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시간으로 6월 1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런 트윗을 올렸다. https://twitter.com/realDonaldTrump/status/1003634405036961793


내용은 "미국 농민들은 지난 15년 동안 제대로 하지 못했다. 멕시코, 캐나다, 중국 및 기타 국가는 그들을 불공정하게 대했다. 내가 무역협상을 마무리하면 그런 것은 바뀔 것이다. 미국 농민과 다른 사업가들에 대한 거대한 장벽은 결국 없어질 것이다. 더 이상 무역 적자는 안 된다!"


그래서 미국 농민들 경제 상황이 어떤지 찾아보았다. 


먼저, 미국 농민의 농가소득을 아래와 같다. 

오바마 정권 후반기가 되며 감소세로 접어든다. 오바마 대통령은 기후변화 문제 등을 거론하며 바이오연료 확대 정책을 추진하며 덤으로 농산물 가격을 높이기 위해 애를 쓴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모르셨는가?


아무튼 정점을 찍은 농가소득이 오바마 정권 후반이 되며 급격히 떨어지다가 트럼프가 당선된 이후 보합세에 들어간다. 


여기까지만 보면 그렇게 나쁘지 않은데 무얼 그러는가 싶다.  






그러나 문제는 농가 부채에 있는 것 같다.

아래 그래프를 보면 1980년대 미국 농업 최대의 위기였다는 시기와 비슷한 수준으로 농가 부채가 심각하다. 최근 미국 농민의 자살율이 정말 심각한 수준으로 높아졌다고 하는 일과 같은 선상에 있을 것이다. 아무튼 잘은 모르지만, 미국 농민들이 트럼프를 지지한 이유의 하나가 여기에 있지 않을까 싶다. 정말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서두에 인용한 트럼프의 농업 부문 불공정 무역에 대한 발언이나, 최근 승인을 받은 몬산토가 바이엘에 인수합병된 일이나 모두 이러한 맥락에 놓여 있는 사건들이라 생각된다. 


과연 미국의 농업은 이를 어떻게 타개해 나아갈까? 그 과정에서 한국 농업에 튈 불똥은 어떠할까?



728x90





2014년 7월 18일 금요일, 한국 정부는 2015년 1월부터 쌀 관세화 정책을 시행하겠다고 발표함으로써 쌀 시장을 개방하였다.




이 발표에 며칠 전부터 노숙을 하며 시위를 하던 농민단체 회원들은 분노하기에 이르렀고, 항의하고자 정부청사에 진입하는 것을 가로막는 경찰에게 쌀을 집어던져 버렸다. 말 그대로 쌀비가 내렸다. 





식량도 사고파는 상품인 시대에 어쩔 수 없는 일일까? 그렇게 따지면 사고파는 게 안 되는 것이 어디 있을까? 오늘은 농민들이 울지만 내일은 노동자들이 피눈물을 흘릴지 모른다. 안타깝다.





얼마나 많은 농민들이 땀흘리며 일하던 논밭에서 내몰리게 될까. 가혹한 세월이 눈앞에 보이는 것 같아 고개를 들기 힘들다. 파업에 돌입해 논밭을 묵혀 버릴 수도 없고 미치고 펄떡 뛸 노릇이다.



728x90

'농담 > 농업 전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의 곡창지대는 어디인가?  (0) 2014.08.07
쌀 관세화 발표에 부쳐  (0) 2014.07.18
마스체라노, 몬산토를 비판하다  (0) 2014.07.14
로컬푸드와 수출농업  (0) 2014.07.12
지렁이를 만나다  (0) 2014.07.09

작년 쌀이 423만 톤이 생산되었다고 한다.

요즘 1인당 1년에 평균 약 70킬로그램의 쌀을 먹는다고 하니, 전체 5000만 명이라 잡으면 1년에 총 35억 킬로그램의 쌀이 필요한 셈이다.
물론 이 수치는 지나치게 단순화한 것이며, 또 쌀밥 말고 다른 걸 먹지 않는다 하면 약 2배는 높게 잡아야 할 것이다.

