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재밌는 책을 발견했다. 지금 한국 사회에도 의미가 있을 것 같다.



"지역사회 종자은행은 1980년대 말쯤 처음 나타나 국내외 비정부조직의 지원으로 설립되었다. 이 책은 그들의 발달에 대한 세계적 검토를 제공하기 위한 첫 걸음이자, 폭넓은 사례를 포함한다.

다양한 유형의 지역사회 종자은행을 개척한 국가는 방글라데시, 브라질, 에티오피아, 인도, 네팔, 니카라과, 필리핀, 짐바브웨 등이다. 북반구에서 특별한 유형의 지역사회 종자은행은 종자 지킴이 네트워크로 알려지며 나타났다. 그러한 네트워크는 여러 나라로 퍼지기 전에 호주, 캐나다, 영국, 미국에서 처음 설립되ㅇ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종자은행의 숫자와 다양성이 성장했다. 예를 들어, 네팔에서는 100개 이상의 자체적으로 설립된 지역사회 종자은행이 있다. 순수하게 종자를 보존하는 곳부터 상업적 종자를 생산하는 곳도 있다. 브라질에서는 지역사회 종자은행이 다양한 지역에서 운영되고 있다.
놀랍게도 25년의 역사에도 지역사회 종자은행은 그 숫자와 조직적 다양성, 지리적 범위에서 빠르게 성장했지만, 그 역할과 기여에 대한 인식은 빈약한 상태이다. 이 책은 그들의 역사와 진화, 경험, 성공과 실패(그리고 그 이유), 과제와 가능성을 검토한다. 그것이 농업생물다양성과 보존,그리고 그들의 식량주권과 식량안보에 대한 기여라는 측면의 중요한 간극을 메울 것이다."



Community_Seed_Banks.pdf
6.27MB
728x90

'농담 > 씨앗-작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종 벼로 기후변화에 대응하다  (0) 2016.04.29
토종의 중요성  (0) 2016.04.11
토종 종자가 중요한가?   (0) 2016.04.04
GMO 농산물은 위험한가?  (0) 2016.03.16
(아이를 위한 동화) 못생긴 감자  (0) 2016.03.16
728x90



“In the Second World War,” Samuel Zook began, “my ancestors were conscientious objectors because we don’t believe in combat.” The Amish farmer paused a moment to inspect a mottled leaf on one of his tomato plants before continuing. “If you really stop and think about it, though, when we go out spraying our crops with pesticides, that’s really what we’re doing. It’s chemical warfare, bottom line.”

Eight years ago, it was a war that Zook appeared to be losing. The crops on his 66-acre farm were riddled with funguses and pests that chemical treatments did little to reduce. The now-39-year-old talked haltingly about the despair he felt at the prospect of losing a homestead passed down through five generations of his family. Disillusioned by standard agriculture methods, Zook searched fervently for an alternative. He found what he was looking for in the writings of an 18-year-old Amish farmer from Ohio, a man named John Kempf.

Kempf is the unlikely founder of Advancing Eco Agriculture, a consulting firm established in 2006 to promote science-intensive organic agriculture. The entrepreneur’s story is almost identical to Zook’s. A series of crop failures on his own farm drove the 8th grade-educated Kempf to school himself in the sciences. For two years, he pored over research in biology, chemistry, and agronomy in pursuit of a way to save his fields. The breakthrough came from the study of plant immune systems which, in healthy plants, produce an array of compounds that are toxic to intruders. “The immune response in plants is dependent on well-balanced nutrition,” Kempf concluded, “in much the same way as our own immune system.” Modern agriculture uses fertilizer specifically to increase yields, he added, with little awareness of the nutritional needs of other organic functions. Through plant sap analysis, Kempf has been able to discover deficiencies in important trace minerals which he can then introduce into the soil. With plants able to defend themselves, pesticides can be avoided, allowing the natural predators of pests to flourish.

According to Kempf, the methods he developed through experimentation on his Ohio farm are now being used across North and South America, Hawaii, Europe, and Africa. The entrepreneur promises clients higher-quality crops, bigger yields, better taste, and produce that carries a lucrative “organic” label. Kempf, however, considers his process as an important improvement upon standard organic farming methods. “Organic certification is a negative-process certification,” he explained, “You can do nothing to your field and become certified. In contrast, we focus on actively restoring the balance found in natural systems.”

I recently sought out Samuel Zook, one of Kempf’s earliest converts, at his farm in Lancaster, Pennsylvania to see Advancing Eco Agriculture’s practices in action. After trailing a leisurely horse and carriage in my car for several miles, I was greeted at the farm by a bounding dog and Zook’s young barefoot son. The boy stared silently with his arms wrapped around a watermelon almost as big as himself. In a straw hat and suspenders, he looked like a miniature version of his father. The elder Zook smiled demurely through a neatly trimmed beard and extended his hand before inviting me on a tour of his fields. A hushed gaggle of children tripped along behind us as we walked among the bales of hay and rows of tomatoes, onions, melons, and squash.


