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축산악취에 관한 이런 기사를 보았다. http://www.kocus.com/news/articleView.html?idxno=393217



미국처럼 땅이 넓고 인적이 드문 공간에서 대규모 축사를 운영해도 환경오염 문제가 제기되는데, 한국처럼 땅이 좁고 더구나 곳곳에 자연적으로 형성된 마을이 존재하는 곳에서 대규모 축사는 정말 골칫덩어리이다. 이건 겪어보지 못한 사람은 정말 알지 못한다. 

지역에 내려와서 살아보니 수도권에서는 느끼지 못했던 축산 악취가 바람에 따라 수시로 날아와 참 불편했다. 수도권 주민들은 고기의 은혜를 받으면서 그 피해는 아무것도 감당하지 않기에 아무것도 모른다. 마치 핵발전소와 화력발전소로 전기의 혜택을 보면서 그 피해나 위험에 대해서는 아무것도 모르는 것처럼 말이다. 지역민들만 현수막을 내걸고 대규모 축사가 들어서는 걸 결사반대한다. 그러나 그 목소리는 사람들에게 미처 닿기도 전에 지역 특유의 힘의 논리에 의해 묵살되기 일수이다. 

요즘 농업에서는 그나마 축산이 돈이 되기에 우후죽순처럼 축사들이 들어서고 있는데, 예전과 다른 점이라면 이제는 규모의 경제에 따라 소 서너 마리 수준이 아니라는 것이다. 돼지나 닭은 말할 것도 없고... 가축의 분뇨를 자원화한다며 퇴비를 만드는 시설들이 들어서고는 있지만 그것도 대안이라고 하기에는 어려울 것 같다. 그렇다고 예전처럼 집집마다 가축 몇 마리씩 키우며 소 한 마리 팔아 자식 대학 보내고 그러기에는 사회가 많이 변하여 소 한 마리로는 어림도 없다. 소규모 가족농이 탄탄하게 뿌리를 내리고 살아가는 지역사회가 여기저기 존재한다면 무언가 다른 대안이 가능하겠지만, 이제는 그렇게 할 수 있는 곳이 별로 없다는 것도 현실이다. 그런 곳으로는 안동 지역의 '지역순환형 자급축산' 모델이 참 괜찮은 사례 같다. http://news.kbs.co.kr/news/view.do?ncd=3442610

그렇다고 도시의 사람들에게 고기를 끊거나 줄이라고 강제할 수도 없고, 혹 그렇게 한다면 외국에서 마구 수입해다 먹겠지?

유럽 같은 곳에서는 어떻게 해결하고 있을까? 거기도 유토피아는 아닐 것이라 생각하지만, 참고할 만한 사례들은 있겠지. 그런데 유럽의 사례를 보다 보면, 그곳은 가족농이라도 소규모가 아닌 우리가 생각하던 것 이상의 대규모라서 가능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들곤 한다. 가족농의 농장이 몇 만 평씩 한다고 그러지 않던가. 우리도 농민의 인구가 줄어들면서 한 농장의 규모가 유럽처럼 규모화되고 그러면 좀 나아지려나? 어떻게 변화해 갈지 예의주시할 수밖에. 



728x90
이런 종류의 책이 한국에서도 출간될 수 있으면 좋겠다.
우린 말이 아니라 소가 되겠지. 그래서 이런 외국도서를 번역해서 출간하기가 힘든 것이다. 참고하는 수준은 되겠지만 "나랏말싸미 듕귁에 달아 문자와로 서르 사맛띠 아니할쌔"와 같은 경우랄까.

아무튼 아래의 두 책은 참 재미나겠다.

말로 농사짓는 농장: 소규모 지속가능한 생계농을 위한 도구와 체계 http://www.amazon.com/The-New-Horse-Powered-Farm-Small-Scale/dp/1603584161


21세기에 말로 농사짓기: 유기농민을 위한 도구, 방법, 관리 가이드 http://www.amazon.com/Horse-Powered-Farming-21st-Century-Management/dp/160358613X



728x90

'농담 > 농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텃밭의 두둑은 어떻게 만드는 것이 좋을까요?  (0) 2016.03.09
한가하여 떠오른 아이템  (0) 2016.02.26
배추를 왜 묶어주는가?  (0) 2015.11.25
농생태학은 무엇인가?  (0) 2015.11.12
케냐의 생태농업  (0) 2015.10.23

먼저 방글라데시의 산간 지역에서 밭벼 농사를 짓는 농민들. 수확에 한창이다. 낫으로 벼를 베어 머리로 고정시킨 바구니에 휙 뒤로 던져 넣는 모습이 인상적이다. 


그렇게 수확한 벼 등의 곡식은 절구질을 하여 껍질을 제거하고 먹는다. 나무 절구와 공이 등이 예전 한국에서도 쓰던 것과 비슷하다. 



다음은 인도의 벼농사 모습이다. 못자리에서 여성들이 모를 찌고, 남성은 겨리질로 논을 써리고 있다. 써레 같은 것도 한국에서 예전에 쓰던 것과 흡사하다. 논농사 모습은 어디나 비슷한 것일까? 아니, 농사짓는 모습은 어디나 비슷한 것일지도.



족답식 탈곡기를 이용해 벼의 낟알을 떠는 모습. 저 탈곡기는 안 쓰이는 곳이 없는가? 한국에서도 과거 엄청나게 사용하던 것이다 .




무언가를 심고 있는 모습인데 무언지 모르겠다. 골을 타서 거기에다 심는다. 대파 같은 것일까? 저런 자갈밭에 무얼 하는 것인지 가서 물어보고 싶다.




연출된 사진이라는 티가 많이 나지만, 못자리와 거기에서 모를 찌고 있는 여성들의 모습에서 볼 바가 많다. 한 여성은 대야를 뒤집어 의자 대신 사용하고 있다. 못자리의 규모로 보아 본논이 엄청나게 큰 것 같다. 




역시 아시아는 벼농사가 주를 이룬다. 모내기하는 모습이 너무나 인상적이다. 일렬로 늘어서 못줄 등과 같은 걸 이용해 모를 내는 것이 아니라 아무렇게나 서서 막모를 내고 있다. 예전 조선의 모내기가 이와 비슷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새로 정비한 논두렁이며, 모내기를 마친논과 이제 모내기를 하려고 모를 던져 놓은 논, 그리고 아직 못자리가 남아 있는 논이 모두 흥미롭다. 이 날은 아마 비가 오는 날인가 보다. 파란색 옷은 그래서 우비인 것 같다. 한 사람은 우비가 없어 그냥 우산을 쓰고 일하고 있다.






필리핀의 물소. 코를 꿴 모습이며 멍에 등이 한국의 일소와 닮았다. 



미나리인지 고수인지를 옮기고 있는 필리핀의 농부.






인도네시아의 모내기 모습. 길다란 다 자란 모를 심는 것과 못줄을 띄우지 않고 대나무(간격을 표시했는지는 모르겠다)를 이용해 모내기하는것이 눈에 들어온다. 한 그루에 포기 수는 3포기 안팎인 듯하다. 이런 방식도 모두 한국의 예전 농사와 닮았다.