자, 그럼 작년에 42억3000만 킬로그램의 쌀이 생산되었다.
최근 4년 만에 최고의 생산량을 보인 것으로서, 흉년이 들었을 때도 있으니 1년에 평균 40억 킬로그램의 쌀을 생산한다고 하자.
그럼 5억 킬로그램이 남는다.
거기에 의무수입량으로 전체 생산량의 10%인 40만 톤, 즉 4억 킬로그램의 쌀이 수입되고 있다.
그러면 1년에 약 9억 킬로그램, 곧 90만 톤의 쌀이 남아서 창고에 들어간다는 계산이 나온다. 
전에는 여기에서 일정 정도 북한에 원조를 하여 해소하곤 했다고 들었는데, 지금은 남북 관계가 꽉 막히면서 그도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하지.

이 남아도는 쌀을 어떻게 먹어치울 수 있을까?
단순히 밥을 많이 먹자는 홍보로는 먹히지 않을 세상이다. 먹을거리가 얼마나 많이 차고 넘쳐서 쓰레기통으로 직행하는데 말이다. 
또한 집에서 밥을 해먹기도 어려운 세상이 되었다. 다들 삶에 쫓겨서 집에서 아침도, 심지어 저녁조차 먹지 못하곤 하며 살고 있지 않는가. 최근 설문조사에 의하면 집밥을 먹지 않는 가장 큰 이유로 경제적 요인을 꼽은 사람들이 많았다. 한마디로 사먹는 게 더 싸서 그렇단다. 사먹게 되면 당연히 쌀 이외의 먹을거리를 선택할 유인이 더 많겠지.

쌀... 쌀... 쌀...

쌀 시장개방을 코 앞에 두고 있는 이 시점에 참 어려운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왜 그동안 미리 대비하지 못했던 것인가. 늘 문제가 닥쳐야지만 시끄러워지고 표면에 떠오르는가. 그저 안타깝다. 일단 반대한다고 해도 뾰족한 수가 보이는 것도 아니고... 어렵네.


728x90

'농담 > 농업 전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쌀 시장개방을 눈앞에 두고  (0) 2014.06.27
현대농업의 세 과제  (0) 2014.06.21
흥덕 나눔텃밭의 텃논  (0) 2014.06.14
강동구 둔촌텃밭  (0) 2014.06.13
미국 농업노동력의 변화와 한국   (0) 2014.06.11

쌀을 자급하는 것이 농업에 걸림돌이 되고 있는 상황이라니... 


지난해 쌀의 자급률을 92%로 회복하면서 의무수입량 때문에 가격이 폭락할 것이라 경고하고 있다. 그러면서 은근슬쩍 쌀 시장을 개방해야 한다고 약을 푸는 섬세함까지 보여준다. 


이것은 정녕 자유무역 국가의 숙명인가?


기후변화 때문에 자급률이 10% 안팎으로 오락가락하는 판에 수입 쌀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면 어쩌란 말이냐. 쌀 시장개방 이후에도 현재와 같은 생산을 유지할 자신이나 확실한 계획이라도 있는 것인지 묻고 싶구만.

---------


연합뉴스) 김재홍 기자 = 지난해 벼 풍작으로 2014년 쌀 자급률이 4년 만에 90%대를 넘어설 것이 확실시된다.


3일 농림축산식품부 등에 따르면 2014년 양곡연도(2013년 11월∼2014년 10월) 쌀 자급률이 92%로, 4년 만에 쌀 공급과잉 현상이 빚어질 가능성이 있다.

쌀시장 개방을 유예해 주는 대가로 우리나라가 의무적으로 수입하는 물량까지 합하면 공급이 수요를 초과하기 때문이다.

최소시장접근(MMA) 방식에 따라 의무 수입해야 하는 최소수입물량은 올해 40만 9천t으로 2013년 기준 국내 쌀 소비량 450만t의 9% 수준이다. 쌀 자급률이 91%를 넘을 경우 공급 초과 상황이 불가피하다.

우리나라는 식량 주권과 농민 반발 등을 내세워 쌀 개방 시기를 2014년까지 유예하는 대신 매년 2만347t씩 쌀 수입량을 늘려왔다. 지난 1995년 5만1천t이었던 쌀 수입량이 2004년 20만5천t, 2009년엔 30만7천t으로 증가했으며 올해는 40만9천t에 달한다.