Roc Morin: Can you describe the differences between how you used to farm and how you farm now?

Samuel Zook: The inputs changed drastically. Instead of trying to grow crops that are healthy with fungicides and pesticides, I started to grow crops that are healthy with nutrition.

Morin: What was the hardest part about making the change?

Zook: Well, there was a big psychological block that I had to get through. I’d see a couple bugs out there and feel like I immediately had to do something about it. But, I learned that if I sit back, things will often take care of themselves. That first summer for instance, we saw a lot of horn worms. Before that, I would have sprayed them right away, but this time I waited and a bunch of wasps came along and killed them. once I saw that, I started getting really excited.

Morin: So, when you use a pesticide you’re killing the predators too, right?

Zook: Right. You’re killing the entire ecosystem.

Morin: Have all of your problems disappeared?

Zook: I wish I could say that, but not entirely. We’re not living in the Garden of Eden yet. The issues I had before have disappeared, but we still have some other issues that we’re working on. one of the main things that has improved is how it feels to farm. Before, if I applied fungicide on my tomatoes, I had to wait three to seven days before I could reenter the area. Now, it’s so nice to just walk in my field any day of the week and not worry a bit. That in itself is huge. The other thing is, when I used to mix these skull-and-cross-bones chemicals to put in my sprayer, I’d have to be suited up. The children would be around and I’d say, “Now, get in the house. It’s not safe.” Now though, if the children want to help, it’s fine. If I want to mix the solutions better, I’ll just put my hand in a stir it around.

Morin: What are some of the problems that you’re dealing with now?

Zook: One of my major issues in the greenhouse is spider mites—little insects that just love a warm, dry environment. It’s very hard to control them, even conventionally. We usually get them under control, but we often lose some yield.

Morin: How do you get them under control?

Zook: Mainly through applying specific trace minerals like iodine and a whole line of ultra-micronutrients. We analyzed the sap of the plants with the help of a lab and I think we’ve narrowed the problem down to excessive ammonium nitrates. If ammonia builds up in the plants, it’s bug food, so we need to figure out a way to convert ammonia fast. I just spent two days with John [Kempf], and he came up with an enzyme cofactor which we’ll use to stimulate that ammonia conversion. We figure things out ourselves now rather than call up the chemical rep.

Morin: What did your chemical rep say when you told him that you didn’t need his services anymore?

Zook: Well, that was an interesting summer. He used to come here every week telling me horror stories about all the diseases in the neighborhood. But, I had made up my made up my mind, “No mas.” He came back every week for eight weeks telling me what I needed to spray. I said, “I’m fine, thanks.” The last time he was here, we were out picking tomatoes and he walked over. He was looking around and talking about this and that, and he didn’t even mention pesticides. “Well,” he said, “your tomatoes look pretty good.” I thought, “Yes!”

Morin: One thing that I immediately noticed is how great everything smells here. Do you still smell it, or are you accustomed to it?

Zook: Oh, I smell it every time I come here. It’s exciting. Those aromas are actually compounds the plants produce to defend themselves from insects and disease attacks. A lot of people don’t realize that plants have immune systems.

Morin: So, you can smell health—can you can smell problems too?

Zook: Yes. There’s a real science to walking through a field and pausing to feel what the plants are feeling. There’s a huge difference between walking in this field and walking in one that has had six fungicide applications. The plants just don’t radiate that same vitality. Another thing I learned is that every time you spray with a fungicide or something, it’s actually suppressing the plant as well as the fungi.

Morin: The same way that antibiotics can weaken a person’s immune system?

Zook: Yes. It might kill the disease, but then because it has weakened the plant, a week later the plant is much more susceptible to that same disease again. That’s the way it is with miticide. If I come in here and spray the mites with it, it would kill some of them, but it kills by messing with their hormones, so the ones that do survive will then mature 50 percent faster. So, it’s pretty much guaranteed that I’d have a huge mite outbreak 10 years later. Instead of doing that, let’s figure out what this plant wants and provide it. They really do respond.

Morin: What else can you tell by looking at your plants?

Zook: Well, one thing we learn is to read the leaves. This asymmetry here indicates zinc deficiency. The spots over here indicate a phosphorus deficiency. And, this here rippling of the leaf usually indicates excess nitrogen.

Morin: Before you started with this method were you able to read the leaves?

Zook: You know, I barely noticed them at all. I just planted and sprayed. Now, it’s much more fun.









728x90
728x90

수원과 용인의 경계지역에 있는 흥덕 나눔텃밭을 다녀왔다.

