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질소19 북한 농업의 질소 부족 문제 부모들은 자식이 둘 이상 있을 때 이런 이야기를 잘한다. "둘이 딱 반만 섞어 놓으면 좋겠다"고. 남쪽은 질소질이 너무 넘쳐서 문제인데, 북쪽은 반대로 너무 부족해서 문제가 되고 있다. 딱 반씩만 섞으면 좋겠구만. 2020. 1. 9. 질소질에 잠식 당하고 있는 한국의 농업 "2013년 기준, 경종 부문 실제 질소 투입량은 약 43.1만 톤으로 화학 질소와 축분 질소가 각각 25만 톤(60.1%), 17.2만 톤(39.9%)을 차지하고 있다. 작물별 표준 시비량에 근거한 경종 부문 양분 필요량이 21.5만 톤이므로 화학 질소만으로도 이미 양분이 과잉 투입되고 있는 상태인 것이다." "축산 부.. 2019. 12. 23. 토양의 미생물이 중요하다 2017년에 발표된 이런 논문도 잘 읽으면 도움이 많이 되겠다. <식물의 무기 양분에 대한 토양 미생물의 역할 -현행 지식과 앞으로의 방향> The Role of Soil Microorganisms in Plant Mineral Nutrition—Current Knowledge and Future Directions.pdf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5610682/ 요약; 토양의 수많은 다양.. 2019. 7. 12. 산업형 농업이 기후 위기를 부채질한다 과다한 질소 비료의 사용, 또는 축산 분뇨 등으로 토양에 지나치게 투입된 암모니아 성분이 미생물에 의해 질산으로 전환되면 토양이 산성화된다. 그런데 이렇게 과다한 토양 속의 암모니아가 온실가스인 아산화질소로 바뀌면서 대기로 방출된다는 사실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처음으로 .. 2019. 7. 9. 녹조와 적조 문제는 어떻게 해결할까? 정말 끝내주는 연구가 아닐 수 없다.미국의 오하이오주 남부에 Acton 호수라는 곳이 있다고 한다. 구글 지도에서 찾으면 사진처럼 있는데, 미국 땅은 워낙 커서 기별도 안 가네. 아무튼 이 호수에 주변 농경지에서 흘러들어오는 퇴적물이 너무 많아져서 1990년대 초반 심한 환경 문제를 야기.. 2019. 1. 10. 공기 중의 질소를 고정시키는 옥수수 시에라 믹스 지역의 실험용 옥수수밭을 살펴보는 공동 저자 Javier Lopez 씨. 멕시코에서 공기 중의 질소를 고정하는 토종 옥수수가 발견되었답니다. 100년 이상 재배된 것으로 추정되는 이 토종 옥수수가 지닌 특성을 미국의 연구진이 규명했다네요. 다비성 작물로 알려진 옥수수에게 이런 .. 2018. 8. 31. 이전 1 2 3 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