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4 전통 채소를 기르던 사람들, 종자상의 근대사 -5장 5장 마을을 거닐고, 시장에서 파는 시골의 '종자상' - 외상 신용 판매로 지역 밀착, 소매 행상 슈니種仁 상점 대도시 도쿄 근교로부터 완전히 바꿔, 지방 도시 니이가타의 채소 수요를 담당했던 니이가타현 키타칸바라군北蒲原郡으로 눈을 돌린 것이 이번 장. 논 우월지대에 산재한 약간의 밭을 이용해 다양한 채소를 농사짓는 키타칸바라군. 소량 다품목의 채소 생산을 뒷받침한 것은 지역에 밀착해 종자를 판매한 소매상이나 행상들이었다. 그중에는 종자 수요가 확대되어 가는 과정에서 경영을 발전시켜 소규모로 채종 시스템을 만들어 고정종 육성에 나선 사람도 있다.현재도 이어지는 종자 소매상 타카하시 니시치高橋仁七 종묘점을 예로 그 실태를 소개하겠다. 1. 니이가타현新潟県의 채소 생산 1) 무논 지대 안의 채소 .. 2025. 2. 18. 전통 채소를 기르던 사람들, 종자상의 근대사 -2장 2장 사는 채소, 파는 종자 -채소와 종자의 변천, 에도에서 근대로메이지 중후기 이후 도시의 발달을 배경으로 채소 생산의 상품화가 진행된다. 시장향 균질한 채소를 생산할 때 중요한 것은 종자의 높은 균일성이다. 채소 생산의 상품화가 진행됨에 따라 농가는 자가채종한 종자만으로는 대응할 수 없어, 더 좋은 종자를 구입하게 된다. 이 장에서는 몇 안 되는 통계 자료를 구사해 메이지 이후의 전국적인 채소 및 그 종자의 수급 동향을 파악함과 동시에, 근대의 그 특질을 조사한다. 1. 도시의 성장과 근대 채소 생산의 특질 1) 통계 수치로 본 채소 생산의 추이 근대의 채소 생산에 관한 전국적인 데이터 중에는 (주1 「物産表』는 明治 文献資料 刊行会 編 「明治前期産業発達史資料』 第一巻, 明治文献資料刊行会,.. 2025. 1. 27. 근대적 생산방식은 끝날 수 있을까? https://www.theguardian.com/news/2019/feb/19/palm-oil-ingredient-biscuits-shampoo-environmental?fbclid=IwAR06oX6S-CBo8JXZtXRmlmzv_tIAh4dubG4KW4OySlnYgJAOhpAcSSIbGSE 산업형 대규모 농업이 할퀴어 놓은 상처는 깊고도 넓습니다. 우리가 먹는 라면을 생산하는 데 쓰이는 팜유를 생산하는 동남아시아 각지에서는 오랑우탄으로 대.. 2019. 3. 4. 괴산 지역 6차 수집 조사 2010년 8월 20일, 이틀 전 다 돌아보지 못한 연풍면을 끝내러 온 날. 7시 40분 화성 봉담을 출발해 영동고속도로 덕평휴게소에서 잠시 요기를 하고, 괴산으로 나와 수안보를 거쳐 연풍면으로 접어드니 10시 20분이다. 오늘은 연풍면의 새재 3관문으로 넘어가는 고사리부터 시작이다. 이곳은 휴양림과 수련.. 2010. 8. 21.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