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3 전통 채소를 기르던 사람들, 종자상(種子屋)의 근대사 -머리말, 목차 종자상의 종자 카탈로그(1932년부터 15년에 걸친 것) 외국의 종묘 카달로그오른쪽이 영국 서튼SUTTONS 사, 중앙이 같은 왓킨슨&심슨 사의 카달로그(1932년), 왼쪽이 중국 종묘회사의 카달로그(1940년). 일본만이 아니라 외국에서 카달로그를 가져와 종자를 구입하는 종자상도 많았다. 예전에 만들어진 여러 가지 고정종 채소이 채소 세밀화는 교토도 농림종합연구센터(옛 도쿄부 농사시험장)가 소장한 수채화의 회화 자료이다. 제작 과정 등의 구체적인 경위는 알 수 없으나, 1916년부터 1953년 무렵에 시험장이 화가에게 의뢰하여 기재시킨 것이라 생각된다. 무 좌상:쇼고인聖護院 우상:카메이도亀戶 좌하:호우료우方領 우하:네리마練馬 우엉좌:나카노미야中ノ宮 우:타키노카와滝の川 .. 2025. 1. 20. 중국이 모잠비크부터 미주리까지 세계의 먹이그물을 잣다 중국의 해외농업 투자에 대한 흥미로운 분석 기사가 있어 옮겼다.그러니까 중국이 먹을거리 확보를 위해 처음에는 개발도상국에서 원재료를 생산하여 운송하는 방식을 취했는데, 그것이 여러 난관 -토지수탈 문제, 지역민의 반발, 해당 국가의 농산물 무역 규제, 들쭉날쭉한 생산량 등- .. 2017. 5. 30. 유전자변형 종자의 카르텔 2부 유전자변형 종자를 심은 밭을 바라보고 있는 농민 미국과 유럽, 브라질, 인도, 남아프리카의 농민들은 생명공학 기업들이 종자시장을 유전자변형 작물로 독점함으로써 비유전자변형 종자에 대한 선택권이 줄어들었다. 이 글은 2부이다. 유전자변형 작물의 지지자들의 주장 가운데 하나.. 2013. 9. 11.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