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농담/읽을거리

농생태학 -10장 불

by 石基 2019. 2. 28.
반응형

<농생태학: 지속가능한 먹을거리 체계의 생태학>






10장 불





불은 환경 변화 또는 교란의 주요한 형태이다. 자연 생태계에서 우점하는 식물 종을 제거하고, 동물을 쫓아내며, 토양에 양분을 돌려주고, 숲 바닥에 쌓인 부산물 등을 태운다. 지구의 거의 모든 식생은 어떤 방법으로든 화재의 영향을 받아 왔다. 다양한 횟수와 강도의 주기적인 화재는 대부분의 생태계에서, 특히 건기가 뚜렷한 지방에서 발생할 것이라 생각된다. 


가장 흔한 불은 자연적으로 일어나지만, 인위 발생(인간이 유발한)의 불도 상당히 오랜 역사가 있다. 열대우림 지역에 있는 목탄 퇴적물에 대한 자료에 의하면 기원전 6천 년까지 거슬러 올라가는데, 그 가운데 대부분이 인간의 활동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되었다. 초기의 농기구가 개발되기 이전에, 불은 초기의 인간이 식생을 관리하는 가장 중요한 "도구"였을 수 있다.


화재가 상대적으로 빈번한 지역에서 진화된 일부 자연 식생의 유형은 실제로 그 장기의 안정성을 화재에 의존한다. 여기에는 특정한 대초원, 사바나, 떨기나무 및 산림 유형이 포함된다. 지중해성 기후를 지닌 생태계의 떨기나무가 무성한 식생(수풀 지대, 덤불 지대 또는 카팅가caatinga라고 함)은 "화재 극상" 군집이라고 묘사되곤 하는 가장 잘 알려진 화재에 의존하는 식생이다(그림10.1). 


그림10.1 캘리포니아 산타바바라 근처의 산타이네즈 산에서 일어난 수풀 지대 화재. 주기적인 화재는 수풀 지대의 진화사 가운데 일부이다. 인간은 최근 자연적으로 불타는 패턴을 붕괴시켰다. 



초기의 생태학 연구에서는 불을 단지 파괴적인 힘으로만 보고, 그것의 실제 효과를 관찰하기 어려웠기에 많이 연구되지 않았다. 그러나 최근 캘리포니아의 수풀 지대 같은 생태계의 화재에 대한 자세한 연구들이 불을 생태학적조사의 중요한 주제로 만드는 데 도움이 되었다. 오늘날, 불은 공원과 자연보호구역에서 통제되는, 또는 처방되는 불태우기의 활용이 증가하는 데에서 목격되듯이, 여러 생태계의 필수적인 부분으로 간주된다. 불은 농업생태계에서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것은 이동 경작 농법의 중요한 부분이고, 작물 잔여물을 관리하고 잡초를 죽이며 벌목에 이어 쳐낸 가지 등을 깨끗이 없앤다. 





자연 생태계에서 불


다음 세 가지 조건이 충족되는 생태계에서 불이 발생할 수 있다. 충분한 연료 또는 유기물의 축적, 건조한 날씨, 점화원이 그것이다. 수백만 년 동안 번개가 주요한 점화원이었다. 번개는 미국 서부의 산불로 타는 면적의 50% 이상의 원인일 정도로 오늘날에도 여전히 중요하다(Pyne 2012). 아주 최근의 지질 연대에서 인간은 또 다른 중요한 "점화원"이 되었다. 인간은 50만 년 전 구석기 시대 이후로 불을 사용해 왔다. 불은 아마 동물의 사냥이나 몰이에 처음으로 사용된 다음, 식생 관리 도구로 발전했을 것이다. 불지르기는 동물에게 더 나은 먹이를 제공하거나, 먹을거리나 재료원으로 이용하는 특정 식물의 존재를 촉진하기 위해 사용되었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불은 약 1만 년 전부터 초기의 베고 태우기 농업이 시작되었다는 증거와 함께 파종을 위한 땅을 준비하는 도구가 되었다. 


생태학적 관점에서 볼 때, 주로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유형의 불이 있다.


·지표화. 이는 가장 일반적인 유형의 불이다. 토양 표면에 축적된 쓰레기, 풀, 지푸라기 등을 태우는 불길로 불의 온도는 그리 뜨겁지 않다. 그러한 불은 숲의 캐노피 아래를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나무를 태우지 않는다. 하층의 식생이 크게 변경될 수 있지만, 지표화가 발생하는 동안 토양 조건에 일어나는 변화는 보통 수명이 짧다. 지표화는 상황에 따라 잡초나 침입성 식생의 성장을 통제하거나 촉진하는 데 이용할 수 있다. 

·수관화. 이 유형의 불은 식생의 일부 유형에는 매우 해로울 수 있지만, 다른 유형의 활력을 되돌려주는 데 없어서는 안되는 부분일 수 있다. 수관화가 발생하면 식생의 캐노피가 소비되고, 보통은 성숙한 식물 종이 죽는다. 수관화는 대개 매우 빠르게 이동하며 토양 표면 위의 모든 것을 태우는 지표화와 결합되곤 한다. 

·지중화. 이 유형의 화재는 매우 빈번하지는 않지만, 일단 발생하면 아주 파괴적일 수 있다. 그것은 유기물, 특히 이탄토나 흑니토가 많은 토양의 특성이다. 토양에 있는 유기물은 광질토층으로 연소될 수 있다. 이들은 보통 불길보다 연기가 더 많고 불타면서 토양을 건조하게 만드는 느린 불이다. 토양에 있는 뿌리와 종자가 죽고, 동물의 서식지가 심하게 변화된다. 


모든 개개의 불은 세 가지 불의 유형이 결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불의 강도는 그 지역의 화재 빈도와 매우 밀접히 관련되어 있다(그림10.2).



 









(a)
















(b)

















(c)







그림10.2 불의 세 가지 유형. 천천히 이동하고 서늘한 지표화(a)가 코스타리카 북서부에 있는 여름 낙엽성 숲의 하층에 있는 잔재 등을 태운다. 수풀 지대에서 빠르게 이동하는 수관화(b)가 캘리포니아 산타바바라 근처의 지표면부터 식물의 수관까지 모든 것을 태웠다. 멀리 보이는 지중화(c)가 멕시코 베라크루즈의 코아트사코알코스 근처의 늪지에서 타고 있다. 





