가변적인 유전적 계통의 유지를 위한 미소지 제공

농업생태계의 높은 전반적 다양성

더 복잡한 상호의존성과 공진화의 상호작용과 개발을 허용

표15.3 지속가능한 농업에서 유전자원과 과정의 중요성   

출처: Salick, J. and Merrick, L.C., Use and maintenance of genetic resources: Crops and their wild relatives, in: Carroll, C.R., Vandermeer, J.H., and Rosset, P.M. (eds.), Agroecology, McGraw-Hill, New York, 1990, pp. 517–548. 에서 고침











생각거리


1. 자연 생태계에서 절대적 상리공생과 인간과 그들의 길들여진 유기체 사이의 관계에서 유사점과 차이점은 무엇인가? 


2. 지속가능성을 촉진하는 방식으로 직접 선발을 적용하는 것에 관해 개발도상국의 전통적 농사 체계로부터 우리는 무엇을 배울 수 있는가?


3. 농지의 상황과 격리된 거대하고 환경이 통제되는 생식질 은행에 주요 작물과 유전 물질을 저장하는 데에만 초점을 맞춘 생식질 보존 프로그램의 약점은 무엇인가?


4. 시장에서 하는 여러분의 개인적 선택이 농민들이 사용하는 유전 물질의 선발에 어떻게 압력을 가하는가?


5. 직접 선발 과정에서 "농업생태계 선발"이 의미하는 건 무엇인가?


6. "농민에서 농민으로" 또는 참여형 종자 갈무리와 교환의 이점은 무엇이고, 유전 물질에 대한 특허를 획득할 수있는 시점에 그걸 어떻게 홍보하고 보호할 수 있는가?







인터넷 자료


Biological Diversity in Food and Agriculture 

http://www.fao.org/biodiversity

The agrobiodiversity section of the United Nations’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site. A portal to a great deal of information and data about agrobiodiversity. 


Center for Food Safety 

http://www.centerforfoodsafety.org

This organization’s site has a great deal of good information related to the hazards of GE crops. 


The E. O. Wilson Biodiversity Foundation 

http://www.eowilsonfoundation.org

A foundation with a mission to foster a knowing stewardship of our world through biodiversity research and educational initiatives that promote and inform worldwide preservation of our biological heritage. 


The International Treaty on Plant Genetic Resources for Food and Agriculture 

http://www.planttreaty.org

Access to the international treaty developed by the FAO of the United Nations to protect farmers’ rights and abilities in the production and maintenance of vast genetic resources for agriculture. 


Native Seeds/SEARCH 

http://www.nativeseeds.org

This organization works to preserve the many locally adapted plant varieties used by indigenous groups in the Americas.


People and Plants International 

http://www.peopleandplants.org

An organization devoted to sustainable resource management, and focused on the preservation of plant biodiversity and cultural diversity worldwide. 


Union of Concerned Scientists, genetic engineering section 

http://www.ucsusa.org/food_and_agriculture/our-failing-foodsystem/genetic-engineering/

A wealth of information and research on the risks of genetic engineering.







읽을거리


Bellwood, P. 2004. First Farmers: The Origins of Agricultural Societies. Blackwell Science: London, U.K. 

An archaeological perspective on the origins and history of agriculture and crop domestication. 


Brookfield, H. 2001. Exploring Agrodiversity. Columbia University Press: New York. 

An integrated overview of the concept of diversity in agriculture, focusing as much on the choice of crops as on the management of land, water, and biota as a whole. 


Brush, S. 2004. Farmer’s Bounty: Locating Diversity in the Contemporary World. Yale University Press: New Haven, CT. 

A thorough assessment of the present state of crop diversity worldwide, written from the standpoint of an anthropologist but with a wide scope that includes the work of ecologists, geneticists, and ethnobotanists. 


Doyle, J. 1985. Altered Harvest: Agriculture, Genetics, and the Fate of the World’s Food Supply. Viking Penguin: New York. 

A review of the social and economic factors that have switched the emphasis from genetic diversity to chemical inputs for increased production, while limiting access to seed for farmers of the world. 


FAO. 2010. The Second Report on the State of the World’s Plant Genetic Resources for Food and Agriculture.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Rome, Italy. 

A very comprehensive report on the state of conservation, both in situ and ex situ, and the programs and needs of conservation efforts around the world. 


Fox, C. W., D. A. Roff, and D. J. Fairbairn (eds.). 2001. Evolutionary Ecology: Concepts and Case Studies.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A synthetic view of the field of evolutionary ecology, viewed as an integration of ecology and evolutionary biology.


Gaston, K. J. and J. I. Spicer. 2004. Biodiversity: An Introduction, 2nd edn. Blackwell Science: Malden, MA. 

An overview of what biodiversity is, its relevance to humanity and issues related to its conservation. 


Lammerts van Bueren, E. T. and J. R. Myers. 2011. Organic Crop Breeding. John Wiley & Sons: Hoboken, NJ. 

A thorough review of the latest efforts by crop breeders and geneticists to develop improved varieties for organic production. 


Maxted, N. 2012. Agrobiodiversity Conservation: Securing the Diversity of Crop Wild Relatives and Landraces. CABI: London, U.K. 

By focusing on agrobiodiversity conservation, this book considers the benefits of understanding and preserving crop wild relatives and landraces. It encompasses issues as wide ranging as habitat protection, ecosystem health and food security.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972. Genetic Vulnerability of Major Crops. National Academy Press: Washington, DC. 

An early call for concern about the potential risks of narrowing the gene pool for our major crop varieties. 


Ridley, M. 2009. Evolution, 3rd edn. Blackwell Science: Malden, MA. 

A text that covers the history of evolutionary theory from its origins until present times. 


Schurman, R. A. and D. D. T. Kelso (eds.). 2003. Engineering Trouble: Biotechnology and Its Discontent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Berkeley, CA. 

With examples from agriculture, food, forestry, and pharmaceuticals, this book critically examines some of the most contested issues of GE organisms, including its social and political consequences. 


Silvertown, J. and D. Charlesworth. 2001. Introduction to Plant Population Ecology, 4th edn. Blackwell Science: Oxford, U.K. 

The fundamentals of plant genetics presented from a population ecology perspective. 


Simpson, B. B. and M. C. Ogorzaly. 2001. Economic Botany: Plants in Our World, 3rd edn. McGraw-Hill, Inc.: New York. 

A very complete and well-illustrated coverage of the useful plants of the world, including aspects of history, morphology, taxonomy, chemistry, and modern use.

728x90
728x90

농생태학: 지속가능한 먹을거리 체계의 생태학







14장 농업생태계의 개체군 생태학



농학과 산업형 농업에서, 관심의 중심은 작물이나 가축에 상관없이 생산물을 추출할 유기체의 개체군이다. 농민은 환경의 복합성이란 다양한 요인들을 관리하여 이 개체군의 성과를 극대화하려고 시도한다. 그러나 전체 농업생태계의 지속가능성이 주요한 우려가 될 때, 일반적으로 하나의 유전적으로 균질한 개체군의 요구에 대한 이러한 좁은 초점은 완전히 부적절해진다. 농업생태계는 비작물 종, 동물 및 미생물을 포함하여 여러 종류의 유기체들의 개체군이 상호작용하는 집합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상호작용하는 개체군의 집합으로 농업생태계를 고려하는 데에는 몇몇 수준의 연구가 필요하다. 첫째, 우리는 각각의 개체군이 농업생태계의 환경에서 어떻게 살아남으며 스스로를 재생산하는지 이해하고 비교하는 데 필요한 개념적 도구가 필요하다. 이들 도구와 그 적용은 이번 장의 주제이다. 둘째, 우리는 작물 개체군의 유전적 기초와인간에 의한 이런 유전적 잠재력의 조작이 어떻게 작물의 적응력과 저항력의 범위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아야한다. 우린 15장에서 이 주제에 주목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우리는 상호작용하는 개체군의 군집과 생태계 수준의 과정을 고려해야 한다. 이는 16장부터 19장에 걸쳐 탐구될 것이다. 






개체군 생태학과 식물 인구 통계학의 원리 


단일한 종의 개체군은 오랫동안 농학 연구의 주요한 주제였다. 작물 육종가는 작물 개체군의 유전적 잠재력을 조정하고, 생산 전문가는 그 잠재력을 최대한 끌어내는 관리 기술을 개발한다. 이를 통해 따로따로 체계의 한 요인을 조정하거나 특정한 살충제로 특정한 해충을 방제하는 것 같은 단일한 문제를 해결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데 능숙한 작물 생태학자의 유형이 생겨났다. 하지만 농업생태계는 많은 유기체의 개체군들 사이의 복잡한 상호작용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농생태학의 접근은 더 광범위한 분석이 필요하다. 똑같은 영양 단계에서 개체군들 사이의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는 상이한 영양 단계에 있는 개체군들 사이의 상호작용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연구와 동시에 수행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통합 해충 관리는 특정한 작물-해충-천적 복합체의 각 구성원만이 아니라, 전체 복합체가 상호작용하는 다른 유기체의 개체군 생태학을 동시에 분석할 필요가 있다. 결국, 우린 이런 개체군의 복합체를 16장에서 살펴볼 생태학적 분석 차원의 전체 작물 군집으로 간주해야 한다. 하지만 먼저, 우리가 각 개체군의 역학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개체군 생태학의 몇 가지 기본 원리를 논의할 것이다. 





개체군 성장

생태학자들은 출생률, 사망률, 특정 개체군의 안팎으로 이동하는 개체의 최종 결과로 개체군 성장을 살핀다. 따라서 개체군 성장은 다음 공식으로 설명된다. 


r = (N + I) - (M + E)


여기서 r은 출생률(N), 이입(I), 사망률(M), 이출(E)을 계산에 넣어, 시간의 경과에 따른 개체군의 내인성 개체군 증가율이다. 시간 경과에 따른 개체군 변동은 다음처럼 기술된다. 


dP/dt = rP


여기서 P는 특정 시기(t)에 걸쳐 조사하고 있는 개체군이다. 자원이 제한적이지 않고, 개체군 증가에 따라 개체군 구성원들 사이의 부정적 상호작용이 치명적 수준에 이르지 않으면, 개체군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할 것이다. 이 매우 간단한 방정식은 개체군에 대한 환경의 비생물적, 생물적 요인들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으며, 환경이 개체군에 부과할 수 있는 성장 한계도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실제 세게에서 일어나는 일을 더 잘 모델링하고자 다음의 방정식이 개발되었다. 


dP/dt = rP(K-P / K) = rP(1 - P / K)


개체군의 성장률은 P가 0에 수렴할 때 간섭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으며, P가 K(환경의 수용력에 따른 개체군 규모)에 수렴할 때 느려진다. 이 방정식은 그림 14.1에 나오듯이, 로지스틱, S자 또는 S자형 성장 곡선을 나타낸다. 곡선이 수평화되는 건 결국 확장하는 개체군에 자원을 할당하는 데 문제가 발생한 걸 가리킨다. 이 곡선은 농지에 있는 잡초의 종이나 작물의 특정 해충 유기체에 적용될 수 있다. 개체군 증가는 처음에는 느리고, 최대 증가율에 도달할 때까지 가속하기 시작한 다음 밀도가 높아짐에 따라 느려진다. 환경의 수용력에 이르면 곡선은 수평화되고, 그리고 많은 경우 환경에 대한 영향이 전체 개체군에 영향을 미치는 조건을 생성하면 떨어지기 시작할 것이다. 


그림14.1 개체군 성장 곡선. 이 그래프는 시간의 경과에 따른 이론적인 개체군 증가율을 보여준다. 이 경우, 수용력(K)은 개체군 규모 500에 도달한다. 





자연 생태계에서, 복잡한 되먹임 메커니즘은 개체군 폭락에 맞서 종들을 완충시켜 수용력에 도달하기 전에 개체군 증가를 늦출 수 있다. 때로는 이런 메커니즘은 이미 존재하는 개체들의 숫자에 의해 직접적으로 결정되는데, 이 경우에는 밀도에 따른다. 한 사례로는 제한된 자원에 대한 경쟁이 있다. 다른 경우에, 그 메커니즘은 서리나 홍수 같은 환경의 외부 요인에 기인하여서 밀도와 무관하다. 작부체계에서 인간은 작물의 숫자를 증가시키거나 그 환경의 정상적인 수용력 이상으로 발달하도록 다양한 개입과 기술을 고안해 왔다. 보통 이런 개입은 집약적인서식지 변경이나 투입재와 관련되어 있으며, 다른 종(동식물 모두)의 통제나 제거 및 비료와 관개의 이용이 포함될 수 있다. 






새로운 지역의 군집 형성

개체군 성장에 대한 연구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개체군의 규모가 증가할 가능성에 관한 것이 되었다. 그러나 지역에서 개체군이 증가할 가능성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불완전한데, 그것은 새로운 서식지에 대량 서식하려는것이다. 새로운 지역에 대량으로 서식하는 과정은 작물 이외의 유기체가 어떻게 농지를 침입하여 -이롭든지 아니든지- 그곳에 개체군을 확립하는지 관심이 있는 농생태학자에게 특히 중요하다. 





군집 형성의 단계

잡초나 유해 동물이 농지에 대량 서식하는 방식은 그들의 생활주기와 관련이 있다. 초기의 침입은 종의 번식과 분산 과정의 일부로 이루어진다. 개체군의 확립은 그 종자와 모종 또는 알과 어린 생물의 요건에 달려 있다. 개체군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역에 남아 있는지 여부는 그것이 어떻게 성장하고, 성숙하며, 번식하는지에 달려 있다. 종의 생활사에서 각각의 단계는 원하는 종의 군체 형성을 장려하거나 원하지 않는 종의 군체 형성을 제한하려고 농민이 개입할 특별한 기회를 제공한다. 이어지는 본문에서, 군체 형성 과정은 대량으로 서식하는 유기체의생활 단계에 기반하여 네 단계로 나뉜다. 분산, 확립, 성장, 번식이 그것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이들 단계는 주로 식물의 측면에서 논의한다. 





분산

유기체의 분산은 자연 생태계에서 중요한 현상이고, 농생태학에서 몇 가지 흥미롭게 적용된다. 분산은 생태학적으로 매우 유사한 형제자매들의 과밀로 인한 종내 간섭의 가능성을 줄이고자 자손이 어미 유기체의 근처를 "탈출하도록"한다. 또한 한 종이 새로운 서식지에 도달하도록 한다. 


농업에서, 분산은 농지의 지속적인 교란 때문에 중요하다. 이러한 교란 -관행적 경운의 경우에 대규모이든지, 열대의 가정 텃밭에서처럼 여러해살이/한해살이의 섞어짓기 같은 경우에 단편적이든지- 은 군체 형성에 이용할 수 있는 새로운 서식지를 끊임없이 창출한다. 많은 유기체가 그 교란과 조작에도 불구하고 농지에서 거주하는 개체군을 유지하지만, 여러 비작물 유기체 -이롭거나 해로운 잡초, 곤충, 기타 동물, 질병 및 미생물을 포함하여- 는 모두 분산을 통하여 농지에 도달한다. 이런 맥락에서, 분산에 대한 생태학적 장벽은 중요한 의미를 띤다. 장벽은 농지를 둘러싸고 있는 잡초가 무성한 경계, 또는 다른 작물로 구성된 경계처럼 단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비작물 유기체의 분산 메커니즘과 어떻게 그것이 장벽에 의해 영향을 받는지에 대한 더욱 심층적인 이해는 농업생태계의 설계와 관리에 중요해질 수 있다. 


식물과 동물이 그 생활주기의 분산 단계 동안 어떻게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하는지는 그들 각각이 스스로를 분산시키기 위해 가지고 있는 메커니즘에 달려 있다. 이들 메커니즘은 매우 다양하지만, 대부분 바람, 동물, 물, 또는 중력을 수반하곤 한다. 식물과 동물의 장거리 분산에 대한 연구는 우리에게 이들 메커니즘이 무엇이며 어떻게 작동하는지에 대한 많은 통찰력을 주었다. 


