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프랑스의 공병이자 수학자, 그리고 탐험가이자 스파이이기도 했던 아메데 프랑수아 프레지에Amedee-Francois Frezier. 그가 1712년 프랑스 정부의 지령을 받고 페루와 칠레의 해안선 지도를 작성하기 위해 남아메리카로 파병이 된다. 당시 그 지역은 스페인의 식민지였기에 대놓고 다닐 수가 없어 그는 상인으로 위장을 하고 다녔다고 한다. 


그리고 그때 남아메리카 대륙에 자생하던 여러 식물을 채집하기도 한다. 그 하나가 바로 칠레의 해변에서 자라는 한 딸기 품종이었다. 당시 유럽에도 야생 딸기가 존재했지만 이 칠레의 딸기만큼 과실이 크지는 않았다고 한다.


칠레 딸기 품종.


하지만 그가 채집해 간 칠레의 딸기 품종에는 치명적인 문제가 있었다. 바로 암꽃과 수꽃이 다른 그루에서 피는데, 그는 암꽃 그루만 가져간 것이다. 그래서 여기에 여러 수꽃의 꽃가루를 수정시켜 결과물을 비교하다가 북아메리카의 버지니아 품종과 교배한 것이 가장 낫다는 결과를 얻었다고 한다. 그렇게 육종한 딸기가 1750년 무렵 세상에 첫 선을 보였다고 하며, 그것이 현재 우리가 먹는 딸기의 모태가 되었다. 어떻게 보면, 생물해적질(bio-piracy)의 역사는 참으로 오래되었다.



딸기의 여정을 지도 한 장에 담았다. 수백만 년 전 동아시아에서 2배체(2x)인 흰땃딸기(F. nipponica. 이하 직계조상을 의미)와 F.iinumae 사이에서 4배체(4x) 자손이 나왔다. 그 뒤 이 4배체와 2배체인 F.viridis 사이에서 6배체(6x) 자손(사향딸기(F. moschata)이 나왔다. 북미로 건너간 사향딸기가 2배체인 숲딸기(F. vesca ssp. bracheata)를 만나 8배체(8x) 자손이 나왔고 북미 동부의 버지니아딸기(F. virginiana)와 남미의 칠레딸기(F. chiloensis)로 진화했다. 각각 16세기와 18세기 유럽으로 건너간 두 종으로 프랑스 육종가들이 만든 파인애플딸기(F. x ananassa)는 100여 년 전 우리나라에 소개돼 오늘에 이르고 있다.  네이처 유전학 http://dongascience.donga.com/news.php?idx=27464




국에는 일제강점기인 1920-1930년대에 처음 도입되었으리라 추정되는데, 문헌 기록으로는 1960년대 수원 일대에서 대학 1호라는 품종을 재배한 것이 처음이라고 한다. 아마 수원의 '푸른지대'를 기억하는 어른들이 꽤 있을 것이다. 당시 서울대학교 농과대학이 수원에 있었고, 푸른지대 딸기밭이 그에 인접해 있었기 때문에 그랬을 것이다.


수원 서둔동의 딸기밭 풍경



그래서인지 1980년대까지 밭에서 과일로 재배하는 딸기를 "양딸기"라는 명칭으로 불렀다고 한다. 그리고 산과 들에 자생하는 딸기는 조선 딸기라 부르며 구분했다. 그러다가 밭에서 재배하는 양딸기가 딸기의 대명사가 되고, 자생 딸기는 산딸기라는 이름으로 고정되었다고 한다.


과거에는 딸기의 재배가 노지의 밭에서 이루어졌지만, 1980년대 한국의 농업을 180도 뒤바꾼 '백색혁명'과 함께 자연스럽게 점점 비닐하우스에서 재배하게 되어, 현재는 전체 딸기 재배의 95% 이상이 시설에서 이루어진다고 알고 있다. 그래서 겨울이 제철인 양 되어 버렸지.