토양에 미치는 불의 영향


불의 생태학적 중요성 가운데 대부분은 그것이 토양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삼는다. 불은 토양 생태계의 다양한 비생물적 및 생물적 구성요소에 매우 뚜렷한 영향을 미치며, 이들 영향에 대한 지식은 농업생태계 관리를 위한 도구로 불을 사용하는 데에 중요하다. 그러나 불의 영향은 식생의 유형과 발달 단계, 토양의 유형, 불지르는 계절, 지배적인 날씨 조건, 마지막 불 이후에 지나간 시간, 기타 조건 등에 따라 크게 달라질 것이란 점을 지적해야 한다. 




비생물적 요소


불이 발생하면, 토양 표면층의 온도가 상승한다. 실제 가열 속도와 깊이는 토양의 수분량과 불의 유형에 따라 달라진다. 토양 표면에서 불타는 동안의 온도는 거의 항상 100℃를 초과하고, 일시적으로 720℃까지 오를 수 있다.표면 아래의 온도 상승은 대개 토양 상부의 3-4cm 이내이며, 불이 발생하기 이전의 온도보다 50-80℃ 높아져 보통 몇 분 동안 지속된다(Raison 1979). 이들 온도는 농업생태계 관리에 유용할 수 있는 방식으로 토양 환경을 변경할 만큼 높다. 


지상 유기물의 완전한 불태우기는 대부분의 질소와 유기산 성분을 연소시켜, 무기 양이온(주로 K+와 Ca2+)을 토양으로 되돌린 뒤 알칼리화 효과를 나타낸다. 이 효과의 강도는 불의 강도와 식물 바이오매스 연소의 완전함에따라 다르지만, 불이 난 이후 처음 며칠 동안 토양 pH의 증가, 특히 토양이 강수에 의해 촉촉해지면 일반적으로 pH는 3 이상이다. 


불이 난 이후, 검은색 토양 표면이 더 많은 태양열을 획득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불 및 태우는 온도가 매우 높아지기 전에 존재하는 바이오매스가 상당하면, 표면에 많은 흰재가 존재할 수 있어 실제로 잠깐 동안에는 반대의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흰색 표면의 더 높은 반사율(알베도)는 태양 에너지를 반사해 토양의 가열을 제한한다. 


불로 인한 뜨거운 온도는 토양의 상층에 있는 유기물의 양을 크게 줄일 수 있다. 200-300℃의 온도에서 20-30분 동안 유기물에 85% 감소하고, 이산화탄소 방출과 휘발성 형태로 질소와 황의 상실 및 무기물의 퇴적이 일어난다. 


화재 이후에는 보통 토양의 보수력이 감소하고, 식생 덮개의 제거로 토양의 실제 수분 가용성은 감소된 수요 때문에 증가할 수 있다. 토양 입단의 크기는 줄어들고, 부피 밀도는 오르며, 침투성과 물 침투율은 감소한다. 강우 유출과 양분 침출이 증가하고, 토양이 다시 식생으로 덮힐 때까지 토양침식 가능성이 더 높아질 수도 있다. 화재 직후에 토양의 직접적 표면이 실제로 발수성을 띠는 건 드문 일이 아니지만, 이 조건은 보통 수분에 약간 노출된 뒤에 약화된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위에 열거한 비생물학적 효과의 대부분은 약간 단기적 성격을 가지고 있다. 토양 유기물의 대체, 강우량의 침출, 불태운 조건의 식물 변경과 결합된 식생의 재생은 신속하게 회복 과정을 시작한다. 과도한 화재 진압과 비정상적 연료 축적에 따른 불의 강도가 심할 경우, 또는 매우 느린 속도로 다시 축적되는 이탄토나 흑니토의 두터운 유기층을 태우는 불일 경우 비생물적 조건은 더 오랜 기간 동안 변경될 수 있다. 비정상적으로 자주 발생하는 화재, 보통 인위적으로 유발된 화재는 더 오래 지속되는 변화로 이어질 수 있다. 




생물적 요소

명백히, 불의 경로에 있는 살아 있는 식물이나 동물은 위험에 처해 있다. 불에 적응되지 않은, 특히 껍질 유형이 살아 있는 형성층을 보호하지 못하는 식물은 쉽게 죽는다. 불이 충분히 뜨겁고 다른 조건이 알맞으면, 살아 있는 식물은 죽거나, 말라 버리거나, 매우 빠르게 불이 붙어 지상의 모든 물질을 재로 환원시킬 수 있다. 그런 다음 식물이 지하의 구조에서 싹이 트지 않으면, 복구는 종자의 발아만으로 시작될 것이다. 일부 식물 종의 종자는 불로 죽는 반면, 다른 종은 특정 휴면 인자가 파괴되거나, 발아하고 뿌리 내려 자리잡기 좋은 토양 조건이 생성되며 자극을 받는다(그림10.3). 


그림10.3 소나무의 불에 대한 반응. 와이오밍 옐로스톤에서 모체 나무를 죽인 치명적인 수관화 이후에 어린 로지풀 소나무가 다시 자리를 잡았다. 




반복되는 불로 식생 회복 과정이 지체되어 불에 더 저항성 있는 또 다른 식생 유형이 우점할 수 있다. 떨기나무 지대가 초원으로 전환하는 것이 이 과정의 좋은 사례이다. 다른 한편, 일부 식생 유형은 불이 늙고 죽어가는 개체를 제거하고, 토양으로 저장된 양분을 되돌리며, 새롭거나 어린 개체에 의한 쇄신이 촉진되기 때문에, 어떤 의미에서는 주기적 화재로 건강을 유지한다. 


많은 큰 동물들은 멀리 도망가 불을 피할 수 있지만, 불에 타 죽었더라도 불탄 지역에서 그들의 개체군은 근처의 불에 타지 않은 지역에서 재착생을 통해 회복될 수 있다. 어떤 동물은 새로운 성장과 먹잇감의 집중, 또는 재가 진드기와 벼룩 같은 기생충의 제거를 도울 수 있기 때문에 최근에 불에 탄 지역을 찾아다닌다.


불이 발생하면 균류, 질화 박테리아, 거미, 노래기, 지렁이 등 거의 모든 토양에 사는 유기체의 개체군이 즉각적으로 감소한다. 대부분 높은 온도 때문에 죽지만, 어떤 유기체는 화재에 이어지는 pH의 변화나 불에 탄 유기물에서 비롯되어 토양에서 특정 양분이 사라지는 것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그러나 화재 이후에는 특히 pH가 증가하여 자극을 받는 박테리아가 상당히 빠르게 재착생된다.  