티모르. 무슨 일을 하는지 정확히 모르겠다. 갈아놓은 논에서 줄을 띄우고 있는 것 같긴 하다. 





베트남. 물소에 올라탄 아이가 보인다. 어릴 적 시골에서 저러고 놀기도 했는데...




곡물을 옮기고 있는 베트남의 농부.



베트남 북부의 농민 같다. 써레로 밭의 흙을 고르게 펴는 모습이다. 아이들도 괭이를 들고 돕겠다고 나섰는가 보다.





옥수수를 선별하는 미얀마의 농민.







중국의 농부가 닭들에게 모이를 주고 있다. 






728x90

'농담 > 농-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쌀을 숭배하는 일본인  (0) 2015.01.01
잡초를 먹자  (0) 2015.01.01
국제 가족농 사진 대회 수상작  (0) 2014.11.07
강원도는 왜 감자인가?  (0) 2014.07.16
음식물 쓰레기를 줄여라  (0) 2014.07.04

2014년은 유엔에서 정한 국제 가족농의 해이다.

이를 기념하여 가족농 사진 대회를 열었으니... 그 수상작들은 아래와 같다.  














728x90

'농담 > 농-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잡초를 먹자  (0) 2015.01.01
아시아 지역의 농민들  (0) 2014.11.07
강원도는 왜 감자인가?  (0) 2014.07.16
음식물 쓰레기를 줄여라  (0) 2014.07.04
한여름의 행복  (0) 2014.06.27

이 글은 2014년 4월 6일 서울의 노들텃밭에서 열리는 제1회 토종 나눔축제에서 있을 발표회 자료집에 실리는 일본 발표자의 글입니다. 

우리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많고, 정리가 잘 되어 있어 소개합니다. 

---------




씨앗은 생명의 신비를 상징한다. 그리고 지구상의 모든 생명의 기반이며, 인간의 노동이 깊이 가미된 최고의 선물이다. 지금, 씨앗의 다양성과 그 미래는 돌이킬 수 없을 정도로 위기에 처해 있다.


 『토양, 물, 유전자원은 농업과 세계 식량안보의 기반을 구성하고 있다. 이들 중 가장 이해되지 않고, 또 가장 저평가되고 있는 것이 식물유전자원이다. 그것은 또한 우리의 배려와 보호에 의존하고 있는 자원이기도 하다. 그리고 아마 가장 위기에 처해 있다』 (FAO: 식량・농업을 위한 세계 식물유전자원 백서 1996)

『유전자의 다양성은 지구적 규모로 감소하고 있으며, 특히 재배종에서 두두르진다.』 (국제연합 밀레니엄 생태계 평가 2005)

『20세기에 농작물의 유전적 다양성 가운데 90%가 사라졌다.』(CIP-UPWARD 2003)




식물 씨앗의 중요성


생물다양성 조약이 대상으로 하는 다양성은 생태계 수준, 종의 수준에 덧붙여서 종의 변이가 포함되어 있다. 우리의 생활에 가장 친밀한 생물다양성은 재배식물과 가축 종의 변이에도 불구하고, 이와 같은 변이(품종 등)가 생물다양성의 중요한 일부라는 사실은 별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유전자원의 사용과 그 이익배분에 관한 국제정치의 관점에서 이루어지는 논의만이 아니라, 재배식물 종 수준의 다양성으로서 토종을 길러온 지역 농가의 인식이나 직접이용가치의 관점에서 논의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식물은 단순한 자원물질이 아니라 생명을 지닌 것이며, 오랜 역사를 통해 생태계 안에서 자연선택을 받으면서 진화를 계속해 생물군집, 종, 개채군 및 유전자 수준의 생물다양성을 축적해 왔다. 또한 재배식물은 근친 야생종과 연속적으로 존재하고, 자연선택 외에도 농경에 의한 인위선택도 받고, 지역 고유의 환경에서 인간과 재배식물은 오랜 시간에 걸쳐 적응하며 풍부한 생물문화다양성을 지탱해 왔다. 그러나 재배식물은 최근 생산효율성을 중시하는 농업이 급속하게 확산되면서 농(農)과 식(食)의 문화다양성과 함께 품종의 다양성이 퇴색되고 있다. 식물의 씨앗(종자 및 번식체를 포함)은 모든 생물의 생명을 연결하는 것이며, 태고부터 자연과 인류의 조상이 키워온 것으로서, 특정 개인과 기업의 상업적 독점물이나 조약으로 주권을 인정받고 있는 국가의 소유물이 아니다. 자연생태계와 농경지에서 식물 씨앗의 서식지가 보전되어야 창조적, 지속적인 종의 진화가 보장되고, 생물다양성을 더욱 풍부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생물다양성과 문화다양성을 통합하는 씨앗의 보존 방법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인간과 씨앗의 미래를 위한 제언


1. 국제연합은 생물다양성 조약에서 생물을 물질적으로 환원하고, '유전자원genetic resources'이라는 가공하여 이용할 가치를 중시하는 경제적 표현만을 사용하며, 구체적으로 생물적 내용을 나타내고 있지 않기 때문에, 조약의 문언 정의에 구체적으로 "씨앗 등 모든 번식체를 포함한 생명을 지닌 것"이란 표현을 보충하여 추가해야 한다. 

 또한 골고루 식물의 중요성을 감안하여, 특정 유용식물만을 보전해야 할  유전자원의 대상으로 표시해서는 안 된다.


2. 각국 정부는 지구환경의 열악화 및 인구의 급증에 따라 앞으로 자연재해의 발생과 식량생산 부족이 예상되기 때문에, 식량안보에서 세계시장에 대응한 씨앗의 보전・공급 전략을 자리매김해야 한다. 생물다양성 조약에서는 지구적인 시점에서 주요 재배식물종의 보전 및 국가 수준의 식량안보에 관해서만 기술하고 있지만, 지구 고유의 환경에 적응, 진화해 온 유용한 야생식물, 생활문화와 밀접한 재배식물 및 그 토종 품종이 많다는 것을 조사・인지하고, 그것을 이용하는 사람들의 주권을 인정하고 적절한 보호조치를 취해야 한다. 


3. 각국 정부 및 농업 관련 단체는 현지외에서 씨앗을 보존하는 종자은행은 어디까지나 보조적 수단임을 인식하고, 현지내에서 계속적으로 재배하면서 자연선택과 인위선택이 일어나고 있는 농경지에서 재배식물의 씨앗을 보존해야 한다. 그러나 곡물과 환금작물을 생산, 판매하는 상업자본의 진출로 지역의 농경지 자체를 사람들에게서 빼앗는 현상도 벌어지고 있어 농지정책과 연관하여 씨앗의 보존을 위한 시책을 강구해야 한다.

씨앗은 국가 수준의 식량안보만이 아니라, 지역・공동체 및 각 가정 수준에서 식량주권을 보장하는 중요한 역할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선진국, 개발도상국을 불문하고 생물다양성과 관련된 식물의 신품종보호에 관한 국제조약 등의 보급에 따라, 각각의 국내에서 사람들의 식량주권을 침해하는 지적재산권과 개량품종의 사용을 강제하는 종자법의 정비가 이루어지게 되었다. 이에 따라 개별 지역에서 적응해 온 토종이 자가채종에 의해 존속되는 것이 저해되어, 가족농과 토착민 및 자급하는 시민의 기본적 생활기반이 위협을 받고 있다. 오랜 역사를 지닌 그들의 전통지식 체계와 농경문화에 존경심을 가지고 지역에서 유용한 야생식물과 토종 씨앗을 지속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인정해야 한다.


