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우려했던 대로 제주의 지하수 문제가 점점 심각해지고 있다. 용천수 941개소 가운데 1/3에 해당하는 346개소가 수량 부족과 주변 훼손 등으로 완전히 기능을 상실했다고... 여기에 농축산업이 한몫을 하리라는 건 의심할 여지가 없다. 중산간 지방에까지 펼쳐져 있는 관개시설을 갖춘 밭들, 그리고 대형 축사들이 그 증거다.

아무리 여름철 집중호우가 내린다지만 제대로 붙들고 있지 못하면 말짱 헛것이다. 또 지금 제주에서 마을 곳곳에 저수지를 만든다고 하지만 고여 있는 물이 제기능을 할 수 있을지는 의심스럽다. 마지막에 나오는 것처럼 농축산업이 발달한 서남부 지역의 지하수에서는 질산성질소의 함량도 높다고 하지 않는가.

앞으로 제주의 지하수, 물 상황은 꾸준히 지켜봐야 할 문제이리라.





▲도내 용천수 941개소 가운데 1/3수준인 346개소가 수량 부족은 물론 주변지역 훼손에 의한 멸실 등으로 제구실을 하지 못하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사진은 제주시 하귀1리 동귀의 마른 용천수. 강경민기자




도내에 분포하고 있는 용천수 941개소 가운데 346개소가 수량 부족과 주변 훼손 등으로 인해 기능을 완전히 상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특별자치도수자원관리본부 등이 지난 2010년 2월부터 6월까지 도내에 분포하는 용천수의 현황 및 유출량을 파악한 결과 용천수 941개소 가운데 상수원으로 이용되는 용천수는 28개소, 생활용수 235개소, 농업 및 생활용수 공용 122개소, 기타 4개소로 나타났다.

하지만 346개소는 수량 부족, 고갈, 위치 멸실, 주변 훼손으로 인해 기능을 상실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 집수 및 보호시설이 있는 곳은 202개소, 집수시설만 있는 곳은 30개소, 보호시설만 있는 곳은 139개소로 조사됐다.

이에 앞서 지난 1999년 조사에서는 용천수 보존상태가 양호한 곳은 637개소로 전체의 70.0%를 차지했고 수량 고갈, 위치 멸실과 주변 훼손 등으로 인해 기능을 상실한 곳은 200개소, 수량이 부족한 곳은 74개소였다.

한편 제주자치도가 지난 1998년부터 1999년까지 도내 용천수 701개소의 용출량을 조사한 결과 1일 평균 용출량은 108만3363톤, 최대 160만8342톤으로 나타났다.

용천수 활용을 위한 대표적인 수질평가 항목인 염소이온 평균함량은 동부지역이 1034㎎/ℓ로 가장 높고 서부지역 638.9㎎/ℓ, 북부지역 303.5㎎/ℓ, 남부지역이 74.6㎎/ℓ 순으로 조사됐다.

질산성질소 평균함량은 남부와 서부지역이 15.2~16.1㎎/ℓ로 높은 반면 동부와 북부지역은 7.9~8.2㎎/ℓ로 나타났다. 남부와 서부지역에서 질산성질소가 높게 나타난 이유는 비교적 얕은 지층속을 흐르는 지하수로부터 용출되고 농업활동을 비롯한 토지이용이 집중되는 곳에 위치해 있어 화학비료나 생활하수또는 축산폐수 등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됐다.


고대로 기자 bigroad@ihalla.com  



728x90

'농담 > 농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상텃밭 이야기  (0) 2013.01.17
이 모습을 무엇이라 부를까?  (0) 2013.01.17
고설식 딸기 양액재배로 농부병 해소  (0) 2013.01.16
한국과 프랑스의 농사속담 비교  (0) 2013.01.14
달과 농사의 관계  (0) 2013.01.09

+ Recent posts