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녹비작물6 녹비작물을 심자 친환경농업이 바람을 타면서 여러 가지 농법들이 소개되고 있다. 어떠한 농법이든지 친환경이란 이름을 쓰려면 그 기본은 똑같을 것이다. 외부에서 가져오는 것을 최소화하며, 최대한 내부에서 자원을 순환시키라. 그러기 위해서는 농경지의 생태계를 살려서 활용하는 게 우선이다. 흙.. 2015. 1. 14. 녹비작물과 탄질율의 분해 특성 녹비작물은 크게 헤어리베치와 같은 두과작물과 호밀과 같은 화본과 작물로 구분할 수 있다. 두과작물은 질소함량이 높아 탄질률(C/N)율이 낮고, 화본과 작물은 높다. 표1에서 보면 호밀의 탄질률(탄소대 질소 비율)=43.7/1.18=37이고, 헤어리베티의 탄질률=43.9/2.93=15이다. 보통 탄질률이 30 이.. 2013. 7. 16. 유기농업의 실천, 흙을 살려야 한다 흙이란? 물, 바람, 기온 등에 의한 풍화작용으로 바위가 부서져 가루가 된 것으로, 여기에 동식물에서 유래한 유기물이 합쳐져 탄생된다. 흙 1cm가 생성되는 데에 걸리는 시간은 대략 200년 정도이다. 여기에 인간의 노동력이 더해져 작물의 생육에 적합하도록 토양이 숙전화되며 농지가 만.. 2013. 6. 11. 풋거름작물 綠肥작물이란 것이 있다. 한자어가 참 어렵게 느껴지는 게 싫지만 대개 그렇게 부른다. 쉬운 우리말로는 풋거름작물이라고 한다. 요즘은 어찌된 것이 우리말을 쓰는 게 더 어려운 시절이 되었지만 말이다. 결론적으로, 말 그대로 푸릇푸릇한 상태로 거름이 되는 작물이란 뜻이다. 무릇 모.. 2013. 2. 12. 작물을 키우는 작물 - 녹비작물 인테러뱅_86호_녹비작물_배포판.pdf ① 친환경농업 트렌드와 함께 주목받는 녹비작물 친환경 농산물 소비의 확산 트렌드와 전 세계적인 온실가스 배출 감축 등으로 인해 녹비작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녹비란 생풀이나 생나무 잎으로 만들어 충분히 썩지 않은 거름을 의미하며, .. 2012. 12. 4. 풋거름작물로 돌려짓기 실천 콩과식물은 그 뿌리에 뿌리혹박테리아라는 공생균이 있어 대기에 있는 질소 성분을 식물이 흡수할 수 있도록 만들어주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러한 효과 때문에 한국만이 아니라 세계의 전통농업에서도 콩과식물을 다양하게 활용해 왔다. 하지만 근래 화학비료의 대량생산이 가능해지면.. 2011. 2. 23.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