4. 일본 정부는 농업단체, 환경단체 및 시민과 협동하여 농가와 텃밭에서 자급하는 시민의 자가채종은 기본적 생활기반이기 때문에 씨앗의 자유로운 관계를 미래에도 보장해야 한다. 또 재배식물의 품종에 관해서는 생물다양성 조약과 비교하여, 일정 정도 다양성의 수호자인 농민의 역할에 대해 명시한 식량농업식물유전자원 조약을 비준할 것을 제언한다. 

또한 신품종 육성자의 권리보장에 대한 본연의 자세 및 종자공급의 공정한 새로운 구조를 만들고, 종자회사의 제품에는 방사선 조사, 웅성불임 등의 육종방법에 대해 자세히 표시하도록 국내 관계 법령 및 조직과 제도를 정비해야 한다. 


5. 전 세계의 시민은 생물다양성 조약이 환경윤리, 생명윤리, 미래세대 및 개발도상국・지역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고려하여 인간과 씨앗의 미래를 위하여 지역적으로 시민 종자은행을 만들어서, 이를 기반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해 국내외적으로 널리 협동해야 한다. 인간의 삶에 도움이 되었던 재배식물의 토종 및 그 씨앗 보전의 긴급성에 대한 인식 자체가 부족하기 때문에, 모든 생명의 생물문화다양성 보전을 평생학습, 환경교육, 평화교육, 먹을거리와 농사교육 등의 중요한 과제로 삼아 이러한 지식과 기술을 널리 알리고 보급, 계발해야 한다.




세계의 현황


세계적으로 보아도 밀, 벼, 옥수수와 이에 이어서 감자, 보리, 콩, 수수 등 주요한 식량작물 등의 몇몇 종은 대규모 단작에 의한 상품작물로, 광대한 면적에서 그 개량품종을 재배하고 있다. 녹색혁명은 어찌 보면 곡물 종자의 생산 증가를 이루었다. 그러나 유축농경에 필요한 식물체의 줄기와 잎을 포함한 바이오매스의 생산이란 측면에서 보면, 또는 장기적으로 보면 반드시 성공한 사례는 아니다. 현대의 농업기술이 전통사회의 토지소유제도 등 문화적 배경을 고려하지 않고 도입되어 빈부격차를 증대시키고, 지역사회를 분단시키며, 지속가능성을 뚜렷하게 떨어뜨린 사실은 부정할 수 없다. 현대의 기술로 개량된 품종의 도입은 다양성이 풍부한 지역에 유전적 침식을 불러일으켜 토종을 쫓아내는 한편, 일부의 선진국이나 기업에 의하여 수집된 유전자원 종자의 독점, 신품종의 특허등록, 유전자변형 작물의 문제 등 통합적으로 살펴야 할 과제가 산처럼 쌓여 왔다. 한편, 전통적인 자급농, 가족농, 유기농법과 자연농법 등 저투입 지속형 농업은 미래를 향한 전통지식 체계를 계승하고, 지속가능한 사회를 만드는 데 없어서는 안 될 것으로서 재평가해야 한다. 확실히 씨앗은 개발도상국의 농촌개발 및 인간개발에 필수적인 요소이다. 이와 같은 재평가를 실천하고 있는 국제기관, NGO, 시민단체 등의 활동은 많이 보고되어 있고, 유전자원의 경제적 측면을 강조하는 국제 체제에서 인간의 삶을 지키기 위해서라도 더욱더 네트워크를 구축해야 한다.




일본의 현황


일본은 남북 3000Km에 이르는 바다로 둘러싸인 길쭉한 국토에 화산과 급류 하천이 많고, 각 지방은 냉대에서 아열대에 이르는 다양한 자연환경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국토의 약 64%는 산지로서 산림 면적의 대개는 인공림이 차지하고 있으며, 2차대전 이후 확대조림 정책에 따라 삼나무, 노송나무, 소나무, 낙엽송 등 제한된 종만이 대규모 단작처럼 심어졌다. 그로 인해 치산치수에 따른 국토보전, 임업의 진흥에 의한 산촌 활성화에 실패하며 과소, 고령화 등으로 일상생활을 유지할 수 없는 '한계마을'이 증가해 왔다. 

평야에서도 광범위하게 도시와 공업지가 확대되고, 농경지는 뚜렷하게 감소해 왔다. 뛰어난 농경기술을 이용한 몇몇 품종의 대규모 단작식 벼농사는 역설적이게도 논이란 특색 있는 농경지 생태계의 생물다양성을 약화시켰다. 농경기술의 고도화가 많은 화학비료와 농약에 의존하는 벼 재배 체계를 확립시키는 한편, 과잉생산을 조정하기 위해 농경지 축소 정책을 강요해 왔다. 식량자급이 눈에 띄게 낮아지고, 식량 수입에 의존하는 정책을 취하면서, 이상하게도 도시민은 막대한 음식물 쓰레기를 버리고 있다. 전업농이 계속 줄어들고 농경지도 감소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버려지는 농경지는 증가하고 있다. 

근대농업이 확립되기 이전 각지의 환경에 적응한 토종이 많이 재배되고 있었다. 그러나 벼농사에서도 밭농사에서도 농경지의 '구조개선'이 진행되어, 현재로서는 몇몇 재배종의 특정 개량품종만 생산되면서 일본의 농경지 생태계에서는 모든 생물종에서 다양성이 심각하게 상실되고 있다. 일본에서 기원한 재배식물은 고추냉이와 머위 등 손에 꼽을 정도밖에 없지만, 무와 순무, 가지, 오이, 절임거리 채소류 등에는 세계에 자랑할 만한 훌륭한 토종 품종이 많은 야채의 2차 다양성 센터였다. 에도시대에는 원예문화가 번성하여 벚꽃, 동백, 영산백과 변화나팔꽃 등 꽃나무와 화초에도 여러 품종이 만들어졌다. 유전학적으로도 민족식물학적으로도, 상당한 변이를 나타내는 토종이 여럿 존재하고, 사계절의 생활을 풍부하게 해주고 있었다.

토종 씨앗을 소중히 여기는 독농가, 텃밭 농부와 지역의 종묘상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인간과 씨앗의 미래에 관한 목표를 어느 정도 달성했는지 평가할 수 있는 구체적 연구자료와 목표 달성을 위한 행종조치는 불충분한 상태이다. 생산효율을 중시하는 벼농사 중심의 농업과 식량시장의 세계화, 소수 재배종의 몇몇 품종을 공적으로 장려하며, 지금까지 있었던 지역의 토종이나 농경지 생태계의 생물다양성이 쇠퇴해 왔다. 이는 벼뿐만 아니라 덩이뿌리, 콩, 야채 등 모든 재배식물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소규모 자급농의 자가채종 전통을 쇠퇴시켜, 앞으로 개별 지역에서 적응진화할 토종의 다양성이 확대될 가능성을 닫아 버렸다. 씨앗을 지켜오고 있는 지역의 종묘상, 독농가, 텃밭 농부도 '절멸 위기'에 처해 있다. 재배식물의 다양성이 인간과 식물의 지속적인 관계에 의해서만 유지되기 때문에, 지금을 놓치면 우리는 영원히 인류와 공생, 진화해 온 재배식물의 종다양성과 함께 조상으로부터 계승해 온 전통 지혜도 잃게 될 것이다. 