이곳은 아래와 같은 내력을 지닌 곳이다.



그 내용인즉, 토지주택공사에서 전국 곳곳의 땅을 소유하고 있으면서 개발사업을 벌이는데 요즘 부동산 경기가 좋지 않아 땅을 놀리게 되면서 그 땅을 그냥 놀리느니 사회공헌사업의 일환으로 요즘 주목받고 있는 '도시농업'의 공간으로 활용한다는 것이다.

이곳 흥덕지구는 전체 5000평의 규모로, 텃밭보급소에서 의뢰를 받아 텃밭을 조성하여 운영하고 있다.

그래서 여느 주말농장과 달리 매우 본이 되도록 운영되고 있는 중이다.





나눔텃밭의 전체 모습. 교육장은 물론 생태뒷간도 있고, 토종 종자를 재배하는 곳에 논과 둠벙까지 조성되어 있다. 또 장애인텃밭과 텃밭정원의 모습도 주목할 만하다. 아무튼 엄청 아기자기하고 알차다.

물론 올해 막 개간하여 농사를 짓기 시작한 곳이라 흙의 상태가 좋지는 않다. 

그런데 비료와 농약을 쓰지 않고 퇴비만 활용하며 농사짓고 있으니 2~3년 뒤에는 정말 좋은 흙으로 변해 있을 것이라고 장담할 수 있다.



입구로 들어서자마자 허수아비가 사람들을 반긴다.




여느 텃밭에서 보기 힘든 논의 모습. 여기에 심은 벼는 모두 다섯 가지로, 토종 벼를 가져다 심었다고 한다. 

그래서 벼 이삭이나 벼의 줄기가 일반적인 논과는 다르다. 



사람들이 오며 가며, 그리고 텃밭 회원들이 논을 보면서 모두 이런 말을 한다고 한다. 

"아니, 이런 곳에서도 논농사가 되네?" "여기 무슨 시골 같네."

그들이 마음속에 느끼는 바는 더 설명하지 않아도 될 것이다. 아마 가슴 속에 자연과 환경, 그리고 농업을 담아서 돌아갈 것이다. 그래서 도시농업이야말로 가장 좋은 환경운동이면서 농촌의 든든한 지지자들을 기르는 장이 될 수 있다.



토종 벼의 하나인 북흑조. 몇몇 줄기는 이미 수확하여 거꾸로 매달아 놓았다. 



요즘 외국에서 뜨고 있는 퍼머컬쳐의 방식으로 조성한 텃밭. 

한국에서는 이런 형태가 텃밭정원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지기 시작하고 있다. 

<텃밭정원>이라는 책들도 얼마 전에 출간되었으니 참고하면 좋다.

텃밭이라는 공간에서 단지 먹을거리만 생산하는 것이 아니라 심미적, 정서적으로도 즐긴다는 것이 텃밭정원의 핵심이다.



이것이 장애인용으로 조성한 텃밭. 그런데 올해 처음 시도한 것이라 미흡한 부분이 많다고 한다.

일단 높이가 너무 낮아서 휠체어 등을 탄 장애인이 농사짓기에 힘들다고 한다. 그래서 내년에는 높이를 더 높일 예정이라고 한다.




그냥 농사만 짓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프로그램과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도시농업이 활성화되고 그 힘을 잃지 않기 위해서는 땅과 기반시설 같은 하드웨어는 물론 이러한 교육활동이란 소프트웨어가 갖추어져야 한다. 둘 중 하나만 왕성하면 언젠가 기울어 망하기 십상이다.

그런 측면에서 이곳은 두 가지의 균형을 잘 잡으면서 나아가고 있다.

역시 텃밭보급소의 다년간의 경험과 노하우가 잘 집대성되어 있는 곳이다.




흥덕 나눔텃밭이라는 이름은 이곳을 통해 '나눔'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즉 지역 공동체가 이 공간을 통해서 서로 소통하고 어울리는 장이 열리고 있다. 

공동으로 농사짓는 곳의 농산물이나 사람들이 농사지은 수확물 중의 일부를 기부하고, 운영진은 그걸 모아 지역의 소외된 계층이나 필요한 사람들에게 나누어주는 일을 한다. 이를 통해서 공동체의 일원들이 서로 얼굴이라도 한 번 더 보고, 말이라도 한 번 나눌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공동체의 복원과 활성화가 텃밭이라는 공간을 통해서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생판 모르는 사람들만 사는 동네에 홀로 지낸다는 생각과 한 번이라도 말을 나누고 인사를 한 사람들과 함께 산다고 생각하는 것은 천지차이이다. 아무래도 언행에 더 조심하고 신경 쓸 수밖에 없다. 공동체가 지나치게 폐쇄적이 되면서 잘못된 방향으로 나아가면 그곳보다 무서운 곳이 없지만, 잘 운영이 되면 그곳보다 즐거운 곳이 없다. 


