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지형


군산 지역은 산이 높지 않았음에도 산성과 봉수대가 많았다. 산지에는 취성산지의 망해산(불지산, 230m), 취성산(205m), 오성산(227m)과 금성산지의 금성산(125m), 청암산(117m) 그리고 영병산(120m), 월명산(105m),점방산(봉화령, 136m),설림산(116m), 개정병원 뒷산(장군봉;85.5m), 어청도 검산봉(129m), 선유도 망주봉(80m)이 유명하다.


구릉지에는 원접산 구릉지, 옥구읍내 구릉지, 옥봉리 구릉지, 화산 구릉지가 있으며 평야는 나포, 서수, 임피의 하곡 충적평야와 개정, 선제, 대야, 미장, 옥구간척지의 해안 충적평야가 있다. 특히 새뜰은 경술국치 직후 산북동, 옥구읍, 옥서면 일대를 일본 토지회사인 불이흥업주식회사가 소유하여 간척하여 만들어졌다.


군산에는 넓은 갯벌이 펼쳐져 있어서 조개류의 채취, 양식장, 염전, 간척 농경지의 개발 가능성이 높다. 금강 하구의 갯벌은 일제가 개척하였고 만경강, 동진강 하구의 갯벌은 조금씩 늘어나고 있다. 이것은 금강으로 들어오는 물질이 고군산열도와 비안도로 보호되어 만경강, 동진강 심포 갯벌에 쌓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근 하구둑 건설 이후 흙모래가 들어오는 양이 줄어 이전의 1/10정도로 1일 1㎜가 쌓이는 것으로 생각된다. 군산항은 나팔 모양의 하구에 위치하여 강과 바다가 만나는 지역이다. 항내의 수심은 2∼11m로 항구가 차츰 메워지고 있다.


하구둑 역시도 경제성이나 환경적 차원에서 문제가 있다. 특히 하구둑이나 댐을 만들어 물을 끌어들이기보다 물을 아껴 쓰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주장은 앞으로 더욱 설득력을 갖게 될 것이다.밀물과 썰물의 조차는 사리 때 5.4m, 조금 때 2.6m이며 조류는 군산항 입구에서 3∼4노트(5.4∼7.2㎞/시)이다.

 

지리적 위치

군산시는 전라북도의 서북단에 위치하여 금강의 하구와 만경강 하구 사이의 옥구반도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서해의 고군산 반도를 위주로 하는 선유도, 장자도, 무녀도, 대장도, 신시도, 비안도 등과 비응도 가도 등의 가까운 연안 섬들로 구성되어 있다. 허나 비응도와 가도 노래섬 등은 이미 군장국가 공단 조성 지구안의 방조제로 인하여 내륙화되었다. 또한 옛날부터 한반도의 허리 부근에 위치하여, 금강을 이용한 한반도 내륙부와 출입이 쉬워 이동의 관문이기도 했다. 이러한 예는 6.25 때 인천상륙작전이 있기 전 군산도 상륙작전의 후보지였으며 잘 알다시피 일제시대에는 수탈의 전초기지였던 것을 들 수 있다. 




면적 

군산시의 면적은 376.31km로 전라북도 전체 면적의 5%를 차지한다. 이는 내륙부와 도서부로 나눌수 있으며 군장공업단지 조성을 위한 간척 사업으로 인해 도서의 일부가 내륙부로 변화할 것이다.



지형 

일반적인 지형을 나눌 때 고원은 600m 이상 구릉지는 150~600m 범위의 지대를 말하며  평야는 150m 이내의 고도가 낮은 곳을 말한다. 허나 군산은 오성산(227.5)이나 월명공원의 점방산(136), 설림산(116) 등과 나포면 서수면의 망해산(230), 취성산(205)은 구릉지에 속하나 실제로는 산의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이보다 낮은 대부분의 산들 또한 구릉지보다는 순수한 산의 모양을 가지고 있는 게 사실이다. 이 때문에 군산지역의 지형 구분은 다른 기준으로 보는 것이 현명하다.