CBD 시민넷  인간과 씨앗의 미래작업모임 사무국

신청・문의:cbdseeds@yahoo.co.jp

728x90

Even in the International Year of Family Farming there is confusion about family farming. What is it, and what distinguishes it from entrepreneurial farming or family agribusiness? The confusion tends to be highest in places where the modernisation of agriculture has led society further away from farming. Jan Douwe van der Ploeg takes us into the world of family farming, which he says is considered to be “both archaic and anarchic, and attractive and seductive”.

Farming Matters | 29.4 | December 2013

What is family farming?

Bas, Henk and Corneel van Rijn, 5th and 6th generation farmers in the Netherlands (www.boerderijbuitenverwachting.nl). Photo: Bob van der Vlist
Bas, Henk and Corneel van Rijn, 5th and 6th generation farmers in the Netherlands (www.boerderijbuitenverwachting.nl). Photo: Bob van der Vlist
For many reasons, family farming is one of those phenomena that Western societies find increasingly difficult to understand. one of these reasons is that family farming is at odds with the bureaucratic logic, formalised protocols and industrial rationale that increasingly dominate our societies. This makes family farming into something that is seen, on the one hand, as archaic and anarchic, whilst at the same time it emerges as something attractive and seductive.

Family farming is also difficult to grasp because it is a complex, multi-layered and multi-dimensional phenomenon. Below, I identify ten qualities of family farming. These qualities are not always present at the same time in every situation. The most important thing to remember is that the reality of family farms is far richer than the two single aspects that are most commonly used to describe them: that the farm is owned by the family and that the work is done by the family members.

Family farming is not just about the size of the farm, as when we talk about small scale farming; it is more about the way people farm and live. This is why family farming is a way of life.

A balance of farm and family

Let’s take a look at these ten qualities. First, the farming family has control over the main resources (1) that are used in the farm. This includes the land, but also the animals, the crops, the genetic material, the house, buildings, machinery and, in a more general sense, the know-how that specifies how these resources need to be utilised and combined. Access to networks and markets, as well as co-ownership of co-operatives, are also important resources.

Family farmers use these resources not to make a profit, but to make a living; to acquire an income that provides them with a decent life and, if possible, allows them to make investments that will further develop the farm.

In addition the family farm is a place where the family provides the main part of the labour force (2). This makes the farm into a place of self-employment and of progress for the family. It is through their dedication, passion and hard work that the farm is further developed and that the livelihood of the family is improved.

The farm is there to meet the many needs of the family, whilst the family provides the possibilities, the means and also the limitations for the farm. This nexus between the family and the farm (3) is at the core of many decisions about the development of the farm. Each particular farm has its own specific balances, for instance between the mouths to be fed and the hands to do the work. These balances tie family and farm together and make each family farm into a unique constellation.

Linking past, present and future

But there is more than ownership and labour. Family farms provide the farming family with a part (or all) of its income and food (4). Having control over the quality of self-produced food (and being confident that it is not contaminated)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for farmers around the world – something that DeoSumaj highlights on page 16. However, the family farm is not only a place of production (5). It is also home to the farming family. It is the place they belong to, as much as the place that gives them shelter. It is the place where the family lives and where children grow up.

The farming family is part of a flow that links past, present and future (6). This means that every farm has a history and is full of memories. It also means that the parents are working for their children. They want to give the next generation a solid starting point whether within, or outside, agriculture. And since the farm is the outcome of the work and dedication of this and previous generations, there is often pride. And there can also be anger if others try to damage or even destroy the jointly constructed farm.

The family farm is the place where experience accumulates (7), learning takes place and knowledge is passed on, in a subtle but strong way, to the next generation (see the article by Robert Bishop). The family farm often is a node in wider networks in which new insights, practices, seeds, etc., circulate.

Tied to its environment

The family farm links past, present and future. Photo: Badstue / LEISA ArchiveThe family farm is not just an economic enterprise that focuses mainly, or only, on profits, but a place where continuity and culture are important. The farming family is part of a wider rural community, and sometimes part of networks that extend into cities. As such, the family farm is a place where culture is applied and preserved (8), just as the farm can be a place of cultural heritage.

The family and the farm are also part of the wider rural economy (9), they are tied to the locality, carrying the cultural codes of the local community. Thus, family farms can strengthen the local rural economy: it is where people buy, spend and engage in other activities.

Similarly, the family farm is part of a wider rural landscape (10). It may work with, rather than against nature, using ecological processes and balances instead of disrupting them, thus preserving the beauty and integrity of landscapes.

When family farmers works with nature, they also contribute toconserving biodiversity as we see in Andhra Pradesh and to fighting global warming. The work implies an ongoing interaction with living nature – a feature that is highly valued by the actors themselves.

Freedom and autonomy

The family farm is an institution that is attractive as it allows the farm family a relative degree of autonomy. It embodies a “double freedom”: there is freedom from direct external exploitation and there is freedom to do things in your own way.

In short, family farming represents a direct unity of manual and mental labour, of work and life, and of production and development. It is an institution that can continue to produce in an adverse capitalist environment,just as anaerobic bacteria are able to survive in an environment without oxygen (I am grateful to Raúl Paz from Argentina who coined this nice metaphor).

Why is it important?

Family farmers are responsible for the production of 70% of the world’s food. Photo: Alessandra Benedetti (FAO)
Family farmers are responsible for the production of 70% of the world’s food. Photo: Alessandra Benedetti (FAO)
Family farming is about more than just the size of the farm. Photo: S. Jayaraj
Family farming is about more than just the size of the farm. Photo: S. Jayaraj
Harvesting potatoes in Huancavelica, Peru. Photo: Jean-Louis Gonterre (CIP-CGIAR)
Harvesting potatoes in Huancavelica, Peru. Photo: Jean-Louis Gonterre (CIP-CGIAR)
Family farming carries the promise of creating agricultural practices that are highly productive, sustainable, receptive, responsive, innovative and dynamic.

Given all these features, family farming can make a strong contribution to food security and food sovereignty. It can strengthen economic development in a variety of ways, creating employment and generating income. It strengthens the economic, ecological and social resilience of rural communities. It offers attractive jobs to large parts of society and can contribute considerably to the emancipation of downtrodden groups in society.

Family farming can also consistently contribute to the maintenance of beautiful landscapes and biodiversity.

External threats

However, it may turn out to be impossible to effectively realise all these promises. This is particularly the case these days, when family farming is being squeezed to the bones and becoming impoverished.

When prices are low, costs are high and volatility makes medium or long term planning impossible, and when access to markets is increasingly blocked and agricultural policies neglect family farmers, and when land and water are increasingly grabbed by large capital groups – in such circumstances it becomes impossible for family farmers to provide positive contributions to society at large.

