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庫間/사진자료

일본의 농기구 2탄

by 雜것 2009. 12. 19.
반응형

이번에는 여러 장의 사진을 마련했습니다. 좀 길지만 재밌게 봐 주세요. 우리의 농기구와 어떻게 다르고 어떻게 비슷한지 보시면 재밌을 겁니다.

 

먼저 아래의 사진은 수확용 농기구입니다.  

 

가장 위의 명찰은 '가루카마', 곧 베는 낫이란 뜻입니다. 우리가 왜낫이라 부르는 그 종류입니다. 그런데 우리의 왜낫보다는 자루가 더 긴 듯합니다.

그 다음은 주걱이란 뜻의 '헤라'입니다. 설명서를 보면 대나무로 만들어 이삭을 자르는 데 쓴다고 합니다. 이삭을 자르는 대나무칼이라고 보면 됩니다. 이삭만 자르기도 하는 조나 기장을 수확할 때 쓰던 것이 아닐까 합니다. 아니면 적은 양의 벼를 수확할 때도 썼을 수 있겠습니다.

다음은 '야스리'입니다. 많이 들어보셨지요. 무엇을 가는 데 쓰는 줄입니다. 이걸로 앞에 본 대나무 주걱 등의 이삭용 나무칼을 갈았다고 하네요.

맨 아래에 있는 것도 이미 설명한 주걱입니다.

 

다음은 밥그릇과 같은 다양한 공기입니다. 우리랑 발음도 비슷해서 '고키'라고 부릅니다. 혹시 한반도에서 넘어간 문화의 흔적은 아닌지 궁금했습니다. 

 

 

이 사진은 일본의 지게입니다. 솔직히 이걸 발견하고는 충격을 받았습니다. 전 지게가 우리나라에만 있는 유일한 도구인지 알았거든요. 미군이 한국전쟁 때 A프레임이라며 감탄했다느니, 세계에 이런 과학적이고 효율적인 운반도구가 없다느니 하는 말에 혹~했지 뭡니까. 이제 그런 우월성이랄까 그런 걸 벗어 던져야겠습니다. 세상에는 나만 잘난 건 없습니다. 여기서 이렇게 쓰면 저기서는 저기에 맞게 저렇게 쓸 뿐...

 

 다음은 괭이입니다. 왼쪽의 것은 부대밭을 경작할 때 쓴다는 넓은날 괭이입니다. 오른쪽의 것도 부대밭을 갈 때 쓰는데, 날이 좁은 걸로 봐서 돌이 좀 있는 곳에서 쓰는 것 같습니다. 일본의, 특히 이 구마모토 지역은 화산토로 이루어진 곳이라 흙이 부슬부슬합니다. 그 때문인지 우리의 괭이가 주둥이가 뾰족한 것과는 다른 모습이 특이합니다.

 

 

다음은 오른쪽부터 쟁기와 '아와마키', '데스키', '츠치이레'라는 농기구입니다.

쟁기는 워낙 유명하니 다들 아실 테지만, 가만히 보면 흙밥을 한쪽으로 넘기는 역할을 하는 볏이 나무로 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아예 처음 만들 때부터 일체형으로 한 것인지, 다른 나무를 깎아 만들어서 붙인 것인지는 가까이 다가가서 보지 못하여 아쉽게도 알 수 없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보통 볏을 쇠로 만들었다고 알고 있는데, 이런 형태는 처음 보았습니다.

다음 '아와마키'는 글자 그대로 풀면 '조를 감음'이란 말입니다. 조를 뿌린 다음에 이걸로 흙을 긁어서 덮는 데 쓰는 농기구입니다.

'데스키'는 밀, 보리나 채소를 기를 때 이걸 써서 고랑의 흙을 퍼서 뿌리에 북을 주는 데 씁니다. 우리나라에는 따로 이런 농기구가 있는 걸 보지 못했습니다. 우리는 보통 호미나 괭이, 아니면 후치로 사이를 갈아서 했을 일입니다. 아래 사진으로 조금 더 자세히 보시죠.

 

마지막으로 아래는 '츠치이레', 곧 흙넣기라는 농기구입니다. 이건 제가 번역하고 있는 조선반도의 농법과 농민에도 자주 나옵니다. 이것 때문에 뭔지 몰라서 얼마나 골머리를 앓았는지 모릅니다. 결국 인터넷이란 문명의 이기에 도움을 받아 일본사이트를 뒤지고 헤맨 끝에 찾았지요. 찾고 나서도 뭐라고 번역해야 할지 몰라 고민했습니다. 지금도 정확히 뭐라 불러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일제강점기에 잠깐 쓰이다 사라졌기에 그렇습니다. 아무튼 이건 밀, 보리 농사를 지을 때 잘 자라도록 고랑의 흙을 퍼올려서 밑동에 북을 주는 데 쓰는 농기구 입니다. 앞의 뾰족한 부분을 통해 흙을 퍼 올린 다음, 망이 있는 부분에 올라온 흙을 밀, 보리 위에서 탁탁 털면 절로 밀, 보리 위로 떨어져 북을 주는 원리가 아닐까 합니다.