흥덕 나눔텃밭, 앞으로도 덕을 일으켜 흥하시길! 


728x90
728x90



브라질 북동부의 마라냥 주는 50년 만의 최악의 가뭄을 겪고 있다. 그러나 이 잔인한 가뭄 속에서 한 농민은 채소와 과일, 작물이 풍부하게 넘쳐나고 있다. 

“우린 캐슈너트, 딸기류, 시계풀 열매, 오렌지, 파인애플, 라임 등을 생산하고 있습니다"라고 농민 Edileu 씨가 자랑스럽게 말한다. “그 비밀은 공업형 농업처럼 지역 환경과 싸우는 게 아니라 그와 조화를 이루는 농법을 활용하는는 겁니다.”

 
한마디로, 농생태학이 그 성공의 비밀이다. 
 
Edileu 씨 같은 소농은 농생태학을 실천하고 개발하는 데에 열심이다. 지역의 지식과 전통지식을 구축하고, 좋은 환경지킴이로 확고하게 닻을 내렸다. 이 방법은 또한 상업적 종자와 농약, 화학비료 같은 매혹적인 공업형 농업에 잠식당하지 않고 견딜 수 있도록 농민들을 단결시키고 조직화한다. 
 
농생태학을 성공적으로 적용하려면, 농민은 공업형 농업이 환경 및 농민과 소비자의 건강, 그리고 농민의 소득에 미치는 악영향을 날카롭게 깨달아야 한다. 소농들은 공업형 농업이 주로 종자와 농자재, 곡물의 가공 및 유통을 통제하는 농기업에게만 이득인 고생길이란 사실을 배웠다. 

 
조직된 토지 없는 노동자들이 카나리아 같다
 
아이오와의 농부이자 미국에서 가장 박식한 식량주권을 지지자의 한 명인 George Naylor 씨는 이렇게 요약한다. “우리 농민은 갱도의 카나리아 같다. 세계의 다른 나라들에서도 귀기울여 듣기 시작했다.” 그리고 George와 Edileu 씨 같은 농민은 공업형 농업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땅에 머물러 건강한 작물을 생산하며 확고한 해결책을 만들고자 남아 있다. 
 
세계의 농민들은 기본적으로 가족농과 소농의 죽음을 알리는 것이기 때문에 식량주권을 위한 투쟁을 포기하지 않을 것이다. 세계적으로 시장 중심 농업의 잔인한 논리에 저항해야 한다는 의견이 커지고 있다. 
 
Edileu 씨의 마라냥에 있는 농민단체는 브라질의 토지 없는 노동자 운동(MST)에 소속되어 있다. 그들은 6년째 텐트를 치고 살면서 토지와 식량에 대한 헌법상의 권리를 실현하기 위해 버티고 있었다. 경찰은 이 점유 가족들을 4번이나 내쫓았고, 언제나 경찰은 가족들에게 좋은 교훈을 가르친다는 의도로 나타나곤 했다. 그러나 Edileu 씨와 그의 공동체는 결코 포기하지 않았다. “다행히 우린 땅을 얻었다. 그러나 우리가 계속 머무르려면 똑같은 강도로 권리를 위해 싸워 나가야 할 것이다”라고 Edileu 씨는 말한다.
 
2010년 7월 25일, 이 단체는 마침내 98가구가 정착할 만한 면적의 토지소유권을 받았다. 땅을 얻은 뒤, 가족들은  농사를 지을 수 있는 농기구와 종자를 살 자금과 재원이 긴급히 필요해졌다. 안타깝게도 은행에서는 단호히 "거절"했다. 그들은 소농에게 아무 담보 없이 돈을 빌려주지 않았다. 그래서 단체는 Grassroots International의 지원을 모색했고, 지원의 열매는 계속 무성해지고 있다. 

 
토지 없는 노동자: 식량주권과 공동체를 구축하다
 
새로 설립된 정착촌은 농생태학의 방법을 농민에게 훈련시킬 뿐만 아니라 개별 텃밭을 개발할 시범 단위를 구축할 충분한 자원이 필요해졌다. 보스턴의 풀뿌리 단체가 마라냥 정착촌의 지원자 네트워크와 접촉했다. 사람들은 결코 포기하지 않는 공동체의 모습에 감명을 받아 관대함과 기부금으로 응답했다.
 