<표> 쌀 자급률

(연도, %)

(자료:농림축산식품부)

jaehong@yna.co.kr


728x90

'농담 > 농업 전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동구 둔촌텃밭  (0) 2014.06.13
미국 농업노동력의 변화와 한국   (0) 2014.06.11
기후변화와 미국의 농업, 그리고 한국  (0) 2014.06.01
양봉을 하고 싶다고요?  (0) 2014.05.31
미국의 미친 식량정책  (0) 2014.04.23

Bags of hulled rice at Echigo Farm’s processing plant in Higashikanbara, Japan. Echigo Farm, which sells its organic rice at a premium, is a rare upstart in the Japanese rice business. 



For decades, Japan has defended its 778 percent tariffs on rice with a kind of religious zeal. Rice is a sacred crop, the government has argued, not open to trade negotiations. Its farmers are not just defenders of a proud agrarian heritage, but form the nation’s spiritual center as well.


Hardly, says Hiromitsu Konsho, a young organic rice farmer in this rice-growing region of Niigata. Many Japanese farmers have all but given up on their tiny plots, he says. They earn most of their income elsewhere, farming only part time and paying little attention to improving their crops.


Yet, kept on life support by subsidies, production controls and tariffs, these farmers grow mediocre rice year after year, he says. Now an increasing amount of this rice has nowhere to go, as Japanese favor bread over their traditional staple. The government will soon raise subsidies that encourage farmers to divert their rice to animal feed.


More enterprising farms face difficulty in expanding their plots or experimenting with more sustainable cultivation, steps that would let them better compete in a free market.



Hulled rice, at left, and rejected rice and small rocks, right. 



Mr. Konsho points to his Echigo Farm, a rare upstart in rural Japan, whose organically grown rice sells at high-end retailers as far away as Tokyo and Singapore. It faced difficulties at first, but now its rice has become a hit, fetching 5,500 yen per kilogram, or about $24 a pound — almost 10 times the market price.


“It’s high time to revive Japanese rice farming,” Mr. Konsho said.


Echigo Farm almost did not get off the ground 10 years ago, when Mr. Konsho first came to Niigata from a Tokyo office job with the idea of starting an organic rice farm. Bureaucrats tried to block his land leases. Local farmers threw rocks into his rice paddies and flung salt at him, an insult reserved here for evil spirits.


“The idyllic rice farms most city people think of are things of the past,” Mr. Konsho said. “Rice farming is collapsing, and not because of free trade.”


The recent debate over how much Japan should open up its agricultural sector to join a proposed free trade group led by the United States, the Trans-Pacific Partnership, is opening up new rifts in Japan, rifts that defy traditional urban-rural divides. Increasingly, urban Japanese — and even some farmers — are questioning exactly what those tariffs protect.


Japan has signed only a few limited free trade agreements, thanks to its tough stance on agricultural tariffs. Consumers pay more than twice the global average price for rice, and four times more for wheat.


Still, Japan won’t give an inch on farming tariffs, Akira Amari, Japan’s trade minister, declared at the latest talks for the Trans-Pacific Partnership last month, holding up talks at the 11th hour. The T.P.P., which involves the United States, Japan and 10 other Pacific Rim nations, would create the world’s biggest free trade zone.


Tens of thousands risk losing their livelihoods if farming tariffs are brought down, critics said at a recent national rally against the T.P.P. in Tokyo.


“How is the government going to protect all the small-time farmers scattered across the country?” said Kazumori Yamazaki, a rice farmer from Ishikawa in central Japan.


Shigeaki Okamoto, 52, who runs a successful fruit and vegetable farm in Aichi, in central Japan, says Japanese farmers can compete without tariffs. Unlike rice, Japan-grown vegetables face global competition, with most import levies between 0 percent and 3 percent. Still, four-fifths of the vegetables the Japanese consume are homegrown. Vegetable growers on average earn far more than rice farmers.

Indeed, Japan’s stiff protections on rice no longer have much to do with protecting farmers, Mr. Okamoto says. They instead protect a sprawling network of farm co-ops that has leeched off farmers and stymied their efforts to innovate, he says.


That network, as Mr. Okamoto likes to say, is bureaucracy run amok. About 216,000 people work in agricultural cooperatives in Japan, under the umbrella of the Japan Agricultural Group, or J.A. There is one co-op employee for every two full-time rice farmers. The central government’s ¥2.3 trillion farming budget for the current year is seven times the budget to oversee the nonagricultural 99 percent of the Japanese economy.


