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농담/농-생태계

청색증과 논의 다원적 가치

by 雜것 2019. 7. 9.
반응형

농촌진흥청 박광래 선생님께 들은 흥미로운 이야기.

옛날에 수도물 사태가 일어났을 때, 신길동에 사는 어느 부모가 불안감 때문에 아이의 분유를 지하수를 이용해 타서 먹였다고 한다. 그런데 그 아이에게서 청색증이 일어나 큰일이 났단다. 다행히 잘 치료하여 아무 이상은 없었지만, 그것이 한국을 비롯한 동아시아권에서 발견된 최초의 청색증 환자라고 한다. 본인이 그걸 연구해서 학위를 받았다고 하니 명백한 사실이겠다. 그래서 궁금해서 찾아보니 1993년에 실제로 그런 일이 있었다는 기사가 나온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

아무튼 흥미로운 점은, 이미 1960년대에 유럽과 미국 등지에서는 청색증 환자가 많이 보고되었다고 한다. 그런데 비료를 그렇게 많이 쓰는 한국에서는 90년대에 최초로, 특히나 동아시아권에서도 최초로 발견되었다는 점이다. 

박광래 선생님은 이를 밭농사 중심의 농업환경과 논농사 중심의 농업환경에서 오는 차이로 본다. 즉, 밭농사와 달리 논농사는 논이라는 습지 환경이 질산염 같은 걸 여과하는 등 수질을 자연적으로 정화하는 공간이 된다는 점이 다르다는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논의 다원적 가치를 주장하게 되었단다. 

이런 좋은 효과를 아무리 이야기해 보았자 사람들은 한 귀로 듣고 한 귀로 흘리기 십상이다. 그걸 경제적 가치가 얼마라든지, 막상 사라지고 난 뒤에 발생하는 피해 등이 눈에 보여야 정말 중요한 것이었구나 하게 마련이다. 우리는 그런 실수를 저지르지 않았으면 좋겠다. 

뱀다리... 혹시 같은 조건이면 찰벼가 메벼보다 숙기가 더 빠른 편이 확실합니까? 그렇다면 왜 그런 건지 아는 분 있습니까? 궁금합니다. 유전자원센터에 계시던 이석영 선생님께 문의하니, 본인 생각으로는 아밀로펙틴 전분의 합성 과정이 더 복잡하기에 찰벼가 더 숙기가 느릴 것 같다고 하시던데... 어떤가요?


반응형

'농담 > 농-생태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양의 미생물이 중요하다  (0) 2019.07.12
논과 황새  (0) 2019.07.12
산업형 농업이 기후 위기를 부채질한다  (0) 2019.07.09
뛰어난 내비게이터 쇠똥구리  (0) 2019.07.05
위틀라코체  (0) 2019.0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