전반적으로 불은 환경에 부정적 영향과 긍정적 영향을 모두 줄 수 있지만, 자연 생태계에서 불의 강도와 지속기간, 빈도는 엄청나게 가변적이란 점을 기억해야 한다. 1년부터 다음해까지 불에 유리한 조건은 엄청나게 달라질 것이다. 그리고 불이 발생하면, 그 영향은 일정하지 않다. 어떤 지역은 아주 철저히 불타버리는 반면, 조금 떨어진 똑같은 유형의 생태계는 화재의 영향이 완전히 없을 수 있다. 





불에 적응하는 식물


불이 오랜 진화의 역사를 가진 어느 곳에서나 대부분의 식물과 적어도 몇몇 동물들은 불에 대한 적응법을 개발해왔다. 식물에게 불에 대한 저항성을 제공하는 적응은 대개의 경우 식물이 과도한 빛이나 가뭄 스트레스를 처리할수 있게 하는 특징이기도 하여 흥미롭다. 


식물은 세 가지 다른 방식으로 불에 적응할 수 있다. 


1. 불 저항성. 불 저항성이 있는 식물은 살아 있는 부분이 불에 타지 않도록 도와주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성에는 빈번하지만 불에 손상을 덜 입도록 지원하는 두꺼운 껍질, 불 저항성 잎 또는 쓰레기 깔개 등의 특성이 포함된다. 

2. 불 용인성. 불 용인성 식물은 식물이 불에 타도 생존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인 불 용인성 특성은 불이 난 이후 수관에서 재발아할 수 있는 능력이다. 

3. 불 의존성. 불 의존성 식물은 실제로 번식이나 장기간의 생존을 위해 불이 필요하다. 어떤 불 의존성 식물은 발아하기 전에 불이 필요한 종자, 또는 불에 노출되지 않으면 열리지 않는 열매를 갖는다. 또 다른 불 의존성 식물은 불이 나기 전까지 꽃이 피지 않거나, 주기적인 화재에 노출되지 않으면 노화된다. 






농업생태계에서 불


불은 농업에서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농업생태학의 관점에서 볼 때, 좋은 불과 나쁜 불, 지나친 이요과 불충분한 이용, 조심스런 불의 이용과 부주의한 불의 이용이 있을 수 있다. 문제는 불의 생태학적 영향에 대한 지식을 적절히 적용하는 일이다.




이동 경작

불의 이용에 대해 가장 오랜 역사를 지닌 농업생태계는 이동 경작, 또는 화전식 농업이다. 불을 이용하는 이동 경작은 오늘날에도 세계의 여러 지역에서 자급 농업의 가장 중요한 형태로 이어지고 있다. 주로 열대 지방에서 실행된다고 생각하지만, 불에 기반한 이동 경작은 밀과 보리가 10-25년의 휴경 주기로 재배되는 유럽에서조차 초기의 농업에 활용되었다(Russell 1968). 좋은 이동 경작자가 청소하고 태우고 심는 일이 매우 간단해 보일지 모르지만 경험을 통해 모든 활동의 시기, 특히 지속가능한 체계와 악화시키는 체계 사이의 차이를 만드는 불을 지르는 시기를 배워 왔다(그림10.4). 이동 경작은 교란과 작물 수확을 통해 상실된 토양비옥도를 회복시키기 위해 자연적인 연속 과정을 위해 충분한 시간을 줄 때 작동한다(그림10.5).


그림10.4 멕시코 타바스토에서 화전식 농업생태계의 불 관리. 작은 방화대가 미래의 화전과 주변 작물로부터불을 분리시킨다. 



그림10.5 멕시코 치아파스의 산에 있는 이동 경작의 무늬. 다양한 시기의 휴한지들이 농사짓는 구역 옆에 뚜렷하게 보인다. 농민은 장기에 걸쳐 체계가 지속가능하려면 15-20년의 휴경기가 필요하다고 이야기한다. 이 휴경기를 단축시키는 압력이 많다. 




불을 태우고 곧이어서는 체계에서 양분 가동성이 매우 높아 침출 상실이 많아지곤 한다. 이는 상실된 비옥도를 회복하기 위해서 휴경기가 필요함을 강조한다. 화전에서 작물은 재에서 토양에 추가된 양분을 빠르게 흡수해야 하고, 그렇지 않으면 침출로 제거되거나 작물이 아닌 식물 종이 침입해 그를 포획하기 시작할 것이다. 토양의 유형, 기후 상황, 농법 등에 따라 양분 상실률은 매우 다양해진다. 하지만 연구결과 칼슘, 칼륨, 마그네슘 같은 양분의 상실이 빠르고 많을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Nye and Greenland 1960; Ewel et al. 1981; Jordan 1985). 토양 경작만이 아니라 짧게 연속하여 반복되는 불도 양분 상실을 더욱 가속화할 수 있다(Sanchez 1976)(그림10.4). 


이동 경작 체계는 일반적으로 비교적 낮은 인구 수준을 유지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잘 괸리된 이동 경작 체계에서, 토양의 탄소와 질소 대부분은 화재 이후에도 남아 있고, 뿌리 깔개는 온전히 살아 있으며, 토양 표면은 어떤 형태의 바이오매스 덮개로 보호되고, 심지어 토양의 균근도 생존한다. 그 결과 양분 상실과 토양침식은 최소화되고, 체계는 지속가능하다. 하지만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요소의 집합체가 휴한기를 단축시키고, 땔감을 위해 목재를 베어내게 하고, 부적절한 작물을 도입시키거나 가축을 지나치게 방목하도록 하여 결국 유해한 잡초 종의 침입을 촉진시키거나 토종 지피 식물의 회복을 향상시키는 과정을 붕괴시키는 압력을 생성하기 때문에 이들 체계의 많은 부분이 최근 지속가능하지 않은 방향으로 이동하기 시작했다. 불의 남용은 지속가능성을 붕괴시키는 원인 가운데 하나가 되기도 한다. 




현대의 농업 체계

현대의 농업 체게에서 불은 매우 다양한 역할을 수행한다. 다음에 제시된 사례는 다양한 기술의 차원을 나타내고, 농업생태계의 유형과 세계의 부분 및 관련된 문화에 따라 활용하는 차원이 달라진다. 체계와 목적에 따라, 파종 준비부터 수확까지 작부 주기 동안 언제든지 사용될 수 있다. 전반적으로 불을 이용할 때 가장 큰 과제는 불의 해로운 효과를 피하거나 최소화하면서 불의 이로운 효과를 활용하는 방법을 이해하는 일이다. 기술과 경험, 지식이모두 필요하다. 