이에 따라 여기에서는 다른 곳에서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기준을 따른다. 해발고도 100m이상 산지 40~100m 구릉지40m 이하 평야 이를 기준으로 볼 때 군산의 산지는 대부분 대륙에서 뻗어 나와 서해로 이루는 북북동-남남서 방향을 취하고 있다. 이 산지의 대부분은 금강 줄기와 가까우며  남부로는 약간의 산지와 대부분은 구릉지로 형성되어 있고 만경강 연안과 옥구반도 서부의 대부분은 평야로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다.



산지


산이 많지 않으며 구릉지와 평야가 넓게 발달되어 있어 지형적 기준을 군산의 특성에 맞춘 기준에 따라 100m 이상의 곳을 산지로 말한다. 취성산지-옥구반도의 골격으로 익산 함라산에서 오며 금강을 끼고 있다. 군산시의 최고봉인 망해산과 잘 알려진 오성산이 여기에 들어간다.

 

 망해산230-군산시 최공봉 ,나포와 서수의 경계(불지사가 있음)

 취성산205-임피 북쪽

 오성산227-오성산성과 봉수대가 있었던 곳으로 현 기상대 관측 레이더가 설치되어 있다.

 고봉산153-성산과 개정면의 경계

 대초산147-개정면과 대야면의 경계



 금성산지

북쪽으로는 군산의 도심과 남으로는 평야와 내륙의 뜰과의 경계를 짓고 있다. 잘 알려진 군산 저수지(제2수원지)가 이 산지 안에 위치한다.

 

 금성산(125)-옥산면 금성리 박지산성이 있음

 청암산(117)-옥산면과 회현면의 경계

 월명산(105)-3.1운동탑 부근의 산이다.

 장계산(112)-해망동 월명공원의 일원

 점방산(135)-봉화대가 있던 곳이다.

 설림산(116)-제1수원지를 사이에 두고 점방산의 맞은 편에 있다.(수원지 서쪽)

 부곡산(100)-산북동과 나운동의 경계,극동사거리에서 외항방면으로 가기위해 넘어가는 재의 왼쪽, 은파의 서북쪽


 영변산지


영변산120-옥구읍의 서북쪽에 위치,선제리의 남쪽에 있으며 대원사가 있다.

검산봉129-어청도 

노비봉191-비안도 

대각산  - 신시도


저수지


금강하구둑은 길이가 1,841m인데 배수갑문이 714m로 1989년 만들어졌다. 1995년부터 담수호로 바뀌어 충남, 전북의 농업용수와 공업용수로 쓰기 시작했다. 군산과 충남이 가까워지고 개발이 촉진되나 주변의 온도 상승으로 인한 농업 피해, 간석지의 축소, 수자원의 변경 및 고갈 등 환경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미제저수지는 나운동의 은파유원지로 �동국여지승람�에도 나타나며 속칭 '쌀밑방죽'으로 선제들의 농업용 저수지이다. 1908년 탁지부(호조, 재무부)의 인가를 받은 우리나라 수리조합 설치의 시초이며, 현재의 저수지는 1959년과 1966년에 증설된 것이다. 최근 호수에 떠 있는 수상 가옥을 없애고, 낚시를 금지하는 등 호수를 깨끗이 하려는 노력은 바람직한 모습이다.


옛 군산시 상수도 제1수원지는 일제시대부터 상수도 수원지였는데 소룡동의 점방산, 설림산의 기슭을 흐르는 물이 모이는 곳이다. 제2수원지는 회현면에 있다.


옥구저수지는 옥구개척지(옥구평야)를 농업용으로 쓰기 위하여 1923년에 일본이 쌓았는데, 주변에 물을 모을 곳이 없기 때문에 1922년 완공된 완주군의 대아 저수지의 물을 끌어다 농업용수로 쓴다.


옥녀저수지는 미성동 서남부에서 옥서면과 경계가 되는 저수지로 옥구저수지와 같은 방식의 탱크 저수지이다. 1960년대에 완공된 미면 간척지(옥구간척지의 서쪽에서 내초도까지)의 농업용수를 저장하기 위한 저수지이다. 


군산에는 기타 성산 옥곡저수지(1965년 쌓음), 회현 대위저수지(1962년 쌓음) 등 20 여개가 흩어져 있다.




미제 저수지(은파)

동국여지승람에도 기술되어 있을 정도로 옛날부터 수리시설로의 가치가 높았던 저수지다.  속칭 살밑방죽으로 1908년 옥구 서부수리조합인가의 근거가 되었으며 현재의 모양을 가지게 된 것은 1959년과 1966년 증설된 이후다. 현재는 은파 유원지라는 말이 일반화 되어 있으며 군산시민의 휴식공간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곳이다.