분산에 대한 기초적인 작품의 하나는 칼퀴스트Carlquist(1965)의 섬의 생명(Island Life)이다. 그는 세계 섬들의자연사를 검토하여, 동물과 식물이 인접한 본토의 대량으로 서식하는 근원지에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그렇게 연결되어 있지 않은 섬에 어떻게 도달하는지 논의한다. 이와 비슷하게, 고등 식물의 분산의 원리(Principles of Dispersal in Higher Plants)에 대한 판 더 피지Van der Pijl(1972)의 고전 작품은 종자가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이동하는 데 도움이 되는 놀랄 만큼 다양한 메커니즘에 대하여 아주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메커니즘은 유기체를 짧은 거리만이 아니라, 바다나 사막이란 놀라운 장벽을 가로지르는 먼 거리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새로운 농지에 잡초 종자를 이동시킬 수도 있다.  


분산 메커니즘의 중요한 측면은 번식의 근원에서 "벗어나기" 위한 선택적 이익을 제공하는 것처럼 보이는 게 얼마나 많은지에 있다. 이는 코스타리카의 숲에 있는 "어미 나무" 주변의 묘목 분포에 대해 이루어진 현지조사에 의해 설명된다. 그림14.2에 나오듯이, 새롭게 발아한 종자와 매우 어린 묘목의 대부분은 나무에 가까이 집중되어 있었는데, 더 오래된 어린 나무(성장하여 생식 개체가 될 가능성이 있음)는 더 먼 거리에서 발견되었다. 어떤 종내 메커니즘(예, 경쟁, 타감작용)은 나무 근처에서 묘목을 제거하며, 더 먼 거리에서 기능하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 특히 자원의 가용성, 잠재적 경쟁, 포식이나 질병에 대한 민감성과 관련하여, 부모와 어느 정도 거리를 두는 게 뿌리를 내리는 데 왜 유리한지 생각해 보는 것은 흥미롭다. 


그림14.2 코스타리카 Rincon de Osa에 있는 어미 나무에서 서쪽으로 떨어져 나간 Gavilan schizolobium의 묘목과 어린 나무들의 분포. (자료는 Ewert, D. and Gliessman, S., 오사 반도의 열대의 습한 숲에서 나무 밑의 재생<Regeneration under a tree in the tropical wet forest, Osa Peninsula, Field problem report, Tropical Biology Course Book, Organization for Tropical Studies, 1972, pp. 306–310. 에서)





식물의 종자는 토양의 상층에서 가장 많은 숫자가 발견되는 것과 함께, 토양 표면에 떨어지자마자 토양으로 통합된다. 각 종들의 종자의 개체군은 다른 종의 종자와 결합하여 종자은행을 형성한다. 작부체계에서 잡초 종자은행의 분석은 현장 관리의 이전 역사와 잡초가 야기할 잠재적 문제에 관하여 많은 걸 이야기해 줄 수 있다. 이런 정보는 적절한 관리를 설게하는 데 중요할 수 있다. 


대부분의 작물 유기체는 분산을 위해 인간에게 의존하기 때문에, 분산을 위한 그들의 적응은 대개 상관이 없어졌다. 사실, 대부분의 작물 종들은 그들이 야생종으로서 가지던 분산 메커니즘을 상실했다. 그들의 종자는 너무 커지거나 한때 분산을 용이하게 하던 부속물을 상실하거나, 그들의 꽃차례는 더 이상 종자를 흩뿌리지 않게 되었다. 분산 적응의 상실은 특히 종자나 곡식이 수확되는 작물의 부분인 한해살이 작물에서 나타난다.





확립 

식물과 동물의 번식체가 갈 수 없는 지구상의 헐벗은 지역은 실제로 없다. 앞서 언급한 분산 메커니즘의 놀라운 다양성은 그것을 확실히 한다. 하지만 일단 번식체가 새로운 위치에 도착하면, 확립하는 데에 가장 확실하게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식물에 대한 우리의 주의를 제한하는 것은 분산되는 종자가 어디에 내려앉을지 결정할 수 없기에, 만약 번식체가 확립될 수 있다면 그걸 결정하는 것은 현장의 조건이다. 종자는 매우 이질적인 환경으로 떨어지고, 맞닥뜨리는 장소의 일부만이 종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것이다. 종자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그러한 미세 장소 -"안전한 장소"- 만 발아와 확립을 지원할 수 있다(12장 참조). 안전한 장소에 내려앉은 어느 종의 종자 숫자가 더 많을수록, 그 종은 새로운 서식지에서 생존할 수 있는 개체군을 확립할 가능성이 더 커진다.


모종 단계는 일반적으로 식물의 생활주기에서 가장 민감한 기간으로 알려져 있기에, 새로운 개체군의 확립에 중요한 단계이다. 이는 자연 생태계에서 작물 종, 잡초, 식물에게도 그대로이다. 휴면 종자는 매우 어려운 환경 조건을 견딜 수 있지만, 일단 발아하면 새롭게 출현한 싹이 성장하거나 죽어야 한다. 모종이 직면할 수 있는 가뭄과 서리, 초식 및 경운을 포함하는 여러 극단적 환경 조건 가운데 하나가 그것을 제거할 수 있다. 인간의 개입은 작물의 성공적이고 균일한 확립을 보장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지만, 환경 복합성의 가변성은 여전히 대부분의 작물 개체군들에게 가장 민감한 단계를 만든다. 동물들 대부분의 초기의 어린 단계는 환경 스트레스에 대해 똑같은민감성을 나타낸다. 





성장과 성숙

일단 모종이 성공적으로 확립되면, 그 주요한 "목표"는 계속적인 성장이다. 모종이 자리한 환경과 그것의 유전적 잠재력이 결합되어 그것이 얼마나 빨리 성장할지를 결정한다. 자연 생태계에서, 가뭄이나 빛에 대한 경쟁 같은 환경 요인들은 일반적으로 식물의 발달 단계에서 성장 과정을 제한한다. 이들 요인이 너무 극심해지면, 개체군에서 개체들이 죽을 것이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축적된 바이오매스만으로 측정했을 때, 식물은 일반적으로 초기의 성장 단계에서 가장 빨리 성장한다. 그 성장률은 성숙이 시작되면서 느려진다. 이때는 더 많은 에너지가 새로운 식물 조직의 생산보다는 생식 기관의 유지와 생산에 할당된다. 또한 개체군의 각 구성원이 이용할 수 있는 자원이 제한이 되면 성장이 느려질 수도 있다.  


발아부터 성숙까지의 기간은 일부 여러해살이의 경우 며칠부터 몇 십년의 범위까지 다양하다. 빠르게 성숙하는 종은 서서히 성숙하는 종과 다른 방식으로 새로운 지역에 군체를 형성할 것이며, 각각을 관리하는 데에는 서로 다른 과제가 나타낼 것이다.





번식

일단 원래 군체를 형성한 개체들이 성숙해지면 번식할 수 있다. 그들이 성공한 정도는 새로운 개체군이 그 지역에 남아 있을지, 그것이 어떻게 자랄지, 그리고 장기적으로 다른 종들의 개체군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지를 결정한다. 번식은 영양생식을 통해 무성생식이 일어나거나 종자의 생산을 통해 유성생식이 일어날 수 있다. 어떤 종은 군체를 형성한 종자의 빠른 초기 성장과 이후의 이주종을 억제하기 위한 강력한 조기의 환경 관리에 의존한 다음, 풍부하게 번식한다. 다른 종은 소수이지만 개체군에서 더 크고 더 지배적인 개체를 개발하는 데 더 많은 자원을 할당할 수 있고, 그 과정에서 새로운 종자의 생산을 희생시키지만 성숙에 이르는 개체의 성공을 보장한다.






군체 형성의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앞서 설명한 군체 형성 과정의 어느 단계에서나, 일정 비율의 개체군을 제거할 수 있는 사건이나 조건이 발생할 수 있다. 침입하는 식물 종의 경우, 종자의 일부만 발아에 적당한 안전한 장소를 찾았을 때만 이러한 제거의 일부가 발생한다. 개체군의 또 다른 큰 비율은 발아 직후에, 특히 날씨 조건이 이상적이지 않으면 상실된다. 어린 식물이 발달하는 동안 언제든지 더 많은 상실이 발생할 수 있다. 최종 결과는 번식하기 시작하는 성숙한 성체의 숫자를 매우 감소시키곤 한다. 이러한 소모는 인간의 관리가 있을 때 더 두드러질 수 있고, 어떤 경우에는 전체 개체군이나 종의 생존을 위협할 수 있다. 


어떠한 종, 특히 수명이 긴 여러해살이의 경우, 여러 모종 가운데 1년이나 몇 년만 모종의 생존을 허용하는 환경 조건이 모두 한꺼번에 모일 수 있어, 군체 형성의 초기 단계에 있는 개체의 소모가 너무 완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캘리포니아의 몇몇 오크나무 종(Quercus spp.)은 수령이 40-200년으로 분리되어 있는 동일한 수령인 개체군의 개체들 무리를 보여주어, 새로운 개체군 무리가 확립될 기회가 매우 드물게 발생한다는 걸 나타낸다. 






생활사 전략

특정 환경에서 성공한 각각의 종은 고유한 적응 세트가 있어, 시간의 경과에 따라 그 환경에서 개체군을 유지할 수 있다. 이들 적응은 번식과 생존할 수 있는 개체군의 지속을 보장하기 위해 생활주기를 체계화하는 "전략"을 구성하는 것이라 생각할 수 있다. 모든 종에 걸쳐, 생활사 전략은 일반형으로 분류될 수 있다. 


생활사 전략을 분류하는 두 가지 중요한 방법은 이어지는 본문에서 논의된다. 그것은 특정한 유기체의 개체군이 어떻게 숫자가 증가할 수 있는지, 또는 새로운 지역에서 대량으로 서식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또한 작물과 비작물 종 모두의 관리에 크게 도움을 주고 있는, 농업생태계의 각 종의 생태학적 역할을 설명하는 것도 도울 수 있다. 






r 선택과 K 선택 이론

식물과 동물은 유지, 성장 및 번식에 "소비하기" 위한 에너지의 양이 제한되어 있다. 번식에 더 많은 에너지를 할당하면 성장에 이용할 수 있는 양이 줄어들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생태학자들은 r 선택과 K 선택이란 연속체의 양끝에 있는 생활사 전략의 두 가지 기본 유형을 정의하는 분류 체계를 개발하기 위하여 성장에 할당되는 에너지, 또는 번식에 할당되는 에너지에서 관찰된 차이점을 이용했다. 이 체계는 r 선택과 K 선택 이론으로 알려져 있다(MacArthur 1962; Pianka 1970, 1978).


한 극단에서, 우린 사망률이 개체군의 밀도보다 오히려 제한된 환경 요인들로 인해 주로 결정되는 혹독하거나 변동이 심한 환경에서 살고 있는 종들을 발견하는데, 그곳의 자연 선택은 높은 내재적 성장 가치를 지닌 유전자형을 선호한다. 이들 종의 개체군 구성원은 번식에 더 많은 에너지를 할당하고, 그들은 일단 확립되면 성장과 유지에 더 적은 에너지를 할당한다. 그러한 종들의 구성원은 r 전략가라 부르는데, 환경 요인이 로지스틱 곡선이 가장급속히 증가하는 지점에서 그러한 개체군의 성장을 유지시키기 때문이다(그림14.1 참조). 그들의 개체군 규모는생물적 요인이 아니라 물리적 요인에 의해 더 많이 제한된다. 


또 다른 극단에서, 우린 사망률이 다른 개체군의 개체들과의 간섭 같은 밀도 종속 요인의 함수가 되고 자연 선택은 간섭을 피하거나 견딜 수 있는 능력을 지닌 유전자형을 선호하는, 안정되거나 예측할 수 있는 환경에서 살고 있는 종을 발견한다. 이들 유기체는 생장이나 비생식 활동에 더 많은 자원을 할당한다. 그러한 종들의 구성원은 K 전략가라고 부르는데, 개체군 규모가 환경의 수용력(K)에 가까울 때 가장 밀집된 개체군을 유지하기 때문이다. 그들의 개체군 규모는 물리적 요인보다 생물적 요인에 의해 더 많이 제한된다. 


일반적으로, r 전략가는 기회주의적이다. 그들은 간섭이 최소화되는 일시적이거나 교란된 서식지에서 군체를 형성할 능력이 있으며, 이용할 수 있을 때 자원을 빠르게 활용할 수 있고, 보통 수명이 짧으며, 번식에 많은 양의 바이오매스를 할당하고, 개방된 서식지나 천이 체계의 초기를 차지한다. 식물계에서 r 전략가들이 대개 쉽게 분산될 수 있는 많은 수의 종자를 생산하는 반면, K 전략가는 대개 장기적인 생장 또는 성장 단계를 지니는 수명이긴 인내자이며 천이의 후반 단계에서 자연 생태계에 발생한다. 


그러나 r 선택과 K 선택의 범주는 명확하게 그려지지 않는다. 대부분의 유기체는 순수하게 r 선택이나 K 선택되는 것이 아니라, 두 전략의 특성을 이용하여 만드는 생활사 전략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어떤 나무는 수명이 매우 길지만 극히 많은 수의 작은 종자를 생산한다. 그러므로 r 선택과 K 선택 이론은 개체군 역할과 적응의 진화를 이해하는 데 신중히 적용되어야 한다. 이런 이유로, 자연게를 연구하는 생태학자들 사이에서는 선호되지 않으며 종의 연령별 사망률에 초점을 맞춘 모델로 대체되었다(Reznick et al. 2002).


그럼에도 불구하고, r 선택과 K 선택의 개념은 대부분의 농업생태계가 그러한 주기적이고 광범위한 교란을 겪기 때문에 농업생태계의 개체군 역학을 이해하는 데 매우 유용할 수 있다. 농업생태계에서 대개의 잡초, 병원균, 해충은 r 선택된 종의 모델에 매우 잘 맞는다(Booth et al. 2010). 그들은 교란된 농업 경관에서 서식지를 매우 빠르게 발견하고, 점유하며, 우점할 수 있는 기회주의적이고 쉽게 분산되며 번식 활동을 하는 유기체이다. 흥미롭게도 우리가 오늘날 세계에서 우리의 기본적인 먹을거리 물질의 대부분을 생산하기 위해 의존하는 작물의 대부분도 r 선택된 종들로 분류할 수 있다. 그들의 바이오매스 가운데 가장 많은 부분이 식물의 번식 부위에 있다. 이는 우리가 소비하는 한해살이 곡식에서 특히 그러하다. 이들 작물은 개방되고, 주기적으로 교란된 서식지에서 진화된 종들에서 주로 유래되었다고 생각된다. 그들의 빠르게 성장할 수 있는 r 선택된 능력이 그들을 작물화하기 위한 좋은 후보자로 만든 것이다.


r 선택된 잡초가 작부체계에서 문제가 되는 한 가지 이유는 작물 자체도 r 선택되고, 작물이 번영하는 개방되고 교란된 조건이 잡초가 가장 잘 자라는 조건과 똑같다는 점이다. 자주 교란되는 한해살이 작부체계, 또는 여러해살이 작부체계는 어떤 의미에서는 농민들이 멈추게 하거나 제거하려고 하는 많은 시간과 에너지, 돈을 소비하는 바로 그 문제들을 선택하고 있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K 전략가는 작물 종으로서 농업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걸 알 수 있다. 여러해살이 작부체계는 열매를 수확하는 경우조차, 그 식물의 생장 부분의 건강과 발달을 특히 중요하게 여긴다. 농사 과정에서 교란이 덜 발생하고, 잡초의 r 전략가들에게 기회가 줄어든다.


흥미로운 제안은 단일한 작물 개체군에서 두 전략의 강점과 이점을 결합시키는 것이다. r 전략가의 빨리 성장하고, 기회주의적이며, 번식에 대한 많은 노력은 K 전략가의 저항성, 바이오매스 축적 및 스트레스 내성과 결합될 수 있다. 그러한 노력의 사례 -여러해살이 곡식 작물을 개발하려는 시도- 는 여러해살이 곡식 작물의 개발에서 논의된다. 이후의 장에서는 다양성과 천이에 대한 생태계 개념이 제시될 때, 농업생태계에서 K 전략가를 활용하는 일에 대한 관심을 추가할 것이다. 