점점 겨울철 딸기의 생산량이 늘며 겨울 과일의 대명사였던 감귤과 경쟁하기에 이르렀고, 올해는 감귤의 생산량까지 증가하며 값이 폭락해 제주에서는 난리가 났다고 한다. 이게 올해만의 현상은 아닐 것 같아 걱정스럽다. 감귤은 '대학 나무'라 불리며 대접을 받았는데... http://www.ikp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39557

728x90

'농담 > 씨앗-작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자, 어디까지 알고 먹습니까?  (0) 2020.06.23
베리 베리 다양해  (0) 2020.03.13
종자와 농부권  (0) 2020.01.23
벨기에 블루라는 소 품종  (0) 2019.12.31
일본의 수박  (0) 2019.12.28
728x90




프랑스 환경부에서는 몇 달 전 글리포세이트의 위험성을 들며 재인증을 하지 않겠다는 발표를 한 바 있다. (http://www.bosa.co.kr/news/articleView.html?idxno=602132)

그런데 이에 대해 각계 각층에서 반대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그런데 농가의 생산비가 상승하여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이야기까지는 납득이 가는데, 석유 생산자 연맹의 대표가 "농생태학의 종말"을 운운하고 보존농업도 힘들어진다고 이야기하는 대목에서는 어이가 없어서 헛웃음이 나오려고 한다. 그 단어들의 뜻과 맥락을 알고 언급하는 것일까?

프랑스라고 하여 이상한 사람이 없는 건 아니다. 


728x90
728x90



A study of more than 300 French wines has found that only 10% of those tested were clean of any traces of chemicals used during vine treatments.

Pascal Chatonnet and the EXCELL laboratory in Bordeaux tested wines from the 2009 and 2010 vintages of Bordeaux, the Rhone, and the wider Aquitaine region, including appellations such as Madiran and Gaillac

Wines were tested for 50 different molecules found in a range of vine treatments, such as pesticides and fungicides. 

Some wines contained up to nine separate molecules, with 'anti-rot' fungicides the most commonly found. These are often applied late in the growing season.

‘Even though the individual molecules were below threshold levels of toxicity,’ Chatonnet told Decanter.com, ‘there is a worrying lack of research into the accumulation effect, and how the molecules interact with each other. 

'It is possible that the presence of several molecules combined is more harmful than a higher level of a single molecule,’ he said.

Vineyards represent just 3% of agricultural land in France, but the wine industry accounts for 20% of phytosanitary product volumes, and 80% of fungicide use specifically.  

Since 2008, France's Ecophyto national plan (involving the study of the ways in which organisms are adapted to their environment) has sought to cut pesticide use by 50% by 2018. 

‘By 2012, there had been no reduction at all, even a small rise of 2.7% between 2010 and 2011,’ said Stéphane Boutou, also of EXCELL.  

While EU rules limit pesticide residues on grapes to 250 molecules, there are no limits set for wine. 

'Some molecules will break down during the process of fermentation, and we need more research into what they synthesise into, and more traceability in place,’ Chatonnet said.  

‘But we should not forget that it is not the consumers who are most impacted by this, it is the vineyard workers who are applying the treatments.’

In May 2012, the French government officially recognised a link between pesticides and Parkinson’s disease in agricultural workers. 



Read more at http://www.decanter.com/news/wine-news/583644/french-study-finds-pesticide-residues-in-90-of-wines#ISmODL1g6DmpM5kS.99


728x90
728x90

빵 소비량이 줄어들고 있다는 빵의 나라 프랑스... 그 대신 파스타나 시리얼, 쌀밥 등을 즐긴다고 한다. 아래 기사에 보면 1970년대 프랑스인은 하루에 평균 1개의 바게트를 먹었지만, 지금은 반 개 정도만 먹는다고 한다. 

그런데 재미난 것은 한국도 마찬가지라는 점... 1970년대 한국인은 1인당 1년 평균 130kg 정도의 쌀을 소비했는데 지금은 약 70kg 정도로 절반으로 줄었다. 


