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생6

농민들의 수자원 전쟁 -4장 마을들은 '강'을 어떻게 활용했는가? 4장 마을들은 '강'을 어떻게 활용했는가?  ●용수에 의해 마을이 하나로 묶인다여기까지는 주로 용수 조합에 의한 물 이용, 곧 물을 둘러싼 마을끼리의 관계를 중심으로 기술했습니다. 다음으로, 개개의 마을 내부에서 어떻게 물을 이용했는지에 대한 이야기로 넘어가겠습니다. 에도 시대에 물이나 산야 등의 자연자원은 이미 무궁무진하게 있는 것이 아니었습니다. 새로운 경작지의 개발과 함께 자원의 희소화가 현실화되고 있었습니다. 경작지는 산야를 개척하여 조성되기 때문에, 경작지가 늘어나면 그 몫의 산야가 감소합니다. 또한 경작지가 늘어나면 그만큼 필요한 용수량도 증가하기에, 물 부족이 되기 쉬워집니다. 그러한 가운데 마을은 자연자원을 유지하고, 영속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습니다. 마을은 물.. 2025. 4. 12.
토양 미생물은 식물이 질병에 저항하도록 돕는다 식물은 질병이 발생하면 자가격리를 할 수 없지만, 친구의 도움을 받을 수는 있다. 이로운 토양 미생물이 여러 질병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미국 텍사스 A&M AgriLife의 과학자들은 옥수수가 병원균을 방어하는 데 이로운 균류가 어떻게 도움을 주는지 밝혔다. 그 결과가 The Plant Cell 1월호에 발표되었다. 연구를 주도한 것은 텍사스 A&M 대학 농생명과학의 식물병리학 및 미생물학 박사 Michael Kolomiets 씨이다. 연구비는 미국 농무부 국립 식량농업원(National Institute for Food and Agriculture)에서 제공했다. 결과적으로, 식물 면역의 신비한 측면을 밝히고 더 생산적인 곡식 작물의 연구를 가능하게 한다. 신중히 작물을 선발, 육종하면.. 2020. 4. 9.
논과 황새 예산에 볼일이 있어 갔다가 마침 근처에 황새 복원센터가 있어 잠시 들렀다. 조성된 지 얼마 되지 않아 그런지 큰 나무가 별로 없어서 뙤약볕에 휘청했다. 그래도 날씨는 좋네. 건물 안에는 황새에 대해 간략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전시관이 마련되어 있다. 전 세계 곳곳에 황새의 친척들.. 2019. 7. 12.
공기 중의 질소를 고정시키는 옥수수 시에라 믹스 지역의 실험용 옥수수밭을 살펴보는 공동 저자 Javier Lopez 씨. 멕시코에서 공기 중의 질소를 고정하는 토종 옥수수가 발견되었답니다. 100년 이상 재배된 것으로 추정되는 이 토종 옥수수가 지닌 특성을 미국의 연구진이 규명했다네요. 다비성 작물로 알려진 옥수수에게 이런 .. 2018. 8. 31.
흙, 흙, 흙. 흙을 살립시다.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이런 이야기를 했다고 합니다. "우린 발 아래 흙에 관해 아는 것보다 천체의 움직임에 관해 아는 게 더 많다." 그리고 현대의 토양학자들은 여전히 그러하다고 이야기한답니다. 흙을 알아야 농사가 사는데 말이죠. 흙은 인간을 기릅니다. 흙에서 자란 식물과 그에 의.. 2015. 10. 14.
졸참나무와 말벌의 알 -숲의 생명 David Attenborough 경은 자신의 알을 졸참나무의 방호층 안에 낳는 이상하고 놀라운 말벌의 생명 주기를 밀착하여 관찰한다. BBC 동물과 야생생물의 빛나는 영상은 '숲의 생명'을 보여준다. 2012. 3.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