Much of that money makes its way to these co-ops, charged with administering production controls on rice, as well as its sales and distribution. Under that system, farmers receive subsidies in exchange for limiting the amount of rice they grow, which keeps rice prices high and small, part-time rice farmers in business. The average Japanese rice farmer spends only about 30 days a year on agricultural work, and over half of all farmers till less than a hectare each of land, about 2.5 acres, according to the latest census data.



Workers at Echigo Farm prepare gift packages of rice, a tradition at the end of the year. The farm’s organic rice is popular. 



The tiny farms find it impossible to achieve economies of scale. But that suits the J.A. just fine, because the organization gets commission income from collecting and selling their crop — something larger, dedicated farms could do on their own. The J.A. also makes money selling small farmers the machinery, fertilizer and pesticides necessary for growing rice part time.


In addition, the J.A. acts as financier to Japanese farmers, handling deposits, loans and insurance in a side business that has made it one of Japan’s largest financial organizations.


Japan could make a full switch to direct-income subsidies, like the United States and European Union have done, which would at least protect farmers against international competition without the need for tariffs. But that would mean the J.A. would lose its commissions and its political clout.


The rise of entrepreneurial farmers like Mr. Konsho or Mr. Okamoto would have the same impact because they do not rely on the J.A. for sales or equipment.


Mr. Okamoto refused to work with the J.A. in expanding his farm, focusing on produce like strawberries, which he is able to sell independently. “Japan’s agricultural policy hasn’t made farmers strong — it’s made them weak to the point of collapse,” he said.


But the biggest problems lie in rice cultivation, Mr. Okamoto says. Most Japanese rice farmers have no incentive to raise the quality of rice they grow, because J.A. buys their harvest regardless of quality. Years of neglect have made Japanese rice not just more costly, but also lower in quality — and more dependent on fertilizer and pesticides — than much of the rice grown in the United States, Southeast Asia or China, industry insiders say.


Regulations that discourage new entrants have made the sector unattractive to younger Japanese. Three-quarters of Japanese farmers are over 60 years old.


One thing that could help entrepreneurial farmers, Mr. Okamoto says, could be the “special economic zones” that are part of Prime Minister Shinzo Abe’s plans to revive the economy. Under those plans, several areas across Japan could experiment with easing regulations, helping farmers to tap outside financing to invest and to expand their fields. Mr. Abe has also said that the government will do away with production controls of rice in 2018.


Experts remain skeptical, however, that there will be real change. Production controls live on even under Mr. Abe’s new plans, albeit as subsidies to farmers who switch to other crops or produce rice for livestock.


Politicians cannot afford to ignore the J.A. The organization is able to deliver votes in rural areas, especially among legions of part-time rice farmers — not to mention dole out much-coveted jobs for farmers’ children.


Kazuhito Yamashita, an agricultural expert at the Canon Institute for Global Studies in Tokyo, said that at Trans-Pacific Partnership negotiations Japan could be forced to offer concessions to the Americans on some farm products, like wheat and sugar. Japan could even expand the small quota of rice imports it accepts each year to appease the United States and other rice producers.


“But Japan will never free up its rice market in the real sense,” he said. “There are too many vested interests.”


Toyokazu Wakatsuki, 47, a farmer whose family has farmed rice for generations in Aga, was initially among local farmers skeptical of Echigo Farm. But now he helps Mr. Konsho run it.

“We’ve been growing rice for the J.A., not for the consumer,” Mr. Wakatsuki said. “Farmers need to start taking the initiative.”




728x90

가뜩이나 어려움에 처해 있는 한우 농가들이 줄도산하게 생겼다.

엊그제는 한우 농가에서 축협 등과 짜고 보험사기를 벌이다 걸린 일이 폭로되었다.

호주와 자유무역협정이 체결된 오늘, 가만히 생각하니 혹시 그게 기획된 건 아닐까 하는 의구심도 들더라.

아무튼 농업은 더욱더 벼랑 끝으로 몰리게 생겼다.

이른바 경쟁력을 갖춘 몇몇만 살아남을 것 같아 걱정이다.