개간

오늘날 세계의 여러 곳에서, 불은 특히 현대 버전의 이동 경작에서 파종을 위해 토지를 준비하기 이전에 토양 표면에서 식생과 식물의 바이오매스를 정리하는 가장 접근하기 쉽고 경제적인 도구로 이어지고 있다. 개간을 위해 불을 이용하는 건 더 쉽게 다시 심을 공간을 만들기 위해 벌채 이후 남은 많은 부산물을 태울 뿐만 아니라, 건조된 잔가지 등을 통해 산불이 이동할 기회를 줄이며 씨를 뿌리거나 옮겨심은 묘목이 확립되는 걸 억제하려는 여러 임업 체계에서 특히 중요하다.


깨끗이 해야 할 건조물의 양은 불의 유형과 강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이 분명하다. 표10.1에 나오듯이, 쳐낸 양(slash load)이라고 부르는 이들 양은 체계에 따라 상당히 달라진다. 열대의 이동 경작에서 토양에 남겨진 쳐낸 가지는 쉽게 4kg/㎡를 초과할 수 있고, 적당한 시기에 적절히 건조되고 태워지면 지름이 큰 가지와 줄기들을 제외한 대부분의 식물 물질을 소비하는 뜨겁고 균일한 불이 발생한다(Ewel et al. 1981). 신생의 두 번째 성장에서도 1-2kg/㎡의 건조물이 생성되어 쉽게 불이 발생할 수 있다(Gliessman 1982). 



체계

장소

쳐낸 양(kg/㎡)

출처

네이피어 초원

멕시코 타바스코

1.63

Gliessman (1982)

2년 두 번째 성장

멕시코 타바스코

1.18

Gliessman (1982)

8년 두 번째 성장

코스타리카 투리알바

3.85

Ewel rt al. (1981)

성숙한 열대의 건조한 숲

멕시코 할리스코

1.18-1.35

Ellingson et al. (2000)

고지대 벼와 보리

일본 중부

0.34

Koizumi et al. (1992)

고지대 벼

멕시코 타바스코

0.51

Gliessman (1982)

논 벼

캘리포니아 센트럴벨리

0.7-0.9

Blank et al. (1993)

적오리나무와 함께 미송

미국 오레곤

0.986

Cromack et al. (1999)

침엽수림

미국 퍼시픽 노스웨스트

0.5-3.0

Dell and Ward (1971)

한해살이 목초지

캘리포니아 센트럴 코스트 0.2-0.3 

Gliessman (1992b)

표10.1 다양한 생태계에서 토지 개간의 일부로 불태우기에 이용할 수 있는 쳐낸 양




오래된 숲 체계를 벌채하면 통나무와 나뭇가지 등으로 숲이 어지럽혀져 그것들이 마르면서 화재의 원인이 될 수 있다. 그러한 쳐낸 가지 등은 해충이 머물 수도 있고, 나무 묘목의 회복에 해로울 수도 있다. 다른 한편, 부스러기가 분해되면서 토양의 구조와 양분 상태가 개선되어 침식으로부터 토양을 보호하게 된다. 쳐낸 걸 표면 위에서 균일하게 태울지, 불태우기의 영향이 국지화되도록 쌓을지, 또는 덮개로 태우지 않을지 결정할 때 이들 요소를 모두 고려해야 한다. 어떤 전통적 체계에서, 쳐낸 건 공급이 제한적일 때(보통 0.5kg/㎡ 미만) 쌓고 태우며 그 재는 거름으로 개간한 밭에 고르게 뿌린다(그림10.6).


그림10.6 멕시코 치아파스에서 쳐낸 가지 등의 더미를 불태운 모습. 바이오매스 생산이 기후나 짧은 휴한에 의해 제한될 때 쳐낸 건 태워서 재를 뿌리기 위해 쌓아 놓을 수 있다. 




토지 개간에 불을 사용하는 독특한 사례는 더 이상 수익이 나지 않는 멕시코 타바스코에 있는 오래된 카카오 플랜테이션을 개조하기 위한 체계이다. 첫째, 바나나가 하층 식생에 심어져 있다. 다음해에 모든 상층 식생의 그늘용 나무와 오래된 카카오 나무는 베어 바나나의 알줄기를 덮는 5kg/㎡ 이상의 많은 쳐낸 양을 남긴다. 적절히 건조되면 쳐낸 걸 태운다. 불이 난 직후 나무를 베고 6개월 안에 수확할 수 있는 전통적인 옥수수/강낭콩/호박 사이짓기 작물을 지역이 이동 경작 체계와 똑같은 방식으로 심는다. 한해살이 작물을 심고 돌보는 동안, 바나나에서 싹이 돋고 콩과의 그늘용 나무 줄기에서 새로운 순의 보호를 받으며 발달한다. 한해살이 작물이 주기를 마친 뒤, 수명이 짧은 카사바나 파파야 같은 여러해살이 작물을 심는다. 이들 작물을 수확할 때까지, 바나나는 상당히 지속적인 수관을 형성하여 현지에서 소비하거나 판매할 바나나(또는 플랜테인)을 생산한다. 3년이 지나면, 다시 순이 난 그늘용 나무가 그늘을 지게 하는 수관의 일부가 되기 시작한다. 이 시점에서, 토양 표면에서 그늘 조건은새로운 카카오 묘목을 다시 심기에 적합한 수준으로 감소된다. 바나나는 새로운 카카오가 생산될 때(심고 5-7년 뒤)까지 수확되고, 그 시점에서 개조 주기가 완료된다. 지역의 농민들은 불을 사용하지 않고 카카오가 그러한 장소에 다시 심기 시작할 수 있기까지 적어도 10년은 걸릴 것이라고 이야기한다 -이 귀중한 환금작물을 기다리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린다. 불이 어떻게 이 농업생태계에 혜택을 주는지 정확히 알고자 한다면 연구가 필요하다(그림10.7).



(a)


(b)

그림10.7 멕시코 타바스코에서 오래된 카카오 플랜테이션을 개조하기 위해 불을 활용한다. 옥수수, 강낭콩, 호박(a) 같은 한해살이 작물은 오래된 카카오 식물(서 있는) 및 그와 관련된 그늘용 나무를 태우고 남은 재를 이용해 재배한다. 콩과의 그늘용 나무(b; 멍키포드Pithecellobium saman)가 불 이후에 회복하기 시작한다. 이 나무는 하나나 두 개의 줄기로 가지치기를 하여 결국 새로운 카카오 식물에 그늘을 제공할 것이다.





