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관개15

농민들의 수자원 전쟁 -2장 용수로의 지혜와 서로 협력하는 마을들 将軍2장 용수로의 지혜와 서로 협력하는 마을들   ●일본 용수로의 특징지금까지 치수에 대해서 기술했는데, 앞에 기술했듯이 치수와 관개가 수레의 두 바퀴가 되어 무논 벼농사를 발전시켜 왔기에 다음은 관개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메이지 40년(1907) 전국 통계에 의하면, 관개용 수원 중에서는 하천이 65.3%를 차지하여 1위, 저수지가 20.9%로 2위였습니다. 다만, 지역적인 특징이 있어 하천 관개는 동일본에 많고, 사이타마현에서는 82.0%, 니이가타현에서는 74.6%, 이와테현에서는 73.6%를 차지하고 있었습니다. 한편, 저수지는 세토瀬戸 내해 연안의 시코쿠四国・츄우고쿠中国 지방이나 오사카부・나라현 등에 많고, 카가와현에서는 용수원의 67.3%, 나라현에서는 56.7%, 오사카부에서는 46.5%.. 2025. 4. 8.
지리산지 벼농사의 관개 체계와 물 관리 체계 2025. 4. 4.
일본, 용두레 秋田県 横手市 八橋昭和 33年(1958) 6月촬영 佐藤久太郎 2025. 4. 4.
유기농업의 물 관리 요약농업용수의 부족은 여러 나라에서 나타나는 공통적인 현상이다. 일부 지역에서는 관개 없이 작물을 재배할 수조차 없다. 장마철에 강우량이 많은 지역일지라도 건기에는 물 부족이 발생할 수 있다. 유기농업은 농장의 자원 이용을 최적화하고, 천연자원의 지속가능한 이용을 목표로 .. 2017. 3. 28.
메소포타미아의 작물 관개가 질병을 퍼뜨렸을 수도 있다 유프라테스강 랜싯 전염병(Lancet Infectious Diseases)에 실린 논문에 의하면, 시리아 유프라테스강의 선사시대 마을에 있는 6200년 전의 무덤에서 주혈흡충증을 일으키는 기생충의 알을 발견한 것이 중동에서 농업 관개체계가 질병을 퍼뜨리는 데 기여했다는 첫 번째 증거가 될 수 있다고 한다... 2014. 6. 27.
멕시코 오악사카의 빗물 집수 2014. 5. 3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