특별 주제: 여러해살이 곡식 작물의 개발


밀, 옥수수, 벼 같은 미국 식사의 토대를 형성하는 곡식 작물은 모두 r 전략가로 간주할 수 있다. 그들은 경작지의 교란된 환경에서 빠르게 성장하고, 에너지의 많은 부분을 번식 구조를 생산하는 데 사용하는 한해살이이다. 작물화의 과정에서, 인간은 이들 식물의 r 선택된 성질을 향상시켜 매우 생산적이지만 외부 투입재와 인간의 개입에 의존적인 곡식 품종을 만들었다. 


토지연구소(The Land Institute; TLI)의 연구자들은 연간 곡식 생산에 필요한 잦은 경운, 그리고 살충제와 무기질 비료의 적용과 함께 토양의 침식과 악화에 관해 우려했다. 또한 질소 침출, 탄소 배출 및 기후변화 같은 한해살이 곡식 작물의 농지 외 영향에 관해서도 우려했다. 그들은 이들 문제에 대한 흥미로운 해결책을 찾고 있다. 여러해살이 곡식 작물의 육종과 여러해살이 사이짓기 체계의 개발이 그 일환이다(Cox et al. 2010; Culman et al. 2010; Crews 2013; Van Tassel and DeHaan 2013).


안타깝게도 농업에 생산적일만한 여러해살이 곡식을 개발하는 일은 쉽지 않다. 식용할 수 있는 탄수화물이 풍부한 종자(열매가 아님)를 생산하는 여러해살이 식물 종은 자연에 존재하지 않는다. 문제는 그들이 K 선택되어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에너지를 종자 생산에 쏟는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우리의 한해살이 곡식 작물과 사촌인 자연의 여러해살이 -야생의 대초원 목초(prairie grass)- 는 식물이 실질적인 먹을거리 비축물을 저장하는 큰 뿌리줄기를 가지고 있다. 뿌리줄기는 식물이 혹독한 겨울과 불시의 가뭄에도 살아남도록 돕고, 무성생식으로 번식할 수 있게도 한다. 이들 식물의 경우 종자로 번식하는 것이 최우선 순위가 아니라고 정력적으로 말하고 있다. 하지만 토지연구소의 연구자들은 이 여러해살이 목초가 이용할 수 있는 한해살이 곡식보다 유리하다는 걸 발견했다. 여러해살이 목초의 총 바이오매스, 또는 순1차생산량이 비슷한 물과 양분 조건에서 재배되었을 때 한해살이 곡식보다 개별 식물당 실질적으로 더 많다. 이는 일년 내내 더 많은 햇빛을 포획할 수 있는 여러해살이의 능력 때문인 것 같다. 


토지연구소의 연구자들은 뿌리줄기를 유지하는 동시에 여분의 광합성 산물의 일부를 종자에 재분배하여 수확할 가치가 있는 새로운 곡식 작물을 육종하고 있다(Van Tassel et al. 2010). 종자의 바이오매스가 한해살이 곡식의 경우보다 식물의 바이오매스 "파이"에서 더 작은 "조각"을 나타내더라도, 파이가 훨씬 더 크다는 사실은 그목표가 생물학적으로 현실적이란 뜻이다. 하지만 종자 생산, 바이오매스 할당 및 생태학적 적응의 유전학을 이해하는 일이 매우 복잡한 육종 과제이다. 


그러한 식물을 광범위하게 재배함으로써 많은 생태학적 혜택이 있을 것이다. 특히 그들은 한해살이 곡식 작물의 심각한 문제인 토양침식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토양은 농사철마다 경운할 필요가 없어지고, 식물의 더 큰 뿌리 체계가 토양이 제자리에 효과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할 것이다. 더 큰 뿌리 체계는 또한 질소를 포획하는 데에 한해살이 곡식보다 더 효과적이어서 해마다 비료 투입재를 살포할 필요를 줄이고, 오로지 생물학적고정을 통하여 식물이 요구하는 질소를 충족시킬 수 있다. 


연구진은 원래 4000가지 이상의 여러해살이 종을 대상으로 곡식 작물을 생산할 잠재력이 있는지 조사하고, 가장 유망한 작물화 후보에 대해 집중적으로 연구했다. 지금쯤 연구되고 있는 주요한 두 라인은 "컨자kernza" 또는 intermediate wheatgrass(Thinopyrum intermedium)와 국화과의 몇 가지 유지종자 종(Silphium integrifolium, Helianthus maximiliani, Helianthus rigidus)이다. 연구의 또 다른 수단은 이종교잡을 통해 여러해살이를 만드는 일이다. 토지연구소의 연구진은 Thinopyrum intermedium을 포함한 몇몇 여러해살이 사촌들과 한해살이 밀을 교배하고 있으며, 시리아수수새(Sorghum halepense)와 한해살이 수수를 교배하고 있다. 


또한 토지연구소에서는 질소를 고정하고, 곤충의 확산과 질병 발생을 줄이며, 토양과 빛 자원을 더 효율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잡초를 줄이거나 없애는 섞어짓기에도 강한 관심이 있다(그림14.3).


그림14.3 토지연구소에서 재배하고 있는 컨자와 여러해살이 자주개자리의 섞어짓기 실험. 토지연구소는 여러해살이 농업을 발전시키고자 미국과 해외의 여러 대학 및 기관의 연구자들과 긴밀히 협력한다. (사진 제공 Tim Crews 씨)




육종 프로그램이 성공하더라도, 새로운 작물이 광범위하게 이용되는 건 농민과 소비자가 생각하는 방식의 변화에 달려 있다. 소비자는 아침 식탁에 놓일 컨자 크림에 개방적이어야 하고, 곡식 농장은 영구적인 덮개의 이점을 활용하도록 다시 설계되어야 할 것이다. 


일단 개발된 여러해살이 곡식은 대규모 단작으로 재배되는 한해살이와 매우 다르게, 상대적으로 다양한 농업생태계에서 재배될 가능성이 있다. 이들 체계는 자연의 대초원과 더 가깝게 닮을 것이고, 대초원이 제공하는 많은 "환경 서비스"를 제공한다. 두 가지 막대한 사례는 질소 보유(Culman et al. 2013 참조)와 탄소 격리이다. 탄소와 질소의 상실은 우리가 먹을거리 대부분을 생산하기 위해 창출한 고도로 교란된 초기의 천이 생태계의 특징들을 거의 규정하고 있다. 천이의 약간 후반 단계에서 기능하는 농업생태계를 개발하는 일(18장 참조)은탄소의 축적과 토양 자원의 이용 효율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여러해살이 농업이 대초원이 지닌 원래의 토양 유기물 평형에 얼마나 근접할 수 있는지 아직 알려지지는 않았지만, 교란의 감소와 지하로 더 많은 탄소의 투입은 토양을 올바른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앞선 단락에서 r 선택과 K 선택 이론이 작물과 그들의 초식 해충의 맥락에서 논의되었는데, 그것은 또한 가축과도 관련이 있다. 일반적으로 가축에게서 인간에게 가장 가치 있는 것으로 입증된 것은 K 선택된 특성이고, 이는 인간이 가축화하고자 선택한 동물 종과 가축화 과정에서 선택된 특성 모두에 반영되었다. K 선택된 큰 규모의 특성은 먹을거리를 공급하고 일을 하며 물건을 운송할 수 있는 동물을 찾고자 하는 인간에게 분명한 가치가 있었다. 소와 염소, 양의 경우, 젖 생산의 K 선택된 특성(부모 투자의 명백한 사례) 또한 가치가 있었다. 말, 소, 양, 염소, 돼지 같은 종들이 일단 가축화되면, 그들의 K 선택된 특징들은 "K" 방향으로 인간의 선택이 더 많이 지향하도록 하는 기초(예, 큰 규모와 더 많은 젖 생산)가 되었다. 이는 더 많은 자손의 숫자, 더 빠른 성장률 및 더 큰 유동성이 일부 r 선택된 특성을 나타내는 닭 같은 가금류 가축의 경우에는 그렇지 않았다. 그러나 가금류에서도 인간의 육종은 신체의 크기가 크게 커지는 일 같은 K 선택의 특성을 도입하곤 했다.자연에서 이는 부정적인 적응 특성으로 간주될 수 있지만, 농업생태계의 맥락에서 인간은 그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개입할 수 있다. 






스트레스/교란-강도 이론

r 선택과 K 선택 이론에 대한 대안으로, 생태학자들은 두 가지 대신 세 가지 범주를 가진 식물의 생활사 분류 체계를 개발했다. 그것은 주어진 환경에서 식물이 생산할 수 있는 바이오매스의 양을 제한하는 두 가지 기본 요인 -스트레스와 교란- 이 있다는 전제에 기반을 둔다. 스트레스는 그늘짐, 가뭄, 양분 결핍, 또는 저온 같은 생산을 제한하는 외부의 조건을 통해 발생한다. 교란은 방목이나 화재 같은 자연 사건이나 풀 베기 또는 경운 같은 인간 활동으로 인해 식물 바이오매스의 부분 또는 전체가 파열되었을 때 발생한다. 두 가지 범위를 활용하여 서식지를설명할 때 네 가지 유형의 서식지 -높은 스트레스 또는 낮은 스트레스와 약한 교란 또는 강한 교란으로- 가 정의된다. 그런 다음 이들 서식지 각각은 표14.1에 나오는 것처럼 특정 생활사 전략과 관련된다. 이 제도는 r 선택과K 선택 이론보다 더 직접적으로 농업 환경에 적용될 수 있으며, 잡초 관리에 특히 유용할 수 있다. 




높은 스트레스

낮은 스트레스

강한 교란

식물 사망률

터주 식물(R)

약한 교란 

 스트레스 인내자(S)경쟁자(C) 

표14.1 환경에서 스트레스와 교란 수준에 기초한 생활사 전략




높은 스트레스와 강한 교란으로 특징되는 환경은 많은 식물 성장을 지원할 수 없기 때문에, 이 체계에는 세 가지 유용한 분류가 있다. 


1. 강한 교란과 낮은 스트레스라는 조건에 적응한 터주 식물(R)

2. 높은 스트레스와 약한 교란 환경에서 살아가는 스트레스 인내자(S)

3. 낮은 스트레스와 약한 교란의 조건에서 살아가며 좋은 경쟁력을 지닌 경쟁자(C).


대개의 한해살이 작부체계는 빈번한 경운과 수확 때문에 강한 교란의 조건을 나타내는데, 농업 투입재와 작부체계 설계를 통해 조건들이 최적화되어 왔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낮은 스트레스를 갖는다. 터주 식물은 짧은 수명, 높은 종자 생산 및 개방된 환경에서 군체를 형성하는 능력이란 특성들이 장점이 되는 이들 조건에서 매우 선호된다. 터주 식물 범주에 속하는 대부분의 식물 -예를 들어 한해살이 잡초- 은 또한 r 선택된 것으로 분류될 수 있다. 


숩한 환경에서 침식된 구릉이나 주기적인 가뭄 스트레스와 풍식으로 손상을 입는 건조한 농업 지역에서 지나치게경작되는 곡식 체계 같은 악화된 농업생태계는 스트레스 인내자의 성장을 선호한다. 이런 조건에 견딜 수 있는 비작물 종들은 경관의 우세한 특징이 될 수 있다. 그 사례로 동남아시아의 습한 열대에 있는 Imperata grass와 미국 서부의 그레이트 베이슨 방목장에 있는 cheatgrass(Bromus tectorum)가 있다. 스트레스 인내자가 매우 악화되고 변경된 환경의 스트레스 특징을 견딜 수 있도록 선택되었기 때문에, 그들은 그들이 발생하는 환경이 상대적으로 비생산적이어도 우점을 확립하고 유지할 수 있다. 


많은 자연 생태계만이 아니라 여러해살이 작부체계도 경쟁자 범주의 식물을 지원한다. 이들 식물은 비교적 교란되지 않은 조건에서 자원의 포획을 최대화하는 특성을 발달시켜 왔는데, 대량의 바이오매스 제거에는 견디지 못한다. 수확을 통한 지나친 교란은 잡초성 터주 식물들이 침입할 만큼 체계를 개방시키는 반면, 토양 양분이나 물의 과도한 추출이 동반되는 것 같은 스트레스 강도의 증가는 스트레스에 인내하는 유기체들의 침입에 체계를 개방할 것이다. 주로 경쟁자 종들로 구성되는 숲 체계가 모두 베어지고 토양 생태계가 손대지 않은 상태로 남아 있을 때, 스트레스에 인내하는 초기의 천이 종들에 의한 재착생이 초반의 문제이지만 나무 종들이 보통 재확립되어 결국 그 장소에서 다시 대량으로 서식하며 그들을 몰아낼 수 있다. 하지만 나무의 수확 이후에 화재가 주기적으로 식생의 덮개를 제거하면, 교란의 강도가 숲 종들의 회복을 지연시키는 수명이 짧고 적극적인 터주 식물들에 의한 침입과 우점에 체계를 개방시킨다.  


r 선택과 K 선택 이론 및 스트레스/교란-강도 이론은 모두 환경에 대한 우리의 이해와 우리가 다루고 있는 유기체의 개체군 역학에 대한 이해를 결합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 지식을 작물과 비작물 종 모두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우리는 우리의 농업 활동을 적절히 계획할 수 있다. 







생태적 지위


생활사 전략의 개념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떻게 개체군이 생태계에서 장소를 유지하는지를 우리가 이해하는 데도움이 된다. 그 장소가 무엇이고, 종의 생태학적 전문화가 무엇인지 이해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개념 틀이 필요하다. 이것이 생태적 지위의 개념이다.


유기체의 생태적 지위는 환경에서 그것의 장소와 기능이란 두 측면으로 정의된다. 지위는 환경에서 유기체의 물리적 위치, 그것의 영양 역할, 그것의 환경 조건에 대한 한계와 내성 및 다른 유기체와의 관계로 구성된다. 생태적 지위의 개념은 개체군이 그곳에 있는 환경과 다른 유기체에 미칠 잠재적 영향을 결정하기 위한 중요한 토대를 설정한다. 농업생태계에서 개체군들 사이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관리하는 데 큰 가치가 있을 수 있다. 





지위의 개념화

 

지위 개념은 환경에 있는 동물의 장소로서 그리넬Grinnell (1924, 1928)과 엘튼Elton (1927)의 선구적인 연구에서 처음으로 소개되었다. "장소(place)"는 구조적 한계와 본능에 의해서만 통제되는 종의 최대로 가능한 분포를 의미했다. 오늘날 지위의 이런 측면은 근본적이거나 잠재적인 지위라고 부르는 것의 일부이다. 잠재적 지위는 환경에서 다른 유기체와 그 상호작용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죽, 간섭 및 긍정적, 부정적 영향에 의해) 한 종이 차지할 수 있는 실제 영역인 실현된 지위와 대조된다.   


잠재적 지위와 실현된 지위 모두는 두 가지 뚜렷한 측면을 지닌 지위의 개념화를 기반으로 한다. "그리넬"의 초점은 유기체가 발생하는 서식지의 조건에 있다. "엘튼"의 초점은 그 서식지에서 유기체가 하는 일, 즉 생태학적 역할에 있다. 후자의 측면은 그것이 살고 있는 서식지에서 "생계를 유지하는" 방식인 유기체의 "직업"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물의 직업은 꽃을 먹는 동물, 잎을 먹는 동물 또는 곤충을 먹는 동물이 될 수 있다. 미생물은 분해자 또는 기생자가 될 수 있다. 여러 차원의 상호작용이 이러한 종의 지위에 대한 생태학적 특화 측면을 정의하는 데 관여한다. 


지위 개념에 중요한 기여를 한 가우스Gause(1934)는 가우스 법칙으로 알려진 이론을 개발했다. 이는 두 유기체가 동시에 똑같은 생태적 지위를 차지할 수 없다는 것이다. 똑같은 서식지에 있는 두 유기체의 지위가 너무 유사하고 그곳의 자원이 제한되어 있다면, 한 유기체는 결국 "경쟁 배타"를 통해 다른 유기체를 몰아낸다. 그러나 경쟁 배타가 항상 유사한 지위를 지닌 두 개체군이 함께 발생하지 않는 원인이 되는 건 아니다. 다른 메커니즘이 작동할 수 있다. 


