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전주의 인구는 얼마나 될까?

가장 정확한 건 행정안전부에서 제공하는 주민등록 통계자료일 것이다.

http://www.mois.go.kr/frt/sub/a05/totStat/screen.do


최대 42개월의 자료를 제공하고 있어 2015년 5월부터 1년 단위로 2018년까지 살펴보았다.

결과는 아래와 같다.






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오르락내리락 하긴 하지만, 대략 65만 3천 명이 전주시의 인구라고 할 수 있다.

지난 3년 사이 확 늘어나지도, 그렇다고 확 줄지도 않았다. 


이전 자료는 찾아보니 다음과 같다.

1980년 36만6997명

1990년 51만7104명

2000년 62만2238명

2010년 64만6535명

2011년 65만1015명

2012년 65만4040명

2013년 65만5358명

2014년 65만8570명


아무튼 2000년까지는 양적 성장을 한 뒤, 혁신도시 개발과 함께 65만 명을 찍은 뒤 꾸준히 그 정도의 인구가 유지되고 있다고 할 수 있겠다.


그런데 앞으로도 계속 이 추세를 유지할 수 있을까? 글쎄, 장담할 수 없을 것이다.


전주의 인구가 꾸준히 늘어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인가? 

그리고 최근 들어 늘어나지는 않지만 계속 65만 선을 유지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인가?

정확히 분석해 보지는 않았지만, 전북의 주변 시군에서 인구가 유입되었기 때문일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일이 앞으로도 계속 가능할 것인가?

나는 그렇지 않다고 생각한다. 바로 마츠다 보고서라고 하는, 이른바 '지방 소멸'이라 하는 현상 때문이다.


아래 지도를 보는 방법은 이렇다. 

65세 고령층 인구의 숫자와 20-39세의 여성 인구의 숫자의 비율로 '소멸 위험지수'를 계산한다. 

그 값이 1.0 이하일 때, 다시 말해 고령 인구가 여성 인구보다 많아질 때 그 지역은 쇠퇴의 위험에 접어들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 값이 0.5 이하라는 건 젊은 여성의 인구가 고령 인구의 절반 이하라는 뜻이며, 그때 무언가 획기적 계기가 없으면 소멸 위험에 처했다는 것이다.


자, 그러면 전주를 중심으로 그 주변 지역의 소멸 위험지수가 어떠한가?

전주만 안정권이고, 군산과 익산, 완주는 쇠퇴의 위험에 처해 있으며, 나머지는 소멸 위험에 처해 있다.

그런데 전주의 인구가 지속가능하게 유지되거나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이 조성되어 있는가? 쉽지 않다. 주변에서 인구를 땡겨 와서 지금껏 인구 규모를 유지했다고 봐야 할 것이다.

군산은 다들 잘 알다시피 현대조선과 GM군산공장이 무너졌다. 많은 사람들이 군산 제조업의 몰락과 전주는 상관이 없다고 그러는데, 나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당장은 뚜렷하게 드러나는 영향이 없을지라도 장기적으로 전주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이다.

그럼 익산은? 거기야 늘 거기서 거기일 것이다. KTX역을 지키는 데 혈안이 된 건 그거라도 지켜야 명맥을유지할 수 있어서일 것이다. 얼마전에는 원불교 교당인가를 익산에서 다른 곳으로 옮긴다고 해서 큰일나기도 한 적 있다. 또 군산 제조업의 몰락은 당장 익산 지역의 공단에도 영향을 미칠 것 같다.

이외의 농어촌은 더 말할 것도 없다. 거긴 가만 있으면 미래의 어느 날, 지도에서 사라질지도 모른다. 



순망치한이라고 했다. 전북의 이런 소멸 위기는 전주에만 몰빵을 한다고 해결될 일이 아닐 것이다. 전주는 전주대로, 그리고 그 이외의 전북 지역은 그 지역대로 무언가 조치를 취해야지만 한다. 전주만 무얼 해서 간신히 유지하거나 소폭 상승한다고 하자, 하지만 그 상태로는 여전히 위태롭다. 주변 세력도 든든해져야 중심도 강해지는 법이다. 


전주를 중심으로 전북에 장기적으로 지속가능한 미래가 있는가?

현재로서는 나도 잘 모르겠다. 잘 보이지 않는 게 사실이다. 