허나 요즘 들어 개발의 바람은 은파의 원형을 깨고 있으며 특히 지금 짓고 있는 은파 입구의 주차장처럼 습지를 막아버리는 행위는 호소의 자정능력을 현저히 떨어뜨리는 원인이 됨으로 신중한 관리가 있어야 한다고 본다. 보통 습지는 쓸모없는 곳이며 지저분한 부분이라고만 생각할 수 있으나 오염물 처리장의 역할로 호소의 완충 역할을 하는 곳이며 수중생물의 산란지 역할을 하는 곳으로 꼭 필요한 곳이다.


제1수원지(월명공원 안)

월명공원에 있는 저수지로 점방산과 설림산을 사이에 두고 있으며 집수구역 안에 큰 오염원이 없어 상급수의 수질을 유지하고 있다. 또한 수원지 주위를 산책하는 코스는 군산의 자랑거리라 할 수 있을 정도로 훌륭한 경관을 자랑한다. 또한 점방산에서 수원지를 바라보는 경치는 등산객의 발을 잡는 곳으로 겨울철 눈이 오는 경치는 이루 말할 수 없는 형용사를 만들어 낸다.

허나 나운동 방면계곡의 인공폭포로 인한 하급수 수질의 유입과 청소년수련원의 주차장이 수원지에 너무 가까지 들어와 있어 우천시 오염의 우려가 있는 것은 아쉬운 면으로 남는다. 특히  인공 폭포가 있는 계곡 부근의 습지는 여러 종의 사초군락이 있어 면밀한 조사 및 보호가 따라야 할 것이다.

옥구 저수지

옥구간척지의 관개를 위하여 1923년에 만들어진 탱크형 저수지다.  옥구저수지는 주변 제방 길이만도 6.087m로 대규모며 특히 집수구역이 없이 빗물과 완주군의 대아저수지에서 농한기에 대간선 수로와 만경강 지류를  이용하여 용수를  공급받는 저수지이다. 본래 간석지였으므로 바닥의 높이가 거의 일정하다. 바로 옆에는 옥녀저수지가 있는데 그 또한 탱크저수지로 규모가 조금 작다. 미면 간척지에 관개하고 있는 저수지다.


평야

군산은 한반도의 동고서저의 지형적 특징으로 인하여 옥구반도 내륙으로 발달한 침식평야와 연안에 가까운 대규모 충적평야 그리고 간석지와 금강 지류의 습지를 간척하여 만든 간척지평야 등의 넓은 평야를 가지고 있는 곳이다.

 

 개정뜰 : 옥구반도의 중앙에 위치하는 개정면 일대의 평야이다. 군산에서 익산 방면으로 가다 공설운동장을 지날 때 오른쪽으로 보이는 대부분의 평야를 말한다.


 대야뜰 : 회현면 학당리와 대야면 죽산리의 중앙에 위치하며 남쪽으론 만경강 하구에 닿는다.

 

 둔덕뜰 : 고봉리에서 내흥동 방면으로 이루어진 평야이다. 이 둔덕뜰은 금강 본류로 흐르는 둔덕천을 가지고 있으며  군산시의 유일한 자연하천이다.

 미장뜰, 평사뜰, 석교뜰 : 미장동과 경포천 일대의 뜰을 미장뜰이라 한다. 그 남쪽으로 옥산면 일대의 평야인 석교뜰이 있으며 평사뜰 남쪽으로 석교뜰이 있다. 즉 북에서 남으로 미장뜰, 평사뜰, 석교뜰이 이어진다.

미성평야 : 1960년 말 완공된 간척지 땅이다. 산북동에서 내초도까지의 넓은 평야이며 옥구저수지, 옥녀저수지등의 대형 탱크저수지에 의해 관계되고 있다. 현대 외항사거리에서(소룡초등학교 부근) 비행장 가는 도로 주위에 모든 평야와 내초도를 가다가 보이는 모든 평야가 여기에 해당한다. 대규모 충적평야이다.

서수뜰 : 취성산과 망해산기슭에서부터 탑천 주변과 황등까지 이어진다.