This is why we have now ended up in the dramatic situation that the land of many family farmers is laying idle. Or, to use a macro indicator, that 70% of the poor in this world today, are rural people.

Internal threats

There are internal threats as well. Nowadays it is en vogue to talk about the “need to make family farming more business-like”, in other words that it should be oriented towards making profits. Some even argue that this is the only way to keep young people in agriculture. According to this view, family farming should become less “peasant-like” and more “entrepreneurial”, and family farming in the global South should be subject to a similar process of modernisation that has occurred in the North.

A part of European agriculture has indeed changed towards entrepreneurial farming. This has effectively turned the family farm into a mere supplier of labour, at the expense of all the other features mentioned above. Formally, these entrepreneurial farms are still family farms, but in substance they are quite different. one major difference is that “real” family farms grow and develop through clever management of natural, economic and human resources, and through (inter-generational) learning. Entrepreneurial farms mostly grow through taking over other family farms. This tendency to enter into entrepreneurial trajectories is a major internal threat to the continuity and dominance of family farms. And we see it nearly everywhere.

Re-peasantisation

“Family farming represents a direct unity of manual and mental labour, of work and life, and of production and development.”

However, there are important counter-tendencies. Many family farms are strengthening their position and their income by following agro-ecological principles, by engaging in new activities, or by producing new products and new services – often distributed through new, nested markets.

Analytically these new strategies are defined as forms of re-peasantisation. They make farming more peasant-like again, but at the same time they strengthen the family farm, as can be seen in the example of re-peasantisation in Spain. Re-peasantisation is way of defending and strengthening family farming.

What is to be done?

The policy environment is extremely important for the fate of family farming. Although family farming can survive in highly adverse conditions, positive conditions can help family farming reach its full potential. This is precisely the reason that the policies of state apparatuses, multinational forums (such as the FAO, IFAD and other UN organisations), but also of political parties, social movements and civil society as a whole, are so important.

Policy can ensure that family farmers’ rights are secured and that sufficient investments are made in infrastructure, research and extension, education, market channels, social security, health and other areas. This provides farmers with the security to invest in their own futures, as recently reconfirmed by the prestigious High Level Panel of Experts on Food Security and Nutrition.

Strengthening rural organisations and movements is also of great importance. We have to keep in mind that, all around the world, family farmers are trying to find and unfold new responses to difficult situations. Thus, identifying successful responses, building on novel practices, communicating them to other places and other family farmers and linking them into dynamic processes of change must be central items on our agenda. In short: much needs to be done. The good news though, is that every step, no matter how small, is helpful.

Jan Douwe van der Ploeg

Jan Douwe van der Ploeg is professor of Rural Sociology at Wageningen University and at China Agricultural University in Beijing. 


728x90




John Sponaugle raises sheep and turkeys on his farm in Virginia’s Shenandoah Valley. With two turkey houses that collectively hold 36,000 turkeys at a time, some would say he runs a “factory farm.” Sponaugle would choose the term “family farm” – a different label with an entirely different connotation. Modern Farmer sat down with Sponaugle to talk about his life on his farm, whatever other people choose to call it.

I’m sure there are folks who would feel that this is a factory farm, but I don’t think so. To me, having a factory farm means you’ll need to hire several people. It’s not just going to be a family running it, like we’ve pretty much done with our farm. I do have one man who works for me full-time, but he’s almost family. He’s been here for quite a few years.

My wife and I purchased this particular farm in 1979. Her grandparents lived right across the road from us, in that little white house right across the road, and when her grandmother died we bought part of that farm that was theirs. Her father lives about a quarter-mile north of us here, and maybe sometime we’ll have his farm. I help him farm. He’s 83 years old and still gets around probably better than I do.

We have been here continuously since 1979. It was a pretty big step for us to buy this farm. We decided if we were going to make that commitment that we’d get married here, so we got married in the front yard, right in front of the house. That was May 13, 1979.

I grew up on a farm in Highland County. When I was very young, we had chickens. We grew some turkeys. We had cattle and sheep. I went to James Madison University – Madison College at the time then – and when I graduated from there, I started teaching high school math. I taught for 10-and-a-half years, I think, but I left because of all the garbage that came down from higher-ups in the education system. That was right about the time that standardized testing was beginning.

So I built my two turkey houses in the summer of 1983, when I was still teaching. I started turkeys in November. I taught school until Christmas, and then I left the educational system. My only income has been from the farm ever since. My wife was a librarian at an elementary school but she’s retired now. It hasn’t been easy, but I don’t know that there’s a better environment to raise a family in.

We have two daughters. Our oldest daughter went to graduate school in Arizona. She got married several years ago, but after her husband retired from the Air Force, they decided to come back. They’re staying with us presently, and I’ve given them some ground down by the river where they want to build a log house. They want to start this spring. She has a four-year-old son.

And our youngest daughter has a five-month-old son. She never did leave. She and her husband live on the other side of U.S. 340 in Grottoes, about five minutes away. They got married in the front yard here like we did, two or three years ago, on the same day in May.

So we have all the family here where they can farm. Both of my daughters have some interest in it. Hopefully, I can start backing out a little bit and let them do a bit more. I’ve had a few health problems over the years. I’ve had Parkinson’s for about 15 years now. And in 2009 I had a farm accident that really probably should have killed me but didn’t. So it’s sort of nice to think that they’re going to continue on.



Sponaugle’s sheep on his farm in Virginia.



Our sheep and our turkeys complement each other pretty well. Those are the two things I do. We did have some cattle, but a few summers ago, it got really dry and I ran out of grass. That wasn’t too bad a deal because I could feed hay, but then the well they were using started getting muddy because they were taxing it too much. I ended up selling all of them.

To tell you the truth, I don’t know exactly how many sheep I have. Probably about 125 brood ewes, which is a reasonable size. We generally average about 1.8 lambs per ewe. We have purebred Suffolks, purebred Hampshires and purebred Dorsets. We’re a little different from most people because my sheep are mainly just for breeding stock. The offspring don’t go much for slaughter. We only sell maybe the bottom 25 to 40 percent each year for meat.

The big thing we’re doing now is selling lambs to youngsters to show at county fairs. We sell them mainly in the Shenandoah Valley, but all over the state somewhat, and some into Ohio and once in a while, Indiana. We also sell some breeding sheep.

With the turkeys, we contract with Cargill. We start 18,000 birds in each house, which means we start 36,000 at a time. Maybe I shouldn’t say this, but the amount we gross is deceptive sometimes. This sounds unreal, but last year we grossed around $150,000 That sounds like a lot of money, but then I had to pay my bills. I had to pay $30,000 or $40,000 for fuel. I had to pay $15,000 or so in electric bills. I see a lot of money and when I get my check from Cargill, it looks pretty nice. But then when I finish paying my bills it doesn’t look so hot.

Turkeys are a more steady income, generally. For sheep, in the top end of the business where I am, it depends just how good they are. We have a ram here that we paid $10,000 for, but his offspring are worth a fair amount more than average sheep. Basically this has to do with differences in lambs, little things that most people can’t even notice.

There’s probably not a normal day on the farm for me now. It depends a lot on my health. Sometimes I don’t even get out until 9 o’clock, but I can do that because of the guy who works for me. His typical day starts about 6 or 6:30 in the morning. He’ll go check the turkeys, and then do the chores with the sheep. After lunch, he goes back through the turkeys to check that everything’s fine and that the birds are OK.