뱀다리... 인구 감소, 특히 저출산 고령화로 인한 청년층이 사라지며 발생하는 문제가 이제부터 시작이라고 한다. 그에 대한 좋은 기사가 있어 첨부한다.


http://blog.daum.net/stonehinge/8732245






728x90

'농담 > 雜다한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발, 발전=토건이란 논리  (0) 2018.06.14
이현웅 후보는 무언가?  (0) 2018.06.13
6월, 전북의 미세먼지  (0) 2018.06.09
여성민우회 후원회원으로 가입했다  (0) 2018.06.04
조선의 애민 정신  (0) 2018.06.04
728x90

이 농장의 주인 시마타니 야소야는 원래 주조업자였다.

조선에는 청주의 원료인 값싼 쌀을 찾아 1903년 발산리 인근의 땅을 사들이며 들어왔다.

이 농장 사무소가 현재 개정동 발산리에 있는 발산초등학교 자리이다.

초등학교의 넓은 운동장은 당시 벼를 말리던 곳으로, 지금도 운동장의 흙을 파면 바닥에서 콘크리트가 나온다.

교사는 벼를 넣는 창고였고, 학교 건물 자리에는 농장 사무실과 살림집이 있었다.

 

학교 뒤편으로 가면 조선의 예술품에 관심이 많았던 시마타니가 모아 놓은 석탑과 부도 등을 볼 수 있다.

그리고 그 옆에는 귀중한 작품을 보관하려고 지은 콘크리트 금고가 있다.

이 금고에 달려 있는 두터운 철문은 미국에서 주문제작해 가져온 것이라고 한다.

인간의 탐욕을 그대로 드러내는 흉측한 모습이다.

남북 전쟁 때는 이 금고가 감옥으로도 쓰였다고 한다.

 

 발산초등학교 전경. 이 운동장이 벼를 말리던 곳이었다.

 

 시마타니의 개인 금고. 한여름인데도 등골이 오싹함을 느낄 정도로 을씨년스러웠다.

 

 시마타니가 모아 놓은 석탑과 부도들. 여기에는 보물급 유물도 있다.


728x90
728x90

 

실제 군산 곡물검사소의 모습.

 

일본으로 수출하는 미곡을 검사해야 한다는 주장이 1910년 이전부터 제기되어, 1909년 목포상업회의소가 독자적으로 수출하는 매조미쌀을 검사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이어 총독부도 미곡을 검사해야 한다고 인정하여, 1913년 6월 각 도의 장관에게 통첩하여 지방행정기관이 감독하여 상업회의소 또는 곡물동업조합이 수이출 미곡을 검사하도록 지시하였다. 이에 따라 인천, 부산, 진남포의 3개 상업회의소와 평택, 대구, 김천, 왜관, 경산, 청도의 곡물동업조합이 매조미쌀 검사를 시작하였다. 이렇게 시작된 총독부의 미곡검사는 대일 미곡 수출의 확대와 더불어 계속 강화되었다.