 

위의 사진의 농기구는 콩을 심는 파종기입니다. 저 통에 콩을 넣고, 주둥이를 땅에 푹 쑤셔 박은 다음 흔들거나 하여 또로록 콩을 흘려 넣었을 겁니다.

 

다음은 위에서부터 '옹바',  '야마코',  '오코'라고 부르는 농기구입니다. 야마코와 오코는 전체의 모습이 나오지 않았으니 그냥 넘어가겠습니다. 그냥 대충 설명하자면, 짐을 나르는 도구인데 양쪽에 물건을 매달고 등에 지는 도구입니다. 물통 옮기는 모습을 떠올리시면 될 겁니다.

옹바는 곡물을 탈곡할 때 이걸로 두드려서 껍질을 벗기는 농기구라고 합니다. 저는 처음에 생김새만 보고 흙덩이를 부수는 데 쓰는 줄 알았는데, 일본의 흙은 그럴 필요가 없다는 걸 떠올리고는 그렇구나 했습니다.

 

다음은 망태기입니다. 일본에서는 '후고'라고 부르네요. 

 

키와 씨앗을 담아 놓는 통입니다.  

 

이게 아주 재밌는 농기구입니다. 우리의 도리깨와 똑같은데, 오른쪽에 통나무를 달아 놓은 것은 콩이나 팥을 떨 때 쓰는 것이고, 왼쪽의 것은 일반적으로 쓰는 도리깨입니다. 용도에 따라 도리꺠를 달리 썼다는 사실에 충격을 받았습니다. 우리는 그냥 하나로만 다 하는데 말입니다. 

 

풍구와 매통입니다. 풍구는 일제강점기에 들어온 농기구의 하나입니다. 날려고르기를 하는 데 쓰는 것이죠. 매통은 곡물의 껍질을 벗기는 데 쓰는 농기구입니다. 우리나라에서도 흔히 쓰던 것이었습니다.  

 

 

이것도 일제강점기 우리나라에 들어온 홀태 또는 그네라는 농기구입니다. 일본 이름으로는 千齒라고 하여 이가 많다는 뜻으로 불렸습니다. 이게 들어왔을 때 작업효율은 기존에 하던 방식에 비해 훨씬 좋은데, 상하는 벼나 덜 떨리는 것이 많이 생긴다고 하여 꺼리는 사람도 있었다고 합니다.

 

이건 벼를 베는 데 쓰는 낫입니다. 벼베기 전용 낫이라고 할까요. 벼 베는 데 맞게 특화된 것인가 봅니다. 낫의 날을 보면 톱니를 넣어 놓아 줄기를 쉽게 벨 수 있도록 만들어 놓았습니다. 세심한 일본인의 특성이 이런 농기구에서도 드러나는 것이 아닐까 생각했습니다. 

 

 

이건 '오테'라고 부르는 농기구입니다. 아래의 사진과 한 묶음으로 보아야 합니다. 벼에 벌레가 생기면 먼저 아래의 도구로 물에 훅훅 석유를 뿌립니다. 그럼 논물 위로 기름막이 형성됩니다. 거기에다 이 오테라는 도구라 벼를 휙 쳐서 거기에 붙은 벌레들을 기름막에 떨어뜨려 죽이는 농기구입니다. 지난 여름 산청에 임봉재 선생님을 만나고 왔을 때, 거제에서도 석유를 이용해 벼에 생기는 벌레를 죽였다는 이야기를 들었는데, 그때는 그냥 석유를 깡통에 넣어 허리에 차고 숟가락으로 했다고 들었습니다. 일본 사람들은 더 효과적으로 그 일을 했네요.

 

 

 아래의 사진은 써레입니다. 우리의 써레와 이도 좀 다르고, 형태도 좀 다릅니다.

 

마지막으로 구마모토 특유의 괭이인 거름뒤집는 괭이입니다. 설명을 그대로 옮기겠습니다. "괭이는 사용하는 토지에 따라서 여러 형태를 가집니다. 구마모토의 화산재 토지에서는 특색 있는 거름뒤집는 괭이를 썼습니다. 그 형태는 잛은 자루에 폭이 넓은 날을 붙인, 자루와 날이 이루는 각도도 매우 작습니다. 사람들은 대지에 발을 버티고 서서, 허리를 구부리고 힘껏 괭이질을 합니다. 기어가는 듯한 모습으로 일해서 '기는 괭이'라는 이름도 있습니다. 뭐라 하든 메마른 '검은 머슴'을 깊이 가는 데에는 가장 쓰기 좋은 괭이입니다."  

아무튼 자루도 짧고 각도 작아서 이걸 쓰려면 허리 한 번 제대로 펴기 힘들었을 듯합니다. 아니면 산비탈에서 썼다면 오히려 편했을 수도 있겠네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