토양에 양분 추가

세게의 여러 작부체계에서 작물 잔여물과 비작물의 쳐낸 것, 요리나 난방을 위한 땔감을 태운 뒤에 남은 재는 귀중한 양분 공급원으로 간주되어 흙으로 돌려보내졌다. 재는 강우와 함께 토양으로 빠르게 이동하며, 그것이 함유한 양분은 토양 용액의 일부로서 쉽게 이용될 수 있다. 불에 타는 동안 휘발되는 질소와 황의 상실분은 다른 모든양분의 증가와 식물에 대해 이용성이 증가하며 그 이상으로 상쇄된다. 재는 2.6% 정도의 칼륨과 상당한 양의 인,칼슘, 마그네슘 및 기타 무기질 요소를 함유하고 있다고 입증되었다. 재는 0.4-0.67kg/ 사이의 양일 수 있기 때문에, 농업생태계에 양분 투입재로 중요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Seubert et al., 1977; Ewel et al., 1981; Debano et al., 1998). 


물론 너무 쉽게 용해되어 이들 양분이 쉽게 체계 밖으로 씻겨 나갈 수 있기에, 재에서 양분을 추가하려면 효과적인 식물 덮개와 좋은 뿌리의 발달이 동반되어야 한다. 재를 적용하는 시기가 매우 중요하다. 높은 용해성 양분을 빠르게 흡수하려면 토양에 활발한 식물 뿌리가 있어야 한다. 그리고 강우 패턴에 대한 지식은 불지르기 또는 재 적용 이후에 양분이 뿌리층 아래로 침출되거나 표면에서 씻겨 가지 않도록 폭우를 피하기 위해 필요하다. 어떤 작부체계 또는 조합이 불로 방출된 식물의 양분을 가장 잘 활용할 수 있는지 조사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작물 잔여물의 관리

불은 작물 잔여물을 관리하는 도구로 자주 활용된다. 그것의 주요한 혜택 가운데 하나는 잔여물에서 질소를 만들어 뒷그루가 더 쉽게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점이다. 잔여물이 질소에 비해 탄소의 함량이 매우 높으면(C/N 25-100), 잔여물에 있는 질소가 미생물의 바이오매스로 편입되면서 고정될 수 있다(그런 다음 토양 부식질로 더 영구적으로). 그러나 불태우기는 식물이 질소를 더 쉽게 흡수할 수 있게 만든다. 불이 타는 동안 휘발을 통하여 대부분의 질소가 상실되더라도 재의 탄질비는 태우지 않은 잔여물의 그것에 비교하여 더 낮기에, 남아 있는 질소를 더 쉽게 이용할 수 있고 외부에서 질소를 추가할 필요가 줄어든다. 


잔여물 불태우기의 또 다른 혜택은 필요한 경운의 총계가 감소한다는 것이다. 또한 개발도상국의 여러 지역에서 잔여물은 그를 제거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가정의 난방이나 요리를 위한 연료로 태워진다. 때로는 그 재를 수거해토양 개량제로 농지에 되돌려준다. 


벼 생산은 불과 관련이 되곤 한다. 벼를 재배하는 세계의 어느 곳에서나 수확 이후에 남겨진 볏짚과 밑동이 0.95-1.0kg/의 양이 될 수 있다. 전통적으로 이 볏짚은 가축의 사료, 땔감 또는 건자재나 퇴비의 원료로 활용되었다. 그러나 오늘날 여러 벼 체계에서, 벼를 수확한 뒤 가능하면 빨리 땅에 다른 작물을 심어야 할 필요성이 높아지면서 재빨리 볏짚을 재로 감소시키고자 불을 이용하고 있다. 불태우기는 밑동을 매개로 한 질병과 곤충을 감소시키고, 또한 어떤 뒷그루에게는 독이 될 수도 있는 물을 댄 조건에서 부식되며 메탄이 생성될 가능성도 줄인다. 하지만 연기가 대기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감지하면서 점차 불태우는 일을 규제하여 제한하고 농민들에게 토양에볏짚을 다시 통합시키거나 수확된 볏짚을 활용할 대안을 찾으라고 강요하고 있다(Kanokkanjana and Garivait 2013).


지속가능성의 관점에서, 잔여물 불태우기의 많은 장점은 휘발이나 침출을 통한 양분의 상실, 대기 오염, 토양 표면의 노출, 토양에 들어갈 유기물 투입재의 상실 등을 포함하는 단점에 무게를 두어야 한다. 농업의 전후 사정이 변화하고 있는 방식을 고려할 때 불을 활용하는 일의 결점이 의미가 없지 않기 때문에, 작물 잔여물 관리를 위해 전통적인 불 사용을 대신하는 대안을 연구하는 일이 점점 중요해지고 있다. 예를 들어, 멕시코 남부에서 옥수수를 생산하기 위해 전통적인 휴한과 불을 대체하여 풋거름 덮개작물을 활용하고 있다(CastilloCaamal et al. 2010).




잡초의 관리

불은 잡초가 씨앗으로 깔짚이나 토양에 있거나, 씨앗이 발아한 직후에 가장 효과적이고 실질적으로 잡초를 관리하기 위해 활용된다. 깔짚에서 씨앗이나 새싹은 토양 표면에 있는 깔짚이 고온으로 타서 토양 표면까지 내려가기때문에 불에 의해 죽을 가능성이 가장 높다. 이런 이유로 불을 붙일 때 어떤 종류의 덮개나 작물 잔여물이 있어야한다. 쳐내고 태우는 체계는 깔짚 안과 토양 표면에 있는 종자를 파괴하는 데 매우 효과적이다.   


잡초 방제를 위해 최근 개발된 방법은 몇 년 동안 유럽에서 활용되어 왔다. 프로판 탱크는 호수와 노즐에 연결되어 화염을 토양 표면으로 빠르게 이동시켜 잡초의 싹을 파괴할 수 있다. 베낭형과 트랙터 부착형 화염 제초기 모두 이용할 수 있다. 특수한 모양의 노즐과 변류기와 보호막의 모음이 있어 잡초를 죽이는 동안 작물의 모종을 보호한다. 이 기술로 잡초의 싹을 효과적으로 방제하려면 매우 작아야 하거나, 작물의 모종이 열에 잡초보다 더 강하도록 발달 단계에 있어야 한다. 어떤 농지의 조건에서, 첫 번째와 두 번째 잎 단계에 있는 옥수수 같은 작물은 대부분 주변의 잡초 싹이 대부분 죽는 동안 피해를 입지 않을 구조와 수분 함량을 가지고 있다. 필수 장비는 구입하고 사용하는 데 비용이 많이 들고 화석연료의 사용에 크게 의존하지만, 당근과 양파처럼 잡초에 매우 치이기 쉬운 작물에서 화염 제초기는 대단히 가성비 좋은 잡초 방제의 수단이다. 