그러나 검사가 통일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검사가 끝난 미곡을 가지고 부정행위를 하거나 수송하다가 미곡이 손상되는 일이 발생되어도 별다른 조치를 취할 수 없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노출되었다. 이 때문에 일본 시장에서 조선 쌀의 상품 가치가 떨어져, 조선총독부는 1932년 9월 24일 「조선곡물검사령」을 제정하여  1932년 10월부터 국영검사를 실시하였다. 새로 시작된 국영검사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종전에 도지사의 권한에 따라 지방비로 실시하던 곡물 검사를 총독의 권한에 따라 전국 통일적인 검사로 전환하였다. 이를 위해 총독부는 1932년 9월 29일 「조선총독부 곡물검사소 관제」를 공포하고 서울에 곡물검사소 본소를 설치하고 인천, 군산, 목포, 부산, 진남포, 원산의 6개 항구에 지소를, 그리고 그 외 지역에 출장소를 설치하였다.
  ② 종전에는 매조미쌀 또는 흰쌀을 도내에서 이동할 경우 검사가 필요 없었는데, 새로운 검사령에서는 총독이 지정하는 곳에서, 또는 지정하는 곳을 거쳐 반출할 경우 반드시 곡물검사소의 검사를 받도록 규정하였다.
  ③ 검사관할구역을 종전에는 행정구역에 따라 구분하여 총 12개 도명道名 기호를 사용하였으나, 국영검사제도에서는 쌀의 생산 상태, 거래상권지역 등을 고려하여 진남포, 인천, 군산, 목포, 부산, 원산의 각 항을 중심으로 전국을 6개 경제구역으로 나누었다. 그리고 각 검사미에는 각각 정해진 검사소 기호를 표기하도록 하였다.
  ④ 품질, 건조가 불량한 미곡, 생산연도가 다른 쌀을 혼합한 미곡, 또는 적미·돌·흙·피粺·청미靑米·사미死米 등이 규정을 초과한 미곡, 그 외 용량, 중량, 포장 등 기준 조건에 미달하는 미곡은 수이출을 금지하였다.
  ⑤ 종전에는 돌을 제거한 미곡에는 돌이 없다는 표시를 하여 그렇지 않은 미곡과 구별하였는데, 새로운 검사령에서는 이에 대해 더욱 엄격한 규정을 적용하여 돌이 섞여 있을 경우 수이출을 절대 금지하였다.
  ⑥ 매조미쌀은 1, 2, 3, 4, 5등급, 흰쌀은 1, 2등급으로 구분하고, 그 이하의 등급은 불합격으로 규정하여 불합격품의 수이출은 금지하였다.
  ⑦ 검사에 합격한 것이라고 하더라도 검사 후 일정 기간이 경과한 것, 또는 병충해, 기타 피해에 의한 손상·변질한 것, 포장이 손상된 것, 포장을 바꾼 것, 검사 증명 도장·검사기호 등이 없는 것 등은 다시 검사를 받도록 하였다.
  ⑧ 같은 지소, 같은 등급품이라도 종종 가격이 다른 것이 있어 검사등급, 검사소 기호 이외에 품종에 따른 특별표기를 더욱 확고히 실시하였다.


  한편 1934년 10월에는 「조선 인籾 검사규칙」을 제정하여 벼의 희망검사를 실시하였다. 벼 검사는 먼저 1년 동안의 희망검사로 벼 약 400만 가마에 대해 실시된 후, 1935년 8월 6일자로 「곡물검사령 시행규칙」을 개정하여 같은 해 10월 1일부터 강제검사로 전환되어 매조미쌀, 흰쌀과 마찬가지로 지정 지역을 통과하는 반출 벼를 검사하고, 그와 함께 두메에서는 지주의 벼 또는 소농의 공동 판매 벼 등에 대해서도 희망검사를 병행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일련의 미곡검사 강화로 품질, 조제, 포장 등이 크게 향상되어, 일본 시장에서 조선 쌀의 가치가 크게 높아졌다. 그러나 곡물검사의 강화로 인한 이익이 지주와 곡물상, 중매인 등에게 집중되고, 소작인에게는 오히려 미곡검사 규격에 적합한 소작미 요구 등의 부담만 전가되어 새로운 소작문제를 불러왔다.

728x90
728x90
 

지형


군산 지역은 산이 높지 않았음에도 산성과 봉수대가 많았다. 산지에는 취성산지의 망해산(불지산, 230m), 취성산(205m), 오성산(227m)과 금성산지의 금성산(125m), 청암산(117m) 그리고 영병산(120m), 월명산(105m),점방산(봉화령, 136m),설림산(116m), 개정병원 뒷산(장군봉;85.5m), 어청도 검산봉(129m), 선유도 망주봉(80m)이 유명하다.


구릉지에는 원접산 구릉지, 옥구읍내 구릉지, 옥봉리 구릉지, 화산 구릉지가 있으며 평야는 나포, 서수, 임피의 하곡 충적평야와 개정, 선제, 대야, 미장, 옥구간척지의 해안 충적평야가 있다. 특히 새뜰은 경술국치 직후 산북동, 옥구읍, 옥서면 일대를 일본 토지회사인 불이흥업주식회사가 소유하여 간척하여 만들어졌다.


군산에는 넓은 갯벌이 펼쳐져 있어서 조개류의 채취, 양식장, 염전, 간척 농경지의 개발 가능성이 높다. 금강 하구의 갯벌은 일제가 개척하였고 만경강, 동진강 하구의 갯벌은 조금씩 늘어나고 있다. 이것은 금강으로 들어오는 물질이 고군산열도와 비안도로 보호되어 만경강, 동진강 심포 갯벌에 쌓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근 하구둑 건설 이후 흙모래가 들어오는 양이 줄어 이전의 1/10정도로 1일 1㎜가 쌓이는 것으로 생각된다. 군산항은 나팔 모양의 하구에 위치하여 강과 바다가 만나는 지역이다. 항내의 수심은 2∼11m로 항구가 차츰 메워지고 있다.