몇 년에 걸쳐, 주로 수출용 에탄용을 생산하는 사탕수수 플랜테이션의 확장과 함께 소농의 공동체들은 자신들의 토지와 생계에 대한 큰 위협에 직면하고 있다. 농지를 지키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Grassroots International은 기술 지원을 제공하기 위해 토지 없는 노동자와 같은 단체의 운동을 지지하고, 토지권을 확보하도록 연합을 만들며, 그 가족들이 농생태학을 통해 품위 있는 삶을 살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우린 Grassroots International의 지원에 감사하고 있습니다”라고 Edileu 씨는 말한다. “이 프로젝트는 우리가 식량을 생산하는 데 도움이 되며 새로운 기회를 열어주었습니다. 예를 들어 우린 다른 지역으로 이 프로젝트를 확대하려는 우리와 함께하려는 지역의 농경제학과 학생들과 협력관계를 구축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식량 생산자 단체는 현재 새로 형성된 협동조합을 통해 과일을 시장에 출하하려고 일하고 있다. “정부에서 나온 많은 사람들이 우리를 방문하여 이 사업을 배워 갔습니다. 그리고 그들 중 일부는 우리의 다음 단계가 지역 시장에 우리의 생산물을 판매하고 가족과 운동을 위해 소득을 창출하는 길을 찾는 것이기에 우리를 돕겠다고 약속했습니다.”


 
농생태학, 식량주권은 새로운 지도자를 만들고 있다
 
Edileu 씨는 이 프로젝트가 식량 생산만이 아니라 운동을 강화한다는 것을 입증하고자 34세의 Juca 씨와 그 가족 이야기를 들려주었다. Juca 씨와 그의 아내 Maria 씨 및 여섯 아이들은 4번 퇴거를 당하면서도 살고 있었다. Juca와 Maria 씨는 농사짓는 법에 대해 알고 있었지만, 지금처럼 땅도 자원도 아무것도 가지고 있지 않았다. 
 
Juca와 Maria 씨가 땅을 얻어 뒷마당에 여러 종류의 과실수를 심는 크고 작은 승리는 오랜 시간 동안 가족의 조직과 끈기로 버틴 결과였다. “그건 정부의 인쇄물이 아니라 저를 믿은 겁니다”라고 Edileu 씨가 주장했다. 
 

Edileu 씨는 투쟁이 스스로를 조직화하도록 가족들을 가르쳤다고 언급했다. 예를 들어 Juca 씨는 현재 모임을 이끌면서 작물에 문제가 생긴 다른 가족들에게 지원을 제공한다. “그는 가족들 사이에서 활동을 조정합니다. Juca 씨는 어떻게 이 프로젝트가 공동체와 소농의 운동을 더 강하게 하고 자립하도록 만들었는지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우린 우리가 해야 하거나 할 수 있는 것에 대해 이야기해주는 어떠한 지주나 정치인의 명령도 기다리지 않습니다.”



http://www.grassrootsonline.org/news/articles/agroecology-grows-food-and-self-sufficiency


728x90

'농담 > 농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학과 전통을 혼합해 세계를 먹여살리자  (0) 2013.07.19
짚더미 텃밭을 만드는 방법  (0) 2013.07.18
도시농부를 위한 염소!  (0) 2013.07.10
마지기는 몇 평인가?  (0) 2013.07.10
닭과 함께 농사짓기  (0) 2013.07.08
728x90


11세의 Donovan Eason. 2013년 5월 18일 디트로이트의 Brightmoor 청소년 텃밭에서 토마토 심는 법을 묻고 있다. 텃밭은 공한지를 먹을거리가 생산되는 텃밭으로 바꾸는 개발 프로젝트인 Brightmoor Farmway의 일부이다. 청소년 텃밭은 북서 디트로이트 농민장터에 위치하고 있다.



Reit Schumack 씨가 2013년 5월 18일 디트로이트의 Brightmoor 청소년 텃밭에 방금 모종을 심은 청소년 자원봉사자들을 도와 물을 주고 있다. 



Brightmoor 청소년 텃밭의 탁자 위에 놓인 씨앗 병들.



Reit Shumack 씨가 빗물통에서 작물에 물을 주려고 양동이에 물을 받고 있다. 



11세의 Timarra Davis가 17세의 Walter Richey와 함께 바질을 심고 있다. 



Brightmoor 청소년 텃밭의 모습. 



아이가 모종을 옮겨심고 있는 모습. 



모종을 옮겨심으려는 모습. 



Reit Schumack 씨가 Timarra Davis와 Walter Richey에게 모종을 심는 구멍을 파는 방법에 대해 일러주고 있다. 




풀이 자라고 쓰레기만 있지 아무것도 없던 앞뜰과 뒤뜰, 공터에 도시농업 지대가 형성되면서, 불과 몇 년 전에는 아무도 밖으로 보이지 않던 곳에 사람들이 모이고 있다. 


“2006년 이 거리에는 아무도 없었습니다. 여기에서 30년을 살았던 사람들도 완전히 낙담한 상태였지요”라고 Fenkell과 Eliza Howell 공원 근처의 지역을 맡고 있는 farmway 센터의 Riet Schumack 씨는 말한다.