하지만 불은 조심해서 잡초에만 사용해야 한다. 여러해살이 잡초와 불 저항성 뿌리, 뿌리줄기, 관부 또는 불태우기에 저항하는 기타 구조를 가진 식물은 실제로 불에 자극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사리(Pteridium aquilinum)는 개간지나 목초지에서 잡초로 작용할 수 있는 매우 적극적인 식물이고, 두 가지 방식으로 불을 선호한다(Gliessman 1978d). 지하 깊은 곳의 뿌리줄기가 불에서도 생존하게 만들고, 지상에 있는 고사리의 깔짚을 제거하는 게실제로 그 양치류의 활발한 재성장을 더 촉진한다는 증거가 있다. 이와 함께 고사리의 포자는 불과 재에 의해 생성된 토양 조건을 선호하여, 이전에 발생하지 않았던 고사리의 첫 확립과 그 이후 적극적으로 식생이 성장하도록만든다. 휴경지를 정리하는 걸 돕고자 불을 활용하는 이동 경작 체계에서, 휴경기가 너무 짧으면 불이 악영향을 주기 시작할 수 있다. 이 효과에는 양분의 침출과 불 저항성 잡초의 침입이 포함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잡초 방제를 위해 불을 활용하려면 체계의 고유한 특성에 기반하여 그 잠재적 영향을 신중히 고려해야 한다. 




절지동물의 관리

불은 농업생태계에서 곤충과 진드기 같은 해로운 절지동물을 제거하는 매우 효과적인 수단이다. 열, 연기, 서식지 상실은 모두 결합되어 이들 유기체(만이 아니라 그 알이나 유충도)를 죽이거나 그 체계에서 쫓아낸다. 일부 자연 생태계에서 불은 아마 절지동물 개체군의 자연적 성쇠에 기후 요소나 영양 상호작용 같은 요소일 것이다. 숲에서 불의 억제는 자연계의 평형을 틀어지게 만들어, 나무좀과 잎나방벌레, 천막벌레나방 유충 같은 인시류의 잎을 먹는 벌레 등 흔한 해충이 발생하게 한다. 그러나 어떤 생태계에서 불은 절지동물 개체군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호른Joern(2005)은 북아메리카의 키가 큰 풀의 대초원에서 여러 불태우기 횟수가 메뚜기 종의 다양성이나 밀도에 아무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다른 연구들에서는 불이 절지동물에 영향을 미치더라도 그 효과는 단기적이며 일반적으로 절지동물 군집은 단 몇 년 만에 회복된다는 걸 밝혔다(Pryke and Samways 2012). 각각의 절지동물 분류군의 생태학적 특성이 매우 다르기에, 불이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이해하려면 각 종의 생활사 및 불에 대한 적응에 관하여 많이 알아야 한다. 


농업생태계에서 특히 경운 감소 농업과 무경운 농업의 인기가 높아짐에 따라, 불은 다시 한번 해충 관리에서 그 역할을 수행하기 시작했다. 여러 해충은 이전 계절부터 남겨진 식물(살아 있거나 죽었거나)의 일부에서 영농철 사이의 시간을 보낼 수 있어, 이들 곤충의 피난처를 불태우는 일이 해충을 방제하는 효과적인 방법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면화에서 목화다래벌레 문제는 모든 식물의 잔여물이 파괴되면 극적으로 감소하고, 불은 이를 해결하는하나의 도구이다. 곡식 작물에서 명밤나방은 수확한 뒤 농지에 남아 있는 짚에서 월동하기 때문에, 불을 적절히 사용하면 그들을 관리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불은 미국의 밀 생산지대에서 밀을 생산할 때 밀혹파리를 방제하는 데 효과적임이 입증되었다. 이 파리는 1980년 중반 밀농사에서 경운 감소 관리가 의무화된 이후 1990년대에 큰 문제가 되었다. 토양 표면에 있는 밀짚 잔여물에서 밀혹파리의 번데기가 월동하며 생존했다. 농약으로 이들을 방제하는 일은 매우 어렵고 비싸지만, 가을에 밑동을 태우는 일이 매우 효과적이라는 게 밝혀졌다(Whitworth 2011).  


땅에 사는 절지동물 해충의 경우, 토양 표면으로 침투하는 불이 해충 관리의 유용한 방법이 될 수 있다. 덮개나 작물 잔여물 태우기 및 토양 표면에 대한 인공적인 화염은 이런 목적으로 불을 도입시킨 방법이다. 


곤충 피해로부터 작물을 보호하고자 불을 활용한 전통 농법이 멕시코 타바스토에 알려져 있다. 큰 딱정벌레목은 매우 짧은 기간에 심어 놓은 콩에 침입해 그 작물을 고사시킬 수 있다고 자자했다. 여러 마리의 딱정벌레가 침입해 이른 아침부터 그 식물의 잎을 먹고 있는 걸 볼 수 있다. 농민들은 옛날 농법에 아침에 감염된 농지에 들어가 살아 있는 딱정벌레를 충분히 잡아 몇 개의 내화성 용기 각각에 25-50마리씩 넣었다고 보고한다. 하루가 끝날 무렵, 각 용기는 그 곤충을 죽기 전까지 오래 불에 올려 놓되 그들을 태우지는 않았다. 그 직후 열어 놓은 용기를 콩밭의 흙속에 400㎡마다 하나씩 군데군데 묻는다. 다음날 아침, 농민들은 농지에서 살아 있거나 활발하게 먹이활동하는 딱정벌레의 흔적이 없었다고 보고한다. 죽어가는 딱정벌레가 방출하는 경보 페르몬이 살아 있는 딱정벌레에게 위험을 경고하여 밭을 떠나는 것이라 의심되지만,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농민들은 합성 화학 농약이 도입되어서 이런 농법을 더는 활용하지 않는다(그림10.8). 


(a)


(b)


(c) 

그림10.8 멕시코 타바스코에서 다른 딱정벌레를 쫓기 위해 구운 딱정벌레를 활용한다. (a)해충 딱정벌레 보티혼botijón은 콩 식물을 먹는다. (b)그 딱정벌레를 용기에 넣고, 그들을 딱 죽일 정도만 가열한다. (c)그런 다음 열어 놓은 용기는 콩을 심은 주변의 토양에 놓는다.