유기체의 직업이 된다는 지위에 대한 발상은 적절하지 않을 때가 있다. 지위를 이해하는 더 복잡한 방법을 개발하고자, 생태학자들은 그것을 구성하는 개별 차원을 정의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특정 유기체에 대한 요인-반응 곡선(3장에서 논의함)의 세트가 조사되었다. 그런 다음 이들을 서로 겹쳐서 요인 반응의 행렬을 형성한다. 간단한 2요소 행렬에서, 겹치는 내성의 부분에 의해 묘사된 영역은 유기체가 점유한 자원 공간의 2D영역으로 그려볼 수 있다. 더 많은 요인-반응 곡선이 추가되면, 이 공간은 다차원의 형태를 취한다. 이러한 절차는 유기체가 잠재적으로 점유할 수 있는 "다차원의 초공간(hypervolume)"으로 지위를 개념화하는 기초이다(Hutchinson 1957). 요인 행렬에서 생물적 상호작용을 포함시킴으로써, 겹치는 요인-반응 곡선에 의해 형성된 초공간은 유기체가 점유하는 실제 지위를 정의하는 것에 가까워진다. 






지위의 진폭

지위가 다차원의 공간이라 생각되면, 이 공간의 크기와 모양은 각각의 종마다 다르다는 게 분명해진다. 그것의 하나 이상의 차원에 대한 측정은 지위의 폭 또는 지위의 진폭(Levins 1968; Colwell and Futuyma 1971; Devictor et al. 2010)) 또는 지위의 너비(Odum and Barrett 2005)라고 부른다. 좁은 지위와 매우 특화된 서식지 적응 및 활동을 하는 유기체는 전문가라고 부른다. 더 넓은 지위를 지닌 유기체는 보편가라고 한다. 보편가는 전문가보다 더 적응력이 좋고, 환경의 변화에 더 쉽게 맞추며, 다양한 자원을 활용할 수 있다. 전문가는 그들의 분포와 활동에 훨씬 더 특정되어 있지만, 풍부한 자원을 이용할 수 있다면 더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어떤 경우에, 보편가는 서식지에서 그 자원을 활용하는 데 철저하지 않기 때문에 그들의 지위 안에 전문가를 위한 지위를 남겨 놓는다. 다시 말하여, 보편가의 지위 안에는 몇몇 전문가의 지위가 있을 수 있다. 





생태적 특화와 지위의 다양성

자연 생태계는 종 다양성의 정도가 높다는 것으로 특징되곤 한다. 그러한 체게에서, 많은 다른 종들이 언뜻 보기에는 비슷한 생태적 지위로 보이는 걸 차지하고 있다. 만약 우리가 가우스 법칙 -한 종이 다른 종을 배제하지 않고 두 종이 동시에 똑같은 지위를 차지할 수 없다- 을 받아들인다면, 비슷한 유기체의 지위가 어떤 점에서 실제로 구별된다거나, 일부 메커니즘이 공존이 발생하는 걸 허용해야 한다고 결론을 내려야 한다. 경쟁 배제가 비교적 드문 현상인 것 같다. 


작부체계에서도 생태학적으로 유사한 유기체들이 똑같은 지위처럼 보이는 걸 동시에 차지한다. 사실, 농민들은 혼합된 구성성분의 대부분이 비슷한 요구를 가질 경우에도 작부체계에서 작물과 비작물 유기체의 혼합을 관리하는 것이 이점이 되곤 할 수 있다는 걸 자신의 농지에서 누적된 경험과 끊임없는 관찰을 통해 배워 왔다. 경쟁 배제는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거기엔 일정 수준의 공존이나 경쟁의 회피가 있어야 한다. 


자연 생태계와 농업생태계 모두에서 외견상 비슷한 유기체가 공존한다는 건 관련된 종들 사이의 일종의 생태학적변이에 의해 가능해진다. 이런 변이는 지위의 다양성 또는 지위의 다양화라고 한다. 몇몇 사례는 다음과 같다. 


• 뿌리를 내리는 깊이가 다른 식물. 가변적인 작물의 지하 구조는 지상에서 매우 비슷한 지위의 구성요소를 차지하면서 양분이나 물에 대한 직접적인 간섭을 피하고자 다른 종을 허용한다(그림14.4).


 그림14.4 서로 다른 뿌리 구조는 지위가 겹치는 걸 허용한다. 옮겨심은 브로콜리(왼쪽)의 얕은 뿌리 체계와 곧뿌림한 야생 갓(오른쪽)의 곧은 뿌리 체계는 토양 단면의 서로 다른 부분에서 자원을 취하여, 부정적 간섭 없이 식물들이 똑같은 서식지를 차지하도록 한다.  




• 다른 광합성 경로를 가진 식물. 한 작물이 광합성에 C4 경로를 사용하고 다른 작물이 C3 경로를 사용하면, 첫번째 작물은 전체 햇빛을 받으며 번성하는 한편 다른 작물은 부상한 종의 그늘에 의해 생성된 감소된 빛 환경을 견딘다. 메소아메리카에서 흔한 전통적인 옥수수/강낭콩 사이짓기가 잘 알려진 사례이다. 

•다른 먹이 선호도를 가진 곤충. 두 비슷한 기생충이 작부체계에서 함께 발생할 수 있지만, 그들은 다른 숙주에서 기생한다. 숙주-기생자 특수성은 작부체계의 다른 곳에서 성충이 공존할 수 있도록 그 지위를 다양화하는 한 방법일 수 있다. 

•다른 사냥법이나 둥지 짓기 행동을 하는 조류. 몇몇 포식성 조류는 모두 농업생태계에서 비슷한 먹이를 먹을 수 있지만, 그들은 둥지를 짓는 서식지와 장소가 다르거나, 하루 중 다른 시간대에 먹이를 먹기 때문에 작부체계에서 함께 나타나 유해 유기체를 방제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다른 양분 요구를 지닌 식물. 혼합된 잡초의 개체군들은 경쟁 배제를 회피하는 선택적 이점의 결과로, 부분적으로는 각각의 종에서 시간의 경과에 따라 진화했을 수 있는 서로 다른 양분 요구 덕분에 똑같은 서식지에서 함께 발생할 수 있다. 작물 개체군은 작물의 지위 특성과 유사한 우점하고 있는 단일한 잡초의 개체군보다 혼합된 잡초의 개체군들에게서 부정적 간섭을 덜 받을 수 있다. 


자연 선택은 한 개체군의 지위와 다른 개체군의 그것을 일부분 분리함으로써 지위의 차별화를 생성하는 역할을 하는 것처럼 보인다. 생태적 분화와 지위의 차별화는 배제 없이 부분적으로 지위가 겹칠 수 있도록 한다.


작물과 비작물 종의 지위에 대한 지식과 결합된 지위의 개념은 농업생태계 관리에 중요한 도구를 제공할 수 있다. 농민은 농업생태계에 해를 끼치는 종들을 배제시키기 위해 지위의 다양성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농민은 지위의 차별화를 이용해 체계에 이로운 종들을 조합할 수 있다(그림14.4).






농업에 지위 이론을 적용하기


농민 대부분은 비록 직접적으로 이 개념을 언급하지는 않지만, 농사 체계를 차지하는 유기체들의 생태적 지위란 측면을 끊임없이 관리하고 있다. 그러나 그것이 일단 생태계 관리의 유용한 도구로 이해된다면, 주요한 작물의 지위에 대한 이해를 통해 최대 수확량을 확보하는 일부터 비작물 종이 작물과 부정적 간섭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는지 결정하는 일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몇 가지 구체적 사례는 다음과 같다. 





잡초 종의 확립을 촉진하거나 억제하기

작물 개체군에 의해 점유되지 않은 토양 표면의 어느 부분은 잡초성 비작물 종에 의해 침입을 받을 수 있다. 생산적 환경(즉, 농경지)이라 부르는 데에서 성공적으로 자리잡기 위해 전문화된 잡초는 한해살이 초본의 r 선택 또는 터주 식물 개체군을 선호하는 지위를 점유한다. 총 식물 바이오매스가 덜 붕괴되거나 제거되는 교란이 적은 작부체계에서, 경쟁적(이지만 여전히 r 선택된) 두해살이 또는 여러해살이 잡초가 혼해진다. 어떤 면에서, 우거진 잡초는 상대적으로 특화된 지위 특성이다. 


지위 개념의 서식지 측면은 잡초성 종들의 확립을 촉진하거나 억제하기 위하여 농경지의 환경 조건을 조작하는 방법을 안내하는 데 도움을 주도록 이용할 수 있다. 변경의 유형은 작물과 관련하여 각 종들의 지위 특수성에 달려 있다. 잡초 종의 지위 특성에 대한 지식과 함께, 우리는 잡초가 불리하도록 "안전한 장소"의 조건을 통제함으로써 시작할 수 있다. 게다가 우리는 잡초 개체군의 생활주기에서 특정한 관리법으로 개체군을 제거하거나 줄일 수 있는 몇 가지 중요하거나 민감한 단계를 찾아낼 수 있다. 또한 다른 잡초를 억제하게 되는 잡초 개체군의 성장을 촉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야생 갓(Brassica spp.)은 작물에 부정적 영향을 거의 미치지 않지만 간섭을 통하여 작물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른 잡초를 대체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 이런 현상에 대한 더 상세한 논의는 브로콜리와 양상추 사이짓기 사례 연구에서 제공된다. 


대부분의 잡초는 이주자이자 침입자이며, 매년 교란되는 작물의 밭은 단지 그들이 선택한 서식지의 유형이란 사실을 기억하는 게 중요하다. 과제는 이런 생태학적 개념을 잡초의 지위가 더 바람직한 종들에 의해 점유될 수 있도록 시기를 맞추거나 통제되는, 경작 같은 계획된 활동이 일어나는 관리 계획에 통합시키는 방법을 찾는 일이다. 





사례 연구: 브로콜리와 양상추 사이짓기


사이짓기는 그 구성요소인 작물 종들 사이의 경쟁 간섭이 최소화될 때 성공한다. 이는 자원 활용을 보완하는 양식 또는 생활사 전략을 보완하는 식물들을 혼합함으로써 달성된다. 


사이짓기에서 잘 결합되는 두 작물은 브로콜리와 양상추이다. 캘리포니아 대학 산타크루즈 농장시설의 연구(Aoki et al. 1989)는 이들 작물의 혼합이 똑같은 토지에서 재배된 양상추 홑짓기와 브로콜리 홑짓기보다 더 많은 수확량을 생산한다는 걸 입증했다. (초과수확이라 부르는 이 결과는 17장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이 연구에서 브로콜리와 양상추는 세 가지 다른 밀도로 함께 심었고, 각각의 수확량은 각 작물의 홑짓기의 그것과 비교되었다. 가장 낮은 사이짓기 밀도는 전체 파종 밀도가 표준적인 홑짓기의 그것과 유사한 대용 사이짓기였다. 가장 높은 밀도의 사이짓기는 브로콜리가 표준 밀도로 파종된 양상추 사이에 추가된 추가 사이짓기였다. 홑짓기는 종내 경쟁을 피하고자 설계된 표준적인 상업용 밀도로 파종되었다. 


세가지 밀도의 사이짓기 모두는 홑짓기보다 총 수확량이 더 많이 생산되었다. 수확량 평균은 10%부터 36%(대용 사이짓기의 경우)까지 더 많았다. 추가 사이짓기는 홑짓기 양상추보다 약간 적은 무게의 양상추 결구를 생산했지만, 결합한 생산량은 같은 면적의 토지에서 홑짓기 조합으로 생산된 총량을 여전히 초과했다. 또한 사이짓기는 홑짓기보다 더 많은 토양 수분을 유지하여, 농지에서 두 종의 물리적 배열이 이 자원을 보존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이종간 경쟁 간섭이 심지어 밀도가 홑짓기의 약 2배일지라도, 사이짓기에서는 식물들에게 부정적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보여준다. 경쟁의 회피가 발생했기에, 브로콜리와 양상추는 각각 다른 종이 접근하기 쉽지 않은 자원을 활용할 수 있어야 했다. 


두 종의 생활사와 지위를 조사하면 자원 활용 양식의 상보성이 밝혀지고, 관찰된 초과수확을 위한 메커니즘이드러난다. 양상추는 급속히 성숙되어, 농지에 옮겨심은 지 45일 안에 거의 모든 성장을 완료한다. 또한 상대적으로 얕은뿌리 체계를 가지고 있다. 브로콜리는 훨씬 더 천천히 성숙되고, 그 뿌리는 토양으로 더 깊숙하게 침투한다. 그러므로 두 가지가 거의 동시에 심어지면, 양상추는 브로콜리가 매우 크게 성장하기 전에 성장을 완결하는 데 필요한 모든 자원을 얻는다. 그런 다음 양상추를 수확한 뒤 브로콜리가 성숙함에 따라 이용할 수 있는 자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해충의 생물학적 방제

고전적인 생물학적 방제는 지위 개념을 활용한 훌륭한 사례이다. 이로운 유기체가 비어 있는 지위를 차지하게 할 목적으로 농업생태계에 도입된다. 가장 일반적으로, 이로운 유기체의 부재로 해충이나 질병의 수준에 이를 수 있었던 특정 먹이나 숙주의 개체군에 대한 부정적 압력을 가하기 위하여 그것이 결여되었던 작부체계로 옮겨진다. 


이로운 유기체가 일단 작부체계로 도입되면, 그 생활주기를 완료하고 농업생태계의 영구 거주자가 되기에 충분한숫자로 번식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하지만 이로운 종들이 도입되는 지위의 조건이 장기간의 생존과 번식에 필요한 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하곤 하여 재도입해야 할 수도 있다. 이는 해충과 이로운 유기체 모두의 개체군을 영구적으로 유지하는 데 필요한 지위의 특성이 심하게 교란되고 주기적으로 변경되어 끊임없이 변화하는 농업 환경에서 특히 그러할 수 있다. 이 문제를 완화시키는 건 경관 차원에서 높은 다양성을 유지하는 것이 하나이다(23장 참조).


생물학적 방제에서 지위의 또 다른 잠재적 활용은 해충의 지위와 매우 유사한 지위를 가지지만, 작물에는 부정적영향을 덜 미치는 또 다른 유기체를 도입하는것이다. 예를 들어 도입된 초식동물은 경제적 중요성이 없는 식물의 일부를 먹을 수 있다. 도입된 초식동물이 목표로 하는 해충과 충분히 유사한 지위를 갖는다면, 그들을 쫓아낼 수 있을 것이다. 






사이짓기 체계의 설계

두 가지 이상의 다른 작물 개체군이 사이짓기하는 농업생태계를 형성하고자 함께 심어져 그 결과 결합된 개체군의 수확량이 따로 심었을 때보다 더 많아지면, 그런 수확량 증가는 구성원 개체군의 지위 특성이 지닌 상보성의 결과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사이짓기 체계가 성공하려면, 각 종마다 어느 정도 서로 다른 지위를 가져야 한다. 그러므로 각 종의 지위 특성에 대한 완전한 지식이 필수적이다. 어떤 사이짓기 경우, 각각의 종은 체계에서 완전히 관계가 없거나 그렇지 않으면 아무도 차지하지 않은 지위를 점유하여 지위 상보성으로 이어진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구성원 종들의 지위가 겹치는데, 이종간의 수준에서 일어나는 간섭은 종내 수준의 간섭보다 덜하다. 


그런 다음, 작물 혼합의 성공적 관리는 각 구성원의 개체군 역학만이 아니라 그것의 특정한 지위 특성을 파악하는 데 달려 있다. 그 다음에 그러한 지식은 16장에서 초점을 맞출 농생태학적 관리 차원인 개체군들의 군집으로 사이짓기를 관리하기 위한 기반을 형성한다.






개체군 생태학: 작물 관점   


이번 장에서 초점은 그들의 환경이란 맥락에서 개체군에 대한 것이다. 작물, 비작물 및 자연 종의 개체군들 사이의 중요한 유사점과 차이점이 논의되었다. 추가로 관련된 특성과 함께 이들 특성은 표14.2에 요약되어 있다.