7년 동안 Brightmoor 구역은  변모했고, Neighbors Building Brightmoor이라는 이름으로 조직되었다. 학생들은 두 곳의 청소년 텃밭을 돌보고 지역의 농민장터에서 농산물을 판매한다. 어른들은  Ladybug Lane과 Rabbit Run이라 불리는 텃밭에서 먹을거리부터 꽃까지 모든 것을 재배한다. 허물어져가는 집을 새로 손보아 밝은 색으로 칠했다. 그리고 청년들은 집들이 사라지고 척박한 땅만 남아 있던 곳에서 소규모 상업적 농장과 텃밭, 공원을 시작하려고 이사를 왔다. 


그것은 Brightmoor farmway의 노력이라고 도시농업 조례를 추진하는 데 도움이 된 디트로이트의 시의원 James Tate는 말한다. 그는 이것이 도시농업이 사회정의의 전문용어가 되기 오래전부터 디트로이트에서 공동체의 건설자로 작용했다는 증거라고 말한다.


“Brightmoor Farmway는 Brightmoor에 새로운 정체성을 가져왔다”고 Tate 씨는 말한다. “그들은 '우리는 우리의 정체성을 바꾸고 세계의 나머지가 우리를 따라오도록 할 것이다’라고 한다.”


29세의 Jeremy Kenward 씨는 Clinton Township에서 성장했다. 식량불안과 사회정의 문제를 완화시키는 방법으로 도시농업에 대해 배운 뒤에, 그는 그의 가족과 함께 3년 전 디트로이트의 동쪽에서 Brightmoor로 이사를 왔다. 그는 Farmington의 600평 텃밭에서 직접 재배한 샐러드 채소를 Eastern Market에서 판매한다. 


“우린 이미 일어나고 있는 일에 노력을 더하며 이곳에 있고 싶다”고 그는 말한다. 도시농업은 “주변 풍경을 엄청나게 변모시켰다. 그에 집중하는 것은 즐거운 일이었다.”


그는 도시농업이 Brightmoor을 변모시켰지만, 모든 문제를 해결하지는 못했다. 다른 유형의 경제개발이 도움이 될 것이다. 


41세의 Cleo Anderson 씨는 10년 전 가족과 함께 Brightmoor으로 이사를 왔다. 3년 전 동네를 산책하다가 그는 큰 농지에서 상업적으로 농사짓는 이웃 중 한 명과 만났다. 그는 이것저것 물어 배우고는 집 근처의 공터에서 농사를 시작했다. 그가 재배한 채소의 절반은 Eastern Market과 교회에서 판매하고, 나머지는 이웃과 자신의 가족이 먹는다. 


“처음 이사왔을 때 너무 불안했다”고 Anderson 씨는 말한다. 이웃들이 너무 냉정했는데 텃밭과 함께 더 친숙해졌다고 설명한다. “사람들이 멈추어 서서 이야기하고 거들기를 바란다. 서로를 찾는 사람이 많이 있다.”


그의 아들인 12세의 Donovan Eason은 Schumack의 청소년 텃밭에서 일한다. Anderson 씨는 자신의 아들이 수줍음이 많은데 장날에는 손님들과 크게 이야기하고, 청소년 텃밭에도 활발히 간다고 이야기한다.


“그 아이는 토요일 아침이면 일찍 일어나 텃밭에 달려갑니다”라며 Anderson 씨는 웃는다.


텃밭은 실로 협력의 장이라고 Schumack 씨는 말한다. 디트로이트를 녹화하자고 시작된 단체인 Keep Growing Detroit와 다른 도시농업 단체들이 farmway의 농사를 도왔다. Schumack 씨는 아무것도 가진 게 없었다고 한다. 모든 것은 사람들의 아이디어로 시작되었다. 이웃들, 자원봉사자, 우퍼들—숙식을 해결하며 유기농 농장을 여행하는 사람들— 이 이 일이 일어나도록 함께 일했다. 


“우린 그 사람들을 위해 어떤 것도 하지 못했다”고 Old Dude의 텃밭으로 알려진 곳에서 Schumack 씨는 말한다. “이건 꿈이다.”


Tate 씨는 70%의 땅이 비어 있던 Brightmoor 구역에서 일어난 일은 이 도시를 위한 좋은 선례라고 말한다. 