When he finishes that, he’s back out doing whatever. This time of year, we’re cutting firewood because we heat a fair amount with wood. In the wintertime, we start feeding the sheep again around 4 o’clock in the afternoon. Chores right now aren’t too terribly much. This is one of the times of year where the sheep require the least attention. But we’re also working our tails off now cleaning out the barn in preparation when the lambs start coming.

I wouldn’t trade this life for anything. More than anything else, my daughters grew up learning some responsibility. I give my wife a lot of credit for that. When my daughters sold lambs at the fair, my wife always gave them their money. Most parents say they put it away for college, but we gave ‘em their check. Then they had to pay for their own clothes and everything during the year. one daughter was always real tight and didn’t have any problems, but the other one kept running out of money. They really learned responsibility. They knew my wife wasn’t going to give them any extra. When they ran out, they ran out until they sold another lamb or whatever.

Nowadays things are different from what they used to be. Unless you have a pretty good-sized operation, you can’t generate enough income to buy the real estate and build the buildings you need to farm and make a living. You can’t do it. That’s really the reason why I’ve done what I’ve done with the sheep. I’ve spent a lot of money on my sheep, because to survive, you have to have value-added products. And with the turkeys, things are a lot different from what it was 50, 75 years ago. You’ve got to have an operation this size to survive.

Sometimes folks come out here and build a house right next to a turkey house or whatever and start complaining because it smells. But they still want to eat. Somewhere along the line, people have to tolerate a little bit of something. If they want food as cheaply as we give it to them, then they’re going to have to learn to accept and tolerate a few things.

This isn’t only my business. I’ve made it my life. It’s everything. Anybody who knows anything about sheep in the state of Virginia will know my name. My work and my hobbies were tied around my sheep.

728x90

Part of the grounds and house where the Agroecology Institute for Rural Women will be set up. Credit: Courtesy of ANAMURI



An organisation that brings together some 10,000 peasant and indigenous women from Chile is launching an agroecology institute for women campesinos, or small farmers, in South America.

For years, the National Association of Rural and Indigenous Women (ANAMURI) has been training thousands of people through La Vía Campesina, the international peasant movement, working on the basis of food sovereignty, which asserts the right of people to define their own food systems.

But today it is undertaking its most ambitious project.

The Agroecology Institute for Rural Women (IALA) will be the first in Latin America to only target women. It is taking shape in the town of Auquinco – which roughly means “the sound of water” in the Mapuche indigenous language – in the district of Chépica, 180 km south of Santiago.

The training sessions have already started, even though the building isn’t ready yet.

“We aren’t pursuing a dream, but a challenge,” the international director of ANAMURI, Francisca Rodríguez, who will run IALA, told Tierramérica*.

The project has a political core: “food production to resolve the problem of hunger.”

“It is essential to find ways to make it possible for us to continue surviving and existing as an important segment of agriculture amidst the fierce attack on campesinos, which has to do with productive sectors but also with the models of consumption,” she said.

IALA is focused on defending campesino family agriculture, she said.

It’s an effort to join in “the big task” of the Agroecology Institutes of Latin America, from which it took its acronym, she said.

These projects began in Venezuela, where the first agronomists – all children from campesino families – have graduated.

The IALA institutes were replicated later in Brazil and Paraguay, as well as Ecuador and the rest of the Andean region. The latest major achievement has been the SURI Campesino University, which opened its doors in Argentina in April 2013.

“It’s important for us to have professionals in the field of agriculture, in order to help achieve food sovereignty, and to continue along this route which requires specialists who have come from the land itself,” Rodríguez said.

“No one better than campesinos can feel the need to continue developing agriculture that is at the service of humanity,” she added.

Rodríguez said that in ANAMURI “we understand the challenge,” and while the institute will initially focus on women from the Southern Cone of South America, it could later be expanded to incorporate men.

In Auquinco, they have a one-hectare plot and a large house where the students will stay, purchased for just 23,000 dollars. They said the price was low because after the former owners, a couple who had gone into exile during Chile’s 1973-1990 dictatorship, returned to the country, they decided to sell the property to the women so the group could do good work with it.


Because of the damages it suffered during the February 2010 earthquake, however, the house needs extensive repairs, though the architects that evaluated the damage assured them it will maintain its character as a traditional rural dwelling, after the renovation.

The repairs must begin as soon as possible, said ANAMURI director of organisation Alicia Muñoz.

“During the current [southern hemisphere] summer, we have to organise brigades of volunteers to help us fix up the house and the grounds, so that it won’t lose its original character,” Muñoz said.

ANAMURI decided that 2014 would be “the year of restoration” – a volunteer campaign that starts Jan. 4 with a visit to the building to clear the overgrown vegetation and begin the most urgent part of the remodeling: fixing the roof.

“Our dream is having an institute for the conservation of the kind of agriculture that women know how to do, that is truly trustworthy from the point of view of health and nutrients,” Muñoz said.

In the history of Chilean agriculture, men have always dominated the scene, “with women relegated to the domestic sphere, to the processing of food, keeping house and raising the small livestock,” anthropologist Juan Carlos Skewes told Tierramérica.

But “their contribution, in my view fundamental, to agricultural work and to the alternative development project that is the vegetable garden, has been forgotten,” he added.

“Every vegetable patch, every campesino family farming practice, involves biodiversity, conservation of genetic material, the possibility of reproducing seeds and making better use of local resources,” said Skewes, director of the School of Anthropology at the Alberto Hurtado University.

“There is also the question of better coordination of resources, self-sufficiency and strengthening local economies,” he added.

“So, summing up, there are autonomous projects, a capacity for self-management, autonomous sustainable production, and management of non-genetically-modified material, and there is a chance to counteract, resist or challenge industrial processes in agribusiness, as well as the food processing industry,” he said.

The expert said that “in these tremendously contemporary aspects, the key player is the rural peasant woman, organised in the protection of seeds for self-consumption and the sustainable management of agriculture.”

In ANAMURI, the new year is full of hope. The participants are confident that the new government, to be headed by a woman, socialist former president Michelle Bachelet, will open up doors for them to strengthen their work.

They are also confident in receiving support from the United Nations, which declared 2014 the International Year of Family Farming.

“Many people are going back to the countryside, which means there is hope,” said

Rodríguez. “We know we’re helping to strengthen the country on our parcel of land in Auquinco.”


728x90

"전설이 사실이 되면, 전설은 출간된다."



(사진) 옥스포드 농업회담에서 연설중인 Mark Lynas 씨.