---------



국회비준 거쳐 이르면 2015년 발효…쇠고기 관세 2030년 완전 철폐
가전제품도 즉시철폐…ISD 조항 한-미 FTA 수준 삽입 

한국과 호주의 자유무역협정(FTA) 협상이 실질적으로 타결됐다고 정부가 5일 선언했다.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4일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앤드루 롭 호주 통상장관과 회담을 열어 한-호주 FTA 협상이 실질적으로 타결됐음을 확인했다고 5일 발표했다.

양측은 기술적 사안에 대한 협의와 협정문 전반의 법률적 검토를 거쳐 내년 상반기 중 FTA 협정문에 대한 가서명을 추진키로 하는데 원칙적으로 합의했다.

이에 따라 양국에서 국회 비준 절차가 차질없이 이뤄질 경우 이르면 2015년부터 한-호주 FTA가 발효될 것으로 예상된다.

호주와의 FTA 협상은 2009년 5월 시작해 4년 7개월 만에 실질적으로 타결됐다.

한국과 호주는 3일 WTO 각료회의가 열린 발리에서 제7차 FTA 공식협상을 진행했다.

양국은 협정 발효 후 8년 이내에 현재 교역되는 대다수 품목에 대한 관세철폐에 합의했다.

한국의 대(對) 호주 주요 수출품목인 자동차(관세율 5%)의 경우 주력품목인 가솔린 중형차(1천500∼3천㏄), 소형차(1천∼1천500㏄) 등 20개 세번(수입액 기준 76.6%)에 대해 즉시 관세철폐에 합의했다.

나머지 승용차(수입액 기준 23.4%)는 3년간 철폐한다.

자동차 관세를 즉시 철폐 조건으로 타결하는 것은 한-호주 FTA가 처음이다.

산업부는 "그동안 다른 FTA에서는 자동차 관세를 보통 3∼5년 후 철폐하는 조건으로 합의됐는데, 이번에는 즉시 철폐로 결론이 났다"고 설명했다.

우리 측 주요 관심품목인 TV·냉장고 등 가전제품(관세율 5%), 전기기기(대부분 5%), 일반기계(5%) 대부분의 관세가 즉시 철폐되고 자동차부품(관세율 5%)은 3년내 철폐를 확보했다.

쇠고기에 대해서는 15년간 관세철폐 양허 및 농산물 세이프가드를 통해 시장 개방에 따른 국내 영향을 최소화하기로 했다고 윤 장관은 밝혔다.

2015년 한-호주 FTA가 발효될 경우 매년 2∼3%씩 관세를 단계적으로 낮춰 오는 2030년 현재 40% 수준인 관세를 완전 철폐하는 개념이다.

산업부는 "쇠고기와 낙농품은 한-미 FTA보다도 더 보수적인, 말하자면 더 좋은 조건에서 막아냈다"고 말했다.

그러나 국내 수입쇠고기 시장에서 점유율 1위를 차지하는 호주산 쇠고기의 관세가 단계적으로는 축소되게 돼 국내 축산물 시장과 축산농가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쌀과 분유·과일·대두·감자 등 주요 민감품목들은 개방 대상에서 제외했다.

우리에게 유리한 조항인 투자자국가소송(ISD) 조항은 관철했다.

호주는 2004년 미국과 FTA를 체결할 때도 ISD 조항을 제외시켰다.

ISD는 기업이 투자 상대국의 법령·정책 등으로 피해를 봤을 때 국제중재를 통해 피해를 구제받을 수 있는 일종의 국제소송으로, 자국기업의 해외투자가 많은 나라에는 유리하고 반대로 외국기업의 자국투자가 많은 나라에는 불리하게 작용한다.

호주는 대표적인 자원부국으로 외국기업의 투자가 많아 줄곧 ISD 조항 삽입에 반대해왔다.

개성공단 제품의 한국산 원산지 인정을 위한 협의도 신속하게 진행되도록 합의했다.

6개월 뒤 역외가공위원회를 개최하고 1년에 두 차례씩 열기로 했다.

한국은 호주와 2009년 5월부터 이듬해 5월까지 5차례 FTA 공식협상을 진행하다가 ISD, 쇠고기 시장접근 문제 등으로 교착상태에 빠졌다.