선제뜰 : 현재 군산대학교와 은파(미제 저수지)에서 선제리로 가기위한 도로 주변의 평야이다.

수산 이곡평야 : 옥구읍의 수산리, 상평리, 이곡리, 회현면의 금광리까지 펼쳐진 평야. 남쪽으론 옥구염전이 자리한다.


십자뜰 : 오성산에서 동쪽으로 보이는 뜰로 금강을 접하고 있는 뜰, 나포면 서포리에서 옥곤리에 이르는 평야이다.

옥구 간척지 : 하제에서 옥봉리, 옥구저수지, 남쪽과 어은리에 이른 평야. 한국염전이 여기에 포함된다.

임피뜰 : 고봉산(152)과 대초산(147), 동쪽으론 남산 사이의 침식평야이다. 임피면 읍내리와 남쪽으로 산월리 사이에 위치한 뜰.

 


하천

미제천은 미제저수지에 모아진 물이 옥구읍과 회현면 지역을 지나 회현면 월연리에서 만경강 하구로 들어가는 하천이다. 현재도 대간선 수로와 합류하고 유로가 개설되어 하천이라기보다는 용수로에 가깝다.


탑천은 함라산.취성산지와 구릉에서 시작하여 함열, 황등, 서수, 임피를 거쳐 대야 광교리에서 만경강에 들어오는 하천이다. 역시 하천이라기보다는 용수로에 가깝다.

경포천은 옥구군 옥산면의 금성산(125m) 북쪽 기슭과 장군봉(85.5m)의 남쪽 기슭으로 흘러 개정들, 미장들을 지나 경암동에서 금강 하구로 들어가는 하천이다. 기타 어은천, 둔덕천이 있다.

 

경포천 : 대부분이 인공하천으로 대간선 수로화가  되어 있으며 시가지의 배수로 역할을 하는 천으로 무리한 직할하천의 표본이며 시가지를 관통함과 동시 오폐수 유입량의 증가로 심한 오염상태의 하천이다.옥산면 금성산을 시작으로 석교뜰 평야뜰을 지난 개정뜰에서 유입되는 하천과 합류하며 아흔아홉다리를 지나 현 경찰서 부근(째보선창)의 금강하구에 유입된다. 

 탑천 : 익산시와 함열, 황등에서까지 집수되어 만경강 하구에 유입되는 전형적인 평야의 하천이다. 익산을 가다보면 탑천 휴게소가 있는데 여기를 지나는 하천이다. 허나 지금은 하천의 모습보다는 용수로에 가까운 모습이 많다. 여기서 수질문제와 연관지어보면 만경강의 많은 지류중 하나인 탑천마저도 이처럼 집수구역이 넓은 만큼 만경강의 많은 지류가 전주, 이서, 봉동, 삼례, 익산, 함열, 군산의 넓은 집수구역을 갖는다는 것은 어느 하천의 수질문제가 국부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아닌 광범위한 문제인 것을 말해주고 있는 것이다. 결국 작은 하천이라도 소중히 아끼고 자연에 가까운 모습을 유지시켜 주는 것은 중요한 문제이자 앞으로 하천관리의 방향이라 하겠다.

 

 어은천 : 옥구저수지의 남쪽, 어은리를 흘러 옥구읍 영변산 서쪽을 흘러 만경강에 유입되는 소하천으로 이미 배수로화 되어 있다.

 둔덕천 : 둔덕뜰을 관통하는 천으로 오성산의 남쪽 기슭과 고봉산 기슭을 시작으로 하여 둔덕뜰을 지난 금강 하류에 유입되는 천으로 군산에서는 유일한 자연하천이다. 이둔덕천은 자연하천으로 원형을 대부분 유지하고 있으며 생태적으로도 대단히 빨리 회복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하천으로 생태학습장의 좋은 장소라 하겠다.

출처 : 돌터
글쓴이 : 金石基 원글보기
메모 :
728x90

'곳간 > 문서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농촌진흥운동  (0) 2008.08.18
[스크랩] 옥구저수지. 익산 자료  (0) 2008.08.12
[스크랩] 광주 예비 조사  (0) 2008.08.12
[스크랩] 일제강점기 농업 경제  (0) 2008.08.12
[스크랩] 순천 예비 조사  (0) 2008.08.1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