작물 개체군

비작물 개체군

자연 개체군

분산(탈립)

거의 없거나 없음

매우 중요함

중요함

이주해 옴

산출로부터 분리된 번식체 투입

이주가 매우 중요함

대부분의 번식체가 지역의 개체군에서

종자 생존력

높음

높음

가변적

종자가 땅에 떨어짐

통제됨

비교적 균질함

드문드문

토양 환경

균질함

균질함

불균질함

종자 휴면

없음; 종자는 종자은행의 부분이 아님

가변적; 종자은행 존재

일반적; 종자은행 존재

나이 관계

종종 같은 나이, 동시발생

주로 같은 나이, 동시발생

나이는 가변적, 주로 비동시발생

종내 간섭

감소됨

강렬할 수 있음

강렬할 수 있음

종자 밀도

낮고 통제됨

보통 매우 높음

가변적

밀도에 따른 사망률

거의 없거나 없음

중요함 

중요함

이종간 간섭

감소됨

매우 중요함 중요함 

번식 할당

매우 높음 매우 높음 낮음 

유전적 다양성

보통 매우 균일함 비교적 균일함 보통 다양함 

생활사 전략

변경된 r 전략 r, C, R 전략 K, S 전략 

표14.2 작물, 비작물 및 관련된 자연 종 개체군들의 개체군 특성


처; Weiner, J., Plant population ecology in agriculture, in: Carroll, C.R., Vandermeer, J.H., and Rossett, P.M. (eds.), Agroecology, McGraw Hill, New York, 1990, pp. 235–262.에서 고침 




이들 특성에 대한 지식은 우리가 잡초성 비작물 종에 대해 생태학적으로 기반한 관리 전략을 찾으려고 노력할 때특히 중요해진다. 잡초성 종은 야생의 자연 생태계 개체군들의 특성(예, 분산성, 강한 종내 및 이종간 간섭 능력,휴면) 가운데 일부를 유지하고 있지만, 다양한 적응(예, 높은 종자 생존력, 같은 나이의 개체군 구조, 높은 번식 할당, 더 좁은 유전적 다양성)을 통해 농업생태계, 특히 한해살이 작물에 의존하는 환경에서 흔히 발생하는 환경의 교란과 변경이란 조건에 적응해 왔다. 농업생태계에서 번성하기 위한 잡초의 능력은 농업생태계 관리자에게 큰 도전 과제이다. 


각각의 종은 그 종의 개체들이 성공적으로 생활주기를 완료하도록 보장하는 일정한 전략이 있기에, 그 종의 개체군이 특정한 서식지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로 존재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농생태학에 적용되는 개체군 생태학의 원리들은 농민이 농업생태계에서 그 역할에 따라 종의 개체군 성장을 촉진하거나 제한하기 위하여 각 종의 특정한 생활사 전략을 어디에서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 결정하는 데 도움을 준다. 농업생태계 관리자와 연구자는 작물과 비작물 유기체를 효과적이고 지속가능하게 관리하기 위한 기술과 원리를 더욱 개발하고자 안전한 장소, r 전략과 K 전략 및 생태적 지위 같은 개체군 생태학 개념을 기반으로 해야 한다. 






생각거리


1. 똑같은 자원 공간에서 성장할 수 있다면, 서로 경쟁적으로 배제한다고 생각되는 두 가지 매우 비슷한 작물 종이 공존할 수 있게 하는 건 무엇인가?


2. 지위의 다양성이란 개념은 작부체계에서 특정한 초식성 해충에 대한 대안적인 관리 전략을 설계하는 데 어떻게 이용될 수 있는가?


3. 잡초 종의 생활주기에서 가장 민감한 단계를 확인하고,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잡초의 개체군을 관리하는 데에 이러한 지식이 얼마나 가치가 있는지 설명하라.


4. 작물의 수확량을 개선하려는 과제를 위해 농학자들이 식물 인구통계학의 어떤 측면을 성공적으로 활용할 수 있었지만, 전반적인 농업생태계의 지속가능성을 희생시켰는가?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농학자들의 연구 의제에는 어떤 변화가 일어났는가?


5. "좋은" 잡초에 대한 여러분의 정의는 무엇인가?


6. 열대의 환경은 더 많은 전문가가 있는 것처럼 보이는 반면, 온대의 환경은 더 많은 보편가가 있다. 이런 범위에서 농업생태계는 어디에 정렬되는가?






인터넷 자료


The Land Institute 

http://www.landinstitute.org

TLI is leading the effort to develop a perennial grain crop. 


Plant Population Biology and Ecology Focus in the Department of Biology at Stanford University 

http://biology.stanford.edu/about-us

A place to do research on broad aspects of plant population ecology, covering a range of pure and applied areas. 


The Plant Population Biology Working Group of the Ecological Society of Germany, Austria, and Switzerland 

http://www.gfoe.org/en/gfoe-specialist-groups/plant-populationbiology.html

A forum for international exchange in plant population biology research.






읽을거리 


Booth, B. D., S. D. Murphy, and C. J. Swanton. 2010. Invasive Plant Ecology in Natural and Agricultural Systems. CABI: Oxfordshire, U.K. 

The application of ecology and population biology to the management of invasive plant species.


Grime, J. R. 2002. Plant Strategies, Vegetative Processes, and Ecosystem Properties, 2nd edn. John Wiley & Sons: New York. 

A review of the relevance of the plant strategy concept in ecological and evolutionary theory. 


Radosevich, S. R., J. S. Holt, and C. Ghersa. 2007. Ecology of Weeds and Invasive Plants: Relationship to Agriculture and Natural Resource Management, 3rd edn. John Wiley & Sons: New York. 

A thorough review of how ecological knowledge of weeds and weed populations forms an essential basis for successful weed management in agricultural and natural systems. 


Silvertown, J. W. and D. Charlesworth. 2001. Introduction to Plant Population Ecology, 4th edn. Blackwell Science: Vermont, U.K. 

A good introduction to the field of plant population ecology, with many references to studies of agricultural populations. 


Van der Pijl, L. 1972. Principles of Dispersal in Higher Plants, 2nd edn. Springer-Verlag: Berlin, Germany.

A review of the ecology of dispersal mechanisms in plants and their role in determining the success of different plant species in the environment.

728x90
728x90

농생태학: 지속가능한 먹을거리 체계의 생태학






2장 농생태학과 농업생태계의 개념




농생태학의 전체 분야는 하나의 중심 개념, 즉 농업생태계에서 파생된다. 농업생태계는 생태계로 이해되는 농업 생산 -예를 들어 농장- 의 장소 또는 통합된 지역이다. 농업생태계 개념은 투입과 산출의 복잡한 세트와 그 구성 부분들의 상호연결을 포함하여, 먹을거리 생산 체계를 전체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틀을 제공한다. 더 나아가, 농업생태계적인 사고는 먹을거리의 소비자인 인간이 시장과 다른 수단을 통해 먹을거리의 분배를 조직하는 구조인 사회 체계를 통합한다. 


농업생태계란 개념은 생태학의 원리와 자연 생태계에 대한 이해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에, 이번 장에서 논의되는 첫 번째 주제는 생태계이다. 우리는 생태계의 구조적 측면 -부분과 그 부분들 사이의 관계- 을 조사한 뒤, 그 기능적 측면 -생태계가 작동하는 방식- 으로 돌아간다. 농업생태계는 자연 생태계와 구조적 기능적으로 어떻게 비교되는지에 관해 기술한다. 


이 장에서 제시된 원리와 용어는 이 책 전반에 걸친 농업생태계에 대한 토론에 적용될 것이다.





자연 생태계의 구조


공간과 시간에서 안정적이지만 역동적인 균형을 유지하는 것처럼 보이는 생태계는 살아 있는 유기체와 그 환경 사이의 보완적 관계의 기능 체계라고 정의할 수 있으며, 임의로 선택한 경계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따라서 생태계에는 역동적인 과정 -체계의 기능- 에 함께 참여하는 특별한 관계를 지닌 물리적 부분 -체계의 구조- 를 갖는다.


생태계의 가장 기본적인 구조적 구성요소는 환경에서 상호작용하는 살아 있는 유기체인 생물적 요소와 토양과 빛, 습도 및 온도 같은 환경의 물리적, 화학적 구성요소인 비생물적 요소가 있다. 




구조의 단계


생태계는 분자, 세포, 조직, 장기 또는 장기 체계라는 단계에서 인체를 살펴볼 수 있는 것처럼, 그 구성요소의 구조 단계에 따라 살펴볼 수 있다. 가장 단순한 단계는 개별 유기체이다. 이런 구조의 단계에 대한 연구는 개체 생태학(autecology) 또는 생리 생태학(physiological ecology)이라 한다. 이는 한 종의 개체가 환경 요소에 어떻게 반응하는지, 그리고 그것이 살고 있는 어느 환경에서 스트레스에 대한 유기체의 특정 정도의 내성이 어떻게 결정되는지와 관련되어 있다. 예를 들어 바나나 식물의 적응은 특정 조건을 지닌 습한 열대의 환경으로 제한되는 반면, 딸기 식물은훨씬 더 온화한 환경에 적응한다. 


다음 단계의 구조에는 동일한 종들의 개체 집단이 있다. 이러한 집단을 개체군(population)이라 한다. 개체군에 대한 연구는 개체군 생태학(population ecology)이라 한다. 개체군 생태학에 대한 이해는 특히 시간의 경과에 따라 특정개체군을 지원하는 환경의 능력과 관련하여, 개체군의 규모와 성장을 통제하는 요소들을 결정할 때 중요해진다. 농학자들은 개별 작물 종의 밀도와 배열을 통해 수확량을 최대로 끌어올리는 실험에 개체군 생태학의 원리를 적용했다.


서로 다른 종의 개체군은 항상 섞여서 존재하며 다음 단계의 구조인 군집(community)을 만든다. 군집이란 특정 장소에서 함께 살며 서로 상호작용하는 다양한 종의 집합체이다. 이 단계의 중요한 측면은 유기체의 상호작용이 특정 군집을 구성하는 다양한 종의 분포와 풍부함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있다. 작부 체계의 식물과 무당벌레에게 잡아먹히는 진딧물 사이의 경쟁은 이 단계의 상호작용을 보여주는 농업생태계의 사례이다. 군집 단계의 구조 연구는 군집 생태학(community ecology)으로 알려져 있다.


생태계 구조의 가장 포괄적 단계는 특정 지역에서 발생하는 유기체의 군집들 이외에 환경의 모든 비생물적 요소를 포함하는 생태계 그 자체이다. 뒤얽힌 상호작용의 그물망은 생태계의 구조 안에서 얽혀 있다. 이러한 네 가지 단계는 그림2.1처럼 농업생태계에 직접 적용될 수 있다. 이 글 전반에 걸쳐 다음 단계들에 대해 참조할 것이다. 개별 작물 식물(유기체 수준), 작물의 종이나 기타 유기체의 개체군, 농경지의 군집 및 전체 농업생태계.


그림2.1 농업생태계에 적용되는 생태계 단계의 구조. 이 도표는 시장, 농업 정책, 심지어 지구의 기후변화와 같은 것들을 포함시켜 지역과 국가 및 세계적 단계의 구조를 포함하도록 상향으로 확장시킬 수 있다. 하향의 도표에는 세포, 화학 및 원자 단계의 구조가 포함될 수 있다. 




생태계의 중요한 특징은 구조의 각 단계에서 아래의 단계에 존재하지 않던 속성이 출현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신생 속성은 해당 생태계 단계의 구조를 이루는 구성요소인 "부분"들이 상호작용한 결과이다. 예를 들어, 개체군은 똑같은 종 개개의 집합체 그 이상이며, 개별 유기체만으로는 이해할 수 없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농업생태계의 맥락에서, 이 원리는 근본적으로 농장이 개별 작물의 합보다 더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속가능성은 농업에 대한 생태계 접근의 최종적인 신생 특질이라고 간주할 수 있다.  




군집의 구조적 속성


군집은 한편으로는 환경에서 발생하는 비생물적 요소들의 변화도에 그 구성요소인 종들이 적응한 결과로 발생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이러한 종들의 개체군 사이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발생한다. 군집의 구조는 생태계의 역동성과 안정성을 결정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이 단계에서 상호작용의 결과로 생기는 군집들의 여러 속성을 더 자세히 살펴보는 일이 중요하다. 



종의 다양성

가장 단순한 의미로 이해되는 종의 다양성은 군집에서 발생하는 종의 수이다. 담수의 연못 같은 어떤 군집은 매우 다양하고, 다른 어떤 건 아주 소수의 종으로 이루어져 있다. 



우세(Dominance)와 상대적 풍부(Relative Abundance)

어떤 군집에서 일부 종들은 상대적으로 풍부하고 다른 건 덜 풍부할 수 있다. 군집의 생물적 및 비생물적 구성요소 모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종을 우점종이라 한다. 우세는 유기체의 상대적 풍부, 그것의 물리적 크기, 생태학적 역할, 또는 이런 요소들의 조합으로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원에 있는 몇 개의 커다란 나무가 정원의 다른 모든 종들의 빛 환경을 극적으로 바꿀 수 있기 때문에 그 나무의 종이 가장 풍부한 종이 아니더라도 정원의 군집에서 우점한다. 자연 생태계는 그들의 우점종으로 이름이 붙여지곤 한다. 캘리포니아 연안의 레드우드redwood 숲 군집이 좋은 사례이다. 



식생 구조(Vegetative Structure)

육지의 군집들은 그 식생의 구조로 특징이 지워지곤 한다. 이는 주로 우세하는 식물 종의 형태에 의해 결정되는데, 다른 식물 종의 형태와 풍부함 및 그들의 공간 배열에 의해서도 결정된다. 따라서 식생 구조는 수직적 구성요소(서로 다른 층의 종단면)와 수평적 구성요소(집단화 또는 연관성의 패턴)를 가지며, 우린 이런 구조에서 서로 다른 종이 어떻게 서로 다른 위치를 차지하는지 인식할 수 있다. 식생 구조를 구성하는 종들이 비슷한 성장 형태를 취하면, 더 종합적인 이름이 집합체에 주어진다(예, 초원, 숲, 떨기나무 지역).



영양 구조(Trophic Structure)

군집의 모든 종은 영양의 수요를 지닌다. 이러한 수요가 다른 종들과 관련하여 어떻게 충족되는지는 먹이 관계의구조를 결정한다. 이 구조를 군집의 영양 구조라고 부른다. 식물은 태양에너지를 포착하여 광합성을 통해 바이오매스 형태로 저장된 화학적 에너지로 변환시킬 수 있는 능력으로 다른 종들의 먹이로 활용될 수 있기에 모든 육지 군집의 영양 구조에서 기초가 된다. 이런 영양의 역할 때문에, 식물은 생산자로 알려져 있다. 생리학적으로 식물은 다른 유기체를 먹지 않고 스스로 에너지 수요를 충족시키기에 독립 영양생물로 분류된다.


식물이 생산한 바이오매스는 군집의 소비자들이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소비자는 식물성 바이오매스를 동물성 바이오매스로 전환시키는 초식동물, 육식동물과 초식동물 및 기타 육식동물을 먹이로 하는 기생동물, 육식동물과 기생동물을 먹이로 삼는 포식 기생자를 포함한다. 모든 소비자는 그들의 영양 수요가 다른 유기체를 소비함으로써 충족되기 때문에 종속 영양생물로 분류된다. 


소비의 각 단계는 서로 다른 영양 단계로 간주된다(표2.1). 군집의 종들 사이의 영양 관계는 그 복잡성에 따라 먹이사슬이나 먹이그물로 표현할 수 있다. 나중에 보겠지만, 영양 관계는 꽤 복잡해질 수 있으며, 병해충 관리처럼 농업생태계의 과정에서 상당히 중요하다. 



유기체의 유형

영양 역할

영양 단계

생리학적 분류

식물

생산자

첫 번째

독립 영양생물

초식동물

첫 단계의 소비자

두 번째

종속 영양생물

육식동물과 기생동물

두번째 단계(더 높은) 소비자

세 번째와 더 높음

종속 영양생물

2.1 영양 단계와 군집에서의 역할



저항성과 탄력성

시간이 지남에 따라, 종 다양성, 우세 구조, 식생 구조, 군집의 영양 구조 등은 비록 개별 유기체가 죽고 그 지역을 떠나며 개체군의 상대적 크기가 바뀌더라도 일반적으로는 크게 변화하지 않는다. 즉, 당신이 자연 군집을 방문하고 관찰한 다음 20년 뒤에 다시 방문한다면, 아마 그 기본적인 측면에서는 상대적으로 변하지 않은 것처럼 보일 것이다. 더구나 어떤 종류의 교란 -화재나 홍수 같은- 이 군집에서 여러 종들의 많은 숫자를 죽였을 경우, 군집은 결국 원래의 상태와 종의 구성에 가깝게 회복될 것이다. 


