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한중 FTA 1차 협상 종료와 발을 맞춰 농식품을 중국 시장으로 수출하자는 이야기들이 봇물 터지듯 쏟아져 나온다. 농촌경제연구원은 물론 기재부 등에서도 시끄럽게 떠든다.


그런데 솔직히 까놓고 농식품을 수출한다면 그 원재료를 모두 국산으로 쓸까? 
농산물을 중국 시장으로 수출할 가능성은 얼마나 될까? 
일부 몇몇 극히 제한적인 품목은 가능할지도 모르지, 하지만 다른 대다수의 품목은 오히려 중국산 농산물에 잠식당하지 않을까? 
지금도 보따리상이라든지 유통업자들이 들여오는 값싼 중국산 농산물이 상당한 부분 한국 농산물 시장을 장악하고 있지 않은가. 

너희들,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려라 진짜. 
---------



우리 농식품, 중국시장 수출 확대하자"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식품 수출확대 전략’ 토론회 개최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은 9월 3일(화) 14시부터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중회의실(서울 서초구 소재)에서 농식품 수출확대 전략수립을 위한 기본방향 및 실천 가능성을 논의하기 위하여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와 공동으로 ‘농식품 수출확대 전략’ 토론회를 개최했다. 

개회식에서 KREI 최세균 원장은 “진취적인 자세로 우리가 가진 역량을 응집해 농식품 수출 확대를 이루자”며, 이번 토론회가 농식품 수출 확대를 위해 다양한 시각의 의견을 듣고 나누는 장이 되길 당부했다. 또한 오늘 나온 여러 의견들을 반영해 향후 농식품 수출활성화를 위한 논리와 이론적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KREI 전형진 연구위원은 ‘중국시장 농식품 수출확대 가능성 및 확대 전략’이란 제목의 발표에서 “중국은 내수 소비시장 규모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고, 식품소비에서 소비자의 안전 및 웰빙소비 트렌드가 증가하는 등 기회요인이 있다”며, “중국시장에서 농식품 수출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수출농업 기반 구축 등으로 수출 체질을 강화하고,  품목별·지역별로 차별화된 수출 마케팅을 강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진 ‘대중국 농식품 수출 증대를 위한 aT의 역할’이라는 발표에서 백진석 aT 수출기획팀 팀장은 “중국에서는 그동안 지속적인 식품안전 사고로 수입산 농식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으며 구매력도 높다”며, 대중국 수출확대 전략으로 ‘미디어를 통한 종합 마케팅 추진, 정보지원체계 강화, 수출물류 인프라 확대, 신규시장 확대’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박중원 빙그레 해외사업관리팀장은 “바나나맛우유 수출 성공요인”이라는 제목의 세 번째 발표에서 바나나맛우유가 중국시장 진입에 성공한 요인으로 중국 소득 수준 상승으로 인한 다양한 유제품 소비 증가, 자국내 식품의 낮은 신뢰도를 꼽았다. 더불어 바나나맛우유의 다양한 마케팅 전략을 소개해 관심을 끌었다. 어명근 KREI 선임연구위원이 좌장을 맡아 이뤄진 토론에서는 농민단체, 전문가, 학계, 정부 등에서 참석한 토론자들이 열띤 토론을 벌였다. 


 * 관련 사진 보기

728x90
728x90

유럽연합 농식품 직거래와 파머스마켓.pdf



유럽연합이 직거래를 어떻게 정의하고, 직거래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어떠한 정책을 실행하고 있는지 사례와 더불어 살펴보았다.


1. EU의 직거래 정의와 형태 
2. EU의 직거래 활성화를 위한 정책전략 
3. 프랑스의 직거래 운영 사례 
4. 이탈리아의 직거래 현황 및 정책 사례 

5. 오스트리아와 네덜란드 사례


유럽연합 농식품 직거래와 파머스마켓.pdf
0.28MB
728x90
728x90

미국인은 평균적으로 슈퍼마켓에서 38,718개 이상의 제품을 구입한다. 꽤 선택지가 넓은 것 같지 아니한가?

실제로는 요구르트와 시리얼, 잼, 과자 등의 대부분을 극소수의 기업이 소유하고 있다. 심지어 지역의 슈퍼마켓이나 자연식품 상점의 유기농 상표 대부분도 더 이상 독립적이지 않은 상황이다. 

Boca Burgers(예전에 Kraft로 알려진 Mondelez의 소유) 또는 Kashi(켈로그의 소유)와 같은 대중적인 상표는 실제로 모두 2000년에 인수되었다. 현재  Peet’s Coffee(현재 JAB의 소유)나 Coleman Natural(Perdue가 매수)와 같이 언뜻 보기에는 지역이나 소규모일 것 같은 상품도 최근 대형 다국적 기업에 의해 인수합병되었다.


미시간 주립대학의 Philip H. Howard 씨가 작성


그러나 진짜 문제는 무엇일까? 왜 Peet’s Coffee가 더 이상 독립적으로 소유되지 않는 것이 중요한가? Brown Cow나 Stonyfield 요구르트(현재 모두 Dannon의 소유)는 누가 그걸 소유했든지 똑같은 상품 아닌가?

대기업이 유기농 상표를 인수하는 일은 종종 기업의 물타기 수법이 된다고 미시간 주립대학의 Philip H Howard 박사는 말한다. 

그는 “유기농 식품 상표를 인수하면 새로운 모기업에서 유기농 재료의 비율을 줄이고 더 값싼 대체재를 구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라 한다. “코카콜라에 인수된 Odwalla와  Dean에 인수된 Silk Soymilk, Hearthside Foods(현재 Post Foods)에 인수된 Peace Cereal이 그 사례입니다. 소비자들이 성분 목록을 꼼꼼하게 살필 수밖에 없습니다.”

그는 포장에 적힌 글을 확인하는 것이 소비자가 기업에 인수된 뒤에도 얼마나 많은 유기농 재료를 사용하는지 평가하는 방법이 된다고 이야기한다 . 예를 들어 Silk Soymilk는 인수된 뒤에 "유기농"이란 표시는 없앴지만 포장지는 바꾸지 않고 유기농 콩 대신 관행농 콩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또한 그는 유기농 식품의 구매자에게서 얻은 이윤이 소비자를 지원하지 않는 방식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고 덧붙인다. 

“한 예가 최근 있었던 캘리포니아의 유전자조작 식품 표시제(Proposition 37)입니다”라고 Howard 씨는 말한다.  “많은 유기농 식품 상표에 대한 은밀한 소유권을 지닌 다국적 기업들이 모든 소비자 대부분의 의견에 반하여, 이를 저지하는 데에 돈을 기부했습니다.”  코카콜라(Honest Tea와 Odwalla의 소유자)와 펩시(Naked Juice), General Mills(Lara Bar와 Food Should Taste Good의 소유자)는 각각 100만 달러 이상을 Proposition 37을 반대하는 데에 기부했다.

[업계의 인수합병 흐름에 대해서는 다음을 참조]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