이후 3년 6개월 만인 지난달 서울에서 열린 한-호주 통상장관 회담에서 FTA 공식협상 재개에 합의한 뒤 곧바로 6차 협상에 착수했고 3일 7차 협상을 이어갔다.

한편, 정부가 협상 참여에 '관심 표명'을 한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참여국인 호주와의 양자 FTA가 사실상 타결됨에 따라 한국의 TPP 협상 관련 입장에도 참여 쪽으로 무게가 실릴 것으로 전망된다.

(서울연합뉴스) 옥철 기자 oakchul@yna.co.kr


728x90
두 사람이 한 자리에 모여 이야기한다는 오늘...
하나도 반갑지 않다.




요즘 한중 FTA에 쌀 시장 전면개방 문제까지 걸려 있기에...
둘이 만나 그런 걸 조율하려는 것이겠지.

아래의 전문만 봐도 그런 분위기가 물씬 풍기는구만.
--------


예산 마무리 등으로 바쁘신 중에도 농업․농촌에 대해 애정과 관심을 가지고 간담회에 참석해 주신 부총리님과 기획재정부 관계자 여러분께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정부 부처가 최초로 이런 자리를 마련한 것 자체가 농업계에 큰 희망과 힘이 될 것입니다.

오늘 간담회는 경제 컨트롤타워인 기재부와 농업과 농촌정책을 총괄하는 농식품부가 한자리에 모여, 우리 농업․농촌에 대한 인식을 같이하고 발전방안을 모색하는 등 소통과 협력을 강화하는 매우 뜻 깊은 자리라고 생각합니다.

특히 쌀 목표가격 변경, 고추․축산물 등 가격하락, 농산물 수급불안 등 농정 현안과 함께 한․중 FTA 추진에 따른 농업인들의 불만과 우려가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아주 시의적절하고 의미 있는 행사입니다.

농식품부는 농업과 농촌의 본질적 가치를 바탕으로 ‘희망찬 농업, 활기찬 농촌, 행복한 국민’을 농정비전으로 설정하고, ‘국민행복’의 관점에서 국민 개개인의 피부에 와 닿는 변화를 실천하는 자세로 정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농식품 분야의 국정과제를 속도감 있게 추진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농어업재해보험 개편방안(5월2일)‘, ’축산농가 경영안정대책(4월15일)‘, ’유통구조 개선대책(5월27일)‘ 등을 마련하였습니다.

또한 농업·농촌의 본질적 가치에 대한 국민적 이해와 공감대를 형성하고 중장기 발전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 발전계획’을 마련, 조만간 확정 발표할 계획입니다.

이번 계획을 토대로 농식품 분야의 국정과제를 더욱 속도감 있게 추진하는 한편, 한·중 FTA를 앞두고 대통령님께서 말씀하신 농정의 3대축(소득, 복지, 경쟁력)을 완비해 나갈 것입니다.

이를 위해 농업의 6차산업화, 직불금 확충 등 농업인 소득증진, 영세․고령농 등 취약계층에 대한 배려, 농촌의 복지․생활여건 개선, 밭농업 경쟁력 강화, 농업후계인력 육성 등 지속가능한 농업을 위한 경쟁력강화 대책 등의 과제를 중점 추진해 나갈 계획입니다.

현재 농업과 농촌의 문제는 농식품부 혼자만의 노력으로는 해결하기 어려운 복잡하고 힘든 상황입니다.

오늘 이 자리에서 기재부와 여러 현안에 대해 허심탄회한 논의를 통해 상호 이해의 폭을 넓혔으면 좋겠고 경제컨트롤 타워인 기재부가 우리 농업·농촌 문제 해결을 위해 중심을 잡고 적극적으로 지원해 주시기 바랍니다.


---------



농식품부 장관님과 실국장 여러분, 반갑습니다. 


특별히 기재부와 농식품부가 농정현안에 대해 논의하는 자리를 마련하게 된 것을 매우 뜻깊게 생각합니다. 

그동안 두 부처는 같이 많은 일을 해 왔지만, 이렇게 마주앉아 정책을 논의하기는 처음입니다. 
앞으로 다른 부처와도 간담회를 가지겠지만 농식품부를 가장 먼저 초대한 것은 국가의 근간인 농업의 중요성 때문입니다. 