시간의 경과에 따라 그 구조와 조직, 일반적 구성을 유지하려는 군집의 경향은 두 가지 뚜렷한 구성요소를 갖는다는 것이 관찰된다. 군집은 일반적으로 변화에 저항하려는 경향이 있으며, 그들은 교란에 대응하여 탄력적이다. 따라서 군집은 흔히 저항성탄력성이라는 두 가지 속성을 지니고 있다고 한다. 군집이 변화에 성공적으로 저항하거나 교란으로부터 회복할 만큼 충분히 탄력적인 정도는 군집의 유형과 그것이 야기되는 교란의 성격에 따라 크게 좌우된다. 일반적으로 군집이 복잡하고 종 다양성이 클수록 저항성과 탄력성이 더 강해진다. 




자연 생태계의 기능


생태계 기능은 생태계 안에서 일어나고 있는 역동적 과정을 언급한다. 물질과 에너지의 이동 및 체계 안의 유기체와 물질의 상호작용과 관계 등이 그것이다. 생태계 역학, 효율성, 생산성 및 개발이란 개념을 다루기 위해서는 이러한 과정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며, 특히 기능이 특정 작물이나 관리법의 성공과 실패라는 차이를 결정할 수있는 농업생태계에서는 더욱 그러하다.


모든 생태계에서 가장 근본적인 두 가지 과정은 그 부분들 사이의 에너지 흐름과 양분의 순환이다. 




에너지 흐름


생태계에서 각 개별 유기체는 자신의 생리적 과정을 수행하고자 끊임없이 에너지를 사용하고 있으며, 그 에너지원은 정기적으로 보충되어야 한다. 따라서 생태계에서 에너지는 가정의 전기와 같이, 외부의 근원에서부터 체계로 끊임없이 흘러 들어와 그 기본적 기능에 연료를 공급한다. 생태계의 에너지 흐름은 영양 구조와 직접적으로 관련된다. 그러나 에너지 흐름을 조사할 때, 우린 구조 그 자체보다는 오히려 에너지원과 구조 안의 이동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에너지는 체계의 생산자인 식물이 태양에너지를 포획한 결과 생태계로 흘러 들어간다. 이 에너지는 식물이 생산하는 바이오매스란 화학적 결합으로 저장된다. 생태계는 태양에너지를 바이오매스로 전환시키는 능력이 여러 가지이다. 우린 체게에서 식물의 자라고 있는 작물이나 바이오매스를 결정함으로써 특정 시점에 체계로 가져온 에너지의 총량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태양에너지가 바이오매스로 전환된 비율을 측정할 수도 있다. 이를 일반적으로 1년에 평방미터당 킬로칼로리로 표시하는 1차 총생산력(gross primary productivity)이라고 한다. 에너지 식물이 자신을 유지하고자 사용하는 것은 1차 총생산력에서 제외하면 생태계의 1차 순생산력(net primary productivity)이란 척도가 된다.


초식동물(1차 소비자)은 식물성 바이오매스를 소비하여 동물성 바이오매스로 전환시키고, 초식동물이나 다른 소비자를 먹이로 삼는 육식동물과 기생동물(2차와 더 높은 단계의 소비자)는 영양 단계 사이의 바이오매스 전환 과정을 계속한다. 그러나 한 영양 단계에서 작은 비율의 바이오매스만이 다음 영양 단계에서 바이오매스로 전환된다. 이는 각 단계에서 유기체를 유지하는 데에 많은 양의 에너지(소비된 에너지의 90% 정도)가 소비되기 때문이다. 또한 각 단계에서 많은 양의 바이오매스는 결코 소비되지 않는다(그리고 소비되는 것의 일부는 완전히 소화되지 않는다). 이 바이오매스(죽은 유기체와 대소변 물질의 형태로)는 결국 부식성 생물분해자에 의해 분해된다. 분해 과정에서 바이오매스의 생성에 들어간 많은 에너지를 (열의 형태로) 방출하고, 나머지 바이오매스는 유기물로 토양으로 돌아간다. 


자연 생태계에서 체계를 떠나는 에너지는 주로 열의 형태를 띠고, 부분적으로는 다양한 영양 단계에서 유기체들의 호흡에 의해, 그리고 부분적으로는 바이오매스의 분해에 의해 생성된다. 에너지 산출의 또 다른 형태는 아주 작다. 생태계의 총 에너지 산출량(또는 에너지 손실량)은 보통 태양에너지를 포집하고 있는 식물에서 오는 에너지 투입량과 균형을 이룬다(그림2.2).


그림2.2 생태계의 에너지 흐름. 각 상자의 크기는 영양 단계에 걸쳐 흐르고 있는 에너지의 상대적 양을 나타낸다. 평균적인 생태계에서, 영양 단계의 에너지 가운데 약 10%만 다음 영양 단계로 옮겨진다. 생태계로 들어가는 거의 모든 에너지는 결국 열로 소산된다. 



양분 순환


유기체는 에너지 외에도 생명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 물질을 투입해야 한다. 이 물질 -다양한 중요 원소와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는 양분의 형태로- 은 세포와 조직 및 세포와 신체 기능에 필요한 복합 유기분자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 


생태계에서 양분 순환은 분명 에너지 흐름과 연결되어 있다. 영양 단계 사이에서 옮겨진 바이오매스는 화학 결합에서 에너지와 양분으로 작용하는 물질 모두를 함유한다. 그러나 에너지는 태양에서부터 생산자, 소비자, 환경에이르기까지 생태계를 통하여 한 방향으로만 흐른다. 반면 양분은 순환하여 이동한다. 생태계의 생물적 구성요소를 비생물적 구성요소로, 다시 생물적 구성요소로 되돌아간다. 생태계의 생물적, 비생물적 구성요소가 모두 이 순환에 관여하기에, 생지화학 순환(biogeochemical cycles)이라 한다. 전체적으로 생지화학 순환은 복잡하고 상호연결되어 있다. 또한 많은 것들이 개개의 생태계를 뛰어넘어 세계적 수준에서 일어난다. 


많은 양분이 생태계를 통해 순환된다. 가장 중요한 것은 탄소(C), 질소(N), 산소(O), 인(P), 황(S), 물이다. 물을 제외하고, 이들 각각은 다량 영양소로 알려져 있다. 각 양분은 원소의 유형과 생태계의 영양 구조에 따라 생태계를 통하여 특정 경로를 갖지만, 일반적으로 생지화학 순환의 두 가지 주요 유형이 인정된다. 탄소, 산소, 질소의 경우 대기가 주된 비생물 저장소로 기능해서, 우린 세계적 성격을 띠는 순환을 시각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위치에서 유기체가 호흡하는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 분자는 지구 곳곳의 중간에 있는 식물에게 흡수될 수 있다. 인, 황, 칼륨, 칼슘 및 대부분의 미량 영양소와 같이 이동성이 적은 요소들은 더 국지적으로 순환하고, 토양은 그들의 주요한 비생물적 저장소이다. 이런 양분들은 식물의 뿌리에 흡수되고, 바이오매스에 일정 기간 저장되며,결국 분해자에 의해 동일한 생태계 안의 토양으로 되돌아간다. 


일부 양분은 유기체가 쉽게 이용할 수 있는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탄소는 그러한 물질의 좋은 예로서, 이산화탄소로 대기의 사이를 순환하고 복합탄수화물로 바이오매스의 사이를 순환하기에 대기의 저장소에서는 비생물적 형태의, 그리고 식물 또는 동물에서는 생물학적 형태의 사이를 쉽게 이동한다. 탄소는 살아 있거나 죽은 유기물, 또는 심지어 토양의 부식질에서 다양한 길이의 시간을 보내는데, 다시 재순환되기 전에 이산화탄소로서 대기 중의 저장소로 돌아간다. 그림2.3은 육지의 체계에 초점을 맞추고 탄산염 암석에서 발견되는 탄소 저장소를 생략한 탄소 순환을 단순화한 묘사이다. 



그림2.3 탄소 순환



대기 저장소의 양분은 쉽게 이용할 수 없는 형태로 존재할 수 있으며, 사용되기 전에 다른 형태로 변환되어야 한다. 좋은 예는 대기의 질소(N2)이다. 미생물이 생물학적 고정을 통해 분자 질소(N2)를 암모니아(NH3)로 전환하여 식물이 질소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과정을 시작한다. 일단 식물 바이오매스로 통합되면, 이 "고정된" 질소는 그 다음 토양 저장소의 일부가 되고, 결국 질산염(NO3)으로 식물 뿌리에 의해 다시 흡수될 수 있다. 이러한 토양에서 순환되는 질소가 기체의 N2로 재전환되거나 휘발성 암모니아 또는 기체의 질소산화물로 상실되지 않는한, 그것은 생태계 안에서 활발히 순환될 수 있다(그림2.4). 이 순환에 포함된 생물적 상호작용의 농생태학적 중요성은 16장에서 더 자세히 논의된다.


그림2.4 질소 순환




반면에 인은 뚜렷한 기체 형태가 없다. 인은 암석의 풍화작용에 의해 서서히 토양에 첨가되며, 일단 거기에서 식물에 의해 인산염으로 흡수된 다음 자라고 있는 작물의 일부를 형성하거나, 배설이나 분해에 의해 토양으로 되돌아갈 수 있다. 유기체와 토양 사이의 이런 순환은 두 가지 예외와 함께 생태계에서 매우 국지적인 경향이 있다. (1) 인산염이 흡수되거나 결합되지 않으면 지하수에서 생태계 밖으로 침출될 수 있다. (2) 토양의 입자에 들러붙은 인산염은 침식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이러한 두 경우 모두에서, 인산염은 생태계를 벗어나 바다로 가서 끝난다. 일단 인이 바다에 퇴적되면, 육지의 체계로 돌아가 순환하는 데 필요한 시간은 지질학적 영역으로 들어가기에, 생태계에서 인을 유지하는 국지적 순환이 중요하다(그림2.5)


그림2.5 인 순환




다량 영양소 이외에, 식물의 성장을 위해 생태계에는 수많은 기타 화학적 원소가 존재해야 한다. 비록 그것이 매우 소량만 필요할지라도, 살아 있는 유기체에게는 여전히 매우 중요하다. 철(Fe), 마그네슘(Mg), 망간(Mn), 코발트(Co), 붕소(B), 아연(Zn), 몰리브덴(Mo)이 포함된다. 이러한 각 원소는 미량 영양소로 알려져 있다.  


두 가지 유형의 양분은 유기체에 의해 흡수되어 살아 있는 또는 죽은 바이오매스나 유기물에 저장된다. 너무 많은 양의 양분이 특정 체계에서 상실되거나 제거되면, 그것이 더 성장하고 발전하는 데에 제한을 가할 수 있다. 각체계의 생물적 구성요소는 최소의 양이 상실되고 최대의 양이 재순환하도록 보장하여, 양분이 얼마나 효율적으로이동하는지 결정하는 게 매우 중요하다. 생산력은 양분이 재순환될 수 있는 비율과 매우 밀접하게 연결될 수 있다. 




개체군 조절


개체군은 역동적이다. 그들의 크기와 개별 유기체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변화한다. 각 개체군의 통계학은 종의 출생 및 사망률, 개체군의 증가와 감소율, 그리고 그들이 살고 있는 환경의 수용능력에 대한 함수이다. 생태계의 다른 개체군에 대한 각 개체군의 크기는 다른 개체군과 환경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결정된다. 환경 조건에 대한 폭넓은 임계치와 다른 종과 상호작용하는 광범위한 능력을 지닌 종은 넓은 지역에 걸쳐 상대적으로 흔할 것이다.이와 대조적으로, 생태게에서 좁은 임계치와 매우 전문화된 역할을 지닌 종은 지역적으로만 흔할 것이다. 


각 종의 적응 특성에 대한 실질적 세트에 따라, 다른 종과의 상호작용하는 결과는 다양할 것이다. 두 종의 적응성이 매우 유사하고, 자원이 두 개체군을 유지하기에 부족할 경우 경쟁이 발생할 수 있다. 한 종은 환경에서 필수적인 물질을 제거함으로써 다른 종을 우점하기 시작할 수 있다. 다른 경우에, 한 종은 환경에 물질을 추가하여 다른종을 손상시켜 우점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조건을 변경시킬 수 있다. 어떤 종은 서로 상호작용하는 방법을 개발해 자원을 공유하거나 분할하는 상리공생관계로 나아가(농생태학에서 상리공생관계의 중요성은 16장에서 논의함) 둘 모두에게 도움이 될 수도 있다. 자연 생태계에서, 시간의 경과에 따른 선택은 유기체의 역동적 개체군이 수립되고 유지되도록 환경에 의해 설정된 제한 안에서 생물학적으로 가능한 가장 복잡한 구조를 낳는 경향이 있다. 




생태계 변화


앞에서, 군집 -그리고 확장되면 생태계- 은 외부의 압력에 저항하고 교란에 직면하여 탄력적이기에 시간의 경과에 따라 자신의 기본 구조를 유지하려는 경향이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내부적으로 생태계는 끊임없이 변화하는 상태에 있다. 유기체가 생겼다가 죽어가고 있으며, 물질이 체계의 구성요소 부분을 통해 순환되며, 개체군은 증가하고 감소하며, 유기체의 공간적 배열은 변화하고 있다. 


또한 생태계는 교란을 겪은 뒤에도 변화를 경험한다. 천이(succession)라 불리는 이러한 유형의 변화는 단향적이며 모든 생태계의 측면에서의 점진적 변화를 포함하기에, 생태계의 기능과 개별 구성요소를 특징짓고 있는 역동주의와는 매우 다르다. 천이의 과정은 결과적으로 우세력을 회복하는 유기체의 군집이 약간 다를지라도, 교란 이전에 발생했던 생태계와 유사한 생태계가 재수립되도록 한다. 이러한 천이의 "종점"은 생태계의 극상 상태라고 부른다. 천이는 교란이 너무 격렬하거나 빈번하지 않는 한 극상 상태로 돌아간다. 교란과 천이 이후에 그 기본 구조와 기능을 재수립할 수 있는 군집이나 생태계의 능력은 실제로 탄력성의 개념에 담겨 있다. 


생태계는 잦은 빈도로 여러 규모에서 교란을 겪고, 상당한 내부의 역동주의를 소유하고 있기 때문에, 생태계는 정상正常 상태로 발전해 가거나 들어가지 않는다. 대신에 생태계는 역동적이고 유연하며, 불안정한 힘에 직면하여탄력적으로 남아 있다. 교란에 대한 대응으로 생기는 역동적인 변화와 탄력성이 결합된 전반적인 안정성이 동적 평형이란 개념으로 포착된다. 생태계의 동적 평형은 농업의 무대에서 꽤나 중요하다. 그것은 수확, 토양의 경운,옮겨심기의 형태로 진행되며 주기적으로 변화하더라도 무기한으로 유지될 수 있는 지속가능한 자원 활용에 기초하여 기능하는, 생태학적 "균형"이 수립되도록 한다. 





농업생태계


농업 생산을 확립하려는 목적을 지닌 인간의 조작과 생태계의 변경은 농업생태계를 자연 생태계와 매우 다르게 만든다. 그러나 그와 함께 자연 생태계의 과정, 구조 및 특성은 농업생태계에서도 관찰할 수 있다. 



자연 생태계와 농업생태계


자연 생태계와 농업생태계를 비교하여 각각 그림2.6과 그림2.7로 도표화했다. 두 그림에서 에너지 흐름은 실선으로 표시되고, 양분 이동은 점섬으로 표시된다. 


그림2.6과 그림2.7을 비교하면, 몇 가지 주요 관점에서 농업생태계가 자연 생태계와 다르다는 걸 알 수 있다.


그림2.6 자연 생태계의 기능 구성요소. "대기와 비" 및 "태양"으로 표시된 구성요소들은 특정 체계의 외부에 있으며 필수적인 자연 투입재를 제공한다.



그림2.7 농업생태계의 기능 구성요소. 대기와 태양에 의해 제공된 자연 투입재 이외에, 농업생태계는 체계의 외부에서 오는 전체 인간의 투입재 세트를 지니고 있다. 또한 농업생태계는 이 그림에서 "소비와 시장"이라 표시된 산출의 세트를 가지고 있다. 




