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곤충10 씨앗을 심는 죠몬인 -어리쌀바구미와 죠몬인 곤충과 해충 해충이라 부르는 벌레들해충이라 하면 바로 떠오르는 것이 바퀴벌레일 것이다. 이는 주로 실내에서 발생해 유충과 성충 모두 집 안의 식품이나 생활쓰레기를 먹고 다량으로 발생한다. 이러한 음식 해충 가운데 쌀 등의 곡물에 생기는 해충을 저곡貯穀 해충이라 한다. 그 대표격이 어리쌀바구미이다. 이들 이외에 의류에 생기는 수시렁이 종류, 가구나 건축재에 생기는 흰개미나 나무좀, 책을 먹는 좀 종류, 나아가서는 인간이나 동물의 피를 빠는 모기, 파리, 벼룩, 이 등도 모두 해충이라 불린다. 사람에 따라서는 꽃의 꿀을 빠는 벌 종류나 바퀴벌레를 먹어 주는 거미조차도 불쾌하게 생각하는 해충의 일종일 것이다. 이처럼 '해충'이란 곤충을 포함한 절지동물 가운데, 인간의 생활권에 침입해 인간에게 직접 또는 간접.. 2024. 12. 23. 텃밭에 여러해살이 꽃을 왜 텃밭에 꽃을 심는가? 과수원은 여러해살이의 특성과 그들이 이루는 구조로 인해 꽃의 띠가 고속도로의 역할을 하는 생물다양성을 위한 흥미로운 서식지이다. 그들은 수분매개자와 해충의 천적 모두에게 잠재적으로 매력적이다. 꽃의 띠 같은 비작물 식생으로 텃밭을 다양화하면 이러한 개체군을 유지하고 발달시켜서 최적의 생태계 서비스를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꽃의 띠를 심는 이점은... -꽃의 띠는 여러 종의 포식자, 기생자, 수분매개자에게 매력적인 텃밭 생태계의 복잡성을 향상시킨다. -꽃의 띠는 텃밭에서 천적의 개체군을 유지하고 더 많은 자손을 생산할 수 있도록 피난처와 먹이(꽃가루, 꿀, 대체 먹이)를 제공한다. -작물 가까이에 꽃의 띠가 있으면 포식자와 기생자가 해충에 쉽게 접근할 수 있어서 특히 작고 이동을.. 2019. 6. 10. 농업이 곤충을 먹는 조류에게 영향을 미치는 방법 흥미로운 연구이다. 녹색제비가 먹이로 무엇을 먹는지 조사한 캐나다의 한 연구이다. 요약하자면, 1. 제비는 수생곤충을 먹이로 더 좋아한다. 2. 새끼에게는 닥치는 대로 잡아다 먹이지만, 정작 부모들은 원래 좋아하는 수생곤충을 선호하고 그를 먹는다. 3. 농경지와 자연 초지에 사는 제.. 2018. 8. 31. 텃밭농사에 이로운 돌무더기 내가 밭에서 나오는 돌들을 내다 버리지 않고 쌓아두는 이유가 여기 있다. 밭에 돌이 많다고 투덜댈 일만이 아닙니다. 그걸 지혜롭게 잘 이용하면 됩니다. 2018. 6. 4. 곤충이 사라지고 있다 전직 화학자인 Heinz Schwan이란 75세의 독일인 곤충 덕후가 20년 넘게 관측한 결과, 곤충의 숫자가 75% 정도 급감한 것을 발견. 그 결과를 연구진과 함께 논문으로 발표했답니다. 곤충은 건강한 생태계의 근간이기에, 정말 심각한 일이 아닐 수 없겠습니다. 그런데 그 감소율이 토종 씨앗이 사.. 2017. 12. 13. 미국 농경지의 절반 이상이 유전자변형 작물을 재배한다 요약:농민들은 2013년 전체 작물 재배면적의 약 절반에 이르는 1억7000만 에이커에 유전자변형 작물 -주로 옥수수, 목화, 대두- 을 심었다. 해충 관리 특성은 유전자변형 작물로 설계된 주요 특징인데,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해충에 대한 추가적 보호를 제공하는 특성과 몇 가지 특성이 복합된 .. 2017. 8. 29.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