아마도 그동안 농식품부에게 기재부는 경제논리만을 따지는 차가운 부처로 보였을 것 같습니다.
반대로 기재부의 입장에서는 농업의 특수성과 농민 보호만을 주장하는 농식품부가 이해하기 어려운 부처로 보였을지도 모릅니다. 

오늘 이 자리를 통해 서로 자기 부처의 입장에서만 상대를 보는 시각을 벗어 버리고, 두 부처가 공감을 바탕으로 따뜻한 농업정책을 만들어내기를 진심으로 바랍니다.

우리 경제에서 농림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총 부가가치의 2.0%(26조2000억 원), 총 취업자의 6.2%(152만 명) 수준입니다. 
통계상으로 비중은 크지 않으나 농업은 국민의 먹거리와 식량안보를 책임지는 ‘국가의 근간’입니다. 

현재 우리 농업은 인구의 고령화, 도시와 소득격차 확대, FTA로 인한 시장개방 압력 등 수많은 과제에 직면해 있습니다. 
이러한 당면과제에 어떻게 대처하는지에 따라 우리 농업은 더 이상 어렵고 힘든 산업이 아니라 완전히 새로운 산업, 미래의 성장동력으로 탈바꿈하는 기회가 될 수도 있습니다. 

먼저 추석과 같은 명절만 다가오면 되풀이되는 우리 농산물의 수급과 유통구조에 대해 보다 깊이 고민해봐야 하겠습니다. 
농민들은 제값을 받지 못하는데 소비자들은 비싼 가격을 지불해야하는 문제가 오래도록 제기되어 왔습니다. 또한 농산물 수급의 미스매치와 이로 인한 가격 급등락 역시 여전히 고질적 문제로 남아 있습니다.
그런 차원에서 정부가 지난 5월 유통구조 개선을 위한 대책을 발표했는데, 이러한 농업 구조개선 대책이 제대로 추진되어야 농업이 국민에게 사랑받는 산업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다음으로는 우리 농산물의 수출확대에 관한 문제입니다. 
우리 농산물이 안전한 고품질 제품으로 인정받으면서 일본과 중국 등에서 수요가 계속 늘고 있습니다. 
특히 중국은 소득이 증가하면서 안전한 먹거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우리 농산물에 대한 잠재적 수요가 대단히 높습니다. 게다가 중국은 거리도 가까워 내수 시장과 다르게 볼 이유도 없습니다.
따라서, 우리 농산물의 수출확대 정책을 더욱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할 것입니다. 우리 농업이 좁은 국내 시장만을 볼 것이 아니라 세계 시장으로 진출할 기회가 온 것입니다.

다음은 그동안 농업의 구조개선을 위해 많은 대책과 예산을 투입했지만, 아직 우리 농업 경쟁력은 높지 않다는 점입니다.
여러 FTA를 체결하면서 보완대책 차원에서도 많은 대책들을 시행하고 예산을 투입했는데도 왜 효과가 없었는지, 그리고 앞으로 우리의 농업경쟁력 제고를 위한 정책을 어떻게 가져가야 할지 고민해보고 싶습니다. 

최근 귀농․귀촌 인구가 크게 늘어나고 있다고 합니다. 
농촌의 고령화가 심각한 수준이고, 일할 사람이 줄어드는 상황에서 새로운 인력이 농촌으로 향하고 있다는 것은 무엇보다 반가운 소식이 아닐 수 없습니다. 

우리의 가치관도 많이 바뀌었습니다. 
소득 증가에 따라 삶의 질을 추구하고 바쁘게 돌아가는 도시의 삶보다 ‘슬로 라이프(Slow Life)’를 추구하며 전원으로 돌아가려는 사람들도 많습니다.
농식품부의 농업·농촌 6차 산업화를 통해 이런 변화를 제대로 수용하여 농업과 농촌이 새로운 산업과 삶의 터전으로 발전하기를 바랍니다. 농민들과 정부가, 농식품부와 기재부가 함께 힘을 모아 해결해야 할 일이 여전히 많습니다. 

모쪼록 오늘 간담회로 농식품부와 기재부가 서로를 이해하는 폭이 넓어지고 협업이 더욱 증진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