1. 에너지 흐름: 농업생태계에서 에너지 흐름은 인간의 간섭에 의해 크게 변경된다. 투입재는 주로 인적 자원에서 비롯되며, 자급되지 않곤 한다. 따라서 농업생태계는 에너지가 체계 안에 축적될 수 있는 바이오매스에 저장되기보다는 오히려 수확할 때마다 상당한 양이 체계의 밖으로 나가는 개방 체계가 된다. 

2. 양분 순환: 대부분의 농업생태계에서 양분의 순환은 최소화되고, 수확과 함께 또는 체계 안에 보유하는 영구적인 바이오매스 수준의 급감으로 인해 침출되거나 침식된 결과로 상당한 양이 체계에서 상실된다. 작물들 사이에, 그리고 시간적으로 농사철 사이에 맨흙을 빈번히 노출시키는 일도 체계에서 양분이 "누출"하게 만든다. 농민들은 최근 이러한 상실을 대체하기 위해 석유에 기반한 양분 투입재에 크게 의존하게 되었다.   

3. 개체군 조절 메커니즘: 환경의 단순화와 영양 상호작용의 감소로 인하여, 농업생태계에서 작물이나 가축의 개체군들은 거의 자가증식이나 자기조절을 못한다. 씨앗이나 커다란 에너지 보조금에 의존하곤 하는 조절제의 형태로 인간의 투입재가 개체군의 크기를 결정한다. 생물학적 다양성이 감소되고, 영양 구조가 단순화되는 경향이 있으며, 여러 지위가 비어 있는 채로 남아 있다. 집중적인 인간의 간섭에도 불구하고, 치명적인 해충이나 질병의 발생 위험이 높다. 

4. 탄력성: 자연 생태계와 관련하여 구조와 기능의 다양성이 감소되었기 때문에, 농업생태계는 자연 생태계보다 탄력성이 훨씬 적다. 수확 산출에 초점을 맞추어 수립된 모든 균형이 엉망이 되었고, 외부의 간섭 -인간의 노동과외부의 인적 투입재의 형태로- 이 유지되는 경우에만 체계를 유지할 수 있다. 


자연 생태계와 농업생태계 사이의 핵심적인 생태학적 차이는 표2.2에 요약되어 있다.



자연 생태계

농업생태계

순생산력

보통

높음

영양 상호작용

복잡

단순, 선형

종 다양성

높음

낮음

유전적 다양성

높음

낮음

양분 순환

닫힘

열림

탄력성

높음

낮음

인간의 통제

독립적

비독립적

시간의 영속성

짧음

서식지 이질성

복잡

단순

표2.2 자연 생태계와 농업생태계의 중요한 구조적, 기능적 차이



자연 생태계와 농업생태계 사이는 뚜렷하게 대조적이지만, 두 유형의 실제 체계는 연속체로 존재한다. 연속체의 한쪽에서, 많지 않은 "자연" 생태계는 인간의 영향력에서 완벽히 독립적이란 의미에서 참으로 자연적이다. 다른 한쪽에서, 농업생태게는 인간의 간섭과 투입재에 대한 수요가 매우 다양할 수 있다. 실제로 이 글에서 제시된 개념을 적용하여, 종 다양성과 양분 순환 및 서식지 이질성 등의 특성이 자연 생태계와 닮은 농업생태계를 설계할 수 있다.   




분석 단위가 되는 농업생태계


지금까지는 농업생태계를 개념적으로 묘사했고, 이제 그것이 물리적으로 무엇인지 설명해야 한다. 즉, 우리가 농업생태계의 관리를 논의할 때 우리가 이야기하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이는 우선 공간적 경계의 문제이다. 생태계와 마찬가지로, 개략적으로 농업생태계의 공간적 제한은 어느 정도 임의적이다. 그러나 실제로 "농업생태계"는보통 개개의 농장과 동일한데, 하나의 농경지나 인접한 농장들의 묶음일 수 있다.


또 다른 문제는 추상적 또는 구체적 농업생태계와 그 관계 및 주변 사회와 자연 세계와의 관계를 포함한다. 본질적으로, 농업생태계는 둘 모두에 얽혀 있다. 연결망은 모든 농업생태계에서 인간 사회와 자연 생태계로 퍼져 나가 있다. 시애틀에서 커피를 마시는 사람은 코스타리카의 커피를 생산하고 있는 농업생태계와 연결되어 있다. 시베리아 타이가는 미국의 관행적인 옥수수 생산 체계에서 미치는 영향을 경험할 수도 있다. 


그러나 실질적 측면에서, 우린 농업생태계의 외부가 무엇이고 내부가 무엇인지 구별해야 한다. 이러한 구별은 농업생태계의 투입재를 분석할 때 필요해진다. 체계의 외부에서 와야지만 투입재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글에 이어지는 합의는 농업생태계의 공간적 경계(명시적 또는 암묵적)를 내부와 외부 사이의 경계선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인간에 의해 제공되는 투입재의 측면에서, 체계의 공간적 경계의 외부에서 오는 물질이나 에너지원은 외부 인간의 투입재이다. 외부라는 단어가 투입재와 중복되더라도, 그것은 농장 밖의 기원을 강조하기 위한것이기에 그대로 두었다. 전형적인 외부 인간의 투입재에는 농약, 무기질 비료, 하이브리드 종자, 트랙터를 운영하는 데 쓰이는 화석연료와 트랙터 자체, 대부분의 관개용수 및 농가 이외의 거주민이 제공하는 인간 노동력이 포함된다. 또한 자연 투입재가 있는데, 그 가운데 가장 중요한 것은 태양 복사, 강수량, 바람, 홍수로 퇴적된 침전물, 식물의 번식체들이다. 




지속가능한 농업생태계


지속가능한 농업생태계를 창출할 때의 과제는 수확의 산출을 유지하면서 자연 생태계와 유사한 특성을 달성하는 일이다. 지속가능성을 향해 노력하고 있는 특정 농업생태계의 관리자는 최대한 자신의 설계와 관리에 생태계의 개념을 활용하고자 애써야 한다. 에너지 흐름은 재생할 수 없는 근원에 덜 의존하며, 체계 내부의 과정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에너지와 수확할 수 있는 농산물로서 내보내기 위해 사용되는 에너지 사이의 더 나은 균형을 이루도록 설계할 수 있다. 농민은 가능하면 "폐쇄적인" 양분 순환을 개발하고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며, 체계에서 양분의 손실을 낮추고, 내보낸 양분을 농장에 되돌릴 수 있는 지속가능한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개체군 조절 메카니즘은 서식지 다양성의 향상부터 천적과 경쟁상대의 존재를 보장하는 일까지 다양한 메커니즘을 통하여, 해충에 대한 체계 수준의 저항성에 더 의존하게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탄력성, 생산력, 균형이란 자연 생태계의 특성을 통합시킨 농업생태계는 지속가능성을 위한 생태학적 기반을 수립하는 데 필요한 동적 평형을 더 잘 유지할 것이다. 농업생태계의 과정을 통제하기 위해 외부 인간의 투입재를 사용하는 일이 줄어듦에 따라, 합성 투입재에의존하는 체계로부터 자연 생태계의 과정과 상호작용 및 체계 안에서 유래한 물질을 활용하도록 설계된 체계로 전환하는 걸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농업생태계와 경관


농생태학은 농장의 눈앞에서 생산과 단기적인 기업 경제 및 환경 영향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농장이나 농업생태계 수준에서의 가장 즉각적인 응용법을 찾고 있다. 하지만 각 농장이나 농업생태계는 경관이란 용어로 가장 적절히 표현할 수 있는 더 넓은 공간과 생태학적 맥락에 존재한다.


경관 수준에서, 농업생태계와 자연 생태계는 밀접히 연결되어 있으며, 서로에게 긍정적 영향만이 아니라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 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두 유형의 체계 사이에 일어나는 상호작용은 너무 복잡하여 하나를 다른 것과 분리하기가 어려울 지경이다. 인간이 농업의 구성요소는 지속가능하고 자연의 구성요소는 보존하고 보호하도록 경관에 거주하며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고려할 때, 우린 인간이 거주하는 모든 경관 -즉, 모든 인위적 경관- 이 실제로는 다기능적이란 사실을 알게 된다. 자연 생태계 서비스는 농업생태계 과정과 뒤섞이며, 둘 모두 해를 입을 위험이 있으므로 따로 떼어낸다. 


다기능이란 개념은 농촌의 경관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농업과 자연의 지속가능한 상호작용을 지배하는 똑같은 원리는 더 큰 경관의 맥락에서 고려하면 도시 지역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시는 소규모 농업 생산과 그 경게 안에 있는 자연 군집을 모두 지원할 수 있으며, 도시를 둘러싼 농업과 자연 체계를 결부시키는 방법은 지속가능성을 추구하는 데에 중요하다(그림2.8).   



그림2.8 스페인 안달루시아 북부의 다기능적이고 인위적인 경관. 한해살이 작물(예, 멜론, 토마토, 잎채소)은 골짜기 흙에서 재배되고, 올리브와 아몬드는 산허리와 생울타리에서 재배된다. 그와 함께 가축은 산허리에 방목되고, 숲은 고지대에 유지된다.




경관의 맥락에서 농업생태계를 살펴보면, 농업생태계 개념은 인간이 지표면을 어떻게 변경하는지, 그리고 야생지와 농경지, 도시 지역이란 명백히 구별되는 경관이 실제로는 어떻게 밀접히 얽혀 있는지 이해하는 데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다. 즉 농업생태계는 인간의 토지 이용에 대한 생태학에서 중심 개념이다.  





특별 주제: 농생태학의 역사



농생태학 -광범위하게 농업의 생태학적 분석이라 정의됨- 이 20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는 뿌리를 가지고 있지만, 이 분야는 1990년대까지는 하나의 분야로 널리 인정을 받지 못했다. 주류로 진입하는 게 늦어진 주된 이유는 두 부모 -생태학과 농학- 가 그들의 차이점들을 해결하기로 합의할 때까지 일반적으로 용인될 수 없었다. 생태학은 늘 자연 체계의 연구에 주로 관련되어 온 반면, 농학은 농업의 관행에 과학적 연구법을 적용하는 걸 다루었다. 한편으로는 순수 과학과 자연, 다른 한편으로는 응용 과학과 인간의 노력 사이의 경계는 농학의 영역에 농업을 양도하며 두 분야를 분리시켜 왔다.  

 

오늘날 존재하는 농생태학을 완전히 이해하기 위하여, 생태학과 농학 사이의 넓은 틈을 메우고자 몇몇 연구원의 초창기 노력을 알아보는 게 도움이 된다. 가장 초기의 농생태학자는 1920년대 후반과 1930년대 초반에 연구를 발표한 러시아의 농학자 바실 벤신Basil M. Bensin일 것이다. 벤신은 1차대전 이후 농업에 퍼지기 시작한종자, 비료, 트랙터 등을 판매하는 회사가 농민들을 이용하고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이들 산업형 투입재는 보편적으로 적용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지만, 이들을 구입한 농민들은 자신의 특정 농장에서 제대로 기능하지 않으면 매우 실망하곤 했다. 벤신(1930)은 각 농장의 생태학적 조건을 조사하여, 농민들이 그 농장의 독특한 수요와 조건에 적합한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하자고 촉구했다. 각 농장의 소재지에 지역적으로 적응된 작물을 재배하는 건 농민이 더 나은 투입재를 결정할 수 있도록 도울 뿐만 아니라, 먼저 이들 구매한 투입재에 대한 필요성을 크게 제한하도록 할 수 있다. 벤신이 출간한 글에서 농생태학의 첫 쓰임이라 할 수 있는 게 나타났다. 


벤신이 자신의 선구적인 작품을 발표하는 것과 거의 같은 시기에, 작물 생태학 분야의 발전을 가져온 생태학과 농학 사이의 중요하지만 오래가지 못한 한차례의 상호 교류가 일어나기 시작했다. 벤신과 마찬가지로, 작물 생태학자들은 작물이 재배되는 곳과 그들이 가장 잘 자라는 생태학적 조건에[ 관심을 가졌으며, 또한 벤신과 달리 농업에 적용된 생태학을 언급하며 농생태학이란 용어를 쓰기 시작했다. 그들은 투입재를 활용하여 재배되는 작물의 생태학적 조건을 변경하여 수확량을 늘리는 방법에 초점을 맞추기 시작했다. 산업형 농업에 비판적이기보다는 그것의 출현과 더 일치하는 접근법이긴 하다. 


2차대전 이후, 생태학은 순수 과학의 방향으로 나아간 한편, 농학은 농업에서 기계화와 농업용 화학물질의 사용, 대규모 단작을 더욱더 강조하는 상황을 반영하여 점점 결과 지향적으로 나아갔다. 각 분야의 연구자들은 학문 분야 사이의 공통점을 발견할 가능성이 낮아졌고 실제로 그들 사이의 심연은 넓어졌다.    


1950년대 후반에 이러한 일반적 경향에 대응한 것은 부분적으로 생태계 개념이 성숙하며 자극을 받은 작물 생태학에 대한 새로운 관심이었다. 생태계 개념은 생태학적 관점에서 농업을 조사하기 위한 전반적인 뼈대를 처음으로 제공했다. 이런 방식으로 실제로 생태계 개념을 활용하는 몇몇 연구자가 자신의 연구 분야를 농업 생태학이라 불렀다.  


생태학과 농학의 과학은 1960년대 녹색혁명이 일어나고 농업의 모든 문제에 대한 기술적 해답에 계속 초점이 맞추어지면서 더욱 멀어졌다. 하지만 1960년대는 사회 구성원들 사이에서 환경 인식이 높아졌고, 이렇게 높아진 인식 -공기와 물의 오염과 농약 살포의 영향에 관한- 은 결국 현대적 형태의 농생태학이 출현하게 되는 주요한 추진력이 되었다.   


생태학의 영역에서, 농업에 생태학을 적용하는 것에 대한 관심은 1960년대와 1970년대에 군집과 개체군 생태학 연구의 강화와 체계 수준의 접근법이 영향력을 높이며 서서히 추진력을 얻었다. 국제적 차원에서 생태학자들 사이에 농업에 대한 관심의 중요한 신호는 1974년 제1차 국제 생태학 학회에서 실무진이 농업생태계의 분석이란 제목의 보고서를 작성했을 때 일어났다. 농업생태계 개념은 생태학자들에게 그들의 생태계를 농업의생태계에 대응시키는 데 초점을 맞추는 방법을 제시했다. 


특히 농생태학은 멕시코 남동부에 있는 열대 농업의 작은 대학에서 agroecologia라는 용어가 관련 교육과 연구 및 지역사회에 기반한 개발 프로젝트에 적용되며 실질적이고 전체적인 체계의 접근법으로 부흥했다(Gliessman 1978b). 여기 그 출현으로부터 농생태학은 개발도상국의 전통적 농경 체계의 생태학적 토대에 초점을 맞출 뿐만 아니라, 결코 잃지 않은 사회운동의 측면을 획득했다(Gliessman 2013). 여러 분야의 연구자들은 전통적 농업이 생태학적으로 기반한 농업생태계 관리의 중요한 사례를 제공한다고 인식하기 시작했다(Gliessman 1978a; Gliessman et al. 1981).


1980년대 초반 무렵, 농생태학은 모든 유형의 농업생태계를 연구하기 위한 독특한 방법론과 개념적 틀로서 떠올랐다. 녹색혁명의 환경 및 사회적 비용이 점차 인식되는 시기에 그 영향력이 커지면서, 농생태학은 농업에서 지속가능성의 개념을 발전시키는 데 기여했다. 지속가능성은 농생태학의 연구에 초점을 맞추기 위한 목표를 제공한 한편, 농생태학의 전체적 체계 접근법과 동적 평형에 대한 지식은 그 관행적 상대보다 훨씬 더 지속가능하며 환경에 미치는 영향은 적다고 주장할 수 있는 실제 먹을거리 생산 체계의 개발을 위한 튼튼한 이론적, 개념적 기반을 제공했다. 1984년 다양한 저자들이 심포지엄 과정에서 지속가능성의 생태학적 기반을 제시했다(Douglass 1984). 이 간행물은 농생태학의 연구와 실천으로 지속가능한 농업을 촉진하는 일 사이의 연결을 확고히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90년대 동안, 농생태학은 지속가능한 농업으로 전환하기 위한 잘 알려진 접근법으로 무르익었다. 농생태학연구의 접근법이 등장하고(Gliessman 1990), 여러 교과서가 출판되었으며(Altieri 1995b; Pretty 1995; Gliessman 1998), 학술적 연구 및 교육 프로그램이 추진되었다. 수많은 유기농 농민과 더욱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먹을거리를 재배하고 있는 사람들은 농생태학으로 무엇을 하고 있었는지 생각하기 시작했다. 1998년의 미국 생태학 학회(Ecological Society of America)에서 농생태학 부문이 설립되어 생태학자들의 농업에 대한 생각에 주요한 변화가 일어났음을 알렸고, 미국 농학 학회(American Society of Agronomy)의 연례 모임에서 심포지엄의 정기 발표, 구두 발표, 농생태학에 대한 포스터 등은 생태학적 접근법을 받아들였음을 보여주었다.  


