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무12

교토에 자라는 공자의 나무 중국 공자묘에서 가져온 씨앗을 싹튀워 기르고 있는 나무라고 한다. 그래서 공자의 나무라 한다고. 이렇게 일부러 공자의 나무를 기르는 건, 메이지 유신의 志士들의 사상이 유학의 그것에도 영향을 받고 있어 기리기 위함이라고 한다. 위치는 료마 기념관 입구 한켠에 있다는... 2024. 11. 13.
강원도 수목 민속의 의미와 가치 연구 최명환, 이영식 공저 2024. 3. 20.
나무와 토양침식 나무가 이렇게나 중요하다. 2019. 12. 31.
포도나무의 접붙이기와 교배 2019. 2. 19.
논밭에 꽃을 심자 논밭에 작물만 자라는 환경은 수확량을 최대화하는 것 말고는 별반 도움이 되지 않는 일입니다. 그런 삭막한 환경에서는 병해충을 통제하기 위해서 더 많은 화학물질에 의존하게 된다고 하지요.마침 요즘 농학계에서는 여러 가지 풀과 꽃, 나무들이 농사에 큰 도움이 된다는 사실이 하나.. 2018. 2. 5.
벼와 함께 생물다양성을 높이는 인도의 혼농임업 혼농임업은 세계적으로 10억 헥타르에서 행해지는 고대의 농법이다. 나무와 떨기나무를 작물과 결합해 식량안보를 높이고, 기후변화의 영향을 완화시키며, 생물다양성을 늘린다. 인도는 주로 농경지에서 혼농임업을 권장해 전체 면적 가운데 나무가 덮은 면적을 현재 24%에서 33%로 증가시.. 2017. 12. 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