왜 어떤 사람들은 주목받지 못하고, 어떤 사람은 갑자기 세상의 이목을 끄는가? 최근 환경주의 작가 Mark Lynas 씨가 유전자조작 작물에 관한 논쟁에서 얻은 명성은 신화의 권력이 주는 교훈이다. (실제로 GM작물을 연구하다가 그 위해성을 인식하며 GMO 반대자로 돌아선 과학자들이 꽤 있지만, 그들의 행적과 주장에 대해서 언론은 그다지 주목하지 않는다. 여기 캐나다 농업연구소에서 10년 동안 GM작물을 연구하던 Thierry Vrain 박사를 보라http://bit.ly/19UDRoS)

옥스포드 농업회담에서 행한 널리 알려진 연설에서, Lynas 씨는 그린피스 시절 GMO 작물을 파괴한 일에 대해 공개사과했다. 최근 "과학"에 대해 발견하며 그는 GMO를 지지하지 않을 선택의 여지가 없었다고 한다. 그는 기아를 악화시킨다며 GMO 반대자들을 비난했다. 즉시 그의 옛 환경 동맹들은 그를 꼬챙이에 뀄지만, 그의 극적인 전환에 농산업의 우승자들은 크게 축하를 건넸다.

Mark Lynas 씨가 GMO와 과학에 관하여 잘못한 일의 세탁 목록은 광범위하며, 일부 농생태학자와 생물학자 들에게 조목조목 반박을 받았다(Lynas 씨에게 할당된 것처럼 수많은 언론의 주목은 받지 못했지만). Mark Lynas 씨의 GMO에 대한 과학적 논쟁은 "끝났다"는 단언은, 사실 증거를 넘어선 이데올로기적 포용을 보여주는 것이다. 과학적 논쟁은 결코 끝나지 않았다. 토마스 쿤은 고전 <과학혁명의 구조>에서 과학은 단지 사실들의 누적이 아님을 명확히 했다. 그것은 역사와 끊임없이 변화하는 지적인 유행에 의해 결정되는 지식이며, 심지어 가정 널리 인정되는 과학에 대한 믿음조차 극적인 패러다임 변화를 겪기도 한다. 따라서 Lynas 씨가 지금 충성을 고백한 주류 과학이 기아에 대해 마지막 말을 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문제는 Mark Lynas 씨가 아니다. 

사실 그는 무소속 환경주의자로 유명했지만, GMO와 주류 과학에 대한 그의 관점은 세계 야생생물기금과 국제보호협회, 자연보호협회 같은 "3대" 대형 자연보호단체와 다르지 않다. 종자와 화학산업을 지배하는 독점업체와 산업계 친화적인 정책을 보장하기 위하여 회전문을 활용하여 그들이 들어간 정부기관처럼, 이러한 세계적 보호론자들은 자신의 정치경제적 이해를 앞당기고 자신들의 위치와 권력에 의문을 제기하는 과학을 무시하기 위하여 신중하게 과학을 선택한다. 그들 모두는 자신의 추정을 사실로 가장하기 위하여 기업의 이념을 지지한다. Lynas 씨의 명확한 태도 전환에는 문제에 대한 어떠한 새로운 증거도 없다. 그러나 그것이 세계의 기술주의의 신화 창조능력을 강화시킨다. 

예를 들어 3대 자연보호단체는 섬이란 적합한 서식지에 종의 풍부함(생물다양성)이 관련 있다는 "섬 생물지리학"이라 불리는 이론에 독단적으로 집착한다. 갈라파고스에서 행한 다윈의 관찰에 일부 근거하고 카리브해의 섬들에서 강력한 생물 파괴제와 시험된, 그 이론은 종이 풍부한 섬이 생물학자들이 "메트릭스"라 부르는 종이 자력으로 이동할 수 없는 바다에 존재한다는 것이다. 시간이 지나면서 더 크고 본토에 가장 근접한 메트릭스의 섬이 작고 멀리 떨어진 섬보다 더 풍부한 종이 생길 것이다. 오늘날 대형 자연보호론, 이 이론은 농업 경관의 "메트릭스"에 바다의 표면처럼 생물학적으로 자력 이동이 불가능하다고 간주되는 숲의 조각(섬)을 적용한 것이다. 이것이 3대 자연보호단체가 생물다양성을 보존하기 위한 커다란 자연보호구역(복도로 연결되기도 함)을 확보하도록 추동한다. 그것이 또한 3대 자연보호단체가 공업형 농업과 파우스트의 계약을 맺도록 추동하기도 한다. 대형 농업은 자연보호를 위하여 토지를 구입하여 3대 자연보호단체의 전략을 지지할 것이다. 그 대가로 3대 자연보호단체는 대형 농업의 새로운 GMO 기술을 지지할 것이다.

대형 농업에 따르면, 유전자변형 작물은 이용할 수 있는 농경지에서 재배하는 식량의 양을 증가시킨다. 기술주의의 용어로 이는 "지속가능성의 강화"라 하고, 자연보호구역에 대한 농업의 압력을 감소시킨다고 추정된다. 지지자들은 그것이 더 많은 식량을 생산할 것이라 주장한다. 진정한 우승자들 -몬산토, 빌 게이츠, 기업의 과학자 집단- 은 세계의 기아를 끝내는 유일한 길이라 믿는다. 

3대 자연보호단체는 오른쪽 절반이다. GMO를 심은 거대한 공업형 농장은 정말로 광대한 농업 경관을 "녹색사막"이라 불리는 획일적인 메트릭스로 바꾸어 놓는다. 이러한 풀이나 곤충, 심지어 포유류조차 없는 단일 종의 농장이 콩, 옥수수나 사탕수수와 같은 하나의 작물에 의해 점령되고, 매우 많은 투자가 필요하다. 그들의 거대한 경제 규모는 무역업자와 가공업자, 화학물질과 종자 공급자들에게는 매우 수지 맞는 일이다. 공업형 농장의 메트릭스는 자본이 풍부하지만, 종은 빈곤하다. 또한 매우 소수의 사람들이 고용된다. 

그러나 우리가 세계의 농업을 이해하기 위해 최신 생태학 이론과 농생태학의 과학을 활용한다면, 섬 생물지리학 이론과 그 지속가능성의 강화라는 귀결을 해결할 수 있다. 

먼저 수확량을 단위면적당 무게로 측정하는 기업의 신화와 달리, 소농과 가족농은 정기적으로 공업형 농장의 생산력을 앞선다. 미국 농무부조차 이를 인정한다. 그러나 소농은 일반적으로 복합영농(한 농지에 다양한 종과 품종을 동시에 재배)을 실천하기에 한 종의 작물에 대한 단위면적당 수확량은 대규모 단작 방식보다 낮을 수밖에 없다. 어쨌든 농지 공간의 일부는 다른 작물이 차지한다. 복합영농에서 모든 작물의 순일차생산성을 고려할 때, 대규모 단작은 일반적으로 생산성에서 그 다음이다.  

현실에서, 공업형 농장이 실제로 기아자를 위해 식량을 재배하는 법은 없다. 그들은 고기와 에너지에 대한 중산층의 욕망을 충족시키고자 사료와 연료를 재배한다. 기업의 신화와 달리, 소농의 농업 -공업형 농업이 아니라- 은 세계의 대부분을 먹여살린다.