농생태학의 주요 발전은 농업생태계에서 전체 먹을거리 체계로 그 초점이 확장되기 시작한 2000년대 초반에 일어났다(Francis et al. 2003). 농생태학은 더 이상 작물, 가축 및 농경지에만 관심을 두지 않았다. 종자와 토양부터 밥상에 이르기까지 전체 먹을거리 체계를 고려해야 하게 되었다. 농민과 먹는 사람, 그리고 그 사이의 모든 이가 상호연결된 체계의 일부라는 사실이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졌다. 


이러한 먹을거리 체계의 접근법을 채택하면서, 농생태학의 사회과학 측면에서 병행하는 운동이 일어났다(Guzmán-Casado et al. 1999). 농생태학의 틀에서 활동하는 농촌사회학자, 인류학자, 민족식물학자 등등이 먹을거리의 상품화와 농업의 산업화로 인하여 발전되어 증가하고 있는 불의와 불평등에 대처하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들은 기아와 빈곤을 줄이고 전 세계의 소농을 지원하는 일이 농업을 생태학적으로 더 지속가능한 기반 위에 놓는 일일 뿐만 아니라,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부분과 합치한다고 지적했다(Sevilla-Guzmán 2006).   


오늘날 농생태학은 학자와 농민을 연결하고, 확립된 경계를 넘어서며, 더 지속가능한 방향으로 전체 먹을거리체계를 이동시키기 위해 열심히 노력하고 있다. 지구에 사는 인간 존재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모이면서힘을 얻은 농생태학은 세 가지 구성요소를 하나로 묶는 분야로 확고히 자리를 잡았다. 그것은 농업생태계의 생태학적 과정에 대한 과학적 연구, 지속가능성이란 목표에 뿌리를 둔 농법의 촉진과 지원, 참으로 지속가능한 기반으로 먹을거리 체계를 이동시키기 위해 일어나야 할 복잡한 사회적, 생태적 변화의 진보이다(Méndez et al. 2013). 



농생태학의 역사에서 중요한 저술

 년도        저자                            제목

1928    K. Klages                   Crop ecology and ecological crop geography in the agronomic curriculum

1930    B. Bensin                   Possibilities for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agroecological investigations 

1938    J. Papadakis               Compendium of Crop Ecology

1939    H. Hanson                  Ecology in agriculture

1942    K. Klages                   Ecological Crop Geography

1956    G. Azzi                      Agricultural Ecology

1962    C. P. Wilsie                Crop Adaptation and Distribution

1965    W. Tischler                 Agrarökologie 

1973    D. H. Janzen               Tropical agroecosystems 

1974    J. Harper                   The need for a focus on agro-ecosystems

1976    E. Hernandez Xolocotzi    Los Agroecosistemas de Mexico 

1976    INTECOL                   Report on an International Programme for Analysis of Agro-Ecosystems

1977    O. L. Loucks               Emergence of research on agro-ecosystems

1978b  S. Gliessman              Memorias del Seminario Regional sobre la Agricultura Agricola Tradicional

1979   R. D. Hart                 Agroecosistemas: Conceptos Basicos

1979   G. Cox and M. Atkins    Agricultural Ecology: An Analysis of World Food Production Systems 

1981   S. Gliessman,                        The ecological basis for the application of traditional agricultural 

      R. Garcia-Espinosa, M. Amador      technologyin the management of tropical agroecosystems

1983   M. Altieri                  Agroecology

1984   R. Lowrance, B. Stinner, G. House      Agricultural Ecosystems: Unifying Concepts

1984   G. Douglass (ed.)         Agricultural Sustainability in a Changing World Order 

1990   S. Gliessman (ed.)        Agroecology: Researching the Ecological Basis for Sustainable Agriculture

1995   M. Altieri                  Agroecology: The Science of Sustainable Agriculture (3rd edn.)

1995   J. Pretty         Regenerating Agriculture: Policies and Practice for Sustainability and Self-Reliance

1998   S. Gliessman              Agroecology: Ecological Processes in Sustainable Agriculture

1999   G. Guzmán-Casado,      Agroecología como Desarrollo Rural Sostenible 

        M. González de Molina, E. Sevilla-Guzmán

2003   C. Francis et al.          Agroecology: The Ecology of Food Systems

2004   D. Rickerl and C. Francis (eds.)     Agroecosystem Analysis

2004   D. Clements and A. Shrestha (eds.) New Dimensions in Agroecology

2006   K. Warner                 Agroecology in Action: Extending Alternative Agriculture Through 

                                       Social Networks

2006   E. Sevilla-Guzmán        Desde la Sociología Rural a la Agroecología

2007    S. Gliessman             Agroecology: The Ecology of Sustainable Food Systems (2nd edn.) 

2009   A. Wezel et al.          “Agroecology as a science, a movement, and a practice: A review” 

                                       (in Agronomy for Sustainable Development) 


2009   J. Vandermeer            Ecology of Agroecosystems 

2009   IAAKSTD                  Agriculture at the Crossroads 

2011    O. De Schutter           Agroecology and the right to food 

2013   S. Gliessman              Agroecology: Growing the roots of resistance 

2013   V. E. Mendez et al. (eds.)   Agroecology and the Transformation of Agri-Food Systems


 





전후 사정에서 농업생태계: 먹을거리 체계


인간이 거주하는, 또는 인위적인 지역이나 지방의 맥락에서 이해되고 조사된 경관은 먹을거리 체계라고 부르는 훨씬 더 큰 체계, 먹을거리의 생산, 유통, 소비 네트워크의 일부이다. 먹을거리 체계는 농민, 농업노동자, 소비자, 식품 도매업자, 식품 소매업자, 식품 유통업자, 식품 중개인, 수입업자, 수출업자, 농자재 공급자와 제조자, 운송 체계, 정부의 규제당국 및 먹을거리의 생산과 유통이 일어나는 더 큰 경제적, 사회문화적, 정치적 구조가 포함된다. 국가와 세계의 지방 및 대륙의 차원에서 더 많거나 적은 별개의 먹을거리 체계가 존재하지만, 그들의 늘어나고 있는 상호의존성은 단일한 세계적 먹을거리 체계에 그들을 결합시킨다. 이 글에서는 세계적 먹을거리 체계가 가장 적합하다. 우리는 이걸 단순화하여 먹을거리 체계라고 언급한다. 먹을거리 체계는 때로는 세계적 농식품 체계(global agrofood system)라고도 부른다. 


농업의 지속가능성은 먹을거리 체계의 모든 구성요소의 상호작용을 이해할 때에만 비롯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 글은 농업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모든 질문을 고찰하는 먹을거리 체계란 관점을 개발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한다. 이 관점은 농장의 생태학적 조건과 마찬가지로, 농업생태계의 많은 사람들에게 관심을 기울인다. 인간의 "먹이 사슬"에서 발생하는 가공, 운송, 마케팅에 필수적인 많은 양의 에너지와 물질을 고려에 넣는다. 기아와 식량안보의 형평성과 좋은 영양과 식단에 대한 접근성에 관심을 기울인다. 시장과 농장 지역사회에 미치는 세계화의 영향을 평가하고, 생산자와 소비자를 단일한 체계의 활발하게 연결된 부분으로 바라본다. 이러한 더 큰 먹을거리 체계의 문제 -그리고 그것이 제기하는 과제에 부응하기 위하여 농생태학이 할 수 있는 역할- 는 이 책의 마지막 장에서 상세히 다루고 있다. 





생각거리 


1. "자연의 이미지"에 농사가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도록 농업의 설계와 관리에 어떤 종류의 변화가 필요한가?

2. 농업이 더 지속가능하게 되려면, 그것이 나온 농장으로 양분을 되돌려주는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이를 위해 자신의 지역사회에서 할 수 있는 몇몇 방법은 무엇인가?

3. 농생태학에서 우린 끊임없이 교란을 겪고 있음에도 특정한 구조와 기능의 세트를 유지한다는 의미에서 탄력적인 농업생태계를 창출하고자 노력한다. 어떻게 탄력성의 개념이 지속가능성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증진시킬 수 있는가?     

4. 소비자로서, 당신의 선택이 어떻게 세게적 먹을거리 체게에 영향을 미치는가?





인터넷 자료


Agroecology 

http://www.agroecology.org

The author’s website. Serves as an excellent backup to the textbook. It provides useful resources for learning and applying what is presented, with an emphasis on training, research, and application of agroecological approaches to solving real-world food-system problems. 


Agroecology and Sustainable Food Systems 

http://www.tandfonline.com/wjsa

The primary scientific journal dedicated to promoting research in agroecology and applications for food-system transformation. 


Agroecology in Action 

http://www.agroeco.org

A website dedicated to demonstrating the many and varied ways to apply agroecology, with special emphasis on issues in Latin America. 


Center for Agroecology and Sustainable Food Systems

http://www.ucsc.edu/casfs

The Center for Agroecology & Sustainable Food Systems is a research, education, and public service program at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anta Cruz, dedicated to increasing ecological sustainability and social justice in the food and agriculture system.


Ecological Society of America—Agroecology Section 

http://www.esa.org/agroecology/

The ESA section for agroecology works at the interface of agriculture and ecology to promote science-based strategies and disseminate information necessary for developing sustainable agricultural systems. 


Ecology and Society 

http://www.ecologyandsociety.org 

A journal of integrative science for resilience and sustainability.




읽을거리


Daubenmire, R. F. 1974. Plants and Environment, 3rd edn. John Wiley & Sons: New York. 

The classic work in the area of autecology, emphasi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n individual plant and the factors of the environment in which it must develop. 


Golley, F. B. 1993. A History of the Ecosystem Concept in Ecology. Yale University Press: New Haven, CT.

The essential review of how the ecosystem concept was developed and how it has been applied as a central concept in ecology. 


Gurevitch, J., S. M. Scheiner, and G. A. Fox. 2006. The Ecology of Plants, 2nd edn. Sinauer Associates, Inc.: Sunderland, MA. 

A text focusing on the interactions between plants and their environments, over a range of scales.


 Molles, M. C. 2012. Ecology: Principles and Applications, 6th edn. McGraw-Hill. 

A good introductory ecology text.


 Odum, E. P. and G. W. Barrett. 2005. Fundamentals of Ecology, 5th edn. Brooks/Cole: Stamford, CT. 

An introductory text covering the principles of modern ecology from one of the founders of the field, with a special emphasis on the relevance of ecology for humankind. 


Pretty, J. (ed.). 2005. The Earthscan Reader in Sustainable Agriculture. Earthscan: London.


Ricklefs, R. E. 2014. The Economy of Nature, 7th edn. W. H. Freeman and Company: New York. 

A very complete textbook of ecology for the student committed to understanding the way nature works. 


Smith, R. L. and T. M. Smith. 2012. Elements of Ecology, 8th edn. Pearson, Inc.: New York. 

A commonly used textbook of ecology for the serious student in biology or environmental studies, with an emphasis on human impacts on ecosystems.


Vandermeer, J. H. 2011. The Ecology of Agroecosystems. Jones & Bartlett Publishers: Sudbury, MA. 

A book that contemplates a more ecological and sustainable agricultural approach to food production while discussing the fundamental natural laws of ecosystems.



728x90
728x90

농생태학: 지속가능한 먹을거리 체계의 생태학




이 책의 활용법


생태학의 순수과학 분야와 농학의 응용 분야 모두에서 농생태학의 기원을 심사숙고하는 일은 이 원고가 이중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하나는 농업의 맥락에서 생태학을 가르치기 위해 설계되었기 때문이고, 다른 하나는 생태학의 관점에서 농업에 관해 가르치기 때문이다. 


그러나 먹을거리를 재배하는 방식에 집중함에도 불구하고, 농법에 관한 책은 아니다. 농사는 세계 각 지역의 특정 조건에 적응시켜야 하는 활동이고, 이 원고의 임무는 보편적 적용 가능성에 대한 개념을 이해시키는 것이다. 


원고는 생태학과 농업 모두의 경험과 지식 수준에 맞추어 작성되었다. 1부와 2부는 생태학과 생물학의 기본 지식에 관해서만 다루어, 성실하다면 대학 수준의 과학 교육을 받은 학생조차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거의 없을 것이다. 1장부터 12장의 집중 학습은 더 복잡한 3부와 4부의 장들에 대한 준비가 될 것이다.


생태학에 대한 폭넓은 배경지식을 지닌 독자는 대부분 뒤의 두 부가 유익할 것이다. 그런 사람은 앞의 2장을 건너뛰고 3장부터 12장까지 3부와 4부의 관심 주제로 가기 전에 골라서 보면 된다. 학부생을 포함하여 생태학과 농업에 조예가 깊은 독자는 이런 전략을 추구하고자 할 뿐만 아니라, 더 광범위한 참고문헌과 보고서 등을 원할 것이다. 


이 원고는 학기의 1/4이나 한 학기에 활용될 수 있지만, 그건 강사와 학생, 커리큘럼에 달린 일이다. 이상적으로, 농업에 생태학적 개념의 시험하고, 생태학의 도구를 농업생태계의 연구에 적용될 수 있는 방법을 시연하려고 하는 실험실 부문은 이 교재를 활용하는 어떤 과정의 강의 부문이라도 보완할 것이다. 첨부된 실험 매뉴얼 <Field and Laboratory Investigation in Agroecology>는 이런 역할을 충족시키도록 설계되었다. 그 조사는 이 원고의 장들에 대한 핵심이 되며, 통합 과정을 창출하는 데 함께 작동한다. 


각 장 말미의 권장도서와 인터넷 출처 목록은 호기심 많은 독자를 위한 심화 자료를 제공한다. 각 장에 나오는 질문은 제약이 없고, 지속가능성에 대한 더 넓은 맥락에서 아이디어와 개념을 고려하고자 하는 독자를 북돋고자 설계되었다.


이 원고에서 개념과 원리는 세계 어느 곳의 농업생태계에도 적용될 수 있다. 농민이 지역과 변화하는 상황에 적응해야 하는 것처럼, 이 책의 독자들은 자신의 상황에 맞게 그 개념을 적용하려 시도해야 할 과제가 있다. 연구 문헌에서 적절한 사례를 찾아서 지역의 농민들과 실제 농법에 원리를 연결하기 위하여 협력하라. 







목차



1부: 농생태학의 소개


1장  농업의 근본적 변화를 위한 사례

2장  농생태학과 농업생태계의 개념



2부: 식물과 환경의 비생물적 요인


3장  식물

4장  빛

5장  온도

6장  습도와 강우

7장  바람

8장  토양

9장  토양의 물

10장  불



3부: 더 완전한 개체 생태학의 관점


11장  생물적 요인

12장  환경의 복합

13장  종속 영양 유기체



4부: 체계 차원의 상호작용


14장  농업생태계의 개체군 생태학

15장  농업생태계의 유전자원 

16장  작물 군집에서 종들의 상호작용

17장  농업생태계 다양성

18장  교란, 천이, 그리고 농업생태계 관리

19장  농업생태계의 동물

20장  농업생태계의 에너지학 

21장  경관 다양성



5부: 지속가능성으로 이행하기


22장  생태학에 기반한 관리로 전환하기 

23장  지속가능성의 지표



6부: 지속가능한 세계의 먹을거리 체계로 전환하기


24장  농업, 사회, 그리고 농생태학

25장   먹을거리 체계의 재구성에서 지역사회와 문화 

26장   지속가능한 농업생태계에서 지속가능한 먹을거리 체계




참고문헌

용어 해설

찾아보기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