“난 자기 인생에서 텃밭농사를 생각해보지도 않았던 사람들을 통해 여러 이웃들에게 이야기했습니다. 그러나 그들이 무엇이 일어나고 있는지 보자 그걸 하겠다고 생각하더군요”라고 Tate 씨는 말하며 “박탈감이 너무 컸던 지역사회에 성취감”을 불러오고 있다고 한다.


farmway를 확산하려는 노력은 Brightmoor의 주민들에게 의존하고 있다고 Schumack 씨는 말한다. Brightmoor에서 그녀의 구역은 평화와 고요의 오아시스이다. 그러나 방범순찰을 하면서 그녀는 디트로이트의 현실에 기반을 두지 않으면 어려우며, 지난 7년의 작업이 얼마나 취약한 것인지에 대해 말했다.


“위태롭습니다. 모든 상황이 불안정합니다. 끊임없이 ‘이게 무너질 때는 어떻게 하지?’라고 느낍니다. 그러나 그것이 지역사회 안에서 활동하도록 동기를 부여합니다. 그 부분이 관계성을 회복하도록 만듭니다”라고 farmway에 대해 논의하는 회의 전에 그녀는 말했다. “이사를 오는 사람들이 필요합니다. 사회적 자본을 가진 사람들이 필요합니다. Neighbors Building Brightmoor는 꿈을 가진 사람들과 그 꿈을 이루기 위해 서로 돕는 공동체의 것입니다.”



728x90
728x90

옛부터 마을을 지켜준다는 존재로, 그 안에 신이 깃들어 있다고 여기며 사람들이 모시던 신격화된 나무가 마을마다 있었다. 그것을 우리는 '당산나무'라고 한다. 


당산이란 어느 한 마을의 지킴이를 모신 성역을 뜻한다. 이를 당산 또는 서낭당, 도당이라고도 부르는 곳이 있기도 하다. 특정한 형태로 고정되어 있다기보다는 야트막한 구릉일 수도 있고, 특정한 장소일 수도 있으며, 마을의 수호신이나 지킴이를 모신 건축물일 수도 있다. 어느 장소이건 마을사람들이 함부로 소란을 피우거나 해를 끼쳐서는 안 되는 신령스러운 곳으로  여겨졌다.

당산의 핵심은 바로 나무이다. 대개 오래되고 큰 나무인 경우가 많다. 이러한 나무의 둘레에는 줄을 치거나, 나무 밑동에 왼새끼 또는 백지를 감아 놓은 경우가 많아서 쉽게 는에 띈다. 이렇듯 당산나무는 신격화된 나무이다. 누군가 그 나무를 해치면 그 사람만이 아니라 마을에 재앙이 내리는 중요한 나무이다. 또한 마을의 중심축 역할을 하기도 한다. 사람들은 특정한 날 이 당산나무 아래에 모여 제를 지내고, 음식과 이야기를 나누고, 마을의 대소사를 의논한다. 이렇게 마을 공동체와 큰 연관을 지니며 함께 살아갔다. 


그런데 지금은 그런 모습을 찾아보기 힘든 것이 사실이다. 예전 당산나무의 역할을 했던 나무는 남아 있어도 예전과 같은 기능은 모두 사라진 곳이 많다. 그만큼 마을이란 공동체가 쇠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래도 아직 여전히 예전처럼 당산나무를 신격화하여 모시는 곳이 꽤 남아 있는 것도 사실이다. 아래의 사진은 2007년 충북 단양 기동리의 한 마을을 찾아갔을 때 만난 당산나무이다. 앞서 설명한 전형적인 당산나무의 모습을 보여준다. 왼새끼를 꼰 금줄, 거기에 끼워넣은 한지, 그리고 아래에는 치성을 드렸는지 조촐한 제사음식과 양초가 놓여 있다. 지금도 이렇게 당산나무를 모시고 있는지는 다시 가보지 못하여 알 수가 없다.





그런데 오늘 새로운 형식의 당산나무를 발견했다. 왼새끼를 꼰 금줄 대신 나일론 끈이, 한지 대신 폐비닐이 감겨 있는 미루나무이다. 나무의 크기와 웅장함만큼은 당산나무와 견주어 전혀 손색이 없지만, 그 정성과 꾸밈은 볼품없다 못해 씁쓸하기 짝이 없다. 내가 이 나무의 쓰레기를 치워줘야지. 고맙다는 말은 하지 않아도 된다. 내가 미안해서 하는 일이니까. 나쁘다, 인간... 






괴산군 장연면에 가면 아래와 같은 1000년 된 느티나무 두 그루를 볼 수 있다. 어떻게 모시고 가꾸느냐에 따라 이렇게도 오래 잘 살 수 있는 것이 나무이다. 사람은 아무리 잘 모셔도 100년이면 오래 산 것이지만, 나무는 그 10배를 살고도 멀쩡하다. 이 정도면 우리가 나무를 신으로 모실 만한 자격이 충분하지 않을까? 