하구둑 역시도 경제성이나 환경적 차원에서 문제가 있다. 특히 하구둑이나 댐을 만들어 물을 끌어들이기보다 물을 아껴 쓰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주장은 앞으로 더욱 설득력을 갖게 될 것이다.밀물과 썰물의 조차는 사리 때 5.4m, 조금 때 2.6m이며 조류는 군산항 입구에서 3∼4노트(5.4∼7.2㎞/시)이다.

 

지리적 위치

군산시는 전라북도의 서북단에 위치하여 금강의 하구와 만경강 하구 사이의 옥구반도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서해의 고군산 반도를 위주로 하는 선유도, 장자도, 무녀도, 대장도, 신시도, 비안도 등과 비응도 가도 등의 가까운 연안 섬들로 구성되어 있다. 허나 비응도와 가도 노래섬 등은 이미 군장국가 공단 조성 지구안의 방조제로 인하여 내륙화되었다. 또한 옛날부터 한반도의 허리 부근에 위치하여, 금강을 이용한 한반도 내륙부와 출입이 쉬워 이동의 관문이기도 했다. 이러한 예는 6.25 때 인천상륙작전이 있기 전 군산도 상륙작전의 후보지였으며 잘 알다시피 일제시대에는 수탈의 전초기지였던 것을 들 수 있다. 




면적 

군산시의 면적은 376.31km로 전라북도 전체 면적의 5%를 차지한다. 이는 내륙부와 도서부로 나눌수 있으며 군장공업단지 조성을 위한 간척 사업으로 인해 도서의 일부가 내륙부로 변화할 것이다.



지형 

일반적인 지형을 나눌 때 고원은 600m 이상 구릉지는 150~600m 범위의 지대를 말하며  평야는 150m 이내의 고도가 낮은 곳을 말한다. 허나 군산은 오성산(227.5)이나 월명공원의 점방산(136), 설림산(116) 등과 나포면 서수면의 망해산(230), 취성산(205)은 구릉지에 속하나 실제로는 산의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이보다 낮은 대부분의 산들 또한 구릉지보다는 순수한 산의 모양을 가지고 있는 게 사실이다. 이 때문에 군산지역의 지형 구분은 다른 기준으로 보는 것이 현명하다.


이에 따라 여기에서는 다른 곳에서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기준을 따른다. 해발고도 100m이상 산지 40~100m 구릉지40m 이하 평야 이를 기준으로 볼 때 군산의 산지는 대부분 대륙에서 뻗어 나와 서해로 이루는 북북동-남남서 방향을 취하고 있다. 이 산지의 대부분은 금강 줄기와 가까우며  남부로는 약간의 산지와 대부분은 구릉지로 형성되어 있고 만경강 연안과 옥구반도 서부의 대부분은 평야로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다.



산지


산이 많지 않으며 구릉지와 평야가 넓게 발달되어 있어 지형적 기준을 군산의 특성에 맞춘 기준에 따라 100m 이상의 곳을 산지로 말한다. 취성산지-옥구반도의 골격으로 익산 함라산에서 오며 금강을 끼고 있다. 군산시의 최고봉인 망해산과 잘 알려진 오성산이 여기에 들어간다.

 

 망해산230-군산시 최공봉 ,나포와 서수의 경계(불지사가 있음)

 취성산205-임피 북쪽

 오성산227-오성산성과 봉수대가 있었던 곳으로 현 기상대 관측 레이더가 설치되어 있다.

 고봉산153-성산과 개정면의 경계

 대초산147-개정면과 대야면의 경계



 금성산지

북쪽으로는 군산의 도심과 남으로는 평야와 내륙의 뜰과의 경계를 짓고 있다. 잘 알려진 군산 저수지(제2수원지)가 이 산지 안에 위치한다.

 

 금성산(125)-옥산면 금성리 박지산성이 있음

 청암산(117)-옥산면과 회현면의 경계

 월명산(105)-3.1운동탑 부근의 산이다.

 장계산(112)-해망동 월명공원의 일원

 점방산(135)-봉화대가 있던 곳이다.