둘째, 소농의 농업은 농지에 작물과 나무, 물고기, 양봉 등을 혼합하여 생물학적으로 다양한 경향이 있으며 이는 종자와 흙, 물, 동물에 대한 광범위한 지식과 관리법이 필요하기에, 종이 자력으로 이동할 수 없는 공업형 농업과 전혀 다르다. 이와 대조적으로 생물학자 John Vandermeer 씨와 Ivette Perfecto 씨, Angus Wright 씨 -열대의 농생태학과 소농의 농업에 대한 오랜 전문가들- 는 개척자적인 작업인 "자연의 메트릭스"에서 농장과 숲의 전체적 생물다양성은 실제로 소농의 농업으로 향상된다는 것을 입증했다. 이는 '숲 조각의 자연은 그를 둘러싼 농업 메트릭스의 자연만큼 종의 보호를 위해서는 별로 중요하지 않기' 때문이다. 종이 풍부한 메트릭스에서 유래하는 종을 보충하지 않는 한 3대 자연보호단체의 보호구역 조각에서 생물종은 필연적으로 멸종해 갈 것이다. 섬 생물지리학의 이론은 카리브해의 섬에서 적용할 수는 있지만, 소농과 농생태학으로 관리되는 농업의 관점에서 볼 때는 실패한 모델이다. 이러한 농장의 농업생물다양성은 공업형 농업 메트릭스의 일부가 아니라 실제로는 "자연의 메트릭스" 가운데 일부이다. 그들의 보존은 자연 보호구역에서 숲과 생물다양성을 보존하기 위하여 필수적인 것이다. 

GMO 기술은 모든 농업을 향상시키지 않는가? 아니다. 이것은 또다른 기업의 신화이다. 소농은 값비싼 종자, 화학비료, 라운드업, 2-4D 등 현재 GMO 작물이 필요로 하는 모든 농약을 여유가 없다. 또한 그것이 필요하지도 않다. 농생태학의 과학과 실천은 농민이 농업생태계를 스스로 해충을 관리하고 토양비옥도를 유지하며 생물다양성을 감소시키지 않고 늘리는 방향으로 관리하도록 한다. 라운드업의 살포는 "슈퍼잡초"를 생산하고 농생태학을 실천하는 농민들이 먹을거리로 먹고 농업생태계를 관리하는 데 활용하는 식물을 죽인다. Baccillus thurengensis에서 얻은 유전자를 주입한 덕에 스스로 농약을 "생성하는" 유전자변형 식물은 익충도 소멸시키고,  결국 더 많은 농약이 필요하도록 내성이 생긴 해충이 발생한다. GMO의 대규모 단작으로 전환한 소농은 파산하고 굶주릴 위험에 빠진다. 또한 대규모 단작은 소농의 가족이나 지역사회를 위한 것이 아니라, 공업형 농장의 시장지배력과 경쟁할 수 없는 세계의 상품시장을 위해 식량을 생산한다. 

왜 시장의 보이지 않는 손은 이러한 "비효율적인" 생산자를 밀어내지 않고, 공업형 농장(과 대형 자연보호업체)를 식량체계에 넣고 있는가?

그건 현재 세계의 절반 이상을 먹여살리는 20억 정도의 소농을 5000만 개의 공업형 농장으로 대체할 수 있다고 생각해서이다. 이들이 (매우 지속가능하지 않더라도) 2050년까지 지구에 추가될 10억 명을 먹여살릴 식량을 생산할 수 있다. 그러나 여기에는 두 가지 큰 문제가 있다. 

첫째, 사실 우리는 이미 10억 명을 먹여살릴 충분한 식량을 생산하고 있는데 아직도 7명 가운데 1명(10억 정도)은 굶주리고 있다. 그들은 가난하고 이미 생산된 식량을 살 여유가 없기에 굶주린다. 

두 번째 큰 문제는, 추방된 농민들이 모두 어디로 갈 것인가? 이 모든 잉여 노동력을 받아들일 새로운 산업혁명은 없을 것이다. 이주 속도는 이미 도시와 북반구의 노동력 수요를 훨씬 넘어섰고, 자신과 그 지역사회를 지탱하기 위한 수단을 잃은 사람들이 공업형 농업의 진정한 '난민'으로 몰리고 있다. 기아를 끝내는 과제는 세계의 식량 가운데 대부분을 실제로 생산하고 있는 사람들에게 지속가능한 농업 생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는 공업형 농업의 GMO가 아니라, 농생태학을 실천하는 소농의 농업으로 달성될 것이다. 추가 혜택으로 그들은 탄소를 포획하여 지구의 온도를 낮추고, 다각화된 농법으로 농업생물다양성을 보존할 것이다. 

그럼 왜 농생태학의 과학과 세계 소농의 엄청난 잠재력이 주류 과학과 대형 농업, 3대 자연보호단체에 의해 꾸준히 무시되고 있는가?  
아주 간단히 말하자면, 큰 돈 때문이다. 

연료와 화학물질, 농식품 산업의 독점은 세계 시장을 지배하고, 지속적으로 주주들에게 3%의 복리를 보장하기 위하여 토지에 기반한 사업을 확대해야 한다. 그렇게 하지 못하면, 주가가 떨어질 것이다. 그걸 유지하려면 세계의 종자와 투입재, 곡물과 가공을 독점하여 지배해야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분자생물학과 유전학의 과학에서 도출한 응용법이 GMO를 설계하는 데 사용된다. 산업의 신화와 달리, 유전공학은 과학이 아니다. 그것은 특정 과학의 분과에 기반하고 있는 공학이다. 분자생물학의 과학은 매우 복잡하고 엄밀할 수 있는 한편, 종자의 유전공학은 실제로 다소 서투르고 부정확할 수 있다. 그렇게 가격이 비싼 이유 중의 하나가 이것이다. 유전학도 매우 복잡하다. 작물 육종에 그걸 적용하여 대량의 화학비료와 제초제, 살충제가 필요한 다수확 교잡종을 생산한다. 교잡종과 GMO의 결혼은 산업계의 요구를 완벽하게 충족시키는 제품을 낳았다. 이들 기업이 생산하는 화학적 투입재가 필요한 다수확 종자만이 아니라 종자의 유전자에 대한 독점적 소유권을 허용하여, 미국 중서부와 브라질의 세라도 같은 대륙의 경관을 독점적으로 지배하도록 보장했다. 

GMO에 Mark Lynas 씨의 환경보호주의를 연결하는 신화는 독점적 지배와 구식의 자연보호론, 유전공학에서 기원하고 있다. 이 모두는 강력한 이데올로기적 칵테일을 만들 수 있는 바텐더를 필요로 한다. Mark Lynas 씨가 기업의 바텐더로 나서지 않았어도 누군가 그렇게 했을 것이다. 사실 산업계의 기술주의는 대형 농업을 방어하기 위한 준비태세로 관료라는 예비군을 보유하고 있다. 하지만 Lynas 씨는 산업의 신화라는 강력한 우물에서 또다른 음료수를 꺼내들어 언론의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테두리가 눈에 띄게 균형잡힌 화려한 작은 우산을 제공했다.

쭉 들이키시길, Lynas 씨.



http://www.huffingtonpost.com/eric-holt-gimenez/of-myths-and-men-mark-lyn_b_2591502.html

728x90


가족농연구.pdf




가족농연구.pdf
3.98MB
728x90

'곳간 > 문서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지명유래집  (0) 2013.03.27
한국의 주류제도와 전통주 산업  (0) 2013.03.19
생명의 근원, 흙  (0) 2013.03.19
바닐라(Vanilla)  (0) 2013.03.19
음식물쓰레기 퇴비의 사용실태와 유효성   (0) 2013.03.1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