병원균 관리

토양의, 특히 표면 근처의 온도를 올리는 불의 능력 때문에, 불은 균류와 박테리아, 선충 같은 토양에 살고 있는 식물의 병원균에게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토양 생물상의 대부분은 병원균이 아니며, 실제로 농업생태계에 유익한 역할을 한다는 점(8장 참조)에 주목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므로 불은 특정 질병의 문제나발생을 관리하는 데에만 사용해야 한다. 


열과 건조는 아마 병원성 유기체에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불타는 동안 토양 표면에 나타난 높은 온도와 지표면 아래쪽 몇 센티미터 밑으로 가는 열의 침투는 살아 있는 병원균과 그들의 접종원을 대량으로 죽일 수 있다. 게다가 불이 난 뒤 토양에 놓인 재가 축축해짐으로써 pH가 급격히 높아져 중성이나 산성 조건에서 가장 잘 발달하는 균류를 억제하는 효과를 가질수 있다. 다른 한편, 많은 박테리아는 실제로 pH가 높아지면 자극을 받아서 어떤 병원성 박테리아가 존재하면 불이 난 뒤 더 문제가 될 수 있다.


잠재적 식물 병원균에 대한 지상의 식물성 물질, 특히 작물 잔여물을 태우는 효과는 잘 문서화되어 있다. 잘 관리되는 불은 지상 바이오매스의 95% 정도를 소모하고 극심한 열을 발생시킬 수 있기에, 바이오메스에 존재하는 대부분의 병원균을 죽일 수 있다. 이런 불의 효과가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작물 잔여물을 태우는 가장 흔한 이유이다.


식물의 질병 관리와 관련하여 불의 영향에 관한 문헌의 대부분은 불의 사용을 금지하는 게 더 적고 사람들이 대기 오염에 관해 덜 걱정했던 수십 년 전에 나온 것이다. 예를 들어, 1976년에 출간된 검토에서 하디슨Hardison은 불이 다양한 숲의 작물, 과일, 관상식물, 면화, 감자, 작은 곡식 및 풀과 사료에 대한 질병의 접종물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고 밝혔다(Hardison 1976). 미국의 태평양 북서부 지방에서 상업용 잔디 종자를 생산하는 데 사용되는 농지에서 매우 중요한 농법이 되었던 잔디밭 태우기가 원래 1940년대 후반 질병 방제를 목적으로 시작되었다는 것은 흥미로운 점이다. 


특히 곡식 작물에서 경운 감소 체계가 인기를 끌면서 불은 다시 한번 질병 통제 전략으로 고려되고 있다. 여러해살이 곡식의 수명이 긴 본성 때문에 집약적 경작이 불가능한 여러해살이 곡식 작물의 발달(14장 참조)에서, 불은질병 관리의 도구로 고려되어야 한다(Cox et al. 2004). 그러한 불은 대부분의 곡식 재배 지방에 존재했던 여러해살이 대초원 생태계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했으며, 여러해살이 곡식 체계가 발달됨에 따라 이런 자연적 불의 체제와 그것이 대초원 생태계에서 수행한 역할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수확을 위한 작물의 준비

불은 수확을 위해 작물을 준비하는 데 이용할 수 있다. 일반적 사례는 사탕수수를 수확하기 며칠 전에 밭을 태우는 것이다. 사탕수수를 베는 사람들은 줄기에서 잎을 제거하고, 손으로 베는 과정을 용이하게 만들고, 사탕수수에 더 쉽게 접근하도록 하며, 쥐와 뱀 같은 귀찮은 동물을 내쫓는 데 불이 중요하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그러한 체계에서 수확의 용이성은 유기물의 상실, 특정 양분의 휘발, 폭우와 함께 양분의 침출 같은 생태학적 충격에 무게를 두어야 한다. 특히 사탕수수의 경우, 불이 야기할 수 있는 또 다른 악영향은 과열된 사탕수수에서 추출한 설탕의 품질이 저하되는 것일 수 있다. 


수확철에 불이 하는 또 다른 간단한 역할은 잣의 수집에 있다. 몇몇 피뇬 소나무 종의 구과는 그 씨앗(견과라고 함)이 열려서 분산되기 전에 나무에서 수집된다. 보통 구과는 농밀한 진액으로 덮혀 있다. 불은 진액을 놓여 없애고 씨앗이 방출되도록 구과를 열기 위해 구과와 함께 놓인 암석을 달구는 데 사용된다. 또한 불은 진액으로 덮힌 구과를 넣을 수 있는 솥을 달구는 데 사용할 수도 있다. 




목초지와 목야지 관리

세계의 초원 지대 대부분에서는 자연적 불이 빈번하고 환경의 중요한 측면임에도 불구하고, 방목 체계를 관리하기 위한 도구로 불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일이 그리 흔하지 않다. 방목 체계에서 불이 사용되면, 규정된 불태우기로 알려진 통제된 불의 형태로 이용된다. 규정된 불태우기는 방목 농업생태계에서 여러 가지 역할을 할 수 있다. 


·대부분의 동물에 의해 먹히지 않고, 그렇지 않으면 더 호감이 가는 종들과 경쟁하게 될 이전 계절의 입에 안 맞는 성장을 깡그리 태워 버릴 수 있다. 

·아주 적은 녹색의 성장이 일반적으로 가능해지는 시기 동안 성장(여러해살이 식물의 불에 대한 반응으로 싹이 돋는 형태로)을 촉진할 수 있다. 

·가축의 질병을 옮길 수 있는 진드기와 벼룩 같은 기생충을 파괴할 수 있다.

·목초지나 목야지에서 탐탁지 않은 식물의 번식을 통제할 수 있다. 

·축적된 오래된 잎이나 풀의 화재 위험을 제거할 수 있다.

·산불로부터 체계를 보호하는 방화대를 확립할 수 있다. 

·바랐던 식물 종의 자연적 또는 인공적 파종을 위한 묘상을 준비할 수 있다. 

·종자를 생산하기 위해 일부 식물을 자극할 수 있다. 

·사료와 토양 개량을 위한 토종 콩과식물의 성장을 북돋울 수 있다.

·더 빠른 양분의 순환 및 섭취를 촉진할 수 있다.