 설림산(116)-제1수원지를 사이에 두고 점방산의 맞은 편에 있다.(수원지 서쪽)

 부곡산(100)-산북동과 나운동의 경계,극동사거리에서 외항방면으로 가기위해 넘어가는 재의 왼쪽, 은파의 서북쪽


 영변산지


영변산120-옥구읍의 서북쪽에 위치,선제리의 남쪽에 있으며 대원사가 있다.

검산봉129-어청도 

노비봉191-비안도 

대각산  - 신시도


저수지


금강하구둑은 길이가 1,841m인데 배수갑문이 714m로 1989년 만들어졌다. 1995년부터 담수호로 바뀌어 충남, 전북의 농업용수와 공업용수로 쓰기 시작했다. 군산과 충남이 가까워지고 개발이 촉진되나 주변의 온도 상승으로 인한 농업 피해, 간석지의 축소, 수자원의 변경 및 고갈 등 환경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미제저수지는 나운동의 은파유원지로 �동국여지승람�에도 나타나며 속칭 '쌀밑방죽'으로 선제들의 농업용 저수지이다. 1908년 탁지부(호조, 재무부)의 인가를 받은 우리나라 수리조합 설치의 시초이며, 현재의 저수지는 1959년과 1966년에 증설된 것이다. 최근 호수에 떠 있는 수상 가옥을 없애고, 낚시를 금지하는 등 호수를 깨끗이 하려는 노력은 바람직한 모습이다.


옛 군산시 상수도 제1수원지는 일제시대부터 상수도 수원지였는데 소룡동의 점방산, 설림산의 기슭을 흐르는 물이 모이는 곳이다. 제2수원지는 회현면에 있다.


옥구저수지는 옥구개척지(옥구평야)를 농업용으로 쓰기 위하여 1923년에 일본이 쌓았는데, 주변에 물을 모을 곳이 없기 때문에 1922년 완공된 완주군의 대아 저수지의 물을 끌어다 농업용수로 쓴다.


옥녀저수지는 미성동 서남부에서 옥서면과 경계가 되는 저수지로 옥구저수지와 같은 방식의 탱크 저수지이다. 1960년대에 완공된 미면 간척지(옥구간척지의 서쪽에서 내초도까지)의 농업용수를 저장하기 위한 저수지이다. 


군산에는 기타 성산 옥곡저수지(1965년 쌓음), 회현 대위저수지(1962년 쌓음) 등 20 여개가 흩어져 있다.




미제 저수지(은파)

동국여지승람에도 기술되어 있을 정도로 옛날부터 수리시설로의 가치가 높았던 저수지다.  속칭 살밑방죽으로 1908년 옥구 서부수리조합인가의 근거가 되었으며 현재의 모양을 가지게 된 것은 1959년과 1966년 증설된 이후다. 현재는 은파 유원지라는 말이 일반화 되어 있으며 군산시민의 휴식공간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곳이다.


허나 요즘 들어 개발의 바람은 은파의 원형을 깨고 있으며 특히 지금 짓고 있는 은파 입구의 주차장처럼 습지를 막아버리는 행위는 호소의 자정능력을 현저히 떨어뜨리는 원인이 됨으로 신중한 관리가 있어야 한다고 본다. 보통 습지는 쓸모없는 곳이며 지저분한 부분이라고만 생각할 수 있으나 오염물 처리장의 역할로 호소의 완충 역할을 하는 곳이며 수중생물의 산란지 역할을 하는 곳으로 꼭 필요한 곳이다.


제1수원지(월명공원 안)

월명공원에 있는 저수지로 점방산과 설림산을 사이에 두고 있으며 집수구역 안에 큰 오염원이 없어 상급수의 수질을 유지하고 있다. 또한 수원지 주위를 산책하는 코스는 군산의 자랑거리라 할 수 있을 정도로 훌륭한 경관을 자랑한다. 또한 점방산에서 수원지를 바라보는 경치는 등산객의 발을 잡는 곳으로 겨울철 눈이 오는 경치는 이루 말할 수 없는 형용사를 만들어 낸다.

허나 나운동 방면계곡의 인공폭포로 인한 하급수 수질의 유입과 청소년수련원의 주차장이 수원지에 너무 가까지 들어와 있어 우천시 오염의 우려가 있는 것은 아쉬운 면으로 남는다. 특히  인공 폭포가 있는 계곡 부근의 습지는 여러 종의 사초군락이 있어 면밀한 조사 및 보호가 따라야 할 것이다.