한국에서는 쌀 소비량이 줄고 빵 소비량이 늘어 걱정인데, 서구에서는 반대의 일이 일어나고 있다. 이는 서로 교류가 활발해지면서 식문화가 충돌, 융합하고 있는 현상의 하나는 아닐까?

---------


바게트를 들고 가는 파리 시민(AP=연합뉴스DB)

(파리=연합뉴스) 박성진 특파원 = 프랑스인들이 주식으로 먹는 길쭉한 막대 모양의 빵인 바게트 소비량이 갈수록 줄고 있다고 인터내셔널헤럴드트리뷴(IHT)이 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프랑스인들은 이 빵에 여러 가지 채소와 고기를 넣어 먹거나 버터 등을 발라 간단하게 한 끼를 해결하곤 한다.

1970년대 프랑스인들은 하루 평균 한 개의 바게트를 먹었으나 40년이 지난 현재 소비량은 반 개로 줄었다.

여성들은 남성보다 3분의 1가량 적게 바게트를 먹고 있으며 젊은 층도 10년 전과 비교해 소비량이 30%가량 감소했다.

대신 바게트가 차지하던 식탁에는 시리얼과 파스타, 쌀 등이 올라왔다.

이처럼 빵 소비량이 줄어들자 프랑스 제빵·제분업자들은 지난 6월부터 빵 소비 촉진 운동을 벌이고 있다.

'어이 거기 빵은 먹었나요?'라는 표어가 적힌 광고 간판이 전국 곳곳에 세워졌고 빵을 담아주는 가방에도 이 문구가 인쇄됐다.

이 캠페인을 벌이는 베르나르 발루이는 "사람들이 너무 바쁘거나 저녁 늦게까지 일하면서 빵집에 못 가고 있다"면서 "빵을 사야겠다는 생각이 들도록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캠페인 웹사이트(TuAsPrisLePain.fr)에는 "프랑스는 빵의 문명이다"면서 빵이 체중 조절 등에 유용한 건강식이라는 내용이 소개돼 있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빵 소비 촉진 운동이 빵을 즐거움의 대상으로 보지 않고 손을 씻거나 이를 닦는 것 같은 일상적인 것으로 만들어 버리고 있다고 비판했다.

sungjinpark@yna.co.kr




728x90
728x90


A French woman, who had a child with a German soldier, is punished by having her head shaved.




728x90

'곳간 > 사진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돼지를 도축하는 과정   (0) 2013.09.04
제주의 지하수 이용량  (0) 2013.08.21
동부 농사를 짓는 르완다의 농민  (0) 2013.07.07
나이지리아의 코코아 나무  (0) 2013.07.02
이성적인 논쟁  (0) 2013.06.26
728x90

조선의 "농자천하지대본"이라는 말과 마찬가지로, 프랑스의 성직자 펜느롱(1651~1715년)은 "인생의 토대인 농업은 모든 진실한 재물의 근원이다"라고 말했다. 또한 루소는 "모든 예술 가운데 가장 존경할 만한 첫째 가는 일은 농업이다"라고 했다. 농업은 어느 곳에서나 중요한 일일 수밖에 없는데, 인간은 먹어야 살기 때문이다. 설령 음식을 먹지 않고도 살 수 있는 알약이 나온다고 해도 인간은 '먹는 즐거움'을 포기할 수 없을 것이다. 인간이 가진 쾌락 중의 하나가 바로 혀에서 나오기 때문이다.


각설하고, 한국과 프랑스에 남아 있는 농사 관련 속담을 비교해 보자. 속담은 그 시대의 사회상 또는 자연에 대한 통찰 등을 담고 있는 소중한 자원이다. 속담을 잘 파고드는 자에게 통찰력이 주어질 것이다.