728x90

'농담 > 雜다한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산 여행  (0) 2013.05.19
경기도 미술관 관람  (0) 2013.05.19
문화와 경제, 그리고 삶  (0) 2013.05.13
교토 니죠성  (0) 2013.05.02
성인이 되려면...  (0) 2013.04.16
728x90

조선시대에 가부장제에 근거한 공동체가 운영되던 모습을 보면, 그 안에서 기근이나 흉년에 대비하여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던 한 축은 역시 지역 유지나 지주층이 아니었을까 한다. 

그만큼 그네들을 어떻게 공동체 질서에 편입시켜서 활동하도록 하느냐가 중요한 관건이었는데, 이것이 조선 말기가 되면서 나라 질서가 어지러워지자 통제되지 않는, 즉 무한 이기심을 채우는 상황으로 나아가면서 공동체 질서가 완전히 망가진 것이 아닌가.

거기에다 새로 들어온 일제와 근대적 질서는 스스로 무언가 재편하고 정리를 하기도 전에 조선 사회를 완전히 끝장내 버렸고, 그렇게 수동적으로 근대사회로 접어들게 되었다.


여기서 제기하고자 하는 것은 흔히 공동체의 복원이라고 할 때, 그것이 어떠한 공동체인가에 대한 적확한 상이 없다는 점이다. 

그렇다고 과거의 공동체 그대로를 의미하는 것은 아닐 것이다. 

그렇다면 과연 공동체는 무엇이든 올바른 것인가? 공동체는 만능인가에 대한 반성과 함께 어떠한 공동체를 말하는 것인지 확실하게 할 필요가 있겠다. 이와 연관하여 얼마 전 김종철 선생이 강연에서 과거 가부장제에 입각한 공동체 질서를 이야기하다가 세간의 비웃음을 샀던 일을 잊을 수 없다. 솔직히 나도 그러한 공동체라면 좀 거시기하다.

즉, 그것이 공동체이든 공동체가 아니든 민주적이고 경제적으로 공정하게 운영되는 원리와 원칙만 있다면 문제가 없는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을 떨칠 수 없다. 과연 공동체는 바람직한 것인가, 공동체만 이루면 되는 것인가?


또 하나는 과거의 지역 유지나 지주층과 같은 현재의 집단을 어떻게 포섭할 것인가 하는 점이다. 공산혁명처럼 그냥 목을 치고 처단할까? 그런 사회가 오래가지 못하는 것은 물론, 문제를 안고 있다는 사실은 이미 역사에서 증명되었다. 조선시대에 그들을 포섭할 수 있었던 것은 역시 농업이 근간인 사회이다 보니 노동력 제공이 가장 큰 역할을 하지 않았을까? 지금도 그 사실에는 변함이 없지만 지금은 워낙 다양한 방법으로 충당할 수 있으니 그때와 상황이 좀 다르다고 볼 수도 있겠다. 

어쨌든 지난날 양반 가문이었던 집안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양반, 그거 아무나 하는 것이 아니었다. 사회적 지위와 부를 쌓는 만큼 공동체에 정신적으로 물질적으로 희생해야 했다. 그러한 일이 자연스럽게 잘 이루어질 때 공동체는 그만큼 건강하게 잘 유지가 되었다.

그런데 지금은 어떠한가? 지금의 지도층이라는 집단은 어떤 식으로 포섭하거나 강제해야 할 것인가? 맘씨 좋고 유식한 부유층을 만나 우리의 뜻에 동참하자고 설득하거나, 아니면 그러한 사람이 공동체를 주도하도록 할 것인가? 지금 시대에 그러한 일은 어불성설이 아닐까 한다.


마지막으로 신자유주의의 시대에 공동체 질서를 어떻게 운영해 나아가느냐가 문제일 것 같다. 공동체로 소박한 경제질서를 유지하며 살고 싶지만 그렇게 살 수 없는 세상임은 만천하가 다 아는 사실이다. 아니, 산속이나 농촌 깊숙이 푹 박혀서 세상의 체계와 상관없이 유유자적하게 살아간다면 아무 문제가 되지 않는다. 솔직히 귀농자 중에 그런 사람이 없지 않다. 그런데 그렇게 살아가는 것이 모두에게 통용될 수 있는가? 


아무튼 생각하면 할수록 참 어려운 문제이고 답도 잘 안 보인다. 어려운 수학문제가 사람에게 도전정신을 안겨주고 그걸 풀었을 때 희열을 느끼듯이, 이 문제 또한 그러한 유형이 아닌가 한다. 평생 살아가면서 풀어야 할 문제...


728x90

'농담 > 雜다한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대에 따른 유럽의 동과 서 구분  (0) 2013.03.14
견종법에 대한 논문을 읽고...  (0) 2013.03.06
종이, 그리고 인도네시아의 열대우림  (0) 2013.02.10
뱅어  (0) 2013.02.09
까마귀의 군무  (0) 2013.02.0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