옥구 저수지

옥구간척지의 관개를 위하여 1923년에 만들어진 탱크형 저수지다.  옥구저수지는 주변 제방 길이만도 6.087m로 대규모며 특히 집수구역이 없이 빗물과 완주군의 대아저수지에서 농한기에 대간선 수로와 만경강 지류를  이용하여 용수를  공급받는 저수지이다. 본래 간석지였으므로 바닥의 높이가 거의 일정하다. 바로 옆에는 옥녀저수지가 있는데 그 또한 탱크저수지로 규모가 조금 작다. 미면 간척지에 관개하고 있는 저수지다.


평야

군산은 한반도의 동고서저의 지형적 특징으로 인하여 옥구반도 내륙으로 발달한 침식평야와 연안에 가까운 대규모 충적평야 그리고 간석지와 금강 지류의 습지를 간척하여 만든 간척지평야 등의 넓은 평야를 가지고 있는 곳이다.

 

 개정뜰 : 옥구반도의 중앙에 위치하는 개정면 일대의 평야이다. 군산에서 익산 방면으로 가다 공설운동장을 지날 때 오른쪽으로 보이는 대부분의 평야를 말한다.


 대야뜰 : 회현면 학당리와 대야면 죽산리의 중앙에 위치하며 남쪽으론 만경강 하구에 닿는다.

 

 둔덕뜰 : 고봉리에서 내흥동 방면으로 이루어진 평야이다. 이 둔덕뜰은 금강 본류로 흐르는 둔덕천을 가지고 있으며  군산시의 유일한 자연하천이다.

 미장뜰, 평사뜰, 석교뜰 : 미장동과 경포천 일대의 뜰을 미장뜰이라 한다. 그 남쪽으로 옥산면 일대의 평야인 석교뜰이 있으며 평사뜰 남쪽으로 석교뜰이 있다. 즉 북에서 남으로 미장뜰, 평사뜰, 석교뜰이 이어진다.

미성평야 : 1960년 말 완공된 간척지 땅이다. 산북동에서 내초도까지의 넓은 평야이며 옥구저수지, 옥녀저수지등의 대형 탱크저수지에 의해 관계되고 있다. 현대 외항사거리에서(소룡초등학교 부근) 비행장 가는 도로 주위에 모든 평야와 내초도를 가다가 보이는 모든 평야가 여기에 해당한다. 대규모 충적평야이다.

서수뜰 : 취성산과 망해산기슭에서부터 탑천 주변과 황등까지 이어진다.


선제뜰 : 현재 군산대학교와 은파(미제 저수지)에서 선제리로 가기위한 도로 주변의 평야이다.

수산 이곡평야 : 옥구읍의 수산리, 상평리, 이곡리, 회현면의 금광리까지 펼쳐진 평야. 남쪽으론 옥구염전이 자리한다.


십자뜰 : 오성산에서 동쪽으로 보이는 뜰로 금강을 접하고 있는 뜰, 나포면 서포리에서 옥곤리에 이르는 평야이다.

옥구 간척지 : 하제에서 옥봉리, 옥구저수지, 남쪽과 어은리에 이른 평야. 한국염전이 여기에 포함된다.

임피뜰 : 고봉산(152)과 대초산(147), 동쪽으론 남산 사이의 침식평야이다. 임피면 읍내리와 남쪽으로 산월리 사이에 위치한 뜰.

 


하천

미제천은 미제저수지에 모아진 물이 옥구읍과 회현면 지역을 지나 회현면 월연리에서 만경강 하구로 들어가는 하천이다. 현재도 대간선 수로와 합류하고 유로가 개설되어 하천이라기보다는 용수로에 가깝다.


탑천은 함라산.취성산지와 구릉에서 시작하여 함열, 황등, 서수, 임피를 거쳐 대야 광교리에서 만경강에 들어오는 하천이다. 역시 하천이라기보다는 용수로에 가깝다.

경포천은 옥구군 옥산면의 금성산(125m) 북쪽 기슭과 장군봉(85.5m)의 남쪽 기슭으로 흘러 개정들, 미장들을 지나 경암동에서 금강 하구로 들어가는 하천이다. 기타 어은천, 둔덕천이 있다.