 

풍년이 들 조짐


- 한국

설날 송아지가 울면 풍조

설날 아침 소가 일찍 일어나면 풍조

설날 바람 안 불고 맑으면 풍년 든다

설날 북풍 불면 풍작

설날이 털날(진, 사일을 빼면)이면 풍년

대보름 줄다리기에 암줄이 이기면 풍년

대보름날 달 주변이 짙으면 풍년

대보름 꼭두새벽 첫 닭이 열 번 이상 울면 풍년

2월 초하룻날 비 오면 풍년

2월 초엿새 좀생이별이 달 앞에 있으면 풍년

2월 스무날 비는 풍년

2월 스무날 남쪽 구름은 남쪽 풍년, 서쪽 구름은 서쪽 풍년

삼월 삼짓날 제비 보면 오곡이 풍년

추석에 구름이 적당히 끼면 이듬해 보리 풍작

 

- 프랑스

1월 6일에 비 오면 보리풍년

예수 승천일 전 3일 동안 첫날 맑으면 건초에 좋고, 둘쨋날 맑으면 보리에 좋고, 셋째날 맑으면 포도에 좋다.

2월 2일에 맑으면 한 해가 좋다.

성 벵상 날(1월 22일)에 날씨가 좋으면 포도지기가 노래를 부른다.

1월 22일에 맑으면 곡식이 풍년이다.

성 폴 날(1월 25일) 맑으면 풍년이다.

성 이사벨 날(2월 22일)에 날씨가 좋으면 백곡이 풍년이다.

날씨 좋은 성 메다르 날(6월 8일)은 곡식 풍년을 약속한다.

 

 

흉년이 들 조짐


-한국

설날이 무모일(진, 사일)이면 흉년

대보름 달빛이 엷으면 흉년

달집을 태우다 불이 꺼지면 흉년

대보름날 새벽 첫닭이 적게 울면 흉년

2월 초하루 바람 불면 흉년

추석에 비가 내리면 다음해 보리 흉년

추석에 구름이 없거나 너무 끼면 흉년

 

-프랑스

성 엘로아 날(12월 1일) 자정 미사 때 맑으면 곳간이 빈다.

성 메다르 날(6월 8일) 비가 오면 수확이 1/4로 준다.

수요일에 초승달이 뜨면 늘 불길하다.

성 오벵 날(3월 1일) 눈과 비는 밀도 밀짚도 없는 한 해

성 프륙뛰외 날(4월 16일) 얼음이 얼면 포도지기는 불쌍해진다.

성 제르베 날(6월 19일) 비가 오면 보리 흉년

성 빅토르 날(7월 21일) 비가 오면 흉년

 

 

일기


- 한국

설날 검은 구름이 많으면 홍수

대보름 달빛이 희면 장마

설날 까마귀가 울면 풍재의 징조

설날 해가 푸르면 풍재

설날 해가 붉으면 가뭄의 징조

대보름 달빛이 붉으면 가뭄의 징조

개가 풀을 뜯어 먹으면 그해 가뭄이 든다.



-프랑스

초승달 뜨는 첫날 비가 오면 21일 뒤 비

성 메다르 날(6월 8일) 비가 오면 밤낮 40일 동안 비

성 바르나베 날(6월 11일 비가 오면 8일 뒤 비

성지주일(부활적 바로 전 일요일)에 비가 오면 수확할 때 비온다.

겨울철에 초승달이 수요일에 뜨면 아주 춥거나 큰비가 올 징조

성 미셀 날(9월 29일)에는 으례 비가 온다

성지주일에 바람 불면 그해 바람이 많다.

바람이 꽃 핀 나무를 흔들면 그해 바람이 많이 분다.

여름철 초승달이 수요일에 뜨면 여름에 가뭄이 든다.

성 드니 날(10월 9일) 맑으면 겨울이 춥다.

성 벵상 날(1얼 22일) 흐리면 성 폴 날(6월 29일) 맑다.

성 드니 날(10월 9일) 맑으면 겨울이 가물다.


728x90
728x90

영어로 자막이 달려 좋아요.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