불의 이러한 잠재적 효과는 모두 불을 활용해 가장 적절한 관리 체제를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불태우기의 영향 각각의 상대적 중요성은 방목 체계의 유형과 강도, 마지막 불지르기 이후의 시기, 연중 계절 및 식용 식물의 발달 단계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개방된 초원에서 목본의 종이 침입하는 경항은 거의 없다. 그러므로 불은 먹기에 알맞지 않은 성장의 축적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된다. 사바나 지역이나 자연 천이가 떨기나무나 나무의 식생을 선호하는 지역에서, 불태우기는 목초 구성요소를 확립하거나 관리하는 동안 일부 식물을 억제하기 위해 훨씬 더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어떤 규칙과 함께 불태우는 방목 지역에서 불이 억제되면, 풀은 그 우세를 잃고 먹을 수 없거나 겨우 소비되는 떨기나무나 나무의 종으로 대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국 서부의 그레이트 베이슨에 있는 방목장은 불이 나지 않으며, 특히 과도한 방목 압력과 결합되면서 산쑥(Artemisia tridentata)으로 전환되었다. 메스키트와 노간주나무 사이에서 풀이 자라는 미국 남서부나 멕시코 북부의 개방된 사바나 지역은 불이 방목장 관리에 통합되지 않으면 나무 종의 사실상 숲이 된다. 초지가 떨기나무나 나무의 식생과 접하는 다른 지역에서, 주기적 불이 없으면 더 적극적인 목본의 종에 의해 초지가 점차 침범될 수 있다. 캘리포니아 중부와 남부의 연안의 산에 있는 산기슭에서 한해살이의 초원은 몇 년 이상 불이 억제되면서 타감작용이 있는 수풀 지대의 떨기나무에 침범을 당했다(Muller 1974)(그림10.9). 


그림10.9 캘리포니아 산타바바라 카운티의 초지를 침입하고 있는 수풀 지대의 종. 떨기나무를 주기적으로 억압하고 방목을 위한 풀을 촉진하기 위해 불이 필요하다.





미래의 연구


농업에서 사용되는 가장 오래된 도구 가운데 하나일지 모를 불은 지속가능한 농법에 대한 현재의 연구에서도 여전히 상당한 가치가 있다. 하지만 체계에 이롭도록 불을 사용할 수 있는 일은 불이 농업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여러 구성요소에 미칠 장기적인 영향에 대한 지식을 갖느냐에 달려 있다. 불을 환경을 파괴하는 요소로 인식하는 것을 너머 유기물에서 양분을 방출시키고, 농업생태계의 구조를 신속히 변경하며, 바람직하지 않은 유기체를 죽이고, 자연계의 교란 체제를 모방할 수 있는 그 능력을 우리가 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 연구가 필요하다. 






생각거리


1. 지속가능성에 기여하는 도구로 불을 활용하도록 농민을 설득하려면 어떤 종류의 지식과 정보가 필요한가?


2. 대기 중의 연기는 완전히 바람직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되곤 하여, 매일 연기를 발생시키는 활동에 대한 새로운 제한이 가해진다. 연기가 부산물의 하나일지라도 농업에서 불을 사용하는 걸 어떻게 정당화할 수 있는가?


3. 여러분은 불의 비생물적 효과나 생물적 효과 가운데 관리의 측면에서 더 큰 농생태학적 의미를 갖는다고 간주하는 것은 무엇인가? 이유를 설명하라.


4. 다양한 작부체계, 작물 섞어짓기, 여러해살이 종들의 작부체계에서 불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조건은 무엇인가?






인터넷 자료


The Association for Fire Ecology 

http://www.fireecology.org

The Association for Fire Ecology (AFE) is an organization of professionals dedicated to improving the knowledge and use of fire in land management. They publish a peer-reviewed journal, Fire Ecology. 


Forests and Rangelands 

http://www.forestsandrangelands.gov/strategy/overview.shtml

The Wildlife Fire Leadership Council is a US governmental agency charged with developing a national strategy for fire management that stops fire where needed, use fire where allowable, and integrate human habitation with natural resource management. 


US Fish and Wildlife Service 

http://www.fws.gov/fire/

An agency within the U.S. Fish and Wildlife Service (USFWS) that is charged with setting policy and running programs for fire management and control that benefit natural habitats and the plants and animals that depend on them.







읽을거리


Courtwright, J. 2011. Prairie Fire: A Great Plains History. University Press of Kansas: Lawrence, KS. 

A history of both natural and intentional fires in the Great Plains region of the United States, from Native American practices to the current use of controlled burns as an effective land management tool. The book provides a very human touch by sharing the personal accounts of people whose lives have been touched by fire. 


Debano, L., D. G. Neary, and P. F. Folliott. 1998. Fire Effects on Ecosystems. John Wiley & Sons: Hoboken, NJ. 

A broad exploration of the effects of fires on ecosystems, including forests and other landscape components, such as watersheds, plants and air. 


Fowler, C. 2013. Ignition Stories: Indigenous Fire Ecology in the Indo-Australian Monsoon Zone. Carolina Academic Press: Durham, NC. 

A compelling ethnographic narrative that explores the globally relevant topic of the risks and benefits of burning for both people and ecosystems, and captures the complexity of human–environment relations in fire-adapted landscapes. 


Halsey, R. W. 2004. Fire, Chaparral, and Survival in Southern California. Sunbelt Publications: El Cajon, CA. 

A weaving together of the crucial elements of fire behavior, land management, and knowledge of the natural environment in a vegetation seen as the classic fire-adapted ecosystem.


Neary, D. G., K. C. Ryan, and L. F. DeBano (eds.). 2005. (revised 2008). Wildland fire in ecosystems: Effects of fire on soils and water. General Technical Report: RMRS-GTR-42-Vol. 4.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Forest Service, Rocky Mountain Research Station: Ogden, UT. 

This state-of-knowledge review about the effects of fire on soils and water is designed to provide land and fire managers with information on the physical, chemical, and biological effects of fire needed to successfully conduct ecosystem management. 


Pyne, S. J. 2012. Fire: Nature and Culture. Reaktion Books: London, U.K. 

A lavishly illustrated presentation about fire, covering its history, ecology, and connection to human culture—past, present, and future.


Spencer, J. E. 1966. Shifting Cultivation in Southeast Asi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Berkeley, CA. 

The classic authority on an agricultural system that uses fire and has existed for many centuries. 


West, O. 1965. Fire in Vegetation and Its Use in Pasture Management. Publication 1/1965. Commonwealth Agricultural Bureau: Berkshire, U.K. 

Still one of the best reviews examining both the ecology and management of fire in grazing ecosystems. 


Whelan, R. J. 1995. The Ecology of Fire. Cambridge Studies in Ec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New York.

An analysis of fire as an ecological factor in the environment, with a major emphasis on how individual plants and animal species are adapted to fire.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