 

경포천 : 대부분이 인공하천으로 대간선 수로화가  되어 있으며 시가지의 배수로 역할을 하는 천으로 무리한 직할하천의 표본이며 시가지를 관통함과 동시 오폐수 유입량의 증가로 심한 오염상태의 하천이다.옥산면 금성산을 시작으로 석교뜰 평야뜰을 지난 개정뜰에서 유입되는 하천과 합류하며 아흔아홉다리를 지나 현 경찰서 부근(째보선창)의 금강하구에 유입된다. 

 탑천 : 익산시와 함열, 황등에서까지 집수되어 만경강 하구에 유입되는 전형적인 평야의 하천이다. 익산을 가다보면 탑천 휴게소가 있는데 여기를 지나는 하천이다. 허나 지금은 하천의 모습보다는 용수로에 가까운 모습이 많다. 여기서 수질문제와 연관지어보면 만경강의 많은 지류중 하나인 탑천마저도 이처럼 집수구역이 넓은 만큼 만경강의 많은 지류가 전주, 이서, 봉동, 삼례, 익산, 함열, 군산의 넓은 집수구역을 갖는다는 것은 어느 하천의 수질문제가 국부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아닌 광범위한 문제인 것을 말해주고 있는 것이다. 결국 작은 하천이라도 소중히 아끼고 자연에 가까운 모습을 유지시켜 주는 것은 중요한 문제이자 앞으로 하천관리의 방향이라 하겠다.

 

 어은천 : 옥구저수지의 남쪽, 어은리를 흘러 옥구읍 영변산 서쪽을 흘러 만경강에 유입되는 소하천으로 이미 배수로화 되어 있다.

 둔덕천 : 둔덕뜰을 관통하는 천으로 오성산의 남쪽 기슭과 고봉산 기슭을 시작으로 하여 둔덕뜰을 지난 금강 하류에 유입되는 천으로 군산에서는 유일한 자연하천이다. 이둔덕천은 자연하천으로 원형을 대부분 유지하고 있으며 생태적으로도 대단히 빨리 회복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하천으로 생태학습장의 좋은 장소라 하겠다.

출처 : 돌터
글쓴이 : 金石基 원글보기
메모 :
728x90

'곳간 > 문서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농촌진흥운동  (0) 2008.08.18
[스크랩] 옥구저수지. 익산 자료  (0) 2008.08.12
[스크랩] 광주 예비 조사  (0) 2008.08.12
[스크랩] 일제강점기 농업 경제  (0) 2008.08.12
[스크랩] 순천 예비 조사  (0) 2008.08.12
728x90

 

군산역 개통식 때 찍은 사진.

왼쪽에 구조물은 개통식을 기념해 세운 것.

728x90

'곳간 > 사진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전, 대전역  (0) 2008.08.05
작은주홍부전나비  (0) 2008.08.05
군산, 해망굴  (0) 2008.08.04
대전, 대전역 주변  (0) 2008.08.04
통영, 통영포구  (0) 2008.08.04
728x90

 

전라북도 군산시 해망동 및 금동

 

당시 4대 개항장에 속하는 군산항 축항공사와 관련하여, 1926년 군산내항과 시내를 연결하기 위한 반원형 터널(131m) 시설로 건립된 군산개항의 대표적 상징물이다.

한국전쟁 중에는 인민군 부대 지휘소가 이곳에 자리하면서 연합군 공군기의 공격을 자주 받아 지금도 기관총알 자국이 많아 남아 있는 역사성 있는 장소이다.

728x90

'곳간 > 사진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작은주홍부전나비  (0) 2008.08.05
군산, 군산역 개통식  (0) 2008.08.04
대전, 대전역 주변  (0) 2008.08.04
통영, 통영포구  (0) 2008.08.04
제주도, 허벅으로 물 나르기  (0) 2008.08.04
728x90

 1945년 미국 해군이 하늘에서 찍은 군산항의 모습.

728x90

'곳간 > 사진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상단지  (0) 2008.08.04
조왕  (0) 2008.08.04
제주도, 참  (0) 2008.08.04
강화도, 석모도의 헛간과 외양간  (0) 2008.08.04
확독  (0) 2008.08.04
728x90

 

728x90

'곳간 > 사진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0) 2008.08.04
제주도, 돌담 두른 밭  (0) 2008.08.04
제주도 밭밟기  (0) 2008.07.27
진주, 진주성  (0) 2008.07.23
진주, 중앙시장 나무전 거리  (0) 2008.07.2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